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126A -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126A
KR20220074126A KR1020200162277A KR20200162277A KR20220074126A KR 20220074126 A KR20220074126 A KR 20220074126A KR 1020200162277 A KR1020200162277 A KR 1020200162277A KR 20200162277 A KR20200162277 A KR 20200162277A KR 20220074126 A KR20220074126 A KR 20220074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ard
layer
presen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676B1 (ko
Inventor
박혜린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to KR102020016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6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being a layer of adhesive, so that the record carrier can function as a stick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4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operating as a regular record carrier and a second attachable part that changes the functional appearance of said record carrier, e.g. a contact-based smart card with an adapter part which, when attached to the contact card makes the contact card function as a non-contact car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커형 카드(5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티커형 카드(5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교통카드(100)와; 상기 교통카드(100)의 뒤쪽 표면에 밀착하여 존재하고, 제 1 점착력을 가진 제1 접착제(10)가 공간영역(A)를 가지고 있고,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20)가 공간영역(B)를 가지고 서로 혼재하여 존재하고, 상기 제 2 접착제(20)의 공간영역(B)이 소정의 문양층을 형성하게 되는 제 1 접착혼합층(210)과;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바로 아래쪽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제 1 접착제(10)의 바로 아래쪽에 상기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20)가 존재하는 반면에,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제 2 접착제(20)의 바로 아래쪽에 상기 제 1 접착력을 가진 제 1 접착제(10)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가 박막으로 평평한 상태를 이루고 있는 제 2 접착혼합층(220)과;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아래쪽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층(130); 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Sticker car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교통카드와 핸드폰을 결합시켜서 하나의 휴대용 핸드폰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교통카드를 상기 핸드폰에서 떼어낼 경우, 상기 교통카드를 동일한 핸드폰에 다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한 스티커 카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카드는 현금을 지참하고 있지 않으면서도, 자유롭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일정한 기간이 경과된 이후에 비용이 결재된다는 편리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가 일반화되고 보편화되어가게 되면서, 플라스틱 카드 회사들은 우수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각종 다양한 혜택과 더불어, 더욱 향상된 기능과 디자인을 가진 플라스틱 카드의 개발에 돌입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의 개발 동향은 신용카드 자체에 향상된 기능을 더욱 탑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지기도 하고, 신용카드의 외부 표면을 미려하게 디자인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만족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도 하며, 플라스틱 카드 자체를 고급질감을 가진 박막의 메탈 카드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카드는 전체적으로 PVC 플라스틱 박막 시트를 합지하고, 각각의 플라스틱 박막 시트에 필요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금속의 메탈 카드는 박막의 금속 시트의 내부에 각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부품들을 내장하도록 하고 있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 중에 교통카드가 있다.
이러한 교통카드는 접촉식 카드 또는 비접촉식 카드의 형식으로 제조되어 있고, 외부에 설치된 단말기에 접촉하거나 비접촉된 상태에서, 단말기와 소정의 통신을 하면서, 승ㆍ하차시에 적정한 교통비를 자동으로 결재하도록 함으로써, 그 수요자층을 많이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카드는 운송차량이나 교통시설물에 승ㆍ하차시에 신속하게 결재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한 운송차량을 이용할 경우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신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소지물품에 삽입하거나 그 소지물품에 부착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지물품으로는 손거울, 휴대전화, 화장품용기, 지갑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카드는 운송차량에 승ㆍ하차할 경우에 신속하게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여 결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핸드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현상이다.
