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795A -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795A
KR20220076795A KR1020200165644A KR20200165644A KR20220076795A KR 20220076795 A KR20220076795 A KR 20220076795A KR 1020200165644 A KR1020200165644 A KR 1020200165644A KR 20200165644 A KR20200165644 A KR 20200165644A KR 20220076795 A KR20220076795 A KR 20220076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type battery
sealing
unit
electrod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최용수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6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795A/ko
Priority to JP2022558201A priority patent/JP2023519321A/ja
Priority to US17/926,266 priority patent/US20230207935A1/en
Priority to EP21900914.9A priority patent/EP4135107A1/en
Priority to PCT/KR2021/017416 priority patent/WO2022119226A1/ko
Priority to CN202180035815.1A priority patent/CN115668601A/zh
Publication of KR2022007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61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 B29C65/7864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using a feeding table which moves to and fr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B29C65/8253Testing the joint by the use of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visual examin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r X-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1Single flang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and flanged in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9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said hollow-preforms being interconnected during their moulding process, e.g. by a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 B29C66/723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consisting of metals or thei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cavity, e.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65Independently movable welding apparatus, e.g.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6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61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p between the join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31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with special measurement mean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파우치형전지를 제조할 때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전지 케이스의 외주변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실링 전 전극리드 및 리드필름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의 실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Pouch-type secondary battery sealing device comprising a position adjustment part and sealing method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원발명은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파우치형전지를 제조할 때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전지 케이스의 외주변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리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의 실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와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높은 에너지 밀도와 높은 방전 전압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리튬 이차전지는 형상 및 소재에 따라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원통형 이차전지 또는 각형 이차전지;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전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파우치형전지는 높은 집적도로 적층되어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제조 비용이 낮고 형태 변형이 용이한 장점 때문에 다양한 디바이스에 사용되고 있다.
파우치형전지는 통상적으로 외부 피복층, 금속 차단층, 및 내부 접착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성형하여 전지케이스로 사용한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형성된 수납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내장하고 실링하여 파우치형전지를 제조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형전지는 파우치형 하부(11)와 상부(12)로 구성된 전지케이스(10)의 수납부(13)에 전극조립체(20)가 내장된다. 전극조립체(20)는 양극과 음극 탭들(21, 22)이 두 개의 전극리드(31, 32)에 각각 용접되어 전지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전극리드(31, 32)의 상부와 하부에는 한 쌍의 절연 필름(41, 42)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케이스(10) 외주변을 실링한다.
케이스(10)의 외주변은 길이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실링 툴에 의해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내부 접착층이 가열 용융 및 압착되면서 실링이 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100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1000) 중 위치조절부(1200)의 상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1000)는 상부실링블럭(1110) 및 하부실링블럭(1120)를 포함하는 실링블럭(1100), 파우치형전지(50)가 상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링블럭(1100)에 대한 상기 파우치형전지(50)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절부(1200), 및 상기 위치조절부(1200) 전체의 이동을 돕는 배송부(1300)를 포함한다. 배송부(1300)는 베이스(1400) 상에 위치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1000)는 상기 위치조절부(1200) 상부 또는 내부에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배치시킨다.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정확하게 실링하기 위해 상기 파우치형전지(50)의 위치를 위치측정부(1220)를 사용하여 위치를 정할 뿐만 아니라 그 변이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위치측정부(1220)는 가로의 변이를 측정하는 자(1222), 세로의 변이를 측정하는 자(1224)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우치형전지(50)의 위치를 조정한다는 것은 결국 파우치형전지(50)의 전극리드(31, 32) 및 절연필름(41, 42)의 x, y, z축, 바람직하게는 상하를 제외한 좌우인 x, y축의 위치를 조절하여 실링블럭(11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도 3에서 파우치형전지(50)의 전지케이스(10)의 빗금친 부분은 실링이 될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좌, 우측 실링부는 전지케이스(10)가 서로 접하는 부분을 실링하므로 위치에 대한 세부 조정이 필요 없거나 크게 중요하지 않다. 반면에 상부의 전극리드(31, 32) 및 절연필름(41, 42)이 위치하는 부분은 위치에 따른 실링 차이가 크다. 실링블럭에 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도 5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극리드(31, 32)와 절연필름(41, 42)의 돌출된 부분에 대한 실링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에서는 실링블럭(1100)의 상부실링블럭(1110) 및 하부실링블럭(1120)에 홈을 마련하였다. 실링블럭(1100)에는 전극리드(31, 32)와 절연필름(41, 42)에 대응하는 제1홈(1112, 1122) 및 제2홈(1114, 1124)이 마련된다.
