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877A -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877A
KR20220075877A KR1020200164461A KR20200164461A KR20220075877A KR 20220075877 A KR20220075877 A KR 20220075877A KR 1020200164461 A KR1020200164461 A KR 1020200164461A KR 20200164461 A KR20200164461 A KR 20200164461A KR 20220075877 A KR20220075877 A KR 20220075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management
management module
risk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훈
Original Assignee
전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훈 filed Critical 전성훈
Priority to KR102020016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877A/ko
Publication of KR2022007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트 이해 당사자 간의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하고 정량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은 통합관리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접속권한 인증을 수행하고, 프로젝트 내용열람과 업무수행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 범위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작업내용을 통제하는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 시간관리모듈을 통해서 최단시간 내에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게 하는 액티비티 일정을 계산하는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 의사소통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 수집, 배포, 저장, 인출하는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 리스크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관련 리스크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 조달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재화 또는 서비스의 조달계획, 입찰계획, 자원선택, 계획관리, 계획종결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 비용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가 승인된 예산 범위 내에서 완수되도록 예산등록, 자원등록, 집행관리를 수행하는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 인적자원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부서와 투입인력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인적자원관리단계; 상기 산출물관리모듈을 통해서 고객에게 제시될 프로젝트 산출물을 관리하는 프로젝트 산출물 관리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Enterprise project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트 이해 당사자 간의 효율적인 정보공유가 가능하고 정량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트에 투입인력이 배정되어 과업 수행 시, 프로젝트 형태에 따라 설계, 제작, 프로그래밍, 디자인 등의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 개의 업무들이 병합되어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업무 형태로 인하여 수행되는 과업의 전체 기간 및 납기일 준수에 대하여 투입인력 상호 간의 확인이 어렵고, 업무 처리에 대한 명확한 경계의 구분없이 과업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업무팀 내부 참여 인력에 대한 일정 관리를 통하여 개별 업무별 진척도, 과업 수행 일정 등을 관리하며, 과업 진척에 따른 예상 종료일과 납기일 산정을 통하여 효율적인 인력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126호(2011.01.11.) ‘액티비티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액티비티 정보와 참여인력 정보를 상기 액티비티 프로젝트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연결된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와 참여인력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대량으로 신규등록하는 단계,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액티비티에 새로운 액티비티를 신규등록, 수정, 변경, 시스템 변경,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여인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참여인력이 프로젝트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액티비티의 신규등록, 수정, 변경, 시스템 변경,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변동사항이 상기 참여인력의 로그인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다른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6856호(2020.09.15.) ‘템플릿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착수 프로젝트 생성부가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프로젝트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예상 업무 유형, 예상 업무 및 예상 수행 기간을 포함하며 서로 선, 후행 관계를 갖는 태스크 템플릿, 상기 태스크 템플릿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템플릿 및 착수 프로젝트의 목표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착수 프로젝트 생성부가 상기 태스크 템플릿을 포함하는 상기 프로젝트 템플릿으로부터 수행 업무 유형 및 수행 업무를 포함하는 태스크를 포함하는 착수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착수 프로젝트 생성부가 상기 착수 프로젝트의 목표 스케줄 데이터, 상기 태스크 템플릿의 예상 수행 기간 및 선, 후행 관계로부터 상기 태스크의 수행 일정, 수행 순서 및 상기 착수 프로젝트의 전체 수행 일정을 계산하여 상기 착수 프로젝트 및 상기 태스크에 추가하는 단계 등이 포함되는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업무팀 내부 참여 인력에 대한 일정 관리를 통하여 개별 업무별 진척도, 과업 수행 일정 등을 관리하며, 과업 진척에 따른 예상 종료일과 납기일 산정을 통하여 효율적인 인력 운용이 가능하고, 프로젝트별 수행기간과 소요금액을 산출하여 기업의 자금 흐름과 업무 