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064A - 축분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축분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064A
KR20220076064A KR1020200164845A KR20200164845A KR20220076064A KR 20220076064 A KR20220076064 A KR 20220076064A KR 1020200164845 A KR1020200164845 A KR 1020200164845A KR 20200164845 A KR20200164845 A KR 20200164845A KR 20220076064 A KR20220076064 A KR 20220076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pace
shaft
floor spac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686B1 (ko
Inventor
김기평
Original Assignee
(주)삼영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영금속 filed Critical (주)삼영금속
Priority to KR102020016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2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animal substances or products obtained therefrom, e.g. man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2Man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계적으로 내려오면서 층별로 건조되는 다층 건조 방식을 적용하고, 온풍과 온열을 병행하여 건조시킴으로 건조 효율성과 성능을 향상시킨 축분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축분 건조장치{Livestock manure drying device}
본 발명은 축분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계적으로 내려오면서 층별로 건조되는 다층 건조 방식을 적용하고, 온풍과 온열을 병행하여 건조시킴으로 건조 효율성과 성능을 향상시킨 축분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축분(축산분뇨)은 고형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축분을 고형연료로 제조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축분을 고형화하기 위해서는 축분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술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축분 건조장치의 일례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0308호, 제10-217394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축분 건조장치는 건조 효율성이 떨어지고 확실하게 건조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버너의 열만을 이용하여 건조 작업을 하게 되면 버너의 열이 직접적으로 닿는 축분 부분과 간접적으로 닿는 축분 부분에서 건조 상의 차이점이 생기고, 자연 건조를 하게 되면 건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확실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0308호(등록일: 2007년12월21일), 발명의 명칭: " 회전화상에 의한 훈연 건조 방법과 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3940호(등록일: 2020년10월29일), 발명의 명칭: "축분 발효 건조기"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1282호(등록일: 2016년09월23일), 발명의 명칭: "축분 건조 장치"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293565호(등록일: 2002년10월16일), 발명의 명칭: " 축분건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축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계적으로 내려오면서 층별로 건조되는 다층 건조 방식을 적용하고, 온풍과 온열을 병행하여 건조시킴으로 최상의 건조 성능을 갖는 축분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다수의 다리를 통해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원통과 원통의 상면을 밀폐하는 상판과 원통의 하면을 밀폐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내부 구조는 다수의 중간바닥판으로 구획되어 5층 공간, 4층 공간, 3층 공간, 2층 공간, 1층 공간이 형성되는 다층 공간 구조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중간바닥판에는 각각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되, 5층과 3층의 중간바닥판은 연통공이 외측에 형성되고 4층과 2층의 중간바닥판은 연통공이 내측에 형성되어 축분이 5층 공간에서 1층 공간까지 단계적으로 연통공을 통해 낙하하면서 하강할 때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되게 형성된 건조통; 상기 건조통의 상부에서 5층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축분을 투입하면 5층 공간으로 축분을 안내하는 호퍼통; 상기 건조통의 하부에서 1층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안내된 축분이 배출되는 토출덕트; 상기 건조통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온풍공급공이 관통 형성된 중심기둥; 상기 중심기둥의 외주면에서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으로 각각 연장되고 중심기둥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된 다수의 회전대; 상기 다수의 회전대의 저면에 각각 경사지게 매달리게 설치되어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있는 축분을 연통공 또는 토출구로 밀어내는 다수의 밀대판; 상기 중심기둥을 회전시키는 중심기둥회전수단; 상기 중심기둥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면서 중심기둥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봉; 상기 중심기둥의 하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에어공급관; 상기 에어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공급관을 통해 중심기둥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팬; 상기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 내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온열관; 