전극리드(31, 32) 및 절연필름(41, 42)의 x, y, z축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홈(1112, 1122) 및 제2홈(1114, 1124)에 대한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파우치형전지(50)를 실링블럭(1100) 내에 위치한 후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서 쉽지 않은바, 상기 위치 조정은 별도의 위치조절부(1200) 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조절부(1200) 전체를 배송부(1300)에 의해서 평형 이동한다. 위치를 조절한 상기 파우치형전지(50)는 배송부(1300)에 의해 실링블럭(11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배송부(1300)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이송하거나 상기 실링블럭(1100)에 의해 실링될 때 상기 파우치형전지(5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파우치형전지(50)의 측면 및 상면은 고정부(1260)에 의해서 고정된다. 도 3에서 예시로 도시하고 있는 고정부(1260)는 측면을 고정하는 측벽(1262, 1264)과 상면을 고정하는 가압부재(1266)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1000)의 경우 파우치형전지(5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 있어서, 원하는 거리만큼 정확하게 이동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동한 변위 또한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파우치형전지 중 특히 리드 부분은 금속 소재와 그 두께로 인해서 항상 실링이 문제가 되었다. 리드의 위치, 리드의 종류에 따른 실링 강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서 공정 조건이 변경될 때마다 작업자가 기존의 경험 등의 부정확한 기준에 의해서 리드의 위치와 이에 대한 공차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들을 측정하기 위해서 자(1222, 1224)를 사용하여 변이를 측정한바, 이 또한 정밀도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많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와 같이 전해액 누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단차부를 포함하는 실링장치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위치에 상기 파우치형전지의 전극리드를 배치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더 높다. 특허문헌 1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이 결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전지셀을 동일하게 체결하기 위한 가압 지그 제어 유닛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제어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파우치형전지를 모든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단이 없다.
전극리드(31, 32) 및 절연필름(41, 42)과 상기 실링블럭(110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실링 강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수 마이크로미터의 변이에도 실링 강도가 크게 변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전극리드(31, 32) 및 절연필름(41, 42)을 배치해야 하며, 아울러 공정에서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실링 강도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금속 차단층 금속의 종류 및 두께, 라미네이트 시트 내부 접착층의 두께 및 접착 성분, 전극리드 금속의 종류 및 두께, 절연필름의 두께 및 성분, 홀더와 실링블럭의 온도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리드(31, 32) 및 절연필름(41, 42)의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근에는 고용량화로 전극 조립체 자체의 두께 및 이에 따른 탭의 두께도 증가하여 정밀한 실링이 더욱 더 필요한 실정이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다양한 변수에 따른 불량률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상기 전극리드(31, 32) 및 절연 필름(41, 42)의 위치에 따른 실링 결과를 파악하고자 본원발명을 도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8931호 (2016.10.12)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53783호 (2020.05.19) ('특허문헌 2')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우치형전지를 제조할 때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전지 케이스의 외주변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파우치형전지의 전극리드 및 절연필름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고 이에 따른 실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전극리드 단면의 두께 및 폭에 대응되는 실링홈을 포함하는 실링블럭; 및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리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1)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 전체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1위치측정부;를 포함하거나,
2) 상기 전극리드의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상기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에 상기 전극리드를 맞추고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이동부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2위치측정부;를 포함하거나,
3)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3이동부; 상기 제3이동부의 상기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에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맞추고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는 제3고정부; 및 상기 제3이동부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3위치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 제2이동부, 제3이동부는 xyz 직표좌표를 기준으로 각 x, y, z축으로 이동시키는 가로이동부, 세로이동부, 높이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측정부, 제2위치측정부, 제3위치측정부는 상기 전지케이스 고정부의 x, y, z축 이동 변이를 각 측정하는 가로측정부, 세로측정부, 높이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높이가 고정되어, 상기 높이이동부 및 상기 높이측정부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 제2이동부, 제3이동부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작동되거나,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위치측정부, 제2위치측정부, 제3위치측정부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또는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 제2고정부, 제3고정부는,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을 지지하는 격벽; 및/또는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가 놓여있는 상태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은 상부실링블럭 및 하부실링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홈은 상부실링블럭 및 하부실링블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실링홈은 절연필름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홈 및 절연필름 및 전극리드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2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실링홈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전극리드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위치조절부 전체가 이동하여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하는 부분을 상기 실링블럭 사이로 배치할 수 있는 배송부가 부가된다.
