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952B1 - 광고용 노면시트 - Google Patents

광고용 노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952B1
KR101791952B1 KR1020150116070A KR20150116070A KR101791952B1 KR 101791952 B1 KR101791952 B1 KR 101791952B1 KR 1020150116070 A KR1020150116070 A KR 1020150116070A KR 20150116070 A KR20150116070 A KR 20150116070A KR 101791952 B1 KR101791952 B1 KR 10179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road surface
print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545A (ko
Inventor
김보현
Original Assignee
(주)플라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코스 filed Critical (주)플라코스
Priority to KR102015011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9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광고용 노면시트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노면시트는, 섬유재 성분의 물질로 형성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노면에 점착되는 점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접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부 중 인쇄표시영역으로 기 설정된 반사율을 가지는 복수의 유리구슬이 형성되는 유리구슬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부 중 상기 인쇄표시영역으로 염료가 도포되어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열처리 없이 광고용 시트를 노면에 부착하여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용 노면시트{ROAD MARKING SHEET FOR ADVERTIZING}
광고용 노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부착할 수 있는 시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광고용 포스트는 건물의 외벽이나 노면상에 부착되어 광고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광고용 포스트는 종이재질로 형성되나, 노면에 사용되는 광고용 포스터는 내구성이 약해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특히,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노면으로부터 이탈하여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환경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공공장소에서는 주차금지, 잔디보호, 금연 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 홍보물을 노면에 부착하고 있으나, 이용자가 많은 곳에서는 내용물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8040호는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시트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시트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하면 노면에 접착제와 실란트, 보강철사, 보강재, 프라이머 및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시트가 모두 하나의 구조체로 일체화되므로 지나가는 차량의 하중이 노면시트에 작용하더라도 하중 변위에 대한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 및 완화하는 저항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노면시트를 노면 상에 열융착시킨다는 점에서 설치작업이 불편하고, 한 번 형성된 노면시트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열처리 없이 광고용 시트를 노면에 부착하여 광고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면이 논슬립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 광고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노면의 온도에 따라 광고 내용이 변경될 수 있는 광고용 노면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노면시트는, 섬유재 성분의 물질로 형성되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노면에 점착되는 점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접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부 중 인쇄표시영역으로 기 설정된 반사율을 가지는 복수의 유리구슬이 형성되는 유리구슬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부 중 상기 인쇄표시영역으로 염료가 도포되어 인쇄되는 인쇄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리구슬층은, 상기 인쇄표시영역에는 인쇄표시에 대응하는 색상의 유색 유리구슬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하되, 투명필름을 샌드블라스팅 처리하여 형성되는 샌드블라스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의 기 설정된 영역에 형성되어 기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감온변색 잉크가 기 설정된 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인쇄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온도차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식별표시가 표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처리 없이 광고용 시트를 노면에 부착하여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광고용 시트의 표면이 논슬립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 광고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노면의 온도에 따라 광고 내용이 변경될 수 있는 광고용 노면시트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노면시트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블라스팅층을 포함하는 광고용 노면시트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층을 포함하는 광고용 노면시트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광고용 노면시트에 전자태그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광고용 노면시트에 감온변색 잉크에 의해 표시가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노면시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용 노면시트(100)는 기재층(110), 점착층(120), 접착층(130), 유리구슬층(140) 및 인쇄층(150)을 포함한다.
