KR20220076972A -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 Google Patents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972A
KR20220076972A KR1020200166001A KR20200166001A KR20220076972A KR 20220076972 A KR20220076972 A KR 20220076972A KR 1020200166001 A KR1020200166001 A KR 1020200166001A KR 20200166001 A KR20200166001 A KR 20200166001A KR 20220076972 A KR20220076972 A KR 2022007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eads
color
colored glass
retro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대
김태홍
Original Assignee
김현대
김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대, 김태홍 filed Critical 김현대
Priority to KR102020016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972A/ko
Priority to CN202180080624.7A priority patent/CN116529639A/zh
Priority to PCT/KR2021/017820 priority patent/WO2022119264A1/ko
Publication of KR2022007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972A/ko
Priority to KR1020230190048A priority patent/KR20240001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재귀반사부재(물질)는 페인트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 물질에 분포되고, 자체적인 색과 함께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의 일부의 직경과 나머지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개시된 재귀반사부재(물체)는 바인더(binder)와, 상기 바인더 상에 구비되고, 자체적인 색과 함께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칼라 유리구슬층과, 상기 바인더와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 사이에 배치된 반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Retroreflection member comprising color glass beads}
본 개시는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는 광원으로부터 물체에 입사된 빛이 물체의 재귀반사수단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원으로 돌아가는 반사를 말한다. 재귀반사수단으로는 프리즘, 구슬 등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재귀반사수단은 다양한 소재(예, 반사지, 직물 등)에 적용되고 있다. 재귀반사특성으로 인해 재귀반사수단이 적용된 소재는 그렇지 않은 소재에 비해 시인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재귀반사수단이 적용된 소재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여 안전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될 수도 있고, 의류를 비롯해서 신발용품, 액세서리같은 트렌드소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는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재귀반사부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주어진 물체 표면에 재귀 반사층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재귀반사부재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재귀반사부재는 페인트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 물질에 분포되고, 자체적인 색과 함께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의 일부의 직경과 나머지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에서 직경이 서로 다른 칼라 유리구슬이 나타내는 색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재귀반사부재는 바인더(binder)와, 상기 바인더 상에 구비되고, 자체적인 색과 함께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칼라 유리구슬층과, 상기 바인더와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 사이에 배치된 반사층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바인더 밑면에 부착된 직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바인더 밑면을 덮는 접착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을 덮는 투명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은 제1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 칼라 유리구슬과, 제2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 칼라 유리구슬과, 제3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은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의 일부는 나머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부의 칼라 유리구슬의 크기와 상기 나머지 칼라 유리구슬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개시된 재귀반사부재는 칼라 유리구슬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칼라 유리구슬은 자체적인 색을 가지며 재귀반사특성도 갖는다. 따라서 개시된 재귀반사부재를 사용하면, 별도의 유색필름을 사용함이 없이 색을 나타낼 수 있고, 재귀반사특성도 나타낼 수 있는 바, 재귀반사부재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재귀반사부재의 하나인 재귀반사물질(페인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인트(예, 유성 페인트)에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바, 주어진 물체의 외형에 관계없이 해당 물체 표면의 원하는 곳에 재귀반사층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칼라 유리구슬 자체가 색을 갖는 바, 재귀반사층의 색감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재귀반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재귀반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2 재귀반사부재의 칼라 유리구슬층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재귀반사부재의 칼라 유리구슬층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5-5'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3 재귀반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재귀반사부재의 보호층과 칼라 유리구슬층 사이에 접착부재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4 재귀반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5 재귀반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6 재귀반사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11-11'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6 재귀반사부재에 포함된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의 분포에 대한 실측예를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재귀반사부재에 포함된 칼라 유리구슬에서 일어나는 재귀반사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므로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층 구조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표현은 직접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다른 부재의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제1 재귀반사부재(100)를 보여준다. 제1 재귀반사부재(100)는 칼라와 함께 재귀반사특성도 갖는 재귀반사물질로써, 일 예로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페인트(paint)일 수 있다. 제1 재귀반사부재(100)는 페인트 물질(110)과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glass beads)(120)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인트 물질(110)은 흰색 또는 유색 페인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페인트 물질(110)은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유색 페인트 물질일 수 있다. 칼라 유리구슬(120)은 자체적으로 색을 나타내는 유리구슬로써, 가시광 대역의 색 중 선택된 하나의 색을 나타내거나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칼라 유리구슬(120)은 3원색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칼라 유리구슬(120) 중 일부는 제1 색을 가질 수 있고, 나머지는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을 가질 수도 있다. 칼라 유리구슬(120)은 구체일 수 있다. 따라서 칼라 유리구슬(120)은 자체적으로 색을 가지면서 내부 전반사를 통해 입사광을 입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재귀반사특성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재귀반사부재(100)는 색감과 시인성을 높이는 페인트로 사용될 수 있다.
