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626A -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3626A
KR20220073626A KR1020210096747A KR20210096747A KR20220073626A KR 20220073626 A KR20220073626 A KR 20220073626A KR 1020210096747 A KR1020210096747 A KR 1020210096747A KR 20210096747 A KR20210096747 A KR 20210096747A KR 20220073626 A KR20220073626 A KR 2022007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tic display
display panel
color
chang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오도
양한이
서재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1898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15987A4/en
Priority to PCT/KR2021/013406 priority patent/WO2022114493A1/ko
Priority to CN202180077007.1A priority patent/CN116547598A/zh
Publication of KR2022007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626A/ko
Priority to KR1020230000421A priority patent/KR102633117B1/ko
Priority to US18/302,424 priority patent/US202302583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을 이용하여 외관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외관 패널의 교체 없이도 외관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가전 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도어 바디,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및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명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REFRIGERATOR, HOME APPLIC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외관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가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 기기는, 주로 사용자의 가정 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사에 도움이 되는 기기를 의미하며, 냉장고, 공기 조화기, 공기 청정기, 청소기, 조리 기기, 식기 세척기, 의류 관리기, 세탁기 등이 있다.
최근에는 가전 기기의 외관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외관 패널을 변경할 수 있는 가전 기기가 등장하였으며, 사용자는 외관 패널을 변경함으로써 가전 기기의 외관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외관 패널 변경을 통한 외관 디자인 변경은, 외관 패널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며, 외관 패널을 재설치해야 하여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의 손실이 있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을 이용하여 외관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외관 패널의 교체 없이도 외관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가전 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도어 바디,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및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명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패널은, 유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동작 상태가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실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실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실의 내부 상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냉장고의 고장 시 색상이 교번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명 패널;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패널은, 유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동작 상태가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청정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 주기 또는 미세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청소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집진통의 먼지 포화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조리 기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리 기기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식기세척기, 세탁기 또는 의류 관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전 기기의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가전 기기에 의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을 이용하여 외관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외관 패널의 교체 없이도 외관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및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널이 투명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저장실의 내부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고장 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이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외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색상 변경 조건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필터 교체 주기 또는 미세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가 집진통의 먼지 포화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가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가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가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중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전 기기는 외면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이 부착되어 사용자 입력 또는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전 기기는, 냉장고, 공기 조화기, 공기 청정기, 청소기, 조리 기기, 식기 세척기, 의류 관리기,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전 기기의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가정 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사에 도움이 되는 기기이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냉장고를 가전 기기의 일 유형으로 설명하며, 냉장고에 대한 설명은 다른 유형의 가전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는, 냉장고(1-1)에 해당할 수 있으며, 냉장고(1-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저장실(2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냉장고(1-1)의 본체(10)는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100a, 100b, 100c, 100d; 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내상과 외상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0)을 단열시키는 본체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실(20)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25) 및 저장용기(26)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의 저장실(22, 23, 24)로 분할될 수 있으며, 파티션(15)은 저장실(20) 내부에 가로로 결합되어 저장실(20)을 상부 저장실(또는 제1 저장실, 22)과 하부 저장실(23, 24)로 분할하는 제1 파티션(17)과, 하부 저장실(23, 24)에 세로로 결합되어 하부 저장실(23, 24)을 제2 저장실(23)과 제3 저장실(24)로 분할하는 제2 파티션(19)을 포함한다.
