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642A -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642A
KR20230165642A KR1020220065687A KR20220065687A KR20230165642A KR 20230165642 A KR20230165642 A KR 20230165642A KR 1020220065687 A KR1020220065687 A KR 1020220065687A KR 20220065687 A KR20220065687 A KR 20220065687A KR 20230165642 A KR20230165642 A KR 2023016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vil
horn
distance
measuring
horizont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6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642A/ko
Publication of KR2023016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23K20/106Features related to sono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38Gauges with an open yoke and opposed faces, i.e. calipers, in which the internal distance between the faces is fixed, although it may be preadjus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은,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앤빌 및 상기 앤빌 위에 안착된 용접대상물로 접촉하여 진동을 가하는 혼을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으로써, 앤빌과 혼이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고정배치하는 단계;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지점과 이격된 제2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2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는, 하부면은 앤빌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며 안착되고 상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하부정반; 상부면은 혼의 아랫쪽으로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며 결합되고 하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상부정반; 및 상기 하부정반의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상부정반의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는 서로 이격된 두 지점 각각에서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Description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horizontality of welding-equipment}
본 발명은 피용접물(가령, 전극탭 등)이 앤빌에 안착된 상태에서 혼이 압력 및 진동을 가하여 초음파 용접이 이뤄지는 용접장치의 수평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더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는(측정할 수 있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개인 휴대단말, 전기 자동차 분야를 포함하여 여러 분야에서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의 재질 및 외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나, 이 중에서 리튬 화합물 재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는 용량이 크고 자가 방전율이 적어 종래의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등을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한데, 대표적으로 원통형(cylinder type), 각형(prismatic type), 파우치형(pouch type)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 기기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용으로도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차전지는 케이스 내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다수 개의 전극들이 적층되는 구조(음극, 분리막, 양극이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양극과 음극 각각의 일측 변에는 양극탭 및 음극탭이 각각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전극들은 일측으로 전극탭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극탭들은 하나로 모아진 상태에서 리드와 접합이 이뤄진다.
한편, 상기 전극탭들은 리드와 접합되기 전 모아진 상태에서 초음파 용접이 이뤄진다.
상기 전극탭을 용접하는 용접장치는 피용접물인 전극탭들이 안착되는 앤빌(2) 및 상기 앤빌(2) 위에서 피용접물 위로 하강하며 압력과 진동을 가해서 접촉부분에 열을 발생시켜 접합시키는 혼(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접촉면적을 줄여 압력이 집중되도록 혼의 하단에는 돌기(1a)가 형성되며, 앤빌에도 선택적으로 돌기(2a)가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초음파 용접은 안정적인 용접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혼(1)과 앤빌(2)의 수평도를 맞춰(서로 마주하는 면들끼리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게 자세를 유지시켜) 용접면에 골고루 일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방법에 따라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모습이 단순화되어 도시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도를 맞추는 방식은 앤빌(2)의 상측에 수평계(3)를 거치하여 상기 앤빌(2)의 수평도를 측정하고, 혼(1)의 측면에 수평계(3)를 밀착시켜 혼(1)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앤빌(2)과 혼(1)의 수평도가 개별적으로 이뤄지고, 측정 위치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는,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된 앤빌 및 상기 앤빌 위에 안착된 용접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며 아랫쪽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된 혼을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로써, 하부면은 앤빌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며 안착되고 상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하부정반; 상부면은 혼의 아랫쪽으로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며 결합되고 하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상부정반; 및 상기 하부정반의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상부정반의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는 서로 이격된 두 지점 각각에서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된 지점들에서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면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수평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계측부는 상기 하부정반과 상부정반 사이에서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활주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계측부는 앤빌의 길이방향 및 넓이방향 각각을 따라 활주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계측부는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에 두 개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정반은 혼의 아랫쪽으로 진입하여 상기 혼의 아랫쪽 면을 덮고, 상기 혼의 상면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를 구비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은,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앤빌 및 상기 앤빌 위에 안착된 용접대상물로 접촉하여 진동을 가하는 혼을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으로써, 앤빌과 혼이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고정배치하는 단계;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지점과 이격된 제2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2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서로 마주하는 면들끼리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게 자세가 유지됐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앤빌과 마주하는 혼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마주하는 앤빌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를 측정할 때,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혼의 돌기와 앤빌의 돌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앤빌과 마주하는 혼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마주하는 앤빌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를 측정할 때, 상기 앤빌 또는 혼 중 어느 한 곳에는 일측면은 돌기와 맞물리고 타측면은 수평면을 갖는 정반이 안착되고, 상기 앤빌 또는 혼 중 다른 한 곳의 돌기와 상기 정반의 수평면이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는 지점에서의 거리(즉, 높이)를 측정한다.
