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806A -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806A
KR20220076806A KR1020200165661A KR20200165661A KR20220076806A KR 20220076806 A KR20220076806 A KR 20220076806A KR 1020200165661 A KR1020200165661 A KR 1020200165661A KR 20200165661 A KR20200165661 A KR 20200165661A KR 20220076806 A KR20220076806 A KR 2022007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leg
leg portion
leg pa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806A/ko
Priority to PCT/KR2021/017977 priority patent/WO2022119305A1/ko
Priority to US18/039,541 priority patent/US20230417576A1/en
Publication of KR2022007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05Geometrical arrangement of magnetic sensor elements; Apparatus combining different magnetic sensor ty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38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 G01R33/0385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in relation with magnetic forc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콜렉터; 및 상기 콜렉터에 배치되는 제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제1 레그부, 제2 레그부 및 제3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제1 극 및 제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1 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레그부는 상기 제2 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싱 장치{APPARATUS FOR SENSING}
실시예는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스티어링 구조는 입력축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차량의 바퀴로 전달하는 랙 바(Rack bar)를 포함한다. 그리고, 랙 바의 위치를 검출하여 조향각을 측정하는 센싱 장치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는 랙 바에 장착된 마그넷, 마그넷이 통과하는 튜브 및 튜브에 권선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코일과 마그넷 사이의 유도 자계를 통하여 랙 바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구성품의 개수가 많아 제조 단가가 높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품을 간소화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한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콜렉터; 및 상기 콜렉터에 배치되는 제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제1 레그부, 제2 레그부 및 제3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제1 극 및 제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1 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레그부는 상기 제2 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센서의 자기장을 수집하기 위한 콜렉터를 공용화하여, 센싱 장치의 구성품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가 차량 스티어링 구조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제3 레그부와 마그넷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에서 마그넷이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에서 마그넷에 의한 자기장의 흐름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외부 자기장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자속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외부 자기장이 유입된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자속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가 차량 스티어링 구조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100)는 차량의 스티어링 구조(2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100)는 선형 운동을 하는 구조체의 변위를 측정하는데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싱 장치(100)는 마그넷(110), 콜렉터(120), 제1 센서(130) 및 제2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스티어링 구조(20)는 구동부재(21) 및 고정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21)는 선형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2)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재(21)와 고정부재(22)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구동부재(21)는 랙 바(Rack bar)로 예시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22)는 랙 바의 일측을 감싸는 랙 하우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구동부재(21)는 마그넷(110)과 결합되고, 고정부재(22)는 콜렉터(120), 제1 센서(130) 및 제2 센서(140)와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110)은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마그넷(110)은 제1 극(111)과 제2 극(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극(111)은 S극 일수 있다. 그리고 제2 극(112)은 N극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극(111)은 N극 이고, 제2 극(112)이 S극 일 수도 있다.
마그넷(110)은 구동부재(21)와 함께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110)의 이동 방향은 제1 극(111)과 제2 극(112)의 배열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극(111)과 제2 극(112)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가정하고, 마그넷(11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가정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고 가정한다.
콜렉터(120)는 마그넷(110)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콜렉터(120)는 갭(120G)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110)은 갭(120G)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마그넷(110)은 갭(120G)을 이동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콜렉터(120)는 마그넷(1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콜렉터(120)는 제1 레그부(121), 제2 레그부(122) 및 제3 레그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30) 및 제2 센서(140)는 콜렉터(120)에서 수집된 자기장의 세기, 즉 자속밀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130)와 제2 센서(140)는 콜렉터(120)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자속밀도와 상기 콜렉터(120)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자속밀도의 차이를 통해 마그넷(1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30)와 제2 센서(140)는 마그넷을 기준으로 서로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30)와 제2 센서(140)는 콜렉터(12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그넷(110)은 제1 파트(P1)와 제2 파트(P2)로 편의상 구분될 수 있다. 제1 파트(P1)와 제2 파트(P2)는 제3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파트(P1)와 제2 파트(P2)는 같은 크기일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1 파트(P1)와 제2 파트(P2)는 일체일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P1)는 상단부라고 가정하고, 제2 파트(P2)는 하단부라고 가정할 수 있다.
