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673A -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673A
KR20220073673A KR1020210163151A KR20210163151A KR20220073673A KR 20220073673 A KR20220073673 A KR 20220073673A KR 1020210163151 A KR1020210163151 A KR 1020210163151A KR 20210163151 A KR20210163151 A KR 20210163151A KR 20220073673 A KR20220073673 A KR 20220073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nucleotide sequence
primer
pair consisting
prim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안지영
이상희
박가영
조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피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피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피바이오
Priority to PCT/KR2021/0174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14803A1/ko
Publication of KR2022007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7/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 C12Q2537/1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the purpose or use of
    • C12Q2537/143Multiplexing, i.e. use of multiple primers or probes in a single reaction, usually for simultaneously analyse of multiple an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는 STR(stort tandem repeat) 분석과 PCR 증폭 방법을 사용하여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유전자 좌위를 표적 바이러스 유전자와 함께 동시에 검출함으로써, 어떤 개체가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를 한번에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PRIMER SET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OF RESPIRATORY VIRUSES INFEC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질환을 야기하는 바이러스는 매우 높은 전염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임상양상을 나타낸다. 각각의 바이러스에 의한 임상증상은 일반적인 감기부터 폐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보통 수일 내에 회복되나, 기침, 피로감 등은 2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며 복통, 구토, 경련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들 호흡기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는 폐렴이 가장 흔하고, 노년층이나 만성 질환자에서는 기저질환 악화 및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유행하면서 이들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이 유행되고 있다.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발생빈도가 높으나, 연중 지속적인 감염 양상을 나타낸다. 이중, 아데노바이러스는 늦겨울에서 초여름에 걸쳐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며, 계절에 관계없이 산발적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은 효과적인 백신이나 치료제가 아직 개발되지 않아, 감염시 적절한 수분공급, 안정, 해열제 복용, 2차 감염 방지를 위한 항생제 투여 등의 대중적인 요법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질환 확산의 조기 예방과 효과적인 치료에 중요하다. 그러나,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 질환은 비교적 특징적인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상적으로 원인 바이러스의 규명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세균성 호흡기 감염과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현재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의 검출에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중에서 해당 바이러스에 대해 감수성이 있는 세포에 접종하여 바이러스 증식에 의한 세포병변 효과를 확인하는 바이러스 분리는 진단법중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시간이 오래걸리고 숙련된 연구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바이러스의 항원 검출에 기초항 ELISA 및 IFA 등이나 유전자 진단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4414호는 호흡기 감염 질환과 관련된 바이러스를 신속,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단일튜브-멀티플렉스 RT-PCR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일튜브-멀티플렉스 RT-PCR 프라이머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44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6 내지 제23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서열번호 1 또는 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 또는 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 또는 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3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7 또는 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4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5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 또는 1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6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 또는 1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7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 또는 1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8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또는 1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9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또는 2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또는 2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또는 2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2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또는 2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3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또는 2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4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9 또는 3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5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1 또는 3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6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3 또는 3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7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5 또는 3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8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7 또는 3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9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9 또는 4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1 또는 4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3 또는 4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2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45 또는 4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3 프라이머 쌍.