칼라 유리구슬들(120)은 페인트 물질(110) 내에 포함되어 있다. 칼라 유리구슬들(120)은 페인트 물질(110)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재귀반사부재(100)는 페인트 물질(110)과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이 서로 균일하게 혼합된 것으로, 색과 재귀반사특성을 함께 갖는 물질일 수 있다. 페인트 물질(110) 속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의 일부는 서로 접촉될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페인트 물질(110) 전체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은 부유 상태(floating state)로 고르게 분포할 수도 있다. 페인트 물질(110) 내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의 주어진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어진 밀도는 제1 재귀반사부재(100)가 물체의 표면에 도포되었을 때, 최적의 재귀반사특성(예, 재귀반사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밀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페인트 물질(110) 내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의 밀도는 5,000개/㎤ ~ 20,000개/㎤ 정도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의 직경은 전체적으로 일정할 수 있으나, 다른 예에서, 칼라 유리구슬(120)의 일부의 직경은 나머지와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유리구슬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유리구슬의 색은 상기 제1 직경과 다른 제2 직경을 갖는 유리구슬의 색과 다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페인트 물질(110)의 색과 칼라 유리구슬(120)의 색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30은 제1 재귀반사부재(100)가 수용된 용기를 나타낸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재귀반사부재(200)를 보여준다. 제2 재귀반사부재(200)는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을 포함하는 색 및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재귀반사물체로써, 일 예로 원단(fabric)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재귀반사부재(20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직물층(210), 바인더(binder)(220) 및 칼라 유리구슬층(230)을 포함한다. 직물층(210)은 일 예로 코튼(cotton)층 또는 폴리에스터(polyester)층이거나 이러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층(210)은 단일층 또는 복층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직물층(21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직물층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수평으로 배열된 혹은 수직으로 적층된 서로 다른 종류의 직물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종류"는 직물층의 재료가 서로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 직물층(210)은 무색 혹은 유색 직물을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물층(210)은 자체적으로 색을 가질 수 있다. 직물층(210)의 색은 칼라 유리구슬층(230)이 갖는 색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바인더(220)는 칼라 유리구슬층(230)과 직물층(210)을 서로 결합시키는 층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바인더(220)는 칼라 유리구슬층(230)을 직물층(210)에 부착시키는 접착층일 수 있고, 다른 예에서는 상기 접착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층은 부착층의 다른 표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접착층은 핫 멜트(hot melt) 접착제이거나 핫 멜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핫 멜트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칼라 유리구슬층(230)에 포함된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은 구형인 관계로, 바인더(220)의 상부면은 평평하지 않으며, 각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에 대응하는 부분은 오목하다. 칼라 유리구슬층(230)은 자체적으로 색을 갖는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을 포함한다.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은 직물층(210)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은 자체적으로 색을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칼라 유리구슬층(230)은 제1 내지 제3 그룹(G1, G2, G3)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룹 구분의 기준은 색이 될 수 있으나, 각 그룹의 색이 동일할 경우, 제1 내지 제3 그룹(G1, G2, G3)은 하나의 그룹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칼라 유리구슬층(230)은 3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한 개의 그룹이 될 수도 있다. 제1 그룹(G1)은 자체적으로 제1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룹(G2)은 자체적으로 제2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 칼라 유리구슬(2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그룹(G3)은 자체적으로 제3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 칼라 유리구슬(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색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색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색은 3원색이 될 수 있으나, 3원색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가시광 영역에 속하는 임의의 색(예, 보라색, 남색 등)이 될 수도 있다. 