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530A -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 Google Patents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530A
KR20220074530A KR1020200163133A KR20200163133A KR20220074530A KR 20220074530 A KR20220074530 A KR 20220074530A KR 1020200163133 A KR1020200163133 A KR 1020200163133A KR 20200163133 A KR20200163133 A KR 20200163133A KR 20220074530 A KR20220074530 A KR 20220074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ata collection
laser
io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9397B1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20016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397B1/en
Publication of KR2022007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5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는 이송선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의 이동을 수행하는 컨베이어,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하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 상기 물품식별코드 검출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물품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하는 물품 측량기, 및 상기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측량 신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을 분류하여 물품 목적지를 결정하며 상기 물품의 무게와 볼륨을 기초로 상기 이송선로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물품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is a conveyor that moves the goods loaded on the transfer lin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line, is disposed on the transfer line, and is an article identification code for detecting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rticle A detector, an article surveyor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ort lin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and measuring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when a survey signal is received, and the survey signal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and an article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the article, classifies the article, determines an article destination, and determines a moving speed of the transport line based o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Description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Smart Supply Chai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본 발명은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Internet of Things)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물품 목적지 및 이송선로의 이송속도를 결정하여 물품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oT (Internet of Things) data collection conveyor technology on a smart supply chain. It relates to a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a smart supply chain that can perform the movement of goods.

컨베이어(Conveyor)는 여러 제조 산업은 물론 유통 분야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설비이다. 자동화된 시설 내에서 물건을 운반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도구로, 높은 효율성을 확보하게 한다.Conveyors are key equipment used in various manufacturing industries as well as distribution fields. It is an indispensable tool for transporting goods within an automated facility, ensuring high efficiency.

반면, 현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품 식별 및 위치 데이터를 육안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제품 보관 작업의 낭비가 발생하고 서로 도울 수 없어 공정 분할과 라인 밸런싱에 문제가 있으며 공정 작업간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공정작업을 수시로 멈출 수가 없어 생산 라인의 경직화 및 안전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nveyor system visually distinguishes product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ata, resulting in waste of product storage work, and there is a problem in process division and line balancing because they cannot help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line is rigid and safety is insufficient because it cannot be stopped.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스마트팩토리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가 구축되면 카트, 기계, 로봇, 유틸리티, 부품 등이 상호간 정보교환을 통해 능동적인 이송과 제조를 수행하고 모든 공정 이력이 기록되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고나 불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누적된 공정 데이터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정 불량이나 이상 발생 신호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mart factory transformation is accelerating. When a smart factory is established, carts, machines, robots, utilities, and parts can actively transport and manufacture through mutual information exchange, all process histories are recorded, and accidents or defects can be predicted in advance through data analysi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process defects or abnormalities in advance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accumulated process data.

특히, 스마트팩터리 환경 하에서 컨베이어 시스템에도 스마트 공급망을 구현하여 불편함을 개선하는 스마트 컨베이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a smart conveyor technology that improves inconvenience by implementing a smart supply chain in a conveyor system under a smart factory environment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제10-2141394호는 스마트 컨베이어 사행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운송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재와, 컨베이어벨트의 양측을 가압하여 사행을 조정하는 사행조정부재와, 사행조정부재를 통해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인식하고 사행조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운송물을 대량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사행을 조정하여 설비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감지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활용하여 설비 및 정비자재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정비를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Korea Patent No. 10-2141394 relates to a smart conveyor meander adjustment system, a meander detection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of a conveyor belt for transporting goods to detect a meandering of the conveyor belt, and a meander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By including a meandering adjustment member for adjusting, and a control member for recognizing the meandering of the conveyor belt through the meandering adjustment member and controlling the meandering adjustment member, the meandering of the conveyor belt is adjusted by detecting the meandering of the conveyor belt for transporting a large amount of goods.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equipment damage and safety accidents, and to reduce costs through effici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equipment and maintenance materials by collecting, analyzing and utilizing detected data.