콜렉터(120)는 제1 레그부(121), 제2 레그부(122) 및 제3 레그부(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부(121)는 제1 파트(P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그부(122)는 제2 파트(P2)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레그부(123A)는 일측이 제1 레그부(121)와 마주하고, 타측이 제2 레그부(122)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레그부(121)와 제2 레그부(122)는 제3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레그부(121)와 제2 레그부(122)는 꼬인 위치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레그부(121)와 제2 레그부(122)의 최단 거리(D1)는 마그넷(110)의 길이(
Figure pat00001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110)의 길이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된 마그넷(110)의 양단 사이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3 레그부(123A)는 제2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레그부(121)와 제3 레그부(123A)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A)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110)은 일부분은 제1 레그부(121)와 제2 레그부(122)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있다. 이때, 제1 레그부(121)는 제2 방향의 일측으로 갈수록 마그넷(110)과 멀어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그부(122)는 제2 방향의 일측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마그넷(110)과 멀어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레그부(123A)는 제2 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마그넷(110)과의 거리가 일정할 수 있다.
제1 레그부(121)와 제3 레그부(123A) 사이의 거리(D2)는 마그넷(110)의 폭(
Figure pat00002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110) 폭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마그넷(110) 양단 사이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때, 제1 레그부(121)와 제3 레그부(123A) 사이의 거리(D2)는 제2 방향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A) 사이의 거리(D3)는 마그넷(110)의 폭(
Figure pat00003
보다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A) 사이의 거리(D3)는 제2 방향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1 레그부(121)와 제2 레그부(122)는 제1 극(1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레그부(123A)는 제2 극(112)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30)는 제1 레그부(121)와 제3 레그부(123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30)는 제3 레그부(123A)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140)는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40)는 제2 레그부(122)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장치에서 마그넷(110)의 위치는 제1 레그부(121)와 제3 레그부(123A)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마그넷(110)의 위치와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A)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마그넷(110)의 위치의 차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복수 센서의 자기장을 수집하는 콜렉터를 공용화할 수 있다. 이에, 구성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3 레그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3에서 나타낸 센싱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레그부(123B)는 제1 레그부(121) 및 제2 레그부(122)와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레그부의 두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된 레그부의 양단 사이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3 레그부(123B)의 두께는 제1 레그부(121) 및 제2 레그부(122)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레그부(123B)의 두께(
Figure pat00004
)는 제1 레그부(121)와 제2 레그부(122) 사이의 최단 거리(D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3 레그부(123B)는 제2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b)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설명한 제3 레그부(123B)의 경사각(∠b)은 도 3에서 설명한 제3 레그부(123A)의 경사각(∠a)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된 것과는 상이하지만, 제3 레그부(123B)의 두께(
Figure pat00005
)는 제1 레그부(121)와 제2 레그부(122) 사이 최단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3 레그부(123B)는 제2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제3 레그부와 마그넷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3 레그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3에서 나타낸 센싱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레그부(123C)는 제1 파트(1231), 제2 파트(1232) 및 제3 파트(1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231), 제2 파트(1232) 및 제3 파트(1233)는 일체일 수 있다. 제1 파트(1231), 제2 파트(1232) 및 제3 파트(1233)는 하나의 막대 부재가 절곡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1231)는 제1 레그부(121)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1231)는 제1 레그부(121)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1231)는 제1 레그부(121)의 사이에는 제1 센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30)는 제1 파트(1231) 및 제1 레그부(121)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트(1232)는 제2 레그부(122)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1232)는 제2 레그부(12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파트(1232)는 제2 레그부(122)의 사이에는 제2 센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140)는 제2 파트(1232) 및 제2 레그부(12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트(1233)는 제1 파트(1231)와 제2 파트(1232)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파트(1233)의 일단은 제1 파트(1231)에서 연장되고, 타단은 제2 파트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3 파트(1233)는 제3 레그부(123C)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파트(1233)의 제2 방향 길이는 마그넷(110)의 이동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트(1233)의 제2 방향 길이는 제3 파트(1233)의 두께(T3)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3 파트(1233)의 두께는 제3 방향으로 배치된 제3 파트(1233)의 양단 사이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때, 제3 파트(1233)는 제2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c)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제3 파트(1233)의 경사각(∠c)은 도 3에서 나타낸 센싱 장치의 제3 레그부(123A)의 경사각(∠a)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3 파트 제3 파트(1233)의 제2 방향 길이는 제3 파트(1233)의 두께(T3)와 같을 수도 있다. 