각 그룹(G1, G2, G3)에 포함된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수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그룹(G1, G2, G3)에 포함된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수는 3개, 3개,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각 그룹(G1, G2, G3)에 포함된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수는 3개, 3개, 2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계속해서, 칼라 유리구슬층(230)과 바인더(220) 사이에 칼라 유리구슬층(230)의 재귀반사특성을 높이기 위한 반사층(250)이 마련되어 있다. 반사층(250)은 각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B)과 바인더(220) 사이에 위치하며, 각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아래쪽 표면을 덮는다. 반사층(250)은 각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표면을 따라 코팅될 수 있는데, 각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하단(빛이 반사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단 둘레의 주어진 영역이 반사층(250)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주어진 영역은 각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수평방향 직경 아래에 있다. 따라서 반사층(250)의 최상단의 수평방향 직경은 각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수평방향 직경보다 작다. 반사층(250)은 금속층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알루미늄층이거나 알루미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칼라 유리구슬층(230)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3을 2-2'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칼라 유리구슬층(230)에 포함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일부의 크기는 나머지와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그룹(G1)의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의 크기는 제2 및 제3 그룹(G2, G3)의 제2 및 제3 칼라 유리구슬(230B, 230C)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칼라 유리구슬층(230)은 재귀반사효율이 최대가 되는 분포밀도 혹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칼라 유리구슬층(230)의 구성에 대한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4를 2-2'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 유리구슬층(230)의 제1 그룹(G1)은 복수의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외에 복수의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이 자체적으로 갖는 색과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이 자체적으로 갖는 색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은 각각 제1 칼라 유리구슬(230A) 사이에 위치한다. 한 개의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은 4개의 제1 칼라 유리구슬(230A)로 둘러싸여 있다. 곧,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은 가로 및 세로로 규칙적으로 밀착 배열된 복수의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밀착되게 배열되는 경우에도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이 구형인 관계로 제1 칼라 유리구슬(230A) 사이에 빈 영역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빈 영역에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빈 영역은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의 크기에 비해 작다. 따라서 상기 빈 영역에 배치되는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의 크기는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에 비해 작다. 제1 칼라 유리구슬(230A)의 크기는 수백㎛ 이하일 수 있는데, 일 예에서 100㎛ 이하일 수 있다.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의 크기는 수십㎛ 이하일 수 있는데, 일 예에서,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빈 영역에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이 배치됨으로써, 칼라 유리구슬의 밀도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제1 그룹(G1)에 제1 칼라 유리구슬(230A)만 존재할 때보다 재귀반사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1 그룹(G1)에 제4 칼라 유리구슬(430A)이 구비된 이유와 같은 이유로, 제2 그룹(G2)은 복수의 제2 칼라 유리구슬(230B)외에 복수의 제5 칼라 유리구슬(430B)을 더 포함하고, 제3 그룹(G3)은 복수의 제3 칼라 유리구슬(230C)외에 복수의 제6 칼라 유리구슬(430C)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및 제3 그룹(G2, G3)의 재귀반사효율도 제5 및 제6 칼라 유리구슬(430B, 430C)이 없을 때보다 높아질 수 있다. 제2 그룹(G2)에서 제2 칼라 유리구슬(230B)이 자체적으로 갖는 색과 제5 칼라 유리구슬(430B)이 자체적으로 갖는 색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제3 그룹(G3)에서 제3 칼라 유리구슬(230C)이 자체적으로 갖는 색과 제6 칼라 유리구슬(430C)이 자체적으로 갖는 색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4 내지 제6 칼라 유리구슬(430A, 430B, 430C)이 자체적으로 갖는 색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다음, 도 5는 도 4를 5-5'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칼라 유리구슬(230B) 사이에 제2 칼라 유리구슬(230B)보다 크기(직경)가 작은 제5 칼라 유리구슬(430B)이 존재한다. 달리 말하면, 제5 칼라 유리구슬(430B) 사이에 제5 칼라 유리구슬(430B)보다 직경이 큰 제2 칼라 유리구슬(230B)이 존재한다. 제2 칼라 유리구슬(230B)과 바인더(220) 사이에 반사층(250)이 구비된 것처럼 제5 칼라 유리구슬(430B)과 바인더(220) 사이에도 반사층(250)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칼라 유리구슬(230B)의 아래쪽 표면이 반사층(250)으로 코팅된 것처럼 제5 칼라 유리구슬(430B)의 아래쪽 표면도 반사층(250)으로 덮여 있다. 제5 칼라 유리구슬(430B)의 상단의 높이는 제2 칼라 유리구슬(230B)의 상단보다 낮을 수 있다.
