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426A - 공구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공구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426A
KR20220076426A KR1020220062177A KR20220062177A KR20220076426A KR 20220076426 A KR20220076426 A KR 20220076426A KR 1020220062177 A KR1020220062177 A KR 1020220062177A KR 20220062177 A KR20220062177 A KR 20220062177A KR 20220076426 A KR20220076426 A KR 2022007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module
suction
titanium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웅
Original Assignee
박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웅 filed Critical 박수웅
Priority to KR102022006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426A/ko
Publication of KR2022007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7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with a cutting liquid nozzle specially adaptable to different kinds of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06Turning-machines or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special arrangement of constructional units
    • B23B3/065Arrangements for performing other machining operations, e.g. milling,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5/00Auxiliary treatment of workpieces, before or during machining operations, to facilitate the action of the tool or the attainment of a desired final condition of the work, e.g. relief of internal stress
    • B23P25/003Auxiliary treatment of workpieces, before or during machining operations, to facilitate the action of the tool or the attainment of a desired final condition of the work, e.g. relief of internal stress immediately preceding a cutting tool
    • B23P25/006Heating the workpiece by laser during mach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예열하여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을 절삭 가공하는 티타늄 가공용 절삭 장치에 적용되어, 공구가 절삭 가공 중에 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공구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 역할을 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주축프레임, 회전축으로 중심으로 회전하고 공구가 장착되며 상기 주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축,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의 공작물을 고정하고 이송시키는 테이블 및 상기 주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가공되는 공작물의 표면을 가열하는 예열 장치를 포함하는 절삭 장치 적용되는 공구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외면에 저온의 냉매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분사되어 공구와 접촉한 냉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구 냉각 장치{Tool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공구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예열 방식을 채용한 티타늄 가공용 절삭 장치에 적용되는 공구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은 높은 비강도, 고인성, 고내식성, 경량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항공우주산업, 전자산업, 해양산업, 생체의료산업, 스포츠산업 등과 같이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 재료는 인체에 무해하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소재로서, 현재 의료용 제품의 제조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 재료는 용융점이 높고 고온에서 쉽게 산화하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티타늄 소재류나 기계부품류 등을 제조함에 있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형태로 제조하는데 기술적 한계 및 어려움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다.
또한,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은 절삭 가공이 용이하지 않아 난삭재로 분류되어 티타늄합금을 이용하여 항공기 부품이나 발전용 터빈 블레이드를 가공하는 업체에서는 대다수가 정확한 가공조건으로 절삭하기 보다는 숙련된 작업자의 가공경험을 기반으로 공정이 수행되는 일반적인 현실이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986184호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소재공급부, CNC 공작부, 및 후처리부로 이루어진 장치를 이용하여 티타늄 및 티타늄합금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소재를 소재공급부를 통하여 CNC 공작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CNC 공작부에서 상기 소재를 절삭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이 완료된 소재를 후처리부에서 후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CNC 공작부는 내부에 작업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작업공간에 구비되는 고정척, 팁부재, 백스핀들, 커터, 유체분사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재공급부에서 전달되는 소재가 유입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소재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척은 상기 소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팁부재는 상기 소재를 절삭가공하고, 상기 백스핀들은 상기 고정척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척에서 상기 소재를 전달받아 소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커터는 상기 소재를 절단하며, 상기 유체분사부재는 상기 소재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티타늄 및 티타늄합금 가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4-0086027호에는 재료의 특성이 우수한 반면에 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윤활제 사용 방법을 탈피하고 티타늄소재 자체의 표면처리 방법만으로 티타늄소재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2084206호에는 본 발명은, 티타늄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용도별로 