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657A - 조형체 기울기에 따른 최적 높이 자동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조형체 기울기에 따른 최적 높이 자동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657A
KR20220075657A KR1020200163972A KR20200163972A KR20220075657A KR 20220075657 A KR20220075657 A KR 20220075657A KR 1020200163972 A KR1020200163972 A KR 1020200163972A KR 20200163972 A KR20200163972 A KR 20200163972A KR 20220075657 A KR20220075657 A KR 2022007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manufacturing
manufacturing system
powder
metal powd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수
김동수
한성국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씨에스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657A/ko
Publication of KR2022007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2F10/28Powder bed fusion, e.g. selective laser melting [SLM] or electron beam melting [EB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8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90Means for process control, e.g. camera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적층 제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베이스 기판의 상면 측으로 금속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도포 유닛; 과, 상기 금속 분말에 의해 분말 베드가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과, 상기 분말 베드 상에 에너지 빔을 조사하는 조사 유닛; 및 조형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여 상기 에너지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체의 영역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모델을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층으로 슬라이싱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제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A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 제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잡한 형상을 가진 조형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층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적층 제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프린팅에 해당하는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는, 기존의 제조 프로세스들로는 생성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일부 형상들을 포함하는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형상들을 가지는 조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적층 제조에 해당하는 분말 베드 융합(Power Bed Fusion: PBF) 시스템은 금속 분말 소재를 고에너지원으로 용융 시켜 접합함으로써 조형물을 제조한다. 이 경우, 분말층을 층 단위로 생성하고, 생성된 층들을 적층 시켜 접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조형체를 정밀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조형체를 구성하는 영역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적층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기울기를 가지는 조형체에 있어서, 사용자는 기울기를 고려하여 적층 높이를 결정한다. 따라서, 형상이 복잡한 조형체를 적층 가공하는 경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미국등록특허공보 US 6042774호(2000.03.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조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영역별 기울기에 대응하여 적층 높이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적층 제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조형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층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적층 제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적층 제조 시스템은, 베이스 기판의 상면 측으로 금속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도포 유닛; 과, 상기 금속 분말에 의해 분말 베드가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과, 상기 분말 베드 상에 에너지 빔을 조사하는 조사 유닛; 및 조형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여 상기 에너지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체의 영역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모델을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층으로 슬라이싱 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체의 영역별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적층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체를 고정높이로 슬라이싱 하여 루프를 계산하고, 이전층의 루프와 현재층의 루프 간의 최대 기울기 및 최소 기울기를 계산하고, 상기 최대 기울기 및 최소 기울기를 고려하여 최적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조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영역별 기울기에 대응하여 적층 높이를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조형체를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조형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영역별 적층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제조 시간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이 적층 높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이 서포트 생성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1)은 층상에 도포된 금속 분말로 에너지 빔을 조사하고 적층 조형을 실시함으로써, 3차원 형상의 조형물(15)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조형물(15)은 가스 터빈이나 증기 터빈 등의 터빈 동익이나 터빈 정익, 연소기의 내통 또는 미통이나 노즐 등의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적층 제조 시스템(1)은 베이스 기판(2), 분말 베드(8), 광 빔 조사 유닛(9), 분말 도포 유닛(10), 제어부(20) 및 저장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은 조형물(15)이 조형되는 동안 조형물(15)을 지지한다.
분말 베드(8)에는 금속 분말(30)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분말(30)은 조형물(15)의 원료가 되는 분말상 물질로서, 예를 들어, 철, 구리, 알루미늄 또는 티탄 등의 금속재료나, 세라믹 등의 비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빔 조사 유닛(9)은 분말 베드(8)상에 도포된 금속 분말(30)에 광 빔(9a)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적층 제조 시스템(1)이 에너지 빔으로서 광 빔을 조사하는 경우를 가정하지만, 전자 빔 등 다른 형태의 에너지 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말 도포 유닛(10)은 베이스 기판(2) 상에 금속 분말(30)을 부설하여 분말 베드(8)를 형성할 수 있다.