제1 파티션(17)과 제2 파티션(19)이 결합되어 T자 형상을 갖는 파티션(15)은 저장실(20)을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에 의해 분할되는 상부 저장실(22)과 하부 저장실(23, 24) 중 상부 저장실(22)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 저장실(23, 24)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 24)은 전체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제2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3 저장실(24)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제2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3 저장실(24)은 냉동실 및 냉장실 모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실(20)의 분할은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각각의 저장실(22, 23, 24)은 상기의 설명과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00)는 상부 저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상부 도어(100a, 100b)와, 하부 저장실(23, 24)을 개폐하는 한 쌍의 하부 도어(100c, 100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도어(100a, 100b)와 한 쌍의 하부 도어(100c, 100d)는 개방된 본체(10)의 본체 개구(10a)를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도어(100a, 100b) 중 하나(예: 100a)에는 회전 바(103)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바(103)는 한 쌍의 상부 도어(100a, 100b)가 닫힌 때, 한 쌍의 상부 도어(100a, 100b) 사이의 틈을 밀폐시킬 수 있다. 본체(10)에는 회전 바(10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 바 가이드(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2)은 저장실(20)이 마련되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도어(100a, 100b)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도어(100a, 100b)는 상부 도어 손잡이(미도시)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손잡이는 상부 도어(100a, 100b)의 저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00a, 100b)의 배면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선반(105)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선반(105)은 도어선반(105)의 좌우 양측에서 도어선반(105)을 지지하도록 상부 도어(100a, 100b)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선반지지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107)는 별도의 구성으로 상부 도어(100a, 100b)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도어(100a, 100b)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상부 도어(100a, 100b)의 배면 테두리에는 상부 도어(100a, 100b)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제1 가스켓(109)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스켓(109)은 상부 도어(100a, 100b)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제1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 24)은 저장실(20)이 마련되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도어(100c, 100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하부 도어(100c, 100d)는 하부 도어 손잡이(104)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하부 도어 손잡이(104)는 하부 도어(100c, 100d)의 상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 도어(100c, 100d)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하부 도어(100c, 100d)의 배면 테두리에는 하부 도어(100c, 100d)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제2 가스켓(106)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스켓(106)은 하부 도어(100c, 100d)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제2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도어(100)(예: 좌측 상부 도어(100a))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나머지 도어(100)(예: 우측 상부 도어(100b), 하부 도어(100c, 100d))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설명을 생략한 상부 도어(100b)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부 도어(100a)와 상호 거울 대칭(mirror symmetry)으로 마련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이 각각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100c, 100d)에도 상부 도어(100a)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부 도어(100a)의 구성과 동일한 하부 도어(100c, 100d)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의 도어(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의 도어(100) 및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예: 좌측 상부 도어 (100a))는, 도어 바디(101)와 도어 바디(101)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 패널(1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02)은 도어 바디(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패널(102)은,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도어 바디(10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패널(102)은, 패널 바디의 제1 테두리부에 배치되며 도어 바디(101)에 대해 회동하며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 트림(미도시)과, 패널 바디의 제1 테두리부와 반대되는 제2 테두리부에 배치되며, 제1 트림이 도어 바디(101)에 결합된 때 도어 바디(101)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 트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02)은 도어(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패널(102)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또는 냉장고(1-1)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디자인 또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 패널(102)의 물리적 교체 없이도 원하는 디자인 또는 색상으로 냉장고(1-1)의 외관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1)는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동작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패널 본체(151)와, 패널 본체(151)와 냉장고(1-1)의 프로세서와 연결하는 커넥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본체(151)는, 잉크 캡슐이 마련되는 활성화 필름(front plane laminate, FPL)(151a)와, 활성화 필름(151a)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전극층(151b)과, 활성화 필름(151a)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전극층(15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전극층(151b) 및 하부 전극층(151c) 각각은 접착 부재(예: top plane adhesive, TPA)(151d, 151e)에 의해 커넥터(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작 부재(151d, 151e) 및 커넥터(152)를 통하여 커넥터(152)와 연결된 냉장고(1-1)의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활성화 필름(151a)의 잉크 캡슐로 전하를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극층(151b, 151c)은 TFT(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 필름(151a)은, 색상 입자들이 포함된 작은 잉크 캡슐을 화소로 사용하며, 전극층(151b, 151c)으로부터 전달되는 전하에 기초하여 각각의 잉크 캡슐의 내부 색상 입자들의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화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 필름(151a)의 색상 입자들은 유색 입자로 마련될 수 있어 활성화 필름(151a)이 다양한 색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활성화 필름(151a)이 검은 흡광 인자로 구성되며,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여 픽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패널 본체(151)는, 상부 전극층(151b)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호 시트(protection sheet, PS)(151f)와 하부 전극층(151c)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시트(151g)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 본체(151)는 전극층(151b, 151c)의 TFT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IC(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냉장고(1-1)는, 도어 패널(102)을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함으로써, 냉장고(1-1)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저전력으로 구동하며 픽셀의 내용이 변화할 때만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지 화면을 계속 띄워놓을 때는 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냉장고(1-1)의 에너지 효율을 높은 등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유연성(flexibility)이 있어 곡선으로 구성되는 가전 기기(1)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시야각의 제한이 없어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어 