한국등록특허 제10-1998384호는 스마트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창고의 내부에 구비되며 랙에 보관되어 있는 제품을 이송하여 무인셔틀의 상면에 적재하는 스태커크레인, 장방형의 박스형상이며 제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금속재질 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평편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적재되는 제품이 수평을 유지하는 상판과 몸체의 저면에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는 무인셔틀, 자동창고 내부의 출구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IoT센서가 설치되어 통과하는 무인셔틀의 상판에 적재되면서 바코드 또는 RFID가 구비된 제품을 식별하는 게이트, 무인셔틀에 적재된 제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무인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Korea Patent No. 10-1998384 relates to a smart logistics system, a stacker crane that is provided inside an automatic warehouse and transports products stored in racks and loads them on the top surface of an unmanned shuttle, a rectangular box shape, and the load of the product An unmanned shuttle, automatic warehouse including a body made of metal or reinforced plastic that supports It is installed at the exit or outside, and an IoT sens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te to identify products equipped with barcode or RFID while being loaded on the top plate of the unmanned shuttle passing through. It consists of a conveyor system.

한국등록특허 제10-2141394호 (2020.07.30)Korean Patent No. 10-2141394 (2020.07.30) 한국등록특허 제10-1998384호 (2019.07.03)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8384 (2019.07.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물품 목적지 및 이송선로의 이송속도를 결정하여 물품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a smart supply chain that enables the movement of goods by determining the destination of the goods and the transfer speed of the transfer line based on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of the goods loaded on the transfer line. would like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된 RFID 리더를 통해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를 이동한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a smart supply chain that can collect information on transporting goods moving on a conveyor by detecting an article identification code of an article through an RFID reader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lin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품이 컨베이어를 이동할 때 물품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하여 물품 이송 정보를 데이터 수집하고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입출고 및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goods when the goods move on a conveyor, collects goods transport information, and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ed goods on a smart supply chain that can efficiently manage warehousing and inventory We want to provide a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는 이송선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의 이동을 수행하는 컨베이어,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하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 상기 물품식별코드 검출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물품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하는 물품 측량기, 및 상기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측량 신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을 분류하여 물품 목적지를 결정하며 상기 물품의 무게와 볼륨을 기초로 상기 이송선로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물품 제어부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is a conveyor that moves the goods loaded on the transfer lin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line, is disposed on the transfer line, and stores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of the item. An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that detects, an article surveyor that is disposed on the transfer lin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and measures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when a measurement signal is received, and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based on and an articl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generate the survey signal, classifying the article to determine an article destination, and determining a moving speed of the transport line based o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상기 물품식별코드 검출기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상기 물품 측량기는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물품을 향해 레이저를 송출하고 각각은 서로 다른 파형을 가지는 일련의 레이저 송출부들, 및 상기 레이저로부터 파생되고 상기 물품에 의하여 반사되는 반사 레이저를 수신하고 각각은 해당 파형을 필터링하는 일련의 레이저 수신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일련의 레이저 송출부들 및 상기 일련의 레이저 수신부들은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The article meter is disposed across the top of the transport line to send a laser toward the article, each of a series of laser emitters having a different waveform, and a reflective laser derived from the laser and reflected by the article. and a series of laser receivers each receiving and filtering a corresponding waveform, the series of laser transmitters and the series of laser receiver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물품 측량기는 상기 반사 레이저를 기초로 상기 물품의 진입을 검출하고 상기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구동하며, 상기 레이저와 상기 반사 레이저의 시간 차를 기초로 상기 물품의 횡단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의 진입부터 진출때까지 누적된 물체의 횡단 높이들을 기초로 상기 물품의 볼륨을 산출할 수 있다.The article weighing machine detects the entry of the article based on the reflected laser and drives a camera that takes an image of the article and a load cell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article, and the time between the laser and the reflected laser The traverse height of the artic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ifference and the volume of the article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accumulated traverse heights of the object from entry to exit of the article.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물품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에 관한 무게 및 볼륨의 측정 필요성을 결정하여 상기 측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rticl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article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and determine the need to measur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to generate the measurement signal.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를 이동한 물품에 관한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포함하는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하여 물품 이송 DB를 생성할 수 있다.The article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article transfer DB by collecting article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moving the conveyor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물품 이송 DB를 분석하여 시기별 물품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산출하고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article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article transfer DB to calculate article types,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for each period, and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ferred articles.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상의 상기 물품식별코드 검출기의 설치 지점을 신규의 분기 지점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articl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o create a new branch point for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on the conveyor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ransferred articl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는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물품 목적지 및 이송선로의 이송속도를 결정하여 물품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goods by determining the destination of the goods and the transfer speed of the transfer line based on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of the goods loaded on the transfer lin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는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된 RFID 리더를 통해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를 이동한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information on transporting goods moving the conveyor by detecting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rticle through an RFID reader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는 물품이 컨베이어를 이동할 때 물품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하여 물품 이송 정보를 데이터 수집하고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입출고 및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the goods when the goods move on the conveyor, collects goods transport information, performs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ed goods, and performs input/output and inventory can be manage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 및 물품 측량기의 컨베이어 상에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레이저 송출부 및 레이저 수신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1에 있는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베이어에 대해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system on a smart supply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f FIG. 1 .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n the conveyor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and the article meter in FIG. 2 .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laser transmitting unit and the laser receiving unit in FIG. 3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oT data collection process on a smart supply chain for a conveyor performed in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in FIG. 11 .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기술로서 크게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와 그 정보를 읽는 RFID 리더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RFID 태그와 리더는 각각에 장착된 안테나를 이용해 전자기파를 매개체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한다.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a technology for wirelessly recognizing objects and is largely divided into an RFID tag that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RFID reader that reads the information. It carries out the transfer of information as a medium.

