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179A -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 - Google Patents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179A
KR20220076179A KR1020200165074A KR20200165074A KR20220076179A KR 20220076179 A KR20220076179 A KR 20220076179A KR 1020200165074 A KR1020200165074 A KR 1020200165074A KR 20200165074 A KR20200165074 A KR 20200165074A KR 20220076179 A KR20220076179 A KR 20220076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on nitride
nitride film
amorphous boron
amorphou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진
신현진
이창석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179A/ko
Priority to CN202110799177.2A priority patent/CN114578460A/zh
Priority to US17/459,537 priority patent/US20220171098A1/en
Priority to EP21195678.4A priority patent/EP4006591A1/en
Publication of KR2022007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34Nitrides
    • C23C16/342Boron nitr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antireflection means or light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e.g. anti-halation, contrast enhanc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01L21/0276Photolithographic processes u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2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multilayer mask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01L27/14607Geometry of the photosensitiv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01L27/14645Colour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168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the coatings being antireflective or having enhancing optical properties for th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51/5253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Amorphous boron nitride film and anti-reflection coat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장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광의 반사로 인해 콘트라스트(contrast)가 저하되거나 이미지가 겹쳐 보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사 방지막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amorphous structure)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hybrid bond)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이 제공된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속막 내에서의 상기 질소에 대한 붕소의 함량 비율은 0.5 내지 2.0이 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0.5 rms(root-mean-square) 이하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2.5 이하의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6.0 eV 이하의 에너지 밴드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8 g/c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내에서의 수소 함량은 10 at% 미만이 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두께는 상기 질화 붕소막에 입사되는 광의 중심파장의 1/4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8 g/c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과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사이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층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질층은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에 2차원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에 마련되는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가 제공된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상기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컬러 필터층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컬러 필터층에 2차원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에 마련되는 포토레지스트층;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층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리소그래피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0.5 rms 이하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과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사이에는 열분산층(heat spreading layer)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사이에는 보호 필름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 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낮은 굴절률, 우수한 열적,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 등과 같은 반사 방지막에 요구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 리소그래피용 소자,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소자 등과 같이 반사 방지가 요구되는 다양한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분석 결과에 따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TEM 이미지 및 회절 패턴(diffraction pattern)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TEM 분석 결과에 따른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의 TEM 이미지 및 회절 패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결정질 질화 붕소막,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Raman Spectrums)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FT-IR(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의 유전 상수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밀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다양한 물질에서의 유전 상수와 밀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다양한 물질에서의 유전 상수와 항복장(breakdown field)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온도에 따른 항복 바이어스(breakdown bias)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HR-RBS(High Resolution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b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HR-ERDA(High Resolution Elastic Recoil Detection Analysis)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결정질 질화 붕소막,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광 파장에 따른 흡수율(absorption)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NEXAFS(Near Edge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 및 XPS 분석 결과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소그래피 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 아래, 좌, 우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 아래, 좌, 우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이러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으며, 반드시 기재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100)는 기판(110)과 이 기판(110)에 마련되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amorphous boron nitride film,120)을 포함한다.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100)는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리소그래피용 소자, 태양전지,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빛 반사의 방지가 요구되는 대상물(object)이 될 수 있다. 이 기판(110)에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정질 질화 붕소막,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해 설명한다.