종래의 교통카드를 휴대용 물품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형태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 물품의 표면에, 접착 필름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교통카드를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교통카드는 충전식의 경우 이미 사용된 금액을 다시 충전하여야 하고, 비충전식의 경우 이미 사용된 교통카드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서, 다른 제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교통카드는 휴대용 물품의 표면에 일단 부착하였을 경우, 이를 교체하여 다른 교통카드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또한, 그 교통카드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어떠한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교통카드를 휴대용 물품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기술자료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68535호(공개일: 2018. 6. 22.)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상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교통카드와 핸드폰을 결합시켜서 하나의 휴대용 핸드폰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교통카드를 상기 핸드폰에서 떼어낼 경우, 상기 교통카드를 동일한 핸드폰에 다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한 스티커 카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내장하여 결재하거나 교통 요금을 지불하거나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가진 카드와; 상기 카드의 한쪽 일면에 밀착하여 존재하고, 제1 점착력을 가진 제1 접착제로 형성된 제 1 접착층과; 상기 제 1 접착층의 바로 아래쪽에 접착되어 있고, 제 2 점착력을 가지고 있는 제2 접착제로 형성된 제 2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층; 을 포함하고 있는 스티커형 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내장하여 결재하거나 교통 요금을 지불하거나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가진 카드와; 상기 카드의 뒤쪽 표면에 밀착하여 존재하고, 제 1 점착력을 가진 제1 접착제와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가 서로 혼재하여 존재하되, 상기 제 1 접착제가 형성하는 공간(A)과 상기 제 2 접착제가 형성하는 공간(B)이 각각 구분되어 존재하고, 상기 제 2 접착제가 형성하는 공간(B)이 상기 제 1 접착제가 형성하는 공간(A)의 내부에 존재하면서, 상기 제 2 접착제가 형성하는 공간(B)이 소정의 문양층을 형성하게 되는 제 1 접착혼합층과; 상기 제 1 접착혼합층의 바로 아래쪽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접착혼합층의 제 1 접착제의 바로 아래쪽에 상기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가 존재하는 반면에, 상기 제 1 접착혼합층의 제 2 접착제의 바로 아래쪽에 상기 제 1 접착력을 가진 제 1 접착제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착제와 상기 제 2 접착제가 박막으로 평평한 상태를 이루고 있는 제 2 접착혼합층과; 상기 제 2 접착혼합층의 아래쪽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층; 을 포함하고 있는 스티커형 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티커형 카드에서 상기 이형지를 제거한 다음, 사용자들이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는 핸드폰의 뒷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는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경우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제 1 점착력은 상기 제 2 접착제의 제 2 점착력에 비하여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와 상기 카드 사이의 접착력은 제 2 접착제와 상기 핸드폰 사이의 접착력에 비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통카드의 사용자가 이미 사용된 교통카드를 핸드폰의 표면에서 떼어낼 경우, 제 1 접착제가 외부의 공기 중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자외선에 의한 경화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상기 제 1 접착제의 겉 표면에서 접착성을 상실하게 되어, 다시 동일한 핸드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커형 교통카드를 부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그 교통카드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의 작용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의 작용관계로서, 핸드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의 접착력에 의한 차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를 박리할 경우에 관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또는 위쪽이라 함은 대상물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 대상물체의 한쪽 표면에 대해 도면상 위쪽 방향을 의미하며, 하부 또는 아래쪽이라 함은 그 대상물체의 한쪽 표면에 대해 도면상 아래쪽 방향으로서, 상기 상부 또는 위쪽에 대한 반대편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라 함은 2가지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갯수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는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내장하여 결재하거나 교통 요금을 지불하거나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가진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100)를 대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를 나타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는 상기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100)의 뒷면에 복수의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층을 단수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복수로 형성한다. 접착제층을 복수로 형성할 경우, 각각의 접착제층은 서로 다른 점착력을 가진 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제의 점착력이 서로 다른 경우, 점착력이 강한 접착제는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접착제에 비하여 부착력이 세게 되어, 부착력이 약한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달리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복합적인 성질을 유기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층을 제 1 점착력을 가진 제 1 접착제(10)와,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20)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는 접착력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점착력이라 함은 접착의 일종으로 물이나 용제 또는 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단시간에 짧은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접착이 이루어지는 힘 내지 그러한 성질을 의미한다.