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시료를 이용하여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용 표적 서열을 각각 증폭시키는 단계; 상기 증폭된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 증폭 산물 및 바이러스 검출용 증폭 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모세관 전기영동 방법으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는 STR(stort tandem repeat) 분석과 PCR 증폭 방법을 사용하여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유전자 좌위를 DNA 분석기 기반의 모세관 전기영동 방법으로 표적 바이러스 유전자와 함께 동시에 검출함으로써, 보편화된 실시간 PCR 방법과 비교하여 다종의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고, 어떤 개체가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를 한번에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이러스의 RNA 유전자로부터 합성된 cDNA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도면이다(1: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2: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3: 라이노바이러스, 4: 메타뉴모바이러스, 5~1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흡기질환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에 의한 검출 효과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도면이다(1: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2: 아데노바이러스, 3: 라이노바이러스, 4: 메타뉴모바이러스, 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RdRp), 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E gene), 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N gene), 8: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식별을 위한 유전자 좌위를 증폭한 산물과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한 산물을 혼합하여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식별을 위한 유전자 좌위를 증폭한 산물과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한 산물을 혼합하여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식별을 위한 유전자 좌위를 증폭한 산물과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한 산물을 혼합하여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식별을 위한 유전자 좌위를 증폭한 산물과 라이노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한 산물을 혼합하여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식별을 위한 유전자 좌위를 증폭한 산물과 메타뉴모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한 산물을 혼합하여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인식별을 위한 유전자 좌위를 증폭한 산물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한 산물을 혼합하여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되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6 내지 제23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서열번호 1 또는 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 또는 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 또는 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3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7 또는 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4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5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 또는 1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6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 또는 1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7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 또는 1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8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또는 1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9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또는 2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또는 2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또는 2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2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또는 2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3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또는 2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4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9 또는 3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5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1 또는 3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6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3 또는 3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7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5 또는 3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8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7 또는 3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9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9 또는 4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1 또는 4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3 또는 4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2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45 또는 4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3 프라이머 쌍.