최적화된 가공을 가능케 해주며, 가공 과정에 가공 오차 이탈을 최소화하여 양질의 가공품 획득이 가능한 티타늄 절삭 가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를 절삭하는 절삭장치에서 대상이되는 가공물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온도를 올린 후 가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방법은 공구의 가공 방향에 따라 레이저의 방향을 조절하여 지속적으로 고온의 대상물을 절삭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높은 가공 효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예열 방식의 경우에는 가공물의 온도를 올려 절삭성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으나, 공구가 예열된 가공물을 가공하는 경우 공구 자체의 온도가 증가되어 가공 정밀도와 공구 수명이 저하되므로, 절삭 가공 중에 해당 공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예열하여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을 절삭 가공하는 티타늄 가공용 절삭 장치에 적용되어, 공구가 절삭 가공 중에 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공구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 역할을 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주축프레임, 회전축으로 중심으로 회전하고 공구가 장착되며 상기 주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축,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의 공작물을 고정하고 이송시키는 테이블 및 상기 주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가공되는 공작물의 표면을 가열하는 예열 장치를 포함하는 절삭 장치 적용되는 공구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외면에 저온의 냉매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분사되어 공구와 접촉한 냉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부는 상기 예열 장치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공구를 향하여 냉매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이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예열 장치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공구를 향하여 분사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구가 관통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공구의 외면으로 냉매를 안내하는 중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과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중앙모듈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은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지지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부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가 관통되는 중앙홀; 상기 분사모듈과 연통되는 배출홀; 및 상기 흡입모듈과 연통되는 흡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모듈과 연결되는 배출몸체와 상기 흡입모듈과 연결되는 흡입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몸체와 흡입몸체는 상기 공구에 설치 시에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는 회전하는 공구의 외면에 냉각용 냉매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어 공구와 접촉한 냉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구만을 집중으로 냉각하여 예열 장치에 의하여 가열된 공작물의 온도 저감을 사전에 방지하여 난삭재인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을 효율적으로 절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가 적용되는 절삭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구의 작동 상태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예열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내부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중아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100) 도 1에 도시된 티타늄 가공용 절삭 장치(10)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절삭 장치(10)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재질의 공작물(1)을 예열하는 예열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삭 장치(10)는 고정프레임(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에 결합하는 주축프레임(12), 상기 주축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축(13) 및 상기 공작물(1)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에 결합하는 테이블(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삭 장치(10)는 CNC 장치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머시닝센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1)은 전체 가공장치(10)를 지지하는 구조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어도 절삭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절삭력 의한 변형과 진동 등에 의하여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강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축프레임(12)은 주축(13)과 테이블(14)의 이송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1)과 달리 결합한다.
예를 들면, 상기 테이블(14)이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3축 이송하는 경우 상기 주축프레임(12)은 상기 고정프레임(11)과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 테이블(14)이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고, 주축(13)이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3축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주축프레임(12)은 상기 고정프레임(11)에 대하여 상하로 이송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5축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주축프레임(12)은 상기 고정프레임(11)에 대하여 2개의 회전 가능한 결합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13)은 회전축(15)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15)은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주축(13)의 끝단에는 상기 회전축(15)과 동일한 중심으로 공구(2)가 장착된다. 즉, 상기 공구(2)는 상기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공작물(1)을 절삭한다.
그리고, 상기 공구(2)는 홀 천공 작업에서는 드릴로 구현될 수 있으나, 평면, 측면 또는 곡면 가공 시에는 엔드밀로 구현된다.