상기 앤빌과 마주하는 혼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마주하는 앤빌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를 측정할 때, 상기 앤빌 및 혼 두 곳 모두에는 일측면은 돌기와 맞물리고 타측면은 수평면을 갖는 정반들이 각각 안착되고, 상기 앤빌에 안착된 정반과 혼에 안착된 정반 사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는 지점에서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가 앤빌과 혼 사이의 제1거리를 먼저 측정한 후, 상기 계측부가 이동하여 제2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는 앤빌과 혼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지점 및 앤빌과 혼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지점 각각에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는 동시에 측정이 이뤄진다.
제2지점은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과 앤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앤빌의 넓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3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3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 제2거리 및 제3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2지점은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과 앤빌의 넓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앤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3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3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 제2거리 및 제3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종래의 방식 보다 훨씬 용이하고 정확하게 혼과 앤빌 사이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측부가 혼과 앤빌의 길이방향(x방향) 및 넓이방향(y방향) 모두로 활주하여 측정가능하므로, 여러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계측부는 복수 개가 제공되어 계측부의 이동 없이 앤빌과 혼이 고정된 상태에서 여러지점에서 거리(상하방향을 따라 측정된 높이 값)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더 신뢰성 있는 측정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모습이 단순화되어 도시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정면에서 바라 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3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측면에서 바라 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계측부가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활주한 전후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계측부가 넓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활주한 전후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더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정면에서 바라 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측면에서 바라 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를 제1실시예로써 제공한다.
도 2, 3 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는,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21)이 형성된 앤빌(20) 및 상기 앤빌(20) 위에 안착된 용접대상물에 압력과 진동을 가하며 아랫쪽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11)이 형성된 혼(10)을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는 하부정반(30), 상부정반(40) 및 계측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50)는 서로 이격된 두 지점 각각에서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3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된 지점들에서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50) 사이의 거리들(L1, L2, L3)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30) 사이의 수평도를 측정할 수 있다(혼과 앤빌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끼리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게 자세가 유지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하부정반(30)은 일면(하부면)은 앤빌(2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21)와 맞물려 안착되도록 골과 산(31)이 형성된 모양을 가지며 타면(상부면)은 수평면(32)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부정반(40)도 일면(상부면)은 혼(10)의 아랫쪽으로 형성된 돌기(11)와 맞물리도록 골과 산(4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타면(하부면)은 수평면(42)으로 형성된다.
상기 계측부(50)는 상기 하부정반(30)의 수평면(32)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상부정반(40)의 수평면(42)과 수직을 이루도록(z방향을 따라 곧게 놓이도록) 상기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3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계측부(50)는 하부정반(30)과 상부정반(40) 사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전용 모양을 갖도록 제조될 수 도 있고, 또는 종래의 버니어캘리퍼스와 같이 범용으로 사용되는 길이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계측부(50)는 상기 하부정반(30)과 상부정반(40) 사이를 벗어나지 않고, 서로 이격된 두 지점 이상으로 각각 활주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정반(30)과 상부정반(40)의 길이방향(도 2 에서 x방향)은 물론 넓이방향(도 3 에서 y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계측부(50)의 양측끝단에는 활주를 위한 볼 또는 바퀴(미도시) 등이 부설될 수 있고, 상기 하부정반(30)과 상부정반(40) 각각의 표면에 가이드레일(미도시) 또는 홈 등이 부설되면, 계측부(50)의 양측끝단에는 가이드레일 또는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측부(50)의 활주가 불가능하다면 (또는 가능하더라도) 계측의 편의성을 높이고 계측의 신속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계측부(50)는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30)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두 개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정반(40)은 혼(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부(43)를 구비할 수 있다(또는, 경우에 따라 하부정반 또한 앤빌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정반과 같이 걸림부가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정반(40)은 상측에 배치된 혼(10)의 아랫쪽으로 진입하여 상기 혼(10)의 아랫쪽 면을 덮고, 상기 혼(10)의 상면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걸림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3)는 상부정반(40)의 양단에서 혼(10)의 두께 만큼 수직방향으로 상측을 따라 연장되고, 그 끝단은 혼(10)의 상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절곡된 구조를 갖도록 제공된다. 