한편, 본원발명은 또한 (S1)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상기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배치하는 단계; (S2) 상기 위치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 및 절연필름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S3)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2) 단계는 상기 위치조절부 내에서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리드 및 절연필름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며, 상기 (S3) 단계는 상기 위치조절부에 고정된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상기 실링블럭으로 이동시킨 후 수행된다. 또한, 상기 (S3) 단계 이후 (S4) 실링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밀봉력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전극리드와 절연필름이 접착할 때 빈 공간에 접착제가 채워진 길이를 확인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S4) 단계는 육안 또는 레이저와 같은 투과광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조합할 수 있는 가능한 조합으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파우치형전지를 제조할 때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전지 케이스의 외주변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극리드와 절연필름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고 이에 따른 실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위치조절부에 의해서 전극리드와 절연필름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이의 변이를 관측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고 일정한 실링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일관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부는 전극리드의 위치를 조절할 뿐 아니라 상기 전극리드의 위치에 따른 실링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서 파우치형전지 실링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중 위치조절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중 위치조절부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중 위치조절부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중 위치조절부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중 위치조절부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실링블럭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형전지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형전지의 사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 및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이동된 파우치형전지의 치우침 오차 그래프이다.
도 12는 종래기술 및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형전지의 PP충전길이 오차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이하,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명세서에서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의 실링장치 중 실링블럭 및 배송부는 본원발명의 명세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1000)의 실링블럭(1100) 및 배송부(1300)와 동일하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2000) 중 위치조절부(2200)의 상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2000) 중 위치조절부(2200)는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2260); 상기 제1고정부(2260) 전체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2240); 및 상기 제1이동부(2240)의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1위치측정부(222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과 달리 전극조립체(20)의 일면에 1개의 전극탭(21), 절연필름(41), 전극리드(31)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로 다른 전극을 생략한 것이다. 전극조립체(20)의 일면에 양극 및 음극에 해당하는 2개 이상의 전극탭, 절연필름, 전극리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일면 및 타면에 각각 1개 이상의 전극탭, 절연필름, 전극리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모든 경우 각각의 전극탭, 절연필름, 전극리드가 동시에 실링이 되거나, 개별적으로 실링이 될 수있음은 자명하나, 바람직하게는 일면에 있는 전극탭, 절연필름, 전극리드는 동시에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실링을 하기 전 전극조립체에 배치된 전극탭, 절연필름, 전극리드는 상기 전극조립체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것이므로 다수의 전극탭, 절연필름, 전극리드 중 하나의 위치만을 조정함으로써 다른 전극탭, 절연필름, 전극리드 또한 실링블럭에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위치조절부(2200)의 상면은 평면의 면 형태로서 상면에 또 다른 평면의 제1고정부(2260)가 배치된다. 제1고정부(2260)에는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한 3개의 측벽(2262)과 클램프(2264)가 있으며, 이들을 통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한다. 위치조절부(2200) 및 제1고정부(2260)에는 향후 실링을 위한 실링블럭(1100)이 가압할 수 있도록 관통구인 가압홀(2268)이 마련되어 있다. 제1고정부(2260)에 마련된 가압홀(2268)은 고정된 크기의 구멍이지만, 위치조절부(2200)에 마련된 관통구는 그 크기가 가압홀(2268)보다 크다. 제1고정부(2260)의 위치가 움직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가압홀(2268)보다 큰 관통구가 필요하다.