분말 도포 유닛(10)은 베이스 기판(2)의 상면 측으로 금속 분말(30)을 공급하고 그 표면을 평탄화 함으로써, 베이스 기판(2)의 상면 전체에 걸쳐 대략 균일하 두께를 가지는 층 상태의 분말 베드(8)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분말 도포 유닛(10), 베이스 기판(2)의 구동 실린더(2a) 및 광 빔 조사 유닛(9)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베이스 기판(2)의 상면 측으로 금속 분말(30)을 공급하도록 분말 도포 유닛(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분말 베드(8)에 광 빔(9a)을 조사하도록 광 빔 조사 유닛(9)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는 조형물(15)의 조형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제어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적층 제조 시스템(1)의 제어 유닛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와 같은 전자 연산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조형물(15)의 제작에 필요한 조형물(15)의 형상 및 치수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조형물(15)에 포함된 제1영역(15a) 및 제2영역(15b)이 조형물(15)의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조형물(15)을 조형하기 위한 상기 정보들은, 예를 들어 외부의 장치로부터 입력되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영역(15a)과 제2영역(15b)은 치수, 표면 조도,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이 상이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영역(15a)에서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제2영역(15b)에서 요구되는 특성보다 우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15a)에서 요구되는 품질은 제2영역(15b)에서 요구되는 품질보다 높다.
저장부(31)는 금속 분말(30)을 저장할 수 있다.
각 주기로 형성된 분말 베드(8)에는, 광 빔 조사 유닛(9)으로부터 광 빔(9a)이 조사되어 선택적으로 고체화되고, 다음 주기에서 분말 도포 유닛(10)에 의하여 다시 상층 측으로 금속 분말(30)이 도포되어 새로운 분말 베드(8)가 형성됨으로써 층상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층 제조 시스템(1)에 의한 적층 제조 방법에 의하면, 분말의 용융 및 고체화를 반복하여 적층함으로써 3차원 조형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3차원 조형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완성까지는 긴 작업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분말(30)의 적층 두께 T를 두껍게 함으로써, 금속 분말(30)의 적층 횟수를 줄이고 이에 의해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분말(30)의 적층 두께 T를 두껍게 하게 되면, 조형물(15)에서 표면 조도가 엉성해지는 등, 조형물의 특성이 주로 열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1)은 조형물(15)에서 제2영역(15b)보다 높은 품질이 요구되는 제1영역(15a)에서의 금속 분말(30)의 적층 두께 T1을, 제2영역(15b)에서의 적층 두께 T2 보다 얇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형물(15)에서 제1영역(15a) 만큼 높은 품질이 요구되지 않는 제2영역(15b)에서는 금속 분말(30)의 적층 두께 T2를, 제1영역(15a)에서 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금속 분말(30)의 적층 횟수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게 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이 적층 높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고정 적층 높이를 설정하는 경우이다. 3차원 프린팅은 3D 모델을 다수의 레이어들로 슬라이싱 한 후, 슬라이싱된 레이어들을 적층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을 동일한 두께로 슬라이싱 하여, 고정 적층 높이를 가지도록 적층 제조를 수행한다.
도 2b는 가변 적층 높이를 설정하는 경우이다. 높은 품질이 요구되는 영역은 적층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설정하고, 높은 품질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은 적층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을 상이한 두께로 슬라이싱 하여, 가변 적층 높이를 가지도록 적층 제조를 수행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이 서포트 생성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제조 시스템(100)은 적층 영역에 대응하여, 서포트 생성 영역의 범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은 품질이 요구되는 영역에 대해서만 서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 두께가 얇게 생성되는 영역에 대해서만 서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조형체의 전 영역에 걸쳐 서포트가 생성된다. 반면, 도 3a를 참조하면, 적층 두께가 얇게 생성된 영역에 대해서만 서포트가 생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조형 시스템(100)은 조형체의 적층 두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첫째, 조형체를 고정높이(Hi)로 슬라이싱 하여 루프(Li)를 계산한다.
