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708A -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 Google Patents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708A
KR20220073708A KR1020220047554A KR20220047554A KR20220073708A KR 20220073708 A KR20220073708 A KR 20220073708A KR 1020220047554 A KR1020220047554 A KR 1020220047554A KR 20220047554 A KR20220047554 A KR 20220047554A KR 20220073708 A KR20220073708 A KR 2022007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etection sensor
vibration
disast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0746B1 (en
Inventor
조원아
Original Assignee
조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80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12201B1/en
Application filed by 조원아 filed Critical 조원아
Priority to KR102022004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746B1/en
Publication of KR2022007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9/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되, 내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격벽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제 1 내지 제 3 공간부로 구획되며, 제 2 공간부의 상하면에는 탄성축 설치홈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함체형 본체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의 양측면 내면에서 서로 맞보는 형태로 각각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고 또 빛을 수광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함체형 본체 내의 제 1 공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 1 격벽에 형성된 렌즈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모아서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 측으로 보내주는 발광 빛 집광용 렌즈와; 상기 함체형 본체 내의 제 2 격벽에 형성된 투명창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송출된 빛을 수광소자 측으로 투과시켜 주는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과; 상기 함체형 본체의 제 2 공간부 내에서 수직방향 중심선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탄성축 설치홈에 끼워져 접착제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탄성축과; 상기 함체형 본체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광 전달 공간부인 제 2 공간부 내에서 탄성축을 기점으로 상,하,좌,우 전방위로 흔들리며 수광소자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수광소자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게 하는 광 간섭용 질량추;로 구성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진이나 화재 또는 난방기기 등의 과열이나 한파에 따른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모두에 대해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예를 들어 비상용 랜턴, 군용 전기장비, LED 조명기구, 소방안전 용품, 난방기기, 주방 조리기, 캠핑카나 자동차 및 레저용품, TV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간편하게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호환성은 물론 사용의 효율성 및 상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or embedded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t has a combined form in the shape of an empty enclosure, and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divide the interior into first to third spaces, and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pace a housing-type body having this formed shape;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respectively installed in a form facing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type body in a state of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generate light and receive light; In a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in the housing-type body, one end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a lens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collected to cause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a lens for condensing light e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ithout this; a transparent window for collecting light having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a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in the housing-type body and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oward the light receiving device; an elastic shaft having upper and lower ends fitted into the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s and fixedly installed through an adhesive while positioned at the vertical center line in the second space of the housing-type body;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nclosure-type body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device is shaken up, down, left and right with the elastic axis as the starting point in the second space, which is the light transmission sp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consisting of; a mass weight for optical interference that change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o chang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various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fires, overheating of heating devices, or freezing caused by cold waves, as well as to deal with all of them comprehensively, especially for single use and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 For example,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emergency lanterns, military electric equipment, LED lighting equipment, fire safety equipment, heating equipment, kitchen cookers, campers, automobiles and leisure equipment, home appliances including TVs and display equipment). It can greatly improve not only its compatibility, but also the efficiency of use and commercialization.

Figure P1020220047554
Figure P1020220047554

Description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재해용 경보장치{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본 발명은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 Y, Z 3축" 또는 "360° 전 방위" 또는 "3D"라 불리는 방향적 전제에서, 그 방향에서 중력 가속도가 반영되는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등) 변화량을 각종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예를 들어 진동감지센서나 연기감지센서 또는 화재감지센서 등) 및 온도검출센서 등을 통해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및 온도 변화값 등)로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연기나 화재, 과열온도 또는 동결온도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경보 또는 대피신호 등을 불특정인이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불빛이나 경보음 또는 법제 표준신호 등으로 제공하여, 지진이나 화재 또는 난방기기 등의 과열이나 한파에 따른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발명한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등 다기능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or embedded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nd more specifically, "X, Y, Z 3 axes" or "360° omnidirectional" Or, in the directional premise called "3D", the amount of change in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shake,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For exampl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moke detection sensor, fire detection sensor, etc.) and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value, etc.), and using this to accurately identify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smoke or fire, overheating or freezing temperatures, etc. Single use and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nvented to minimize various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fires, overheating of heating equipment, etc. or freezing caused by cold waves, etc. It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larm device for disasters and disasters using a complex sensor that can be built-in and used.

일반적으로 지진이라 함은, 지구 내부에서 급격한 지각변동이 생겨 그 충격으로 생긴 파동, 즉 지진파가 지표면까지 전해져 지반을 흔드는 것을 말하며, 학술적으로는 "탄성 에너지원으로부터 지진파가 전파됨으로써 발생하는 지구의 진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In general, an earthquake refers to a wave caused by a sudden crustal movement within the earth, that is, a seismic wave that is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shakes the ground. can be defined as

이때, 지진의 규모는 민감한 지진계로만 검출되는 아주 작은 규모의 지진부터 광범위한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대규모의 지진까지 다양하다.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varies from a very small earthquake detected only by a sensitive seismometer to a large earthquake that causes great damage to a wide area.

전 세계적으로 매일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수천 개에 이르며, 대부분의 지진은 오랜 기간에 걸쳐 대륙의 이동, 해저의 확장, 산맥의 형성 등에 작용하는 지구내부의 커다란 힘에 의하여 발생된다.Thousands of earthquakes occur on Earth every day around the world, and most earthquakes are caused by large internal forces acting on the movement of continents, the expansion of the seabed, and the formation of mountain rang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최근 50년간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규모 7 이상의 천발 지진은 약 500회에 이르며 지진에 대한 피해는 점점 그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In the past 50 years, there have been about 500 thousand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7 or greater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and the damage from earthquakes is increasing.

지진피해의 예로 지난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에서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하여 지진해일 등으로 인하여 많은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As an example of earthquake damage, on March 11, 2011, a magnitude 9.0 earthquake occurred in Fukushima, Japan.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우리나라도 대규모 지진은 발생하진 않았으나, 규모 3.0의 지진은 연 2회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2017. 11. 15) 포항에서 발생된 규모 5.4의 본진 및 그 이후 계속해서 발생된 4.0 이상의 수 십회 여진으로 인해 막대한 재산상 피해는 물론 많은 이재민이 발생되었다.Although there have been no large-scale earthquakes in Korea, which is said to be safe from earthquakes,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3.0 occur twice a year. Due to the dozens of aftershocks, huge property damage as well as many victims occurred.

그런데 현재의 지진 감시 시스템은 센싱한 센서 값을 지진 감시 시스템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자가 휴대용 메모리(USB)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저장된 센서 값을 다운로드 받아 가는 형태의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어서, 실시간으로 지진이 발생하는 진동을 센싱한 센서값을 통해 지진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current earthquake monitoring system stores the sensed sensor values in the memory included in the earthquake monitoring system, and the administrator uses a portable memory (USB) to periodically download the stored sensor values. Now,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of monitoring whether an earthquake occurs through a sensor value that senses vibrations that occur in real time.

이러한 요구에 의한 지진 감시 시스템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28491호는 지반이나 구조물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지진시 발생하는 진동 신호를 센싱하는 지진센서를 적용하고 있다.As an earthquak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is dem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28491 applies an earthquake sensor that is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ground or a structure and senses a vibration signal generated during an earthquake.

이러한 통상의 지진센서 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579호에서는 원통형 케이스 내부 상측으로 걸림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된 진동추와 진동추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리드 스위치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구성하고 지진 등으로 흔들릴 때 상기 진동추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와 이격되면서 리드 스위치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환되고 그 신호를 마이컴으로 감지하여 연료 공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With this general seismic sensor technology, i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88579, a vibrating weight equipped with a permanent magnet caught upwards inside a cylindrical cas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nstalled with a reed sw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brating weight were constructed and earthquake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uel supply unit by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vibrating weight and moving the reed switch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while being shaken by a microcomputer.

또, 공개특허공보 제1998-702746호의 진동 센서는 뾰쪽한 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매달리는 중량추가 지진이 발생된 경우 흔들림에 의해 양측으로 구성된 압전소자를 가격하고, 이러한 압전소자는 지진의 결과인 기계적 압력을 전기적신호로 변환시켜 그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기계적 제어를 하도록 하는 구성 등을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체에 자성을 가지는 중량추를 유동 가능하게 매달아 놓고 지진 등으로 상기 중량추의 유동에 따라 주변에 구성된 스위치 또는 진동 신호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ibration sensor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702746 strikes piezoelectric elements configured on both sides by shaking when an earthquake occurs with a weight suspended movably at a pointed end,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subjected to mechanical pressure resulting from the earthquake.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mechanically controlled by transmitting the signal, but in these configurations, a weight having a magnetic field is movably suspended on a support body as described above,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is caused by an earthquake, etc. It is to detect a switch or a vibration signal configured in the vicinity according to the flow.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외부로 노출되어 매달린 중량추가 오랜 기간 유지되면서 습기 등에 의한 녹으로 흔들림에 제한될 때 감지기능의 저하와 지진으로 발생되는 흔들림의 정도에 정확하고 안정적인 감지기능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figuration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detection function is deteriorated when the hanging weight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haking is limited due to rust caused by moisture, etc. .

또한, 지진발생이 빈번하여 많은 지진감지기구에 대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일본국의 선행기술은 대개 깊숙한 지하의 지반이 흔들리는 것을 감지하거나 특개 제2010-14525호의 자력이 구비되는 요동체의 추를 스프링으로 매달아 지진발생으로 상기 추가 요동될 때의 거리를 자기 센서가 감지하여 그 검지 신호를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한 기술,In addition, the Japanese prior art, which has the technology for many earthquake detection mechanisms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earthquakes, usually detects the shaking of the deep underground ground, or uses the magnetic force of a oscillating body provid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14525 as a spring. A technology equipped with a calculation means for detecting the distance when the additional fluctuation occurs due to a suspended earthquake and calculating the detection signal by a magnetic sensor;

특개 제2008-145115호의 수직된 상단에 금속볼을 얹혀 놓은 상태에서 지진으로 발생된 요동을 볼이 낙하되어 하부에 구성된 스위치부를 하강함으로 이 스위치부가 힌지된 상태에서 타측이 승강되면서 스위치등을 조작함으로써 지진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의 기술,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145115, a metal ball is placed on the vertical upper part and the shaking caused by an earthquake is caused by the falling of the ball and the lower switch part is lowered. The technology of the configuration to detect whether there is an earthquake,

그리고 특개 제 2008-39749의 기다란 줄에 매달린 중량추 끝단에 자석을 구성하고 이 자석과 근접하여 자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로 구성함으로 지진으로 요동하는 중량추와 자석의 이동으로 지진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의 기술.And by configuring a magnet at the end of a weight hanging from a long string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39749 and a sensing unit that detects magnetic force in proximity to this magnet, the structure that detects whether an earthquake occurs by moving the weight and the magnet technology.

특개 제2006-226844호의 고정부에 관통된 슬라이드 봉에 스프링으로 탄설된 중량추를 구비하고 이 중량추 상부로 중량추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진으로 상기 중량추가 스프링에 의한 요동으로 승,하강되어 감지부와 거리를 증감함을 감지하는 구성기술과 같이 지반이 흔들리는 것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물체와 그 주변에 구성된 감지센서로 지진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되, 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요동하는 중량추와 중량추를 매달기 위한 끈 또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 그리고 요동되는 중량추를 감지하는 거리 또는 중량추의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됨으로 이러한 구성들이 습한 장소에서 오랜 기간 사용될 때 쉽게 녹이 슬고 스프링의 탄성 변화 등에 의한 고장으로 위급할 때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와 구성이 복잡하고 고장이 많은 단점이 있다.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226844, a slide rod penetrating through the fixed part is provided with a weight loaded with a spring, and the distance of the weight is sens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weight. As with the configuration technology that detects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distance with the sensing unit, an interlocking object interlocked by shaking of the ground and a detection sensor configured around it are used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earthquake, but to achieve the effect, a swinging weight and It is composed of a string for hanging the weight or a spring with elasticity, and a sensor that detects the distance to detect the swinging weight or the magnetic force of the weigh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effect cannot be exerted in case of an emergency due to a failure due to a malfunction,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re are many failures.

또한, 상기와 달리 특개 제2009-156812호에서는 중앙이 깊은 형태의 접시 주변으로 근접된 한 쌍씩 이루어지는 다수 군의 전기전극부를 구성하고 상기 중앙부에 복 수개의 금속볼을 구비시켜 지진으로 상기 접시가 요동하면서 이동하는 금속볼이 주변에 구성된 전기전극부를 타격함으로 한 쌍의 전기전극부가 전극을 단락시키는 것으로, 지진의 진도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above,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156812, a plurality of groups of electric electrode parts formed in pairs close to the periphery of a deep-centered plate are configured, and a plurality of metal balls are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so that the plate is shaken by an earthquake. A pair of electric electrode parts short-circuit the electrodes as the moving metal ball strikes the electric electrode part configured around it,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earthquake.

이러한 구성은 넓은 판상의 접시를 이용함으로 크고 다수개의 금속볼이 사방으로 요동됨으로 다수개의 전기전극부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과 함께 다수 금속볼이 구비됨으로 서로 마찰 등에 의한 이동거리의 제한으로 전기전극부와의 마찰이 제한되어 정밀한 감지를 할 수 없는 등의 단점과 함께 상기한 구성들은 가전제품 즉, 크기가 작은 소형 보일러, 가스레인지, 주택, 회사 내의 전기전자기구에 장착할 수 없는 단점들이 발생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uses a wide plate-shaped plate, so a large number of metal balls vibrate in all directions,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provide a plurality of electric electrode parts. In addition to the disadvantages of being unable to accurately detect due to the limited friction of .

이상과 같이 지진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장치[感知裝置,sensor]는 자기센서[ magnetic sensor, 磁氣-]에 의한 기울기, 자이로, 위치, 진동센서로 분류되고 그 작동원리는 구술과 접점이용, 자석의 진동과 코일의 유기전압, 판 스프링의 진동과 코일의 유기전압, 판 스프링. 추. 접점관계 및 판스링의 원심력의 이용으로 대변되고 있고, 이때 용도에 따라 사용센서(소자)와 조건을 맞추는 회로가 첨부되어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device [感知裝置,sensor]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s classified into inclination, gyro, position, and vibration sensors by magnetic sensor [磁气-]. of vibration and coil induced voltage, leaf spring vibration and coil induced voltage, and leaf spring. weight. It is represented by the contact relationship and the use of centrifugal force of the leaf spring, and at this time, a circuit that matches the conditions with the sensor (element)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is attached and configured.

그리고 지진의 강도 진도 5는 물체를 잡지 않으면 걸을 수 없고, 찬장이나 식기류, 책장의 책 등이 떨어지는 것이 많은 정도 그리고 고정하지 않은 가구가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되며 진도 6 이상에서는 서 있기가 곤란하며 고정하지 않은 가구의 대부분이 움직이고, 쓰러지는 경우이다.In addition, if the intensity of the earthquake is 5, it is impossible to walk without holding an object, and cupboards, tableware, books, etc. often fall, and unfixed furniture may fall. Most of the furniture that has not been moved moves and collapses.

상기한 자성재료를 이용한 센서는 홀(Hall)효과 및 자기 저항 효과를 이용하는 모터 제어용, 위치 검출용, 자기기록 헤드 등이 있고, 리드 스위치와 자성체의 조합에 의한 온도감지 센서, 경사기능 센서 등도 있다.Sensors using the magnetic material described above are for motor control using Hall effect and magnetoresistance effect, for position detection, magnetic recording head, etc. .

한편, 커(Kerr)효과 및 패러데이(Faraday)효과를 이용하여, 자성체의 자화나 자구의 구조를 측정하는 경우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zation of a magnetic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a magnetic domain may be measured using the Kerr effect and the Faraday effect.

그러나 지진은 예진-본진-여진 등으로 구분되고 이러한 예진을 알기 위하여서는 땅속 수십, 수백 ㎞를 뚫어 감지장치를 달수 없다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자본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지반 노이즈 패턴 분석을 통하여 지반의 운동을 좀 더 정밀히 계측할 수 있는 센서 설치 위치와 설치 방법과 지진 발생 시 가스 차단 여부를 신속히 판단하기 위해 PGA(Peak Ground Acceleration)와 지진파가 가지는 에너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Sl(Spectrum Intensity)를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를 지진 감지 시스템 내에 실현하는 것이다.However, earthquakes are divided into pre-earthquakes, main earthquakes, aftershocks, etc., and in order to know these pre-shocks, it is technically and financially very difficult to drill a detection device through several tens or hundreds of kilometers underground. Real-time calculation of PGA (Peak Ground Acceleration) and Sl (Spectrum Intens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energy of seismic waves, in order to quickly determine the loc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ensor that can measure more precisely and whether or not gas is shut off in case of an earthquake. We developed an algorithm to do this and realize it in the earthquake detection system.

이상과 같이 지진을 미리 예진하여 미리 대피하고 위험장치들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나 현재의 기술로 예진이 정확하지 못하고, 또한 그 효과가 크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와 같이 지진이 발생된 후 그 지진으로부터 야기된 요동 등을 감지하여 위험장치들을 제어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진 대량 발생국 일본에서는 위험요소 장치들 일 예로 유류, 가스 등을 사용하는 장치및 정밀전자, 전기기계기구들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폭발이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진으로 요동하는 물체가 그 기울기 대략 15도에서 이를 감지하여 위험요소 즉, 유류, 가스, 고압의 전기등을 차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most important to foresee an earthquake in advance, evacuate in advance, and block dangerous devices. After that, it has become common to control dangerous devices by sensing fluctuations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accordingly, in Japan, a country with a large earthquake, dangerous devices, for example, devices using oil and gas, and precision electronics and electrical machinery It is stipulated to cut off dangerous factors such as oil, gas, and high-voltage electricity by detecting an object oscillating due to an earthquake at an inclination of approximately 15 degrees in order to keep them safe and prevent explosions or fires.

이와 같은 규정을 만족하기 위한 지진감지장치로 공개특허공보 10-2014-0030915호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위험요소를 가진 기계기구에 구성된 수직, 수평판부재 또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체결하기 위한 스톱퍼를 구비한 체결봉이 구성되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와 체결되는 뚜껑부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부에는 뚜껑부로 개폐되고 일정한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감지볼 이동로, 상기 감지볼 이동로에서 이동 가능한 감지볼, 상기 감지볼 이동로에 구비된 감지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있다.As an earthquake detection device to satisfy such regulation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030915 has been proposed, which is a stopper for fastening to a vertical or horizontal plate member o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configured in a mechanical device having a risk factor. A body part comprising a fastening rod having It has a form consisting of a detection ball and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detection ball provided in the detection ball movement path.

이와 같은 지진감지장치는 종래 리드 스위치와 자석 추 방식에서 자석 추 대신 자석 유동 통로를 제공하여 종래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정밀도는 향상시킬 수 있다.Such an earthquake sensing device provides a magnetic flow passage instead of a magnetic weight in the conventional reed switch and magnetic weight method, so that it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the precision can be improved.

그러나 상기한 지진감지장치 및 기울기나 가속도 감지용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종래 대부분의 진동감지 관련 센서는 단순히 단방향 또는 2D(단축 방향)만 감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설치시 방향성 및 각도를 정확히 맞춰주어야 하고, 또 P파 및 S파의 진동 에너지를 갖는 자연지진과 P파의 진동 에너지만 갖는 폭발 등과 같은 인공지진 또는 충격이나 단순 진동을 정확히 구분할 수 없어 실제 자연지진 발생시 이를 명확히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경보신호를 빠른시간 내에 정확하게 발휘할 수 없음은 물론 그로 인해 지진 재해를 최소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vibration detection-related sensors, including the earthquake detection device and the gyro sensor for detecting tilt or acceleration, have a configuration that detects only one direction or 2D (single axis direction), the direction and angle must be precisely matched during installation. In addition, when an actual natural earthquake occur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istinguish an artificial earthquake such as a natural earthquake having P-wave and S-wave vibration energy and an explosion having only P-wave vibration energy, shock or simple vibration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arthquake disasters cannot be minimized due to the inability to accurately demonstrate the

즉, 종래 지진의 감지에 있어 일반적으로 지진(진동)의 감지는 관성의 법칙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며, 일반적인 지진감지기는 주로 진폭만 감지하여 전기회로접점 등으로 출력되나 사실적 지진의 충격 강도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conventional earthquake detection, it is common to use the law of inertia to detect an earthquake (vibration). A general earthquake sensor mainly detects only amplitude and outputs it to an electrical circuit contact, but it is possible to know the actual earthquake impact strength.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또한, 지진 감지에 있어 지진의 형태에 대하여 주로 좌우, 전후로 진동하는 P파에 한하거나 P파, S파 구분없이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영구자석과 코일을 적용하는 3D의 경우도 3개의 영구자석과 3개의 코일을 각각 1조로 진동 방향만 달리하는 구조로, 지진파의 종류나 충격 강도 등을 분석하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seismic sensing, it is common to operate only on P waves that vibrate mainly left and right, forward and backward, or operat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P and S waves. In the case of 3D using permanent magnets and coils, three permanent magnet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direction of vibration is different in a set of three coil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analyzing the type of seismic wave or the impact strength.

한편,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이 화재상태를 자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보기를 울리는 화재경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 fire alarm system that sounds an alarm is installed so that many people can be aware of the fire condition.

이러한 화재경보장치는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연기나 열을 감지하여 일정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기와, 화재감지기로부터 일정신호를 입력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로 구성된다.The fire alarm device is composed of a fire detector that detects smoke or heat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when a fire occurs, and an alarm device that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fire detector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여기서, 화재감지기는 주로 건물 내 천장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는 열감지기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로 나누어지는데, 보통 화재감지기의 외주면에 설치된 LED는 열이나 연기의 정도가 일정 정도에 이르면 점등되는데, 이는 화재감지기가 작동을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fire detector is main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is divided into a heat detector that uses heat generated by a fire and a smoke detector that detects smoke. Usually, the LE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e detector shows the degree of heat or smoke. When it reaches a certain level, it lights up, which means that the fire detector will start working.

이러한 화재감지기 중 상기 열감지기로서는 바이메탈식이나 열반도체식 및 열전대식 등이 있으며, 연기감지기로는 광전식과 이온화식이 이용되고 있다.Among these fire detectors, the heat detector includes a bimetal type, a heat semiconductor type, and a thermocouple type, and as a smoke detector, a photoelectric type and an ionization type are used.

기존의 화재감지기 점검장치는 이러한 화재감지기(열감지기, 연기감지기)의 작동상태를 체크하는 기구로서,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열감지기의 작동상태를 체크하는 열 점검기기와, 연기를 발생시킴으로서 연기감지기의 작동상태를 체크하는 연기 점검기기가 있다. Existing fire detector inspection equipment is a mechanism to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se fire detectors (heat detector, smoke detector). There is a smoke check device to check the working condition.

참고로, 화재 발생 시 질식사가 60% 내외로 높은데, 특히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 및 3염화인 및 포스겐(COCl) 및 염소 및 아크릴로레인(CHCHCHO) 및 시안화수소(HCN, 청산가스) 및 시안화칼륨(KCN, Cyanide) 등이 있으며 이러한 화학 물질들은 주변 농도 변화 조건에서 흡입량에 따라 사람들의 생명을 좌우한다.For reference, the asphyxiation rate in case of a fire is as high as 60%, especially carbon monoxide (CO) and carbon dioxide (CO2), phosphorus trichloride and phosgene (COCl), chlorine and acrylorane (CHCHCHO), and hydrogen cyanide (HCN, cyanide gas) and potassium cyanide (KCN, cyanide), and these chemicals influence people's lives depending on the amount inhaled under the conditions of changing ambient concentration.

상기 광전식 연기감지기 점검기기의 경우 연기시료의 종류에 따라 A타입(향)과 B타입(디메틸실리콘오일) 및 C타입(탄화수소혼합물)의 3가지 방식의 점검기기가 있다.In the case of the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inspection device, there are three types of inspection equipment: type A (fragrance), type B (dimethyl silicone oil), and type C (hydrocarbon mix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smoke sample.

상기 연기 검출 화재경보기에 있어서, 소방 관련 공지의 내용에 의하면 "Mie(Mie Dispersion Law)의 분산법칙"을 이용한 "광전식(光電式) 연기감지기"는 암실에 940[㎚]의 중심파장을 가진 적외선을 투사해 물체를 투입하면 그 물체가 다시 광선을 받아 반사하는 광선이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수광 소자를 설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암실에 연기 입자가 적외선을 받아 입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광선을 반사하게 된다.라고 서술되어 있으며, 즉 수광량의 증가로 화재 연기를 감지하는 것이다.In the smoke detection fire alarm, according to the firefighting related notice,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using "dispersion law of Mie (Mie Dispersion Law)" has a central wavelength of 940 [nm] in a dark room. When an object is injected by projecting infrared rays, the object receives the light again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reflected light can enter. It is stated that the light is reflected by

한편,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배경 또는 해결 과제는 불꽃 파장의 검지장치에서 장시간 사용 시에 불안한 조건인 입자라는 요소가 필요 없는 조건을 구현하기 위함이며(즉 입자를 없애기 위함), 입자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연기 입자가 지나가게 되면 광자의 살란이 일어나게 됨으로 수광부의 감지 광량이 감소되는 것을 화재 연기로 감지하는 것으로서, 굳이 표현하자면 "광전식 연기감지기"가 맞으나, 'Mie의 분산 법칙'을 이용하지 않고, 광(빛) 전달 공간의 광입자의 직진을 간섭하는 변화량의 정도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제공의 목적인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background or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condition that does not require the element of particles, which is an unstable condition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the detection device of the flame wavelength (that is, to remove the particles),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particles It does not receive light, but when smoke particles pass between the light-emitting part and the light-receiving part, it detect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light-receiving part as fire smoke because the salan of photons occurs.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the degree of change that interferes with the straight movement of light particles in the light (light) transmission space without using 'Mie's dispersion law'.

상기 화재 감지기에서, 또 다른 방법의 하나로서 불꽃을 검출하는데, 불꽃은 초기 발생부터 특유의 연소특성을 나타내는데 이 특성 중 육안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자외선과 적외선의 서로 다른 파장대가 존재하며, 그 파장대의 광선을 감지하는 경보기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파장특성(185㎚~260㎚)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파장 특성(4.3㎛2㎛)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복합하여 자외선/적외선 불꽃 감지기로 제공되며, 적외선/적외선 불꽃 감지기는 위와 같이 협소한 파장대역만을 감지하기 때문에 주위의 여러 가지 광원으로부터의 화재 오경보가 줄어드는 점은 있다.In the fire detector, a flame is detected as another method, and the flame exhibits a characteristic combustion characteristic from the initial generation. The alarm is provided as an ultraviolet/infrared flame detector by combining an ultraviolet sensor that detects the ultraviolet wavelength characteristic (185 nm to 260 nm) emitted from the flame and an infrared sensor that detects the infrared wavelength characteristic (4.32㎛) Since the infrared/infrared flame detector detects only a narrow wavelength band as above, there is a point that false fire alarms from various light sources around are reduced.