패널(102)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이 아닌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예: ClearInk, 전기습윤 디스플레이(electrowetting display, EWD), Memory LCD, 간섭 모듈 디스플레이(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IMOD), LCD 패널)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널(102)이 투명 패널(155)을 더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널(102)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명 패널(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패널(155)은, 실시예에 따라, 유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투명 패널(155)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실시예에 따라, 보호 시트(151f, 151g)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냉장고(1-1)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102)이 표시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상에서의 설명은 냉장고(1-1) 이외의 가전 기기(1)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세어슨 가전 기기(1)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 또는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는,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110)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0)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트랜시버(130)와, 사용자 입력 또는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40)와,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표시되는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10)는, 가전 기기(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온도 센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가전 기기(1)의 동작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가스 센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가전 기기(1)(예: 냉장고(1-1)) 내부의 악취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이미지 센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가전 기기(1)(예: 냉장고(1-1)) 내부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미세 먼지 센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가전 기기(1)가 위치한 공간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가전 기기(1)가 청소기인 경우 청소기의 집진통에 마련되어 먼지 포화도를 감지하는 집진통 센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집진통 센서는 광 센서, 이미지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는, 가전 기기(1)의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기 공지된 유형의 입력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디자인 변경 명령 또는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가전 기기(1)의 동작 모드나 동작 온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130)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선 통신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트랜시버(130)는,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 폰)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디자인 변경 명령 또는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130)는,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130)는, 실시예에 따라,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20)를 통하여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1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표시하는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고려하여, 동작 상태가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냉장고(1-1)에 해당하는 경우, 저장실(20)의 동작 모드, 동작 온도, 또는 내부 상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가전 기기(1)의 고장 시 색상이 교번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외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공기 조화기 또는 조리 기기에 해당하는 경우,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공기 청정기에 해당하는 경우, 필터 교체 주기 또는 미세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청소기에 해당하는 경우, 청소기의 집진통의 먼지 포화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식기 세척기, 세탁기 또는 의류 관리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가전 기기(1)의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가전 기기(1)의 본체 외면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색상 또는 디자인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가전 기기(1)의 외관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60)는,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가전 기기(1)의 동작 모드, 동작 온도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동작 상태 및 표시 색상 사이의 상관 관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가전 기기(1)의 제어에 필요한 구성 요소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가전 기기(1)가 사용자 입력 또는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외면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각 실시예 별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1)는, 트랜시버(1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로부터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장고(1-1)는, 본체(10)에 마련되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입력부(120)를 통하여 수신된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하는 것은, 프로세서(140)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공급되는 전하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커넥터(152)를 통하여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활성화 필름(151a) 공급되는 전하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 또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색상을 변경하고자 하는 제품을 냉장고(1-1)로 선택할 수 있으며, 색상을 변경하고자 하는 도어(100) 및 변경하고자 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 도어(100a)의 색상을 흰색으로 선택하고, 우측 상부 도어(100b)의 색상을 베이지색으로 선택하고, 좌측 하부 도어(100c)의 색상을 회색으로 선택하고, 우측 하부 도어(100d)의 색상을 차콜색으로 선택하는 경우, 냉장고(1-1)는, 좌측 상부 도어(100a)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흰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우측 상부 도어(100b)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베이지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좌측 하부 도어(100c)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회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우측 하부 도어(100d)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차콜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하여 냉장고(1-1)의 외면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 또는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별도의 패널 교체 없이도 원하는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냉장고(1-1)의 외관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가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가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가 저장실(20)의 내부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가 고장 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이 교번하도록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가 외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냉장고(1-1)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표시하는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냉장고(1-1)의 동작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냉장고(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20)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한 입력을 통하여 저장실(2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냉장고(1-1)는, 저장실(20)에 마련된 센서(이미지 센서)(110)를 통하여 저장실(20)에 보관되는 음식물의 유형을 감지하고, 보관 음식물의 유형에 기초하여 저장실(2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저장실(20)의 동작 모드는, 제조사가 제공하는 것으로, 동작 모드 별로 저장실(20)에 보관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적합한 