기재층(110)은 광고용 노면시트(100)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 섬유재 성분의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재층(110)은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110)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및 형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기재층(1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점착층(120)이 형성되고, 기재층(1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접착층(130)이 형성된다. 기재층(110)의 하부는 점착층(120)에 의해 노면에 부착되며, 기재층(110)의 상부에는 유리구슬층(140) 및 인쇄층(150)이 형성되어 광고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재층(110)은 감온변색 잉크(도시하지 않음)가 기 설정된 영역에 도포되어, 인쇄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온도차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식별표시가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표시영역은 유리구슬 또는 염료가 접착층(130)에 접착되어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기재층(110)의 일부 영역에 감온변색 잉크는 광고용 노면시트(100)가 노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노면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간과 야간에 따라 인쇄표시영역에 부가적인 내용이 추가되거나, 인쇄표시영역에서 일부 내용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점착층(120)은 기재층(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노면에 점착되는 점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된다. 광고용 노면시트(100)는 노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면에 점착될 수 있는 성분의 물질이 기재층(110)의 하부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110) 중 노면과 맞닿는 면은 이형지에 의해 사용 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층(120)의 형태는 기재층(11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점착층(120)은 기재층(110)의 하부면 중 일부 또는 전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층(130)은 기재층(110)의 상부에 접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된다. 접착층(130)은 후술하는 유리구슬과 염료를 상부에 부착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접착층(130)의 성분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접착층(130)은 유리구슬이 부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130)은 염료가 흡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30)은 유리구슬과 염료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흡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착층(130)의 색상은 투명 또는 흰색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리구슬층(140)은 접착층(130)의 상부에 기 설정된 반사율을 가지는 복수의 유리구슬로 형성된다. 유리구슬의 크기 및 반사율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유리구슬층(140)은 접착층(130)의 상부에 일부 또는 전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유리구슬은 투명색일 수 있으나, 착색된 유리구슬을 사용한 것도 가능하다. 유리구슬층(140)은 인쇄표시영역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리구슬층(140)이 접착층(130)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인쇄표시영역에 유리구슬의 밀도가 더욱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야간에도 인쇄표시영역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인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유리구슬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홍보하고자하는 광고물의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인쇄층(150)은 접착층(130)의 상부 중 인쇄표시영역으로 염료가 도포되어 인쇄된다. 이 경우, 솔벤트 인쇄 또는 UV 인쇄방식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층(150)은 유색의 염료로 형성되며, 접착층(130)에 흡착될 수 있는 분말의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층(150)은 접착층(130) 중 인쇄표시영역에만 형성되거나, 접착층(130)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쇄층(150)은 접착층(130)의 상부의 인쇄표시영역에 유리구슬이 접착된 경우, 유리구슬 간의 틈새에 염료가 접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인쇄표시영역은 유리구슬과 염료의 이중 성분이 공존하게 된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블라스팅층을 포함하는 광고용 노면시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용 노면시트(200)는 기재층(210), 점착층(220), 접착층(230), 유리구슬층(240), 인쇄층(250) 및 샌드블라스팅층(260)을 포함한다.
기재층(210)은 광고용 노면시트(200)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 섬유재 성분의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재층(210)은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210)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및 형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기재층(2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점착층(220)이 형성되고, 기재층(2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접착층(230)이 형성된다. 기재층(210)의 하부는 점착층(220)에 의해 노면에 부착되며, 기재층(210)의 상부에는 유리구슬층(240) 및 인쇄층(250)이 형성되어 광고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점착층(220)은 기재층(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노면에 점착되는 점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된다. 광고용 노면시트(200)는 노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면에 점착될 수 있는 성분의 물질이 기재층(210)의 하부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210) 중 노면과 맞닿는 면은 이형지에 의해 사용 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층(220)의 형태는 기재층(21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점착층(220)은 기재층(210)의 하부면 중 일부 또는 전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층(230)은 기재층(210)의 상부에 접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된다. 접착층(230)은 후술하는 유리구슬과 염료를 상부에 부착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접착층(230)의 성분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접착층(230)은 유리구슬이 부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230)은 염료가 흡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230)은 유리구슬과 염료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흡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착층(230)의 색상은 투명 또는 흰색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리구슬층(240)은 접착층(230)의 상부에 기 설정된 반사율을 가지는 복수의 유리구슬로 형성된다. 유리구슬의 크기 및 반사율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유리구슬층(240)은 접착층(230)의 상부에 일부 또는 전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유리구슬은 투명색일 수 있으나, 착색된 유리구슬을 사용한 것도 가능하다. 유리구슬층(240)은 인쇄표시영역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리구슬층(240)이 접착층(230)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인쇄표시영역에 유리구슬의 밀도가 더욱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야간에도 인쇄표시영역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인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유리구슬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홍보하고자하는 광고물의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인쇄층(250)은 접착층(230)의 상부 중 인쇄표시영역으로 염료가 도포되어 인쇄된다. 이 경우, 솔벤트 인쇄 또는 UV 인쇄방식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층(250)은 유색의 염료로 형성되며, 접착층(230)에 흡착될 수 있는 분말의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층(250)은 접착층(230) 중 인쇄표시영역에만 형성되거나, 접착층(230)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쇄층(250)은 접착층(230)의 상부의 인쇄표시영역에 유리구슬이 접착된 경우, 유리구슬 간의 틈새에 염료가 접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인쇄표시영역은 유리구슬과 염료의 이중 성분이 공존하게 된다.
샌드블라스팅층(260)은 인쇄층(25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샌드블라스팅층(260)은 투명필름을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유리구슬층(240) 및 인쇄층(250)의 오염 또는 훼손을 방지하고, 논슬립(non-slip)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샌드블라스팅층(260)은 투명필름 중 인쇄표시영역 외의 영역에 샌드블라스팅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인쇄표시영역에는 샌드블라스팅 처리를 하지 않음으로써 반사율이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샌드블라스팅층(260)의 크기 및 형태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층을 포함하는 광고용 노면시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고용 노면시트(300)는 기재층(310), 점착층(320), 접착층(330), 유리구슬층(340), 인쇄층(350) 및 전자태그층(360)을 포함한다.