진척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126호(2011.01.11.) ‘액티비티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6856호(2020.09.15.) ‘템플릿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배경으로부터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안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업무팀 내부 참여 인력에 대한 일정 관리를 통하여 개별 업무별 진척도, 과업 수행 일정 등을 관리하며, 과업 진척에 따른 예상 종료일과 납기일 산정을 통하여 효율적인 인력 운용이 가능하고, 프로젝트별 수행기간과 소요금액을 산출하여 기업의 자금 흐름과 업무 진척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은 통합관리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접속권한 인증을 수행하고, 프로젝트 내용열람과 업무수행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 범위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작업내용을 통제하는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 시간관리모듈을 통해서 최단시간 내에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게 하는 액티비티 일정을 계산하는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 의사소통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 수집, 배포, 저장, 인출하는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 리스크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관련 리스크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 조달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재화 또는 서비스의 조달계획, 입찰계획, 자원선택, 계획관리, 계획종결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 비용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가 승인된 예산 범위 내에서 완수되도록 예산등록, 자원등록, 집행관리를 수행하는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 인적자원관리모듈을 통해서 프로젝트 부서와 투입인력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인적자원관리단계; 상기 산출물관리모듈을 통해서 고객에게 제시될 프로젝트 산출물을 관리하는 프로젝트 산출물 관리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프로젝트 수행조직과 협력사와 같은 프로젝트 이해 당사자 간의 효율적인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효과가 있고, 가시화되고 정량화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 및 관리역량이 향상되고 프로젝트 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인증수단의 세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의 전체 실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의 세부 실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의 세부 실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의 세부 실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의 세부 실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의 세부 실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은, 프로젝트 계획 수립, 프로젝트 실행, 전체적인 변화 통제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 요소들을 통합, 조정하는 통합관리모듈(100); 프로젝트 착수, 범위계획, 범위정의, 범위확정, 범위변화 통계처리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 완수를 위해서 필요한 모든 작업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범위관리모듈(200); 프로젝트 일정계획, 자원할당, 일정조정, 일정통제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가 예정된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것을 보증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시간관리모듈(300); 프로젝트 의사소통 계획, 정보보급, 진척도 보고, 성과 보고, 종결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의 적시 생성, 수집, 전파, 저장, 배치를 지원하는 의사소통관리모듈(400); 리스크 인식, 리스크 계량화, 리스크 대응계획, 리스크 대응통제처리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 리스크의 인식, 분석, 대응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리스크관리모듈(500); 조달계획, 입찰계획, 입찰, 자원선택, 계획관리, 계획종결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 수행조직 외부로부터 재화,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조달관리모듈(600); 프로젝트 자원계획, 비용예측, 비용예산, 비용통제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가 승인된 예산범위 내에서 완수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비용관리모듈(700); 프로젝트 조직계획, 인력확보, 업무팀구성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에 관련된 인력을 최적 활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인적자원관리모듈(800);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개별 활동의 수행과정에서 필요한 결과물을 정의, 획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프로젝트를 통해 고객에게 제시될 산출물의 완성을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산출물관리모듈(90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을 이용한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은,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통합관리모듈(100)을 통한 사용자의 접속권한 인증을 수행하고, 프로젝트 내용열람과 업무수행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범위관리모듈(2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작업내용을 통제하는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S2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시간관리모듈(300)을 통해서 최단시간 내에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게 