결정질 질화 붕소막(cystalline boron nitride film)은 대략 100nm 보다 큰 크기의 결정립들(crystal grains)을 포함하는 질화 붕소막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정질 질화 붕소막은 예를 들면, 육방정계 질화붕소막(h-BN; hexagonal boron nitride film) 또는 입방정계 질화 붕소막(c-BN: cubic boron nitrid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nc-BN: nanocrystalline boron nitride film)는 결정질 질화 붕소막 보다 작은 크기의 결정립들을 포함하는 질화 붕소막을 의미한다.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은 대략 100nm 이하 크기의 결정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은 0.5nm ~ 100nm 크기의 결정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a-BN; amorphous boron nitride film, 120)는 비결정질 구조를 포함하는 질화 붕소막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미만이 될 수 있다. 한편, 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에는 수 nm (예를 들면, 대략 3nm 이하) 정도 크기의 결정립들이 소량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 내에서 질소에 대한 붕소의 함량 비율이 예를 들면, 대략 0.5 내지 2.0 정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질소에 대한 붕소의 함량 비율은 0.9 내지 1.1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더 수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수소 함량은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 함량은 대략 10 at% (atomic percent) 미만이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 내에서 수소 함량이 작을 수 있으므로,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저 굴절률(low refractive index)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굴절률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대략 1.0 내지 1.5 정도가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저 유전상수(low dielectric constant)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유전 상수는 대략 2.5 이하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유전 상수는 1.0 ~ 2.5가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밀도는 대략 1.8 g/cm3 이상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밀도는 1.8 g/cm3 ~ 2.5 g/cm3 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에너지 밴드갭은 대략 6.0 eV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는 0.5 rms(root-mean-square) 이하가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낮은 굴절률, 우수한 열적,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을 반사 방지막으로 사용하여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반사율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공기와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의 계면에서의 반사광 상쇄 간섭 발생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께(t)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100)에 입사되는 광의 중심 파장이 λ라 할 때,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대략 λ/4의 두께(t)로 형성되면 반사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입사광이 400nm의 파장을 가지는 경우에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대략 100nm 정도의 두께로 기판(110)에 형성됨으로써 반사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입사광이 300nm ~ 8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경우에는 입사광의 중심 파장은 550nm 정도가 되므로,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은 대략 135nm ~ 140nm 정도의 두께로 기판(110)에 형성됨으로써 반사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120)을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공정 챔버(미도시)의 내부에 기판(210)을 준비한다. 여기서, 기판(210)은 도 1에 도시된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100)에서 반사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판(110)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210)은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 리소그래피용 소자,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소자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자에 채용된 구조물이 될 수 있다.
기판(210)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도 2c의 220)을 성장시키기 위한 성장용 기판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판(210)은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210)은 반도체 물질, 절연 물질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물질은 IV족 반도체 또는 반도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IV족 반도체는 예를 들면, Si, Ge 또는 Sn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화화물은 예를 들면, Si, Ge, C, Zn, Cd, Al, Ga, In, B, C, N, P, S, Se, As, Sb 및 Te 중에서 적어도 2개의 원소가 결합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절연 물질은 예를 들면, Si, Ni, Al, W, Ru, Co, Mn, Ti, Ta, Au, Hf, Zr, Zn, Y, Cr, Cu, Mo 및 Gd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예를 들어, SiCOH계 조성으로 N 또는 F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전율 저하를 위해 기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판은 도펀트(dopan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상에서 언급된 기판의 물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한편, 공정 챔버 내부에 기판(210)을 배치시키기 전에 기판(210)을 전처리(pre-treatment)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판(210)을 아세톤과 같은 유기 용매에 담궈 초음파 처리한 후, IPA(iso-propenyl alcohol)와 질소 가스로 세정할 수 있다. 세정된 기판(210)의 표면을 산소 수소, NH3 등의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표면에 남아 있는 탄소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판(210)을 HF 용액에 담궈서 자연 산화물을 제거할 수도 있고, 무수 에탄올과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잔류 HF 용액을 제거할 수도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성장시키기 위한 공정 온도는 통상적인 화학 기상 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에 사용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성장시키기 위한 공정 온도는 대략 400℃이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성장시키기 위한 공정 온도는 대략 15℃ ~ 400℃가 될 수 있다. 한편, 공정 온도가 400℃ 보다 크고 700℃ 이하인 경우에는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이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성장시키기 위한 공정 압력은 대략 10mTorr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성장시키기 위한 공정 압력은 대략 10mTorr ~ 1Torr가 될 수 있다.