도 4에는 전극리드(31)를 고정하는 클램프(2264)만을 도시하였지만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도면 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그 형태와 재질은 무관하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재는 자석으로 되어 있어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제1고정부(226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260) 전체는 상기 제1이동부(2240)에 의해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이동부(2240)는 2개의 이동조절나사(2242, 2244)를 포함한다. 2개의 이동조절나사(2244, 2242)는 상기 제1고정부(2260)를 각각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2개의 이동조절나사(2242, 2244)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는 스탭모터 등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동조절나사(2242, 2244) 자체는 고정축(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위치조절부(2200)에 고정되고, 제1고정부(2260)에 마련된 나사 홈과 결합하여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제1고정부(2260)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2000)는 0.01㎛ 단위로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2240)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1위치측정부(2220)는 x축의 변이와 y축의 변이를 측정하는 2개의 마이크로미터(2222, 2224)를 포함한다. 도 4에는 제1고정부(2260)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2266, 도 4에는 1개만 도면 번호 표시)와 상기 2개의 마이크로미터(2222, 2224)의 탐침부(2266, 도 5에는 1개만 도면 번호 표시)가 접하고 이를 통해서 상기 제1이동부(2240)에 의한 제1고정부(2260)의 이동변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예시로 마이크로미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른 정밀한 레이저 거리측정기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제1이동부(2240), 제1위치측정부(2220)이 x축 및 y축만을 이동하고 이들에 따른 변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확장하여 z축을 이동하고 이들에 따른 변이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실링블럭(1100)의 상부실링블럭(1110)과 하부실링블럭(1120)이 대칭인 형태이므로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미리 이들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z축의 이동과 변이를 측정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3000) 중 위치조절부(3200)의 상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3000) 중 위치조절부(3200)는 상기 전극리드(31)의 가로 격벽(3246) 및 세로 격벽(3248)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이동부(3240); 상기 제2이동부(3240)의 상기 가로 격벽(3246) 및 세로 격벽(3248)에 상기 전극리드(31)를 맞추고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할 수 있는 제2고정부(3260); 및 상기 제2이동부(3240)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2위치측정부(322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조절부(3200)의 상면은 평면의 면 형태이다. 제2고정부(3260)에는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한 3개의 측벽(3262)과 클램프(3264)가 있으며, 이들을 통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한다. 먼저 제2이동부(3240)에 의해서 상기 전극리드(31)의 가로 격벽(3246) 및 세로 격벽(3248)의 위치를 결정하고, 여기에 상기 전극리드(31)를 맞추고 이에 따라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상기 제2고정부(326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A는 상기 제2이동부(3240)에 의해서 이동하는 가로 격벽(3246) 및 세로 격벽(3248)의 확대도이다.
상기 위치조절부(3200)에는 향후 실링을 위한 실링블럭(1100)이 가압할 수 있도록 관통구인 가압홀(326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3200)에 마련된 가압홀(3268)은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가 이동하므로 그에 따라 다소 크게 그 크기를 설정한다.