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6 내지 제23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31 또는 3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6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33 또는 3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7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35 또는 3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8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37 또는 3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9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39 또는 4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1 또는 4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1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43 또는 4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2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45 또는 4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3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6 내지 제23 프라이머 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구성하는 프라이머는 표적 위치에 특이적으로 결합을 유지하는 한, 서열번호 1 내지 46으로 각각 기재된 염기서열과 80% 이상, 90% 이상, 95% 이상, 97% 이상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갖거나, 변이된 변이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이체는 프라이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염기가 치환, 결실, 삽입 또는 제거된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흡기 바이러스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종류의 호흡기 바이러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호흡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influenza A virus),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influenza B 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및 메타뉴모바이러스(metapneumovir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a) 서열번호 31 또는 3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6 프라이머 쌍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검출하고; b) 서열번호 33 또는 3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7 프라이머 쌍은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를 검출하며; c) 서열번호 35 또는 3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8 프라이머 쌍은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하고; d) 서열번호 37 또는 3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9 프라이머 쌍은 라이노바이러스를 검출하며; e) 서열번호 39 또는 4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1 또는 4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1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43 또는 4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2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하고; 및 f) 서열번호 45 또는 4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3 프라이머 쌍은 메타뉴모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은 분자진단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용어, '분자진단(molecular detection)'은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분자 수준의 변화를 수치나 영상을 통해 검출해내는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분자진단은 일반적으로 DNA나 RNA 등의 핵산 분석을 말하나, 넓은 범위에서 단백질 분석 및 세포 내 대사체(metabolome)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DNA 분석을 통해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은 유전자 좌위나 호흡기 바이러스 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표적 위치를 증폭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유전자의 증폭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전자 증폭은 중합효소 연쇄반응,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 PCR),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multiplex P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구성하는 프라이머는 발색효소, 형광물질, 방사성 동위원소 또는 콜로이드 등의 검출체로 표지된 접합체일 수 있다. 발색효소는 퍼록시다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또는 산성 포스파타제일 수 있고, 형광물질은 티오우레아(FTH), 7-아세톡시쿠마린-3-일, 플루오레신-5-일, 플루오레신-6-일, 2',7'-디클로로플루오레신-5-일, 2',7'-디클로로플루오레신-6-일, 디하이드로 테트라메틸로사민-4-일, 테트라메틸로다민-5-일, 테트라메틸로다민-6-일, 4,4-디플루오로-5,7-디메틸-4-보라-3a,4a-디아자-s-인다센-3-에틸 또는 4,4-디플루오로-5,7-디페닐-4-보라-3a,4a-디아자-s-인다센-3-에틸, Cy3, Cy5, 폴리 L-라이신-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FITC), 로다민-B-이소티오시아네이트(RITC), PE(Phycoerythrin) 또는 로다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프라이머 세트나 이를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구성하는 프라이머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리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간드는 발색효소, 형광물질, 방사성 동위원소 또는 콜로이드 등의 검출체가 표지된 접합체, 및 스트렙타비딘 또는 아비딘이 처리된 리간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용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시약 외에도 이들의 구조를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증류수 또는 완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이에 포함되는 프라이머의 세척이나 복합체의 분리 등과 같은 이후 단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형 기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형 기질로는 합성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유리기판, 금속기판, 유리섬유, 미세구체 또는 미세비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는 