접착제의 접착력은 물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세 가지 힘이 점착제의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것은 점착제의 끈적거리는 정도로 표현되는 고정력과, 표면에서 서로 접착되어지는 힘으로 표현되는 점착력과, 점착제의 내부 분자들 사이에서 서로 끌어당기는 내부 접합 관계로 설명될 수 있는 응집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힘들은 서로 접촉되어 있는 두 물체가 서로 단단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며, 접합의 속도, 접합에 의한 단단함, 접합시의 수명 등을 결정하게 된다. 점착제를 구성하는 마지막이자 가장 흥미로운 힘은 응집력이다. 응집력은 점착제가 얼마나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붙는지 여부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점착제의 접착력은 화학의 관점에서 보면, 점착력은 점착제의 응집력의 크기로 결정되어지고, 이것은 기본적으로 폴리머라고 알려진 요소들 간의 분자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다. 폴리머는 수많은 단량체들이 결합되어 구성된 대형 분자로서, 그 단량체들이 이루고 있는 원자들 사이의 상호간의 결합력 내지 상호간의 끌어당김에 의한 힘에 의해 응집력의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점착력이 크면 클수록 서로 밀착되어 있는 두개의 물체를 더욱 강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해주고, 점착력이 큰 성분이 점착력이 그보다 작은 성분에 비해 접착력이 강하므로, 점착력이 큰 접착제와 점착력이 작은 접착제를 서로 적절하게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피접착물체와의 결합관계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착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100)와 핸드폰(140) 사이의 결합관계를 유기적으로 형성하여, 기술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얻어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휴대하고 다니는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100)를 그 대상으로 한다.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100)는 사회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신용카드, 교통카드, 신분증, 학생증, 기타 플라스틱 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 내지 간편성을 고려하여, 단순히 교통카드(100)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교통카드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신용카드, 신분증, 학생증, 기타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를 포함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교통카드(100)는 가장 대표적인 활용 대상으로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지하철이나 버스 또는 택시와 같은 교통수단이나 운송수단에 탑승하거나 환승하거나 하차시 교통 요금을 정산하여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교통카드는 1회용 카드 또는 충전용 카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교통 카드(100)의 한쪽 표면 위에 박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제 1 접착층(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착층(110)은 제 1 점착력을 가진 제 1 접착제(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착제(10)는 화학적인 점착력이 제 2 접착제(120)의 점착력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접착층(110)은 외부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경우, 자외선에 의해 경화반응을 일으키는 자외선 경화용 점착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1 접착층(110)이 상부에 상기 교통 카드(100)와 접착되어 있고 그 하부에 제 2 접착층(120)에 접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만, 상기 교통 카드(100)가 박피되어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정상적인 접착 기능을 발휘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접착층(110)의 저면에 제 2 접착층(12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착층(110)의 저면이라 함은 상기 제 1 접착층(110)이 상기 교통 카드(100)와 접착되어 있는 반대방향의 표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접착층(120)은 제 2 점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2 접착층(120)은 제 2 점착력의 위에서 설명한 상기 제 1 접착제(10)의 제 1 점착력에 비하여 훨씬 크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2 접착층(120)은 접착력은 상기 제 1 접착제(110)의 접착력에 의해 더 크게 형성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접착층(120)의 저면에 이형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형지(130)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제 2 접착층(120)을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해주는 반면에, 그 이형지(130)를 제거하였을 경우, 그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제 2 접착층(120)이 온전하게 그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스티커용 카드(500)는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핸드폰(140)의 일면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상기 이형제(130)를 제거하고, 핸드폰(140)의 뒤쪽 표면을 깨끗이 한 다음, 그 표면에 본 발명을 부착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스티커용 카드(500)를 핸드폰(140)의 일면에 부착하여 사용한 다음, 그 핸드폰(140)에서 떼어 낼 경우, 상기 교통 카드(100)와 제 1 접착층(110)과 제 2 접착층(120)과 핸드폰(14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접착층(120)과 핸드폰(140) 사이의 결합력이 상기 제 1 접착층(110)과 교통카드(100) 사이의 결합력에 비하여 훨씬 큰 상태이고, 또한, 당연히 상기 제 1 접착층(110)과 제 2 접착층(120) 사이의 결합력이 상기 제 1 접착층(110)과 교통카드(100) 사이의 결합력에 비하여 훨씬 큰 상태이므로, 상기 교통카드(100)가 상기 제 1 접착층(110)에서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착층(110)은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지게 되고, 상기 제 1 접착층(110)을 이루고 