상기 테이블(13)은 상기 공작물(2)을 고정시키고, 구현 방식에 따라 상하,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 장치(10)는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에는 공작물 가공을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예열 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프레임(12)에 결합하여 공구(2)와 공작물(1)의 상대적인 이송 방향에 따라 공작물(1)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공작물(1)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레이저 모듈(21)과 상기 레이저 모듈(21)이 고정되어 상기 레이저 모듈(21)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모듈(22)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레이저 모듈(21)은 고정부재(23)에 결합하고, 별도의 전원에 의하여 레이저를 발생시켜 공작물(1) 표면에 다른 부품들과 간섭없이 레이저를 조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듈(22)은 상기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재(23)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 모듈(21)의 원주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조절모듈(22)은 레이저 모듈(21)에 의하여 조사되는 레이저의 포인터를 상기 공구(2) 이송 방향의 공작물(1)의 표면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절삭 장치(10)의 제어모듈과 정보 교환을 통하여 구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레이저 모듈(21)은 고정부재(23)에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100)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구(2)에 냉각용 냉매를 분사하는 분사부(31)와 공구(2)에 분사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100)는 회전하는 공구(2)에 냉각용 냉매를 분사하고, 분사된 냉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매는 저온의 기체 또는 액화 기체, 예를 들면, 액화 질소를 기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다른 저온의 기체 또는 액화 기체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공작물(1) 표면을 레이저를 조사하여 온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공구(2)를 통한 가공성이 향상되어 가공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나, 공구(2)의 온도 증가가 수반되어 가공이 진행될수록 공구(2)가 열화되어 정밀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냉매 분사를 통하여 공구(2)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분사부(31)로 냉매를 분사만 하여 공구(2)를 냉각시키는 경우 공구(2) 이외 부분으로도 저온의 냉매가 분출되어 접촉되므로, 온도가 저하가 된다.
특히 냉매가 레이저에 의하여 사전에 예열된 공작물(1)의 표면에도 접촉되어 온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32)는 상기와 같이 냉매가 공구(1) 이외의 부분으로 분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분사부(31)를 통하여 냉매를 상기 공구(1) 측에 배치하고, 배출된 냉매의 대부분은 상기 공구(1)의 주변과 접촉하여 공구(1)를 냉각시킨 후, 상기 흡입부(32)를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32)는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통되어 진공이 유지되며, 상기 흡입부(32)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냉매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처리한다.
상기 구성은 공구(2)의 외면을 별도의 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냉매를 통하여 냉각시키고 별도의 관을 통하여 흡입되어 배출되는 기본적인 구성이며, 실제 절삭 장치(10)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이저 모듈(21)의 회전과 같이 이송되는 경우 레이저 모듈(21)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3)에 일측이 고정되는 배출모듈(40), 상기 배출모듈(4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공구(2) 주변을 감싸는 중앙모듈(50) 및 상기 중앙모듈(5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재(23)에 고정되는 흡입모듈(6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배출모듈(40)은 별도로 저장되는 냉매를 공구(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연통관(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통관(41)은 적절한 강성을 가지며, 작업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연통관(41)의 외부에 절적한 강성과 유연성을 특성을 갖는 안내부(42)가 추가로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통관(41)은 높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절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듈(60)은 상기 배출모듈(40)과 동일한 구조로 연통관(61) 및 안내부(6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배출모듈(40)은 연통관(41)과 안내부(4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흡입모듈(60)은 연통관(61)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모듈(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공구(2)를 수용하고, 공구(2)의 원주 방향으로 냉매를 접촉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구(2)의 일부를 감싸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에 상기 공구(2)가 관통하도록 상하에 형성되는 중앙홀(52), 상기 배출모듈(40)의 연통관(41)과 연결되어 연통되는 배출홀(53)과 상기 흡입모듈(60)의 연통관(61)과 연결되어 연통되는 흡입홀(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홀(52)은 수용되는 공구(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구(2)와 직접적인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하며, 2 직경의 차이는 가능한 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냉매의 외부 배출량을 