이때, 제3 파트(1233)는 제2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에서 마그넷이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그넷(110)은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한다. 이때, 마그넷(110)은 제1 센서(130)와 제2 센서(140)의 중간 지점(C)을 초기 위치로 하여 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š, 마그넷(110)의 위치는 제1 레그부(121)와 제3 레그부(123)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마그넷의 위치와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마그넷의 위치 차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마그넷(110)은 제1 위치(S1)와 제2 위치(S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S1)와 제2 위치(S2)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 위치(S1)는 제1 센서(130)와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위치(S1)는 제1 센서(130)와 제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다. 그리고, 제2 위치(S2)는 제2 센서(140)와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제2 위치(S2)는 제2 센서(140)와 제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다. 이때, 초기 위치에서 제1 위치(S1)로 갈수록 제1 레그부(121)와 제3 레그부(123) 사이의 거리는 작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위치(S1)에서 제2 위치(S2)로 갈수록 제2 레그부(122)와 제3 레그부(123) 사이의 거리는 작아질 수 있다.
제1 위치(S1)에서 마그넷(110)의 제1 지점과 제3 레그부(123)와 최단 거리를 갖는다. 이때, 마그넷(110)의 제1 지점과 제3 레그부(123)는 제1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그리고, 제2 위치(S2)에서 마그넷(110)의 제2 지점은 제3 레그부(123)와 최단 거리를 갖는다. 이때, 마그넷(110)의 제2 지점과 제3 레그부(123)는 제2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이때, 제1 거리와 제2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점과 제2 지점은 상이할 수 있다. 즉, 마그넷(110)의 제2 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마그넷(110)과 제3 레그부(123)의 최단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제2 방향 위치에 따라 제3 레그부(123)와 최단 거리를 이루는 마그넷(110)의 지점은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에서 마그넷에 의한 자기장의 흐름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장치는 마그넷(110)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의 자기장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때, 콜렉터(120)에는 제1 자기장(M1)과 제2 자기장(M2)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자기장(M1)은 마그넷(110)의 위치에서 제1 레그부(121)를 따라 제1 센서(130) 측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기장(M1) 제1 센서(130)를 지나 제3 레그부(12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자기장(M1)은 제3 레그부(123)의 따라 이동되어 마그넷(110)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자기장(M2)은 마그넷(110)의 위치에서 제2 레그부(122)를 따라 제2 센서(140) 측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자기장(M2)은 제2 센서(140)를 지나 제3 레그부(12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자기장(M2)은 제3 레그부(123)를 따라 이동되어 마그넷(110)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자기장(M1)과 제2 자기장(M2)은 마그넷(110)의 위치를 기점으로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 11은 외부 자기장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자속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외부 자기장이 유입된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자속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 상에서 세로축은 자속 밀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마그넷의 제1 방향 변위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콜렉터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자속 밀도를 제1 플럭스(F1)로 표시하고, 제2 콜렉터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자속 밀도를 제2 플럭스(F2)로 표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마그넷의 변위에 따라 제1 플럭스(F1)의 자속 밀도가 변화하고, 제1 플럭스(F2)의 변화값에 반비례하여 제2 플럭스(F2)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제1 플럭스(F1)와 제2 플럭스(F2)는 마그넷 변위 0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곡선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제1 플럭스(F1)와 제2 플럭스(F2)의 차(F1-F2)는 마그넷의 변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외부 자기장이 유입됨에 따라 제1 플럭스(F1)와 제2 플럭스(F2)가 모두 오프셋(Off-set)되지만, 제1 플럭스(F1)와 제2 플럭스(F2)의 차(F1-F2)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외부 자기장이 가해져도 자속의 선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속의 선형성을 개선하여 마그넷 변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는 차량 스티러링 구조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형 가변 변위 변환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로서, 건설, 시설 관리, 가전제품, 유압식 기계, 측정 시스템, 항공 기계, 의료 기기, 생산 공장, 점검 및 테스트 시스템, 기계 장치 등 다양한 적용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다.