하는 액티비티 일정을 계산하는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S3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의사소통관리모듈(4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 수집, 배포, 저장, 인출하는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S4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리스크관리모듈(500)을 통해서 프로젝트 관련 리스크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S5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조달관리모듈(6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재화 또는 서비스의 조달계획, 입찰계획, 자원선택, 계획관리, 계획종결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S6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비용관리모듈(700)을 통해서 프로젝트가 승인된 예산 범위 내에서 완수되도록 예산등록, 자원등록, 집행관리를 수행하는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S7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인적자원관리모듈(800)을 통해서 프로젝트 부서와 투입인력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인적자원관리단계(S800);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산출물관리모듈(900)을 통해서 고객에게 제시될 프로젝트 산출물을 관리하는 프로젝트 산출물 관리단계(S9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을 이용한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에 대해서 상술한다.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통합관리모듈(100)에 구비된 사용자인증수단(110)을 통해서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에 대한 접속권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권한 인증을 통하여 로그인이 이루어진 사용자에 대해서 사용자별로 허용된 프로젝트 내용 열람과 업무수행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며, 프로젝트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로부터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는, 프로젝트 관리자, 프로젝트 실무자, 프로젝트 이해당사자를 분류하여 접속권한을 구분시킨 정보를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에 등록시키는 사용자인증단계(S110);와, 상기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으로 로그인이 이루어진 사용자에 대해서 사용자별로 허용된 기능과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제공 및 정보공유를 수행하되, 공지사항모듈(120)을 통해서 프로젝트에 투입된 전체인력 또는 특정업무 담당인력 간에 필요한 정보공유가 이루지는 정보공유단계(S1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인증단계(S110)는 사용자인증수단(110)에 구비된 패스워드입력모듈(111)을 이용해서 사용자 ID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패스워드입력단계(S111); 사용자인증수단(110)에 구비된 지문인식모듈(112)을 이용해서 상기 사용자 ID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지문인식단계(S112); 사용자인증수단(110)에 구비된 홍채인식모듈(113)을 이용해서 상기 사용자 ID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홍채인식단계(S113); 사용자인증수단(110)에 구비된 음성인식모듈(114)을 이용해서 상기 사용자 ID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음성인식단계(S114); 사용자인증수단(110)에 구비된 얼굴인식모듈(115)을 이용해서 상기 사용자 ID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얼굴인식단계(S115); 사용자인증수단(110)에 구비된 정맥인식모듈(116)을 이용해서 상기 사용자 ID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는 정맥인식단계(S116);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스워드입력단계(S111), 지문인식단계(S112), 홍채인식모듈(113), 음성인식단계(S114), 얼굴인식단계(S115), 정맥인식단계(S116)는 프로젝트의 보안성 유지 레벨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모두 진행되거나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조합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범위관리모듈(2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완수에 필요한 작업만이 포함되도록 프로젝트 수행내용을 통제하는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S200);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S200)는 프로젝트 수행내용을 통제하기 위해서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수립하는 WBS수립단계(S210); 상기 WBS수립단계(S210)에서 수립된 WBS의 태스크를 간트차트 형식으로 도식화하는 WBS태스크 도식화단계(S220); 상기 WBS태스크 도식화단계(S220)에서 도출된 간트차트를 기반으로 태스크 일정계획과 계획공수를 산출하는 계획공수 산출단계(S230); 프로젝트 목표 달성과 연관된 액티비티를 계층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액티비티의 사용자 지정 또는 일정계획 결과에 의한 수행시점을 간트차트로 도식화하는 액티비티 정량화단계(S240); 상기 액티비티 간의 선후행관계와 계층적 구조정의가 이루어진 산출물을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로 저장하는 액티비티 산출물 저장단계(S2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S2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시간관리모듈(300)을 통해서 특정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액티비티 간의 선후행 관계와 자원 가용조건을 고려하여 최단시간 내에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게 하는 액티비티 일정을 계산하는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S300);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S300)는 프로젝트 일정계획의 결과로 도출된 다수 개의 액티비티를 간트차트와 퍼트차트로 도식화하는 액티비티 도식화단계(S310); 상기 다수 개의 액티비티에 대한 일간, 주간, 월간, 연간 일정을 캘린더 형태로 출력하는 캘린더 출력단계(S320); 상기 다수 개의 액티비티에 대한 가변요소와 시간을 고려하여 액티비티 시작시점을 변경하거나 수정하는 