한편, 보일러 등과 같은 난방기기를 포함하여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기기 등에도 온도검출센서를 설치하여 과열 및 동결기능 등을 수행시키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heating devices such as boilers and the lik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s are installed in heating devices such as gas ranges to perform overheating and freezing functions.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진동감지센서나 연기감지센서 또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 온도검출센서 등은 각각 별도의 형태로 개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센서들의 출력신호를 이용한 이용하여 각종 재난 및 재해상태를 경보하는 장치 역시 별도로 개발되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각종 전기전자 기기에 실장하여 사용되고 있어 지진을 포함하여 화재나 과열 및 동파방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경보를 실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vibration detection sensors, smoke detection sensors, or temperature detection sensors including fire detection sensors, etc., have been developed in separate forms, as well as alarming various disasters and disasters using the output signals of these sensors. The device is also developed separately and used alone or mounted o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so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 comprehensive warning for fire, overheating and freezing prevention including earthquakes.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4-0030915호(2014년 03월 12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0915 (March 12, 2014)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8-702746호(1998년 08월 05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998-702746 (August 05, 1998)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74012호(2016년 11월 02일)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74012 (November 02, 2016)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4-0094727호(2014년 07월 31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4727 (July 31, 201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 Y, Z 3축" 또는 "360° 전 방위" 또는 "3D"라 불리는 방향적 전제에서, 그 방향에서 중력 가속도가 반영되는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등) 변화량을 각종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예를 들어 진동감지센서나 연기감지센서 또는 화재감지센서 등) 및 온도검출센서 등을 통해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및 온도 변화값 등)로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연기나 화재, 과열온도 또는 동결온도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경보 또는 대피신호 등을 불특정인이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불빛이나 경보음 또는 법제 표준신호 등으로 제공하여, 지진이나 화재 또는 난방기기 등의 과열이나 한파에 따른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모두에 대해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예를 들어 비상용 랜턴, 군용 전기장비, LED 조명기구, 소방안전 용품, 난방기기, 주방 조리기, 캠핑카나 자동차 및 레저용품, TV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relates to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X, Y, Z 3 axes" or "360° omnidirectional In the directional premise called " or "3D", the amount of change in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shake,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For exampl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moke detection sensor, fire detection sensor, etc.) and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change value, etc.) and use it to accurately identify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smoke or fire, overheating or freezing temperatures, etc. By providing possible lights, alarm sounds, or legal standard signals, it is possible to minimize various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fires, overheating of heating equipment, etc. In particular, single use and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e.g., emergency lanterns, military electrical equipment, LED lighting equipment, fire safety equipment, heating equipment, kitchen cookers, campers, automobiles and leisure equipment, household appliances including TVs) and a display device, etc.) to provide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built-in and used.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grasp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technical field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단독 사용도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구성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상시 공급시켜 주는 작동 전원 공급부와;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들을 충전하였다가 전원공급 차단 또는 정전시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각 구성품에 공급시켜 주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와;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의 출력전압 및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부를 통해 출력되는 축전지의 전압이 정해진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인지 감시함은 물론 유선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제어 회로부로 전달하는 전원감시 및 유선통신신호 입력부와; CPU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통신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축전지 전압을 이용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의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및 온도검출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데이터들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에 발생시켜 주는 중앙제어 회로부와; 각종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의 변화량 또는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및 온도 변화값 등)로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로 계속 제공해 주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및 온도검출센서와;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와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불특정들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재난 발생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해진 색상의 불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configuring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by being built in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each component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for constantly supplying a voltage necessary for driving the device; a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storage batteries us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upply and supply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battery to each component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or power failure; Power monitoring and wired communication signal that not only monitors whether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and the voltage of the storage battery output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but also receives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nd delivers i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n input unit; It has a CPU, a plurality of input/output ports, a communic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omnidirectional complex sensor us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or the storage battery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during normal operation. It receives various detection or detection signals output from the complex detection sensor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in real time, compares them with predetermined comparison target data already input in itself, and sends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a central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The amount of change of various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shake,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an omnidirectional complex detec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in real time as a value and temperature change value, etc.) and continuously provides i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n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an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and an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are provided, 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so that unspecified persons can recognize the degree of disaster through sight and hearing or a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이때,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의 통신부 입출력단자에는 적외선 또는 무선 송수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원격지의 통제실과 원격제어 통신이 가능한 원격제어 통신신호 입,출력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input/output terminal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or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communication module and a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input/output unit capable of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 room is further installed.

또한,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에는 조명기구 또는 전기기구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또는 과전류 차단기를 강제 "오프"하거나 또는 화재 경보 중계기와 법제표준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복수의 릴레이 및 릴레이 구동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has a plurality of relays and relay driving units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lighting equipment or electric equipment or electronic products, forcibly turning off an overcurrent circuit breaker, or transmitting a fire alarm repeater and a legal standard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mo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단독 사용도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기유도방식 무선전력전송 또는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으로 교류전력을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로 송신하는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과; 상기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에서 송신되는 교류전력을 유도(수신)받아 인버터 회로부로 전달하는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과; 정류소자와 평활 콘덴서 및 정전압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에서 수신한 무선유도 교류전압을 각 구성품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인버터 회로부와; 역방전 방지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인버터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 또는 슈퍼 콘덴서를 충전하였다가 정전시 상기 축전지 또는 슈퍼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각 구성품에 공급시켜 주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와; 상기 인버터 회로부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에서 출력되어 중앙제어 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전압 온/오프 스위치와; CPU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통신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인버터 회로부에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축전지 또는 슈퍼 콘덴서 전압을 이용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의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및 조도검출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데이터들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에 발생시켜 주는 중앙제어 회로부와; 각종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의 변화량 또는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등)로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로 계속 제공해 주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및 조도검출센서와;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와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불특정들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재난 발생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해진 색상의 불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elf-induction is possible in configuring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n induction power wireless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AC power to the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ption coil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receiving) AC power transmitted from the inductive power wireless transmitting coil and transmitting it to an inverter circuit; an inverter circuit unit having a rectifying element, a smoothing capacitor, and a constant voltage element, and converting the wirelessly induced AC voltage received from the inductive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required for driving each component; It has a reverse discharge prevention diode and normally charges the storage battery or super capacitor us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inverter circuit part, and then supplies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battery or the super capacitor to each component in case of a power failure. a control circuit unit; a power voltage on/off switch capable of turning on/off the supply of the power voltage output from the inverter circuit unit or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and supplied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It has a CPU and a plurality of input/output ports, a communic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omnidirectional complex sensor us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inverter circuit unit or the storage battery or super capacitor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at normal times. Of course, it receives various detection or detection signals output from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and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in real time, compares them with predetermined comparison target data already input in itself,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a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a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for generating the unit; The amount of change of various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shake,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an omnidirectional complex detection sensor and an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in real time as a value, etc. and continuously provides i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a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and an evacuation warning sound generator are provided, 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specified people can recognize the degree of disaster through sight and hea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또,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에는 지진과 연기 및 화재 감지기능과 방범기능 중 어느 한 기능을 선택하거나 이들 기능을 모두 "오프"시킬 수 있는 작동기능 선택 스위치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on function selection switch that can select any one of the earthquake, smoke and fire detection function and the crime prevention function or turn off all of these functions is further installed.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예 중 어느 한 구성을 갖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가 내장되어 사용되는 각종 전기전자기기는, 비상용 랜턴, 군용 전기장비, LED 조명기구, 소방안전 용품, 난방기기, 주방 조리기, 캠핑카나 자동차 및 레저용품, TV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hat are used with a built-in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hav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emergency lanterns, military electrical equipment, LED lighting equipment, fire safet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ppliances, heating devices, kitchen cookers, campers, automobiles and leisure products, home appliances including TVs, and display devices.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예 중 어느 한 구성을 갖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도어 또는 실내 벽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도어나 도어 록 또는 전자 키 또는 카드 키 본체의 내부에 부설하거나, 또는 도어 손잡이 걸림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hav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used alone, it is attached to a door or an indoor wall, or a door or door lock or electronic key or card ke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r it is used by attaching it to a door handle locking plate.

또,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는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와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연기감지센서 및 광선 검지식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한 기능을 갖는 센서를 포함함은 물론 이들 센서들의 기능이 중 2중 또는 3중으로 갖는 센서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s a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smoke detection sensor, and a light detection type fire detection sensor. Of cour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so includes a sensor having a double or triple function of these sensors.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1 실시 예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내부가 정해진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튜브형 본체와; 플랙시블한 박막 필름의 내면에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교호로 형성하되, 그 간격은 전도성 웨이트 볼의 호형 외면과 접동될 경우 서로 인접한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이 상호 단락되어 통전될 정도로 좁게 형성하고, 교호로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들과 그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공통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통합 연결용 패턴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박막 필름의 양측 단부에는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들을 각각 더 연장 형성하며, 상기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들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제 1 통합 연결용 패턴 또는 제 2 통합 연결용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을 형성한 형태를 갖고 원통형으로 말린 형태에서 양측의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들이 상기 튜브형 본체의 양측 개구부를 막아주는 형태로 상기 튜브형 본체 내에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들의 외면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외부기판 연결단자와; 상기 튜브형 본체 및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튜브형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의 내부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 및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인접된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온/오프시켜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에서 진동검출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전도성 웨이트 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a first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includes: a tubular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inside by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thin film,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are repeatedly alternate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tervals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sliding with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weight ball.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are formed narrow enough to be energized by short circuiting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formed alternately and first and second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tterns in common are formed. connected to each other integrally through the thin film, and further extending disk-shaped terminal plug plate extensions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thin film, and the first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or the second In a form in which first and second disk-shaped conductive electrode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are formed, and in a cylindrically rolled form, the disk-shaped terminal plug plate extensions on both sides block the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body a thin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ubular body; a pair of external board connection terminals having a shap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k-shaped conductive electrode patterns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disk-shaped terminal plug plate extensions; The tubular body and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have a shape molded with conductive metal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n plate, and are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so that an impact is applied to the tubular body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inclined,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moves and rolls 360°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rear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inside the thin plate, and the first and adjacent first and and a conductive weight ball that electrically turns on/off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s to generate a vibra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또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2 실시 예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조립용 나사 또는 조립 위치 지정 봉이 관통되는 원통형 통공이 구비된 상,하 커버를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갖되,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이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측단면이 사각 형상을 갖는 볼 유동 공간부가 구비된 도너츠형 본체와; 상기 도너츠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 상,하면에 각각 와셔 형태로 도포된 전도성의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판과; 상기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판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연결단자와; 상기 도너츠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측 및 외측 면에 각각 원통 형태로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갖고 전도성 금속 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변 저항값을 출력하는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과;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의 일단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출력단자와; 상기 도너츠형 본체 내 볼 유동 공간부의 폭 및 높이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도너츠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도너츠형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과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의 저항값을 결정해 주는 전도성 금속 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riable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an assembly screw or assembly positioning rod passes through the vertical center line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 donut-type body having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overs provided with cylindrical through-holes are mutual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provided with a ball flow space part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so that conductive metal balls can flow and roll inside. Wow; Conductive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plates respectively applied in the form of washer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of the donut-shaped body;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s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plates and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nut-shaped body;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of the donut-type body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cylindrical shape,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utput different variable resista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nductive metal balls; an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and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nut-shaped body; It has a shape molded with conductive metal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all flow space in the donut-type body, and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of the donut-type body to apply an impact to the donut-type body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When the ball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it flows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rear 360°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vibration and inclination within the ball flow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rolls and moves upwards or downwards at the displaced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nductive metal ball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ommon contact plate and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to determin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at that location.

이때,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은 상기 도너츠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면 또는 외면에 니크롬(NiCr) 박판을 안착하거나 또는 카본 인쇄 필름을 접착하거나 또는 카본 복합 액재를 직접 표면에 코팅 내지 증착하여 가변저항 패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are formed by seating a thin nichrome (NiCr) plate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all flow space of the donut-type body, or by bonding a carbon printing film, or by directly coating or depositing a carbon composite liquid material on the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variable resistance pattern is formed.

또,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과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의 근접부 사이에는 상호 절연용 공간부를 주어 상호 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ace for mutual insulatio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or lower common contact plate an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to maintain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3 실시 예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조립용 나사 또는 조립 위치 지정 봉이 관통되는 원통형 통공이 구비된 상,하 커버를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갖고,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접동되고 외측 내면에 접동된 상태에서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상,하면이 외측 상,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져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공통 접점 연결단자측으로 볼이 밀착되어지도록 측단면이 내측으로 누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볼이 외측면으로 몰리도록 형성된 볼 유동 공간부가 구비된 도너츠형 본체와; 종단면이 내측으로 누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상기 도너츠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 상,하면에서 일부가 절단된 와셔 형태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전도성 금속 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변 저항값을 출력하는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과;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의 일단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된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출력단자와; 상기 도너츠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외측 면에 원통 형태로 도포 또는 안착 설치된 전도성의 공통 접점 판과; 상기 공통 접점 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공통 접점 연결단자와;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도너츠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도너츠형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과 공통 접점 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의 저항값을 결정해 주는 전도성 금속 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riable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an assembly screw or an assembly positioning rod penetrates along a vertical centerline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It has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overs provided with the cylindrical through-holes are mutual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so that the conductive metal ball slides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slides on the outer inner surfac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flow and roll. A donut type provided with a ball flow space formed so that balls having a trapezoidal shape with a side cross-section lying inward are driven toward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bal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inclin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n the outside a body; The donut-shaped body has a trapezoidal shape with its longitudinal section lying inward. It has a shape molded in the form of a washer partially cut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ball flow space part, and outputs different variable resista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nductive metal balls. an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and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nut-shaped body; a conductive common contact plate applied or seat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 flow space of the donut-shaped body; a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contact plate and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donut-shaped body; It has a shape molded from a conductive metal and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of the donut-shaped body.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onut-shaped body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if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ilt in the ball flow space In response to the true direction, it flows in all directions 360°, and at the same time it rolls and electrically connects between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and the common contact plate at the displaced position, or a conductive metal ball that determin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은 카본을 인쇄나 코팅 또는 증착을 통해 패턴 형태를 성형하거나 또는 니크롬(NiCr) 박판을 안착하여 성형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과 공통 접점 판의 근접부 사이에는 상호 절연용 공간부를 주어 상호 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are formed by forming a pattern shape through carbon printing, coating, or deposition, or by mounting a thin nichrome (NiCr) plate, an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and the common contact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for mutual insulation is provided between the spaces to maintain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4 실시 예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상,하 커버로 구성하되,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접동된 상태에서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속이 빈 볼 유동 공간부가 구비된 박스형 본체와; 상기 박스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상,하면에서 횡방향에 대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저항패턴들이 형성되되, 그 간격은 전도성 금속 볼의 호형 외면과 접동될 경우 서로 인접한 두 저항패턴이 전도성 금속 볼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나는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과;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에 각각 구비된 저항패턴들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상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저단부가 상기 박스형 본체의 저면 양측으로 각각 일렬로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와;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박스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박스형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항패턴 중 서로 인접된 저항패턴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최종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나게 하는 전도성 금속 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riable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covers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but conductive inside A box-shaped body provided with a hollow ball flow space so that the metal ball can flow and roll in 360° omnidirectional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rear in a state in which the metal ball is sli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of the box-shaped body, a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sliding with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by conductive metal balls and in which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is expressed as a variable resistance value;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sistance pattern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s protrude in a row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box-shaped body, respectively, with the upper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sistance pattern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respectively a connection terminal; It has a shape molded from a conductive metal and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of the box-shaped body, an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box-shaped body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vibration direction and inclination direction in the ball flow space In response, the resistanc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at the displaced position while flowing in all directions 360° and rolling motion in response 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nductive metal ball that i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so that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t that location appears as the final variable resistance value.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의 저항패턴들은 필름상에 카본을 인쇄나 코팅 또는 증착을 통해 성형하거나 또는 니크롬(NiCr) 박판을 필름상에 안착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patterns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are characterized in that carbon is formed on a film through printing, coating, or deposition, or formed by seating a thin nichrome (NiCr) plate on a film.

또한, 상기 제 2 내지 제 4 실시 예에서 공통적으로 구비된 상기 전도성 금속 볼은 구리나 납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표피층을 지닌 질량 유동체를 둥근 사각 함체형 또는 땅콩 형 또는 구형 또는 타원형 볼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를 갖게 성형하되, 상기 전도성 금속 볼의 내부에는 구형 공간부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형 공간부 내에는 볼 자체의 구름운동과 멈춤의 민감성을 낮추기 위해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이 충진된 구형 볼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etal balls provided in common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include any one of copper, lead, or ceramic, or a mass fluid having a conductive skin layer in a round square enclosure type, peanut type, or spherical or oval ball shape. Molded to have any shape, provided with a spherical space in the insid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and in the spherical space, high-viscosity oil or gel or sliding to lower the sensitivity of the ball itself to rolling motion and stopp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herical ball filled with a heavy material such as rubber with low property is further installed.

또, 상기 전도성 금속 볼의 구형 공간부 내에 충진되는 중량물질의 체적은, 민감성 조절을 위해 전도성 금속 볼 전체 체적 대비 10~90% 범위 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heavy material filled in the spherical spac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within the range of 10 to 90% of the total volum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for sensitivity control.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속이 빈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내부 공간부의 중간부에서 가로방향으로는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이 성형된 형태를 갖는 튜브형 본체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튜브형 본체의 상,하면에서 내부를 향해 서로 맞보는 형태로 각각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고 또 빛을 수광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튜브형 본체의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튜브형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전방위로 유동되며 수광소자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주는 광 간섭 작용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f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s formed into a hollow tube shape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but in the middle part of the inner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tubular body having a shape in which an optical interference member installation groove is molded;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respectively installed in a form facing each other toward the insi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ubular bod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generate light and receive light; When the tubular body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of the tubular body and an impact is applied to the tubular body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if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ilt 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optical interference agent that flows in al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true direction and change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being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device.

이때,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은 측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고,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 내에 전방위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는 측단면이 "△" 형상을 갖고 외면에 정해진 각도를 두고 집중렌즈를 배치하여 진동 시에 집중렌즈의 위변(位變)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하거나, 또는 원판 형상을 갖고 상,하면에는 평면 확산렌즈들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진동 시에 확산렌즈의 위치변동 작동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to have a "⊂⊃" shape in a side cross-section, and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ed 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so as to be able to flow in all directions has a side cross-section of a "Δ" shape. The concentrator lens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surface and molded so tha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is changed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ncentrator lens during vibration, or has a disk shape and flat diffusion lens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and molded to change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change operation of the diffusion lens during vibration.

또한,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은 측단면이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고, 각각의 홈 내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원판 형상을 갖는 상,하부 2개 또는 상,중,하부 3개의 광 간섭 작용체를 전방위 유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section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is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It is molded to have a "shap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upper and lower two or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optical interference agents having a disk shape ar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flow in all directions in each gro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때, 상기 광 간섭 작용체는 원판 형상을 갖는 필름상에 각각 광 투과율이 서로 다르도록 엠보싱 처리 또는 그물망 인쇄 처리 또는 펀칭 처리한 렌즈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진동 시에 렌즈들의 위변(位變)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tegrally forms the lenses that have been embossed, printed or punched so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film having a disk shape, so that the lenses are shifted during vib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lded to change the amount of passage of light.

또,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중 상,하부 또는 상,중,하부에 설치되는 광 간섭 작용체의 중량이 서로 다르도록 그 상면에 각각 서로 다른 개수의 중량체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different numbers of weights ar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weight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s installed on the upper, lower, or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s having a disk shap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o it with

또한, 상기 광 간섭 작용체의 렌즈 대신 관통 다공 처리된 유리 또는 수지재 구슬로 대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s replaced with a through-porous glass or resin bead.

이때, 상기 전방위 진동감지센서 내 발광소자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고, 수광소자로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omnidirectional vibration detection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ectroluminescent lamp (EL lamp), or any one of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nstalled,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The furn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cadmium sulfur sensors (CdS) or infrared transistors (Photo TR) or photo diodes or ultraviolet light sensors, or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sensors.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6 실시 예는,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되, 내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격벽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제 1 내지 제 3 공간부로 구획되며, 제 2 공간부의 상하면에는 탄성축 설치홈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함체형 본체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의 양측면 내면에서 서로 맞보는 형태로 각각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고 또 빛을 수광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함체형 본체 내의 제 1 공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 1 격벽에 형성된 렌즈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모아서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 측으로 보내주는 발광 빛 집광용 렌즈와; 상기 함체형 본체 내의 제 2 격벽에 형성된 투명창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송출된 빛을 수광소자 측으로 투과시켜 주는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과; 상기 함체형 본체의 제 2 공간부 내에서 수직방향 중심선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탄성축 설치홈에 끼워져 접착제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탄성축과; 상기 함체형 본체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광 전달 공간부인 제 2 공간부 내에서 탄성축을 기점으로 상,하,좌,우 전방위로 흔들리며 수광소자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수광소자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게 하는 광 간섭용 질량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e six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ethod is applied is a hollow housing shape in which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re molded using a non-flammable and flame-retardant resin or metal material. Doedoe coupled to the interior,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divide the interior into first to third spaces, and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pace A housing-type body having a;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respectively installed in a form facing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type body in a state of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generate light and receive light; In a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in the housing-type body, one end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a lens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collected to cause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a lens for condensing light e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ithout this; a transparent window for collecting light having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a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in the housing-type body and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oward the light receiving device; an elastic shaft having upper and lower ends fitted into the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s and fixedly installed through an adhesive while positioned at the vertical center line in the second space of the housing-type body;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nclosure-type body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device is shaken up, down, left and right with the elastic axis as the starting point in the second space, which is the light transmission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ass weight for optical interference that change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so that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changed.

또, 상기 함체형 본체의 제 2 공간부가 위치된 상,하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과 연기 배출공을 더 형성하여,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가 연기감지센서의 기능도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and smoke outlet holes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pace portion of the enclosure-type body, so that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composed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lso functions as a smoke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의 일 실시 예는, 상기 탄성축에 끼워져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파이프 관 형태의 중심축이 구비되고, 그 중심축의 외주면에 비대칭 중량형 날개를 하나 이상 설치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mass weight for optical interference is provided with a central shaft in the form of a pipe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shaft and can move up and down, and one or more asymmetric weight-type blades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shaft. characterized by having

또, 상기 탄성축은 상,하단 일부에 코일스프링을 일체로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il spring integrally.

또한,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의 다른 실시 예는, 상하 대칭형 각뿔 또는 피라미드 형태를 갖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일체로 구비한 탄성축 중앙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mass weight for optical interferen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vertical symmetric pyramid or pyramid shape and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an elastic shaft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il spring.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연기감지센서 전용 제 7 실시 예는,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되, 내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격벽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제 1 내지 제 3 공간부로 구획되며, 제 2 공간부의 상하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과 연기 배출공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함체형 본체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발광소자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의 타측면에서 발광소자와 맞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함체형 본체 내의 제 1 공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 1 격벽에 형성된 렌즈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모아서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 측으로 보내주는 발광 빛 집광용 렌즈와; 상기 함체형 본체 내의 제 2 격벽에 형성된 투명창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송출된 빛을 수광소자 측으로 투과시켜 주는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e seventh embodiment dedicated to the smoke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method is applied, has a hollow housing shape in which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re molded using non-flammable and flame-retardant resin or metal materials.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in, and the interior is divided into first to third space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pace have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and smoke, respectively. an enclosure-type body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therein; a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in a state of being fixedly install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to generate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receive light; In a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in the housing-type body, one end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a lens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collected to cause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a lens for condensing light e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ithout this; A transparent window for collecting light having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a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in the housing-type body and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oward the light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

또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8 실시 예는,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상,하부 케이스가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되,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 양측에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설치부가 각각 일체로 성형된 형태를 갖는 함체형 본체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성형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설치부 내에서 서로 맞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고 또 빛을 수광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함체형 본체의 일측 발광소자 설치부와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 사이에 형성된 제 1 격벽에 렌즈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집광하여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 측으로 보내주는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와; 상기 함체형 본체의 타측 수광소자 설치부와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 사이에 형성된 제 2 격벽에 렌즈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송출된 빛을 수광소자 측으로 포집하여 주는 수광 빛 집광용 렌즈와; 상기 함체형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빛 통과 공간부 내에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저단부가 바닥면에 각각 접착을 통해 고정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들의 상단부에 각각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함체형 본체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지거나 상기 함체형 본체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탄성부재들의 상단부에서 탄력적으로 상,하,좌,우 전방위로 흔들리거나 회전되며 빛 통과 공간부을 통해 수광소자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수광소자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게 하는 복수의 광 간섭용 질량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e upper and lower cases molded using a non-flammable and flame-retardant resin or metal material are hollow. a housing-type body having a combined form, and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ation unit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light passage space;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that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installation part mol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type body, respectively, in a state of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generate light and receive light; It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the lens fixing groove on the first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ation part on one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and the light passage space in the center, and conden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prevent light loss or light. a lens for condensing and parallel transmission of emitted light that is sen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ithout scattering; It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the lens fixing groove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the light-receiving element installation part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and the light passage space in the center, and col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toward the light-receiving element. a lens for collecting light;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each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floor surface by bonding them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various directions in a light passage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type body; Each of the elastic members has a shaft-supported form so as to be movable and rotatable at the upper ends of the elastic members, and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housing-type body or when the housing-type body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upper ends of the elastic members elastically up, down, A plurality of mass weights for light interference that are shaken or rotated in all directions left and right and chang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by changing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at is irradia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rough the light passing space do it with

또, 상기 함체형 본체의 빛 통과 공간부 상,하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과 연기 배출공을 더 형성하여,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가 연기감지센서의 기능도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and smoke outlet holes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ight passage space of the enclosure-type body, so that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composed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lso functions as a smoke sensor. do it with

이때, 상기 탄성부재들은 "I"자 형상 또는 "

Figure pat00003
" 형상 또는 "┗┓"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한 핀 스프링을 포함하되, "┗┓"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의 절곡부 중 어느 한 절곡부위에 비틀림 스프링부를 일체로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s are "I" shape or "
Figure pat00003
It includes a pin spring bent to have a " shape or a "┗┓" shape, and further comprising a torsion spring part integrally with any one of the bent parts of the elastic member having a "┗┓" shape.

또한,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과 연기 배출공이 더 형성된 상기 함체형 본체의 빛 통과 공간부 하면 중 제 2 격벽의 근접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화재로 인한 불꽃에서 발생되는 자외선(UV) 및 적외선(IR) 파장대의 빛을 수광하여 수광 빛 집광용 렌즈 측으로 전달해 주는 불빛 전달 매개체를 더 설치하여 진동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가 화재감지센서의 기능도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and smoke outlet holes are further formed.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light passage space of the enclosure-type body,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bulkhead, and ultraviolet rays (UV) generated from a flame caused by a fire And by further installing a light transmission medium that receives light in the infrared (IR) wavelength band and delivers it to the lens for collecting the received light,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a fire detection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possible.