IoT(사물인터넷)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이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 technology that connects various objects to the Internet by embedding sensor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It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allows objects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exchange data, analyze themselves, and provide learned information to the user or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it.

본 발명에서는 RFID와 IoT 기술의 결합을 통해 스마트 공급망을 구현하여 컨베이어의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류의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smart supply chain through the combination of RFID and IoT technology, information on the transfer of goods loaded on the transfer line of the conveyor is collected and converted into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system on a smart supply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시스템(100)은 컨베이어(110),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system 100 includes a conveyor 110 , a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 and a database 150 , which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컨베이어(110)는 이송선로의 이동을 통해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A)의 이동을 수행하는 물품 운반 장비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베이어(110)는 종류 및 용도가 특정되지는 않는다. 컨베이어(110)는 이송선로가 일정속도로 움직여 위에 물품(A)을 올려놓고 운반한다. 컨베이어(110)는 벨트컨베이어, 나사컨베이어, 버킷컨베이어, 공기컨베이어, 체인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 트롤리컨베이어, 진동컨베이어, 유체컨베이어 등 종류가 다양하다.The conveyor 110 may correspond to article transport equipment that moves the article A loaded on the transfer lin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line. Here, the type and use of the conveyor 110 are not specified. Conveyor 110, the transfer line moves at a constant speed to put the article (A) on it and transport it. Conveyor 110 has various types, such as belt conveyor, screw conveyor, bucket conveyor, air conveyor, chain conveyor, roller conveyor, trolley conveyor, vibration conveyor, fluid conveyor.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컨베이어(110)의 이송선로 상에 적재되어 이동한 물품(A)의 IoT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corresponds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IoT data of the article A that is loaded and moved on the transfer line of the conveyor 110 .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A)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고 물품(A)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할 수 있고 검출한 물품식별코드 및 물품의 무게 및 볼륨을 기초로 물품(A)의 이송 방향(목적지) 및 이송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can detect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rticle A and measure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and based on the detected articl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ransport direction (destination) and transport speed of the article A.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컨베이어(110)를 이동한 물품(A)에 관한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한 물품 이송 정보를 DB화 하여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collect article transport information about the article A that has moved the conveyor 110, and convert the collected article transport information into a DB to perform a transport article statistical analysis.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the database 150 , and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database 150 . When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database 150 ,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database 150 through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데이터베이스(150)는 컨베이어에 대해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수집한 물품 이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베이어를 이동하는 물품에 관한 IoT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IoT data collection on the smart supply chain for the conveyor, and may store the collected goods transpor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may be stor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IoT data related to goods moving on a conveyor.

데이터베이스(150)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independent sub-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belonging to a specific range, and may be composed of an integrated database in which at least one independent sub-database is integrated into one. When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independent sub-database, each of the sub-databases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Bluetooth, WiFi, etc., and may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When the database 150 is configured as an integrated database, the respective sub-databas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and include a control unit for managing mutual data exchange and control flow.