폴리에스터,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PVDF 또는 나일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완충액, 안정화제, 불활성 단백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시약의 양을 탐색하기 위해 검출체로서 부착된 형광물질의 형광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되는 형광법 또는 검출체로서 부착된 방사선 동위원소의 방사선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되는 방사선법을 통한 초고속 스크리닝(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시스템, 검출체의 표지 없이 표면의 플라즈몬 공명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SPR(surface plasmon resonance) 방법 또는 SPR 시스템을 영상화하여 확인하는 SPRI(surface plasmon resonance imaging)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중합효소, dNTP 등과 같이 표적 부위를 증폭하기 위한 시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시료를 이용하여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용 표적 서열을 각각 증폭시키는 단계; 상기 증폭된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 증폭 산물 및 바이러스 검출용 증폭 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모세관 전기영동 방법으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제공 방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 세트나 이를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증폭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필요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개인식별 및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료라면 모든 시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료는 포유동물,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의 시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제공 방법에 사용되기 전에 상기 시료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별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연속추출, 원심분리 또는 젤 전기영동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처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STR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의 제작
STR 분석에 사용하기 위한 유전자 좌위를 선별하고, 이를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였다. 선별된 유전자 좌위를 도 1에, 제작된 프라이머의 서열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TH01, D21S11 및 Penta E 유전자 좌위에 대한 프라이머는 6-FAM(fluorescein)을, D5S818, D13S317, D7S820, D16S539, CSF1PO 및 Penta D 유전자 좌위에 대한 프라이머는 VIC(ABI, 미국)을, VWA, D8S1179, TPOX 및 FGA 유전자 좌위에 대한 프라이머는 NED(ABI, 미국)를 Amelogenin 및 D2S1338 유전자 좌위에 대한 프라이머는 PET(ABI, 미국)를 표지하였다.
좌위 프라이머 서열(5'→3') 서열번호
TH01 TH01F GTGATTCCCATTGGCCTGTTC 서열번호 1
TH01R ATTCCTGTGGGCTGAAAAGCTC 서열번호 2
D21S11 D21S11F ATATGTGAGTCAATTCCCCAAG 서열번호 3
D21S11R TGTATTAGTCAATGTTCTCCAGAGAC 서열번호 4
Penta E Penta E-F ATTACCAACATGAAAGGGTACCAATA 서열번호 5
Penta E-R TGGGTTATTAATTGAGAAAACTCCTTACAATTT 서열번호 6
D5S818 D5S818-F GGTGATTTTCCTCTTTGGTATCC 서열번호 7
D5S818-R AGCCACAGTTTACAACATTTGTATCT 서열번호 8
D13S317 D13S317F ATTACAGAAGTCTGGGATGTGGAGGA 서열번호 9
D13S317R GGCAGCCCAAAAAGACAGA 서열번호 10
D7S820 D7S820F ATGTTGGTCAGGCTGACTATG 서열번호 11
D7S820R GATTCCACATTTATCCTCATTGAC 서열번호 12
D16S539 D16S539F GGGGGTCTAAGAGCTTGTAAAAAG 서열번호 13
D16S539R GTTTGTGTGTGCATCTGTAAGCATGTATC 서열번호 14
CSF1PO CSF1POF CCGGAGGTAAAGGTGTCTTAAAGT 서열번호 15
CSF1POR ATTTCCTGTGTCAGACCCTGTT 서열번호 16
Penta D Penta D-F GAAGGTCGAAGCTGAAGTG 서열번호 17
Penta D-R ATTAGAATTCTTTAATCTGGACACAAG 서열번호 18
VWA VWA-F GCCCTAGTGGATGATAAGAATAATCAGTATGTG 서열번호 19
VWA-R GGACAGATGATAAATACATAGGATGGATGG 서열번호 20
D8S1179 D8S1179-F ATTGCAACTTATATGTATTTTTGTATTTCATG 서열번호 21
D8S1179-R ACCAAATTGTGTTCATGAGTATAGTTTC 서열번호 22
TPOX TPOX-F GCACAGAACAGGCACTTAGG 서열번호 23
TPOX-R CGCTCAAACGTGAGGTTG 서열번호 24
FGA FGA-F GGCTGCAGGGCATAACATTA 서열번호 25
FGA-R ATTCTATGACTTTGCGCTTCAGGA 서열번호 26
Amelogenin Amelogenin-F CCCTTTGAAGTGGTACCAGAGCA 서열번호 27
Amelogenin-R GCATGCCTAATATTTTCAGGGAATA 서열번호 28
D2S1338 D2S1338-F GGATTTGGAAACAGAAATGGCTTG 서열번호 29
D2S1338-R CCTAGCACTTAGAACTGTTTCTTG 서열번호 30
실시예 2.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의 제작
2-1. 프라이머 세트의 제작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influenza A virus),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influenza B 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및 메타뉴모바이러스(metapneumovirus)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제작된 서열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바이러스 프라이머 서열(5'→3') 서열번호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M protein_F CATCCTGTTGTATATGAGGCCCAT 서열번호 31
M protein_R GGACTGCAGCGTAGACGCTT 서열번호 32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hrmagglutinin_F GAATCTGCACTGGGATAACATC 서열번호 33
hrmagglutinin_R TTTGTTCTGTCRATGCATTATAGG 서열번호 34
아데노바이러스 hexon_F GCCGAGAAGGGCGTGCGCAGGTA 서열번호 35
hexon_R TACGCCAACTCCGCCCACGCGCT 서열번호 36
라이노바이러스 rhino RNA_F GAAACACGGACACCCAAAGTA 서열번호 37
rhino RNA_R TCCTCCGGCCCCTGAATG 서열번호 3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RdRp_F GCTCGCAAACATACAACGTG 서열번호 39
RdRp_R CATTAACATTGGCCGTGACA 서열번호 40
E gene_F TTCGGAAGAGACAGGTACGTTA 서열번호 41
E gene_R AGCAGTACGCACACAATCG 서열번호 42
N gene_F AAGGAAATTTTGGGGACCAG 서열번호 43
N gene_R GAGTCAGCACTGCTCATGGA 서열번호 44
메타뉴모바이러스 meta RNA_F GTGATGCACTCAAGAGATACCC 서열번호 45
meta RNA_R CATTGTTTGACCGGCCCCATAA 서열번호 46
2-2. 바이러스 주형의 준비
상기 제작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표적 바이러스를 검출하는데 주형으로 사용될 바이러스 유전자를 준비하였다.