이때, 도 2, 3 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43)는 상부정반(40)의 길이방향을 양측 끝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넓이방향을 따라 상부정반(4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은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을 제2실시예로써 제공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계측부(50)가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활주한 전후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측정할 때, 계측부(50)가 넓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활주한 전후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은,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앤빌(20) 및 상기 앤빌(20) 위에 안착된 용접대상물로 접촉하여 압력과 진동을 가하는 혼(10)을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앤빌(20)과 혼(10)이 고정배치된 상태에서 임의로 정해진 복수 곳의 지점들 각각에서 앤빌(20)과 혼(10) 사이의 수직방향(z방향) 길이 즉 높이를 개별적으로 측정한 후, 높이를 비교함으로써 수평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앤빌(20)과 혼(10)이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고정배치하고,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에서 앤빌(20)과 혼(10) 사이의 제1거리(L1)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지점과 이격된 제2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2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2거리(L2)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거리(L1)와 제2거리(L2)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앤빌(20)과 마주하는 혼(10)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11, 21)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11)는 소위 팁(tip)으로 불리우며, 피용접물과 실제 접촉하여 압력 및 진동을 가해 (팁이 접촉한 지점에서) 실질적인 용접이 이뤄진다. 따라서, 혼(10)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출된 돌기들(11)은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고, 앤빌(20)에 윗쪽을 향해 돌출된 돌기들(21)도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이에 따라, 앤빌(20)과 혼(10)이 서로 간에 완전히 수평을 이루게 되었을 때, 혼(10)이 하강하면 상기 혼(10)에 형성된 돌기(11)와 앤빌(20)에 형성된 돌기(21)는 피용접물의 표면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다만, 혼(10)에 형성된 돌기11)의 크기와 배치형태는 앤빌(20)에 형성된 돌기(21)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상부정반과 하부정반이 제공되지 않고 계측기만 가지고 수평도를 측정하는 경우) 혼(10)에 형성된 돌기(11)의 크기와 배치형태 및 마주하는 위치가 앤빌(20)에 형성된 돌기(21)와 동일하다면, 상기 제1거리(L1)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L2)를 측정할 때,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혼(10)의 돌기(11)와 앤빌(20)의 돌기(21) 사이의 거리(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혼(10)에 형성된 돌기(11)의 크기와 배치형태 및 마주하는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앤빌(20)에 형성된 돌기(21)와 상이한 경우라면, 상기 제1거리(L1)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L2)를 측정할 때, 상기 앤빌(20) 또는 혼(10) 중 어느 한 곳에는 일측면은 돌기와 맞물리고 타측면은 수평면을 갖는 정반이 안착되고(혼에 상부정반이 결합되거나 또는 앤빌에 하부정반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앤빌 또는 혼 중 다른 한 곳의 돌기와 상기 정반의 수평면이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는 지점에서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포함된 상기 상부정반(40) 및 하부정반(30)이 제공되지 않을 때 또는 두 개 중 하나만 제공될 때,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1거리(L1)와 제2거리(L2)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30)이 모두 제공된다면, 상기 상부정반(40)과 하부정반(30)을 혼(10) 및 앤빌(20) 각각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정반(40)의 수평면(42)과 하부정반(30)의 수평면(32) 사이의 수직길이를 재서 거리들(L1, L2)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앤빌(20) 및 혼(10) 두 곳 모두에 정반들(상부정반, 하부정반)이 돌기에 맞물린 상태에서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50)가 앤빌(20)과 혼(10) 사이의 제1거리(L1)를 먼저 측정한 후, 상기 계측부가 이동하여 제2거리(L2)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도 3,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선정된 제1지점에서 제1거리(L1)를 측정한 후, 계측기를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또는 넓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2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제2거리(L2)를 다시 측정하는 방식으로, 제1지점의 높이와 제2지점의 높이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50)는 앤빌(20)과 혼(10)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지점 및 앤빌과 혼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지점 각각에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거리(L1)와 제2거리(L2)는 동시에 측정이 이뤄질 수 있다.