도 2는 도 1에 있는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 물품 측량기(230) 및 물품 제어부(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includes an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 an article meter 230 , and an article control unit 250 .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는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물품(A)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는 컨베이어(110) 상에 RFID 리더를 설치하여 컨베이어(110)의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A)에 부착된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식별코드는 물품마다 부여되는 고유정보에 해당한다.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line and can detect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rticle (A). In one embodiment,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may install an RFID reader on the conveyor 110 to detect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to the article A loaded on the transfer line of the conveyor 110 . Here,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s to unique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product.

물품식별코드는 바코드, QR코드, RFID, 이미지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는 물품식별코드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는 스캐너, RFID 리더, 광학 문자 판독기(OCR)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barcode, QR code, RFID, and image.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canner, an RFID reader,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or the like.

물품 측량기(230)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량 신호가 수신되면 물품(A)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측량기(230)는 컨베이어(110)의 이송 선로 상에 물품(A)이 진입되면 물품(A)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31) 및 물품(A)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load cell)(233)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 측량기(230)는 물품(A)의 진입을 검출하고 물품(A)의 볼륨을 산출하기 위해 레이저 송출부(235) 및 레이저 수신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이저 송출부(235)는 이송선로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물품(A)을 향해 레이저를 송출하고 각각은 서로 다른 파형을 가지는 일렬의 레이저 송출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수신부(237)는 레이저 송출부(235)에서 송출되어 물품(A)에 의하여 반사되는 반사 레이저를 수신하고 각각은 해당 파형을 필터링하는 일련의 레이저 수신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렬의 레이저 송출부재들 및 일련의 레이저 수신부재들은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The article measuring device 23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lin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and when a measurement signal is received,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can be measured. In one embodiment, the article weigher 230 measures the weight of the article (A) and the camera 231 capable of taking an image of the article (A) when the article (A) enters on the transfer line of the conveyor (110) It may include a load cell (233) that can. The article meter 230 may include a laser transmitter 235 and a laser receiver 237 to detect the entry of the article A and calculate the volume of the article A. Here, the laser transmitting unit 235 may be disposed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line to transmit a laser toward the article A, and may be composed of a line of laser transmitting members each having a different waveform. The laser receiving unit 237 may be composed of a series of laser receiving members that receive the reflected laser transmitted from the laser transmitting unit 235 and reflected by the article A, and each filter the corresponding waveform. A series of laser transmitting members and a series of laser receiving member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물품 측량기(230)는 물품(A)에 의하여 반사되는 반사 레이저를 기초로 물품(A)의 진입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측량기(230)는 물품(A)의 진입이 검출되면 카메라(231) 및 로드셀(233)을 구동시켜 물품(A)의 영상을 촬영하고 물품(A)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물품 측량기(230)는 레이저 송출부(235)에서 송출되는 레이저와 레이저 수신부(237)에서 수신되는 반사 레이저의 시간 차를 기초로 물품(A)의 횡단 높이를 결정하고 물품(A)의 진입부터 진출때까지 누적된 물체(A)의 횡단 높이들을 기초로 물품(A)의 볼륨을 산출할 수 있다.The article meter 230 may detect entry of the article A based on the reflected laser reflected by the article A. In one embodiment, when the entry of the article (A) is detected, the article weigher 230 drives the camera 231 and the load cell 233 to take an image of the article (A) and measure the weight of the article (A). can The article meter 230 determines the transverse height of the article A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transmitter 235 and the reflected laser received from the laser receiver 237, and from the entry of the article A The volume of the article A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traverse heights of the object A accumulated up to the exit.

일 실시예에서, 물품 측량기(23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레이저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등과 같이 거리 측정이 가능한 센서 장비를 통해 물품(A)을 무게와 볼륨을 측량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물품 측량기(230)는 측정 장비를 통해 물품(A)의 높이, 폭 및 길이를 측량하여 볼륨(부피)을 산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rticle measuring device 230 may measur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through a senso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laser sensor, or a LiDAR sensor. Here, the article measuring device 230 may calculate the volume (volume) by measuring the height, width, and length of the article A through measuring equipment.