있던 자외선 경화용 점착제 성분이 경화반응을 일으키게 되므로, 상기 제 1 접착층(110)은 시간이 지나게 됨에 따라 점차 그 접착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던 핸드폰(140)에서 본 발명의 스티커 카드(500)를 떼어내거나, 그 표면에서 일단 제거하게 되면, 다시 원래의 핸드폰(140)에 상기 스티커 카드(50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를 서로 혼용하여 접착혼합층을 형성하고 있는 제 2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내장하여 결재하거나 교통 요금을 지불하거나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가진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라스틱 카드 또는 금속 카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통카드(100)를 대표적인 것으로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교통 카드(100)의 뒤쪽 표면에 밀착하여 박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제 1 접착혼합층(2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은 제 1 점착력을 가진 제 1 접착제(10)와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가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을 단순히 제 1 접착제(10) 또는 제 2 접착제(20)로 구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점착력을 가진 2종 이상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측면이다.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은 상기 제 1 점착력을 가진 제1 접착제(10)와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20)가 서로 혼재하여 존재하되, 상기 제 1 접착제(10)가 형성하는 공간(A)과 상기 제 2 접착제(20)가 형성하는 공간(B)이 각각 구분되어 존재한다. 상기 제 1 접착제(10)가 형성하는 공간(A)은 카드의 바깥쪽 외부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공간(A)의 내부에 상기 제 2 접착제(20)가 형성하는 공간(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한편, 상기 제 1 접착제(10)는 역시 공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접착제(10)의 접착력을 상기 제 2 접착제(20)의 접착력에 비해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접착제(20)가 형성하는 공간(B)이 소정의 문양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접착제(20)의 공간(B)의 형상은 하트, 느낌표, 격려성 응원 문구, 격려성 응원문구를 형상화한 이미지, 아라비아 숫자, 사용 경고 문자 등을 새겨 넣을 수 있는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혼합접착층(210)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제(20)는 상기 제 1 접착제(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착제(20)를 이루고 있는 공간(B)의 형상은 하트, 이미지 문자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은 상기 교통카드(100)의 뒤쪽 표면 위에서 평평한 박막의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접착제(10)에 의한 제 1 점착력을 가진 부분과, 상기 제 2 접착에(20)에 의한 제 2 점착력을 가진 평평한 박막 층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저면에 밀착하여 박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제 2 접착혼합층(2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착층(210)의 저면이라 함은 상기 제 1 접착층(210)이 상기 교통 카드(100)와 접착되어 있는 반대방향의 표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은 역시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를 혼용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이들은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배열과 정반대의 형식으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제 1 접착제(10)는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제 2 접착제(20)의 바로 밑에 배열되어 접착되어 있는 구조인 반면에,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제 2 접착제(20)는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제 1 접착제(10)의 바로 밑에 배열되어 접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2 접착혼합층(130)의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는 상기 제 1 접착혼합층(120)의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의 배열 구조가 서로 반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서로 박막으로 평평한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구성요소들을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구성요소들과 서로 어긋나게 배열하는 이유는, 이들이 서로 다른 점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과 접촉하여 접착되는 접착력의 차이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제 1 접착제(10)와 제 2 접착제(20)는 서로 박막의 피막층을 형성하면서 박막으로 평평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는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이 단순한 하나의 접착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점착력을 가진 2종 이상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아래쪽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층(130) 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형층(13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의 경우에도, 상기 이형층(130)을 벗겨내고,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핸드폰(140)의 뒷쪽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핸드폰(140)에 본 발명의 스티커형 카드(500)를 부착하여 편리하게 일체형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는 교통 카드(100)의 일측 표면에 제 1 접착제(10)와 제 2 접착제(20)로 구성된 접착층 또는 접착혼합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이형층(130)을 제거하고, 휴대용 핸드폰(140)의 뒷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를 