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826A -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826A
KR20220075826A KR1020200164342A KR20200164342A KR20220075826A KR 20220075826 A KR20220075826 A KR 20220075826A KR 1020200164342 A KR1020200164342 A KR 1020200164342A KR 20200164342 A KR20200164342 A KR 20200164342A KR 20220075826 A KR20220075826 A KR 20220075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mage
smart
image projector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314B1 (ko
Inventor
송현채
송현철
박병희
Original Assignee
송현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채 filed Critical 송현채
Priority to KR102020016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3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주변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기초로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상황으로 판단되면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와 연동하여 재난 현황을 관제하고,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에 재난 경보 영상을 제공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재난 경보 및 범죄예방이 필요한 장소를 특정하여 다양한 재난 경보를 제공하고 영상 관제를 기반으로 재난 감지 및 범죄예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SMART VIDEO PROJECTOR AND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WARN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IT 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재난 상황에 대하여 빠르고 정확한 전파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이통통신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재난안전 문자를 송신하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기지국을 기준으로 지역을 구분하고 재난안내 문자를 송출하고자 하는 지역과 관련된 기지국에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에게 재난안전 문자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재난 정보가 불필요한 사용자에게도 무차별적으로 문자가 발송되는 문제가 있고, 부차적으로 이러한 무차별적 문자를 사용자가 임의로 차단하는 경우 재난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재난 상황에 맞추어 경보가 요구되는 지역에게 재난 경보를 적절하게 경보하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6141호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재난 경보 및 범죄예방이 필요한 장소를 특정하여 다양한 재난 경보를 제공하고 영상 관제를 기반으로 재난 감지 및 범죄예방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재난 경보 영상을 제공받아, 다양한 재난 경보 영상 또는 범죄 예방 영상을 상황에 적합하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중심으로 재난의 위치를 판정하고, 재난의 위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재난경보 영상이 이동하도록 투사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재난 피난의 방향을 직관적으로 제공하고 재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주변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기초로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상황으로 판단되면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와 연동하여 재난 현황을 관제하고,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에 재난 경보 영상을 제공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주변 영상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저장된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주변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 서버와의 실시간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되는 비상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제안한다.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 가능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로서,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투사부,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영상을 포함하는 재난 경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주변 영상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주변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되는 비상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으로서, 상기 관제 서버가,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영상을 포함하는 재난 경보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주변 영상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저장된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재난 경보 및 범죄예방이 필요한 장소를 특정하여 다양한 재난 경보를 제공하고 영상 관제를 기반으로 재난 감지 및 범죄예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재난 경보 영상을 제공받아, 다양한 재난 경보 영상 또는 범죄 예방 영상을 상황에 적합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중심으로 재난의 위치를 판정하고, 재난의 위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재난경보 영상이 이동하도록 투사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재난 피난의 방향을 직관적으로 제공하고 재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요소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적 시스템에서 구동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체이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적 구성과 그에 대응되는 구동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이하, '재난 경보 시스템'이라 칭함)은 복수의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 및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재난안전과 관련된 실시간 상황, 대처 및 예방과 관련된 영상 이나 이미지(이하, '재난 경보 영상'이라 칭함)를 주변 (예를 들어, 길바닥이나 투사판)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과 학습을 기반으로 현재 촬상 영상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주변의 다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나 관제 서버(200)에 전파할 수 있다.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로부터 재난 상황 발생을 전달받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해당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 경보 영상를 표시하여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다.