또, 상기 제 6 내지 제 8 실시 예에서 제시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내 발광소자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고, 수광소자로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 the omnidirectional complex detection sensor presented in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any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ectroluminescent lamp, or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ncluding one with a dog, as a light receiving element, any one of a cadmium sulfur sensor (CdS) or an infrared transistor (Photo TR) or a photo diode or an ultraviolet light sensor,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what is install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에 의하면, "X, Y, Z 3축" 또는 "360° 전 방위" 또는 "3D"라 불리는 방향적 전제에서, 그 방향에서 중력 가속도가 반영되는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등) 변화량을 각종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예를 들어 진동감지센서나 연기감지센서 또는 화재감지센서 등) 및 온도검출센서 등을 통해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및 온도 변화값 등)로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연기나 화재, 과열온도 또는 동결온도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경보 또는 대피신호 등을 불특정인이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불빛이나 경보음 또는 법제 표준신호 등으로 제공하여, 지진이나 화재 또는 난방기기 등의 과열이나 한파에 따른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모두에 대해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예를 들어 비상용 랜턴, 군용 전기장비, LED 조명기구, 소방안전 용품, 난방기기, 주방 조리기, 캠핑카나 자동차 및 레저용품, TV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등)에 간편하게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호환성은 물론 사용의 효율성 및 상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or embedded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X, Y, Z 3 axes" or "360° omnidirectional" Or, in the directional premise called "3D", the amount of change in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shake,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For exampl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moke detection sensor, fire detection sensor, etc.) and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value, etc.), and using this to accurately identify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smoke or fire, overheating or freezing temperatures, etc. By providing a light, alarm sound, or legal standard sign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various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fires, overheating of heating devices, or freeze-ups due to cold waves, and to deal with all of them comprehensively. In particular, for single use and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e.g., emergency lanterns, military electrical equipment, LED lighting equipment, fire safety supplies, heating devices, kitchen cookers, campers, automobiles and leisure products, home appliances including TVs, and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as it can be easily built-in to display devices, etc.) and used, so that it can greatly improve not only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itself, but also the efficiency and marketability of use.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an expert or researcher in the art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진동감지센서 중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의 서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계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정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 중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의 (a)~(c) 및 (y)(z)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를 진동감지센서로 적용시켰을 때와 침입자 감지(방법)센서로 적용시켰을 때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되는 타이밍챠트 및 검출된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경보신호들에 대한 타이밍챠트.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및 평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및 평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 중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의 저면도 및 평면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1에 도시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가변저항값의 등가 회로도 및 전기적 작용 상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2 내지 제 4 실시 예에 구비된 전도성 금속 볼의 서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도 21 및 도 22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에서 적용한 광 간섭 작용체들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23은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 중 광 간섭 작용체의 렌즈 대신 적용시킨 관통 다공 처리된 유리 또는 수지재 구슬의 예시도.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연기감지센서 전용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도 29a~도 29c와 도 30a~도 30c 및 도 31a~도 31c는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 단면도.
도 32의 (a)(b)는 제 6 내지 제 8 실시 예에서 사용된 발광소자의 제어 타이밍 및 수광소자의 제어와 수광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챠트.
도 33의 (a)~(d)는 본 발명 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예들을 보인 도면 대용 사진.
1 i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o whic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sensor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lectric field diagrams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3;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a) to (c) and (y) (z) of Figure 8 are timing charts detected as electrical signals whe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s applied as a vibration sensor and when applied as an intruder detection (method) sensor, and Timing chart for alarm signals output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ignal.
9A and 9B are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nd a fla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nd a fla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a bottom view and a plan view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of FIG. 11;
14A to 14C are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and an electrical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variable resistance value detected by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11;
15 and 16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onductive metal balls provided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17 to 20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a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are plan view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s appli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23 is an exemplary view of a glass or resin bead having a through-porous treatment applied instead of a lens of an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24 to 27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dicated to th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smoke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29A to 29C and 30A to 30C and 31A to 31C a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tional view to describe the condition.
32A and 32B are timing charts for explaining the control timing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control and light-receiving operation state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used in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Figure 33 (a) ~ (d)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showing examples 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lon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o whic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disaster and disaster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the alarm device is shown.

또, 도 3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진동감지센서 중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의 서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계도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s among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s shown in FIG. It shows an electric field diagram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 중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a)~(c) 및 (y)(z)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를 진동감지센서로 적용시켰을 때와 침입자 감지(방법)센서로 적용시켰을 때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되는 타이밍챠트 및 검출된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경보신호들에 대한 타이밍챠트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3, and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c) and (y)(z) correspond to the timing chart and the detected signal detected a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s applied as a vibration sensor and when applied as an intruder detection (method) sensor This shows the timing chart for the alarm signals output by the

또,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및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S. 9A and 9B show a normal cross-sectional view and a fla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 및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S. 10A and 10B show a normal cross-sectional view and a fla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 11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 중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의 저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and 13 are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of FIG. A bottom view and a top view are shown.

또한,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1에 도시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가변저항값의 등가 회로도 및 전기적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2 내지 제 4 실시 예에 구비된 전도성 금속 볼의 서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S. 14A to 14C show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and an electrical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variable resistance value detected by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11, and FIGS. 15 and 16 are omnidirectional composite sen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onductive metal balls provided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 sensor.

또,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1 및 도 22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에서 적용한 광 간섭 작용체들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3은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 중 광 간섭 작용체의 렌즈 대신 적용시킨 관통 다공 처리된 유리 또는 수지재 구슬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7 to 20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1 and 22 are light amount detection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t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s appli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knowledg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nd FIG. 23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instead of the len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t shows an exemplary view of glass or resin beads treated through porosity.

또한,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8은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연기감지센서 전용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S. 24 to 2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a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smoke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only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shown.

또, 도 29a~도 29c와 도 30a~도 30c 및 도 31a~도 31c는 본 발명 중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로 적용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2의 (a)(b)는 제 6 내지 제 8 실시 예에서 사용된 발광소자의 제어 타이밍 및 수광소자의 제어와 수광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챠트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S. 29A to 29C and 30A to 30C and 31A to 31C show the configuration of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ront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and FIGS. 32A and 32B are for explaining the control timing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used in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and the control and light receiving operation stat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 timing chart for

또한, 도 33의 (a)~(d)는 본 발명 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의 예들을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a) to (d) of FIG. 33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lone.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의 제 1 실시 예는,According to th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단독 사용도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In configuring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by being built-in to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각 구성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상시 공급시켜 주는 작동 전원 공급부(91)와;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91 for constantly supplying a voltage required to drive each component;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92)들을 충전하였다가 전원공급 차단 또는 정전시 상기 축전지(92)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각 구성품에 공급시켜 주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93)와;A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 93) and;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의 출력전압 및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부(93)를 통해 출력되는 축전지(92)의 전압이 정해진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인지 감시함은 물론 유선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제어 회로부(95)로 전달하는 전원감시 및 유선통신신호 입력부(94)와;It monitors whether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91 and the voltage of the storage battery 92 output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93 are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as well as receiving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nd receiving a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 power supply monitoring and wired communication signal input unit 94 transmitted to (95);

CPU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통신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에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93)를 통해 공급되는 축전지(92) 전압을 이용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온도검출센서(TS)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데이터들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에 발생시켜 주는 중앙제어 회로부(95)와;It has a CPU and a plurality of input/output ports, a communic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and uses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91 or the battery 92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93 at normal times for omnidirectional complex sensing 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ensor (S) as well as receives various detection or detection signals output from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S) in real time, and compares data with predetermined comparison target data already input in itself a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for comparing with each other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general alarm condition output unit 96;

각종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의 변화량 또는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및 온도 변화값 등)로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로 계속 제공해 주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온도검출센서(TS)와;The amount of change of various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shake,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an omnidirectional complex detection sensor (S) and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S) that detects in real time as a value and temperature change value, etc.) and continuously provides i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와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불특정들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재난 발생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해진 색상의 불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an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and an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963 are provided, 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unspecified persons can visually and audito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96 that generates a light or an alarm sound of a predetermined color so that the degree of occurrence of a disaste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96.

이때,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의 통신부 입출력단자에는 적외선 또는 무선 송수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원격지의 통제실과 원격제어 통신이 가능한 원격제어 통신신호 입,출력부(97)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input/output terminal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or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communication module and a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input/output unit 97 capable of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 room is further installed. do.

또한,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는 조명기구 또는 전기기구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또는 과전류 차단기를 강제 "오프"하거나 또는 화재 경보 중계기와 법제표준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복수의 릴레이(RL) 및 릴레이 구동부(98)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has a plurality of relays ( RL) and a relay driving unit 98 are further installed.

한편, 본 발명 장치의 제 2 실시 예는,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독 사용도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In configuring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by being built-in to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자기유도방식 무선전력전송 또는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으로 교류전력을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로 송신하는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과;an induction power wireless transmission coil 101 for transmitting AC power to the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by magnetic induc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상기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에서 송신되는 교류전력을 유도(수신)받아 인버터 회로부(103)로 전달하는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과;an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102 for receiving (receiving) AC power transmitted from the inductive power wireless transmitting coil 101 and transmitting it to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정류소자와 평활 콘덴서 및 정전압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에서 수신한 무선유도 교류전압을 각 구성품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인버터 회로부(103)와;an inverter circuit unit 103 having a rectifying element, a smoothing capacitor, and a constant voltage element and converting the wirelessly induced AC voltage received from the inductive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102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required for driving each component;

역방전 방지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를 충전하였다가 정전시 상기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각 구성품에 공급시켜 주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와;Equipped with a reverse discharge prevention diode, the storage battery 104a or the super capacitor 104b is usually charged us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and then the storage battery 104a or the super capacitor 104b is charged when there is a power failure. a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for supplying the voltage charged to each component;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에서 출력되어 중앙제어 회로부(107)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전압 온/오프 스위치(106)와;a power voltage on/off switch 106 capable of turning on/off the supply of the power voltage output from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or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and supplied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CPU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통신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에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를 통해 공급되는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 전압을 이용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조도검출센서(IS)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데이터들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에 발생시켜 주는 중앙제어 회로부(107)와;It has a CPU and a plurality of input/output ports, a communic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and is normally supplied with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or the storage battery 104a or super capacitor 104b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omnidirectional complex detection sensor (S) using a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that compares data to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general alarm situation output unit 108;

각종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의 변화량 또는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등)로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로 계속 제공해 주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조도검출센서(IS)와;The amount of change of various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shake,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nd an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IS) that detects in real time and continuously provides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108a)와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8b)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108c)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불특정들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재난 발생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해진 색상의 불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has a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108a, a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108b and an evacuation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108c, an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unspecified through visual and audito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108 that generates a light or an alarm sound of a predetermined color so as to recognize the degree of occurrence of a disaster.

또,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에는 지진과 연기 및 화재 감지기능과 방범기능 중 어느 한 기능을 선택하거나 이들 기능을 모두 "오프"시킬 수 있는 작동기능 선택 스위치(109)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an operation function selection switch 109 that can select any one of the earthquake, smoke and fire detection function and the crime prevention function or “off” all of these functions is further installed do it with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예 중 어느 한 구성을 갖는 복합감지센서(S)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가 내장되어 사용되는 각종 전기전자기기는,At this time, the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used with a built-in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hav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비상용 랜턴, 군용 전기장비, LED 조명기구, 소방안전 용품, 난방기기, 주방 조리기, 캠핑카나 자동차 및 레저용품, TV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mergency lantern, military electric equipment, LED lighting equipment, fire safety equipment, heating equipment, kitchen cooker, camper or automobile and leisur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home appliances and display devices including TV.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예 중 어느 한 구성을 갖는 복합감지센서(S)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In addition, whe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hav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used alone,

도어 또는 실내 벽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도어나 도어 록 또는 전자 키 또는 카드 키 본체의 내부에 부설하거나, 또는 도어 손잡이 걸림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a door or an interior wall, installed inside a door, door lock, electronic key, or card key body, or attached to a door handle locking plate and used.

또,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는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와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연기감지센서 및 광선 검지식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한 기능을 갖는 센서를 포함함은 물론 이들 센서들의 기능이 중 2중 또는 3중으로 갖는 센서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a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smoke detection sensor, and a light detection type fire detection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nsor having a function of these sensors as well as a sensor having a double or triple function.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1 실시 예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On the other ha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s shown in FIGS. 3 to 7,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내부가 정해진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튜브형 본체(11)와;a tubular body 1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side by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플랙시블한 박막 필름(121)의 내면에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교호로 형성하되, 그 간격은 전도성 웨이트 볼(14)의 호형 외면과 접동될 경우 서로 인접한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이 상호 단락되어 통전될 정도로 좁게 형성하고, 교호로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들과 그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공통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통합 연결용 패턴(124)(125)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박막 필름(121)의 양측 단부에는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을 각각 더 연장 형성하며, 상기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제 1 통합 연결용 패턴(124) 또는 제 2 통합 연결용 패턴(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128)(129)들을 형성한 형태를 갖고 원통형으로 말린 형태에서 양측의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이 상기 튜브형 본체(11)의 양측 개구부를 막아주는 형태로 상기 튜브형 본체(11) 내에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과;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thin film 121,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123 are alternately formed repeated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interval is a conductive weight ball When sliding with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14),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and 123 adjacent to each other are short-circuited and formed narrow enough to conduct electricity,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are alternately formed. 123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s 124 and 125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tterns in comm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tegrally, and both ends of the thin film 121 have disk-shaped terminals The stopper plate extensions 126 and 127 are further extend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124 or the second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124 or the second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k-shaped terminal stopper plate extension portions 126 and 127, respectively. It has a shape in which first and second disk-shaped conductive electrode patterns 128 and 129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gon pattern 125 are formed, and in a cylindrically rolled form, disk-shaped terminal plug plate extensions 126 ( 126 ) on both sides ( 127) a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ubular body 11 in the form of blocking the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body 11;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128)(12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의 외면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외부기판 연결단자(13)와;A pair of external board connection terminals ( 13) and;

상기 튜브형 본체(11) 및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튜브형 본체(1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의 내부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 및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인접된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들을 전기적으로 온/오프시켜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에서 진동검출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전도성 웨이트 볼(1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ubular body 11 and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have a shape molded with conductive metal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n plate 12, and are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to form a tubular shape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1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corresponds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tilted direction inside the thin plate 12. Conductivity that causes the vibration detection signal to be generated from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by electrically turning on/off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and 123 at the displaced position while moving and rolling with the furnace Weight ball (1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또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2 실시 예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A and 9B, a second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resistance value variable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shown in FIGS.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조립용 나사 또는 조립 위치 지정 봉이 관통되는 원통형 통공(211)이 구비된 상,하 커버(212)(213)를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갖되,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30)이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측단면이 사각 형상을 갖는 볼 유동 공간부(214)가 구비된 도너츠형 본체(21)와;It has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overs 212 and 213 provided with a cylindrical through hole 211 through which an assembly screw or an assembly positioning rod penetrates along a vertical centerline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re combined so that they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 A donut-shaped body 21 provided with a ball flow space 214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conductive metal ball 30 can flow and roll inside;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 상,하면에 각각 와셔 형태로 도포된 전도성의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판(22)(23)과;conductive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respectively applied in the form of washers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donut-shaped body 21;

상기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판(22)(23)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21)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연결단자(24)(25)와;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connecting terminals 24 and 25 respe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and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nut-shaped body 21; ;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측 및 외측 면에 각각 원통 형태로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갖고 전도성 금속 볼(30)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변 저항값을 출력하는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26)(27)과;The donut-shaped body 21 is install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214 , each has a cut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30 , respectively.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for outputting different variable resistance values;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의 일단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30)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출력단자(28)(29)와;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28 (28) ( 29) and;

상기 도너츠형 본체(21) 내 볼 유동 공간부(214)의 폭 및 높이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214)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22)(23)과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26)(27)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의 저항값을 결정해 주는 전도성 금속 볼(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has a shape molded of conductive metal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all flow space 214 in the donut-shaped body 21 and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donut-shaped body 21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onut-shaped body 21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it corresponds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tilted direction within the ball flow space 214. After , it flows 360° in all directions and at the same time it rolls and electrically connects between the upper or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and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at the displaced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nductive metal ball 30 that determin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이때,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은,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면 또는 외면에 니크롬(NiCr) 박판을 안착하거나 또는 카본 인쇄 필름을 접착하거나 또는 카본 복합 액재를 직접 표면에 코팅 내지 증착하여 가변저항 패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are mount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donut-shaped body 21 by seating a thin nichrome (NiCr) plate or bonding a carbon printing film. Alterna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resistance pattern is formed by directly coating or depositing the carbon composite liquid material on the surface.

또,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22)(23)과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의 근접부 사이에는 상호 절연용 공간부(215)를 주어 상호 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ace for mutual insulation 215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or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and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3 실시 예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On the other hand, a third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조립용 나사 또는 조립 위치 지정 봉이 관통되는 원통형 통공(311)이 구비된 상,하 커버(312)(313)를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갖고,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38)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접동되고 외측 내면에 접동된 상태에서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상,하면이 외측 상,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져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공통 접점 연결단자(37)측으로 볼(38)이 밀착되어지도록 측단면이 내측으로 누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볼(38)이 외측면으로 몰리도록 형성된 볼 유동 공간부(314)가 구비된 도너츠형 본체(31)와;It has a form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overs 312 and 313 provided with a cylindrical through hole 311 through which an assembly screw or an assembly positioning rod penetrates along a vertical centerline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 inside, the conductive metal ball 38 is sli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inclined in the outer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flow and roll while sliding on the outer inner surface. A donut-shaped body 31 provided with a ball flow space 314 formed so that a ball 38 having a trapezoidal shape with a side cross-section lying inward so that the ball 3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rminal 37 is driven toward the outer surface. Wow;

종단면이 내측으로 누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의 볼 유동 공간부(314) 내 상,하면에서 일부가 절단된 와셔 형태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전도성 금속 볼(38)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변 저항값을 출력하는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32)(33)과;In the ball flow space 314 of the donut-shaped body 31 having a trapezoidal shape with a longitudinal cross-section lying inward, it has a shape molded in the form of a washer partially cut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38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correspondingly outputting different variable resistance values;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32)(33)의 일단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31)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된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출력단자(34)(35)와;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3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onut-shaped body 31, respectively. (35) and;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의 볼 유동 공간부(314) 외측 면에 원통 형태로 도포 또는 안착 설치된 전도성의 공통 접점 판(36)과;a conductive common contact plate 36 applied or s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 flow space 314 of the donut-shaped body 31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공통 접점 판(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도너츠형 본체(31)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공통 접점 연결단자(37)와;a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3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contact plate 36 and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onut-shaped body 31;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의 볼 유동 공간부(314)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314)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32)(33)과 공통 접점 판(36)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32)(33)의 저항값을 결정해 주는 전도성 금속 볼(3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has a shape molded from a conductive metal and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314 of the donut-shaped body 31.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onut-shaped body 31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ball In the flow space portion 314,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32 flows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rear 360°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rolling motion and displaced position. ) (33) and the common contact plate (36) electrically connected to determin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32, 33) at that position; do it with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32)(33)은 카본을 인쇄나 코팅 또는 증착을 통해 패턴 형태를 성형하거나 또는 니크롬(NiCr) 박판을 안착하여 성형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32)(33)과 공통 접점 판(36)의 근접부 사이에는 상호 절연용 공간부(315)를 주어 상호 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are formed by forming a pattern shape through carbon printing, coating, or deposition, or by mounting a thin nichrome (NiCr) plate, and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portion 315 for mutual insulation is provided between the 32 and 33 and the adjacent portion of the common contact plate 36 to maintain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4 실시 예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1 to 13, a fourth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shown in FIGS.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상,하 커버(412)(413)로 구성하되,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46)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접동된 상태에서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속이 빈 볼 유동 공간부(414)가 구비된 박스형 본체(41)와;It consists of upper and lower covers 412 and 413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but inside, with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sliding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front After, the box-shaped body 41 provided with a hollow ball flow space 414 so that it can flow and roll in all directions after 360 °;

상기 박스형 본체(41)의 볼 유동 공간부(414) 상,하면에서 횡방향에 대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저항패턴(421)(431)들이 형성되되, 그 간격은 전도성 금속 볼(46)의 호형 외면과 접동될 경우 서로 인접한 두 저항패턴이 전도성 금속 볼(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나는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42)(43)과;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414 of the box-shaped body 41, a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421 and 431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intervals are conductive metal balls ( 46), the two adjacent resistance patterns are electrically interconnected by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when sliding with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Fig. 46), and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in which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ppears as a variable resistance value. (42) (43) and;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42)(43)에 각각 구비된 저항패턴(421)(431)들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상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저단부가 상기 박스형 본체(41)의 저면 양측으로 각각 일렬로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44)(45)와;The bottom surface of the box-shaped body 41 with the upp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sistance patterns 421 and 431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42 and 43, respectively.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s 44 and 45 respectively protruding from both sides in a line;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박스형 본체(41)의 볼 유동 공간부(414)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박스형 본체(4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42)(43)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항패턴(421)(431) 중 서로 인접된 저항패턴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최종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나게 하는 전도성 금속 볼(4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has a shape molded from a conductive metal and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414 of the box-shaped body 41.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box-shaped body 41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ball flow space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of vibration and inclination within the unit, it flows in all directions 360°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back, and at the same time it rolls and moves to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42 and 43 at the displaced position. a conductive metal ball 46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adjacent resistance patterns among the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421 and 431 respectively formed therein so that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t that location appears as a final variable resistance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42)(43)의 저항패턴(421)(431)들은 필름상에 카본을 인쇄나 코팅 또는 증착을 통해 성형하거나 또는 니크롬(NiCr) 박판을 필름상에 안착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patterns 421 and 431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42 and 43 are formed by printing, coating, or depositing carbon on a film, or a nichrome (NiCr) thin plate is mounted on the fil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lded.

또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서 공통적으로 구비된 상기 전도성 금속 볼(30)(38)(46)은 도 15 및 도 16과 같이, 구리나 납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표피층을 지닌 질량 유동체를 둥근 사각 함체형 또는 땅콩 형 또는 구형 또는 타원형 볼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성형하되, 상기 전도성 금속 볼(30)(38)(46)의 내부에는 구형 공간부(30a)(38a)(46a)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형 공간부(30a)(38a)(46a) 내에는 볼 자체의 구름운동과 멈춤의 민감성을 낮추기 위해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30b)(38b)(46b)이 충진된 구형 볼(30c)(38c)(46c)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etal balls 30, 38, and 46 provided in common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 is, as shown in FIGS. 15 and 16, any one of copper, lead, or ceramic, or a mass fluid having a conductive skin layer, is molded into any one of a round rectangular enclosure shape, a peanut shape, or a spherical or oval ball shape, but the conductive metal The balls 30, 38, and 46 are provided with spherical spaces 30a, 38a, and 46a, and the rolling motion of the ball itself and the ball within the spherical spaces 30a, 38a, and 46a are provided. Spherical balls 30c, 38c, and 46c filled with heavy materials 30b, 38b, and 46b such as high-viscosity oil or gel or rubber with low sliding properties are added to lower the sensitivity to stopp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또, 상기 전도성 금속 볼의 구형 공간부 내에 충진되는 중량물질(30b)(38b)(46b)의 체적은, 민감성 조절을 위해 구형 볼(30c)(38c)(46c) 전체 체적 대비 10~90% 범위 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weight material 30b, 38b, and 46b filled in the spherical spac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is 10 to 90% of the total volume of the spherical balls 30c, 38c, and 46c for sensitivity contro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within the range.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 fifth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light amount detection is applied is as shown in FIGS. 17 to 20,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속이 빈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내부 공간부의 중간부에서 가로방향으로는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이 성형된 형태를 갖는 튜브형 본체(51)와;A tubular body 51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having an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inner space;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튜브형 본체(51)의 상,하면에서 내부를 향해 서로 맞보는 형태로 각각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고 또 빛을 수광하는 발광소자(52) 및 수광소자(53)와;a light emitting element 52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53 installed in a form facing each other toward the insi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ubular body 51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generate light and receive light;

상기 튜브형 본체(51)의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튜브형 본체(5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전방위로 유동되며 수광소자(53)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52)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주는 광 간섭 작용체(5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ubular body 51 has a shap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stallation groove 511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cting body 51 and an impact is applied to the tubular body 51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optical interference action a light interference effector 54 which flows in all directions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within the sieve installation groove 511 and change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52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5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이때,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은 도 17과 같이 측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고,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 전방위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는 측단면이 "△" 형상을 갖고 외면에 정해진 각도를 두고 집중렌즈(541)를 배치하여 진동 시에 집중렌즈(541)의 위변(位變)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하거나, 또는 도 18과 같이 원판 형상을 갖고 상,하면에는 평면 확산렌즈(542)들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진동 시에 확산렌즈(542)의 위치변동 작동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is formed to have a “⊂⊃” shape in a side cross-section as shown in FIG. 17 , and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ll directions. The action body 54 has a “Δ” shape in its side cross-section and arranges the focusing lens 541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is changed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focusing lens 541 during vibration. Or, it has a disk shape as shown in FIG. 18, and the planar diffusion lenses 542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o tha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is changed by the positional change operation of the diffusion lens 542 during v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은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측단면이 "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고, 각각의 홈 내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원판 형상을 갖는 상,하부 2개 또는 상,중,하부 3개의 광 간섭 작용체(54)를 전방위 유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has a side cross-section "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It is molded to have a “shape, and in each groove, two upper and lower two or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optical interference agents 54 having a disk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flow in all directions. do.

이때,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는 원판 형상을 갖는 필름(543)상에 각각 광 투과율이 서로 다르도록 도 21과 같이 엠보싱 처리 또는 그물망 인쇄 처리 또는 펀칭 처리한 렌즈(544)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진동 시에 렌즈들의 위변(位變)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54 is integrally formed with lenses 544 embossed or mesh printed or punched as shown in FIG. 21 so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film 543 having a disk shape. Thu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is changed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lenses during vibration.

또,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 중 상,하부 또는 상,중,하부에 설치되는 광 간섭 작용체(54)의 중량이 서로 다르도록 도 22와 같이 그 상면에 각각 서로 다른 개수의 중량체(545)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 different weight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s 54 installed on the upper, lower or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s 54 having a disk shap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22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weights 545 are further installed.

또한,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의 렌즈 대신 도 23과 같이, 관통 다공 처리된 유리 또는 수지재 구슬(546)로 대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3, instead of the len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effector 54, a glass or resin bead 546 having a through-porous treatment is replaced.