이어서, 공정 챔버의 내부에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의 성장을 위한 반응 가스를 주입한다. 반응 가스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의 성장을 위한 질화 붕소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질화 붕소 소스는 예를 들어, 보라진(borazine, B3N3H6) 또는 암모니아-보란(NH3-BH3) 등과 같은 질소와 붕소 모두를 포함하는 소스일 수 있다. 또한, 질화 붕소 소스는 질소를 포함하는 질소 소스와 붕소를 포함하는 붕소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질소 소스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NH3) 및 질소(N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붕소 소스는 BH3, BF3, BCl3, B2H6, (CH3)3B 및 (CH3 CH2)3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 가스는 불활성 가스(inert ga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활성 가스는 예를 들면, 아르곤 가스, 네온 가스, 질소 가스, 헬륨 가스, 크립톤 가스 및 크세논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응 가스는 플라즈마에 의한 활성화(activation)를 촉진시키기 위해 수소 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는 질화 붕소 소스로서 보라진(B3N3H6)을 사용하고, 불활성 가스로서 아르곤 가스를 사용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정 챔버 내부로 주입되는 반응 가스의 혼합비는 공정 챔버 내에 유입되는 질화 붕소용 소스, 블활성 가스 및 수소 가스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응 가스 내에서 질화 붕소용 소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작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공정 챔버 내로 유입되는 질화 붕소용 소스의 유량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형성하기 위해서 공정 챔버 내부로 주입되는 질화 붕소용 소스 및 불활성 가스의 부피비(volume ratio)는 예를 들면 대략 1:10~5000 정도가 될 수 있으며, 질화 붕소용 소스 및 불활성 가스 및 수소 가스의 부피비(volume ratio)는 예를 들면 대략 1:10~5000:10~500 정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응 가스 내에서 질화 붕소용 소스가 차지하는 부피 비율이 작기 때문에 기판(210)의 표면에는 결정성이 거의 없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과량의 질화 붕소용 소스가 공정 챔버의 내부로 공급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이 불규칙적으로 성장할 수도 있고, 전구체의 흡착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질화 붕소용 소스의 유량은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질화 붕소용 소스의 유량(flow rate)은 대략 0.05sccm(standard cubic centimeters)이고,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대략 50sccm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소 가스의 유량은 대략 50sccm 이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공정 챔버내로 반응 가스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플라즈마 장치에 의해 공정 챔버 내에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파워는 예를 들면, 대략 10W ~ 4000W 정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파워는 대략 60W 정도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라즈마 장치는 유도결합 플라즈마(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Microwave Plasma), 축전결합 방전 플라즈마(Capacitively Coupled Discharge Plasma), 전자 사이클로트론 공명 플라즈마(ECR Plasam;Electron Cyclotron Resonance Plasma), 헬리콘 플라즈마(Helicon Plasam) 등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라즈마 장치로부터 공정 챔버 내부에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파워가 인가되면, 공정 챔버의 내부에는 전기장이 유도되며 이렇게 유도된 전기장에 의해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의 성장을 위한 플라즈마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질화 붕소 소스, 불활성 가스 및 수소 가스가 혼합된 반응 가스의 플라즈마에 의해 질소 원자 및 붕소 원자가 활성화되고, 이렇게 활성화된 질소 원자(N*) 및 붕소 원자(B*)는 기판(210)의 표면에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불활성 가스의 플라즈마가 기판(210)의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유도함으로써 기판(210)의 표면에는 활성화된 질소(N*) 및 활성화된 붕소(B*)의 흡착이 가속화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기판(210)의 표면에 활성화된 질소(N*) 및 활성화된 붕소(B*)의 흡착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판(210)의 표면에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이 성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온(즉, 400℃ 이하의 온도)에서 기판(210)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의 활성화된 질소(N*) 및 활성화된 붕소(B*)가 흡착되기 때문에 기판(210)의 표면에는 결정성이 거의 없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이 성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기판(210)에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직접 성장시켜 형성한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기판(210)에 형성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을 기판(210)으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기판이나 소자에 전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이 될 수 있다. 이러한 sp3 혼성 결합의 비율은 예를 들어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한편,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에는 수 nm(예를 들면, 대략 3nm 이하) 크기의 결정립들(cryatal grains)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의 형성 공정에서 공정 조건들(예를 들면, 공정 온도, 공정 압력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이 형성될 수 있다.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nm 이하의 크기의 결정립들을 포함하고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 내에서 질소에 대한 붕소의 함량 비율이 예를 들면, 대략 0.5 내지 2.0 정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질소에 대한 붕소의 함량 비율은 0.9 내지 1.1 정도가 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더 수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소 함량은 예를 들어, 대략 10 at% 미만이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 대략 1.0 내지 1.5 정도의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대략 2.5 이하의 낮은 유전 상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의 유전 상수는 1.0 ~ 2.5가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대략 1.8 g/cm3 이상의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대략 0.5 rms 이하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대략 6.0 eV 이하의 에너지 밴드갭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에 다른 층들을 형성함으로써 소자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220)은 기판(210)으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기판이나 소자에 전사되어 반사 방지막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래 [표 1]은 결정질 질화 붕소막(구체적으로, h-BN),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nc-BN) 및 비정질 질화 붕소막(a-BN)의 특성들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예시적인 실험 결과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633nm 파장의 빛에 대한 굴절률이해 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 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은 공기의 굴절률과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결정질 질화 붕소막 보다 밀도가 커서 우수한 기계적 내구성(mechanical inertness)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 보다 작은 유전 상수를 가지고 있다.