먼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및 메타뉴모바이러스 각각의 유전자를 병원성 바이러스 은행(KBPV)으로부터 분양받았다. 이중에서 RNA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및 메타뉴모바이러스와 같이 RNA를 유전자로 갖는 바이러스는 RNA를 cDNA로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1 ㎍의 RNA 및 1 ㎕의 올리고 dT를 혼합하여 42℃에서 4분 동안 가열하고, 이를 얼음에 냉각시켰다. 이후, 여기에 10 ㎕의 10× 역전사 완충용액, 2 ㎕의 dNTP, 0.5 ㎕의 RNase 억제제, 1 ㎕의 역전사효소 및 4.5 ㎕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2℃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95℃에서 5분 동안 끓여 역전사효소를 비활성화시키고, 합성된 cDNA를 수득하였다. 합성된 cDNA는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및 메타뉴모바이러스의 cDNA가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2-3. 프라이머의 바이러스 검출능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검출능을 PCR 분석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 ㎕의 바이러스 주형 DNA, 5 ㎕의 10× PCR 완충용액, 4 ㎕의 2.5 mM dNTP, 1 ㎕의 25 μM 정방향 프라이머, 1 ㎕의 25 μM 역방향 프라이머, 0.25 ㎕의 ExTaq 중합효소(Takara, 일본) 및 37.75 ㎕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PCR 반응물을 준비하였다. 이때,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는 상기 표 2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였으며, PCR은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PCR 반응이 끝난 후, PCR 산물은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초기 변성 단계 95℃, 5분 1회
변성 단계 95℃, 30초 35회
어닐링(anneling) 60℃, 40초
연신(elongation) 72℃, 1분
후기 연신 단계 72℃, 10분 1회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작한 프라이머에 의해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및 메타뉴모바이러스가 특이적으로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동시 확인
1-1. 게놈 DNA의 분리
인간 게놈 DNA를 상피세포로부터 분리하였다.
먼저, 면봉을 구강 내에 문질러 상피세포를 채취하였다. 상피세포를 채취한 면봉의 표면을 핀셋으로 분리하여 새 튜브에 넣었다. 상기 튜브에 200 ㎕의 5% 첼렉스(chelex) 및 4 ㎕의 프로테이나제 K(proteinase K)를 넣고, 63℃에서 10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기 튜브를 95℃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새 튜브로 옮겨 게놈 DNA를 수득하였다.
1-2.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확인
상기 실험예 1-1에서 수득한 게놈 DNA와 실시예 2에서 준비한 바이러스 유전자 주형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전자 증폭을 수행하였다. 이후, 게놈 DNA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수득된 PCR 산물과, 각각의 바이러스 유전자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수득된 PCR 산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130XL 유전형 분석기(genetic analyzer, 16 capillary, ABI, 미국)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3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개인의 유전자 좌위에 따른 STR 분석 결과와 호흡기 바이러스의 검출을 확인할 수 있는 피크(peak)가 적절한 비율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10> HPBIO Inc. <120> PRIMER SET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OF RESPIRATORY VIRUSES INFECTION AND USE THEREOF <130> DP-2020-0296-KR-1 <150> KR 10-2020-0160100 <151> 2020-11-25 <160> 4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H01F <400> 1 gtgattccca ttggcctgtt c 21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H01R <400> 2 attcctgtgg gctgaaaagc tc 22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21S11F <400> 3 atatgtgagt caattcccca ag 22 <210> 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21S11R <400> 4 tgtattagtc aatgttctcc agagac 26 <210> 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ta E-F <400> 5 attaccaaca tgaaagggta ccaata 26 <210> 6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ta E-R <400> 6 tgggttatta attgagaaaa ctccttacaa ttt 33 <210> 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5S818-F <400> 7 ggtgattttc ctctttggta tcc 23 <210> 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5S818-R <400> 8 agccacagtt tacaacattt gtatct 26 <210> 9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13S317F <400> 9 attacagaag tctgggatgt ggagga 26 <210> 1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13S317R <400> 10 ggcagcccaa aaagacaga 19 <210> 1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7S820F <400> 11 atgttggtca ggctgactat g 21 <210> 1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7S820R <400> 12 gattccacat ttatcctcat tgac 24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16S539F <400> 13 gggggtctaa gagcttgtaa aaag 24 <210> 14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16S539R <400> 14 gtttgtgtgt gcatctgtaa gcatgtatc 29 <210> 1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SF1POF <400> 15 ccggaggtaa aggtgtctta aagt 24 <210> 1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SF1POR <400> 16 atttcctgtg tcagaccctg tt 22 <210> 1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ta D-F <400> 17 gaaggtcgaa gctgaagtg 19 <210> 1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ta D-R <400> 18 attagaattc tttaatctgg acacaag 27 <210> 19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WA-F <400> 19 gccctagtgg atgataagaa taatcagtat gtg 33 <210> 20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WA-R <400> 20 ggacagatga taaatacata ggatggatgg 30 <210> 21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8S1179-F <400> 21 attgcaactt atatgtattt ttgtatttca tg 32 <210> 22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8S1179-R <400> 22 accaaattgt gttcatgagt atagtttc 28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OX-F <400> 23 gcacagaaca ggcacttagg 20 <210> 2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POX-R <400> 24 cgctcaaacg tgaggttg 18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GA-F <400> 25 ggctgcaggg cataacatta 20 <210> 2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GA-R <400> 26 attctatgac tttgcgcttc agga 24 <210> 2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elogenin-F <400> 27 ccctttgaag tggtaccaga gca 23 <210> 2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elogenin-R <400> 28 gcatgcctaa tattttcagg gaata 25 <210> 2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2S1338-F <400> 29 ggatttggaa acagaaatgg cttg 24 <210> 