관제 서버(20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와 연동하여 재난 현황을 관제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와 연동하여 해당 재난 현황과 관련하여 주변의 사람들과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에게 재난 경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제 서버(200)와 연결되어 재난 경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상황이나 재난 경보 영상의 업데이트 및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재난 경보 시스템과 그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카메라부(110), 센서부(120), 영상 투사부(130), 구동부(140), 마이크(150), 비상벨(160), 무선통신부(170), 메모리(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은 제어부(190)에 제공되고, 제어부(190)는 영상인식을 인식을 기초로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10)를 제어하여 관제 서버(200)와의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재난 현황을 감지하기 위하여 부수적으로 사용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진동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30)는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투사부(130)는 길바닥이나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30)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투사 시 스피커는 해당 영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를 틸팅 및/또는 패닝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4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거나 투사 영상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마이크(150)는 주변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마이크(150)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관제 서버(200)와의 실시간 영상 관제 환경(영상 통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비상벨(16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의 본체에서 연장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비상벨(160)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마이크(150)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관제 서버(200)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비상벨이 눌리면 관제 서버와 긴급 영상관제가 실시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관제 센터에서 즉각적으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70)는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또는 관제 서버(200)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할 수 있다.
메모리(18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80)는 관제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재난 경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기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재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가 동작하도록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의 타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카메라부(110)에서 제공된 주변 영상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해당 영상에서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저장된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영상 투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통신부(170)를 이용하여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관제 서버(200)와의 실시간 영상 통화를 설정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190) 의 다양한 실시예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영상인식 모듈(191), 재난감지 모듈(192), 재난경보 투사모듈(193) 및 재난전파 모듈(19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인식 모듈(191)은 카메라부(110)에서 주변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된 주변 영상에 대하여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해당 영상에서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영상인식 모듈(191)은 주변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변 영상은 연속되는 촬상 이미지로 구성되고, 영상인식 모듈(191)은 연속되는 촬상 이미지에 대한 특징점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재난감지 모듈(192)은 기 구비된 특징점 데이터와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해당 영상에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있는지 판단하여, 해당 영상이 어느 재난 상황에 해당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징점 데이터는 영상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특징점에 대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화재 상황의 경우 불꽃의 색깔이나 모양을 기준으로, 연속되는 촬상 이미지에서 불꽃의 움직임과 관련된 특징들로 특징점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람이 쓰러지는 상황은, 연속되는 촬상 이미지에서 사람 객체가 이동하다가 바닥에 일정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는 특징들로 특징점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점 데이터는 관제 서버(200)에서 학습되어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에게 배포될 수 있다.
재난감지 모듈(192)은 판단된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재난경보 투사모듈(193) 및 재난전파 모듈(194)에 제공할 수 있다.
재난경보 투사모듈(193)은 재난 상황에 따라 투사되어야 할 재난 경보 영상을 기 저장된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선별하여 영상 투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경보 투사모듈(193)은 재난 경보 영상과 함께 투사될 재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경보 투사모듈(193)은 도로의 전방 1Km 에 구비된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은 경우, '전방 1Km 화재 발생'이라는 재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재난 경보 영상과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난전파 모듈(194)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통신부(170)를 이용하여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관제 서버(200)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할 수 있다.