물품 제어부(250)는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측량 신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물품(A)을 분류하여 물품 목적지를 결정하며 물품(A)의 무게와 볼륨을 기초로 이송선로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목적지는 컨베이어(110)가 여러 경로로 분기될 때 분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물품 제어부(250)는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물품(A)의 종류를 결정하고 물품(A)에 관한 무게 및 볼륨의 측정 필요성을 결정하여 측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 제어부(250)는 물품(A)의 종류가 소규모 택배인 경우에는 물품(A)에 관한 무게 및 볼륨 측정을 패스(pass)시킨다.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a survey signal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classifies the article (A) to determine the destination of the article, and determines the movement speed of the transfer line based o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can Here, the article destination may mean a branching direction when the conveyor 110 branches into multiple paths.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article A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and determine the need to measur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to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the article A is a small-scale courier service,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passes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물품 제어부(250)는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컨베이어(110)를 이동한 물품(A)에 관한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포함하는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하여 물품 이송 DB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제어부(250)는 물품 이송 DB를 분석하여 시기별 물품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산출하고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물품 제어부(250)는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통해 컨베이어(110) 상의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의 설치 지점을 신규의 분기 지점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article control unit 250 collects article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that has moved the conveyor 110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to create an article transport DB. have. In one embodiment,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may analyze the article transport DB to calculate the article type,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for each time period, and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 articles.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may determine whether to create a new branch point for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on the conveyor 110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ransferred article.

일 실시예에서, 물품 제어부(250)는 물품식별코드와 물품 측량기(230)의 측량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일원화된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제어부(250)는 물품식별코드(바코드, QR코드, RFID, 이미지 등), 물품의 실물 영상, 무게, 볼륨 등의 데이터를 현장 활용이 가능한 하나의 데이터로 묶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may collect and analyze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urvey data of the article meter 230 to process it into unified data. Here,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may bundle data such as an article identification code (bar code, QR code, RFID, image, etc.), an actual image of the article, weight, volume, etc. into one data that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의 물류 과정에서 물품 데이터를 초기 수집하여 초기 수집한 물품 데이터로 현장에서 필요한 물품 데이터에 매핑하여 물품을 처리 단계를 순차화할 수 있다. 예컨대, 초기 수집한 물품식별코드와 측량 데이터로 결합된 물품 이송 정보를 활용하여 유통 단계에서는 해당 물품의 무게 데이터로, 물류센터에서는 볼륨 데이터로, 그리고 판매 현장에서는 물품식별코드로 매핑을 통해 각 유통, 물류, 현장에서 각기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물품 처리단계를 순차화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on the smart supply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itially collects item data in the logistics process of the item, maps the initially collected item data to the item data required in the field to sequentially process the items. have. For example, by using the product transport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initially collected product identification code and measurement data, each distribution is mapped to the weight data of the product in the distribution stage, volume data at the distribution center, and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at the sales site. , logistics, and on-site data can be used to sequence the steps of handling goods.

도 3은 도 2에 있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 및 물품 측량기(230)의 컨베이어(110) 상에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n the conveyor 110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and the article meter 230 in FIG. 2 .

도 3의 (가)는 컨베이어(110)의 상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나)는 컨베이어(110)의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3 (A) shows the state seen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veyor 110, (B) shows the state seen from the side of the conveyor (110).

도 3의 (가) 및 (나)를 보면, 컨베이어(110)의 물품 진입구간 상부에는 RFID 리더(211)와 카메라(231)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컨베이어(110)의 물품 진입구간의 하부에는 물품(A)의 무게 측량을 위한 로드셀(233)이 설치된다. 컨베이어(110)의 상부에는 레이저 송출부(235) 및 레이저 수신부(237)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번되게 배치되어 컨베이어(110)의 이송선로를 향하여 레이저를 송출하고 반사 레이저를 수신한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3 , an RFID reader 211 and a camera 231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rticle entry section of the conveyor 110 . A load cell 233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article A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rticle entry section of the conveyor 110 . As shown in FIG. 4 , a laser transmitting unit 235 and a laser receiving unit 237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110 to transmit a laser toward the transfer line of the conveyor 110 and receive a reflected laser.

도 4는 도 3에 있는 레이저 송출부(235) 및 레이저 수신부(237)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laser transmitting unit 235 and the laser receiving unit 237 in FIG. 3 .