10: 센서 장치
20: 차량 스티어링 구조
21: 구동부재
22: 고정부재
110: 마그넷
120: 콜렉터
130: 제1 센서
140: 제2 센서

Claims (10)

  1. 마그넷;
    상기 마그넷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콜렉터; 및
    상기 콜렉터에 배치되는 제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제1 레그부, 제2 레그부 및 제3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제1 극 및 제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1 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레그부는 상기 제2 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센싱 장치.
  2. 마그넷;
    상기 마그넷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콜렉터;
    상기 콜렉터에 배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마그넷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센서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제1 레그부, 제2 레그부 및 제3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레그부와 상기 제3 레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3.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이 이동하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제1 레그부, 제2 레그부 및 제3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그부는 상기 마그넷의 상단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마그넷의 하단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레그부는 일측이 상기 제1 레그부와 마주하며 타측이 상기 제2 레그부와 마주하고,
    상기 마그넷의 위치는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3 레그부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상기 마그넷의 위치와 상기 제2 레그부와 상기 제3 레그부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상기 마그넷의 위치의 차이를 통해 결정되는 센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2 레그부는 꼬인 위치를 이루는 센싱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부와 상기 제3 레그부의 사이 간격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그부와 상기 제3 레그부의 사이 간격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센싱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그부는 상기 마그넷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3 경사 영역을 포함하는 센싱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그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레그부 및 제2 레그부의 두께보다 큰 센싱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부는 초기 위치에서 이동할수록 상기 마그넷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초기 위치에서 이동할수록 상기 마그넷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센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그부와 상기 마그넷은 제1 위치에서 제1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3 레그부와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 위치와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제2 거리를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는 동일한 센싱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그부는
    상기 제1 레그부와 마주하는 제1 파트;
    상기 제2 레그부와 마주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연결하는 제3 파트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KR1020200165661A 2020-12-01 2020-12-01 센싱 장치 KR20220076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61A KR20220076806A (ko) 2020-12-01 2020-12-01 센싱 장치
PCT/KR2021/017977 WO2022119305A1 (ko) 2020-12-01 2021-12-01 센싱 장치
US18/039,541 US20230417576A1 (en) 2020-12-01 2021-12-01 Sen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61A KR20220076806A (ko) 2020-12-01 2020-12-01 센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06A true KR20220076806A (ko) 2022-06-08

Family

ID=8198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661A KR20220076806A (ko) 2020-12-01 2020-12-01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8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3560B (zh) 具有场方向测量和磁通量收集器的磁位置传感器
JP4824023B2 (ja) 磁気式位置センサ
EP1252478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an electric machine, and a position sensor
EP0552001A1 (en) A sensor
US7061231B2 (en) Device for measuring displacement including a displacement sensor with a detection coil and excitation coils
JP3666441B2 (ja) 位置検出装置
KR20220076806A (ko) 센싱 장치
US20230417576A1 (en) Sensing device
JP5374741B2 (ja) 多重冗長型リニアセンサ
JP5151958B2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回転直動モータ
US11774229B2 (en) Eddy current sensor device for measuring a linear displacement
KR20220023179A (ko) 센싱 장치
JP4692723B2 (ja) 非接触型変位センサ装置
KR101402331B1 (ko) 전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한 선형변위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가동물체의 선형변위 측정시스템
US20230266150A1 (en) Sensing device
JP5374739B2 (ja) リニアセンサ
CN116529554A (zh) 感测装置
KR20220051621A (ko) 센싱 장치
JP6145467B2 (ja) 位置検出装置
JP4924825B2 (ja) 電磁誘導式リニアスケール
EP4220091A1 (en) Long-stroke linear position sensor
JPS61292014A (ja) 位置検出器
Poltschak et al. Non-contact position sensing of five axes for linear motor systems
JP3406889B2 (ja) 距離測定装置
US11221235B2 (en) Position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