반면, 제5 칼라 유리구슬(430B)의 하단의 높이는 제2 칼라 유리구슬(230B)의 하단보다 높을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3 재귀반사부재(600)를 보여준다. 제3 재귀반사부재(600)는 재귀반사물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재귀반사부재(600)는 도 2의 제2 재귀반사부재(200)에 보호층(510)이 추가된 것이다. 보호층(510)은 칼라 유리구슬층(230) 상에 구비되고, 칼라 유리구슬층(230) 전체를 덮는다. 보호층(510)은 칼라 유리구슬층(230)의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볼록한 표면 전체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보호층(510)은 가시광에 투명한 물질층일 수 있다. 보호층(510)은 칼라 유리구슬(230A, 230B, 230C)의 재귀반사특성에 영향을 주지않는 투명한 물질층일 수 있다. 일 예로, 보호층(510)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층, PVC(polyvinyl chloride)층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층일 수 있으며, 이 물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서 보호층(510)의 상부면은 평평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이며, 보호층(510)의 상부면은 칼라 유리구슬층(230)의 올록볼록한 표면 윤곽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3 재귀반사부재(6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층(510)과 칼라 유리구슬층(230) 사이에 마련된 접착부재(7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부재(760)는 칼라 유리구슬층(230)의 올록볼록한 상부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접착부재(760)를 통해 보호층(510)과 칼라 유리구슬층(230)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760)는 결합부재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접착부재(760)는 바인더(binder)층, 접착제층 또는 핫멜트층이거나 이 층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4 재귀반사부재(700)를 보여준다. 제4 재귀반사부재(700)는 재귀반사물체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제4 재귀반사부재(700)는 도 2의 제2 재귀반사부재(200)에서 직물층(210)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접착보호필름(710)을 배치한 것이다. 접착보호필름(710)은 바인더(220)의 밑면 전체를 덮어 바인더(220)의 밑면(접착면)이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4 재귀반사부재(700)는 자체적으로 색을 가지면서 재귀반사특성도 갖는 칼라 유리구슬층(230)을 포함하는 재귀반사필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4 재귀반사부재(700)를 정해진 물체 표면에 부착할 때는 접착보호필름(710)을 제거한 후,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5 재귀반사부재(800)를 보여준다. 제5 재귀반사부재(800)는 재귀반사물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5 재귀반사부재(800)는 도 6의 제3 재귀반사부재(300)에서 직물층(210)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접착보호필름(810)을 배치한 것이다. 접착보호필름(810)의 재료와 역할은 도 8의 접착보호필름(710)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처럼 칼라 유리구슬층(230)과 보호층(510) 사이에 접착부재(7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제6 재귀반사부재(900)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6 재귀반사부재(900)는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을 포함한다. 제6 재귀반사부재(900)는 제1 칼라 유리구슬(930A)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고, 제2 칼라 유리구슬(930B)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고, 제3 칼라 유리구슬(930C)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칼라 유리구슬(930D)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의 사이즈(예, 직경)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칼라 유리구슬(930A), 제2 칼라 유리구슬(930B), 제3 칼라 유리구슬(930C) 및 제4 칼라 유리구슬(930D) 순으로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제6 재귀반사부재(900)는 제1 내지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과 직경이 다른 1개 이상의 칼라 유리구슬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은 바인더(920) 상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곧,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은 바인더(920) 상에 무작위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는 바인더(920) 상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바인더(920)의 재료는 도 3 이나 도 4의 바인더(220)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은 서로 비접촉되게 분포될 수도 있으나, 다른 예에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 930B, 930C, 930D) 중 일부는 서로 접촉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10을 11-11'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직물층(210)과 바인더(9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바인더(920) 상에 제1, 제3 및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이 존재한다. 