및 상기 온열관에 각각 온수를 공급하여 온열관에서 발산하는 열기를 통해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온열을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중심기둥과 함께 회전대와 밀대판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호퍼통의 투입구로 축분을 공급하면 축분이 5층 공간으로 투입되고 밀대판이 축분을 밀면서 연통공을 통해 4층 공간, 3층 공간, 2층 공간, 1층 공간으로 단계적으로 낙하시키면서 하강하도록 안내하여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이때 흡입팬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중심기둥의 내부로 안내하고 히터봉이 발열하면서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공급공을 통해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각각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온수공급수단을 통해 온열관에 온수를 공급하여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각각 온열을 공급함으로 축분을 단계적으로 온풍과 온열을 통해 건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건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기둥회전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중심기둥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심기둥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체인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중심기둥을 회전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통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면은 개구되어 5층 공간과 연통되게 구성되며, 상면에는 호퍼용모터가 설치되고, 호퍼통의 내부에는 호퍼용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중심봉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중심봉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방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회전식 계단방식으로 형성된 안내판이 돌출 형성되고, 투입구는 안내판의 상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축분을 투입하면 안내판을 따라 천천히 회전식으로 내려오면서 5층 공간으로 안내되게 구성된 것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공급수단은, 물을 가열하는 별도의 보일러와, 일단은 보일러의 온수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온열관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인입관과, 일단은 보일러의 온수회수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온열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회수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인입관을 통해 공급되어 온열관을 경유한 후 회수관을 통해 회수되면서 온열관에서 온열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중간바닥판의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벽체링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축분이 밀려 나갈때 벽체링에 막히게 구성되고, 상기 5층과 3층의 중간바닥판의 외측에 형성된 연통공은 벽체링과 근접한 부분에 다수 군데에 형성되고, 상기 4층과 2층의 중간바닥판의 내측에 형성된 연통공은 중심기둥의 외주면과 근접한 부분에 다수 군데에 형성되며, 상기 5층 공간과 3층 공간에 설치된 밀대판은 회전대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벽체링과 근접한 연통공으로 축분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4층 공간과 2층 공간에 설치된 밀대판은 회전대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내측으로 밀어내어 중심기둥과 근접한 연통공으로 축분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1층 공간에 설치된 밀대판은 회전대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토출구를 통해 축분을 배출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통의 원통은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어 내통과 외통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분 건조장치는 축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계적으로 내려오면서 층별로 퍼지면서 건조되는 다층 건조 방식을 적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온풍과 온열을 함께 공급하여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 효율성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 건조장치를 후방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 건조장치를 저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원통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1에서 외통과 내통을 분리해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분 건조장치는 테이블(10), 건조통(100), 호퍼통(200), 토출덕트(300), 중심기둥(400), 히터봉(600), 에어공급관(700), 흡입팬(710), 온열관(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테이블(10)은 하부에 다수의 다리(12)가 형성되어 다리(12)를 통해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건조통(100)은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을 형성하는 원통(110)과 원통(110)의 상면을 밀폐하는 상판(120)과 원통(110)의 하면을 밀폐하는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건조통(100)의 내부 구조는 다수의 중간바닥판(140)으로 구획되어 5층 공간(101), 4층 공간(102), 3층 공간(103), 2층 공간(102), 1층 공간(101)이 형성되는 다층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수의 중간바닥판(140)에는 각각 연통공(142)이 관통 형성되되, 5층과 3층의 중간바닥판(140)은 연통공(142)이 외측에 형성되고 4층과 2층의 중간바닥판(140)은 연통공(142)이 내측에 형성되어 축분이 5층 공간(101)에서 1층 공간(101)까지 단계적으로 연통공(142)을 통해 낙하하면서 하강할 때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중간바닥판(140)의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벽체링(150)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축분이 밀려 나갈때 벽체링(150)에 막히게 구성된다. 