이때, 상기 전방위 진동감지센서(S) 내 발광소자(52)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고,At this time, as the light emitting element 52 in the omnidirectional vibration detection sensor (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 lamp (electroluminescent lamp) or any one of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s installed including,

수광소자(53)로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53, any one of a cadmium sulfur sensor (CdS) or an infrared transistor (Photo TR) or a photo diode or an ultraviolet light sensor, or a plurality of other types of sensors. characterized.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6 실시 예는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 sixth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is applied is as shown in FIGS. 24 to 27,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하부 케이스(611)와 상부 케이스(612)가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되, 내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격벽(613)(6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제 1 내지 제 3 공간부(615)~(167)로 구획되며, 제 2 공간부(616)의 상하면에는 탄성축 설치홈(618)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함체형 본체(61)와;The lower case 611 and the upper case 612 molded using non-combustible and flame-retardant resin or metal materials have a form in which they are combined in a hollow housing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6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614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erior is divided into first to third space portions 615 to 167,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pace portion 616 have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s 618 formed therein. a housing-type body 61 having;

인쇄회로기판(621)(63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양측면 내면에서 서로 맞보는 형태로 각각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고 또 빛을 수광하는 발광소자(62) 및 수광소자(63)와;A light emitting element 62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type body 61 in a state of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s 621 and 631 to generate and receive light. (63) and;

상기 함체형 본체(61) 내의 제 1 공간부(615)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 1 격벽(613)에 형성된 렌즈 고정홈(61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62)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모아서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63) 측으로 보내주는 발광 빛 집광용 렌즈(64)와;The light emitting element ( 62) a luminescent light condensing lens 64 that collects the light emitted from and sends i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63 without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상기 함체형 본체(61) 내의 제 2 격벽(614)에 형성된 투명창 고정홈(6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 빛 집광용 렌즈(64) 및 제 2 광간부(616)를 통해 발광소자(62)에서 송출되어 오는 빛을 수광소자(63) 측으로 투과시켜 주는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65)과;It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the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614a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614 in the housing-type body 61, and includes the lens 64 for collecting the emitted light and the second beam section 616. a transparent window 65 for condensing light received through which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62 is transmit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63;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제 2 공간부(616) 내에서 수직방향 중심선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탄성축 설치홈(618)에 끼워져 접착제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탄성축(66)과;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inserted into the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s 618 in a state positioned at the vertical center line within the second space portion 616 of the enclosure-type body 61 and the elastic shaft 66 is fixed and installed through an adhesive; ;

상기 함체형 본체(61)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광 전달 공간부인 제 2 공간부(616) 내에서 탄성축(66)을 기점으로 상,하,좌,우 전방위로 흔들리며 수광소자(63)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62)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수광소자(63)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게 하는 광 간섭용 질량추(67);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nclosure-type body 61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it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omnidirectionally from the elastic shaft 66 in the second space 616, which is the light transmission space, as a starting point. It is characterized by a mass weight 67 for light interference that change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by the light-emitting element 62 irradiated to the light-receiving element 63 while shaking so that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receiving element 63 is changed.

또,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제 2 공간부(616)가 위치된 상,하면에 도 2와 같이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616a)과 연기 배출공(616b)을 더 형성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가 연기감지센서의 기능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616a and smoke outlet holes 616b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re the second space portion 616 of the enclosure-type body 61 is position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smoke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67)의 일 실시 예는 도 24 및 도 25와 같이,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mass weight 67 for optical interference is shown in FIGS. 24 and 25,

상기 탄성축(66)에 끼워져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파이프 관 형태의 중심축(671)이 구비되고, 그 중심축(671)의 외주면에 비대칭 중량형 날개(672)를 하나 이상 설치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entral shaft 671 in the form of a pipe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shaft 66 and can move up and down is provided, and one or more asymmetric weight-type blades 672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shaft 671. characterized in that

또, 상기 탄성축(66)은 상,하단 일부에 도 26 및 도 27과 같이 코일스프링(661)을 일체로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shaft 6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il spring 661 integrally as shown in FIGS. 26 and 27 .

또한,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67)의 다른 실시 예는 도 26 및 도 27과 같이,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mass weight 67 for optical interference is as shown in FIGS. 26 and 27,

상하 대칭형 각뿔 또는 피라미드 형태를 갖고 상기 코일스프링(661)을 일체로 구비한 탄성축(66) 중앙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has a vertical symmetric pyramid or pyramid shap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 fixed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shaft 66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il spring 661.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연기감지센서 전용의 제 7 실시 예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e seventh embodiment dedicated to the smoke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knowledge is applied, as shown in FIG.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하부 케이스(711)와 상부 케이스(712)가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되, 내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격벽(713)(7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제 1 내지 제 3 공간부(715)~(717)로 구획되며, 제 2 공간부(716)의 상하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716a)과 연기 배출공(716b)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함체형 본체(71)와;The lower case 711 and the upper case 712 molded using a non-flammable and flame-retardant resin material or metal material have a form in which they are combined in a hollow housing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7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714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interior is divided into first to third space portions 715 to 717, and 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pace 716,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716a and smoke, respectively a housing-type body 71 having a form in which a discharge hole 716b is formed;

인쇄회로기판(72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7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발광소자(72)와;a light emitting element 7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71 in a state of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21 to generate light;

인쇄회로기판(73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71)의 타측면에서 발광소자(72)와 맞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73)와;a light receiving element 73 install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element 72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71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31 to receive light;

상기 함체형 본체(71) 내의 제 1 공간부(715)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 1 격벽(713)에 형성된 렌즈 고정홈(71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72)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모아서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73) 측으로 보내주는 발광 빛 집광용 렌즈(74)와;The light emitting device ( 72) and col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ight condensing lens 74 for sending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3 side without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상기 함체형 본체(71) 내의 제 2 격벽(714)에 형성된 투명창 고정홈(7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 빛 집광용 렌즈(74)와 제 2 공간부(716)를 통해 발광소자(72)에서 송출되어 오는 빛을 수광소자(73) 측으로 투과시켜 주는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7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the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714a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714 in the housing-type body 71, and the lens 74 for collecting the emitted light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716 are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한편,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8 실시 예는 도 29a~도 29c와 도 30a~도 30c 및 도 31a~도 31c에 도시한 바와 같이,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n eighth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light amount detection is applied is shown in FIGS. 29A to 29C, 30A to 30C and 31A to 31C. As,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상,하부 케이스(812)(811)가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되,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816) 양측에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설치부(815)(817)가 각각 일체로 성형된 형태를 갖는 함체형 본체(81)와; The upper and lower cases 812 and 811 molded using non-combustible and flame-retardant resin or metal materials are combined in a hollow housing shape,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light passage space 816 a housing-type body 81 in which the installation portions 815 and 817 are integrally molded;

인쇄회로기판(821)(823)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양측에 각각 성형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설치부(815)(817) 내에서 서로 맞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고 또 빛을 수광하는 발광소자(82) 및 수광소자(83)와; In a stat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s 821 and 823 are fixedly installed,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type body 81, respectively, are installed in a form facing each other in the installation parts 815 and 817, so that the light a light emitting element 82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83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light;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일측 발광소자 설치부(815)와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816) 사이에 형성된 제 1 격벽(813)에 렌즈 고정홈(81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82)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집광하여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83) 측으로 보내주는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84)와;A form detachably coupled to the lens fixing groove 813a to the first partition wall 813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stallation part 815 of the housing-type body 81 and the light passage space 816 in the center. a lens 84 for cond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82 and sending i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without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타측 수광소자 설치부(817)와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816) 사이에 형성된 제 2 격벽(814)에 렌즈 고정홈(8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발광소자(82)에서 송출된 빛을 수광소자(83) 측으로 포집하여 주는 수광 빛 집광용 렌즈(85)와;The second partition wall 814 formed between the light-receiving element installation part 817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81 and the light passage space 816 in the cent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ens fixing groove 814a. a light-receiving light condensing lens 85 for col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82 toward the light-receiving element 83;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중앙에 형성된 빛 통과 공간부(816) 내에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저단부가 바닥면에 각각 접착을 통해 고정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탄성부재(86)와;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86 each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floor surface through adhesives in a state arranged in various directions in a light passage space 816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type body 81;

상기 탄성부재(86)들의 상단부에 각각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함체형 본체(81)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지거나 상기 함체형 본체(81)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탄성부재(86)들의 상단부에서 탄력적으로 상,하,좌,우 전방위로 흔들리거나 회전되며 빛 통과 공간부(816)을 통해 수광소자(83)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82)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수광소자(83)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게 하는 복수의 광 간섭용 질량추(8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members have a shape axially supported on the upper ends of the elastic members 86, respectively, and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nclosure-type body 81 or when the enclosure-type body 81 is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By changing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82, which is flexibly shaken or rotated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at the upper end of the 86 and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through the light passing space 816,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ss weights for optical interference (87) for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또,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빛 통과 공간부(816) 상,하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816a)과 연기 배출공(816b)을 더 형성하여, 진동감지센서로 구성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가 연기감지센서의 기능도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816a and smoke outlet holes 816b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ight passage space 816 of the enclosure-type body 81, respectively, so that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composed of a vibration sensor The sensor (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of the smoke detection sensor is also performed.

이때, 상기 탄성부재(86)들은 "I"자 형상 또는 "

Figure pat00006
" 형상 또는 "┗┓"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한 핀 스프링을 포함하되, "┗┓"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86)의 절곡부 중 어느 한 절곡부위에 비틀림 스프링부(861)를 일체로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s 86 are "I" shape or "
Figure pat00006
A torsion spring part 861 is integrally added to any one of the bent parts of the elastic member 86 having a "┗┓" shape, including a pin spring bent to have a " shape or a "┗┓"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또한,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816a)과 연기 배출공(816b)이 더 형성된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빛 통과 공간부(816) 하면 중 제 2 격벽(814)의 근접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 경사면(881)을 구비하고 화재로 인한 불꽃에서 발생되는 자외선(UV) 및 적외선(IR) 파장대의 빛을 수광하여 수광 빛 집광용 렌즈(85) 측으로 전달해 주는 투명의 불빛 전달 매개체(88)를 더 설치하여, 진동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가 화재감지센서의 기능도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816a and smoke outlet holes 816b ar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passage space 816 of the enclosure-type body 81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bulkhead 814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ransparent light transmission medium (88) having an inclined surface (881) at the upper end and receiving the light in the ultraviolet (UV) and infrared (IR) wavelength bands generated from the flame caused by a fire and delivering it to the receiving lens 85 side By further install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smoke detection sensor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또, 상기 제 6 내지 제 8 실시 예로 제시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내 발광소자(62)(72)(82)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고,In addition, as the light emitting devices 62, 72, and 82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presented in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ectroluminescent lamp or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infrared light emission Including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with any one or different species,

수광소자(63)(73)(83)로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the light-receiving elements 63, 73, and 83, a cadmium sulfide sensor (CdS) or an infrared transistor (Photo TR) or a photodiode or an ultraviolet light sensor,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what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and embedded in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중 제 1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작동 전원 공급부(91)와 축전지(92), 충,방전 제어 회로부(93), 전원감시 및 유선통신신호 입력부(94), 중앙제어 회로부(95),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온도검출센서(TS) 및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단독으로 사용도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or embedded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operated with a power supply unit 91 and Battery 92,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93, power monitoring and wired communication signal input 94, central control circuit 95,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S) and general alarm situation It has a form composed of the output unit 96,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by being built-in to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s a major technical component.

즉,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작동 전원 공급부(91)와 축전지(92), 충,방전 제어 회로부(93), 전원감시 및 유선통신신호 입력부(94), 중앙제어 회로부(95),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온도검출센서(TS) 및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로 구성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지진이나 화재 또는 난방기기 등의 과열이나 한파에 따른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모두에 대해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제품 자체의 호환성은 물론 사용의 효율성 및 상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91 and the storage battery 92,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93, the power monitoring and wired communication signal input unit 94, and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operate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lex sensor. ),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S), and general alarm situation output unit 96, used alone or built into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earthquakes, fires, or overheating of heating devices In addition to minimizing various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freezing or freezing caused by cold waves or cold waves,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respond to all of them. as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이때, 본 발명 장치의 제 1 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는, 다이오드와 저항, 충전 최고전압 제한용 제너 다이오드 및 대용량 소형 콘덴서 등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배터리나 정류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정해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본 작동 전원 공급부(9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각 구성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상시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91 has a form composed of a diode and a resistor, a Zener diode for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voltage, a large-capacity small capacitor, etc., and is supplied from a battery or a rectifier. By rectifying the driving voltage 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it performs a function of constantly supplying a voltage necessary for driving each componen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91 .

또,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부(93)는 축전지(92)와 함께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의 두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92)들을 충전하였다가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거나 또는 정전시 상기 축전지(92)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축전지(92) 후단부에 구비된 각 구성품에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93 has a form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wo output terminals of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91 together with the storage battery 92 , and a DC voltage output from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91 . After charging the storage batteries 92 using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ly.

또한, 상기 전원감시 및 유선통신신호 입력부(94)는, 저항과 정전압 제너 다이오드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의 출력전압 및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부(93)를 통해 출력되는 축전지(92)의 전압이 정해진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인지 감시(즉,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감시)함은 물론 유선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제어 회로부(95)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ower monitoring and wired communication signal input unit 94 has a form composed of a resistor and a constant voltage Zener diod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91 and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93 are output through the It not only monitors whether the voltage of the storage battery 92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ie, monitors over-discharge and over-charge) but also receives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

또,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는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연기 및 화재로 인한 불꽃감지 등을 감별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 또는 비교 데이터 등이 기입력된 CPU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통신부 및 출력부 등을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91)에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93)를 통해 공급되는 축전지(92) 전압을 이용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온도검출센서(TS)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각종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데이터(즉,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연기 및 화재로 인한 불꽃감지 등에 따른 서로 다른 데이터)들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즉, 구동)신호를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와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에 출력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includes a CPU, a plurality of input/output ports, a communication unit, and an output unit to which a control program or comparison data capable of discriminating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earthquakes, smoke and fire detection, etc., is written. Controls the driving of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us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91 or the battery 92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93 at normal times. Of course, it receives various detection or detection signals outputted from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S) in real time, and preset comparison target data (ie, artificial earthquake and natural earthquake, Compare with different data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flames due to smoke and fire), and compare the control (ie, dri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with the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in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96 It functions to output the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and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or 963 .

즉,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서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성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검출되는 출력신호를 통해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및 화재 등을 감별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스위칭 접점 검출방식의 진동감지센서가 적용된 경우에는,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다접점 통전 패턴의 온/오프 스위칭 신호로써 접속 위치와 시간 및 횟수 등을 입력받아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및 화재 등을 감별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와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시켜 준다.That is,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an artificial earthquake, a natural earthquake, and a fire are discriminated through output signals detect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For exampl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When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of a switching contact dete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sensor (S), the connection location, time, and number of times are input as an on/off switching signal of a multi-contact energization pattern output from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prevent artificial earthquakes and natural disasters. Distinguishes earthquakes and fires, and in response to the results, the evacuation warning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the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and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963 in the comprehensive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96 It outputs a driving signal.

또,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적용된 진동감지센서가 저항값 가변 검출방식일 경우에는, 진동 또는 지진 등이 발생할 경우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서는 그 정도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3축 방향으로 각도 변화에 대응되는 가변저항값을 입력받아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및 화재 등을 감별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가변저항형 진동감지센서에서 초기 수초 이내에 가변저항값이 변화되는 형태로 입력될 경우 진동 또는 지진 등의 검지신호(P파)로 인식(즉, 1차 지진시작 단계로 인식)하고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후(즉, 초기 감지 수 내지 수백초 내외 정도의 시간 경과 후)에도 상기 저항값 가변형 전방위 진동감지센서에서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가변 저항값이 입력(즉, 2차 지진검출신호가 출력)되면 P파 검출 후 S파가 검출된 것으로 인식하고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a variable resistance detection method, when vibration or earthquake occurs,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changes in the three-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gree. An artificial earthquake, a natural earthquake, and a fire are differentiated by recei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an angle change. It is recognized as a detection signal (P wave) such as an earthquake (that is, recognized as the first earthquake start stage), and a driving signal is output to the evacuation warning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in the comprehensive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96, and after (that is, , when a variable resistance value that continuously changes in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omnidirectional vibration detection sensor is input (that is, a secondary earthquake detection signal is output) even after the initial detection number to several hundred seconds), after P wave detection, S Recognizing that the wave is detected, a driving signal is output to the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and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or 963 .

또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적용된 진동감지센서가 광량 검지식일 경우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서는, 복합감지센서(S) 내 수광소자에서 검출되는 빛 수광량을 입력받으면 이를 정해진 비교대상 광량보다 어느 정도 감소된 상태인지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와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시켜 준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of th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receives the light reception amount detected from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t is determined to what extent it is reduced than the amount of light, and in response to the result, an evacuation warning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an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and an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963 in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96 ) to output a predetermined driving signal.

여기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성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검출되는 출력신호를 통해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및 화재 등을 감별하는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작동상태는 후술하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들의 실시 예들을 설명할 때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more specific operating state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that discriminates artificial earthquakes, natural earthquakes, and fires, etc. through output signals detect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s (S), a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again.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 작동방식, 저항값 가변방식 및 광선 검지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온도검출센서(TS)는, 각종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의 변화량 또는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및 온도 변화값 등)로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로 계속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S), which ar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witching operation method, a resistance value variable method, and a light detection type, as will be described later, have a variety of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 / shaking, Change amount of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or environment and chemical atmosphere in real time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omnidirectional on/off switching signal, variable resistance change value, light quantity change value, temperature change value, etc.) It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and continuously providing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

또, 상기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는 "황색"의 고휘도 빛을 발생하는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와 "적색"의 고휘도 빛을 발생하는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및 부저 또는 싸이렌 음을 발생하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즉, 대피경보나 준비 또는 시작 등)하여 불특정들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재난 발생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해진 색상의 불빛 또는 경보음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96 includes an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that generates high luminance of “yellow” and an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that generates high luminance of “red” and a buzzer or Equipped with an evacuation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963 that generates a siren sou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ie,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or start, etc.), unspecified through visual and auditory It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generating a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or an alarm sound to recognize the degree of disaster occurrence.

따라서, 불특정인들이 인공 또는 자연지진 상태 또는 화재 등의 발생을 시각은 물론 청각을 통해 정확히 인식하고 빠른 시간 내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Accordingly, unspecified persons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rtificial or natural earthquakes or fires through sight as well as hearing, and can evacuate safely with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 장치의 제 1 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의 통신부 입출력단자에 적외선 또는 무선 송수신 통신모듈을 구비한 원격제어 통신신호 입,출력부(97)를 더 설치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input/output unit 97 having an infrared or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ommunication unit input/output terminal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installed more.

따라서,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인공 또는 자연지진이나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거나 또는 침입자 등이 발생되어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서 이를 검출함으로 인해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서 이를 인식하였을 때, 상기 원격제어 통신신호 입,출력부(97)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또는 통제실 등에 자동으로 통보하여 필요한 조치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히 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recognizes this by detecting an artificial or natural earthquake, smoke or fire, or an intruder, etc., in the place wher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detects it. When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input/output unit 97, it is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remote manager or control room through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input/output unit 97, so that the necessary action can be taken accurately within a short time.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 장치의 제 1 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의 출력단자에 복수의 릴레이(RL) 및 릴레이 구동부(98)를 더 설치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lays (RL) and a relay driving unit 98 are further installed at the output terminals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를 통해 지진이나 화재 등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되었을 경우, 상기 릴레이 구동부(98)를 통해 복수의 릴레이(RL) 중 어느 한 릴레이(RL)를 구동시켜 각각의 릴레이(RL)에 연결되어 있는 조명기구 또는 전기기구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또는 과전류 차단기를 강제 "오프"하거나 또는 화재 경보 중계기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법제표준신호 등을 자동 발신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it is recognized that an earthquake or fire has occurred through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ys (RL) through the relay driving unit 98 ( RL) to turn on/off the power of lighting equipment, electrical equipment, or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relay (RL), or forcibly “off” an overcurrent circuit breaker, or to drive a fire alarm repeater, or legal standard Signals can be sent automatically.

한편, 본 발명의 단독 사용 및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중 제 2 실시 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과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 인버터 회로부(103),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 전원전압 온/오프 스위치(106), 중앙제어 회로부(107),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조도검출센서(IS) 및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단독으로 사용도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or built-in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2, largely inductive power wireless transmission coil 101 ) and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102, inverter circuit unit 103, storage battery 104a or super capacitor 104b,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power supply voltage on/off switch 106,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IS), and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108 has a form that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by being built-in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one as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과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 인버터 회로부(103),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 전원전압 온/오프 스위치(106), 중앙제어 회로부(107),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조도검출센서(IS) 및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로 구성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지진이나 화재 또는 난방기기 등의 과열이나 한파에 따른 동파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모두에 대해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제품 자체의 호환성은 물론 사용의 효율성 및 상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with an induction power wireless transmission coil 101 and an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ption coil 102, an inverter circuit unit 103, a storage battery 104a, or Super capacitor 104b,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power supply voltage on/off switch 106,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omnidirectional complex detection sensor (S),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IS) and general alarm situation It is composed of the output unit 108 and used alone or built in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various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fires, overheating of heating devices, or freezing caused by cold waves, etc. It is possible to deal with all of these comprehensively, and in particular, the main technology component is to greatly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itself, as well as the efficiency and marketability of use.

이때, 본 발명 장치의 제 2 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상기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은, 후술하는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이 설치되는 물체(예를 들어 도어나 창문 등)와 별도의 물체(예를 들어 문틀이나 창틀 등)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자기유도방식 무선전력전송 또는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으로 교류전력을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로 송신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induction power wireless transmission coil 101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 from an object (eg, a door or window) on which an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ption coil 102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close to an object (eg, a door frame or a window frame, etc.) an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C power to the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102 by magnetic induc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r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 상기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과 반대로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이 설치되는 물체(예를 들어 문틀이나 창틀 등)와 별도의 물체(예를 들어 도어나 창문 등)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101)에서 송신되는 교류전력을 유도(수신)받아 후술하는 인버터 회로부(103)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duction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102, as described above, as opposed to the inductive power wireless transmitting coil 101, an object (for example, a door frame or a window frame, etc.) on which the induction power wireless transmitting coil 101 is installed and It is installed close to a separate object (for example, a door or window, etc.) and receives (receives) AC power transmitted from the induction power wireless transmission coil 101 and transmits it to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to be described later. carry out

또한,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는 정류소자와 평활 콘덴서 및 정전압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102)에서 수신한 무선유도 교류전압을 각 구성품의 구동에 필요한 정해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includes a rectifying element, a smoothing capacitor, and a constant voltage element, and converts the wirelessly induced AC voltage received from the inductive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102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required for driving each component. perform the function

또,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는 역방전 방지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에 충전하였다가 정전시 상기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중앙제어 회로부(107)를 포함하여 각 구성품에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includes a reverse discharge prevention diode, and normally charges the storage battery 104a or the super capacitor 104b us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and then performs a power outage. It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battery (104a) or the super capacitor (104b) to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central control circuit (107).

이때, 상기 슈퍼 콘덴서(104b)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2차 전지 또는 충전지 등으로 대치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uper capacitor 104b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place of a secondary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또한, 상기 전원전압 온/오프 스위치(106)는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 및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 후단부의 일측 전원공급선 상에 직렬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에서 출력되어 중앙제어 회로부(107)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voltage on/off switch 106 is installed in series on one power supply line of the rear end of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and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or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in series. , It functions to turn on/off the supply of the power voltage output from the 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and supplied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

또,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는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연기 및 화재로 인한 불꽃감지, 침입자 감지 등을 감별할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 또는 비교 데이터 등이 기입력된 CPU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통신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고 통상시 상기 인버터 회로부(103)에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105)를 통해 공급되는 축전지(104a) 또는 슈퍼 콘덴서(104b) 전압을 이용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조도검출센서(IS)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데이터(즉,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연기 및 화재로 인한 불꽃감지 및 침입자 감지 등에 따른 서로 다른 데이터)들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구동)신호를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 내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108a)와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8b)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108c)에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includes a CPU, a plurality of input/output ports, and a communication unit in which a control program or comparison data capable of discriminating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earthquakes, smoke and fire detection, intruder detection, etc. And having an output unit, us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inverter circuit unit 103 or the storage battery 104a or the super capacitor 104b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5 in normal us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 as well as receiving various detection or detection signals output from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nd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IS) in real time, and preset comparison target data (that is, artificial earthquakes) and different data according to flame detection and intruder detection) from natural earthquakes, smoke and fires), and the control (dri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in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108 (108a), a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108b, and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08c).

여기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성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검출되는 출력신호를 통해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및 화재 등을 감별하는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작동상태는 후술하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들의 실시 예들을 설명할 때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Here, a more specific operating state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that discriminates artificial earthquakes, natural earthquakes, and fires, etc. through output signals detect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described later.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s (S), a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again.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 작동방식, 저항값 가변방식 및 광선 검지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및 조도검출센서(IS)는, 각종 물리적 운동 에너지(진동/흔들림, 가속도, 낙하/상승, 회전, 움직임, 정지 등)의 변화량 또는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예를 들어 전방위 온/오프 스위칭신호나 가변저항 변화값 또는 광량 변화값 등)로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로 계속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nd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IS), which ar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witching operation method, a resistance value variable method, and a light detection typ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clude various physical kinetic energy (vibration / shaking, Acceleration, fall/rise, rotation, movement, stop, etc.) or environmental and chemical atmospheres are detected in real time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omnidirectional on/off switching signals, variable resistance change values, or light quantity change values), and the central It continues to provide a function to the control circuit unit 107 .

또, 상기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는 침입자 등이 검지될 때 카메라 후레쉬와 같이 강한 불빛을 순간 발생시키는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108a)와 "황색" 또는 "적색"의 고휘도 빛을 발생하는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8b) 및 부저 또는 싸이렌 음을 발생하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108c)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불특정들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재난 발생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강한 후레쉬 불빛 또는 정해진 색상의 불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108 includes a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108a that instantaneously generates a strong light such as a camera flash when an intruder is detected, and a plurality of “yellow” or “red” high-brightness lights of a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 108b and an evacuation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108c that generates a buzzer or siren sound, an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7 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strong flash light, a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or an alarm sound to recognize the level of occurrence.

따라서, 불특정인들이 인공 또는 자연지진 상태 또는 화재 등의 발생을 시각은 물론 청각을 통해 정확히 인식하고 빠른 시간 내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ㅃ뿐만 아니라 침입자의 경우 강한 후레쉬 불빛에 놀라 스스로 도망가게 할 수 있다.Therefore, unspecified people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rtificial or natural earthquakes or fires through sight as well as hearing and evacuate safely within a short time.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 장치의 제 2 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107)에는 작동기능 선택 스위치(109)로 3열 스위치를 더 설치하여, 지진과 연기 및 화재 감지기능과 방범기능 중 어느 한 기능을 선택하거나 이들 기능을 모두 "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 장치의 사용성 및 조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column switch is further installed as an operation function selection switch 109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107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earthquake, smoke and fire detection functions an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crime prevention functions or enabling all of these functions to be "off", the usa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장치들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예로서, 실내조명 빛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여러 가지 옥내 조명 빛에는 없는 파장이면서, 같은 소비 전력 조건에서 광도(칸델라)가 높은 파장이면서, 또한 연기 입자 크기가 작아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290±90[㎚] 중심 파장대 정도) 발광소자인 자외선 엘이디(UV LED)를 적용하고, 수광소자는 UV센서 내지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포토 트렌지스터 등을 적용하여 구성하며, 특히 자외선(UV) 센서로 화재 불꽃 감지를 겸비할 수도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one of the most preferable examples that can be inv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ltraviolet LED (UV LED), a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high luminous intensity (candela) under power conditions,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bout 290±90 [nm] central wavelength band) that can detect even small smoke particle sizes, is applied,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is configured by applying a UV sensor or a photodiode or a phototransistor, and in particular,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bine fire and flame detection with an ultraviolet (UV) sensor is provided.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실내조명 빛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여러 가지 옥내 조명 빛에는 없는 파장이면서, 연기 검출에 센서 구성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조건으로 제공되는 적외선(950±50[㎚] 중심 파장대 정도)의 발광소자인 적외선 엘이디(IR LED)를 적용하고, 수광소자는 PBS(적외선 대역의 광도전소자, IR sensor)센서 내지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포토 트렌지스터 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most preferred embodiment, infrared rays (950±50 [nm] center wavelength band) provided with a wavelength that various indoor lighting lights do not have, and a relatively inexpensive sensor configuration cost for smoke detection so as not to be affected by indoor lighting light Infrared LED (IR LED), which is a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same degree), is applied,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can be configured by applying a PBS (photoconductive device in the infrared band, IR sensor) sensor, a photodiode, or a phototransistor.