도 5에는 전극리드(31)를 고정하는 클램프(3264)만을 도시하였지만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도면 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그 형태와 재질은 무관하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재는 자석으로 되어 있어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위치조절부(32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3240)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이동부(3240)는 2개의 이동조절나사(3242, 3244)를 포함한다. 2개의 이동조절나사(3242, 3244)는 상기 가로 격벽(3246) 및 상기 세로 격벽(3248)을 각각 y축 및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2개의 이동조절나사(3242, 3244)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는 스탭모터 등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동조절나사(3242, 3244) 자체는 고정축(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위치조절부(3200)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 격벽(3246) 및 상기 세로 격벽(3248)을 포함하는 제2이동부(3240)에 마련된 나사 홈과 결합하여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로 격벽(3246) 및 상기 세로 격벽(3248)을 y축 및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3000)는 0.01㎛ 단위로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3240)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2위치측정부(3220)는 x축의 변이와 y축의 변이를 측정하는 2개의 마이크로미터(3222, 3224)를 포함한다. 도 5에는 제2이동부(3240)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3266, 도 5에는 1개만 도면 번호 표시)와 상기 2개의 마이크로미터(3222, 3224)의 탐침부(3226, 도 5에는 1개만 도면 번호 표시)가 접하고 이를 통해서 상기 제2이동부(3240)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예시로 마이크로미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른 정밀한 레이저 거리측정기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제2이동부(3240), 제2위치측정부(3220)이 x축 및 y축만을 이동하고 이들에 따른 변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확장하여 z축을 이동하고 이들에 따른 변이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실링블럭(1100)의 상부실링블럭(1110)과 하부실링블럭(1120)이 대칭인 형태이므로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미리 이들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z축의 이동과 변이를 측정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4000) 중 위치조절부(4200)의 상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4000) 중 위치조절부(3200)는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의 가로 격벽(4246) 및 세로 격벽(4248)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3이동부(4240); 상기 제3이동부(4240)의 상기 가로 격벽(4246) 및 세로 격벽(4248)에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맞추고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할 수 있는 제3고정부(4260); 및 상기 제3이동부(4240)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3위치측정부(422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부(4200)의 상면은 평면의 면 형태이다. 제3고정부(4260)에는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한 1개의 측벽(4262)과 클램프(4264)가 있으며, 이들을 통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한다. 먼저 제3이동부(4240)에 의해서 상기 전극리드(31)의 가로 격벽(4246) 및 세로 격벽(4248)의 위치를 결정하고, 여기에 상기 전지케이스(10)를 맞추고 이후에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상기 제3고정부(426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위치조절부(4200)에는 향후 실링을 위한 실링블럭(1100)이 가압할 수 있도록 관통구인 가압홀(426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4200)에 마련된 가압홀(4268)은 상기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가 이동하므로 그에 따라 다소 크게 그 크기를 설정한다.
도 6에는 전극리드(31)를 고정하는 클램프(4264)만을 도시하였지만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도면 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그 형태와 재질은 무관하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재는 자석으로 되어 있어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위치조절부(42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동부(4240)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3이동부(4240)는 2개의 이동조절나사(4242, 4244)를 포함한다. 2개의 이동조절나사(4242, 4244)는 상기 가로 격벽(4246) 및 상기 세로 격벽(4248)을 각각 y축 및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2개의 이동조절나사(4242, 4244)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는 스탭모터 등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동조절나사(4242, 4244) 자체는 고정축(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위치조절부(4200)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 격벽(4246) 및 상기 세로 격벽(4248)을 포함하는 제3이동부(4240)에 마련된 나사 홈과 결합하여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로 격벽(4246) 및 상기 세로 격벽(4248)을 y축 및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4000)는 0.01㎛ 단위로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동부(4240)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3위치측정부(4220)는 x축의 변이와 y축의 변이를 측정하는 2개의 마이크로미터(4222, 4224)를 포함한다. 도 6에는 제3이동부(4240)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4266, 도 6에는 1개만 도면 번호 표시)와 상기 2개의 마이크로미터(4222, 4224)의 탐침부(4226, 도 6에는 1개만 도면 번호 표시)가 접하고 이를 통해서 상기 제3이동부(4240)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는 하나의 예시로 마이크로미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다른 정밀한 레이저 거리측정기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도 6에서는 제3이동부(4240), 제3위치측정부(4220)이 x축 및 y축만을 이동하고 이들에 따른 변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확장하여 z축을 이동하고 이들에 따른 변이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실링블럭(1100)의 상부실링블럭(1110)과 하부실링블럭(1120)이 대칭인 형태이므로 전극리드(31)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미리 이들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z축의 이동과 변이를 측정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가 상기 실링블럭(1100) 아래에 위치해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를 별도의 장소에 둔 후 상기 실링블럭(1100)에 이동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실링장치(2000, 3000, 4000)는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를 상기 실링블럭(1100) 아래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 전체를 상기 실링블럭(1100)에 배치시키는 배송부(1300)가 부가된다.