기재층(310)은 광고용 노면시트(300)의 중심이 되는 것으로, 섬유재 성분의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재층(310)은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310)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및 형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기재층(3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점착층(320)이 형성되고, 기재층(3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접착층(330)이 형성된다. 기재층(310)의 하부는 점착층(320)에 의해 노면에 부착되며, 기재층(310)의 상부에는 유리구슬층(340) 및 인쇄층(350)이 형성되어 광고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점착층(320)은 기재층(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노면에 점착되는 점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된다. 광고용 노면시트(300)는 노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면에 점착될 수 있는 성분의 물질이 기재층(310)의 하부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310) 중 노면과 맞닿는 면은 이형지에 의해 사용 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층(320)의 형태는 기재층(31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점착층(320)은 기재층(310)의 하부면 중 일부 또는 전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층(330)은 기재층(310)의 상부에 접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된다. 접착층(330)은 후술하는 유리구슬과 염료를 상부에 부착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접착층(330)의 성분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접착층(330)은 유리구슬이 부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330)은 염료가 흡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330)은 유리구슬과 염료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흡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착층(330)의 색상은 투명 또는 흰색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리구슬층(340)은 접착층(330)의 상부에 기 설정된 반사율을 가지는 복수의 유리구슬로 형성된다. 유리구슬의 크기 및 반사율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유리구슬층(340)은 접착층(330)의 상부에 일부 또는 전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유리구슬은 투명색일 수 있으나, 착색된 유리구슬을 사용한 것도 가능하다. 유리구슬층(340)은 인쇄표시영역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리구슬층(340)이 접착층(330)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경우, 인쇄표시영역에 유리구슬의 밀도가 더욱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야간에도 인쇄표시영역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인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유리구슬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홍보하고자하는 광고물의 시각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인쇄층(350)은 접착층(330)의 상부 중 인쇄표시영역으로 염료가 도포되어 인쇄된다. 이 경우, 솔벤트 인쇄 또는 UV 인쇄방식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층(350)은 유색의 염료로 형성되며, 접착층(330)에 흡착될 수 있는 분말의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층(350)은 접착층(330) 중 인쇄표시영역에만 형성되거나, 접착층(330)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쇄층(350)은 접착층(330)의 상부의 인쇄표시영역에 유리구슬이 접착된 경우, 유리구슬 간의 틈새에 염료가 접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인쇄표시영역은 유리구슬과 염료의 이중 성분이 공존하게 된다.
전자태그(360)는 기재층(310)과 접착층(330) 사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전자태그(360)는 RF 태그, NFC 태그를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사용되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태그(360)는 광고용 노면시트(300)의 인쇄표시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 홈페이지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해당 전자태그(360)를 식별할 수 있는 리더 기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태그(36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태그(360)가 비콘(becon) 방식으로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 전자태그(360)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330)의 상부 또는 기재층(310)의 상부에는 인쇄표시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박막형태의 태양전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은 전자태그(360)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광고용 노면시트에 전자태그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용 노면시트(400)는 점착층(420)에 의해 노면에 점착되고, 기재층(410)과 접착층(43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전자태그(46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태그(460)는 광고용 노면시트(400)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전자태그(460)는 인쇄층(450)에 형성된 광고표시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연 구역에서는 흡연을 할 수 없는 구역임을 알리는 내용이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면시트(400) 상에 표시된 인쇄표시 외에도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해당 지역이 주차금지 구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태그(460)는 무전원 방식 또는 전원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태그(460)를 RF 태그 또는 NFC 태그로 구현하는 경우 무전원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전자태그(460)를 비콘(beaco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접착층(430) 또는 인쇄층(450) 상부에 식별표시영역(451)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태양전지로(453)를 형성하여 내부 전선을 통해 전자태그(4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태그(460)는 기 설정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근접한 사용자 단말로 광고내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태그(460)는 주변에 설치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기는 와이파이, 통신 중계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광고용 노면시트에 감온변색 잉크에 의해 표시가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용 노면시트(500)의 기재층 또는 접착층에는 감온변색 잉크가 도포된 감온변색부(501)가 기 설정된 영역에 형성된다. 