특히, 이 또한 수광소자는 적외선(IR) 적외선 감지로 화재 발생의 불꽃 감지를 겸비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되고, 상기 설명 내용을 기초로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가장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는, 상기한 본 발명 장치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를 융복합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is light receiving element is also provided with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bine both infrared (IR) infrared detection and flame detection of fire occurrence, and although not illustrated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third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th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used and implemented.

상기한 본 발명 장치의 실시 예에 온도센서를 추가하여 화재 열감지(통상적인 60~80℃) 기능을 겸비토록 하고, 그 열감지 센서를 동파감지나 과열감지 제어용으로도 겸비하게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add a temperature sensor to the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a fire heat detection function (typically 60 to 80° C.), and to combine the heat detection sensor for freezing detection or overheat detection control.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장치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 중 어느 한 구성을 갖는 복합감지센서(S)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가 내장되어 사용되는 각종 전기전자기기는, 도시 생략한 비상용 랜턴, 군용 전기장비, LED 조명기구, 소방안전 용품, 난방기기, 주방 조리기, 캠핑카나 자동차 및 레저용품, TV를 포함하는 각종 가전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 등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a built-in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hav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lantern, not shown. , military electric equipment, LED lighting equipment, fire safety equipment, heating equipment, kitchen cookers, campers, automobiles and leisure equipment, and various home appliances and display equipment including TVs.

뿐만 아니라, 상기한 본 발명의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실시 예들에 각각 구비된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온도 보상 제어부와; 빌딩/건물의 화재 감시 중계기와의 유무선 통신 제어부와; 지진 감시 인터넷 망 시스템 연계 통신 제어부와; 산불 및 지진 및 산사태 재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과 그의 무선 충전장치의 제어부와; 도난 및 침입 신고 보안 관리 정부 기관과의 무선 연계 통신 제어 및 자동 음성 통신 신고 회로부와; TV, 세탁기, 냉장고, 청소기, 믹서기 등의 가전기기(홈 어플리케이션 전기 기기)에 접목되는 경보 작동 목적의 전원라인을 온/오프 시키는 접점 신호 출력 제어부와; 각종 LED 조명 장치에 온/오프를 연동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상기 외에 휴대용 랜턴, 취침용 조명 장치, 시계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광고 간판, 애완견 감시, 캠핑용 조명, 차량 도난 방지 장치, 터널 및 지하 차도, 지하 주차장 등의 온종일(Full Time, 24시간) 조명(빛)이 요구되는 장소의 차량 사고 및 시설물 균열 등의 안전 자동 알림 경보 장치, 농/어업용 각종 기계 고장 사전 인지센서 장치와; 각종 화재 경보 장치, 공공 시설물 장치, 군용(軍用)의 포탄, 미사일, ?X점계 등의 제품, 보일러용 화염 감지 및 온수 흐름(流水) 센서, 방범, 지진, 화재 발생시 자동 차단 콘센트, 자동 오프 차단기, 여행용 케리어 분실 방지장치 등등을 더 부가 설치하면, 본 발명에서 적용한 복합 감지센서를 상기한 제어방법 및 융복합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폭넓게 응용 접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s 95 and 107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embodiments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lex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compensation control unit;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unit with a building/building fire monitoring repeater; an earthquake monitoring Internet network system-linked communication control unit; a remote control system for forest fires, earthquakes and landslides, and a control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of; Theft and intrusion report security management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nd automatic voice communication report circuit unit with government agencies; A contact signal output control unit for turning on/off the power line for the purpose of alarm operation grafted to home appliances (home application electric devices) such as TV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vacuum cleaners, and mixers;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interlocking on/off control of various LED lighting devices; In addition to the above,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portable lanterns, sleeping lighting devices, clocks, advertising signs, pet dog monitoring, camping lighting,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s, tunnels and underpasses, underground parking lots, etc. full-time (24 hours) lighting A safety automatic notification alarm device for vehicle accidents and facility cracks in places where (light) is required, a sensor device for pre-recognition of various mechanical failures for agriculture/fishery; Various fire alarm devices, public facilities devices, military shells, missiles, ?X points, etc. products, boiler flame detection and hot water flow sensor, crime prevention, automatic shutoff outlet in case of earthquake or fire, automatic off circuit breaker , travel carrier loss prevention device, etc. are additionally installed,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ore widely based on the control method and the fusion method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예 중 어느 한 구성을 갖는 복합감지센서(S)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도 33의 (a)와 같이 도어 또는 실내 벽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도 33의 (b)와 같이 도어나 도어 록 또는 전자 키 또는 도 33의 (c)와 같이 카드 키 본체의 내부에 부설하거나, 또는 도 33의 (d)와 같이 도어 손잡이 걸림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hav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used alone, it is attached to a door or an indoor wall as shown in (a) of FIG. Or, as shown in (b) of FIG. 33, a door or door lock or electronic key, or installed inside the card key body as shown in (c) of FIG. can be used

또,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과 같이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와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연기감지센서 및 광선 검지식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한 기능을 갖는 센서는 물론 이들 센서들의 기능이 중 2중 또는 3중으로 갖는 센서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a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smoke detection sensor and a light detection type fire detection as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 sensor having any one of the functions of the sensor is included as well as a sensor having a dual or triple function of these sensors.

한편, 본 발명 장치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1 실시 예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튜브형 본체(11)와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 한 쌍의 외부기판 연결단자(13) 및 전도성 웨이트 볼(14)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a first embodiment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commonly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3 to 7 As shown in, it has a shape mainly composed of a tubular body 11, a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a pair of external board connection terminals 13, and a conductive weight ball 14.

이때, 상기 튜브형 본체(11)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한 것으로, 그 내부는 정해진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tubular body 11 is mold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the inside thereof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또, 상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은 플랙시블한 박막 필름(121)의 내면에서 도 4와 같이 횡방향 또는 도 5와 같이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반복해서 교호로 형성하되, 그 간격은 전도성 웨이트 볼(14)의 호형 외면과 접동될 경우 서로 인접한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이 상호 단락되어 통전될 정도로 좁게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i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thin film 121 . 123 is repeatedly formed alternate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the interval is when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weight ball 14 slides,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123 are short-circuited with each other It has a form narrow enough to conduct electricity.

또한, 교호로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들과 그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공통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통합 연결용 패턴(124)(125)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박막 필름(121)의 양측 단부에는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을 각각 더 연장 형성하며, 상기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제 1 통합 연결용 패턴(124) 또는 제 2 통합 연결용 패턴(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128)(129)들을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and 123 formed alternately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s 124 and 125 connecting the patterns in common are integrated in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disk-shaped terminal plug plate extensions 126 and 127 are further extended on both ends of the thin film 121, respectively, an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disk-shaped terminal plug plate extension parts 126 and 127, It has a form in which first and second disk-shaped conductive electrode patterns 128 and 129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124 or the second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125 are formed, respectively.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은 원통 형상으로 말은 상태에서, 양측의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이 상기 튜브형 본체(11)의 양측 개구부를 막아주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 본체(11) 내에 삽입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roll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the disc-shaped terminal stopper plate extensions 126 and 127 on both sides close the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tubular body 11 . It has a form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ubular body 11 to block it.

또, 상기 한 쌍의 외부기판 연결단자(13)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128)(12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126)(127)들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인쇄회로 기판에 구비된 패턴에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인쇄회로 기판상에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즉,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가 고정 설치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external board connection terminals 1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k-shaped conductive electrode patterns 128 and 129, and have disk-shaped terminal plug extensions 126 and 127. )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ttern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soldering, etc. At the same tim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switching Make sure that the vibration sensor to which the operation method is applied remains in a fixedly installed form.

또한, 상기 전도성 웨이트 볼(14)은 상기 튜브형 본체(11) 및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도록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튜브형 본체(11)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 내에 유동 및 구름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weight ball 14 has a shape molded from a conductive metal to have a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body 11 and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and within the tubular body 11 It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which is inser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nd movable.

이와 같은 전도성 웨이트 볼(14)은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튜브형 본체(1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12)의 내부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 및 구름 운동하며, 위치가 변화될 때 변위된 위치에서 인접된 제 1 및 제 2 전도성 패턴(122)(123)들을 전기적으로 온/오프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Such a conductive weight ball 14 corresponds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inside the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tubular body 11 or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It moves and rolls in 360° all directions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back, and electrically turns on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122 and 123 at the displaced position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Executes the function to turn off.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변화량 검출용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즉,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에 수반되는 지진 및 방범 검출 제어 회로부의 동작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earthquake and crime prevention detection control circuit part accompanying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is as follows.

도 8의 (a)는 지진 내지는 외부 충격 진동 등의 물리적 에너지 변화를 검출 후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상태의 타이밍차트이고, 도 8의 (b)는 지진 예비 경보의 출력 타이밍차트이며, 도 8의 (c)는 지진 대피 경보 출력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Fig. 8 (a) is a timing chart of a state in which a change in physical energy such as an earthquake or external shock vibration is detected and then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Fig. 8 (b) is an output timing chart of an earthquake preliminary warning, (c) shows an earthquake evacuation warning output timing chart.

상기한 타이밍차트는 시간(time) 흐름을 수평축에, 제어회로에서 검출되는 전기적 동작상태의 전위변화 고저(高低) 및 출력의 온/오프 상태를 수직축에 배치하여 도시하였으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timing chart shows the flow of time on the horizontal axis, the potential change high and low of the electrical operation state detected by the control circuit and the on/off state of the output on the vertical axis. same as

도 8의 (a)~(c)에서, "① 구간은 인공 진동 등이 검출된 1초 정도 이내의 비교적 짧은 구간”으로서, 이는 자연 지진이 아닌 단순 외부 잡음 또는 충격 등에 의한 인공 진동 검출이므로 예비 및 대피 경보의 출력 작동은 "㉮" 지점에서 오프로 판단 유지한다.In (a) to (c) of FIG. 8 , “section ① is a relatively short section within 1 second in which artificial vibrations, etc. are detected”, which is not a natural earthquake, but artificial vibrations caused by simple external noise or shocks. And the output operation of the evacuation alarm remains judged to be off at the "㉮" point.

"② 구간은 수초 내지 수분동안 자연 지진인지를 정식 판단하는 구간"으로서, "②a 구간인 지진 P파 검출 구간"에서 진동이 수초 이상 동안 검출이 유지되면, "㉯" 지점에서 "③a 구간과 같이 지진 예비 경보"를 출력(On)하고, "②b 구간인 지진 S파 검출 구간"에서 진동이 수초 이상 동안 검출이 유지되면, "㉰" 지점에서 "③b 구간과 같이 지진 예비 경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④ 구간과 같이 지진 대피 경보"를 출력(On)한다. "Section ② is a section for formally determining whether a natural earthquake is a natural earthquake for several seconds to several minutes". “Earthquake Preliminary Warning” is output (On), and if vibration is maintained for several seconds or longer in “Section ②b, seismic S-wave detection section”, “earthquake preliminary warning as in section ③b” is output at point “㉰” and At the same time, "Earthquake evacuation warning as in section ④" is output (On).

이어서, 도시 부호 "⑤(⑤a, ⑤b, ⑤c)"는 진동으로 인한 전위 변화가 시작된 이후 '수 십[usec] ~ 수 백[msec] 동안 검출한 진동이 자연 지진인지 외부 충격의 인공 진동인지 또는 단순 노이즈(잡음)로 인한 진동인지를 판별하는 진동 분석 구간이고, 이 시간동안의 진동 검출은 오작동(잘못된 정보에 의한 경보 발령)을 최소화 하기위해 제어되는 동작이며, 이때의 전위차의 데이터는 축적 값으로 사용하지 않는다.Next, the city code "⑤(⑤a, ⑤b, ⑤c)" indicates whether the vibration detected for 'tens [usec] to several hundred [msec] after the start of the potential change due to vibration is a natural earthquake or artificial vibration of an external shock. It is a vibration analysis section that determines whether vibration is caused by simple noise (noise), and vibration detection during this time is an operation controlled to minimize malfunction (an alarm triggered by incorrect information), and the data of the potential difference at this time is an accumulated value do not use as

또, 도시 부호 "⑥(⑥a, ⑥b)"은 진동 검출이 끝나더라도 미리 설정된 수 내지 수 백분간 정도의 시간동안, 예비 및 대피 경보를 출력(On)한 상태로 유지시켜 불특정다수의 사람이 충분히 대피 준비 및 대피 행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진 재해 경보 작동이 제어됨을 타임 차트로 도시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symbol "⑥(⑥a, ⑥b)" maintains the output (On) state of the preliminary and evacuation warnings for a preset number of minutes to several hundred minutes even after the vibration detection is finished, so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can be sufficiently It is a time chart showing that the seismic disaster warning operation is controlled to make evacuation preparations and evacuation actions take place.

또한, 도 8의 (y)(z)는 침입자 감지(방법)센서로 적용시켰을 때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되는 타이밍챠트 및 검출된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하는 경보신호들에 대한 타이밍챠트를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y) (z) of FIG. 8 shows a timing chart for a timing chart detected as an electrical signal when applied as an intruder detection (method) sensor, and a timing chart for alarm signals output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ignal.

여기서, "⑦a 및 ⑦b 구간은 방범 감시중 침입자에 의한 진동 발생을 검출한 구간"인데, 이때의 침입 검출에 따라 "⑧a 및 ⑧b와 같이 침입 경보:를 출력(On)한다.Here, “sections ⑦a and ⑦b are sections in which vibrations caused by intruders are detected during crime prevention monitoring”.

또, "⑨(⑨a, ⑨b)"는 진동으로 인한 전위 변화가 시작된 이후 '수 십[usec] ~ 수 백[msec] 동안 검출한 진동이 침입자에 의한 진동인지 바람 천둥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의 진동인지 또는 단순 노이즈(잡음)로 인한 진동인지를 판별하는 구간인데, 이 시간동안의 진동 검출은 오작동(잘못된 정보에 의한 경보 발령)을 최소화 하기위해 제어되는 진동 분석 동작 구간이며, 이때의 전위차의 데이터는 축적 값으로 사용하지 않는다.In addition, "⑨(⑨a, ⑨b)" indicates whether the vibration detected for 'tens [usec] ~ several hundred [msec] after the change in potential due to vibration is caused by an intruder or vibration of an external shock caused by wind, thunder, etc. It is a sec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vibration due to recognition or simple noise (noise). Vibration detection during this time is a vibration analysis operation section that is controlled to minimize malfunction (warning caused by incorrect information),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data at this time is not used as an accumulated value.

또한, "⑩(⑩a, ⑩b)"은 침입자의 진동 검출이 끝나더라도 미리 설정된 수 내지 수 백분간 정도의 시간동안, 예비 및 대피 경보를 출력(On)한 상태로 유지시켜 방범을 요구하는 사용자가 충분히 대피 준비 및 방어 행동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범 경보 작동이 제어됨을 타이밍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In addition, "⑩(⑩a, ⑩b)" indicates that even if the intruder's vibration detection is finished, for a preset number of minutes to several hundred minutes, the user requesting crime prevention by keeping the preliminary and evacuation alarms output (On) The timing chart shows that the operation of the crime prevention alarm is controlled so that sufficient evacuation preparations and defensive actions are made.

또,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2 실시 예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도너츠형 본체(21)와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판(22)(23),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연결단자(24)(25),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26)(27),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출력단자(28)(29), 전도성 금속 볼(30)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A and 9B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donut-type body 21 and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s 24 and 25,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28 and 29 , has a shape composed of a conductive metal ball (30).

이때, 상기 도너츠형 본체(21)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한 것으로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조립용 나사 또는 조립 위치 지정 봉이 관통되는 원통형 통공(211)이 구비된 상,하 커버(212)(213)를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가짐은 물론,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30)이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측단면이 사각 형상을 갖고 원형 링 형상의 볼 유동 공간부(214)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donut-shaped body 21 is mold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long the vertical centerline, an upper and lower cover 212 provided with a cylindrical through hole 211 through which an assembly screw or an assembly positioning rod passes. As well as having a form in which the 213 is mutual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the side cross-section has a square shape so that the conductive metal ball 30 can flow and roll inside, and a circular ring-shaped ball flow space 214 has a provided form.

또, 상기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판(22)(23)은 전도성 물질을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 상,하면에 각각 와셔 형태로 도포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have a form in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in the form of washers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donut-shaped body 21 , respectively.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연결단자(24)(25)는 상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공통 접점 판(22)(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하단부 일부는 도너츠형 본체(21)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인쇄회로 기판에 구비된 패턴에 납땜 등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인쇄회로 기판상에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즉,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가 고정 설치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s 24 and 25 have upper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 respectively, and a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onut-shaped body 21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oldering, etc. to the pattern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the same tim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sensor (S)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the switching operation method The applied vibration sensor is to be maintained in a fixedly installed form.

또,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은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측 및 외측 면에 각각 원통 형태로 설치되되,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갖고 전도성 금속 볼(30)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변 저항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are install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donut-shaped body 21, respectively, and are partially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a shape of the same and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different variable resista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nductive metal balls 30 .

이때,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26)(27)으로는,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면 또는 외면에 니크롬(NiCr) 박판을 안착하거나 또는 카본 인쇄 필름을 접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a nichrome (NiCr) thin plate is seat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donut-shaped body 21 or a carbon printing film is applied. It can be formed through a method of bond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출력단자(28)(29)는 일단부가 상기 내측 및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의 일단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타단부 일부는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인쇄회로 기판에 구비된 패턴에 납땜 등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인쇄회로 기판상에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즉, 스위칭 작동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가 고정 설치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28 and 2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and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respectively, and a part of the other end is the donu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ld body 21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oldering, etc. to the pattern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the same tim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at is, the vibration sensor to which the switching operation method is applied maintains the fixed installation form.

이때,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에 설치되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22)(23)과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의 근접부 사이에는 상호 간 전기적인 절연상태 유지를 위해 소정 폭을 갖는 상호 절연용 공간부(215)를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etween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upper or lower common contact plates 22 and 23 and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donut-shaped body 21 .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mutual insulation space 21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order to maintain the mutual electrical insulation state.

또, 상기 전도성 금속 볼(20)은 상기 도너츠형 본체(21) 내 볼 유동 공간부(214)의 폭 및 높이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도록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의 볼 유동 공간부(214) 내에 유동 및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etal ball 20 has a shape molded from conductive metal to have a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all flow space 214 in the donut-shaped body 21, and the donut-shaped body 21 I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and move in the ball flow space 214 of the.

이와 같은 전도성 금속 볼(30)은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도너츠형 본체(2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214)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원통형 링 형상을 갖는 볼 유동 공간부(214) 내에서 구름 운동하며 위치가 변화될 때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22)(23)과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26)(27)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 즉, 상부 공통 접점 판(23)과 내측 가변저항 판(26) 사이 또는 상부 공통 접점 판(23)과 외측 가변저항 판(27) 사이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24)과 내측 가항 판(26) 사이 또는 하부 공통 접점 판(24)과 외측 가변저항 판(27) 사이 중 어느 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내측 또는 외측 가변저항 판(26)(27)의 저항값을 결정하여 중앙제어 회로부(95)(107)로 출력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가변저항기의 가동단자와 같은 매개기능을 수행한다.Such a conductive metal ball 30 corresponds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within the ball flow space 214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onut-shaped body 21 or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rear, the upper or lower common contact plate moves in all directions 360° and at the same time it rolls in the ball flow space 214 having a cylindrical ring shape and is displaced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Electrically connecting 22 (23) and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26, 27), that is, between the upper common contact plate (23) and the inner variable resistance plate (26) or the upper common contact plate (23)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y one of between and the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27 or between the lower common contact plate 24 and the inner navigable plate 26 or between the lower common contact plate 24 and the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27 to determin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nner or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26 and 27 at the position and outpu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and 107. .

이때, 상기 전도성 금속 볼(30)은, 구리나 납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표피층을 지닌 질량 유동체를 둥근 사각 함체형 또는 땅콩 형 또는 구형 또는 타원형 볼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성형하되, 상기 전도성 금속 볼(30)의 내부에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구형 공간부(30a)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형 공간부(30a) 내에는 볼 자체의 구름운동과 멈춤의 민감성을 낮추기 위해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30b)이 충진된 구형 볼(30c)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metal ball 30 is formed of any one of copper, lead, ceramic, or a mass fluid having a conductive skin layer into any one of a round rectangular enclosure shape, a peanut shape, or a spherical or oval ball shape, but the conductive A spherical space 30a is provided inside the metal ball 30 as shown in FIGS. 15 and 16, and a high viscosity oil is provided in the spherical space 30a to lower the sensitivity of the ball itself to rolling motion and stopping. Alternatively, it has a form in which a spherical ball 30c filled with a heavy material 30b such as gel or rubber with low slipperiness is installed.

또한, 상기 구형 볼(30c) 내에 충진되는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30b)의 체적은, 민감성 조절을 위해 상기 구형 볼(30c)의 전체 체적 대비 10~90% 범위 내에서 임의의 체적을 갖게 설정하였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heavy material 30b such as high-viscosity oil or gel or rubber with low sliding properties filled in the spherical ball 30c is the total volume of the spherical ball 30c for sensitivity control. It was set to have an arbitrary volume within the range of 10 to 90% of the contrast.

한편,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3 실시 예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도너츠형 본체(31)와,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32)(33),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출력단자(34)(35), 전도성의 공통 접점 판(36), 공통 접점 연결단자(37) 및 전도성 금속 볼(38)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Consisting of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34 and 35 , conductive common contact plate 36 , common contact connecting terminal 37 and conductive metal ball 38 . have a form

이때, 상기 도너츠형 본체(31)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한 것으로, 수직방향 중심선을 따라, 조립용 나사 또는 조립 위치 지정 봉이 관통되는 원통형 통공(311)이 구비된 상,하 커버(312)(313)를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가짐은 물론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38)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접동되고 외측 내면에 접동된 상태에서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상,하면이 외측 상,하방향으로 각각 경사져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공통 접점 연결단자(37)측으로 볼(38)이 밀착되어지도록 측단면이 내측으로 누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볼(38)이 외측면으로 몰리도록 형성된 원형 링 형상의 볼 유동 공간부(314)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donut-shaped body 31 is mold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long the vertical centerline, the upper and lower covers 312 ar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through hole 311 through which an assembly screw or an assembly positioning rod passes. ) (313) in the form of mutual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s well as inside, the conductive metal ball 38 is sli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n the outside so that they can flow and roll while sliding on the outer inner surface. A circular ball 38 having a trapezoidal shape with a side cross-section lying inward so that the ball 3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37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 protrude outward is driven toward the outer surface. A ring-shaped ball flow space 314 is provided.

또,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32)(33)은, 종단면이 내측으로 누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의 볼 유동 공간부(314) 내 상,하면에서 일부가 절단된 와셔 형태로 성형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전도성 금속 볼(38)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기 다른 가변 저항값을 출력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are partially cut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314 of the donut-shaped body 31 having a trapezoidal shape with a longitudinal cross-section lying inward. It has a washer shape and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different variable resista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nductive metal balls 38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32)(33)은 카본을 인쇄나 코팅 또는 증착을 통해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의 볼 유동 공간부(314) 내 상,하면에 직접 패턴 형태를 성형하거나 또는 니크롬(NiCr) 박판을 안착하여 성형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 및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directly form a pattern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314 of the donut-shaped body 31 through carbon printing, coating, or deposition. Alternatively, it can be formed and installed by a method such as mounting and molding a nichrome (NiCr) thin plate.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출력단자(34)(35)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32)(33)의 일단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타단부는 도너츠형 본체(31)의 상면 및 하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인쇄회로 기판에 구비된 패턴에 납땜 등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인쇄회로 기판상에 제 3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즉,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가 고정 설치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s 34 and 35 have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is a donut typ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31 are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respectively,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oldering, etc. to the pattern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the same tim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third embodiment is appli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at is, the vibra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riable method is applied is maintained in a fixedly installed form.

또, 상기 전도성의 공통 접점 판(36)은, 전도성 물질을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의 볼 유동 공간부(314) 외측 면에 원통 형태로 도포시킨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common contact plate 36 has a shape in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 flow space 314 of the donut-shaped body 31 in a cylindrical shape.

이때,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32)(33)과 공통 접점 판(36)의 근접부 사이에는 상호 간 전기적인 절연상태 유지를 위해 소정폭을 갖는 상호 절연용 공간부(315)를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mutual insulation space 31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between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and the adjacent portions of the common contact plate 36 to maintain mutual electrical insulation. It is preferable to do

또한, 상기 공통 접점 연결단자(37)는 상단부 일부가 상기 공통 접점 판(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하단부 일부는 도너츠형 본체(31)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인쇄회로 기판에 구비된 패턴에 납땜 등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인쇄회로 기판상에 제 3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즉,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가 고정 설치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37 has an upper end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contact plate 36 , and a lower end part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onut-type body 31 ,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n order to maintain the form in which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third embodiment is applied, that is,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riable method is applie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oldering, etc. do.

또, 상기 전도성 금속 볼(3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것으로,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의 볼 유동 공간부(314) 내에 유동 및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etal ball 38 is formed of conductive metal as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and rollable in the ball flow space 314 of the donut-shaped body 31 .

이와 같은 상기 전도성 금속 볼(38)은,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도너츠형 본체(3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원형 링 형상을 갖는 볼 유동 공간부(314)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위치가 변화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32)(33)과 공통 접점 판(36) 사이 즉, 상부 가변저항 판(32)과 공통 접점 판(36) 사이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33)과 공통 접점 판(36)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32)(33)의 저항값을 결정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107)로 출력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가변저항기의 가동단자와 같은 매개기능을 수행한다.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onut-shaped body 31 or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the conductive metal ball 38 has a circular ring shape in the ball flow space 314 in the vibration direction. And, in response to the inclined direction, it flows in all directions 360°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back, and at the same time it rolls and changes its position, common with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32 and 33 at the displaced position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the contact plates 36, that is, between the upper variable resistance plate 32 and the common contact plate 36 or between the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33 and the common contact plate 36, so that the upper or lower It performs the same intermediate function as the movable terminal of the variable resistor to determine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variable resistor plates 32 and 33 and output them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95 and 107 .