도 4를 보면, 레이저 송출부(235)는 컨베이어(110)의 상부에서 이송선로를 가로질러 레이저 송출소자들이 일렬로 배치된다. 레이저 수신부(237)는 레이저 송출소자들 사이에 각각의 레이저 수신소자들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레이저 송출소자들 및 레이저 수신소자들은 교번하여 배열된다. 레이저 송출부(235)는 레이저를 송출하고 레이저 수신부(237)는 레이저 송출부(235)에서 송출되어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laser transmitting unit 235 , the laser trans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in a line across the transfer line at the top of the conveyor 110 . In the laser receiving unit 237 , respective laser receiving elem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laser transmitting elements. Here, the laser transmitting elements and the laser receiving elements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laser transmitting unit 235 transmits a laser and the laser receiving unit 237 receives the reflected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transmitting unit 235 .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물품(A)이 컨베이어(110)의 이송선로 상에 진입하면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는 컨베이어(110)의 상부에 설치된 RFID 리더(211)를 통해 물품(A)에 부착된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물품 측량기(230)는 레이저 수신부(237)에서 수신한 반사 레이저를 기초로 물품의 진입을 검출할 수 있다. 물품 측량기(230)는 레이저와 반사 레이저의 시간 차가 설정 시간 보다 작으면 물품(A)에 의해 반사된 경우로 보고 물품의 진입으로 검출하게 된다. 물품 측량기(230)는 물품의 진입이 검출되면 컨베이어(110)의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231)를 구동시켜 물품(A)의 영상을 촬영한다. 물품 측량기(230)는 또한, 물품의 진입이 검출되면 컨베이어(110)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셀(233)을 구동시켜 물품(A)의 무게를 측정한다. 물품 측량기(230)는 레이저 송출부(235) 및 레이저 수신부(237)를 통해 레이저와 반사 레이저의 시간 차를 기초로 물품(A)의 횡단 높이를 결정하고 컨베이어(110)의 물품의 진입부터 진출때까지 누적된 물품의 횡단 높이들을 기초로 물품의 볼륨을 산출한다. Again, returning to FIG. 3 , when the article A enters the transfer line of the conveyor 110 ,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detects the article A through the RFID reader 211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veyor 110 .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to the The article measuring device 230 may detect the entry of the article based on the reflected laser received by the laser receiver 237 . If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laser and the reflected laser is smaller than the set time, the article meter 230 regards it as a case reflected by the article A and detects the entry of the article. When the entry of the article is detected, the article meter 230 drives the camera 23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110 to capture an image of the article A. The article weigher 230 also measures the weight of the article A by driving the load cell 233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110 when the entry of the article is detected. The article meter 230 determines the transverse height of the article A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laser and the reflected laser through the laser transmitter 235 and the laser receiver 237 , and the conveyor 110 enters and exits the article. Calculate the volume of the article based on the transverse heights of the article accumulated until

도 5는 도 1에 있는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컨베이어에 대해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oT data collection process on a smart supply chain for a conveyor performed in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in FIG. 1 .