액티비티 자율수정단계(S330); 다수 개의 액티비티에 대해서 프로젝트 일정계획에 의한 예상진행률을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실제 진행률을 확인하면서 개별 액티비티에 대한 공정 진행률과 전체 프로젝트 관점에서의 진행률을 확인하는 액티비티 진도관리단계(S3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S3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의사소통관리모듈(4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적시에 생성, 수집, 배포, 저장, 인출, 최종 폐기되는 것을 보장하는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S400);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S400)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는 프로젝트 수행 조직 내외의 투입인력과 프로젝트 이해당사자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와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S300)에서도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의사소통관리모듈(400)에 구비된 메신저모듈(410)에 의한 실시간 메시지 관리가 더 수행됨으로써 프로젝트와 관련된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S400)는, 프로젝트 등록 과정에서 입력되는 투입인력에 대한 인적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양방향 메시지 전달에 의한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발신 또는 수신한 메시지 내용을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하는 메시지 발송관리단계(S410);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에 구비된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감시모듈(21)에 의한 데이터 감시를 통해서 상기 메시지가 특정 사용자에게 발신 또는 수신된 것을 확인하는 메시지 발송검증단계(S420); 상기 발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에서 검색하여 시계열적인 순서로 출력해주는 메시지 출력단계(S4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S4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리스크관리모듈(5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인식하고 프로젝트 관리 활동 중의 일부로 미리 등록하여 대응하는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S500);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S500)는 상기 리스크를 예상리스크, 진행중리스크, 완료리스크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되, 발생 가능성이 있는 모든 리스크에 대하여 리스크 파악시점에 등록하고 리스크 목록을 생성하여 리스크 실체를 인지하는 예상리스크 관리단계(S510);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리스크가 발생한 시점에 등록된 리스크와의 연계를 통해서 리스크 실체를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진행중리스크 관리단계(S520); 리스크 원인, 해결방안, 해결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향후 리스크 관리를 위한 대비정보로 활용하는 완료리스크 관리단계(S5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S5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조달관리모듈(6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수행조직의 외부로부터 재화 또는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조달계획, 입찰계획, 입찰, 자원선택, 계획관리, 계획종결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S600);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S600)는 상기 통합관리모듈(100)에서 프로젝트를 등록하는 시점 또는 실시간으로 조달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되는 시점에서 상기 조달관리에 필요한 재화 또는 서비스에 대한 조달대상품목을 등록하는 조달대상품목 등록단계(S610); 상기 조달대상품목을 필요로 하였던 개별 액티비티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확인하는 조달대상품목 유효성확인단계(S620); 상기 조달대상품목이 정상적으로 소모되었는지 파악하는 조달대상품목 소모확인단계(S6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S6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비용관리모듈(700)을 통해서 프로젝트가 승인된 예산 범위 내에서 완수되는 것을 보증하는데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예산등록, 자원등록, 집행관리를 수행하는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S700);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S700)는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개별 액티비티에 대하여 등록된 비용항목을 파악하는 비용항목파악단계(S710); 상기 비용항목에 대한 세부 비용집계와 비용현황을 파악하여 프로젝트 예산범위 내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세부비용집계단계(S7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S7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인적자원관리모듈(800)을 통해서 프로젝트 부서를 조직, 관리, 지위하는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젝트 투입인력을 특급, 고급, 중급, 초급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인적자원관리단계(S800);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인적자원관리단계(S800)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개별 액티비티에 투입된 인원을 확인하거나 수정하는 프로젝트 투입인력 파악단계(S810); 프로젝트 실무 수행 작업자가 수행 중인 투입 프로젝트와 개별 액티비티를 조회하는 투입 프로젝트 세부확인단계(S8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적자원관리단계(S800)가 완료되면,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의 산출물관리모듈(900)을 통해서 고객에게 제시될 프로젝트 결과물 또는 인도물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프로젝트 산출물을 관리하는 프로젝트 산출물 관리단계(S900);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프로젝트 산출물 관리단계(S900)는 상기 프로젝트 산출물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의한 