핸드폰(140)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통카드(100)의 한쪽 표면에 제 1 접착혼합층(210)과 제 2 접착혼합층(220)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을 이루고 있는 제 1 점착력의 제 1 접착제(10)의 내부에 제 2 점착력의 제 2 접착제(20)를 유기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교통카드(100)과 상기 핸드폰(140)의 사이의 결합력을 서로 달라지게 하고, 그로 인하여 상기 교통카드(100)의 표면에서 상기 핸드폰(140)를 떼어낼 경우, 그 흔적을 외부에서 쉽게 가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접착제(10)의 제 1 점착력은 상기 제 2 접착제(20)의 제 2 점착력에 비하여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상기 휴대폰(140)에서 상기 교통카드(100)를 떼어 낼 때, 상기 공간부에 해당되는 영역(B)과 그 이외의 나머지에 해당되는 영역(A)에서 서로 다른 점착력에 의해, 상기 제 2 접착제(20)가 형성하는 공간(B) 영역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교통카드(100)의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제 2 접착제(20)와 상기 핸드폰(140) 사이의 접착력에 비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교통카드(100)에서 상기 핸드폰(140)을 잡아 뗄 경우에, 상기 휴대폰(140)와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가 붙어 있는 상태를 이루고, 상기 교통카드(100)가 떨어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핸드폰(140) 사이의 접착력은 제 2 접착제(20)와 상기 교통카드(100) 사이의 접착력에 비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교통카드(100)에서 상기 핸드폰(140)을 잡아 뗄 경우에, 상기 교통카드(100)와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가 붙어 있는 상태를 이루고, 상기 핸드폰(140)이 떨어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부착 물품체(100)의 사용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는, 상기 이형층(130)을 제거한 다음, 휴대용 핸드폰(140)의 뒷면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를 핸드폰(140)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교통카드(100)의 아래 쪽에, 상기 제 1 혼합접착층(110)과 제 2 혼합접착층(120)이 각각 박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층을 이루고 있고, 이들은 각각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를 서로 혼용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그 위층과 아래층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접착제(10)가 이루고 있는 영역 부분(A)과, 상기 제 2 접착제(20)가 이루고 있는 영역 부분(B)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기 교통카드(100)와 상기 제 1 혼합접착층(110)과 제 2 혼합접착층(120) 및 상기 핸드폰(140)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들이 이루고 있는 접착력은 각각의 영역 부분별로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상기 영역 부분(B)의 경우에는, 그 저면에서 그 상면으로 관찰할 때, 상기 휴대폰(140)과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와 상기 교통카드(100)의 순서로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영역 부분(A)의 경우에는, 그 저면에서 그 상면으로 관찰할 때, 상기 휴대폰(140)과 상기 제 2 접착제(20)와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교통카드(100)의 순서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접착제(10)의 점착력이 상기 제 2 접착제(20)의 점착력에 비하여 더 작은 성질을 가지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교통카드(100)를 상기 휴대폰(140)에서 잡아서 떼어낼 경우, 상기 영역 부분(A)에서는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점착제(20)가 상기 휴대폰(140)에 달라붙게 되므로, 상기 교통카드(100)가 떨어져 나가는 반면에, 상기 영역 부분(B)에서는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점착제(20)가 상기 교통카드(100)에 달라붙게 되므로, 상기 핸드폰(140)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교통카드(100)를 상기 휴대폰(140)에서 떼어낼 경우, 상기 영역 부분(B)이 완전히 떨어져 나가고, 그 영역부분(B)은 상기 휴대폰(140)의 표면으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 부분(B)에 소정의 문자 또는 이미지 또는 디자인 형태로 활용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교통카드(100)를 상기 휴대폰(140)에서 떼어낼 때마다, 상기 영역 부분(B)에 나타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빈공간부(15)에 해당하는 영역(B)에 교통카드의 사용횟수 또는 재사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할 경우, 교통카드의 재사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통카드(100)를 핸드폰(140)에서 떼어낼 경우, 상기 제 1 접착제(10)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지고, 공기중의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착제(10)의 접착력이 약화되어져서, 다시 핸드폰(140)에 상기 교통카드(100)를 부착할 수 없게 되어진다.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 상기 제 2 접착제(20)에 대해서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커형 카드(500)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제 1 접착제, 20 : 제 2 접착제,
100 : 교통카드, 110 : 제 1 접착층,
120 : 제 1 접착층, 130 : 이형층,
140 : 핸드폰, 210 : 제 1 혼합접착층,
220 : 제 2 혼합접착층

Claims (5)

  1.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내장하여 결재하거나 교통 요금을 지불하거나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가진 교통카드(100)와;
    상기 교통카드(100)의 한쪽 일면에 밀착하여 존재하고, 제1 점착력을 가진 제1 접착제(10)로 형성된 제 1 접착층(110)과;
    상기 제 1 접착층(110)의 바로 아래쪽에 접착되어 있고, 제 2 점착력을 가지고 있는 제2 접착제(20)로 형성된 제 2 접착층(120)과;
    상기 제 2 접착층(120)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층(130);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티커형 카드(500).