제1, 제3 및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격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바인더(920)의 상부면의 제1, 제3 및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에 대응되는 부분은 오목하고, 오목한 부분에 제1, 제3 및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제3 및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 사이의 바인더(920)의 표면은 평평할 수 있다. 제1, 제3 및 제4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과 바인더(920) 사이에 반사층(250)이 마련되어 있다. 반사층(250)은 바인더(920)의 상기 오목한 부분의 표면을 덮을 수 있다. 반사층(250)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반사층(250)의 표면은 바인더(920)의 상기 오목한 부분의 형태와 동일하게 오목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곡면이 된다. 반사층(250)의 표면 상에 각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이 위치하고, 각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의 반사층(250)에 대응하는 표면은 반사층(250)에 의해 덮인다. 반사층(250)의 곡률은 대응하는 각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층(250)은 각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은 도 6의 투명 보호층(510)으로 덮일 수도 있다. 각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이 도 6의 투명 보호층(510)으로 덮이는 경우, 투명 보호층(510)과 각 칼라 유리구슬(930A, 930C, 930D) 사이에는 도 7의 접착부재(7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물층(210)은 접착보호필름(도 8의 710 또는 도 9의 810)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12는 제6 재귀반사부재(900)의 바인더(920) 상에 분포된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930D)의 분포에 대한 실측 예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인더(920) 상에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0A-1200D)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0A-1200D)은 무작위적이며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930A-930D)에 대응될 수 있는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1200A-1200D)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 13은 칼라 유리구슬(1300)의 재귀반사를 보여준다. 도 13의 칼라 유리구슬(1300)은 제1 내지 제6 재귀반사부재(100, 200, 600, 700, 800, 900)에 포함된 칼라 유리구슬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y축에 평행하게 칼라 유리구슬(1300)에 입사하는 광(9L1)은 칼라 유리구슬(1300) 표면의 제1 지점에서 칼라 유리구슬(1300) 내부로 굴절된다. 굴절된 광은 칼라 유리구슬(1300) 하단의 칼라 유리구슬(1300)-반사층(250) 경계면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광은 칼라 유리구슬(1300)의 표면의 제2 지점에서 굴절되어 칼라 유리구슬(1300)을 벗어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점의 y축 방향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칼라 유리구슬(1300)을 벗어난 광(9L2)은 y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칼라 유리구슬(1300)은 구형인 관계로 칼라 유리구슬(930) 내부에서 반사된 후, 굴절을 거쳐 칼라 유리구슬(1300)을 벗어난 광(9L2)은 입사광(9L1)과 평행하되, 그 진행방향은 입사광(9L1)과 정반대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칼라 유리구슬(1300)에 입사된 광(9L1)은 굴절과 반사과정을 거쳐 입사광(9L1)을 방출한 근원(광원)을 향해 진행한다. 곧, 칼라 유리구슬(1300)에 입사된 광(9L1)은 재귀반사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9L1:입사광 9L2:칼라 유리구슬을 벗어나는 광
100, 200, 600, 700, 800, 900:제1 내지 제6 재귀반사부재
110:페인트 물질 120, 1300:칼라 유리구슬
130:용기 210:직물층
220, 920:바인더(binder) 230:칼라 유리구슬층
230A, 230B, 230C, 430A, 430B, 430C:제1 내지 제6 칼라 유리구슬
250:반사층 510:보호층
710, 810:접착보호필름 760:접착부재
930A-930D, 1200A-1200D:복수의 칼라유리구슬 G1-G3:제1 내지 제3 그룹

Claims (9)

  1. 페인트 물질; 및
    상기 페인트 물질에 분포되고, 자체적인 색과 함께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의 일부는 제1 직경을 갖고 나머지는 상기 제1 직경과 다른 제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직경을 갖는 칼라 유리구슬이 나타내는 색과 상기 제2 직경을 갖는 칼라 유리구슬이 나타내는 색은 서로 다른 재귀반사물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의 밀도는 5,000개/㎠~20,000개/㎠인 재귀반사물질.