도 5에서,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10). 보다 구체적으로,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컨베이어(110)의 이송선로의 이동을 통해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A)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In FIG. 5 ,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perform movement of an article loaded on a transfer line (step S510 ). More specifically,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perform movement of the article A loaded on the transfer lin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line of the conveyor 110 .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530). 일 실시예에서,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이송선로의 상부에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를 배치하고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A)에 부착된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는 RFID 리더(211)로 구현될 수 있고 물품(A)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되어 RFID 리더(211)로 RFID 태그를 읽어 컨베이어(110)를 이동하는 물품(A)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detect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rticle (step S530). In one embodiment,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arranges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on the transfer line and detects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attached to the item A loaded on the transfer line. . Here,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n RFID reader 211, and an RFID tag is attached to the article A to read the RFID tag with the RFID reader 211 and move the conveyor 110 (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of A) can be detected.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A)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할 수 있다(단계 S550). 일 실시예에서,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2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물품 측량기(230)를 통해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물품의 볼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측량은 물품의 종류에 따라 물품에 관한 무게 및 볼륨의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물품의 종류는 물품식별코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measure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 (step S550). In one embodiment,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takes an image of the article through the article surveyor 23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lin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0,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article. can be measured and the volume of the article can be calculated. Here, the measurement of the article may be performed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rticle. The type of produc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물품을 분류하고 물품 목적지를 결정하며 물품의 무게와 볼륨을 기초로 이송선로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70). 보다 구체적으로,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 제어부(250)를 통해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물품의 종류 별로 분류하고 컨베이어(110) 상에 이송선로가 여러 경로로 분기될 경우에는 목적지에 맞게 분기 방향을 결정하여 물품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classify articles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rmine the destination of the article, and determine the moving speed of the transfer line based o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step S570). More specifically,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classifies by type of item based on the item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item control unit 250, and when the transfer line is branched into several paths on the conveyor 110, it is sent to the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goods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branching accordingly.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컨베이어(110)를 이동한 물품의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590). 일 실시예에서,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130)는 물품 제어부(250)를 통해 컨베이어를 이동한 물품에 관한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포함하는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하여 물품 이송 DB를 생성할 수 있고, 물품 이송 DB를 분석하여 시기별 물품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산출하고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품 제어부(250)는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통해 컨베이어(110) 상의 물품식별코드 검출기의 설치 지점을 신규의 분기 지점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may collect article transport information of the article moving the conveyor 110 (step S590). In an embodiment,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30 collects product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of the product moving the conveyor through the product control unit 250 to create a product transport DB. can be created, and by analyzing the product transport DB, the type,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of the product by time can be calculated,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ransported product can be performed. Here, the article control unit 250 may determine whether to create a new branch point for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on the conveyor 110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ransferred article.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applica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may be changed.

100: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시스템
110: 컨베이어 130: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물품식별코드 검출기
211: RFID 리더
230: 물품 측량기
231: 카메라 233: 로드셀
235: 레이저 송출부 237: 레이저 수신부
250: 물품 제어부
A: 물품
100: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System on Smart Supply Chain
110: conveyor 130: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150: database
210: product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211: RFID reader
230: item meter
231: camera 233: load cell
235: laser transmitter 237: laser receiver
250: item control
A: Goods

Claims (8)

이송선로의 이동을 통해 상기 이송선로 상에 적재된 물품의 이동을 수행하는 컨베이어;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품의 물품식별코드를 검출하는 물품식별코드 검출기;
상기 물품식별코드 검출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물품의 영상, 무게 및 볼륨을 측량하는 물품 측량기; 및
상기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측량 신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을 분류하여 물품 목적지를 결정하며 상기 물품의 무게와 볼륨을 기초로 상기 이송선로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물품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Conveyor for performing movement of the goods loaded on the transfer lin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line;
an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disposed on the transfer line and detecting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of the article;
an article surveyo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ort lin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and measuring the imag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when a survey signal is received; and
A smart comprising an article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the survey signal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classifies the article to determine an article destination, and determines the moving speed of the transport line based on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s in the supply ch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식별코드 검출기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a smart suppl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hrough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측량기는
상기 이송선로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물품을 향해 레이저를 송출하고 각각은 서로 다른 파형을 가지는 일련의 레이저 송출부들; 및
상기 레이저로부터 파생되고 상기 물품에 의하여 반사되는 반사 레이저를 수신하고 각각은 해당 파형을 필터링하는 일련의 레이저 수신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일련의 레이저 송출부들 및 상기 일련의 레이저 수신부들은 교번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article meter
a series of laser transmitters disposed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ort line to emit a laser toward the article and each having a different waveform; and
a series of laser receivers for receiving a reflected laser derived from the laser and reflected by the article, each of which filters a corresponding waveform;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ies of laser transmitters and the series of laser receivers are alternately arrang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측량기는
상기 반사 레이저를 기초로 상기 물품의 진입을 검출하고 상기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구동하며, 상기 레이저와 상기 반사 레이저의 시간 차를 기초로 상기 물품의 횡단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의 진입부터 진출때까지 누적된 물체의 횡단 높이들을 기초로 상기 물품의 볼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rticle meter
A camera that detects the entry of the article based on the reflected laser and takes an image of the article and a load cell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article are driven, and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laser and the reflected laser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a smart suppl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traverse height of the article and calculating the volume of the article based on the accumulated traverse heights of the object from entry to exit of the art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물품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에 관한 무게 및 볼륨의 측정 필요성을 결정하여 상기 측량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ticle control unit
The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ment signal is generated by determining the type of the article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and determining the need to measur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물품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를 이동한 물품에 관한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포함하는 물품 이송 정보를 수집하여 물품 이송 DB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ticle control unit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on the smart suppl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article transfer DB is created by collecting article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of the article moving the conveyor bas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물품 이송 DB를 분석하여 시기별 물품 종류, 높이, 길이, 무게 및 볼륨을 산출하고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rticle control unit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a smart suppl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by analyzing the goods transport DB, calculating the type, height, length, weight, and volume of goods by time, and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ferred good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제어부는
상기 이송 물품 통계 분석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상의 상기 물품식별코드 검출기의 설치 지점을 신규의 분기 지점으로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급망 상의 IoT 데이터 수집 컨베이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rticle control unit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device on the smart supply 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reate a new branch point for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code detector on the conveyor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ransported article.
KR1020200163133A 2020-11-27 2020-11-27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KR102449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33A KR102449397B1 (en) 2020-11-27 2020-11-27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33A KR102449397B1 (en) 2020-11-27 2020-11-27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530A true KR20220074530A (en) 2022-06-03
KR102449397B1 KR102449397B1 (en) 2022-10-05