  2.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내장하여 결재하거나 교통 요금을 지불하거나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가진 교통카드(100)와;
    상기 교통카드(100)의 뒤쪽 표면에 밀착하여 존재하고, 제 1 점착력을 가진 제1 접착제(10)와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20)가 서로 혼재하여 존재하되, 상기 제 1 접착제(10)가 형성하는 공간(A)과 상기 제 2 접착제(20)가 형성하는 공간(B)이 각각 구분되어 존재하고, 상기 제 2 접착제(20)가 형성하는 공간(B)이 상기 제 1 접착제(10)가 형성하는 공간(A)의 내부에 존재하면서, 상기 제 2 접착제(20)가 형성하는 공간(B)이 소정의 문양층을 형성하게 되는 제 1 접착혼합층(210)과;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바로 아래쪽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제 1 접착제(10)의 바로 아래쪽에 상기 제 2 점착력을 가진 제 2 접착제(20)가 존재하는 반면에, 상기 제 1 접착혼합층(210)의 제 2 접착제(20)의 바로 아래쪽에 상기 제 1 접착력을 가진 제 1 접착제(10)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착제(10)와 상기 제 2 접착제(20)가 박막으로 평평한 상태를 이루고 있는 제 2 접착혼합층(220)과;
    상기 제 2 접착혼합층(220)의 아래쪽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층(130);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티커형 카드(5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10) 또는 상기 제 2 접착제(20)는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경우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 스티커형 카드(5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10)의 제 1 점착력은 상기 제 2 접착제(20)의 제 2 점착력에 비하여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 스티커형 카드(50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10)는 교통카드(100)와의 사이에 형성한 접착력이 제 2 접착제(20)와 핸드폰(140) 사이에 형성된 접착력에 비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 스티커형 카드(500).

KR1020200162277A 2020-11-27 2020-11-27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 KR10248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277A KR102481676B1 (ko) 2020-11-27 2020-11-27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277A KR102481676B1 (ko) 2020-11-27 2020-11-27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26A true KR20220074126A (ko) 2022-06-03
KR102481676B1 KR102481676B1 (ko) 2022-12-27

Family

ID=8198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277A KR102481676B1 (ko) 2020-11-27 2020-11-27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260Y1 (ko) * 2003-02-04 2003-07-07 박귀숙 무선통신 단말기용 외장형 소형 스마트 카드
KR20130013868A (ko) * 2011-07-29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확인용 라벨 장치
KR20180068535A (ko) 2016-12-14 2018-06-22 (주)알파카드 스티커 타입의 신용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260Y1 (ko) * 2003-02-04 2003-07-07 박귀숙 무선통신 단말기용 외장형 소형 스마트 카드
KR20130013868A (ko) * 2011-07-29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확인용 라벨 장치
KR20180068535A (ko) 2016-12-14 2018-06-22 (주)알파카드 스티커 타입의 신용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676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715B1 (en) Destructible RFID transponder
US20100219099A1 (en) Secure package for multiple transaction cards
MXPA05002889A (es) Estructura de tarjeta de identificacion.
US20080210761A1 (en) Token Co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087719A (ko) 카드용 스티커
JP2002539978A (ja) 高粘着性接着剤を含む画像グラフィック系およびこの使用方法
KR20220074126A (ko) 스티커 교통카드와 그 사용방법
KR20190070224A (ko) 마찰 박리식 문양 표출이 가능한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36832A1 (en) Vehicle inventory sticker form
KR101996405B1 (ko) 정품 인증 라벨
KR101613690B1 (ko) Rfid 태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5437294B2 (ja) ポップラベル
JP6812664B2 (ja) カード付シート
JP5196389B2 (ja) Rfidラベル及びrfidラベルの製造方法
US20150050114A1 (en) Read-through card access tab
RU61056U1 (ru) Рекла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185350B1 (ko) 전파식별태그를 내장한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N214751949U (zh) 一种柔性防伪抗金属超高频rfid标签
JP2007065088A (ja) Rfidタグおよびrfidラベル
JP7443927B2 (ja) 電子タグラベル
KR200308544Y1 (ko) 해리성 라벨 구조
KR102118163B1 (ko) 보안 및 정품 라벨 제조 방법
JP2005091450A (ja) 下げ札
JP7214307B2 (ja) 不正検知シール、及び、不正検知シールセット
JP3109500U (ja) 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