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430A -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430A
KR20130030430A KR1020110093879A KR20110093879A KR20130030430A KR 20130030430 A KR20130030430 A KR 20130030430A KR 1020110093879 A KR1020110093879 A KR 1020110093879A KR 20110093879 A KR20110093879 A KR 20110093879A KR 20130030430 A KR20130030430 A KR 2013003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service
zone
user terminal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심상수
류정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0430A/ko
Publication of KR2013003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수시한 GPS 신호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존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가입자 인증을 거쳐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수신받아, 획득한 위치 정보와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존 서비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API를 통해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단말기도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zone service using GPS}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존(zone)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해 존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단말기인 경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존 범위를 수동으로 설정시켜 놓음으로써 교환기의 변경 없이, 설정된 범위에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경우에 맞춰 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와의 서비스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존 서비스라는 서비스를 도입하여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존 서비스란 특정 지역의 기지국 영역을 존으로 설정하여 해당 존 내에서는 유-무선 및 무선 전화간 무료통화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존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에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호 발신을 시도하면, 전화번호 앞에 "#"와 같은 표시자가 자동으로 삽입되어 존 서비스를 위한 호 발신임을 알려 무료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단말기는 현재 위치에서 존 서비스 영역의 진입 및 이탈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진입 및 이탈 상태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자(indicator)의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존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였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도록 한다. 존 서비스 영역의 진입 및 이탈 자동 감지는 실시간으로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존 서비스 영역인지를 인식하는 방법은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고유 식별자인 셀 정보(Cell ID)에 포함된 기지국 정보와 서버로부터 수신된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리스트와 비교하여 존 서비스 영역 진입을 판단한다. 이때, 단말의 셀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존 서비스 영역 진입 여부를 화면에 표시하고, 단말기 내의 기본적으로 장착된 통화를 위한 구성인 다이얼러(Dialer)와 연동하여 존 다이얼러를 구성함으로써 해당 존에서 호 발신 시 훅킹(Hooking) 기능을 활용하여 존 서비스임을 알리기 위한 표시자 예를 들어, "#"을 자동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은 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API를 통해 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야만 가능하다.
하지만, 특정 회사의 정책에 따라 단말기가 API를 통해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도록 하고, 훅킹 기능 및 표시자 변경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구현된 단말기가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가입한 통신사에서 존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존 서비스 제공받을 수 없다.
이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발신 시 수동으로 존 서비스임을 알리기 위한 표시자를 입력한 다음 발신 전화번호를 입력해야만 하기 때문에 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가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이 존 서비스 영역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상당한 불편함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API를 통해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도록 기능 제한된 단말기인 경우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API를 통해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도록 기능 제한된 단말기에게 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단의 변경 없이 단말기 스스로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발신 시 자동으로 존 서비스임을 알리기 위한 표시자가 발신 전화번호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가입자가 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존 서비스를 위한 가입 인증 요청이 있으면, 가입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제공하는 존 서비스 제공 장치와, 존 서비스가 요구되면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와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상기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존 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존 서비스 제공 장치로 가입 인증을 요청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상기 기지국 정보와 상기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부팅시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존 서비스 제공 장치로 가입 인증을 요청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상기 기지국 정보와 상기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존 서비스 요구에 따라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입 인증을 요청하여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부팅시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입 인증을 요청하여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회사의 정책에 따라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도록 기능 제한된 단말기의 경우 GPS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존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존 서비스 영역에서 호 발신 시 자동으로 존 서비스임을 알리기 위한 표시자가 발신 전화번호에 삽입되고,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을 통해 존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존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서비스를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가 존 서비스 영역 내 진입 시 진입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표시자를 화면에 도시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서비스를 위한 범위 설정 지도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본 발명은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도록 기능이 제한되어 존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존 서비스란 법인 소재지 지역과 같이 미리 설정된 지역의 기지국 영역을 존(Zone)으로 설정하고, 해당 존 내에서는 유-무선 및 무선 전화간 무료통화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존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하는 단말기가 존 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가 발신을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호 발신을 요구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발신 전화번호 또는 폰북 또는 통화기록(call history)에서 선택된 발신 전화번호에 존 서비스임을 알리는 표시자를 자동으로 삽입한 후 발신을 수행한다. 이때, 일 실시 예로 존 서비스임을 알리는 표시자는 "#"와 같은 표시자가 될 수 있고, 발신 전화번호 앞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을 이용한 통화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특정단말기의 경우 "#"대신 "특수번호"를 사용하여 "#"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단말기가 "특수번호"를 사용하여 존 통화가 가능하도록 관련 HLR 또는 교환기에 기능을 추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존 서비스임을 알리는 표시자가 삽입된 발신 전화번호로 발신을 하게 되면,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단에서는 현재 단말기가 존 서비스 영역에서 발신했음을 인지하여 존 서비스 설정에 맞는 통화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GPS 위성(10), 사용자 단말기(100), 통신망(200),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 기지국 정보 관리 장치(500)를 포함한다.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BPAS(Biz Provisioning & Authorization Server)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통신망(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가입 인증 요청이 있으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존 서비스 가입 여부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를 통해 확인한다.