육방정계의 질화 붕소막(h-BN)은 대략 6.05eV의 에너지 밴드 갭을 가지며, 비정질 질화 붕소막(a-BN)은 대략 5.96eV의 에너지 밴드 갭을 가지고,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nc-BN)은 대략 5.85eV의 에너지 밴드 갭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 결정질 질화 붕소막(nc-BN)은 육방정계의 질화 붕소막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낮다. 따라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화학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2]는 SiO2, 저굴절 폴리머(Low RI Polymer; low refractive index polymer), MgF2 및 비정질 질화 붕소막(a-BN)의 특성들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예시적인 실험 결과이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SiO2 및 저굴절 폴리머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저굴절 폴리머 보다 큰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SiO2 및 저굴절 폴리머 보다 큰 경도(hardness)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계적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MgF2는 낮은 굴절률 및 높은 밀도는 가지고는 있으나, 산화(oxidation) 및 낮은 화학적 내구성(chemical inertness)으로 인해 보호막(passivation)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공기와 유사할 정도의 낮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밀도 및 경도가 높아 기계적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다른 층과의 접착성(adhesion)도 우수하며, 이외에도 열적, 화학적 내구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자외선 영역에서 가시광선 영역의 빛에 대해 높은 투과도를 가지고 있으며, 확산 배리어(diffusion barrier) 특성도 우수하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0.5 rms 이하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표면을 매우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특징들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a-BN"는 400℃의 공정 온도에서 ICP-CVD(Inductively Coupled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형성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nc-BN"은 400℃의 공정 온도에서 ICP-CVD에 의해 형성된 나노결정절 질화 붕소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분석 결과에 따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TEM 이미지 및 회절 패턴(diffraction pattern)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TEM 이미지로부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구성하는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3b에 도시된 회절 패턴은 비정질 필름의 전형적인 확산 회절 패턴임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TEM 분석 결과에 따른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의 TEM 이미지 및 회절 패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서는 나노 크기의 결정립들이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00℃ 보다 높은 700℃의 공정 온도에서는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결정질 질화 붕소막,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Raman Spectrums)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SiO2/Si”는 SiO2/Si 기판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a-BN”는 400℃의 공정 온도에서 SiO2/Si 기판에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형성한 다음에 측정한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nc-BN”은 700℃의 공정 온도에서 SiO2/Si 기판에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을 형성한 다음에 측정한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Tri-BN”은 SiO2/Si 기판에 3층의 육방정계 질화 붕소막을 에피 성장한 다음 측정한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육방정계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에서는 대략 1370 cm-1에서 피크가 존재하며, 이루부터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은 결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에서는 피크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결정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FT-IR(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는 입사각 60°에서 s-편광을 이용하여 측정된 FT-IR 스펙트럼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FT-IR 스펙트럼에서는 대략 1370 cm-1 근처에서 횡단 광학 모드(transverse optical mode)에 기인한 흡수 피크가 존재하고, 1570cm-1 근처에서 또 다른 흡수 피크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이 비정질 특성을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FT-IR 스펙트럼에서는 대략 1370 cm-1 근처에서 횡단 광학 모드(transverse optical mode)에 기인한 흡수 피크가 존재하지만, 1570cm-1 근처에서는 흡수 피크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은 비정질 특성을 갖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7a는 각각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XPS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XPS 프로파일에서 붕소의 1s에 대한 피크는 190.4eV이고, 질소의 1s에 대한 피크는 397.9eV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붕소와 질소 각각의 