상기 배송부(1300)는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의 양 측면에 레일을 배치하고, 상기 레일에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를 두어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중 위치조절부(2200)이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좌, 우측의 a), b)는 각각 이동 전과 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실링블럭(1100)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형전지의 상면도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실링블럭(1100)은 도 8과 같이 상부실링블럭(1110) 및 하부실링블럭(11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실링블럭(1110) 및 하부실링블럭(1120) 중 적어도 하나에 실링홈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부실링블럭(1110)과 상기 하부실링블럭(1120)은 서로 대칭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실링홈은 상기 상부실링블럭(1110)과 하부실링블럭(1120)이 서로 접하는 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홈은 상기 상부실링블럭(1110)과 상기 하부실링블럭(1120)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실링홈은 상기 도 8과 같이 절연필름(41/42)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홈(1114, 1124) 및 상기 절연필름(41/42) 및 전극리드(31/32)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2홈(1112, 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홈(1114, 1124)과 상기 평면 사이 및 제1홈(1114, 1124)과 상기 제2홈(1112, 1122) 사이에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는 상기 실링블럭(1100)의 제1홈의 범위(A) 및 제2홈의 범위(B) 내에서 상기 전극리드(31/32) 및 전열필름(41/4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른 실시예로 상기 실링블럭(1100)이 상부실링블럭 또는 하부실링블럭에만 홈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실링블럭(1100)에 의해 실링되는 실링부(S)가 상기 파우치형전지(50)의 전지케이스(10), 즉 상기 전지케이스(10)의 밀봉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홈의 범위(A)가 상기 절연필름(41, 42)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제2홈의 범위(B)가 상기 전극리드(31, 32)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파우치형전지(50)의 밀봉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홈의 범위(A)와 제2홈의 범위(B)를 일부 치우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우치형전지(50)의 밀봉력은 상기 제1홈(1114, 1124)과 제2홈(1112, 1122) 사이의 테이퍼진 경사면에 대응되는 범위, 즉 밀봉력 확인부(G)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밀봉력은 상기 밀봉력 확인부(G)에 대응되는 전극리드(31, 32)와 리드필름(41, 42) 사이에 채워진 접착제의 충진길이를 측정하여 확인한다. 접착제의 충진길이는 육안 또는 레이저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형전지의 사진이다. 전극리드(31)를 치우치게 설정할 경우 접착제의 충진길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종래기술 및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이동된 파우치형전지의 치우침 오차 그래프이고, 도 12는 종래기술 및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형전지의 PP충전길이 오차 그래프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를 사용할 경우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충진길의 치우침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파우치형전지 실링방법으로, (S1) 전극리드(31, 32)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상기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2000, 3000, 4000)에 배치하는 단계; (S2)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조립체(20)의 전극리드(31, 32) 및 절연필름(41, 42)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S3)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1) 단계는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에 상기 전극리드(31, 32)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형전지(50)는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 내에 상기 전극조립체(20)를 수납 및 고정한 후의 것일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 내에서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리드(31, 32)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극리드(31, 32)를 제1홈(1114, 1124) 및 제2홈(1112, 1122)의 정중앙에 맞춰 놓은 값을 초기 값 0으로 세팅한 후, 상기 초기 값에 맞춰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이동시킬 수도 있고, 실험을 위해 상기 초기 값에서 일정정도 벗어나도록 세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리드(31, 32)의 위치를 중심에서 치우치게 조절하여 배치하여 이에 따른 밀봉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3) 단계는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에 고정된 상기 전극리드(31, 32)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20)를 상기 실링블럭(1100)으로 이동시킨 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1100)의 내부로 상기 파우치형전지(50)를 이동시킨 후 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블럭(1100)은 상부실링블럭(1110)과 하부실링블럭(11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에 상기 실링블럭(1110, 1120)들이 실링하기 위한 공간인 가압홀(2268, 3268. 4268)이 마련한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조절부(2200, 3200, 4200)는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과 상기 전극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을 별도로 마련해 놓을 수 있다.