이는 광고용 노면시트(500)가 노면과 접촉함에 따라 노면의 온도 또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내용을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a)는 주간에 표시되는 광고용 노면시트(500)를 나타내고, (b)는 야간에 표시되는 광고용 노면시트(500)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주차 가능 여부가 달라지는 지역에 감온변색부(501)가 포함된 광고용 노면시트(500)가 노면에 부착된 경우, (a)와 같이 주간에는 광고용 노면시트(500)에 도포된 감온변색 잉크가 현출되지 않고 식별표시영역(503)만 현출되어 주차가 가능한 지역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b)와 같이 야간에는 노면의 온도변화 또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 감온변색부(501)가 변색되어 식별표시영역(503)과 함께 주차금지 표시가 현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온변색부(501)는 기호, 문자, 도형 등으로 현출될 수 있다. 또한, 주간/야간 외에 계절에 따라 변색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광고용 노면시트
110 : 기재층
120 : 점착층
130 : 접착층
140 : 유리구슬층
150 : 인쇄층
200 : 광고용 노면시트
210 : 기재층
220 : 점착층
230 : 접착층
240 : 유리구슬층
250 : 인쇄층
260 : 샌드블라스팅층
300 : 광고용 노면시트
310 : 기재층
320 : 점착층
330 : 접착층
340 : 유리구슬층
350 : 인쇄층
360 : 전자태그
400 : 광고용 노면시트
410 : 기재층
420 : 점착층
430 : 접착층
440 : 유리구슬층
450 : 인쇄층
451 : 식별표시영역
453 : 태양전지
460 : 전자태그
500 : 광고용 노면시트
501 : 감온변색부
502 : 식별표시영역

Claims (5)

  1. 섬유재 성분의 물질로 형성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노면에 점착되는 점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점착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접착성분의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부 중 인쇄표시영역으로 기 설정된 반사율을 가지는 복수의 유리구슬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는 유리구슬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부 중 상기 인쇄표시영역으로 염료가 도포되어 인쇄되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하되, 투명필름을 샌드블라스팅 처리하여 형성되는 샌드블라스팅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기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감온변색 잉크가 기 설정된 영역에 도포되어, 노면에 접촉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인쇄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온도차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식별표시가 표출되고,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상기 인쇄표시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박막형태로 형성되는 태양전지로부터 내부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광고용 노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슬층은,
    상기 인쇄표시영역에는 인쇄표시에 대응하는 색상의 유색 유리구슬이 도포되는 광고용 노면시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16070A 2015-08-18 2015-08-18 광고용 노면시트 KR10179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070A KR101791952B1 (ko) 2015-08-18 2015-08-18 광고용 노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070A KR101791952B1 (ko) 2015-08-18 2015-08-18 광고용 노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45A KR20170021545A (ko) 2017-02-28
KR101791952B1 true KR101791952B1 (ko) 2017-11-20

Family

ID=5854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070A KR101791952B1 (ko) 2015-08-18 2015-08-18 광고용 노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972A (ko) * 2020-12-01 2022-06-08 김현대 칼라 유리구슬을 포함하는 재귀반사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381A (ja) * 1999-10-05 2001-04-20 Keiwa Inc 床面添付用印刷シート
JP2009048026A (ja) * 2007-08-21 2009-03-05 Oji Paper Co Ltd 表示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381A (ja) * 1999-10-05 2001-04-20 Keiwa Inc 床面添付用印刷シート
JP2009048026A (ja) * 2007-08-21 2009-03-05 Oji Paper Co Ltd 表示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45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9845B (zh) 具有断开部分的自层叠转动电缆标识标签
US10068499B2 (en) Label
EP1321815A3 (en) Quintessential pictorial label and its production
US10706341B2 (en) Piece of baggage
US20160209559A1 (en) Pavement marking tape incorporating advanced materials for improved visibility
JP2010525465A5 (ko)
KR101791952B1 (ko) 광고용 노면시트
US20050031820A1 (en) Information-bearing pavement tape
US20090186759A1 (en) Thermochromic material
CA3001457C (en) Document cover for motor vehicle affixment
JP3560337B2 (ja) タグ及びタグ付き容器
JP7116431B2 (ja) 表示装置、その表示装置の製造方法、表示システム
EP4094241A1 (en) Aerospace warning tags
CN108292480A (zh) 自粘标签和rfid嵌体
KR20200140217A (ko) 부품 식별 표시 구조의 부품 대차 커버
KR101389794B1 (ko) 결로방지 표지판
KR101340216B1 (ko) 래핑 반사 시트
KR101416621B1 (ko) 컨트롤러 내장형 무선송수신 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led 표지판 시스템
KR100881178B1 (ko) 4원색 인쇄 및 식별이 용이한 재귀반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3108A (ko) 광고용 바닥 패드
JP3191781U (ja) 保安用コーン
CN205487109U (zh) 一种多功能商品标签
KR20170057627A (ko) 발광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7388A (ko) 주의표시필름이 보호되는 도로주의표지판
KR200478604Y1 (ko) 열접착 점자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