이후,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기지국 정보 관리 장치(500)를 통해 다운로드 한 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즉,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에 대한 가입 인증 요청이 있으면, 가입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단말기 사용자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가입 인증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존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인증 결과를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송한다.
기지국 정보 관리 장치(500)는 CMS(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와 같이 기지국의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에 존재하는 기지국들, 즉 전체 기지국들 각각의 기지국 파라미터 정보(SID, NID, BSID 및 Ref_PN 등) 및 전체 기지국들 각각의 위, 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구성 정보를 관리한다. 기지국 정보 관리 장치(500)는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기지국 정보 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의 존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정보를 확인하여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제공한다. 이때, 기지국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정보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화를 위해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가입 인증을 요청하고,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위치 정보와 가입 인증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가 수신되면, 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보가 있으면 존 서비스 가능 영역으로 인지하여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존 서비스 모드가 수행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호 발신 시 입력된 발신 전화번호에 존 서비스임을 알리는 표시자를 삽입하여 발신이 수행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GPS 위성(10)에서 송출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3개 이상의 GPS 위성(10)으로부터의 신호 도달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오차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DGPS(Differential GPS)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GPS 위성(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현재 위치에 일정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차의 발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가 존 서비스 가능 영역에 속하지 않은 경우에도 존 서비스 가능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DGPS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DGPS의 기본적인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DGPS 시스템에서는 지상에 GPS신호를 수신하는 지상 기지국을 별로도 만들어 놓는다. 이 때 지상 기지국의 정확한 위치는 이미 알고 있다. 이 지상 기지국에서 GPS 위성신호를 사용해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 다음 정확한 자신의 위치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지상 기지국의 위치가 (0,0)이라고 할 때 GPS신호로 계산한 지상 기지국의 위치가 (-1,2)라고 하면 오차(difference)는 (-1,2)가 된다. 지상 기지국은 이 오차를 특정 주파수를 사용해서 반복적으로 방송해 준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DGPS 수신기는 위성에서 수신한 GPS신호를 가지고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 다음 지상 기지국에서 방송해주는 오차를 가지고 위치를 보정해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성 신호는 원래 위치에 비해 (-1,2)만큼의 오차가 나기 때문에 GPS 신호로 계산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100,329)에서 오차를 보정해주면 정확한 위치는 (101,327)이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21; 이하, 지도 DB)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지도 DB(21)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도 5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존 서비스 표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GPS 위성(10)으로부터 GPS 신호를 미리 결정된 주기로 수신하면서 설정된 존 서비스 표시 영역 내의 진입/ 이탈 여부를 확인하여, 도 4의 화면에서 20과 같이 존 서비스 영역 진입 상태 표시자로 대기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GPS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호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며, 스마트 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GPS 수신부(110), 위치 정보 생성부(120), 통신부(13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를 포함하는 제어부(130),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과 지도 데이터베이스(154)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0), 입력부(160),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GPS 수신부(110)는 GPS 위성(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포함된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생성부(120)는 GPS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위도, 경도, 고도 등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를 구비한다.
제어부(130)는 다이얼러(dialer) 또는 폰북 또는 통화기록을 통해 발신 전화번호 입력과 발신 선택이 있으면, 표시부(170)에 발신 선택 항목을 표시하여 일반 발신을 할 것인지,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존 발신을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즉, 화면에 일반 발신 항목과 존 발신 항목을 표시하는 팝업 창을 띄어 사용자가 발신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일반 발신을 선택하면 일반 호 발신 모드를 수행하여 통화를 위한 절차를 수행하게 되고, 존 발신을 선택하면 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를 통해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는 위치 정보 생성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가입자 인증을 요청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는 통신부(140)를 통해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가 수신되면, 위치 정보 생성부(120)에서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와 수신한 가입자 위치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기지국 정보는 존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정보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에서 존 서비스 가능 여부 확인은 수신한 셀 정보 내에 포함된 기지국 정보와 존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기지국 정보가 있으면 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존 서비스 가능 여부 확인 후,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한다.
존 서비스 모드가 수행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는 호 발신 시 입력된 발신 전화번호에 존 서비스임을 알리는 표시자를 삽입하여 발신을 수행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100)에서 호 발신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 후 발신 요구에 따라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설정에 따라 단말기(100) 부팅 시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환경설정에서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항목에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를 등록해 놓으면 단말기(100)의 부팅 시 자동으로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이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52)의 자동 실행에 따라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검사한 결과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통화 모드 상태를 존 서비스 모드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물론 존 서비스 모드 상태에서 단말기(100)가 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다시 일반 호 모드 상태로 변경될 것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이 환경설정에 따라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은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상태가 된다.