그리고 5층과 3층의 중간바닥판(140)의 외측에 형성된 연통공(142)은 벽체링(150)과 근접한 부분에 다수 군데에 형성되고, 4층과 2층의 중간바닥판(140)의 내측에 형성된 연통공(142)은 후술하는 중심기둥(400)의 외주면과 근접한 부분에 다수 군데에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건조통(100)의 원통(110)은 내통(112)과 외통(114)으로 구성되어 내통(112)과 외통(114) 사이에 단열공간(11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호퍼통(200)은 건조통(100)의 상부에서 5층 공간(101)과 연결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형성된 투입구(210)를 통해 축분을 투입하면 5층 공간(101)으로 축분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즉, 호퍼통(200)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면은 개구되어 5층 공간(101)과 연통되게 구성되며, 상면에는 호퍼용모터(220)가 설치되고, 호퍼통(200)의 내부에는 호퍼용모터(220)의 축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중심봉(230)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중심봉(230)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방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회전식 계단방식으로 형성된 안내판(240)이 돌출 형성되고, 투입구(210)는 안내판(240)의 상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투입구(210)를 통해 축분을 투입하면 축분이 안내판(240)을 따라 천천히 회전식으로 내려오면서 5층 공간(101)으로 안내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토출덕트(300)는 건조통(100)의 하부에서 1층 공간(101)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형성된 토출구(310)를 통해 안내된 축분이 배출되게 구성된다. 물론, 토출구(310)에는 미도시된 별도의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토출구(310)로 배출되는 축분을 후공정으로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중심기둥(400)은 건조통(100)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5층 공간(101) 내지 1층 공간(101)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온풍공급공(410)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중심기둥(400)의 외주면에서는 5층 공간(101) 내지 1층 공간(101)으로 각각 연장된 다수의 회전대(420)가 중심기둥(400)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회전대(420)의 저면에는 각각 다수의 밀대판(430)이 경사지게 매달리게 설치되어 5층 공간(101) 내지 1층 공간(101)에 있는 축분을 연통공(142) 또는 토출구(310)로 밀어내게 구성된다.
즉, 5층 공간(101)과 3층 공간(103)에 설치된 밀대판(430)은 회전대(420)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벽체링(150)과 근접한 연통공(142)으로 축분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4층 공간(102)과 2층 공간(102)에 설치된 밀대판(430)은 회전대(420)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내측으로 밀어내어 중심기둥(400)과 근접한 연통공(142)으로 축분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1층 공간(101)에 설치된 밀대판(430)은 회전대(420)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토출구(310)를 통해 축분을 배출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5층 공간(101)으로 공급된 축분은 1층 공간(101)까지 내려갈 때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중심기둥(400)은 중심기둥회전수단(5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중심기둥회전수단(500)은 테이블(10)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구동모터(510)와, 구동모터(510)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520)과, 중심기둥(4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심기둥(400)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530)과, 구동스프로킷(520)과 피동스프로킷(530)을 연결하는 체인(540)으로 구성된다. 물론, 구동모터(510)와 구동스프로킷(520) 사이에는 통상의 기어박스(55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510)가 작동하면 체인(540)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중심기둥(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히터봉(600)은 중심기둥(400)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면서 중심기둥(4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에어공급관(700)은 중심기둥(400)의 하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중심기둥(4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로, 단부에는 흡입팬(710)이 설치되어 흡입팬(710)이 작동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공급관(700)을 통해 중심기둥(4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온열관(800)은 달팽이관 형상으로 말리게 형성되고, 5층 공간(101) 내지 1층 공간(101)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공간 내부에 온열을 공급하는 것으로, 별도의 온수공급수단과 연결되게 설치된다. 