이때, 상기 전도성 금속 볼(38)은 구리나 납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표피층을 지닌 질량 유동체를 사각 구형 또는 땅콩형 구형 또는 원 구형 또는 타원형 볼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metal ball 38 may be used by molding any one of copper, lead, ceramic, or a mass fluid having a conductive skin layer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phere, a peanut-shaped sphere, a circular sphere, or an oval ball shape.

또, 상기 전도성 금속 볼(38)의 내부에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구형 공간부(38a)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형 공간부(38a) 내에는 볼 자체의 구름운동과 멈춤의 민감성을 낮추기 위해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38b)이 충진된 구형 볼(38c)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a spherical space portion 38a is provided inside the conductive metal ball 38 as shown in FIGS. 15 and 16, and in the spherical space portion 38a, to lower the sensitivity of the ball itself to rolling motion and stopping. It has a form in which a spherical ball 38c filled with a heavy material 38b such as oil or gel with high viscosity or rubber with low sliding property is installed.

또한, 상기 구형 볼(38c) 내에 충진되는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38b)의 체적은, 민감성 조절을 위해 상기 구형 볼(38c)의 전체 체적 대비 10~90% 범위 내에서 임의의 체적을 갖게 설정하였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heavy material 38b such as high-viscosity oil or gel or rubber with low sliding properties filled in the spherical ball 38c is the total volume of the spherical ball 38c for sensitivity control. It was set to have an arbitrary volume within the range of 10 to 90% of the contrast.

한편,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4 실시 예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박스형 본체(41)와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42)(43),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44)(45), 전도성 금속 볼(46)로 구성한 형태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riable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11 to 13, largely box-shaped body 41 and upper and lower variable It has a form composed of resistance plates 42 and 43 ,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s 44 and 45 , and conductive metal balls 46 .

이때, 상기 박스형 본체(41)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 또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 박스 형태를 갖도록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상,하 커버(412)(413)로 구성하되,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46)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접동된 상태에서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속이 빈 볼 유동 공간부(414)가 구비되게 성형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box-shaped body 41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covers 412 and 413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so as to have a square, rectangular, or square box shape with rounded corners, but conductive metal balls inside (46)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is slid on the upper, lower, left, right, front and rear 360 ° in all directions to flow and roll in a form in which a hollow ball flow space part 414 is provided. have

또,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42)(43)은, 상기 박스형 본체(41)의 볼 유동 공간부(414) 상,하면에서 횡방향에 대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저항패턴(421)(431)들이 형성되되, 그 간격은 전도성 금속 볼(46)의 호형 외면과 접동될 경우 서로 인접한 두 저항패턴이 전도성 금속 볼(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정도로 좁은 간격을 갖게 형성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상기와 같이 전도성 금속 볼(46)에 의해 서로 인접한 두 저항패턴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면,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최종적인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42 and 43 have a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414 of the box-shaped body 41 . (421) and (431) are formed, and the gap is formed so that when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slides, two resistanc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have an electrically narrow distance by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Of course, when two resistanc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are electrically interconnected by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as described above,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t that location appears as a final variable resistance value.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42)(43)의 저항패턴(421)(431)들은 필름상에 카본을 인쇄나 코팅 또는 증착을 통해 성형하거나 또는 니크롬(NiCr) 박판을 필름상에 안착하여 성형한 형태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patterns 421 and 431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42 and 43 are formed by printing, coating, or depositing carbon on a film, or a nichrome (NiCr) thin plate is mounted on the film. to have a molded shape.

또한, 상기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44)(45)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42)(43)에 각각 구비된 저항패턴(421)(431)들의 일단부 및 타단부(예를 들어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45)의 일단부와 상부 저항패턴 연결단자(44)의 타단부)에 각각 상단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저단부들은 상기 박스형 본체(41)의 저면 양측으로 정해진 간격을 유지한 체 각각 일렬로 돌출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s 44 and 45 include one end and the other of the resistance patterns 421 and 431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42 and 43 ,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ds (for example, one end of the low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 45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 44), the lower ends are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box-shaped body 41 The sieves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in a line.

이와 같은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44)(45)는, 인쇄회로 기판에 구비된 패턴에 납땜 등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인쇄회로 기판상에 제 3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S)로써 저항값 가변방식의 진동감지센서가 고정 설치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s 44 and 4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oldering or the like to a pattern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t the same time, omnidirectional composite sensing to which the third embodiment is appli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s a sen (S),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is maintained in a fixedly installed form.

또한, 상기 전도성 금속 볼(46)은 전도성 금속인 구리나 납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표피층을 지닌 질량 유동체를 갖는 사각 구형 또는 땅콩형 구형 또는 원 구형 또는 타원형 볼 형태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박스형 본체(41)의 볼 유동 공간부(414) 내에 360°전방위에 대해 유동 및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has a shape molded in the form of a square spherical or peanut-shaped spherical or circular spherical or oval ball having a mass fluid having a conductive skin layer or any one of copper, lead, or ceramic, which is a conductive metal. It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414 of the box-shaped body 41 so as to be movable and rollable for 360 degrees in all directions.

이와 같은 전도성 금속 볼(46)은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박스형 본체(4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는 물론 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은 통해 위치가 변화되며, 그렇게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42)(43)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항패턴(421)(431) 중 서로 인접된 저항패턴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최종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나게 하는 가변저항기의 가동단자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box-shaped body 41 or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such a conductive metal ball 46 corresponds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tilted direction within the ball flow space. A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 Among 421 and 431 , the adjacent resistance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t that location functions as a movable terminal of the variable resistor to appear as the final variable resistance value.

이때, 상기 전도성 금속 볼(46)은 구리나 납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표피층을 지닌 질량 유동체를 사각 구형 또는 땅콩형 구형 또는 원 구형 또는 타원형 볼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may be used by molding any one of copper, lead, ceramic, or a mass fluid having a conductive skin layer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phere, a peanut sphere, a circular sphere, or an oval ball shape.

또, 상기 전도성 금속 볼(46)의 내부에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구형 공간부(46a)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형 공간부(46a) 내에는 볼 자체의 구름운동과 멈춤의 민감성을 낮추기 위해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46b)이 충진된 구형 볼(46c)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a spherical space portion 46a is provided inside the conductive metal ball 46 as shown in FIGS. 15 and 16, and in the spherical space portion 46a, in order to lower the sensitivity of the ball itself to rolling and stopping. It has a form in which a spherical ball 46c filled with a heavy material 46b such as oil or gel with high viscosity or rubber with low sliding property is installed.

또한, 상기 구형 볼(46c) 내에 충진되는 점성이 높은 오일 또는 젤(Gel) 내지 미끄럼성이 낮은 고무 등의 중량물질(46b)의 체적은, 민감성 조절을 위해 상기 구형 볼(46c)의 전체 체적 대비 10~90% 범위 내에서 임의의 체적을 갖게 설정하였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heavy material 46b such as high-viscosity oil or gel or rubber with low sliding properties filled in the spherical ball 46c is the total volume of the spherical ball 46c for sensitivity control. It was set to have an arbitrary volume within the range of 10 to 90% of the contrast.

한편,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통해 검출되는 가변저항값의 등가 회로도 및 전기적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 등가회로와 전기적 작용 상태도를 기초로 다른 실시 일례를 들자면, 전도성 금속 볼(46)의 위치에 해당하는 가변 저항값을 X축의 각도(기울기 값) 데이터로 취하고, 그 가변 저항값이 일어난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44)(45)의 위치를 Y축의 각도(기울기 값)데이터로 취하며, 그의 두 가지 각도 데이터를 취한 곳이 상부 가변저항 판(42)이면 Z축의 상향으로 판단하고, 하부 가변저항 판(43) 쪽이면 Z축의 상향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FIGS. 14A to 14C show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and an electrical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variable resistance value detected through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etal ball 46 is taken as the angle (slope value) data of the X-axis, and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s 44 and 45 in which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occurs are Y It is taken as the angle (slope value) data of the axis, and if the place where the two angle data is taken is the upper variable resistance plate 42, it is determined as the upward direction of the Z axis, and when the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43 i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Z axis, it is determined as the upward direction of the Z axis. will become

상기 각도(기울기 값) 데이터를 얻으려면, 저항값 가변형 전방위 진동감지센서(S)와 중앙제어 회로부(95)(107)의 연결이 직접 접속하지 않고, 도시 생략한 인코딩 및 스위치 매트릭스 회로부를 거쳐서 신호가 전달되어지게 구성하는 것으로서, 진동 감지 목적 외에 각속도, 가속도, 기울기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변형 실시에 따른 일례로 제시할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the angle (slope value) data,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sistance variable omnidirectional vibration detection sensor (S) and the central control circuits 95 and 107 is not directly connected, but through encoding and switch matrix circuits (not shown). As a configuration to be transmitted, it can be presented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deformation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angular velocity, acceleration, and inclination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vibration det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써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는 저가이면서도 초소형으로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하나의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진동의 형태와 P파와 S파 같은 지진파의 종류 및 지진파의 충격 강도 등을 명확하게 분석 및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지진감지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e vibra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lue variable method is applied can be manufactured in a low-cost and ultra-compact size, as well as natural earthquakes and earthquakes using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a single resistance value variable method is applied. Since it is possible to clearly analyze and grasp the types of artificial earthquakes or vibrations, types of seismic waves such as P and S waves, and the impact strength of seismic wave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 itself and the reliability of earthquake detection.

또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써 상기한 저항값 가변방식의 진동감지센서들이 구비된 본 발명 장치는 단독 사용은 물론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쉽게 설치하여 진동 및 지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 사상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resistance valu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s can be easily installed in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s well as used alone to accurately detect vibrations and earthquakes. Not only can compatibility be greatly increased, but also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can be minimized, and human casualties can be effectively prepared.

한편,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5 실시 예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튜브형 본체(51)와 발광소자(52) 및 수광소자(53), 광 간섭 작용체(54)로 구성한 형태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largely a tubular body 51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52, as shown in FIGS. 17 to 20 .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53 and a light-interfering body 54 .

이때, 상기 튜브형 본체(51)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속이 빈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되, 내부 공간부의 중간부에서 가로방향으로는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이 성형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tubular body 51 is formed into a hollow tube shape by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has a shape in which an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pace.

또, 상기 발광소자(52)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발광소자(52)는 상기 튜브형 본체(51)의 상면 저부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어 수광소자(53) 측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52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 lamp (electroluminescent lamp), or any one of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or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installed, such a light emitting device ( 52 is installe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51 toward the bottom to generate light towar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53 .

즉, 상술한 발광소자(52)들은 자외선(UV) 내지 적외선(IR) 대역인 약200~1,000[nm] 파장대 중에서 소정 대역의 중심 파장을 갖는 빛(광선)을 방사하는 전자부품소자로서, LED 및 가스 봉입 튜브 램프 및 OLED 및 EL 램프 등이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light emitting devices 52 are electronic component devices that emit light (rays) having a central wavelength of a predetermined band among about 200 to 1,000 [nm] wavelength band, which is an ultraviolet (UV) to infrared (IR) band, and an LED. and gas filled tube lamps and OLED and EL lamps.

또한, 상기 수광소자(53)로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수광소자(53)는 상기 튜브형 본체(51)의 하면 상부에서 상부를 향해 설치되어 광 간섭 작용체(54)를 통과하는 발광소자(52)의 빛을 수광하여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중앙제어 회로부(95)(107)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53, any one of a cadmium sulfur sensor (CdS) or an infrared transistor (Photo TR) or a photodiode or an ultraviolet light sensor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are installed. Including, such a light receiving element 53 is install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51 toward the upper side to receiv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52 passing through the optical interference acting body 54 to provide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107 of the device.

즉, 상술한 수광소자(53)들은 크게는 '광도전 효과형 수광소자'와 '광기전력형 수광소자'가 있는데, 이때 상기 광도전 효과형 수광소자는 광이 물체에 조사되었을 때, 물체의 도전율이 증감하는 현상을 이용한 광센서의 일종으로, CDS(황하카드뮴), CdSe(셀렌화카드뮴), PbS(황화납), PbSe(셀렌화납) 등이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light receiving elements 53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photoconductive effect typ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photovoltaic type light receiving element'. As a kind of optical sensor using the phenomenon of increase or decrease in conductivity, there are CDS (cadmium sulfide), CdSe (cadmium selenide), PbS (lead sulfide), and PbSe (lead selenide).

여기서, CdS 나 CdSe 등은 분말로 성형하고 소성하여 만들어진 것이 많으며, 근적외선 검출기(near­detector)로써 1~3.4[μ]의 파장영역에서 검출 감도가 가장 높은 적외선용으로는, PbS, PbSe가 있으며, 또는 Au를 도핑한 Ge:Au나 Hg1-xCdxTe 등이 사용되고 있다.Here, many of CdS and CdSe are made by molding and firing into powder, and as a near-infrared detector, PbS, PbSe, or Au-doped Ge:Au or Hg1-xCdxTe are used.

CdS는 고감도 소재로서 소형으로 저렴하며 전력 용량이 많지만, 응답 속도가 느리다. 광도전 효과를 이용한 광센서의 특징으로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며, 광도전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CdS is a high-sensitivity material, it is small, inexpensive, and has a large power capacity, but the response speed is slow. A feature of the optical sensor using the photoconductive effect is that it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is also called a photoconductive cell.

그러나 광 기전력 센서에 비해 잡음이 크고 항상 바이어스를 인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열 발생에 의한 성능이 저하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However, compared to the photovoltaic sensor, the noise is large and the bias is always applied, so the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due to heat generation.

상기 광전력형 수광소자는, 광기전력효과[光起電力效果, 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한 수광센서의 일종으로서, 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The photoelectric power receiving element is a kind of light receiving sensor using the photovoltaic effect, and the types are as follows.

반도체의 p-n 접합부나 정류 작용이 있는 금속과 반도체의 경계면에 강한 빛을 입사시키면, 반도체 중에 만들어진 전자와 정공이 접촉 전위차 때문에 분리되어 양쪽 물질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가 나타나는 '광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When strong light is incident on the p-n junction of a semiconductor or the interface between a metal and a semiconductor that has a rectifying action, electrons and holes made in the semiconductor are separated due to the contact potential difference, and 'photovoltaic' occurs in which different types of electricity appear in both materials. refers to the phenomenon

이때 만들어지는 전류를 광전류라 하며, 포토다이오드나 광전지에 응용된다.The generated current is called photocurrent and is applied to photodiodes or photovoltaic cells.

포토 커플러, 포토 인터럽트, 포토 아솔레이터, 포토 다이오드(포토 다이오드의 종류, 핀, 어밸런치, 쇼트키, 피엔타입 등등), 포토 트렌지스터, 포토 에프이티, 포토 트라이액(영문으로는, Photo Coupler, Interrupter, Isolator, TR, Diode(PiN, Avalanche, Schottky, PN..)), Mos-FET, Triac 및 'PSD(반도체 위치 검출 소자, position sensitive device)' 등이 있다.Photo coupler, photo interrupt, photo isolator, photo diode (type of photo diode, pin, avalanche, schottky, pn type, etc.), photo transistor, photo FT, photo triac (in English, Photo Coupler, Interrupter) , Isolator, TR, Diode (PiN, Avalanche, Schottky, PN..)), Mos-FET, Triac, and 'PSD (semiconductor position sensitive device)'.

주요 특성은 입사광에 대한 광전류 출력의 직선성이 좋고, 응답 특성이 양호하며, 광대역의 파장 감도를 갖고, 저잡음이며, 소형, 경량, 진동, 충격에 강하고, 출력 전류가 작으며(증폭 회로가 필요), "UV 파장 대역은, 주로 'Schottky Photo Diode를 적용"한다. The main characteristics are good linearity of photocurrent output to incident light, good response characteristics, wide wavelength sensitivity, low noise, small size, light weight, resistance to vibration and shock, small output current (requires an amplification circuit) ), "The UV wavelength band mainly applies 'Schottky Photo Diode'.

또,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형 본체(51) 내의 중간부에 형성된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54 has a shap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tubular body 51 in a state of being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이와 같은 광 간섭 작용체(54)는, 진동이나 지진이 없는 통상시에는 상기 튜브형 본체(51)의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서 수형방향 즉, 빛 조사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을 유지하다가,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튜브형 본체(5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전방위로 유동되며 수광소자(53)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52)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Such an optical interference agent 54 maintains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of the tubular body 51 during normal times without vibration or earthquake. However,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tubular body 51 or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it flows in all directions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with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53)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52 that is irradiated to the side.

한편, 상기 튜브형 본체(51) 내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의 형상에 따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광 간섭 작용체(54) 형상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tubular body 51, the shape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54 installed therei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그 일 예로,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을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측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경우,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 전방위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는 도 17과 같이 측단면이 "△" 형상을 갖고 외면에 정해진 각도를 두고 집중렌즈(541)를 배치하여 진동 시에 집중렌즈(541)의 위변(位變)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할 수도 있고, 또 도 18과 같이 원판 형상을 갖게 성형하되, 상,하면에는 평면 확산렌즈(542)들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진동 시에 확산렌즈(542)의 위치변동 작동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성형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is molded to have a "⊂⊃" shape in a side cross-section as shown in FIGS. 17 and 18, omnidirectional flow 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As shown in FIG. 17 , the optical interference effector 54 has a side cross-section of a “Δ” shape, and the focused lens 54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surface to displace the focused lens 541 during vibration. (位變) may be molded to change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and molded to have a disk shape as shown in FIG. 18, bu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planar diffusion lenses 54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diffusion lens during vibration It can also be molded so tha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change operation of 542 is changed.

다른 예로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을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측단면이 "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고, 수직방향으로 톱니 형상을 갖게 성형된 각각의 홈 내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원판 형상을 갖는 상,하부 2개 또는 상,중,하부 3개의 광 간섭 작용체(54)를 전방위 유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side section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is "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 Formed to have a shape, and in each groove formed to have a sawtooth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wo upper and lower two or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optical interference bodies 54 having a disk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can also be installed so that it can flow in all directions.

이때, 측단면이 "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 설치되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의 일 예로는 도 21과 같이, 원판 형상을 갖는 필름(543)상에 각각 광 투과율이 서로 다르도록 엠보싱 처리 또는 그물망 인쇄 처리 또는 펀칭 처리한 렌즈(544)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진동 시에 렌즈들의 위변(位變)으로 빛의 통과량이 변화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section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As an example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54 installed 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molded to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21, the light transmittance is By integrally forming the lenses 544 embossed or printed with a mesh or punch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can be changed due to displacement of the lenses during vibration.

또, 측단면이 "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상기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511) 내에 설치되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의 다른 예로는 도 22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 중 상,하부 또는 상,중,하부에 설치되는 광 간섭 작용체(54)의 중량이 서로 다르도록 그 상면에 각각 서로 다른 개수의 중량체(545)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Also, the side section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As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54 installed in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11 molded to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22 , an upper , A different number of weights 545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weight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gents 54 installed at the lower or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 밖에도, 상기 광 간섭 작용체(54)의 렌즈 대신 도 23과 같이, 관통 다공 처리된 유리로 성형할 수도 있고, 또는 수지재 구슬로 대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lens of the optical interference acting member 54 , as shown in FIG. 23 , it may be molded with through-porous glass, or may be substituted with resin bead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써 제 5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의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는 저가이면서도 초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진동의 형태와 P파와 S파 같은 지진파의 종류 및 지진파의 충격 강도 등을 명확하게 분석 및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지진감지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본 발명 장치는 단독 사용은 물론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쉽게 설치하여 진동 및 지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 사상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method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fth embodiment is applied can be manufactured in a low cost and ultra-small size as well as a singl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By using the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lear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the form of vibration, the types of seismic waves such as P and S waves, and the impact strength of the seismic waves, so that the product itself and the reliability of earthquake detection are greatly improved. In particular, sinc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as well as easily installed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to accurately detect vibrations and earthquake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product compatibility and minimize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Not only can we do this, we can effectively prepare for human casualties, etc.

한편,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6 실시 예는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함체형 본체(61)와 발광소자(62), 수광소자(63), 발광 빛 집광용 렌즈(64),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65), 탄성축(66) 및 광 간섭용 질량추(67)로 진동감지센서를 구성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as shown in FIGS. ), a light receiving element 63, a lens for condensing emitted light 64, a transparent window 65 for collecting light receiving light, an elastic shaft 66, and a mass weight 67 for light interference. make it a component.

이때, 상기 함체형 본체(61)는,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611)와 상부 케이스(612)를 성형한 다음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게 상호 결합한 것으로, 내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격벽(613)(61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시켜 줌으로 인해 내부가 제 1 내지 제 3 공간부(615)~(167)를 가짐은 물론, 상기 제 2 공간부(616)의 상하면에는 탄성축 설치홈(618)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housing-type body 61 is formed by molding the lower case 611 and the upper case 612 using a non-flammable and flame-retardant resin material or metal material and then coupled to have a hollow housing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Since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613 and 614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erior has first to third space portions 615 to 167, as well as the second space portion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616 have a form in which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s 618 are formed.

또, 상기 발광소자(62)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발광소자(62)는 인쇄회로기판(62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일측 내면에 설치되어 수광소자(63) 측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62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ectroluminescent lamp (electroluminescent lamp), any one of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or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installed, such a light emitting device ( 62) is install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type body 61 in a state where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21 and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light towar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63.

또한, 상기 수광소자(63)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수광소자(63)는 인쇄회로기판(63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타측 내면에서 상기 발광소자(62)와 맞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 2 공간부(616)를 통과하는 발광소자(62)의 빛을 수광하여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중앙제어 회로부(95)(107)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63 is a cadmium sulfur sensor (CdS) or an infrared transistor (Photo TR) or a photodiode (Photo diode) or any one of the ultraviolet light sensors,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nstalled Including, such a light receiving element 63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631, and is installed in a form fac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62 on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type body 61, so that the second space part It receive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62 passing through 616 and transmits the ligh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95 and 107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또, 상기 발광 빛 집광용 렌즈(64)는 양단부에 각각 볼록 렌즈와 오목렌즈를 일체로 구비한 형태를 갖고, 상기 함체형 본체(61) 내의 제 1 공간부(615)에 위치된 상태에서 볼록렌즈가 구비된 일단부가 상기 제 1 격벽(613)에 형성된 렌즈 고정홈(61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uminescent light collecting lens 64 has a form in which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are integrally provid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is convex in a state of being located in the first space 615 in the housing-type body 61 . One end having a len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ens fixing groove 613a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613 .

이와 같은 발광 빛 집광용 렌즈(64)는 상기 발광소자(62)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모아서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63) 측으로 보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ens 64 for condensing the emitted light performs a function of col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62 and sending it to the light receiving device 63 without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또한, 상기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65)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상기 함체형 본체(61) 내의 제 2 격벽(614)에 형성된 투명창 고정홈(6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window 65 for collecting light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614a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614 in the housing-type body 61 . .

이와 같은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65)은 상기 발광 빛 집광용 렌즈(64) 및 제 2 광간부(616)를 통해 발광소자(62)에서 송출되어 오는 빛을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63) 측으로 투과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ransparent window 65 for light-receiving light condensing prevents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of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device 62 through the lens 64 and the second inter-light section 616 for light-collecting light.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63) side without it.

또, 상기 탄성축(66)은 빛 반사 방지를 위해 무광택으로 성형한 것으로,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제 2 공간부(616) 내에서 수직방향 중심선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탄성축 설치홈(618)에 끼워져 접착제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elastic shaft 66 is molded to be matte to prevent light refl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elastic in a state located at the vertical center line within the second space portion 616 of the housing-type body 61 . It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tallation groove 618 and is fixedly installed through an adhesive.

또한,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67)는 특정 형상을 가짐은 물론 빛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무광체로 형성된 형태는 갖고 기본적으로 상기 탄성축(66)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61)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광 전달 공간부인 제 2 공간부(616) 내에서 탄성축(66)을 기점으로 상,하,좌,우 전방위로 흔들리며 수광소자(63)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62)의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수광소자(63)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mass weight 67 for optical interference has a specific shape as well as a form formed of a matte material to prevent light reflection, and is basically fixed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shaft 66 , the enclosure type body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61 or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 63)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62 irradiated to the side to chang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device 63 .

이때, 상기 탄성축(66)이 단순히 봉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67)는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상기 탄성축(66)에 끼워져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파이프 관 형태의 중심축(671)을 구비시킴은 물론 상기 중심축(671)의 외주면에는 비대칭 중량형 날개(672)를 하나 이상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when the elastic shaft 66 simply has a rod shape, the optical interference mass 67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shaft 66 as shown in FIGS. 24 and 25 to form a pipe tube that can move up and down. Of course, it has a form in which one or more asymmetric weight type blades 672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axis 671 .

그러나 상기 탄성축(66)의 상,하단 일부에 도 26 및 도 27과 같이, 코일스프링(661)이 일체로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67)를 상하 대칭형 각뿔 또는 피라미드 형태를 갖도록 성형시켜,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661)을 일체로 구비한 탄성축(66) 중앙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However, when the coil spring 661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astic shaft 66 as shown in FIGS. 26 and 27, the optical interference mass 67 is vertically symmetrical pyramidal or pyramidal. It has a form fixed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shaft 66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il spring 661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함체형 본체(61)를 성형할 때, 상기 제 2 공간부(616)가 위치된 상,하면에 도 25와 같이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616a)과 연기 배출공(616b)을 더 형성하여 주게 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를 진동감지센서는 물론 연기감지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molding the enclosure-type body 61, at least one smoke inlet hole 616a and one or more smoke outlet holes 616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If it is further formed,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utilized as a smoke sensor as well as a vibration sensor.

즉, 발광소자(62)와 수광소자(63), 발광 빛 집광용 렌즈(64),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65), 탄성축(66) 및 광 간섭용 질량추(67)가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제 2 공간부(616)가 위치된 상,하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616a)과 연기 배출공(616b)을 더 형성시켜 주게 되면, 외부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어 연기가 상기 연기 유입공(616a)을 통해 상기 함체형 본체(61)의 제 2 공간부(616) 내로 유입된 다음 연기 배출공(616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기에 의해 발광소자(62)에서 발생되는 빛의 투과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수광소자(63)에서 수광되는 빛의 수광량도 그만큼 많이 떨어지게 된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element 6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63, the luminescent light condensing lens 64, the light receiving light condensing transparent window 65, the elastic shaft 66 and the optical interference mass 67 are inside. If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616a and smoke outlet holes 616b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re the second space portion 616 of the provided enclosure-type body 61 is positioned, fire from the outside etc., so that smoke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616 of the enclosure-type body 61 through the smoke inlet hole 616a,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moke outlet hole 616b. As a result,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62 is greatly reduced,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device 63 is also decreased by that much.

따라서, 상기 수광소자(6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지진이나 화재 등의 발생을 판단하는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제 6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인 광량 검지식의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지진은 물론 연기 및 화재의 발생 여부를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95, 107 that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63 and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or fir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sixth embodiment is applied. Vibration senso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not only earthquakes, but also smoke and fire, and take necessary measur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써 제 6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의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는 저가이면서도 초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진동의 형태와 P파와 S파 같은 지진파의 종류 및 지진파의 충격 강도 및 및 연기나 화재 등을 명확하게 분석 및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지진 및 화재감지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본 발명 장치는 단독 사용은 물론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쉽게 설치하여 진동 및 지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 사상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method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sixth embodiment is applied can be manufactured in a low cost and ultra-small size as well as a single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By using the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lear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or the form of vibration, the types of seismic waves such as P and S waves, the impact strength of seismic waves, and smoke or fire. Reliability according to detection can be greatly improved, and in particular,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as well as easily installed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to accurately detect vibrations and earthquakes. In addition to minimizing the possible disaster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pare for human casualties, etc.