상기 (S3) 단계 이후 (S4) 실링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밀봉력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파우치형전지의 소재나 형태 및 접착제의 소재, 실링블럭의 소재나 형태 등에 따른 가압 오차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전극리드와 절연필름이 접착할 때 빈 공간에 접착제가 채워진 길이를 확인하여 밀봉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밀봉력은 육안 또는 레이저와 같은 투과광선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전지케이스
11 : 하부
12 : 상부
13 : 수납부
20 : 전극조립체
21, 22 : 전극탭
31, 32 : 전극리드
41, 42 : 절연필름
50 : 파우치형전지
1000, 2000, 3000, 4000 :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1100 : 실링블럭
1110 : 상부실링블럭
1112, 1122 : 제2홈
1114, 1124 : 제1홈
1120 : 하부실링블럭
1200, 2200, 3200, 4200 : 위치조절부
1220, 2220, 3220, 4220 : 위치측정부
2222, 2224, 3222, 3224, 4222, 4224 : 마이크로미터
2226, 3226, 4226 : 탐침부
1222, 1224 : 자
2240, 3240, 4240 : 이동부
2242, 2244, 3242, 3244, 4242, 4244 : 이동조절나사
3246, 4246 : 가로 격벽
3248, 4248 : 세로 격벽
1260, 2260, 3260, 4260 : 고정부
1262, 1264, 2262, 3262, 4262 : 측벽
1266 : 가압부재
2264, 3264. 4264 : 클램프
2266, 3266, 4266 : 돌출부
2268, 3268. 4268 : 가압홀
1300 : 배송부
1400 : 베이스
A : 제1홈의 범위
B : 제2홈의 범위
C : 확대부
G : 밀봉력확인부
S : 실링부

Claims (16)

  1. 전극리드 단면의 두께 및 폭에 대응되는 실링홈을 포함하는 실링블럭; 및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리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1)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 전체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1위치측정부;를 포함하거나,
    2) 상기 전극리드의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상기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에 상기 전극리드를 맞추고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이동부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2위치측정부;를 포함하거나,
    3)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3이동부;
    상기 제3이동부의 상기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에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맞추고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는 제3고정부; 및
    상기 제3이동부에 의한 이동변이를 측정하는 제3위치측정부;
    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 제2이동부, 제3이동부는 xyz 직표좌표를 기준으로 각 x, y, z축으로 이동시키는 가로이동부, 세로이동부, 높이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측정부, 제2위치측정부, 제3위치측정부는 상기 전지케이스 고정부의 x, y, z축 이동 변이를 각 측정하는 가로측정부, 세로측정부, 높이측정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높이가 고정되어, 상기 높이이동부 및 상기 높이측정부가 생략된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 제2이동부, 제3이동부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작동되거나, 나사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이 조절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측정부, 제2위치측정부, 제3위치측정부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또는 마이크로미터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제2고정부, 제3고정부는,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을 지지하는 격벽; 및/또는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가 놓여있는 상태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블럭은 상부실링블럭 및 하부실링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홈은 상부실링블럭 및 하부실링블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실링홈은 절연필름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홈 및 절연필름 및 전극리드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2홈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실링홈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전극리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위치조절부 전체가 이동하여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하는 부분을 상기 실링블럭 사이로 배치할 수 있는 배송부가 부가된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11. (S1)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에 배치하는 단계;
    (S2) 상기 위치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리드 및 절연필름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S3)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실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상기 위치조절부 내에서 상기 실링홈에 대한 상기 전극리드 및 절연필름의 위치를 조절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위치조절부에 고정된 상기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상기 실링블럭으로 이동시킨 후 수행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 이후 (S4) 실링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밀봉력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전극리드와 절연필름이 접착할 때 빈 공간에 접착제가 채워진 길이를 확인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육안 또는 레이저와 같은 투과광선에 의해 수행되는 전지 실링방법.