소스코드이면 SVN, GIT, CV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리도구를 기반으로 관리하고, 상기 프로젝트 산출물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유스케이스(usecase) 명세서, 요구사항 추적표, 클래스 설계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서, 컴포넌트 설계서, 인터페이스 설계서, 아키텍처 설계서, 총괄시험 계획서, 시스템시험 시나리오, 엔티티 관계 모형 기술서, 데이터베이스 설계서, 통합시험 시나리오, 단위시험 케이스, 데이터 전환 설계서, 초기데이터 설계서, 프로그램 코드, 단위시험 결과서, DB생성 스크립트, 통합시험 결과서, 시스템시험 결과서, 사용자 지침서, 운영자 지침서, 시스템 설치 결과서, 인수시험 시나리오, 인수시험 결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산출하여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20 :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21 :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감시모듈
30 : 사용자단말기
100 : 통합관리모듈
110 : 사용자인증수단
120 : 공지사항모듈
200 : 범위관리모듈
300 : 시간관리모듈
310 : 스케쥴러발생모듈
400 : 의사소통관리모듈
410 : 메신저모듈
500 : 리스크관리모듈
600 : 조달관리모듈
610 : 조달품목기반조회모듈
620 : 액티비티기반조회모듈
700 : 비용관리모듈
710 : 비용품목기반조회모듈
720 : 프로젝트기반조회모듈
800 : 인적자원관리모듈
900 : 산출물관리모듈

Claims (9)

  1. 프로젝트의 계획 수립, 실행, 변화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관리모듈(100), 프로젝트의 착수, 범위계획, 범위정의, 범위확정, 범위변화 통계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관리모듈(200), 프로젝트의 일정계획, 자원할당, 일정조정, 일정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관리모듈(300), 프로젝트의 의사소통 계획, 정보보급, 진척도보고, 성과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의사소통관리모듈(400), 리스크 인식, 리스크 계량화, 리스크 대응계획, 리스크 대응통제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리스크관리모듈(500), 조달계획, 입찰계획, 입찰, 자원선택, 계획관리, 계획종결의 기능을 수행하는 조달관리모듈(600), 프로젝트의 자원계획, 비용예측, 비용예산, 비용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비용관리모듈(700), 프로젝트의 조직계획, 인력확보, 업무팀구성 기능을 수행하는 인적자원관리모듈(800), 프로젝트의 산출물을 정의, 획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산출물관리모듈(900)로 구성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10)을 이용한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모듈(100)을 통한 사용자의 접속권한 인증을 수행하고, 프로젝트 내용열람과 업무수행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
    상기 범위관리모듈(2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작업내용을 통제하는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S200);
    상기 시간관리모듈(300)을 통해서 최단시간 내에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게 하는 액티비티 일정을 계산하는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S300);
    상기 의사소통관리모듈(4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 수집, 배포, 저장, 인출하는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S400);
    상기 리스크관리모듈(500)을 통해서 프로젝트 관련 리스크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S500);
    상기 조달관리모듈(600)을 통해서 프로젝트 재화 또는 서비스의 조달계획, 입찰계획, 자원선택, 계획관리, 계획종결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조달관리단계(S600);
    상기 비용관리모듈(700)을 통해서 프로젝트가 승인된 예산 범위 내에서 완수되도록 예산등록, 자원등록, 집행관리를 수행하는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S700);
    상기 인적자원관리모듈(800)을 통해서 프로젝트 부서와 투입인력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인적자원관리단계(S800); 및
    상기 산출물관리모듈(900)을 통해서 고객에게 제시될 프로젝트 산출물을 관리하는 프로젝트 산출물 관리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는,
    프로젝트 관리자, 프로젝트 실무자, 프로젝트 이해당사자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류하여 접속권한을 구분시킨 정보를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에 등록시키는 사용자인증단계(S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통합관리단계(S100)는,
    사용자별로 허용된 기능과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제공 및 정보공유를 수행하되, 공지사항모듈(120)을 통해서 프로젝트에 투입된 전체인력 또는 특정업무 담당인력 간에 필요한 정보공유가 이루지는 정보공유단계(S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범위관리단계(S200)는,
    프로젝트 수행내용을 통제하기 위해서 WBS를 수립하는 WBS수립단계(S210);
    WBS 태스크를 간트차트 형식으로 도식화하는 WBS태스크 도식화단계(S220);
    일정계획과 계획공수를 산출하는 계획공수 산출단계(S230);
    액티비티를 계층적으로 정의하고 수행시점을 간트차트로 도식화하는 액티비티 정량화단계(S240); 및
    상기 액티비티 간의 선후행관계와 계층적 구조정의가 이루어진 산출물을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로 저장하는 액티비티 산출물 저장단계(S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시간관리단계(S300)는,
    다수 개의 액티비티를 간트차트 및 퍼트차트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차트로 도식화하는 액티비티 도식화단계(S310);
    상기 다수 개의 액티비티를 캘린더 형태로 출력하는 캘린더 출력단계(S320);
    상기 다수 개의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을 수정하는 액티비티 자율수정단계(S330); 및
    상기 다수 개의 액티비티 공정 진행률을 확인하는 액티비티 진도관리단계(S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단계(S400)는,
    사용자가 발신 또는 수신한 메시지 내용을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하는 메시지 발송관리단계(S410);
    상기 메시지가 특정 사용자에게 발신 또는 수신된 것을 확인하는 메시지 발송검증단계(S420); 및