한편,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7 실시 예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형 본체(71)와 발광소자(72), 수광소자(73), 발광 빛 집광용 렌즈(74) 및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75)으로 연기감지센서를 구성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3), a smoke detection sensor composed of a lens 74 for condensing emitted light and a transparent window 75 for condensing received light is a major technical component.

이때, 상기 함체형 본체(71)는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711)와 상부 케이스(712)를 성형하고, 이를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내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 격벽(713)(714)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줌으로 인해 내부가 제 1 내지 제 3 공간부(715)~(717)로 구획된 형태를 짐을 물론 상기 제 2 공간부(716)의 상하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716a)과 연기 배출공(716b)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housing-type body 71 is formed by molding the lower case 711 and the upper case 712 using a non-combustible and flame-retardant resin or metal material, and has a form in which the lower case 711 and the upper case 712 are combined into a hollow housing shape, and the inside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713 and 71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erior is divided into first to third space portions 715 to 717,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713 and 714. At least one smoke inlet hole 716a and one or more smoke outlet holes 716b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pace 716, respectively.

또, 상기 발광소자(72)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대한 제 6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발광소자(72)는 인쇄회로기판(72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71)의 일측 내면에 설치되어 수광소자(73) 측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72 i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 lamp (electroluminescent lamp), or any one of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as in the sixth embodiment for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or another The light emitting element 72 is install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type body 71 in a state where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21,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73 is directed toward the light-receiving element 73. function to generate

또한, 상기 수광소자(73)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수광소자(73)는 인쇄회로기판(73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71)의 타측 내면에서 상기 발광소자(72)와 맞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 2 공간부(716)를 통과하는 발광소자(72)의 빛을 수광하여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중앙제어 회로부(95)(107)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3 is a cadmium sulfur sensor (CdS) or an infrared transistor (Photo TR) or a photodiode (Photo diode) or any one of the ultraviolet light sensors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nstalled Including, such a light receiving element 73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731 and is install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element 72 on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type main body 71, so that the second space part It receive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2 passing through 716 and transmits the ligh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and 107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또, 상기 발광 빛 집광용 렌즈(74)는 상기 함체형 본체(71) 내의 제 1 공간부(715)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 1 격벽(713)에 형성된 렌즈 고정홈(71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ens 74 for collecting the emitted light is located in the first space 715 in the housing-type body 71, and one end is in the lens fixing groove 713a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713. It has a detachably coupled form.

이와 같은 발광 빛 집광용 렌즈(74)는 상기 발광소자(72)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모아서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73) 측으로 보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ens 74 for condensing light emitting as described above col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72 and sends it to the light receiving device 73 without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또한, 상기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75)은 상기 함체형 본체(71) 내의 제 2 격벽(714)에 형성된 투명창 고정홈(7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디.In addition, the transparent window 75 for collecting light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the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714a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714 in the housing-type body 71 .

이와 같은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75)은, 상기 발광 빛 집광용 렌즈(74)와 제 2 공간부(716)를 통해 발광소자(72)에서 송출되어 오는 빛을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수광소자(73) 측으로 투과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ransparent window 75 for collecting the received light transmits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72 through the lens 74 and the second space 716 for collecting the emitted light, resulting in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Without this, a function of transmitting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3 is perform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써의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에서 연기가 발생되어 상기 함체형 본체(71)의 제 2 공간부(716)의 하면에 형성된 연기 유입공(716a)을 통해 제 2 공간부(716) 내로 유입된 다음 연기 배출공(716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면, 발광소자(72)에서 발생되는 빛의 투과율이 연기에 의해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수광소자(73)에서 수광되는 빛의 수광 량도 그만큼 많이 떨어지게 된다.Smoke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where the smoke detection sensor as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talled, and a smoke inlet hole ( When it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716 through 716a)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moke exhaust hole 716b, the transmittance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72 is greatly reduced by the smoke, so that the light receiving device ( 73),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s also greatly reduced.

따라서 상기 수광소자(7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화재 등의 발생을 판단하는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내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제 7 실시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즉,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화재의 발생 여부를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refore,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seventh embodiment is applied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107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that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3 and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fire, etc. The smoke sensor can accurately recogniz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take necessary measures.

한편,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의 제 8 실시 예는 도 29a~도 29c와 도 30a~도 30c 및 도 31a~도 3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함체형 본체(81)와 발광소자(82), 수광소자(83),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84),수광 빛 집광용 렌즈(85), 복수의 탄성부재(86) 및 복수의 광 간섭용 질량추(87)로 구성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as shown in FIGS. 29A to 29C and 30A to 30C and 31A to 31C, A main body 81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82, a light receiving element 83, a lens 84 for condensing and parallel transmission of emitted light, a lens 85 for collecting light receiving light,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86 and a plurality of It is composed of the mass weight 87 for optical interference of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이때, 상기 함체형 본체(81)는 불연성 및 난연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상,하부 케이스(812)(811)를 형성하고, 이를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결합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빛 통과 공간부(816)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격벽(713)(714)의 양 외측으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설치부(815)(817)가 각각 일체로 성형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housing-type body 81 has a form in which upper and lower cases 812 and 811 are formed using a non-flammable and flame-retardant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these are combined into a hollow housing shape, which is formed in the center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ation parts 815 and 817 are integrally mol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713 and 714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ight passage space 816 , respectively. has

또, 상기 발광소자(82)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대한 제 6 및 제 7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EL 램프(electroluminescent lamp) 또는 자외선 발광소자 또는 적외선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발광소자(82)는 인쇄회로기판(82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일측에 형성된 발광소자 설치부(815) 내부에 설치되어 수광소자(83) 측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i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EL lamp (electroluminescent lamp) or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as in the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for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ation part 815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81 in a state w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821 . ) installed inside to generate light towar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

또한, 상기 수광소자(73)는 황하카드뮴센서(CdS) 또는 적외선 트랜지스터(Photo TR) 또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자외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종(異種)끼리 복수 개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수광소자(83)는 인쇄회로기판(831)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타측에 형성된 수광소자 설치부(817) 내부에서 상기 발광소자(82)와 맞보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중앙에 형성된 빛 통과 공간부(816)를 통과한 발광소자(82)의 빛을 수광하여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의 중앙제어 회로부(95)(107)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73 is a cadmium sulfur sensor (CdS) or an infrared transistor (Photo TR) or a photodiode (Photo diode) or any one of the ultraviolet light sensors or a plurality of different species installed Including, such a light receiving element 83 is fitted with the light emitting element 82 inside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ation part 817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81 in a state where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831 . It is installed in a viewing shape and receive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ight passage space 816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closure-type body 81 to receive the light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95 and 107 of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 to deliver the function.

또, 상기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84)는 콜리메이팅 내지는 협각 렌즈(일명 "Collimated Lens")로써,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일측 발광소자 설치부(815)와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816) 사이에 형성된 제 1 격벽(813)에 렌즈 고정홈(81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ens 84 for condensing and parallel transmission of the emitted light is a collimating or narrow-angle lens (aka "Collimated Lens"),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ation part 815 on one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81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 first partition wall 813 formed between the space portions 816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ens fixing groove 813a.

이와 같은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84)는 상기 발광소자(82)로부터 송출되는 빛을 집광하여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816)를 통해 수광소자(83) 측으로 평행 직선 빛줄기 형태로 보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Such a light-emitting light condensing and parallel transmission lens 84 conden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and passes through the central light passing space 816 without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83)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nding a beam of light in a parallel straight line to the side.

또한, 상기 수광 빛 집광용 렌즈(85)는 투명창 또는 오목 렌즈로써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타측 수광소자 설치부(817)와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816) 사이에 형성된 제 2 격벽(814)에 렌즈 고정홈(8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ight-receiving light-collecting lens 85 is a transparent window or a concave lens, and a second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the light-receiving element installation part 817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type body 81 and the light passage space part 816 in the center. (814) has a form detachably coupled to the lens fixing groove (814a).

이와 같은 수광 빛 집광용 렌즈(85)는 상기 발광소자(82)에서 송출된 후 상기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84)를 통해 집광된 다음,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빛 통과 공간부(816)를 통과하여 전달되어 오는 빛을 광 유실이나 광 산란의 발생이 없이 집광 및 포집하여 수광소자(83) 측으로 전달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ight-receiving light-collecting lens 85 is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82 and then is condensed through the light-emitting light-collecting and parallel transmission lens 84 , and the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type body 81 . It performs a function of condensing and collect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passing space 816 without light loss or light scattering, and transmits the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side.

또,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86)는 빛 반사 방지를 위해 무광택의 유동 탄성체로 성형한 것으로,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중앙에 형성된 빛 통과 공간부(816)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된 후, 저단부가 바닥면에 각각 접착을 통해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86 are molded with a matte fluid elastic body to prevent light reflection, and are disposed in various directions within the light passage space 816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type body 81 . After that, the lower end has a shap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by bonding, respectively.

이때, 상기 탄성부재(86)들은, "I"자 형상 또는 "

Figure pat00013
" 형상 또는 "┗┓"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절곡 성형한 핀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86)들 중 "┗┓"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86)의 절곡부 중 어느 한 절곡 부위에는 탄성부재(86) 자체의 탄성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비틀림 스프링부(861)를 일체로 더 구비시켜 준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s 86 are "I" shape or "
Figure pat00013
Any of the bent portions of the elastic member 86 having a “┗┓” shape among the elastic members 86 having such a shape, including a pin spring bent in various shapes such as “shape or “┗┓” shape, etc. In order to enhan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6 itself in one bent portion, it has a form in which a torsion spring part 861 is further integrally provided.

또한, 상기 복수의 광 간섭용 질량추(87)는 대략 직사각 또는 원봉 등의 형상을 갖되 빛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무광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86)들의 상단부에 각각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ptical interference mass weights 87 have a shape such 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or circular rod, and have a form formed of a matte material to prevent light reflection, and flow and rotate at the upper ends of the elastic members 86, respectively. It has a possible shaft-supported form.

이와 같은 광 간섭용 질량추(87)들은 상기 함체형 본체(81)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지거나 상기 함체형 본체(81)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각각 전방향으로 변위되는 상기 탄성부재(86)들의 상단부에서 탄력적으로 상,하,좌,우 전방위로 흔들리거나 회전되며,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중앙 빛 통과 공간부(816)을 통해 수광소자(83) 측으로 조사되고 있는 발광소자(82)의 불빛에 간섭을 일으키는 방식을 통해 빛 투과량을 변화시켜 수광소자(83)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변화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se mass weights 87 for optical interference are the elastic member 86 that is displaced in all directions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nclosure-type body 81 or the enclosure-type body 81 is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that is irradia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device 83 through the central light passing space 816 of the housing-type body 81, which is elastically shaken or rotated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at the upper end of the ) by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method of causing interference to the light of the light-receiving element 83 to chang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이때,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87)들의 질량이 원하는 질량보다 적게 나갈 경우, 도 29a~도 29c와 같이 볼 형태를 갖는 질량 부가추(871)을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87)들의 양측면 또는 상면부에 부가 설치해 주게 되면 원하는 질량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이나 지진 발생시 상기 탄성부재(86)들의 상단부에 각각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형태를 갖는 상기 광 간섭용 질량추(87)들이 보다 더 원활히 유동 및 회전되며 상기 발광소자(82)에서 조사되는 빛에 대한 간섭을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ss of the mass weights 87 for optical interference is less than the desired mass, the mass addition weight 871 having a ball shape as shown in FIGS. 29A to 29C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mass weights 87 for optical interference. Alternatively, if it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not only can a desired mass be obtained, but also when vibration or earthquake occurs, the mass weights for optical interference 87 having a shape that are axially supported to flow and rotate at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s 86, respectively. It flows and rotates more smoothly, and the effect of interference with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can be enhanced.

또, 본 발명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에 대한 제 8 실시 예의 변형 예로써 상기 함체형 본체(81)를 성형할 때,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빛 통과 공간부(816) 상,하면에 도 29b와 도 30b 및 도 31b와 같이,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816a)과 연기 배출공(816b)을 더 형성하여 주게 되면,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로 제조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를 연기감지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using-type body 81 is molded, the 29B, 30B, and 31B, respectively, if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816a and smoke outlet holes 816b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ight passage space 816,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vibration sensing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manufactured as a sensor can also be used as a smoke detection sensor.

즉, 발광소자(82)와 수광소자(83),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84),수광 빛 집광용 렌즈(85), 복수의 탄성부재(86) 및 복수의 광 간섭용 질량추(87)가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중앙 빛 통과 공간부(816)가 위치된 상,하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816a)과 연기 배출공(816b)을 더 형성시켜 주게 되면, 외부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어 연기가 도 29c와 도 30c 및 도 31c와 같이, 상기 연기 유입공(816a)을 통해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중앙 빛 통과 공간부(816) 내로 유입된 다음 연기 배출공(816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기에 의해 발광소자(82)에서 발생되는 빛의 투과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That is, the light-emitting element 82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83, the lens 84 for condensing and parallel transmission of the emitted light, the lens 85 for collecting the light-receiving light,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86, and the plurality of mass weights for light interference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816a and smoke outlet holes 816b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light passage space 816 of the enclosure-type body 81 having 87 provided therein, respectively. When this is done, a fire or the like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smoke flows into the central light passage space 816 of the enclosure-type body 81 through the smoke inlet hole 816a as shown in FIGS. 29C, 30C and 31C. In the process of being introduc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moke exhaust hole 816b, the transmittance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82 is greatly reduced by the smoke.

따라서, 수광소자(83)에서 수광되는 빛의 수광 량도 그만큼 많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수광소자(8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지진이나 화재 등의 발생을 판단하는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내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에 대한 제 8 실시 예의 변형 예가 적용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를 통해 지진은 물론 연기감지를 통한 화재의 발생 여부를 정확히 인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also decreases by that much,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that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and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or fire ( 95) (107), through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modifica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knowledge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s well as earthquakes through smoke detection You can accurately recognize whether there is a problem and take the necessary action.

또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에 대한 제 8 실시 예의 또 다른 변형 예로써 상기와 같이 하나 이상의 연기 유입공(816a)과 연기 배출공(816b)이 더 형성된 상기 함체형 본체(81)의 빛 통과 공간부(816) 하면 중 제 2 격벽(814)의 근접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 경사면(881)을 구비한 불빛 전달 매개체(88)를 도 31a~도 31c와 같이 더 설치하여 주면, 진동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조된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를 화재감지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is applied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one or more smoke inlet holes 816a and smoke outlet holes 816b are further formed as described above. 31A to 31A show a light transmission medium 88 having an inclined surface 881 at the upper 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814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light passage space 816 of the enclosure-type body 81. If it is further installed as in 31c,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manufactur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can also be used as a fire detection sensor.

이때, 상기 불빛 전달 매개체(88)는 화재로 인한 불꽃이 발생될 경우, 불꽃에서 발생하는 광범위한 파장대의 빛을 전달시킬 수 있는 유리 및 플라스틱류 등의 투명 재질로 성형한 것으로, 되어 구비되고, 상기 불빛 전달 매개체(88)의 일측 끝단부는 라운딩된 형상을 취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즉, 반대쪽) 끝단부에는 상기 수광 집광용 렌즈(85)에 근접한 부위에서 수광소자측으로 광선을 보내기 위해 경사면(881)을 구비시켜 주었다.At this time, the light transmission medium 88 is molded from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and plastic that can transmit light of a wide wavelength range generated from the flame when a flame is generated due to a fire, and is provided, One end of the light transmission medium 88 takes a rounded shape so that it can receive light from various angles, and at the other (ie, opposite) end, the light-receiving lens 85 is close to the light-receiving element. An inclined surface 881 was provided to send the light beam.

따라서, 화재로 인한 불꽃이 발생하였을 때, 불꽃 및 주변 조명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광범위한 파장대의 빛이 상기 불빛 전달 매개체(88)의 라운딩된 형태의 선단부에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흡수된 후, 매질 부분을 통과하여 전달된 빛이 경사면(881)을 통해 상기 수광 집광용 렌즈(85) 측에 출사하게 되면, 여러 파장대의 빛들 중 불꽃에서 발생된 자외선(UV) 및 적외선(IR) 파장대의 빛을 수광소자(83, UV 또는 IR 내지는 UV 및 IR 파장대 감지가 가능한 수광소자)가 검출 할 수 있어, 상기 재해 경보장치에서 화재 발생 상황을 인식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필요한 경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례로 후술될 '도 32의 구간 ④'에서 그 제어 작동이 수행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flame occurs due to a fire, light of a wide wavelength band generated from the flame and ambient lighting is absorbed from various directions at the rounded tip of the light transmission medium 88, and then passes through the medium When the transmitted light is emitted to the side of the light-receiving and condensing lens 85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881, the light-receiving element 83 receives the light in the ultraviolet (UV) and infrared (IR) wavelength bands generated from the flame among the light of various wavelength bands. , UV or IR or a light receiving element capable of detecting UV and IR wavelength bands) can detect a fire situation in the disaster warning device and take necessary alarm measures according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an example. In section ④' of FIG. 32, th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로써 제 8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의 광량 검지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 또는 진동감지센서겸 연기감지센서 또는 진동감지센서와 연기감지센서겸 화재감지센서는 저가이면서도 초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광량 검지식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진동의 형태와 P파와 S파 같은 지진파의 종류 및 지진파의 충격 강도 및 및 연기나 화재 등을 명확하게 분석 및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지진 및 화재감지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본 발명 장치는 단독 사용은 물론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쉽게 설치하여 진동 및 지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지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 사상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or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nd smoke sensor or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light amount detection knowledge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eighth embodiment is applied The fire detection sensor can be manufactured in a low-cost and ultra-compact size, as well as using a single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detect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or types of vibrations, types of seismic waves such as P and S waves, and seismic waves. Since it is possible to clearly analyze and grasp the impact strength and smoke or fire, etc.,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 itself and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earthquake and fire detection. Since it can be installed to accurately detect vibrations and earthquakes, product compatibility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disasters that may occur due to earthquakes can be minimized, and human casualties can be effectively prepared.

한편, 상기한 제 6 내지 제 8 실시 예에서 제시한 광량 검지식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구성요소 중 상기 발광소자(62)(72)(82)를 구동시키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형태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응하여 상기 수광소자(63)(73)(83)를 통해 각각 검출되는 빛 수광량에 따른 파형은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forms are presented as a method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62, 72, 82 among the components of the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presented in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In addition, the waveform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63, 73, and 83 corresponding thereto may have various shapes.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 6 내지 제 8 실시 예가 적용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를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 또는 광량 검지식 연기감지센서 또는 광량 검지식 화재감지센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내 중앙제어 회로부(95)(107)로 하여금, 발광소자의 제어 타이밍을 도 32의 (a)와 같은 타이밍을 갖도록 제어하도록 함에 따라, 수광소자의 수광 제어와 동작상태는 도 32의 (b)와 같은 타이밍으로 나타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are applied can be variously used as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smoke detection sensor, or a light amount detection type fire detection senso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ight-receiving element is light-receiving,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107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controls the control timing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to have the same timing as in FIG. 32(a). The control and operation state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ing as in (b) of FIG. 32 .

즉, 본 발명 장치 중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물리적, 화학적, 변화량 검출용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에 수반되어질 수 있는 각종 상태를 감안하여, 상기 발광소자(62)(72)(82)의 구동을 발광소자 구동부를 통해 도 32의 (a)와 같은 타이밍으로 제어하고, 상기 수광소자(63)(73)(83)는 도 32의 (b)와 같은 타이밍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들을 통해 각각 검출되는 빛 수광량에 따른 전위가 도 32의 (b)와 같은 타이밍으로 나타나게 된다.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conditions that may be accompanied by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for detecting the physical, chemical, and change amount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95, 107)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elements (62, 72) The driving of 82 is controlled at the same timing as in (a) of FIG. 32 through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63, 73, and 83 are controlled at the same timing as in (b) of FIG. The potenti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rough each detection is displayed at the same timing as in (b) of FIG. 32 .

이때, 도 32의 (a)(b)로 도시한 타이밍 차트는, 시간(time) 흐름을 수평축에,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각각 검출되는 변화 전위차는 수직축에 두는 배치로 도시하였으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timing chart shown in (a) (b) of FIG. 32 is shown in an arrangement in which the flow of time is plac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change potential difference detected by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and 107, respectively, is placed on the vertical axis. ,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2의 (a)로 도시한 "발광부 타이밍 차트"에서, 수[msec] ~ 수[sec] 내외의 검출동작 발광 반복의 한 사이클(1 Cycle) ①은, '수[msec] ~ 수[sec] 내외 동안 수 ~ 수 백회 내외 정도의 발광소자 온/오프 점멸 반복 동작의 출력 구간'과 '발광 동작 휴지 구간'으로 제어됨을 도시한 것이다.In the "light emitting part timing chart" shown in (a) of FIG. 32, one cycle (1 Cycle) of the detection operation light emission repetition within a number [msec] to a number [sec] is 'number [msec] to a number [ sec] shows that the output sec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n/off blinking repeated operation of several to several hundred times during internal and external times is controlled by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pause period'.

도 32의 (b)로 도시한 "수광부 타이밍 차트"에서, 수광 검출 구간 ②는, 중앙제어 회로부(95)(107) 내에 각각 구비된 CPU 등에 의해 발광소자 측의 온/오프 타이밍에 연동하여, 진동에 의한 광량 변화 값을 검출하는 구간이다.In the "light-receiving part timing chart" shown in FIG. 32(b), the light-receiving detection section ② is linked to the on/off timing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side by the CPU or the like provided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95 and 107, respectively, This section detects the value of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due to vibration.

또, 이어지는 구간 ③은 광량 변화 값의 검출 데이터 오류를 막기 위하여 검출 데이터로서 유효하지 않는 구간에서, 수광부의 검출 작동을 휴지 또는 스킵(Skip)시키는 수 내지 수 천[msec] 내외 정도의 타임 구간이다.In addition, the following section ③ is a time section of about several to several thousand [msec] in which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light receiving unit is paused or skipped in the section that is not valid as detection data to prevent errors in the detection data of the light amount change value. .

또한, 이어지는 구간 ④는 상기 '발광동작 휴지 구간'에서 수[msec] ~ 수[sec] 내외 동안, 자외선(UV) 내지는 적외선(IR) 파장대의 광선검출 작동 구간으로서, 전방위 진동감지 검출 작동의 발광부(즉, 발광소자)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수광부(즉, 수광소자)에 들어오는 화재로 인한 불꽃의 파장대 빛을 검출하여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는 구간이다.In addition, the following section ④ is a light detection operation section in the ultraviolet (UV) or infrared (IR) wavelength band for several [msec] to several [sec] in the 'light emission stop period', and the light emission of the omnidirectional vibration detection detectio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ub (ie, light emitting device) is stopped, it is a section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by detecting the light in the wavelength band of the flame caused by the fire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part (ie, the light receiving device).

그리고 구간 ⑤는, 수광 검출 구간 ②에서 '광 간섭 작용체(즉, 광 간섭 질량추)'가 인공지진 내지는 자연지진 등의 진동 에너지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되면서 수광부에서 받는 광량의 변화가 검출되어진 구간이고, 구간 ⑥은 화재 발생에 따른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UV) 내지는 적외선(IR)" 파장대의 광선이 검출되어지는 구간이다.And in section ⑤, in the light-receiving detection section ②,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light-receiving unit is detected as the 'optical interference object (ie, optical interference mass)' is shaken by vibration energy such as an artificial or natural earthquake. and section ⑥ is a section in which light in the “ultraviolet (UV) or infrared (IR)” wavelength band emitted from the flam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s detected.

이때,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수광부를 통해 검출한 광량 변화량이, 구간⑤ 및 구간⑥ 처럼 '경보 기준으로 설정된 비교의 기준 값' 이상(以上)의 물리적 에너지 변화 내지는 화학적 농도 변화가 검출되었음을 판단하게 되면, 본 발명 장치 중 제 1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 또는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또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 2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 내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108a) 또는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8b) 또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108c) 중 어느 하나에 정확히 출력시켜 '시각적 내지는 청각적 또는 기타 방법 등으로 안전 대피 경보작동'을 시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107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of comparison set as the alarm standard', such as sections ⑤ and sections ⑥, physical energy change or chemical concentration chang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cted, the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or the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or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963 in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96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y one of the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108a in the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108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108b, or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or 108c The 'safety evacuation alarm operation by visual, auditory or other method' is started.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연동되게 작동하되, 늘(쉼 없이) 검출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전력(축전지 및 건전지의 축적된 전기 또는 공급 전원 장치의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수[msec] 내지는 수[sec] 시간 간격 마다 간헐적으로 교번 작동(감지 On/Off의 반복)을 반복 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Here,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operate interlockingly, but do not perform a continuous (non-stop) detection operation, but in order to prevent wastage of power consumption (accumulated electricity of the storage battery and battery or electric energy of the power supply device), Control is performed to repeat the alternating operation (repetition of detection On/Off) intermittently every several [msec] or several [sec] time intervals.

한편, 구간 ⑦은 진동검출 시간인 ②구간 동안에 일어난 변화량에서 검출한 변동(변화) 값들이 '경보기준으로 설정된 비교의 기준 값(Comparison, Reference- Memory Data)' 기준으로 검출된 물리적 에너지 변화 값이 낮은(이하, 以下) 경우, 변동을 검출한 최소값과 최대값은 버리고 나머지 값을 합산하여, 검출 횟수로 나눈 것을 평균값으로 정한 후, 저장된 '경보기준으로 설정된 변화량 검출 비교의 기준 값'을 버리고(지우고), 새로 얻어진 평균값을 '신규 기준 값(Comparison, Reference- New Data)'으로 갱신(변경 저장)하여 취한다.On the other hand, in section ⑦, the change (change) values detected in the amount of change that occurred during section ②, which is the vibration detection time, are the physical energy change values detec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ference-memory data set as the alarm standard'. In the case of l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以下),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for which fluctuations are detected are discarded, the remaining values are added up, divided by the number of detections is determined as the average value, delete), and the newly obtained average value is updated (changed and saved) as 'new reference value (Comparison, Reference- New Data)' and taken.

그 후에도 매회 검출된 값을 연산한 후 이전에 등록(기억)된 '비교의 기준 값'을 버리고 새로운 비교의 기준 값으로 반복하여 갱신하는 구간이며, 이 갱신 목적은 "주변 환경 조건이나 설치 상태 및 제품의 노화(장시간 사용의 경과에 따른) 등에 따른 기준 값이 미소하게 변동"되어져, 변화량 검출 후 검출 값 비교 시 오 판단(경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갱신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After that, after calculating the detected value every time, the previously registered (memorized) 'reference value for comparison' is discarded and it is repeatedly updated with a new reference value for comparison. The reference value is slightly changed due to aging of the product (due to prolonged use), and the update is performed periodically to prevent erroneous judgment (false alarm operation) when comparing the detected values after detecting the change amount.