재난전파 모듈(194)은 관제 서버(200)외에도, 소방서, 경찰서 등의 타 기관에도 재난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설정된 재난 담당자에게도 재난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전파 모듈(194)은 재난 상황의 종류 및 설치된 환경에 따라 전파할 거리를 다르게 설정하고, 해당 거리 내에 존재하는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에게만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왕복 6차선 도로에서 200미터 간격으로 복수의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 내지 104)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가 관리하는 지역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제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는 재난 상황으로서 교통 사고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 전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도로의 수가 많아 다수의 차량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환경에서의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 내지 104)는 사고 전파 거리를 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차량의 진행방을 고려하여 후방으로 600미터까지 재난 상황이 전파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왕복 4차선 도로에서 200미터 간격으로 복수의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 내지 104)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경우, 도심 환경과 같이 도로 수가 좁고 차량의 이동속도가 높지 않은 환경이므로, 도 4의 경우보다 전파되는 거리가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재난전파 모듈(194)은 재난 상황 및 설치 환경에 따라 재난 발생 정보를 전파할 거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의 재난전파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재난 상황이 교통 사고인 경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2, 103, 104)까지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전파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의 재난전파 모듈은 도 4의 예시보다 짧은 거리에 위치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2)까지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전파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재난전파 모듈(194)이 설치된 환경에 따라 재난 전파 거리가 다르게 설정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재난 상황의 종류에 따라서도 재난 전파 거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사고 등은 제1 전파 거리로, 사람이 쓰러진 상황 등의 인사 상황은 제1 전파거리보다 짧은 제2 전파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전파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1)가 전파할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선정하여 선정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에 직접 무선으로 정보를 전파하거나, 또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로 구성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전달될 노드 수를 설정하여 전파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영상인식 모듈(191), 재난감지 모듈(192), 재난경보 투사모듈(193), 재난전파 모듈(194) 및 영상통화 모듈(195)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인식 모듈(191) 내지 재난전파 모듈(194)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통화 모듈(195)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관제 서버(200)와의 실시간 영상 통화를 설정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통화 모듈(195)은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관제서버(200)에 즉시적이고 강제적인 실시간 영상 통화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영상통화 모듈(195)은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영상인식 모듈(191), 재난감지 모듈(192), 재난경보 투사모듈(193), 재난전파 모듈(194) 및 구동제어 모듈(196)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인식 모듈(191) 내지 재난전파 모듈(194)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제어 모듈(196)은 재난의 위치를 고려하여 재난 경보 영상이 이동하면서투사될 수 있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의 예시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재난의 위치, 즉, 영상에서 표시되는 재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구동제어 모듈(196)은 재난 경보 영상이 재난의 위치의 가까운 쪽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재난 상황(21)이 발생한 위치와 가까운 쪽에 재난 경보 영상-도시된 에에서는 화살표 탈출 표시-(11)이 우선적으로 표시된 후, 해당 재난 경보 영상이 재난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12,13) 구동제어 모듈(196)이 구동부를 조작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예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재난 감지모듈(192)은 화면에서 재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구동제어 모듈(196)에 제공하고, 구동제어 모듈(196)은 화면에서의 재난 위치를 기준으로 구동 조작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관제 서버(200)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합한 컴퓨팅 환경의 일반적이고 단순화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200)의 일 예로서 컴퓨팅 장치가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프로세싱 유닛(203)과 시스템 메모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협조하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의 정확한 구성 및 유형에 의존하여, 시스템 메모리(201)는 휘발성(예컨대, 램(RAM)), 비휘발성(예컨대, 롬(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는 플랫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운영 체제(202)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의 WINDOWS 운영체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는 프로그램 모듈, 애플리케이션 등의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는 자기 디스크, 광학적 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 저장소는 이동식 저장소 및/또는 고정식 저장소 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저장정보를 위한 임의의 방법이나 기법으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01), 저장소(204)는 모두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시일 뿐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램(RAM), 롬(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법,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적 저장소,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적 저장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컴퓨팅 장치(2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의 입력 장치(205),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및 비교 가능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206)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및 다른 유형의 출력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는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네트워크(20),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위성 링크, 셀룰러 링크, 근거리 네트워크, 및 비교가능한 메커니즘을 통해 장치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장치(207)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207)는 통신 매체의 한가지 예시이며, 통신 매체는 그 안에 컴퓨터 판독 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나 직접 유션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제 서버(200)는 이러한 컴퓨팅 환경에서 구현되는 기능적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관제 서버의 기능적인 특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200)는 안전영상 제공부(210), 안전대응 관리부(220), 관제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영상 제공부(210)는 재난 상황 및 해당 재난 상황에 디스플레이 되는 재난 경보 영상을 포함하는 재난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스마트 영상 프로젝트에 제공할 수 있다.