줄이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51)의 내부 공간은 냉매와 공구(2)가 접촉하는 영역이므로, 온도 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51)는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중앙모듈(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51)가 배출모듈(40)과 연결되는 배출몸체(56)와 흡입모듈(60)과 연결되는 흡입몸체(57)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시에는 공구(2)를 중심으로 배출몸체(56)와 흡입몸체(57)를 결합하여 단일 몸체(51)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몸체(56)와 흡입몸체(57)의 접촉부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양자를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형으로 상기 중앙모듈(50)을 구성하는 경우 설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냉각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공작물 2: 공구
10: 절삭 장치 11: 고정프레임
12: 주축프레임 13: 주축
14: 테이블 15: 회전축
20: 예열 장치 21: 레이저 모듈
22: 조절모듈 23: 고정부재
31: 분사부 32: 흡입부
40: 배출모듈 41: 연통관
42: 안내부 50: 중앙모듈
51: 몸체 52: 중앙홀
53: 배출홀 54: 흡입홀
56: 배출몸체 57: 흡입몸체
60: 흡입모듈 61: 연통관
62: 안내부 100: 공구 냉각 장치

Claims (8)

  1. 구조 역할을 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주축프레임, 회전축으로 중심으로 회전하고 공구가 장착되며 상기 주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주축,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의 공작물을 고정하고 이송시키는 테이블 및 상기 주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작물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가공되는 공작물의 표면을 가열하는 예열 장치를 포함하는 절삭 장치 적용되는 공구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외면에 저온의 냉매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에 분사되어 공구와 접촉한 냉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예열 장치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공구를 향하여 냉매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이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예열 장치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공구를 향하여 분사된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구가 관통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공구의 외면으로 냉매를 안내하는 중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과 상기 흡입모듈은 상기 중앙모듈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모듈 및 상기 흡입모듈은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지지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가 관통되는 중앙홀;
    상기 분사모듈과 연통되는 배출홀; 및
    상기 흡입모듈과 연통되는 흡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모듈과 연결되는 배출몸체와 상기 흡입모듈과 연결되는 흡입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몸체와 흡입몸체는 상기 공구에 설치 시에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냉각 장치.
KR1020220062177A 2022-05-20 2022-05-20 공구 냉각 장치 KR20220076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77A KR20220076426A (ko) 2022-05-20 2022-05-20 공구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77A KR20220076426A (ko) 2022-05-20 2022-05-20 공구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426A true KR20220076426A (ko) 2022-06-08

Family

ID=8198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177A KR20220076426A (ko) 2022-05-20 2022-05-20 공구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4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77B1 (ko) * 2022-10-25 2023-12-04 주식회사 아스트 Mct 레이저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77B1 (ko) * 2022-10-25 2023-12-04 주식회사 아스트 Mct 레이저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708B1 (ko) 5축 가공기의 레이저 보조 턴-밀 시스템
US64546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coolant in a grinding machine
US10596717B2 (en) Methods of cutting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workpieces with a pure waterjet
KR20220076426A (ko) 공구 냉각 장치
CN107234445A (zh) 一种高速、高精度五轴超声加工机床
EP1772526B1 (en) Device for improving residual stress of piping
JP2017515678A (ja) ハイブリッド付加・除去加工センタの処理ヘッド
CN113523311B (zh) 一种马氏体不锈钢车削装置及其车削工艺
JP2018167326A (ja) 肉盛装置、ねじ軸の製造方法、ねじ軸、及びねじ装置
JP2020062734A (ja) 切粉誘導装置
CN114850653A (zh) 一种集成超声辅助磨削和激光加工的复合机床及加工方法
JPH04289038A (ja) レーザ加工可能な複合型工作機械
CN219094052U (zh) 一种激光切割机用降温装置
US20210008630A1 (en) Machine tool
CN109048088A (zh) 一种长脉冲激光与等离子体射流复合加工微孔的方法及装置
KR20220076425A (ko) 티타늄 가공용 절삭 장치
JP5262364B2 (ja) 熱処理装置、熱処理方法、及び、複合加工機
CN108838630A (zh) 一种弧面凸轮加工工艺
CN108856784A (zh) 落地式立卧组合镗铣数控机床
US20200171610A1 (en) Tool unit
CN210677380U (zh) 一种带有清洁装置的激光加工机
KR100835614B1 (ko) 복합가공기
CN215788568U (zh) 一种钼板坯加工用多角度冷却液喷射装置
TWI798946B (zh) 加工冷卻系統
CN109014508B (zh) 一种钛杯用氩气保护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