통신부(140)는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신호를 변복조(Modulation/Demodulation) 할 수 있는 모뎀(Modem), 안테나, 신호 증폭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운영 체제(Operational System:OS) 등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50)는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과 지도 데이터베이스(154)를 저장한다. 이때,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2)은 단말기 생산 시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앱 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각종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지도 데이터 상에 존 서비스 표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부(160)를 조작하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키패드(Key pad), 및/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등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복수 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키,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5)에서 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70)는 제어부(130)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메모리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상에 표시하거나, 존 서비스 표시 영역 내의 진입/ 이탈 여부를 나타내는 존 서비스 영역 진입 상태 표시자를 표시한다.
그러면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구에 따라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S100),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S110). 여기서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구는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발신 전화번호 입력 후 존 서비스 모드 발신을 선택한 경우를 말한다.
가입 인증을 요청받은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에 사용자에 대한 존 서비스 가입 인증을 요청한다(S112).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400)는 존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인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가입자 인증 결과를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송한다(S114).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가입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만약 가입자가 존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인 것이 인증되면, 기지국 정보 관리 장치(500)로 기지국 정보를 요청한다(S116, S120).
기지국 정보 관리 장치(500)는 존 서비스를 위해 설정된 기지국 정보를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제공하고(S122), 이를 수신한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기지국 정보를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140).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존 서비스 제공 장치(300)에 가입 인증을 요청한 후, GPS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한다(S130).
다음, 사용자 단말기(100)는 확인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Cell ID)에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 정보와 상기 S140 단계를 통해 제공받은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150).
검사 결과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고(S170), 불가능하면 일반 호 모드를 수행한다(S180). 존 서비스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1의 설명에서 하였으므로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도 3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의 수행 단계들은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어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과정들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인지 확인하여 결과에 따라 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게 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API를 통해 셀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단말기를 소지하였더라도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존 서비스 제공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100: 단말기
110 : GPS 수신부 120 : 위치 정보 생성부
130 : 제어부 135 :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150 : 메모리부 152 :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154 : 지도 데이터베이스 160 : 입력부
170 : 표시부
200: 통신망 300 : 존 서비스 제공 장치
400 :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 500 : 기지국 정보 관리 장치

Claims (13)

  1. 존 서비스를 위한 가입 인증 요청이 있으면, 가입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제공하는 존 서비스 제공 장치;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와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상기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존 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존 서비스 제공 장치로 가입 인증을 요청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상기 기지국 정보와 상기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존 서비스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정된 존 서비스 표시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지도 상에서 존 서비스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정보는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정보이고, 상기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가 속해 있는 셀(Cell)에 위치한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기지국 정보가 있으면 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7.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부팅시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존 서비스 제공 장치로 가입 인증을 요청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존 서비스 가능한 상기 기지국 정보와 상기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존 서비스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정된 존 서비스 표시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존 서비스 요구에 따라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입 인증을 요청하여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1. 부팅시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입 인증을 요청하여 존 서비스 가능한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위치 정보와 기지국 정보를 비교하여 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존 서비스가 가능하면 존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GPS 위성 신호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존 서비스 표시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 상태를 표시자로 사용자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10093879A 2011-09-19 2011-09-19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0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79A KR20130030430A (ko) 2011-09-19 2011-09-19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79A KR20130030430A (ko) 2011-09-19 2011-09-19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430A true KR20130030430A (ko) 2013-03-27

Family

ID=4817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79A KR20130030430A (ko) 2011-09-19 2011-09-19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04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613A (ko) * 2013-11-08 2015-05-18 주식회사 케이티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영상 제공 방법 및 단말
KR20160079528A (ko) * 2014-12-26 2016-07-0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셀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설정을 변경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613A (ko) * 2013-11-08 2015-05-18 주식회사 케이티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영상 제공 방법 및 단말
KR20160079528A (ko) * 2014-12-26 2016-07-0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셀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설정을 변경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171942B2 (en) 2014-12-26 2019-01-01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Methods, apparatuse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hanging settings of mobile terminals using ce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1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file of terminal in mobile network
KR100809109B1 (ko) 방문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정보 제공
US793708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C car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communication charge notification method
US95164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6041171A1 (zh) 确定终端漫游状态的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JP2003264494A (ja) 電波状況作成方法
US11229012B2 (en) Dynamic modification of device band and radio access technology information
US1052412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nection right management
KR20130030430A (ko)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55910B1 (ko) 실시간 그룹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55922A (ko) 통화 서비스 수행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68445A (ko) 단말이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정보를 단말에 제공해주는 방법
US20210258730A1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2012169719A (ja)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端末による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74411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cost cellular roaming
US20170288800A1 (en) Local channels anywhere
JP2010016645A (ja) 携帯端末及び視聴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552467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장치 및 방법
KR20040035521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친구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3150A (ko) 단말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0737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통신 품질 확인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16009B1 (ko) 위치정보를 호신호로 접속하는 통신방법
CN107005598B (zh) 经由呈现信息的邻近服务(prose)的公共安全ue通信框架
WO2014064910A1 (ja) 位置情報管理装置、それ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装置の通信用プログラム、位置情報管理装置の通信方法
KR100910300B1 (ko) 가입자별 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