안전대응 관리부(22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트로부터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제공받고, 재난 상황에 대한 전체적인 모니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영상 프로젝트로부터 재난이 감지되었는지, 감지된 재난에 대한 정보가 어느 스마트 영상 프로젝트까지 전파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관제부(230)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트와 영상 통화 환경을 설정하여 영상 관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관제 서버(200)가 운영을 위하여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상황 및 해당 재난 상황에 디스플레이 되는 재난 경보 영상을 포함하는 재난 경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재난 발생 현황에 대한 이력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10에서 기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200)는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영상을 포함하는 재난 경보 데이터를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에 제공할 수 있다(S1112).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제공받은 재난경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12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주변 영상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S13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저장된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41).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 할 수 있다(S11). 이러한 전파는 관제 서버(200) 뿐만 아니라,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의 타 기관 서버에도 전파될 수 있다.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100)는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S1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200 : 관제 서버
110 : 카메라부 120 : 센서부
130 : 영상 투사부 140 : 구동부
150 : 마이크 160 : 비상벨
170 : 무선통신부 180 : 메모리
201 : 시스템 메모리 202 : 운영체제
203 : 프로세싱 유닛 204 : 저장소
205 : 입력장치 206 : 출력장치
207 : 통신장치
210 : 재난경보 제공부 220 : 재난경보 관리부
230 : 관제부 2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주변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기초로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상황으로 판단되면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와 연동하여 재난 현황을 관제하고,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에 재난 경보 영상을 제공하는 관제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주변 영상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저장된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주변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 서버와의 실시간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되는 비상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6.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 가능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로서,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재난 경보 영상을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투사부;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영상을 포함하는 재난 경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주변 영상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상기 영상 투사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경보를 위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경보를 위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는
    주변 소리를 인식하는 마이크;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되는 비상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경보를 위한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9.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으로서,
    상기 관제 서버가,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 영상을 포함하는 재난 경보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주변 영상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재난 상황에 대응되는 영상 특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재난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 저장된 재난 경보 데이터에서 해당 재난 상황과 연관된 재난 경보 영상을 선별하여 주변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상기 관제 서버에 해당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상기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가,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과 마이크에서 인식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영상 관제 환경을 생성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 긴급 영상관제 요청 및 방범대응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KR1020200164342A 2020-11-30 2020-11-30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52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42A KR102520314B1 (ko) 2020-11-30 2020-11-30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42A KR102520314B1 (ko) 2020-11-30 2020-11-30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826A true KR20220075826A (ko) 2022-06-08
KR102520314B1 KR102520314B1 (ko) 2023-04-11

Family

ID=8198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342A KR102520314B1 (ko) 2020-11-30 2020-11-30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3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141A (ko) 2005-04-06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재난경보 처리방법
JP2014049887A (ja) * 2012-08-30 2014-03-17 Toshiba Teli Corp 監視カメラ装置
KR20160052891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큐브인 상황 인식 기반 지능형 피난안내 시스템
KR101635429B1 (ko) *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141A (ko) 2005-04-06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재난경보 처리방법
JP2014049887A (ja) * 2012-08-30 2014-03-17 Toshiba Teli Corp 監視カメラ装置
KR20160052891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큐브인 상황 인식 기반 지능형 피난안내 시스템
KR101635429B1 (ko) * 2015-07-10 2016-07-01 주식회사 신성테크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314B1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0877B1 (en) Danger monitoring system
ES2705848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proporcionar recursos de emergencia
US2011022773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surveillance of persons and/or surroundings
EP2677510A2 (en) Mobile autonomous surveillance
US20130116922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server and portabl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US10504371B2 (en) Drive assist apparatus and drive assist system
KR101748273B1 (ko) 차량 헤드 유닛,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비상상황 알림 방법
KR101518485B1 (ko) 지능형 객체 추적 시스템
KR101629549B1 (ko)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KR102520314B1 (ko) 스마트 영상 프로젝터 및 그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827557B1 (ko) 보행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US11176788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30324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iewing of self-driving vehicles
KR20160029055A (ko)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JP6228254B2 (ja)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JP7435988B2 (ja) 領域提示システム、領域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6078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7397575B2 (ja) 信号機制御装置及び信号機制御方法
CN103581617A (zh) 监控系统及方法
KR20180002930A (ko) 휴대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5051B1 (ko) 드론을 활용한 관제 시스템
JP7087274B2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と報知制限方法
KR20110095531A (ko) 이동로봇의 인물탐색 방법
KR20190072832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경고 알림 방법
KR20180058331A (ko) 드론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