피크 크기를 기초로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서 붕소와 질소의 원자비는 대략 1: 1.08 정도가 됨을 알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이 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XPS 프로파일에서 붕소의 1s에 대한 피크는 190.4eV이고, 질소의 1s에 대한 피크는 397.9eV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서의 붕소의 1s에 대한 피크 및 질소의 1s에 대한 피크는 각각 비정질의 질화 붕소막에서의 붕소의 1s에 대한 피크 및 질소의 1s에 대한 피크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에서 붕소와 질소의 원자비는 대략 1: 1.08 정도가 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의 유전 상수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는 유전 상수를 50회 이상 측정한 결과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굵은 선은 평균 유전 상수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유전 상수는 동작 주파수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100kHz의 동작 주파수에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평균 유전 상수는 대략 1.78 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1MHz 동작 주파수에서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평균 유전 상수는 대략 1.16으로 공기 또는 진공의 유전 상수에 가까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낮은 유전 상수는 붕소 원자와 질소 원자 사이의 비극성 결합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유전 상수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의 평균 유전 상수는 50kHz 내지 1MHz의 동작 주파수 범위에서, 2.5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의 평균 유전 상수는 2.3 ~ 2.5 정도가 될 수 있다. 한편, 육방정계 질화 붕소막의 평균 유전 상수는 50kHz 내지 1MHz의 동작 주파수 범위에서, 2.9 ~3.8 정도로 측정되었다.
도 9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밀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Si 기판 상에 40 nm 두께를 갖는 비정질의 질화 붕소막을 성장한 후, 기판에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두께 방향에 따른 질량 밀도를 시뮬레이션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a-BN)의 질량 밀도는 약 2g/cm3임을 확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유전 상수는 낮지만 밀도는 높아서 기계적 강도는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물질에서의 유전 상수와 밀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부분 물질의 유전 상수와 밀도는 비례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전 상수가 낮은 물질은 밀도가 낮아서 기계적 강도가 낮을 수 있다. 그러나, 비정질의 질화 붕소막은 유전 상수가 약 2일 때 밀도가 약 2g/cm3으로서 다른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물질에서의 유전 상수와 항복장(breakdown field)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전 상수와 항복장은 비례 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유전 상수가 2에 가까운 다른 물질들에 비해 비정질 질화 붕소막(a-BN)의 항복장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a-BN)과 육방정계 질화 붕소막(h-BN)의 유전 상수 및 항복장을 측정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100kHz 및 1MHz의 동작 주파수에서 유전 상수가 2이하로서 육방정계 질화 붕소막의 유전 상수보다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항복장은 7.3 MV/cm로서, 육방정계 질화 붕소막의 항복장보다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온도에 따른 항복 바이어스(breakdown bias)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에서 "Co/a-BN/Si"는 Si 기판에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Co층을 순차적으로 증착한 경우를 나타내며, "Co/Ti/Si"는 Si 기판에 Ti층 및 Co층을 순차적으로 증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항복 바이어스는 온도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항복 전압이 작아진다 하더라도, 비정질의 질화 붕소막의 항복 바이어스는 TiN층의 항복 바이어스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정질의 질화 붕소막은 다양한 온도에서도 안정적임을 의미한다.
도 13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FT-IR 스펙트럼에서는 B-H bond 및 N-H bond에 대응하는 파수(wavenumber)에서는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수소와 관련된 bond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4a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HR-RBS(High Resolution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b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HR-ERDA(High Resolution Elastic Recoil Detection Analysis)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에는 240keV ~ 400keV의 binding enery 범위에서 측정된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b에는 52keV ~ 68keV의 binding enery 범위에서 측정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기판의 원소인 Si 와 O가 측정되었고,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원소인 B와 N도 측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소도 측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4]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측정 결과들을 이용하여 계산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조성비를 나타낸 것이다.