Family

ID=8198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133A KR102449397B1 (en) 2020-11-27 2020-11-27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3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63B1 (en) *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argo truck container having weight sensor
KR102610964B1 (en) *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Multi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argo tru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112A (en) * 2008-04-17 2009-10-21 한국식품연구원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ricultural products and managing of distribution using rfid
KR101413961B1 (en) * 2013-08-14 2014-07-07 윤병업 pellet Supply device with supply control function
KR101998384B1 (en) 2019-02-27 2019-07-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Logistics System
JP2020075793A (en) * 2018-11-08 2020-05-21 村田機械株式会社 Sorting device
KR102141394B1 (en) 2020-03-02 2020-08-05 (주)모백스 Smart conveyor tilt motion corr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112A (en) * 2008-04-17 2009-10-21 한국식품연구원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ricultural products and managing of distribution using rfid
KR101413961B1 (en) * 2013-08-14 2014-07-07 윤병업 pellet Supply device with supply control function
JP2020075793A (en) * 2018-11-08 2020-05-21 村田機械株式会社 Sorting device
KR101998384B1 (en) 2019-02-27 2019-07-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Logistics System
KR102141394B1 (en) 2020-03-02 2020-08-05 (주)모백스 Smart conveyor tilt motion corre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63B1 (en) *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argo truck container having weight sensor
KR102610964B1 (en) * 2023-05-31 2023-12-07 주식회사 카고셔틀 Multi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argo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397B1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995B1 (en) Smart forklift-truck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cyber-physical system
Wang Logistics 4.0 solution-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N111539668B (en) Warehousing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technology and control method
US119143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control
KR102449397B1 (en) IoT DATA COLLECTION CONVEYOR APPARAYUS ON SMART SUPPLY CHAIN
Liukkonen et al. Toward decentralized intelligence in manufacturing: recent trends i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things
US10625952B1 (en) Induction station for conveying packages in storage facility
KR101998384B1 (en) Smart Logistics System
US11014123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productivity of a material handling environment
CN105046468A (en) Method for intelligent storage based on internet-of things
CN109795828B (en) Lightweight logistics automation system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JP2010023950A (en) Three-dimensional object recognition system and inventory system using the same
CN112938292B (en) Intelligent warehousing device, system and decision-making assisting method
Gotthardt et al. Digitalized milk-run system for a learning factory assembly line
US1194812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erging retail products between containers to optimize storing capacity of retail storage facilities
Cho A study on establishment of smart logistics center based on logistics 4.0
CN114291482B (en) LiDAR-based monitoring in a materials handling environment
CN207690139U (en) Intelligent storage device and system
Özgür et al. Comparing sensor-based and camera-based approaches to recognizing the occupancy status of the load handling device of forklift trucks
JP2006232510A (en) Sorting system
Weichert et al. Marker-based tracking in support of RFID controlled material flow systems
Rymarczyk et al. Optimization of logistics processes of the supply chain using RFID technology
JP2009075728A (en) Radio tag reading device and its reading method
KR1023591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oad based on a location
JP2018127298A (en) Article position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