KR1020200165644A 2020-12-01 2020-12-01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KR20220076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44A KR20220076795A (ko) 2020-12-01 2020-12-01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JP2022558201A JP2023519321A (ja) 2020-12-01 2021-11-24 位置調節部を含むパウチ形電池シー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パウチ形電池シーリング方法
US17/926,266 US20230207935A1 (en) 2020-12-01 2021-11-24 Pouch-Shaped Battery Sealing Apparatus Including Position Adjustment Unit and Pouch-Shaped Battery Sealing Method Using the Same
EP21900914.9A EP4135107A1 (en) 2020-12-01 2021-11-24 Pouch-type battery sealing device comprising position adjustment unit, and pouch-type battery sealing method using same
PCT/KR2021/017416 WO2022119226A1 (ko) 2020-12-01 2021-11-24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CN202180035815.1A CN115668601A (zh) 2020-12-01 2021-11-24 包括位置调整单元的袋形电池密封设备和使用该袋形电池密封设备的袋形电池密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44A KR20220076795A (ko) 2020-12-01 2020-12-01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95A true KR20220076795A (ko) 2022-06-08

Family

ID=8185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644A KR20220076795A (ko) 2020-12-01 2020-12-01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07935A1 (ko)
EP (1) EP4135107A1 (ko)
JP (1) JP2023519321A (ko)
KR (1) KR20220076795A (ko)
CN (1) CN115668601A (ko)
WO (1) WO202211922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931A (ko)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 장치
KR20200053783A (ko)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가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의 충방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910A (ko) * 2015-10-22 2017-05-04 제일특수소재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전극탭 접합장치
KR101762807B1 (ko) * 2016-01-28 2017-07-28 주식회사 탑앤씨 이차전지용 파우치필름 실링장치
CN108199084A (zh) * 2017-12-13 2018-06-22 北方奥钛纳米技术有限公司 顶侧封工装及软包锂电池装配工装
CN111029636B (zh) * 2019-12-05 2021-10-29 东莞市维萨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封装设备的电池角封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931A (ko)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 장치
KR20200053783A (ko)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가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의 충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5107A1 (en) 2023-02-15
US20230207935A1 (en) 2023-06-29
WO2022119226A1 (ko) 2022-06-09
JP2023519321A (ja) 2023-05-10
CN115668601A (zh)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06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KR20160118931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 장치
KR101706287B1 (ko) 단차부가 형성된 전지셀의 두께 검사 장치
KR20190105121A (ko) 조전지의 제조 방법
KR20220076795A (ko)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전지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전지 실링 방법
US20230207856A1 (en) Pouch-Shaped Battery Sealing Apparatus Including Stopper and Pouch-Shaped Battery Sea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091768B1 (ko) 파우치 실링 갭 측정장치
KR102251319B1 (ko) 두께측정장치
KR20180000416A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실링부 폭 측정 지그
KR102661477B1 (ko) 이차전지셀을 위한 셀적재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주입장치
CN112304272A (zh) 用于测量电池模组的平面度和高度的测量设备和方法
US118881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degree of alignment of battery module
JP5663441B2 (ja) 角型電池の外形測定装置
KR20180060221A (ko) 셀 사이드 폴딩부 높이 측정기
JP6984451B2 (ja) 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KR20150007578A (ko) 에어 마이크로미터
JP6842667B2 (ja) 組電池の製造装置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20160112333A (ko)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KR20240025836A (ko) 이차전지의 실링부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링부 두께 측정 방법
EP4307433A1 (en)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JP2014165059A (ja) 電池容器変形検査装置
KR20230052373A (ko) 파우치 포밍 뎁스 측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파우치 포밍 뎁스 측정 방법
KR20230097685A (ko) 이차 전지 제조를 위한 다목적 지그 및 이를 이용하는 측정 방법
KR20230165642A (ko)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EP4318732A1 (en) Battery pack assembly having impact absorption func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