즉, 온수공급수단을 통해 온열관(800)에 각각 온수를 공급하면 온열관(800)에서 발산하는 열기로 5층 공간(101) 내지 1층 공간(101)에 각각 온열을 공급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온수공급수단은 물을 가열하는 별도의 보일러(미도시)와, 일단은 보일러의 온수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온열관(80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인입관(810)과, 일단은 보일러의 온수회수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온열관(800)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회수관(8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인입관(810)을 통해 공급되어 온열관(800)을 경유한 후 회수관(820)을 통해 회수되면서 온열관(800)에서 온열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분 건조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심기둥회전수단(500)을 작동시켜 중심기둥(400)과 함께 회전대(420)와 밀대판(430)이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호퍼통(200)의 투입구(210)로 축분을 공급하면 축분이 호퍼통(200)의 안내판(240)을 따라 5층 공간(101)으로 천천히 투입된다. 그러면 밀대판(430)이 회전하면서 축분을 연통공(142) 방향으로 밀게 되고, 축분은 각 층의 연통공(142)을 통해 낙하되면서 4층 공간(102), 3층 공간(103), 2층 공간(102), 1층 공간(101)으로 단계적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1층 공간(101)에 도달하면 밀대판(430)이 축분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토출덕트(300)의 토출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흡입팬(7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중심기둥(400)의 내부로 안내하고 히터봉(600)이 발열하면서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공급공(410)을 통해 5층 공간(101) 내지 1층 공간(101)에 각각 온풍을 공급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온수공급수단을 통해 온열관(800)에 온수를 공급하여 5층 공간(101) 내지 1층 공간(101)에 각각 온열을 공급함으로 축분을 단계적으로 온풍과 온열을 통해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축분이 건조통(100) 내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계적으로 내려오면서 층별로 퍼지면서 건조되고, 온풍과 온열을 함께 공급하여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 효율성과 성능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조통(100)의 내면과 외면에 악취 및 유해물질 분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해촉진 첨가물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해촉진 첨가물은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 30중량%와, NTA(Nitrilotriacetic acid) 15중량%와, 질산은(AgNO3) 5.5중량%와, 수가용성 철염 2.5중량%와, 중탄산소다 10중량%와, 망간아세테이트 8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NTA는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으로서, 암모니아와 모노클로로아세트산의 혼합물에 시안화칼륨, 포르말린을 작용시켜 얻는 백색 결정성 분말이며, 철염과의 킬레이트화를 통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르캅탄과 같은 악취제거에 탁월한 킬레이트제이다. 그리고 질산은(AgNO3)은 항균성을 강화시키면서 산소와 이산화질소로 분해되면서 라디칼을 생성하게 되는데, 특히 슈퍼옥사이드라디칼(O2 +)를 생성하는데 촉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망간아세테이트는 사방형의 결정성 분말로 분해되어 망간산화물을 형성할 때 서서히 산화되면서 유기물 분해, 라디칼 반응 촉진 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수가용성 철염은 Fe(NO3)3, FeCl3, FeSO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킬레이트제와 반응하여 황화수소 제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중탄산소다는 각 성분들의 균일한 분산과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폴리우레탄수지는 배합용 베이스수지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분해촉진 첨가물에는 이 분해촉진 첨가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제2철(FeCl3) 15중량부, 비닐옥시모실란(Vinyl Oximeino Silane) 15중량부 및 탈탄륨 10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염화제2철(FeCl3)은 3가의 철염으로서 산화력을 갖는 전이금속이며, UV광촉매처리기(750)의 상부에 구비된 플라즈마처리기(720)의 영향으로 하이드록시라디칼(OH-)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비닐옥시모실란(Vinyl Oximeino Silane)은 전이금속의 결합력이 낮기 때문에 이들의 바인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탈탄륨(Tantalum)은 내산기능을 가지고 있어 염화제2철에 의한 부식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이 분해촉진 첨가물을 건조통(100)에 코팅하면 악취 및 유해물질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건조통 101: 5층 공간
102: 4층 공간 103: 3층 공간
104: 2층 공간 105: 1층 공간
110: 원통 120: 상판
130: 바닥판 140: 중간바닥판
142: 연통공 150: 벽체링
200: 호퍼통 210: 투입구
300: 토출덕트 310: 토출구
400: 중심기둥 410: 온풍공급공
420: 회전대 430: 밀대판
500: 중심기둥회전수단 600: 히터봉
700: 에어공급관 710: 흡입팬
800: 온열관

Claims (5)

  1. 다수의 다리를 통해 지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원통과 원통의 상면을 밀폐하는 상판과 원통의 하면을 밀폐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내부 구조는 다수의 중간바닥판으로 구획되어 5층 공간, 4층 공간, 3층 공간, 2층 공간, 1층 공간이 형성되는 다층 공간 구조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중간바닥판에는 각각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되, 5층과 3층의 중간바닥판은 연통공이 외측에 형성되고 4층과 2층의 중간바닥판은 연통공이 내측에 형성되어 축분이 5층 공간에서 1층 공간까지 단계적으로 연통공을 통해 낙하하면서 하강할 때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되게 형성된 건조통;
