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686A -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686A
KR20220076686A KR1020200165433A KR20200165433A KR20220076686A KR 20220076686 A KR20220076686 A KR 20220076686A KR 1020200165433 A KR1020200165433 A KR 1020200165433A KR 20200165433 A KR20200165433 A KR 20200165433A KR 20220076686 A KR20220076686 A KR 2022007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ult value
local information
io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일
박대우
이상문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686A/ko
Publication of KR2022007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IoT 서버와 연동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GPS 정보를 IoT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IoT 서버에서, 내부 API를 호출하여 지역정보를 수신한 후 지역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통해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1 결과값을 얻는 단계; IoT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내부 API를 호출하여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2 결과값을 얻는 단계; IoT 서버에서,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은 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은 경우, IoT 서버에서 내부 API를 호출하여 얻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얻고, 지역정보를 갖는 위치에서 사용 중인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가 수신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가 수신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IoT 서버가 수신한 지역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지역정보를 갖는 지역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선택된 지역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림팝업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METHOD FOR SETTING HEATING TEMPERATURE AND WARM WATER TEMPERATURE OF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US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IoT 장치의 난방온도와 온수온도 설정시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확인 알림창을 통해 알려 확인할 수 있게 하는, IoT 장치의 난방온도와 온수온도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의 생산자/소비자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왔다. 미래에는 가전, 센서 등 우리 주변의 사물까지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물 주변의 환경 정보, 사물 자체의 정보도 공유될 수 있는 사물 인터넷(IoT)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사물 인터넷(IoT)을 지원하는 장치는 향후 급속히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IoT)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 상호작용, 정보공유가 가능해지면, 사물 스스로 판단하는 지능형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기업은 비용절감, 나아가 녹색 성장을 위한 그린 IT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IoT) 시대가 도래하면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검색해야 할 뿐 아니라, 검색된 사물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 및 접속 IP(Internet Protocol) 등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기존에는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지역정보를 직접 선택하여 설정하게 되어 올바르지 못한 지역을 선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로 인하여, IoT 장치에 표시되는 시간 및 사전에 설정한 예약설정기능들이 원하는 시간이 아닌 때에 오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491호(공개일2016년04월20일) 특허문헌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3868호(공개일2018녕05월24일)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통해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 및 평균 온수온도를 설정함에 있어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 지역정보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IoT 서버에서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잘못된 지역선택 오류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를 통해 IoT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역정보를 알림팝업으로 알려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IoT(Internet of Things) 서버와 연동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IoT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IoT 서버에서, 내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여 제1 지역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지역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통해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1 결과값을 얻는 단계; IoT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지역정보를 추출한 후 내부 API를 호출하여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2 결과값을 얻는 단계; IoT 서버에서,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은 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은 경우, IoT 서버에서 내부 API를 호출하여 얻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정보를 얻고,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위치에서 사용 중인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가 수신한 제1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가 수신한 제1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IoT 서버가 수신한 지역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지역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선택된 제1 지역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림팝업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지 않은 경우, IoT 서버가 기지국 기반 삼각측량정보를 이용하여 격자셀 측위정보를 수신하여 제3 결과값을 얻는 단계;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을 비교하여, IoT 서버가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은 경우, IoT 서버가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지역에서 사용 중인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폴트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2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폴트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2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폴트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2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를 통해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 및 평균 온수온도를 설정함에 있어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 지역정보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IoT 서버에서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잘못된 지역선택 오류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를 통해 IoT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역정보를 알림팝업으로 알려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 설정시스템은 보일러 제어기(100), IoT(Internet of Things) 서버(200) 및 휴대용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스템(1000)은 제어기(100), IoT(Internet of Things) 서버(200) 및 휴대용 단말기(300)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스템(1000)은 제어기(100), IoT(Internet of Things) 서버(200) 및 휴대용 단말기(300)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사용자(고객)는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고객 휴대용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을 통해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의 제1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 설정방법은 S100 내지 S1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흐름의 이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에서,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한 후 IoT 서버와 연동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IoT 서버에 송신한다(S100). 이때, GPS 정보는 IoT 서버의 내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에 저장되며, 위도와 경도의 위치정보(데이터로 사용이 가능한 위도,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S100 이후, IoT 서버에서, 내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여 제1 지역정보를 수신한 후(S200) 제1 지역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통해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1 결과값을 얻는다(S300). 이때, 내부 API는 3개가 이용되며, 지역정보는 설정된 지역 ID이다. 예를 들면, 지역정보는 서울특별시 강남구는 Seoul 1일 수 있다. 지역정보는 기초자치단체 또는 주민센서 설치단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300 이후, IoT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지역정보를 추출한 후(S400) 내부 API를 호출하여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2 결과값을 얻는다(S500).