  4. 바인더;
    상기 바인더 상에 구비되고, 자체적인 색과 함께 재귀반사특성을 갖는 칼라 유리구슬층; 및
    상기 바인더와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 사이에 배치된 반사층;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물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밑면에 부착된 직물층을 더 포함하는 재귀반사물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밑면을 덮는 접착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재귀반사물체.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을 덮는 투명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재귀반사물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은,
    제1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 칼라 유리구슬;
    제2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 칼라 유리구슬; 및
    제3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3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물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유리구슬층은,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칼라 유리구슬의 일부는 나머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일부의 칼라 유리구슬의 크기와 상기 나머지 칼라 유리구슬의 크기는 서로 다른 재귀반사물체.
KR1020200166001A 2020-12-01 2020-12-01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KR20220076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01A KR20220076972A (ko) 2020-12-01 2020-12-01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CN202180080624.7A CN116529639A (zh) 2020-12-01 2021-11-30 包括有色玻璃珠的逆向反射构件
PCT/KR2021/017820 WO2022119264A1 (ko) 2020-12-01 2021-11-30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KR1020230190048A KR20240001104A (ko) 2020-12-01 2023-12-22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01A KR20220076972A (ko) 2020-12-01 2020-12-01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0048A Division KR20240001104A (ko) 2020-12-01 2023-12-22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72A true KR20220076972A (ko) 2022-06-08

Family

ID=818542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001A KR20220076972A (ko) 2020-12-01 2020-12-01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KR1020230190048A KR20240001104A (ko) 2020-12-01 2023-12-22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0048A KR20240001104A (ko) 2020-12-01 2023-12-22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220076972A (ko)
CN (1) CN116529639A (ko)
WO (1) WO20221192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3019A1 (en) * 2002-08-02 2004-0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rticulate transfer film with improved bead carrier
KR100773438B1 (ko) * 2006-04-17 2007-11-05 박종민 재귀반사용 글라스비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6256B1 (ko) * 2011-10-20 2013-07-15 김철규 장식용 스팽글
KR20140111743A (ko) * 2013-03-12 2014-09-22 주식회사 엠에스코리아 재귀반사 시트 및 최종제품에 원하는 패턴의 응용제품을 얻기 위한 방법
KR101791952B1 (ko) * 2015-08-18 2017-11-20 (주)플라코스 광고용 노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104A (ko) 2024-01-03
WO2022119264A1 (ko) 2022-06-09
CN116529639A (zh)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6632B1 (en) Retroreflective structures
JP4146084B2 (ja) 変調する再帰反射物品
US5835271A (en) Encased retroreflective elements and method for making
CN1129010C (zh) 具有目标光学性质和一定形状的极柔软的复合立方体角逆反射片及其制作方法
US9733417B2 (en) Lighting device with light diffusing element
US11094226B2 (en) Resin molding
EP3104211B1 (en)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same
CN1135407C (zh) 具有两个光学表面和变化回射率的回射器
RU2003108731A (ru) Оптический тактильный датчик
CN103728676A (zh) 串联阵列透镜板
US10161593B2 (en) Solid state lighting device with virtual filament(s)
KR20220076972A (ko)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WO2017138441A1 (ja) マーカ
US4409277A (en) Visual information carrier comprising a flexible plastic sheet
JP5283101B1 (ja) 光学素子
EP3540369A1 (en) Marker
CN111820520A (zh) 具有主动照明功能的头盔
KR102482298B1 (ko) 반사 광량의 선택적 조절이 가능한 적층 반사 시트 시스템
WO2020213729A1 (ja) モジュールおよび加飾シート
JP7196842B2 (ja) 光学構造体
CA2222423C (en) Encased retroreflective elements and method for making
JP6540486B2 (ja) 発光装置
KR200434118Y1 (ko) 광확산 및 집광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 시트
CN109906338A (zh) 照明装置
CN114794691A (zh) 行李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