[표 4]
Figure 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붕소와 질소의 비는 대략 1.04:1 정도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 내에서의 수소 함량은 5.5 at%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결정질 질화 붕소막,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광 파장에 따른 흡수율(absorption)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는 자외선 파장 영역의 빛에 대한 흡수율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결정질 질화 붕소막 및 나노결정질 질화 붕소막은 대략 100nm 파장 대역의 빛에 대해 높은 흡수율을 나타내는 반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대략 100nm 파장 대역의 빛에 대해 흡수율이 낮아 높은 광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 대한 NEXAFS(Near Edge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 내에서 sp2 혼성 결합에 의해 형성된 B-N planes이 임의의 방향성을 가지고 랜덤하게 배향되어(oriented)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 및 XPS 이미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7a에는 SiO2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a에서 "Bare SiO2"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이 성장되지 않은 SiO2 기판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a-Si film"은 SiO2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약 30W 플라즈마 전력 및 약 300℃의 공정 온도에서 구리 포일(Cu foil) 상에 성장된 다음, SiO2 기판에 전사되었다. 도 17a를 참조하면, SiO2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라만 스펙트럼 결과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이 성장되지 않는 SiO2 기판의 라만 스펙트럼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SiO2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SiO2 기판과 마찬가지로 비정질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7b에는 SiO2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XPS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SiO2 기판에 전사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에서는, 전술한 400℃의 공정 온도에서 성장된 비정질 질화 붕소막과 동일하게 붕소의 1s에 대한 피크는 190.4eV이고, 질소의 1s에 대한 피크는 397.9eV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붕소와 질소 각각의 피크 크기를 기초로 붕소와 질소의 원자비는 약 1: 1.08이고, sp2 결합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낮은 굴절률, 우수한 열적,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반사 방지막으로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소자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3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300)는 기판(310),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 제1 및 제2 물질층(330,3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물질층(330,340)은 기판(310)과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310)의 상면에 제2 물질층(340)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 물질층(340)의 상면에 제1 물질층(330)이 마련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은 제1 물질층(33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물질층(330,340)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물질층(330)은 제2 물질층(340)의 굴절률 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에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은 대략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물질층(330)은 예를 들면, 대략 2.0 내지 2.3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물질층(340)은 예를 들면, 대략 1.5 내지 1.8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물질층(330)은 예를 들면, ZrO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물질층(340)은 예를 들면, CeF3 또는 AlOx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제1 및 제2 물질층(330,340)은 각각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과 제1 및 제2 물질층(330,340)은 반사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300)에 입사되는 광의 중심 파장이 λ라 할 때,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이 대략 λ/4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1 물질층(330)이 대략 λ/2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2 물질층(340)이 대략 λ/4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반사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기판(310)과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 사이에 2개의 물질층(330,340)이 마련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310)과 비정질 질화 붕소막(320) 사이에 하나의 물질층이 마련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물질층들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4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400)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400)는 기판(410)과, 기판(410)에 마련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450)와, 복수의 포토다이오드(450)에 마련되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420)과, 비정질 질화 붕소막(420)에 마련되는 컬러 필터층(460)을 포함한다.
기판(410)에는 픽셀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450)가 2차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포토다이오드들(450)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455)가 마련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들(450)은 입사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기판(410)에는 포토다이오드들(450)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금속 배선(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 필터층(460)은 포토다이오드들(450)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컬러필터(460R,460G,46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컬러 필터(460R,460G,460B)는 예를 들면, 적색 컬러필터(460R), 녹색 컬러필터(460G) 및 청색 컬러필터(46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컬러 필터층(460)에는 복수의 컬러 필터(460R,460G,460B)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4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420)은 컬러 필터층(460)과 포토다이오드들(4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420)은 컬러 필터층(460)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낮은 굴절률 및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42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비정질 질화 붕소막(420)이 이미지 센서(400)에 반사 방지막으로 적용됨으로써 픽셀들 각각의 집광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픽셀들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빛 간섭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소그래피 소자(5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리소그래피 소자(500)는 기판(510)과, 기판(510)에 마련되는 포토레지스트층(550)과, 기판(510)과 포토레지스층(550) 사이에 마련되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510)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고자 하는 구조물이 