아울러, 제2지점은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과 앤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앤빌의 넓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3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3거리(L3)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L1), 제2거리(L2) 및 제3거리(L3)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2지점은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과 앤빌의 넓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앤빌(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3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3거리(L3)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L1), 제2거리(L2) 및 제3거리(L3)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20)과 혼(10)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종래의 방식 보다 훨씬 용이하고 정확하게 혼(10)과 앤빌(20) 사이의 수평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측부(50)가 혼(10)과 앤빌(20)의 길이방향(x방향) 및 넓이방향(y방향) 모두로 활주하여 측정가능하므로, 여러 방향으로 수평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계측부(50)는 복수 개가 제공되어 계측부(50)의 이동없이 앤빌(20)과 혼(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여러지점에서 거리(상하방향을 따라 측정된 높이 값)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더 신뢰성 있는 측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 혼
20 : 앤빌
30 : 하부정반
40 : 상부정반
50 : 계측부

Claims (13)

  1.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앤빌 및 상기 앤빌 위에 안착된 용접대상물로 접촉하여 진동을 가하는 혼을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으로써,
    앤빌과 혼이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고정배치하는 단계;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지점과 이격된 제2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2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과 마주하는 혼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마주하는 앤빌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를 측정할 때,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혼의 돌기와 앤빌의 돌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과 마주하는 혼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마주하는 앤빌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를 측정할 때, 상기 앤빌 또는 혼 중 어느 한 곳에는 일측면은 돌기와 맞물리고 타측면은 수평면을 갖는 정반이 안착되고,
    상기 앤빌 또는 혼 중 다른 한 곳의 돌기와 상기 정반의 수평면이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는 지점에서의 거리를 측정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과 마주하는 혼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마주하는 앤빌의 표면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를 측정할 때 그리고 제2거리를 측정할 때, 상기 앤빌 및 혼 두 곳 모두에는 일측면은 돌기와 맞물리고 타측면은 수평면을 갖는 정반들이 각각 안착되고,
    상기 앤빌에 안착된 정반과 혼에 안착된 정반 사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수직을 이루는 지점에서의 거리를 측정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가 앤빌과 혼 사이의 제1거리를 먼저 측정한 후, 상기 계측부가 이동하여 제2거리를 측정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는 앤빌과 혼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지점 및 앤빌과 혼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지점 각각에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는 동시에 측정이 이뤄지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2지점은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과 앤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앤빌의 넓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3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3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 제2거리 및 제3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제2지점은 임의로 선택된 제1지점과 앤빌의 넓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앤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3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제3지점에서 앤빌과 혼 사이의 제3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 제2거리 및 제3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앤빌과 혼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9.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된 앤빌 및 상기 앤빌 위에 안착된 용접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며 아랫쪽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형성된 혼을 포함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로써,
    하부면은 앤빌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며 안착되고 상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하부정반;
    상부면은 혼의 아랫쪽으로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며 결합되고 하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된 상부정반; 및
    상기 하부정반의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상부정반의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부는 서로 이격된 두 지점 각각에서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상기 하부정반과 상부정반 사이에서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을 활주가능한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앤빌의 길이방향 및 넓이방향 각각을 따라 활주가능한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상부정반과 하부정반 사이에 두 개 이상이 제공된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정반은 혼의 아랫쪽으로 진입하여 상기 혼의 아랫쪽 면을 덮고, 상기 혼의 상면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를 구비하는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장치.
KR1020220065687A 2022-05-27 2022-05-27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KR20230165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87A KR20230165642A (ko) 2022-05-27 2022-05-27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87A KR20230165642A (ko) 2022-05-27 2022-05-27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642A true KR20230165642A (ko) 2023-12-05

Family

ID=8915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687A KR20230165642A (ko) 2022-05-27 2022-05-27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6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731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방법
US20180294465A1 (en) Battery pack
US8555695B2 (en) Current collector shape adjusting device
KR101790639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또는 테스트용 이차전지 고정 지그
US20230166362A1 (en) Electrode lead bending and welding apparatus and electrode lead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0915048A (zh) 单位电池对齐设备和使用该设备的电极组件制造方法
KR20170041538A (ko) 배터리 셀 두께 측정 장치
KR20230165642A (ko) 용접장치의 수평도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KR102217446B1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두께 측정장치
KR101778673B1 (ko)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US20210167468A1 (en) Power storage component module
US20230405717A1 (en) Welding device for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N116324451A (zh) 用于测量电池单体的阻抗的充电/放电治具
KR20220056056A (ko) 다이코터 검사장치
KR102419855B1 (ko)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의 얼라인먼트 검사 방법, 및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30047817A (ko) 전극 휨 측정장치
US20240109097A1 (en) Step-Heigh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Slot Die
KR20230097685A (ko) 이차 전지 제조를 위한 다목적 지그 및 이를 이용하는 측정 방법
JP5892039B2 (ja) 位置決め装置および位置決め方法
KR102555637B1 (ko) 각형 배터리 절연 검사장치
KR20140134519A (ko) 전지 충방전용 켈빈 센싱 구조
CN219532785U (zh) 电池卷芯硬度的测量装置
KR20230052373A (ko) 파우치 포밍 뎁스 측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파우치 포밍 뎁스 측정 방법
EP4227698A1 (en) Charging/discharging jig for measuring battery cell impedance
US20230198060A1 (en) Base material assembly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and riveting method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