3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2S1338-R <400> 30 cctagcactt agaactgttt cttg 24 <210> 3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 protein_F primer <400> 31 catcctgttg tatatgaggc ccat 24 <210> 3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 protein_R primer <400> 32 ggactgcagc gtagacgctt 20 <210> 3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rmagglutinin_F primer <400> 33 gaatctgcac tgggataaca tc 22 <210> 3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rmagglutinin_R primer <400> 34 tttgttctgt cratgcatta tagg 24 <210> 3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xon_F primer <400> 35 gccgagaagg gcgtgcgcag gta 23 <210> 3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xon_R primer <400> 36 tacgccaact ccgcccacgc gct 23 <210> 3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hino RNA_F primer <400> 37 gaaacacgga cacccaaagt a 21 <210> 3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hino RNA_R primer <400> 38 tcctccggcc cctgaatg 18 <210> 3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dRp_F primer <400> 39 gctcgcaaac atacaacgtg 20 <210> 4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dRp_R primer <400> 40 cattaacatt ggccgtgaca 20 <210> 4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 gene_F primer <400> 41 ttcggaagag acaggtacgt ta 22 <210> 4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 gene_R primer <400> 42 agcagtacgc acacaatcg 19 <210> 4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 gene_F primer <400> 43 aaggaaattt tggggaccag 20 <210> 4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 gene_R primer <400> 44 gagtcagcac tgctcatgga 20 <210> 4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eta RNA_F primer <400> 45 gtgatgcact caagagatac cc 22 <210> 4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eta RNA_R primer <400> 46 cattgtttga ccggccccat aa 22

Claims (7)

  1.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하기 제16 내지 제23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1 또는 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 또는 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 또는 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3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7 또는 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4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9 또는 1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5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 또는 1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6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3 또는 1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7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5 또는 1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8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또는 1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9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또는 2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1 또는 2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3 또는 2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2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5 또는 2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3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7 또는 2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4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9 또는 3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5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1 또는 3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6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3 또는 3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7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5 또는 3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8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7 또는 3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9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9 또는 4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1 또는 4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1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3 또는 4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2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45 또는 4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3 프라이머 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5 프라이머 쌍,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16 내지 제23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influenza A virus),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influenza B 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및 메타뉴모바이러스(metapneumovir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a) 서열번호 31 또는 3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6 프라이머 쌍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검출하고;
    b) 서열번호 33 또는 3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7 프라이머 쌍은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를 검출하며;
    c) 서열번호 35 또는 3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8 프라이머 쌍은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하고;
    d) 서열번호 37 또는 38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19 프라이머 쌍은 라이노바이러스를 검출하며;
    e) 서열번호 39 또는 40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0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41 또는 42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1 프라이머 쌍, 및 서열번호 43 또는 44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2 프라이머 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쌍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하고; 및
    f) 서열번호 45 또는 46으로 기재된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제23 프라이머 쌍은 메타뉴모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5.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6.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키트.