둘째, 이전 층(Hi-1)의 루프(Li-1)와 현재 층(Hi)의 루프(Li) 사이의 최대/최소 기울기(Amax, Amin)를 계산한다.
셋째, 계산된 기울기를 고려하여 최적높이를 결정한다.
넷째, 현재층(Hi)을 다시 슬라이싱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최소 적층 높이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다섯째, 1단계부터 반복적으로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의하면, 적층 조형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설정 없이도, 조형체의 적층 두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형체 기울기에 따라 자동으로 적층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형체 제품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고, 조형체의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며, 서포트 생성 범위가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적층 제조 시스템 2: 베이스 기판
8: 분말 베드 9: 광 빔 조사 유닛
10: 분말 도포 유닛 20: 제어부
31: 저장부

Claims (3)

  1. 적층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베이스 기판의 상면 측으로 금속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 도포 유닛;
    상기 금속 분말에 의해 분말 베드가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분말 베드 상에 에너지 빔을 조사하는 조사 유닛; 및
    조형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여 상기 에너지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체의 영역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모델을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층으로 슬라이싱 하는, 적층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체의 영역별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적층 높이를 설정하는, 적층 제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형체를 고정높이로 슬라이싱 하여 루프를 계산하고, 이전층의 루프와 현재층의 루프 간의 최대 기울기 및 최소 기울기를 계산하고, 상기 최대 기울기 및 최소 기울기를 고려하여 최적 높이를 결정하는, 적층 제조 시스템.
KR1020200163972A 2020-11-30 2020-11-30 조형체 기울기에 따른 최적 높이 자동 결정 방법 KR20220075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72A KR20220075657A (ko) 2020-11-30 2020-11-30 조형체 기울기에 따른 최적 높이 자동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72A KR20220075657A (ko) 2020-11-30 2020-11-30 조형체 기울기에 따른 최적 높이 자동 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657A true KR20220075657A (ko) 2022-06-08

Family

ID=8198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972A KR20220075657A (ko) 2020-11-30 2020-11-30 조형체 기울기에 따른 최적 높이 자동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6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774A (en) 1995-03-30 2000-03-28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774A (en) 1995-03-30 2000-03-28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1601B2 (ja) 3次元積層造形装置、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6627030B2 (en) Variable lamination manufacturing (VLM) process and apparatus
US99082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ree dimensional (3D) object, part and component manufacture including locally laser welded laminates
US100465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ree dimensional (3D) object, part and component manufacture including displacement/vibration welded or heat staked laminates
JP5777187B1 (ja) 積層造形装置
JP5519766B2 (ja) 三次元形状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三次元形状造形物
JP2020505251A (ja) 電子ビーム選択的溶融と電子ビーム切断とを組み合わせた積層造形装置
JP6200599B1 (ja) 3次元積層造形装置、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4827155B (zh) 一种适用于复杂零件的固熔复合增材成形方法
JPH11347761A (ja) レーザによる3次元造形装置
CN107457404A (zh) 一种适用于复杂零件和模具的增材加工成形方法
US20200393814A1 (en) Methods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discrete objects from a body of material created by additive manufacturing
JP6643631B2 (ja) 三次元形状造形物の製造方法
JP2010228332A (ja) 造形物の製造方法
KR20190001752A (ko) 후처리 일체형 3d 프린터 장치
KR20040028593A (ko) 삼차원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1722979B1 (ko) 3차원 형상의 제작방법
CN110303677B (zh) 三维层积打印物件轮廓的激光交错留顶气化方法
JP2003321704A (ja) 積層造形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積層造形装置
KR20220075657A (ko) 조형체 기울기에 따른 최적 높이 자동 결정 방법
Hayasi et al. Close to CAD model curved-form adaptive slicing
KR102022020B1 (ko) 음파 부양을 이용한 프린터 장치
WO2018079626A1 (ja) 三次元造形装置及び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JP2007021922A (ja) 積層造形方法および装置
JP2004284025A (ja) 積層造形法および積層造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