    상기 건조통의 상부에서 5층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축분을 투입하면 5층 공간으로 축분을 안내하는 호퍼통;
    상기 건조통의 하부에서 1층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안내된 축분이 배출되는 토출덕트;
    상기 건조통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온풍공급공이 관통 형성된 중심기둥;
    상기 중심기둥의 외주면에서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으로 각각 연장되고 중심기둥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된 다수의 회전대;
    상기 다수의 회전대의 저면에 각각 경사지게 매달리게 설치되어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있는 축분을 연통공 또는 토출구로 밀어내는 다수의 밀대판;
    상기 중심기둥을 회전시키는 중심기둥회전수단;
    상기 중심기둥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면서 중심기둥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봉;
    상기 중심기둥의 하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에어공급관;
    상기 에어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공급관을 통해 중심기둥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팬;
    상기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 내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온열관; 및
    상기 온열관에 각각 온수를 공급하여 온열관에서 발산하는 열기를 통해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온열을 공급하는 온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중심기둥과 함께 회전대와 밀대판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호퍼통의 투입구로 축분을 공급하면 축분이 5층 공간으로 투입되고 밀대판이 축분을 밀면서 연통공을 통해 4층 공간, 3층 공간, 2층 공간, 1층 공간으로 단계적으로 낙하시키면서 하강하도록 안내하여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이때 흡입팬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중심기둥의 내부로 안내하고 히터봉이 발열하면서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공급공을 통해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각각 온풍을 공급함과 아울러 온수공급수단을 통해 온열관에 온수를 공급하여 5층 공간 내지 1층 공간에 각각 온열을 공급함으로 축분을 단계적으로 온풍과 온열을 통해 건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회전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중심기둥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심기둥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는 피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체인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중심기둥을 회전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통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면은 개구되어 5층 공간과 연통되게 구성되며, 상면에는 호퍼용모터가 설치되고, 호퍼통의 내부에는 호퍼용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중심봉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중심봉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방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회전식 계단방식으로 형성된 안내판이 돌출 형성되고, 투입구는 안내판의 상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축분을 투입하면 안내판을 따라 천천히 회전식으로 내려오면서 5층 공간으로 안내되게 구성된 것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수단은, 물을 가열하는 별도의 보일러와, 일단은 보일러의 온수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온열관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인입관과, 일단은 보일러의 온수회수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온열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회수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인입관을 통해 공급되어 온열관을 경유한 후 회수관을 통해 회수되면서 온열관에서 온열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간바닥판의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벽체링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축분이 밀려 나갈때 벽체링에 막히게 구성되고,
    상기 5층과 3층의 중간바닥판의 외측에 형성된 연통공은 벽체링과 근접한 부분에 다수 군데에 형성되고, 상기 4층과 2층의 중간바닥판의 내측에 형성된 연통공은 중심기둥의 외주면과 근접한 부분에 다수 군데에 형성되며,
    상기 5층 공간과 3층 공간에 설치된 밀대판은 회전대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벽체링과 근접한 연통공으로 축분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4층 공간과 2층 공간에 설치된 밀대판은 회전대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내측으로 밀어내어 중심기둥과 근접한 연통공으로 축분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1층 공간에 설치된 밀대판은 회전대와 함께 회전할 때 축분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토출구를 통해 축분을 배출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통의 원통은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어 내통과 외통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건조장치.