  7.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 및 시료를 이용하여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 및 호흡기 바이러스를 검출용 표적 서열을 각각 증폭시키는 단계;
    상기 증폭된 개인식별용 유전자 좌위 증폭 산물 및 바이러스 검출용 증폭 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모세관 전기영동 방법으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제공 방법.
KR1020210163151A 2020-11-25 2021-11-24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20073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7470 WO2022114803A1 (ko) 2020-11-25 2021-11-25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00 2020-11-25
KR20200160100 2020-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673A true KR20220073673A (ko) 2022-06-03

Family

ID=8198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151A KR20220073673A (ko) 2020-11-25 2021-11-24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36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14B1 (ko) 2005-11-11 2008-04-23 대한민국 호흡기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단일튜브-멀티플렉스rt-pcr 방법 및 프라이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14B1 (ko) 2005-11-11 2008-04-23 대한민국 호흡기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단일튜브-멀티플렉스rt-pcr 방법 및 프라이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9308B1 (en) Method of preparing a standard diagnostic gene transcript pattern
US20050227225A1 (en) Stabilization of biomolecules in samples
US20190010538A1 (en) Saliva collection, processing, stabilization, and storage method
KR101964746B1 (ko) dCas9 단백질 및 표적 핵산 서열에 결합하는 gRNA를 이용한 핵산 검출의 민감도 및 특이도 향상용 조성물 및 방법
JP2017501719A (ja) 核酸検出法およびキット
CN111286559A (zh) 检测非洲猪瘟病毒的引物、探针及试剂盒
KR100832860B1 (ko)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용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dna칩
WO2018029452A1 (en) Flavivirus diagnostic assay
CN108913815B (zh) 一种检测牛诺如病毒和牛冠状病毒的引物组和双重rt-pcr方法
KR20220073673A (ko)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0819634B1 (ko) 성 전파 질환 검사를 위한 신규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성 전파 질환 검사용 dna칩,분석키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1365B1 (ko) 장상피세포 내 특이적 발현 아토피피부염 유전자 ptgr2
KR101236197B1 (ko) 웨스트나일바이러스와 일본뇌염바이러스의 감별 진단
KR102076343B1 (ko) 실시간 lamp법을 이용한 아데노바이러스 55형 검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05617B1 (ko) 신장이식 후 T 세포 매개성 거부반응의 진단을 위한 소변 엑소좀 유래 miRNA 유전자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196930B1 (ko) 인체유두종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인체유두종바이러스의 검출방법
KR20210073220A (ko)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및 쯔쯔가무시증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WO2022114803A1 (ko) 개인식별 및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393392B1 (ko) 매독 진단용 조성물 및 다중 등온증폭 프라이머 세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신속성, 정확성 및 휴대성이 향상된 키트와 진단키트를 통한 육안진단방법
KR102494777B1 (ko) 다중 등온증폭 기반 뎅기바이러스 감염병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이를 포함하는 뎅기바이러스 감염병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뎅기바이러스 감염병 육안진단방법
KR102468964B1 (ko) 뎅기, 지카 및 치쿤구니야를 포함한 다중 모기 매개 감염병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와 이를 이용한 동시다중 분자진단 방법과 랩온페이퍼 기반 진단 키트
CN111808950B (zh) 一种甲状腺乳头状癌miRNA标志物及其应用
KR102306941B1 (ko) SARS-CoV-2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기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진단
JP7360752B2 (ja) 重症熱性血小板減少症候群ウイルス遺伝子検出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重症熱性血小板減少症候群の診断方法
EP4056718A1 (en) Composition for detection of sars-cov-2 virus gene and covid-19 diagnosismethod using real-time rt-p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