S500 이후, IoT 서버에서,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은 지를 판단한다(S600). 여기서,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은 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휴대용 단말기의 GPS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
S600에서,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은 경우, IoT 서버에서 내부 API를 호출하여 얻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지역정보를 얻고(S700),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위치에서 사용 중인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수신한다(S800).
S600에서, 제1 결과값과 제2 결과값이 같지 않은 경우, IoT 서버가 기지국 기반 삼각측량정보를 이용하여 격자셀 측위정보를 수신하여 제3 결과값을 얻는다(S710).
S710 이후,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을 비교하여, IoT 서버가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은지를 판단한다(S720). 여기서,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은 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휴대용 단말기의 GPS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지를 2차적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
S720에서,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은 경우, IoT 서버가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위치에서 사용 중인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수신한다(S800).
S720에서,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폴트(default)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고(S910), 제2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한다(S920). 제1 결과값과 제3 결과값이 같지 않은 경우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GPS 정보가 잘못된 경우이다.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GPS 정보를 더 이상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지역정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S800 이후, 휴대용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위치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가 수신한 제1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900). 애플리케이션 위치정보 리스트 항목은 복수의 지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900에서, 애플리케이션 위치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가 수신한 제1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IoT 서버가 수신한 지역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지역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자동으로 설정한다(S1000).
S900에서,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IoT 서버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폴트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한 후(S9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2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한다(S920).
S1000 이후,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선택된 지역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림팝업을 호출한다(S1100). 알림팝업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는 지역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지역정보가 자동으로 선택된 이후에는 선택된 지역에 대한 알림팝업을 통해 지역정보 선택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정보를 통해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 및 평균 온수온도를 설정함에 있어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 보일러 제어기 200 : IoT 서버
300 : 휴대용 단말기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IoT(Internet of Things)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상기 IoT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IoT 서버에서, 내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여 제1 지역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지역정보로부터 GPS 정보를 통해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1 결과값을 얻는 단계;
    상기 IoT 서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지역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내부 API를 호출하여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제2 결과값을 얻는 단계;
    상기 IoT 서버에서, 상기 제1 결과값과 상기 제2 결과값이 같은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결과값과 상기 제2 결과값이 같은 경우, 상기 IoT 서버에서 내부 API를 호출하여 얻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역정보를 얻고, 상기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위치에서 사용 중인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상기 IoT 서버가 수신한 제1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상기 IoT 서버가 수신한 제1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IoT 서버가 수신한 지역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지역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선택된 제1 지역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림팝업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값과 상기 제2 결과값이 같지 않은 경우, 상기 IoT 서버가 기지국 기반 삼각측량정보를 이용하여 격자셀 측위정보를 수신하여 제3 결과값을 얻는 단계;
    상기 제1 결과값과 상기 제3 결과값을 비교하여, 상기 IoT 서버가 상기 제1 결과값과 상기 제3 결과값이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결과값과 상기 제3 결과값이 같은 경우, 상기 IoT 서버가 제1 지역정보를 갖는 지역에서 사용 중인 IoT 장치의 평균 난방온도와 평균 온수온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지역정보 리스트 항목 중 상기 IoT 서버로부터 수신한 지역정보와 일치하는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폴트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제2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값과 상기 제3 결과값이 같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폴트 지역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2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KR1020200165433A 2020-12-01 2020-12-01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KR20220076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33A KR20220076686A (ko) 2020-12-01 2020-12-01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33A KR20220076686A (ko) 2020-12-01 2020-12-01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86A true KR20220076686A (ko) 2022-06-08

Family

ID=8198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33A KR20220076686A (ko) 2020-12-01 2020-12-01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6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491A (ko) 2014-10-10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표시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53868A (ko) 2016-11-14 2018-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491A (ko) 2014-10-10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표시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53868A (ko) 2016-11-14 2018-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67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viding a service using electronic map information
KR100964767B1 (ko) 위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주도 조정
US7570959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location-enhanced contact list
US92824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nection status and 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US9544724B2 (en)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6678750B2 (en) Wireless networked peripheral devices
CA242806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81264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wireless access points
JP5301511B2 (ja) 移動局場所サービスのための増強されたユーザープライバシー
JP2009545922A (ja) サーバ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にユーザ装置から位置情報を自動的に抽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323786B2 (ja) サー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425876B1 (en) Location-based service implementing method and apparatus
EP21745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wireless access points
KR20080052933A (ko) 유비셀 기지국의 자동 설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43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control of location determination
CN102648643A (zh) 无线接入点
US10111047B2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101723510B1 (ko)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속 페어링 제어 방법
KR20220076686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IoT 장치의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방법
KR101466818B1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507306A (zh) 一种联系人位置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100936531B1 (ko)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검증 방법 및시스템
KR20030090681A (ko) 무선 통신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가입신청 접수방법
KR20130030430A (ko)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174194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その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