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520)은 포토레지스트층(550)을 투과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정질 질화 붕소막(52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520)의 표면은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균일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520)의 표면은 대략 0.5 rms 이하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서, 소정 파장의 광(예를 들면, 자외선)이 포토마스크(미도시)를 통해 포토레지스트층(550)에 입사되면 비정질 질화 붕소막(520)은 포토레지스트층(550)을 투과한 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포토레지스층(550)을 원하는 형태로 정확하게 패터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터층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510)을 식각하게 되면, 원하는 형태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초미세 집적을 위한 EUV(Extreme Ultraviolet) 또는 DUV(Deep Ultraviolet)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는 패턴의 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 패터닝하고자 하는 기판의 광 반사에 의한 LER(Line Edge Roughness) 또는 LWR(Line Width Roughness)의 증가가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낮은 굴절률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520)을 기판(510)과 포토레지스트층(550) 사이에 반사 방지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초미세 패턴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600)는 광 흡수층(610)과 이 광흡수층(610)에 마련되는 비정질 질화붕소막(620)을 포함한다. 광 흡수층(610)은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반도체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층(610)과 비정질 질화 붕소막(620) 사이에는 광 흡수층(6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열분산층(heat spreading layer, 640)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열분산층(640)과 비정질 질화 붕소막(620) 사이에는 투명 기판(630)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620)은 입사광의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태양전지(6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62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600)에 비정질 질화 붕소막(620)을 형성함으로써 광 흡수층(610)에 입사되는 광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며, 반사광으로 인한 광 손실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7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소자(700)는 디스플레이 패널(710)과 이 디스플레이 패널(710)에 마련되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7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710)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710)의 상면에는 투명 기판(73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투명 기판(730)의 상면에는 시야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편광판(polarizer, 74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편광판(740)의 상면에는 보호 필름(75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720)은 보호 필름(750)의 상면에 반사 방지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정질 질화 붕소막(72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 필름(750)은 비정질 질화 붕소막(720)의 굴절률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에서, 비정질 질화 붕소막(720)은 대략 1.0 내지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750)은 예를 들면, 대략 1.6 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710)에 반사 방지막의 역할을 하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720)을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700)를 보고 있는 사람의 눈에 들어오는 반사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비정질 질화 붕소막(420,520,620,720)이 이미지 센서(400), 리소그래피용 소자(500), 태양전지(600), 디스플레이 소자(700)에 적용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반사 방지가 요구되는 다른 다양한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낮은 굴절률, 우수한 열적,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 등과 같은 반사 방지막에 요구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반사 방지가 요구되는 다양한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0,300..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
110,210,310,510.. 기판
120,220,320,420,520,620,720.. 비정질 질화 붕소막
330.. 제1 물질층
340.. 제2 물질층
400.. 이미지 센서
450.. 포토다이오드
455.. 블랙 매트릭스
460.. 컬러필터층
460R.. 적색 컬러필터
460G.. 녹색 컬러필터
460B.. 청색 컬러필터
470.. 마이크로 렌즈
500.. 리소그래피 소자
550.. 포토레지스트층
600.. 태양전지
610.. 광 흡수층
630,730.. 투명 기판
640.. 열분산층
700.. 디스플레이 소자
710.. 디스플레이 패널
740.. 편광판
750.. 보호필름

Claims (28)

  1.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amorphous structure)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hybrid bond)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
  2. 제 1 항에 있어서,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은 1.0 내지 1.5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에 대한 붕소의 함량 비율은 0.5 내지 2.0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는 0.5 rms(root-mean-square) 이하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는 2.5 이하인 질화 붕소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에너지 밴드갭은 6.0 eV 이하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밀도는 1.8 g/cm3 이상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내의 수소 함량은 10 at%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
  9.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은 1.0 내지 1.5인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두께는 상기 질화 붕소막에 입사되는 광의 중심파장의 1/4 인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밀도는 1.8 g/cm3 이상인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사이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층이 더 마련되는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질층은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는 반사방지 코팅 구조체.
  15. 기판;
    상기 기판에 2차원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에 마련되는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은 상기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컬러 필터층 사이에 마련되는 이미지 센서.
  17. 제 15 항에 있어서,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은 1.0 내지 1.5인 이미지 센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컬러 필터층에 2차원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19. 기판;
    상기 기판에 마련되는 포토레지스트층; 및
    상기 기판과 상기 포토레지스트층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리소그래피 소자.
  20. 제 19 항에 있어서,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은 1.0 내지 1.5인 리소그래피 소자.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표면 거칠기는 0.5 rms 이하인 리소그래피 소자.