    상기 발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를 시계열적인 순서로 출력해주는 메시지 출력단계(S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리스크관리단계(S500)는,
    발생 가능성이 있는 모든 리스크에 대하여 리스크 파악시점에 등록하고 리스크 목록을 생성하여 리스크 실체를 인지하는 예상리스크 관리단계(S510);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리스크가 발생한 시점에 등록된 리스크와의 연계를 통해서 리스크 실체를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진행중리스크 관리단계(S520); 및
    리스크 원인, 해결방안, 해결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향후 리스크 관리용 대비정보로 활용하는 완료리스크 관리단계(S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비용관리단계(S700)는,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개별 액티비티에 대하여 등록된 비용항목을 파악하는 비용항목파악단계(S710); 및
    상기 비용항목에 대한 세부 비용집계와 비용현황을 파악하여 프로젝트 예산범위 내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세부비용집계단계(S7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적자원관리단계(S800)는,
    상기 인적자원관리모듈(800)을 통해, 개별 액티비티에 투입된 인원을 확인하거나 수정하는 프로젝트 투입인력 파악단계(S810); 및
    프로젝트 실무 수행 작업자가 수행 중인 투입 프로젝트와 개별 액티비티를 조회하는 투입 프로젝트 세부확인단계(S8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KR1020200164461A 2020-11-30 2020-11-30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KR20220075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461A KR20220075877A (ko) 2020-11-30 2020-11-30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461A KR20220075877A (ko) 2020-11-30 2020-11-30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877A true KR20220075877A (ko) 2022-06-08

Family

ID=8198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461A KR20220075877A (ko) 2020-11-30 2020-11-30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8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911B1 (ko) * 2023-04-19 2023-11-01 주식회사 디무브 협업화 툴에 플러그인이 가능한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
CN117575538A (zh) * 2023-12-15 2024-02-20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基于工程分解的多行业数字化实时交互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126A (ko)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아이비케이시스템 액티비티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방법
KR20200106856A (ko) 2019-03-05 2020-09-15 디지테크정보 주식회사 템플릿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126A (ko)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아이비케이시스템 액티비티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방법
KR20200106856A (ko) 2019-03-05 2020-09-15 디지테크정보 주식회사 템플릿을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911B1 (ko) * 2023-04-19 2023-11-01 주식회사 디무브 협업화 툴에 플러그인이 가능한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
CN117575538A (zh) * 2023-12-15 2024-02-20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基于工程分解的多行业数字化实时交互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50162B (zh) 信息系统工程监理工作派发管理信息系统
CN111815283B (zh) 信息系统工程监理企业业务管理系统
CN111815168B (zh) 信息系统工程监理项目质量管理系统
CN111815424B (zh) 信息系统工程监理项目成本核算管理系统
JP7102633B2 (ja) 一時労働者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
CN111815281B (zh) 信息系统工程监理项目招投标管理系统
US20050278202A1 (en) Information technology transformation assessment tools
Cibulskis et al. Information systems for health sector monitoring in Papua New Guinea
CN109345327B (zh) 一种用于提升优质服务的供应商信息智能管控平台
KR20220075877A (ko) 기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US20020198926A1 (en) Progra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Schwegmann et al. As-is modeling and process analysis
CN115170090A (zh) 一种项目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7297817B2 (ja) マンアワーシステム
US20100205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a Process
JP2008527500A (ja) 自動化プロジェクトオフィス並びに自動リスク評価及び報告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20075875A (ko) 기업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KR102344979B1 (ko) 사업자 통합 세무-노무 경영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10272216A1 (en) Severance event modeling and management system
WO2022016093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KR102491666B1 (ko) 기업-프리랜서의 매칭률 향상을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
CN112766828A (zh) 一种智能外事管理系统与方法
AU2021236504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ercial activities between members of a network of users
CN116258313A (zh) 一种根据任务完成数据生成个人任务策略指南的数据分析系统
CN117743447A (zh) 基于企业元数据的自动化画布编辑引擎构建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