KR1020200164845A 2020-11-30 2020-11-30 축분 건조장치 KR10253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45A KR102538686B1 (ko) 2020-11-30 2020-11-30 축분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45A KR102538686B1 (ko) 2020-11-30 2020-11-30 축분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64A true KR20220076064A (ko) 2022-06-08
KR102538686B1 KR102538686B1 (ko) 2023-05-31

Family

ID=8198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845A KR102538686B1 (ko) 2020-11-30 2020-11-30 축분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8241A (zh) * 2023-07-10 2023-08-08 河北恒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铁黑滤液生产氯化钙用干燥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548B1 (ko) * 1996-06-18 1999-06-15 유철진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JPH11263979A (ja) * 1998-01-14 1999-09-28 Tokyo Yogyo Co Ltd 積層型加熱処理装置
KR200293565Y1 (ko) 2002-07-26 2002-11-01 김금규 축분건조장치
KR100511196B1 (ko) * 2003-08-09 2005-08-30 (주)한산기연 슬러지 건조장치
KR100790308B1 (ko) 2006-10-30 2008-01-02 정덕한 회전화상에 의한 훈연 건조 방법과 장치.
KR101006551B1 (ko) * 2008-12-29 2011-01-07 주식회사 이레 축분건조장치
KR20130016465A (ko) * 2011-08-08 2013-02-18 김경수 고체 바이오 매스 에너지 연료화 장치
KR101661282B1 (ko) 2015-03-24 2016-09-29 (주)그린에너지테크 축분 건조 장치
KR102173940B1 (ko) 2019-03-15 2020-11-04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축분 발효 건조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548B1 (ko) * 1996-06-18 1999-06-15 유철진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JPH11263979A (ja) * 1998-01-14 1999-09-28 Tokyo Yogyo Co Ltd 積層型加熱処理装置
KR200293565Y1 (ko) 2002-07-26 2002-11-01 김금규 축분건조장치
KR100511196B1 (ko) * 2003-08-09 2005-08-30 (주)한산기연 슬러지 건조장치
KR100790308B1 (ko) 2006-10-30 2008-01-02 정덕한 회전화상에 의한 훈연 건조 방법과 장치.
KR101006551B1 (ko) * 2008-12-29 2011-01-07 주식회사 이레 축분건조장치
KR20130016465A (ko) * 2011-08-08 2013-02-18 김경수 고체 바이오 매스 에너지 연료화 장치
KR101661282B1 (ko) 2015-03-24 2016-09-29 (주)그린에너지테크 축분 건조 장치
KR102173940B1 (ko) 2019-03-15 2020-11-04 용운중공업 주식회사 축분 발효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8241A (zh) * 2023-07-10 2023-08-08 河北恒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铁黑滤液生产氯化钙用干燥装置
CN116558241B (zh) * 2023-07-10 2023-09-15 河北恒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铁黑滤液生产氯化钙用干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686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6064A (ko) 축분 건조장치
CN204746048U (zh) 一种催化氧化有机废气及臭气的处理装置
CN108245422A (zh) 一种药物加工用高效包衣机
KR101387011B1 (ko)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CN105771609A (zh) 离心喷淋塔
KR20070049308A (ko) 밀폐 순환 건조장치
CN205340579U (zh) 工业污泥干化尾气处理系统
JP5048469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0897207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106493166B (zh) 一种紫外光-臭氧联合催化氧化的污染土壤修复系统
KR102052924B1 (ko) 소각로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
CN202171379U (zh) 一种负压干燥器
CN206444512U (zh) 一种路面施工用沥青加热及自动搅拌装置
KR102107648B1 (ko) 폐수가 발생되지 않는 음식물처리기
CN1253045A (zh) 有机物处理装置
US12004531B2 (en) Caffein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ffee grounds powder using same
CN218089284U (zh) 一种污泥储存罐
US20230240318A1 (en) Caffein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ffee grounds powder using same
CN216282485U (zh) 一种具有密封式进出料装置的污泥烘干机
CN204973586U (zh) 一种针对含水量高废气的处理设备
CN217458960U (zh) 一种酸性废水预处理系统
CN108658205A (zh) 一种含铬废水光催化还原系统
CN113000593B (zh) 污染土壤异位修复设备及修复工艺
CN202185448U (zh) 一种好氧反应器
CN210557985U (zh) 真空自动吸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