  22.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23. 제 22 항에 있어서,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은 1.0 내지 1.5인 태양전지.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과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사이에는 열분산층(heat spreading layer)이 더 마련되는 태양전지.
  25.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되는 것으로, sp3 혼성 결합과 sp2 혼성 결합으로 구성된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sp3 혼성 결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미만인 비정질 질화 붕소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26. 제 25 항에 있어서,
    100nm 내지 1000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은 1.0 내지 1.5인 디스플레이 소자.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 사이에는 보호 필름이 더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소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비정질 질화 붕소막의 굴절률 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소자.



KR1020200165074A 2020-11-30 2020-11-30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 KR20220076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074A KR20220076179A (ko) 2020-11-30 2020-11-30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
CN202110799177.2A CN114578460A (zh) 2020-11-30 2021-07-15 非晶氮化硼膜和包括其的抗反射涂层结构体
US17/459,537 US20220171098A1 (en) 2020-11-30 2021-08-27 Amorphous boron nitride film and anti-reflection coat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EP21195678.4A EP4006591A1 (en) 2020-11-30 2021-09-09 Amorphous boron nitride film and anti-reflection coat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074A KR20220076179A (ko) 2020-11-30 2020-11-30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179A true KR20220076179A (ko) 2022-06-08

Family

ID=7771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074A KR20220076179A (ko) 2020-11-30 2020-11-30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71098A1 (ko)
EP (1) EP4006591A1 (ko)
KR (1) KR20220076179A (ko)
CN (1) CN114578460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9202B1 (fr) * 2005-08-01 2007-09-14 Saint Gobain Procede de depot d'une couche anti-ray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6591A1 (en) 2022-06-01
CN114578460A (zh) 2022-06-03
US20220171098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161B2 (ja) 光電池用途のための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
JP5803937B2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Kim et al. Transparent hybrid inorganic/organic barrier coatings for plasti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substrates
CN112768571B (zh) 一种微型发光二极管结构的制造方法
WO2011140355A2 (en) Oxide nitride stack for backside reflector of solar cell
Vaseashta et al.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Vacuum‐Evaporated Mixed‐Halide Perovskite Layers on Nanotextured Black Silicon
CN101680986A (zh) 使用碳化硅基层形成的二色性滤光镜
WO2005078154A1 (ja)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及びタンデム型薄膜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KR20220076179A (ko) 비정질 질화 붕소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코팅 구조체
CN113013267A (zh) 太阳能电池、电池钝化层的制作方法和太阳能组件
JP2009290196A (ja) 光検出器、および半導体ナノ粒子埋め込みSi絶縁膜の製造方法
EP4009350A1 (en) Hard mask including amorphous or nanocrystalline boron nitrid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hard mask, and patterning method using the hard mask
Lee et al. Effects of oxygen plasma post-treatment on Ga-doped ZnO films grown by thermal-mode ALD
Gogoi et al. Structural and optical studies on hot wire chemical vapour deposited hydrogenated silicon films at low substrate temperature
Samanta et al. Optical, electr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SiO: H films prepared from He dilution to the SiH4 plasma
KR102117945B1 (ko)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반사방지막 제조방법
WO2010019946A2 (en) Anti-reflective surfa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12563342A (zh) 一种光伏电池的钝化层结构、其制备方法及光伏电池
Yoshida et al. Antireflection effect of self-organized GaN nanotip structure from ultraviolet to visible region
CN115036388B (zh) 太阳能电池及其制作方法
KR102483103B1 (ko) 박막증착방법
US20240084444A1 (en) Method for preparing low-loss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that is transparent in visible light, method for preparing low-loss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nitride that is transparent in visible light, and method for preparing low-loss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oxide that is transparent in visible light
Tabata et al. Effect of plasma off time on the 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carbide films prepared by pulse-modulated plasma deposition
KR20230109540A (ko)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수소화 비정질 질화실리콘 및 수소화 비정질 산화실리콘
Jain The exploration and optimization of nc-SiOxCy-based materials for energy downshifting and their possible application to solar cells= Exploración y optimización de materiales nc-SiOxCy para desplazamiento de energía descendente y su posible aplicación a celdas sola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