상기에 설명된 시간 표현인 "수[msec] ~ 수[sec] 내외"는 수[KHz] ~ 수[Hz] 정도의 주기로 반복 제어됨을 설명한 것이며, "수 ~ 수 백회 내외"는 수백[KHz] ~ 수[Hz] 정도의 주기로 반복 제어됨을 설명하는 것이다.The time expression described above, “between several [msec] and several [sec],” describes that repeated control is performed in a cycle of several [KHz] to several [Hz], and “a few to several hundred times” is several hundred [KHz] It is to explain that the control is repeated with a cycle of ~ several [Hz].

또한, 도면 표기 중 ⑧은 광 간섭용 질량체가 진동 에너지를 받아 흔들림에 의해 광량이 감소된 것으로 판정하는 전위(또는 전압) 레벨(높낮이) 폭(구간)이고, 도면 표기 ⑨는 화재 시 불꽃이 발생된 것으로 검출 판정, 즉 자외선(UV) 내지는 적외선(IR) 파장대의 광선이 유입되어진 것으로 판정하는 전위(또는 전압) 레벨(높낮이) 폭(구간)이며,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부수되어지는 증폭회로 내지는 A/D 변환회로 등의 구성 방법에 따라 그 레벨은 조정되어진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⑧ is the potential (or voltage) level (height) width (section) at which the mass for optical interference receives vibration energy and the light quantity is determined to be reduced due to shaking, and ⑨ in the drawing indicates that a flame is generated in case of fire This is the potential (or voltage) level (height) width (section) that is determined to be detected as being detected, that is, light in the ultraviolet (UV) or infrared (IR) wavelength band is introduced. Although not shown, the accompanying amplifier circuit or The leve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A/D conversion circuit, etc.

와 같이 진동 및 지진을 포함하여 연기를 검출하기 위한 구간으로 수 미리 초[msec]~수 초[sec] 동안에 걸쳐 점멸작동(즉, 온/오프를 반복 작동)시키고, 이어서 수~수십 미리 초[msec]의 휴지타임을 가진 후, 수 미리 초[msec]~수 초[sec] 동안에는 화재로 인한 불빛(UV/IR)을 검출하기 위하여 소등(즉, "오프") 시키는 형태로 반복해서 제어하도록 하였다.It is a section for detecting smoke including vibration and earthquake like msec], then repeatedly control in the form of turning off (that is, “off”) to detect the light (UV/IR) caused by the fire for several milliseconds [msec] to several seconds [sec] did

이와 같이 상기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내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상기 발광소자(62)(72)(82)의 구동을 전술한 바와 같은 타이밍으로 제어하게 되면, 수광소자(63)(73)(83)에서 각각 검출되는 빛 수광량에 따른 파형은 도 32의 (b)와 같이 진동이나 진동 또는 연기 발생 등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파형을 나타나게 된다.As such, whe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5, 107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62, 72, and 82 at the same timing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receiving device 63 Waveforms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detected in (73) and (8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sponse to vibration, vibration, or smoke generation, as shown in FIG. 32(b).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내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상기 발광소자(62)(72)(82)들이 점멸 작동하는 구간에서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또는 진동의 형태와 P파와 S파 같은 지진파의 종류 및 지진파의 충격 강도 등을 명확하게 분석 및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구동)신호를 제 1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 또는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또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 2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 내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108a) 또는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8b) 또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108c) 중 어느 하나에 정확히 출력시켜 줄 수 있다.Accordingly, natural and artificial earthquakes in the sec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s 62, 72, and 82 blink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95, 107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lex sens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lternatively, an evacuation warning in the comprehensive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96 of the first embodiment by clearly analyzing and grasping the form of vibration, types of seismic waves such as P and S waves, and the impact strength of seismic waves,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drive) signal.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108a in the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108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ing any one of the ready light emitting diode 961 or the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or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963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108b or an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08c may be accurately outputt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내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 상기 발광소자(62)(72)(82)들이 점멸작동되는 구간에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도 32의 (b)와 같이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발광소자가 "오프"된 구간에서 화재로 인해 발광다이오드들의 불빛보다 강한 불꽃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정확히 검출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구동)신호를 제 1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961) 또는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또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 2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 내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108a) 또는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8b) 또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108c) 중 어느 하나에 정확히 출력시켜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s 62, 72, and 82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95, 107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lex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flickering due to fir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ccurately detect smoke as shown in Fig. 32 (b), when a flame stronger than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is generated due to a fire in the sec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off”, it is accurately detected and controlled accordingly Including any one of the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961 or the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or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963 in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96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ive) signal The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108a, the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108b, or the evacuation warning sound generator 108c in the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108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output accurately.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된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 내 중앙제어 회로부(95)(107)에서는 제 6 내지 제 8 실시 예가 적용된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의 함체형 본체(61)(71)(81) 중 연기 유입공(616a)(716a)(816a)을 통해 제 2 공간부(616)(716) 또는 중앙의 빛 통과 공간부(816) 내로 연기가 유입된 다음 연기 배출공(616b)(716b)(816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해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내 수광소자(63)(73)에서 검출되는 빛 수광량이 정해진 비교대상 광량보다 어느 정도 감소된 상태인지를 판별하거나, 또는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적외선 및 자외선 빛을 불빛 전달 매개체(88)를 통해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S) 내 수광소자(83)를 통해 입력받은 빛 수광량을 CPU 등에 기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광량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 1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96) 내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962)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963)를 포함하여 제 2 실시 예의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108) 내 복수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8b) 또는 대피 경보음 발생부(108c)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불특정인들이 화재의 발생을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식하고 대피 등 빠른 대처를 취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part 95, 107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the composite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enclosure-type body 61 of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o which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are applied. Of (71) and (81), smoke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616, 716) or the central light passage space (816) through the smoke inlet holes (616a, 716a, 816a), and then the smoke outlet hole Due to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616b), (716b) and (816b),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63 and 73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is reduced to what extent than the predetermined comparative light amount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element 83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medium 88 is written in the CPU, etc. Including the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962 and the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963 in the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96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mparison target light amount is compared with each other. By outputting a driving signal to a plurality of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s 108b or an evacuation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108c in the general warning situation output unit 108 of the second embodiment, unspecified people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fire through sight and sound, and You can take quick action, such as evacuation.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ha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S :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11 : 튜브형 본체
12 : 원통형 진동신호 검출회로 박판 121 : 박막 필름
122 : 제 1 전도성 패턴 123 : 제 2 전도성 패턴
124 : 제 1 통합 연결용 패턴 125 : 제 2 통합 연결용 패턴
126, 127 : 원판형 단자 마개 판 연장부
128 : 제 1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
129 : 제 2 원판형 전도성 전극패턴
13 : 외부기판 연결단자 14 : 전도성 웨이트 볼
21 : 도너츠형 본체 211 : 원통형 통공
212 : 상부 커버 213 : 하부 커버
214 : 볼 유동 공간부 215 : 상호 절연용 공간부
22 : 상부 공통 접점 판 23 : 하부 공통 접점 판
24 : 상부 공통 접점 연결단자 25 : 하부 공통 접점 연결단자
26 : 내측 가변저항 판 27 : 외측 가변저항 판
28 : 내측 가변저항 출력단자 29 : 외측 가변저항 출력단자
30 : 전도성 금속 볼 30a : 구형 공간부
30b : 중량물질 30c : 구형 볼
31 : 도너츠형 본체 311 : 원통형 통공
312 : 상부 커버 313 : 하부 커버
314 : 볼 유동 공간부 315 : 상호 절연용 공간부
32 : 상부 가변저항 판 33 : 하부 가변저항 판
34 : 상부 가변저항 출력단자 35 : 하부 가변저항 출력단자
36 : 공통 접점 판 37 : 공통 접점 연결단자
38 : 전도성 금속 볼 38a : 구형 공간부
38b : 중량물질 38c : 구형 볼
41 : 박스형 본체 412 : 상부 커버
413 : 하부 커버 414 : 볼 유동 공간부
42 : 상부 가변저항 판 43 : 하부 가변저항 판
421, 431 : 저항패턴
44 : 상부 저항패턴 연결단자 45 :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
46 : 전도성 금속 볼 46a : 구형 공간부
46b : 중량물질 46c : 구형 볼
51 : 튜브형 본체 511 : 광 간섭 작용체 설치홈
52 : 발광소자 53 : 수광소자
54 : 광 간섭 작용체 541 : 집중렌즈
542 : 확산렌즈 543 : 필름
544 : 엠보싱 처리 또는 그물망 인쇄 처리 또는 펀칭 처리한 렌즈
545 : 중량체 546 : 다공 처리된 유리 또는 수지재 구슬
61 : 함체형 본체
611 : 하부 케이스 612 : 상부 케이스
613 : 제 1 격벽 613a : 렌즈 고정홈
614 : 제 2 격벽 614a : 투명창 고정홈
615~617 : 제 1 내지 제 3 공간부
616a : 연기 유입공 616b : 연기 배출공
618 : 탄성축 설치홈
62 : 발광소자 621 : 인쇄회로기판
63 : 수광소자 631 : 인쇄회로기판
64 : 발광 빛 집광용 렌즈 65 :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
66 : 탄성축 661 : 코일스프링
67 : 광 간섭용 질량추
671 : 중심축 672 : 비대칭 중량형 날개
71 : 함체형 본체
711 : 하부 케이스 712 : 상부 케이스
713 : 제 1 격벽 713a : 렌즈 고정홈
714 : 제 2 격벽 714a : 투명창 고정홈
715~717 : 제 1 내지 제 3 공간부
716a : 연기 유입공 716b : 연기 배출공
72 : 발광소자 721 : 인쇄회로기판
73 : 수광소자 731 : 인쇄회로기판
74 : 발광 빛 집광용 렌즈 75 : 수광 빛 집광용 투명창
81 : 함체형 본체
811 : 하부 케이스 812 : 상부 케이스
813 : 제 1 격벽 813a : 렌즈 고정홈
814 : 제 2 격벽 814a : 렌즈 고정홈
815 : 발광소자 설치부 816 : 빛 통과 공간부
816a : 연기 유입공 816b : 연기 배출공
817 : 수광소자 설치부
82 : 발광소자 821 : 인쇄회로기판
83 : 수광소자 831 : 인쇄회로기판
84 : 발광 빛 집광 및 평행 전달용 렌즈
85 : 수광 빛 집광용 렌즈
86 : 탄성부재 861 : 비틀림 스프링부
87 : 광 간섭용 질량추 871 : 질량 부가추
88 : 불빛 전달 매개체
91 : 작동 전원 공급부 92 : 축전지
93 : 충,방전 제어 회로부 94 : 전원감시 및 유선통신신호 입력부
95 : 중앙제어 회로부 96 :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
961 :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 962 :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
963 : 대피 경보음 발생부
97 : 원격제어 통신신호 입,출력부 98 : 릴레이 구동부
TS : 온도검출센서 RL : 릴레이
101 : 유도전력 무선송신 코일 102 : 유도전력 무선수신 코일
103 : 인버터 회로부 104a : 축전지
104b : 슈퍼 콘덴서 105 : 충,방전 제어 회로부
106 : 전원전압 온/오프 스위치 107 : 중앙제어 회로부
108 :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 108a : 고휘도 방전 후레쉬 램프
108b :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108c : 대피 경보음 발생부
109 : 작동기능 선택 스위치
IS : 조도검출센서
S :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11: tubular body
12: cylindrical vibr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thin plate 121: thin film
122: first conductive pattern 123: second conductive pattern
124: first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125: second integrated connection pattern
126, 127: Disc-shaped terminal plug plate extension
128: first disk-shaped conductive electrode pattern
129: second disk-shaped conductive electrode pattern
13: external board connection terminal 14: conductive weight ball
21: donut-shaped body 211: cylindrical through hole
212: upper cover 213: lower cover
214: ball flow space 215: space for mutual insulation
22: upper common contact plate 23: lower common contact plate
24: upper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25: lower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26: inner variable resistance plate 27: outer variable resistance plate
28: inn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 29: out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
30: conductive metal ball 30a: spherical space part
30b: heavy material 30c: spherical ball
31: donut-shaped body 311: cylindrical through hole
312: upper cover 313: lower cover
314: ball flow space 315: space for mutual insulation
32: upper variable resistance plate 33: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34: upp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 35: lower variable resistance output terminal
36: common contact plate 37: common contact connection terminal
38: conductive metal ball 38a: spherical space
38b: heavy material 38c: spherical ball
41: box-type body 412: upper cover
413: lower cover 414: ball flow space part
42: upper variable resistance plate 43: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421, 431: resistance pattern
44: upp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 45: lower resistance pattern connection terminal
46: conductive metal ball 46a: spherical space part
46b: heavy material 46c: spherical ball
51: tubular body 511: optical interference agent installation groove
52: light emitting element 53: light receiving element
54: optical interference agent 541: concentrating lens
542: diffusion lens 543: film
544: embossed or mesh printed or punched lens
545: weight 546: porous glass or resin beads
61: enclosure type body
611: lower case 612: upper case
613: first bulkhead 613a: lens fixing groove
614: second bulkhead 614a: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615 to 617: first to third space parts
616a: smoke inlet hole 616b: smoke exhaust hole
618: elastic shaft installation groove
62: light emitting element 621: printed circuit board
63: light receiving element 631: printed circuit board
64: lens for condensing emitted light 65: transparent window for collecting light received
66: elastic shaft 661: coil spring
67: mass for optical interference
671: central axis 672: asymmetric weight type wing
71: enclosure type body
711: lower case 712: upper case
713: first bulkhead 713a: lens fixing groove
714: second bulkhead 714a: transparent window fixing groove
715-717: first to third space parts
716a: smoke inlet hole 716b: smoke exhaust hole
72: light emitting device 721: printed circuit board
73: light receiving element 731: printed circuit board
74: lens for condensing emitted light 75: transparent window for collecting light received
81: enclosure type body
811: lower case 812: upper case
813: first partition wall 813a: lens fixing groove
814: second bulkhead 814a: lens fixing groove
815: light emitting element installation part 816: light passage space part
816a: smoke inlet hole 816b: smoke exhaust hole
817: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ation part
82: light emitting element 821: printed circuit board
83: light receiving element 831: printed circuit board
84: lens for condensing and parallel transmission of luminescent light
85: lens for collecting light receiving light
86: elastic member 861: torsion spring part
87: mass weight for optical interference 871: mass addition weight
88: light transmission medium
91: working power supply 92: storage battery
93: charge, 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94: power monitoring and wired communication signal input unit
95: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96: general alarm situation output unit
961: light emitting diode ready for evacuation alarm 962: light emitting diode for starting evacuation alarm
963: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or
97: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input, output unit 98: relay driving unit
TS : Temperature sensor RL : Relay
101: induction power wireless transmitting coil 102: inductive power wireless receiving coil
103: inverter circuit part 104a: storage battery
104b: super capacitor 105: charge, discharge control circuit part
106: power voltage on/off switch 107: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108: general alarm situation output unit 108a: high-brightness discharge flash lamp
108b: high-brightness light-emitting diode 108c: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or
109: operation function selection switch
IS :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Claims (5)

단독 사용도 가능하고, 또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 및 재해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구성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상시 공급시켜 주는 작동 전원 공급부와;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들을 충전하였다가 전원공급 차단 또는 정전시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각 구성품에 공급시켜 주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와;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의 출력전압 및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부를 통해 출력되는 축전지의 전압이 정해진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인지 감시함은 물론 유선통신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제어 회로부로 전달하는 전원감시 및 유선통신신호 입력부와;
통상시 상기 작동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충,방전 제어 회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축전지 전압을 이용하여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의 구동을 제어함은 물론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및 온도검출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비교대상 데이터들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에 발생시켜 주는 중앙제어 회로부와;
각종 물리적 운동 에너지의 변화량 또는 환경 및 화학적 분위기를 여러 형태로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로 계속 제공해 주는 전방위 복합감지센서 및 온도검출센서와;
대피경보 준비 발광다이오드와 대피경보 시작 발광다이오드 및 대피 경보음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불특정들이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재난 발생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해진 색상의 불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종합 경보상황 출력부;로 구성하고,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는,
스위칭 작동방식 진동감지센서와 저항값 가변방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진동감지센서, 광량 검지식 연기감지센서 및 광선 검지식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한 기능을 갖는 센서를 포함함은 물론 이들 센서들의 기능이 중 2중 또는 3중으로 갖는 센서도 포함하고,
상기 전방위 복합감지센서에 포함되는 센서들 중 저항값 가변방식이 적용된 진동감지센서는,
비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한 상,하 커버로 구성하되, 내부에는 전도성 금속 볼이 상면 또는 하면에 접동된 상태에서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 및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속이빈 볼 유동 공간부가 구비된 박스형 본체와;
상기 박스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상,하면에서 횡방향에 대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저항패턴들이 형성되되, 그 간격은 전도성 금속 볼의 호형 외면과 접동될 경우 서로 인접한 두 저항패턴이 전도성 금속 볼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나는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과;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에 각각 구비된 저항패턴들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상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저단부가 상기 박스형 본체의 저면 양측으로 각각 일렬로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의 상부 및 하부 저항패턴 연결단자와;
전도성 금속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박스형 본체의 볼 유동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진동 또는 지진으로 인해 상기 박스형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볼 유동 공간부 내에서 진동방향 및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하,좌,우,전,후 360°전방위로 유동됨과 동시에 구름 운동하며 변위된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가변저항 판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저항패턴 중 서로 인접된 저항패턴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그 위치에서 해당 두 저항패턴의 합이 최종 가변 저항값으로 나타나게 하는 전도성 금속 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재해용 경보장치.
In configuring a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that can be used alone and can be used by being built-in to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for constantly supplying a voltage required to drive each component;
a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for charging the storage batteries us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supply and supply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battery to each component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or power failure;
Power monitoring and wired communication signal that not only monitors whether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and the voltage of the storage battery output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but also receives a wired communication signal and delivers it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n input unit;
Normally, by us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or the storage battery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the driving of the omnidirectional complex sensor is controlled, as well as various sensing or output from the omnidirectional complex sensor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tha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in real time, compares it with predetermined comparison target data already input in itself,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general alarm situation output unit;
an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and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hat continuously detect changes in various physical kinetic energy or environmental and chemical atmospheres in various forms in real time and continuously provide them to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n evacuation alarm preparation light emitting diode, an evacuation alarm start light emitting diode, and an evacuatio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are provided, 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so that unspecified persons can recognize the degree of disaster through sight and hearing or a comprehensive alarm situation output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and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Switching opera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resistance variable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vibration detection sensor, light quantity detection type smoke detection sensor, and light detection type fire detection sensor Also includes sensors having dual or triple functions,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mnidirectional composite detection sensor,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 to which the resistance variable method is applied,
It consists of an upper and lower cover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but inside, the conductive metal ball slides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d flows and rolls in 360° all directions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rear a box-shaped body provided with a hollow ball flow space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ll flow space of the box-shaped body, a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sliding with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by conductive metal balls and in which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is expressed as a variable resistance value;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sistance pattern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s protrude in a row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box-shaped body, respectively, with the upper end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sistance pattern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respectively a connection terminal;
It has a shape molded from a conductive metal and is installed in the ball flow space of the box-shaped body, an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box-shaped body due to vibration or earthquake or when it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vibration direction and inclination direction in the ball flow space In response, the resistanc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resistance patter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 at the displaced position while flowing in all directions 360° and rolling motion in response to A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nductive metal ball that i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so that the sum of the two resistance patterns at that location appears as the final variable resistance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의 통신부 입출력단자에는,
적외선 또는 무선 송수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원격지의 통제실과 원격제어 통신이 가능한 원격제어 통신신호 입,출력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재해용 경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mmunication unit input/output terminal of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 disaster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frared or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communication module and further installs a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ignal input/output unit capable of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 roo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 회로부에는,
조명기구 또는 전기기구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또는 과전류 차단기를 강제 "오프"하거나 또는 화재 경보 중계기와 법제표준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복수의 릴레이 및 릴레이 구동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재해용 경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entral control circuit unit,
A plurality of relays and relay driving units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lighting equipment or electrical equipment or electronic products, forcibly turning off an overcurrent circuit breaker, or transmitting a fire alarm repeater and a legal standard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An alarm system for disasters using a complex detection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변저항 판의 저항패턴들은 필름상에 카본을 인쇄나 코팅 또는 증착을 통해 성형하거나 또는 니크롬(NiCr) 박판을 필름상에 안착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재해용 경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stance patterns of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resistance plates are formed by printing, coating, or depositing carbon on a film, or a nichrome (NiCr) thin plate is seated on a film to form a disaster disaster using a complex sensor. for alarm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금속 볼은 구리나 납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도전성 표피층을 지닌 질량 유동체를 사각 함체형 또는 땅콩 형 또는 구형 또는 타원형 볼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를 갖게 성형하되, 상기 전도성 금속 볼의 내부에는 구형 공간부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형 공간부 내에는 볼 자체의 구름운동과 멈춤의 민감성을 낮추기 위해 중량물질을 충진한 구형 볼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감지센서를 이용한 재난재해용 경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metal ball is molded to have any one of copper, lead, or ceramic, or a mass fluid having a conductive skin layer, to have any one of a rectangular enclosure shape, a peanut shape, or a spherical or elliptical ball shape, but the inside of the conductive metal ball is spherical A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lex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portion is provided, and a spherical ball filled with a heavy material is further installed in the spherical space portion to lower the sensitivity of the rolling motion and stop of the ball itself.

KR1020220047554A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KR102480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554A KR102480746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040A KR102412201B1 (en) 2018-12-28 2020-12-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that can be used in stand-alone or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KR1020220047554A KR102480746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040A Division KR102412201B1 (en) 2018-12-28 2020-12-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that can be used in stand-alone or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708A true KR20220073708A (en) 2022-06-03
KR102480746B1 KR102480746B1 (en) 2022-12-22

Family

ID=74088974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557A KR102480749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vibration sensor
KR1020220047556A KR102480748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sensor
KR1020220047551A KR102480743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sensor
KR1020220047554A KR102480746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KR1020220047552A KR102480744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sensor built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KR1020220047553A KR102480745B1 (en) 2020-12-18 2022-04-18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for disaster and disaster
KR1020220047555A KR102480747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557A KR102480749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vibration sensor
KR1020220047556A KR102480748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sensor
KR1020220047551A KR102480743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sensor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552A KR102480744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sensor built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KR1020220047553A KR102480745B1 (en) 2020-12-18 2022-04-18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for disaster and disaster
KR1020220047555A KR102480747B1 (en) 2020-12-18 2022-04-18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4807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063B1 (en) 2022-10-17 2023-07-28 주식회사 해울이엔지 Temperature Sensor Having Seismic Sensor, Solar Radiation Sensor Uni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746A (en) 1995-03-03 1998-08-05 오데 셀미스터 Earthquake detector
KR20120086351A (en) * 2009-12-21 2012-08-02 인텔 코오퍼레이션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warning against a disaster
JP2013073499A (en) * 2011-09-28 2013-04-22 Tnk:Kk Disaster display system, disaster monitoring device and disaster display device
KR20140030915A (en) 2012-09-04 2014-03-12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Earthquake detection device
KR20140067247A (en)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차후 The non contact point charging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of the cellular phone
KR20140094727A (en) 2013-01-21 2014-07-31 박정환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moke density in use of the infrared sensor
US20140361888A1 (en) * 2013-06-10 2014-12-11 Jung-Tang Huang Solar light-emitting diode lamp wireless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structure safety in real-time
KR101674012B1 (en) 2015-07-10 2016-11-22 전승탁 Three dimensional earthquake detecting device
KR101875723B1 (en) * 2018-01-10 2018-08-02 주식회사 에너솔라 Earthquake-proof and fire visualization sensor distribution board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746A (en) 1995-03-03 1998-08-05 오데 셀미스터 Earthquake detector
KR20120086351A (en) * 2009-12-21 2012-08-02 인텔 코오퍼레이션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warning against a disaster
JP2013073499A (en) * 2011-09-28 2013-04-22 Tnk:Kk Disaster display system, disaster monitoring device and disaster display device
KR20140030915A (en) 2012-09-04 2014-03-12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Earthquake detection device
KR20140067247A (en)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차후 The non contact point charging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of the cellular phone
KR20140094727A (en) 2013-01-21 2014-07-31 박정환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moke density in use of the infrared sensor
US20140361888A1 (en) * 2013-06-10 2014-12-11 Jung-Tang Huang Solar light-emitting diode lamp wireless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structure safety in real-time
KR101674012B1 (en) 2015-07-10 2016-11-22 전승탁 Three dimensional earthquake detecting device
KR101875723B1 (en) * 2018-01-10 2018-08-02 주식회사 에너솔라 Earthquake-proof and fire visualization sensor distribution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063B1 (en) 2022-10-17 2023-07-28 주식회사 해울이엔지 Temperature Sensor Having Seismic Sensor, Solar Radiation Senso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743B1 (en) 2022-12-22
KR20220073710A (en) 2022-06-03
KR102480748B1 (en) 2022-12-22
KR102480749B1 (en) 2022-12-22
KR20220075196A (en) 2022-06-07
KR20220073707A (en) 2022-06-03
KR20220073709A (en) 2022-06-03
KR20220073706A (en) 2022-06-03
KR20220073711A (en) 2022-06-03
KR102480746B1 (en) 2022-12-22
KR102480745B1 (en) 2022-12-22
KR102480744B1 (en) 2022-12-22
KR102480747B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808B1 (en)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that can be used in stand-alone or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KR102412201B1 (en)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that can be used in stand-alone or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US8384556B2 (en) Solar powered light and alarm system
US20090039797A1 (en) Process and system of power saving lighting
US10302258B2 (en) Deployable, multi-sided illumina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2480743B1 (en)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device using a composite sensor
CN115273382B (en) Photoelectric smoke-sensing fire detection method
EP2463837A1 (en) Smoke detector
KR102347585B1 (en) Disaste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using a composite sensor that can be used in stand-alone or in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WO1985001141A1 (en) Test device for an optical infra red detector
CN218481873U (en) Photoelectric smoke fire detector
KR101658426B1 (en) A portable lamp for indoor and outdoor using sunlight
CN213482650U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CN205402306U (en) Intelligent lantern that can deploy troops on garrison duty and report to police
US3982237A (en) Combination door chime and particulate products of combustion detector
KR101938815B1 (en) LED with seismic alarm function Dimming and lighting control box for illuminator
CN207908713U (en) Smoke detector structure
CN106157606B (en) A kind of prompt stake of biological response zebra stripes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109102718A (en) A kind of smartwatch, the anti-collision remind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smartwatch
CN209641037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fire disaster detector
CN105508903A (en) Intelligent hand lamp capable of defense deployment and alarming
KR20140065947A (en) Emergency lantern
Narasimh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smart emergency light
CN206060837U (en) A kind of self power generation smart mobile phone
AU2022323712A1 (en) Alarm periph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