동작 온도 및 동작 습도 등 음식물 보관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는, 와인 보관 모드, 김치 보관 모드, 채소 보관 모드, 고기 보관 모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동작 모드의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동작 모드는, 외부 서버로부터 갱신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냉장고(1-1)는, 동작 모드 및 색상 사이의 상관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실(20)의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1)는, 좌측 상부 도어(100a)에 대응되는 저장실(20)이 와인 보관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와인 보관 모드에 대응되는 보라색을 표시하도록 좌측 상부 도어(100a)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1)는, 우측 상부 도어(100b)에 대응되는 저장실(20)이 김치 보관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김치 보관 모드에 대응되는 적색을 표시하도록 우측 상부 도어(100b)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1)는, 좌측 하부 도어(100c)에 대응되는 저장실(24)이 채소 보관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채소 보관 모드에 대응되는 녹색을 표시하도록 좌측 하부 도어(100c)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1)는, 우측 하부 도어(100d)에 대응되는 저장실(23)이 고기 보관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고기 보관 모드에 대응되는 분홍색을 표시하도록 우측 하부 도어(100d)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저장실(20)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저장실(20) 별 동작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냉장고(1-1)는, 저장실(20)의 동작 온도 및 색상 사이의 상관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실(20)의 동작 온도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1)는, 상부 저장실(22)의 동작 온도가 -5℃로 설정되어 냉장실로 사용되는 경우 상부 도어(100a, 100b) 각각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하늘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1)는, 하부 저장실(23, 24) 각각이 -10℃, -15℃로 설정되어 냉동실로 사용되는 경우 하부 도어(100c, 100d) 각각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청색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저장실(20)의 내부 상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1)는, 저장실(20)에 마련되는 센서(가스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저장실(20)에서 악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검은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1)는, 저장실(20)에 마련되는 센서(이미지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저장실(20)의 용량을 초과하여 음식물이 보관되는 경우 적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냉장고(1-1)는, 저장실(20)의 내부 상태가 음식물 보관에 부적합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실(20)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고장 시 색상을 교번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1)의 프로세서(140)는, 냉장고(1-1)의 현재 상태가 미리 설정된 고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색상을 교번하여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냉장고(1-1)의 고장 여부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발생 시 제1 색과 제2 색을 교번하여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외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트랜시버(130)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외부 날씨 정보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장고(1-1)는, 외부 날씨를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1)는, 외부 날씨 정보가 맑음을 나타내는 경우 하늘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하고, 외부 날씨 정보가 비를 나타내는 경우 청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하고, 외부 날씨 정보가 흐름을 나타내는 경우 회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하고, 외부 날씨 정보가 눈을 나타내는 경우 흰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색상 변경 조건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색상 변경 조건 각각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동작 모드 및 동작 온도를 색상 변경 조건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냉장고(1-1)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1)는, 현재의 동작 상태가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동작 모드 및 동작 온도가 색상 변경 조건으로 선택되는 경우, 냉장고(1-1)는 동작 모드 또는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색상 변경 조건을 선택할 수 있어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서만 색상을 변경하도록 냉장고(1-1)를 제어할 수 있어, 기호에 맞는 색상 변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1-1) 이외의 가전 기기(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냉장고(1-1)에서의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전 기기(1)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2)가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2)는, 내부에 실내 공기로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기로 실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고, 공기 조화기(1-2)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2)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2)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마련되는 내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00-2)을 포함한다. 이때, 전면 패널(100-2)은, 열교환기를 통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패널(101-2)과, 배출 패널(101-2) 이외의 영역에 마련되는 외면 패널(102-2)을 포함한다.
이때, 외면 패널(102-2)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외면에 위치하여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공기 조화기(1-2)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2)는, 공기 조화기(1-2)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하여 공기 조화기(1-2)의 동작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1-2)는 설정된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1-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온도가 28℃에서 30℃에 해당하는 경우 흰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 온도가 24℃에서 28℃에 해당하는 경우 하늘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 온도가 18℃에서 24℃에 해당하는 경우 청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기 조화기(1-2)의 동작 온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3)가 필터 교체 주기 또는 미세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3)는, 내부에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와 필터로 실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고, 공기 청정기(1-3)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3)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3)는, 필터 및 송풍팬이 마련되는 내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00-3)을 포함한다. 이때, 전면 패널(100-3)은,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패널(101-3)과, 배출 패널(101-3) 이외의 영역에 마련되는 외면 패널(102-3)을 포함한다.
이때, 외면 패널(102-3)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외면에 위치하여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공기 청정기(1-3)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3)는, 실내의 미세 먼지 농도나 필터 교체 주기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청정기(1-3)의 프로세서(140)는, 센서(미세 먼지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을수록 진한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1-3)는, 미세 먼지 농도가 낮은 경우 흰색을 표시하고, 미세 먼지 농도가 중간인 경우 베이지색을 표시하고,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주황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3)의 프로세서(140)는, 필터 교체 주기에 기초하여 필터 교체 주기가 임박할수록 진한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청정기(1-3)는, 필터 교체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에 기초하여 필터 교체 주기의 임박 여부를 결정하거나, 센서(오염 감지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필터 교체 주기의 임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1-3)는, 필터 교체 주기가 많이 남은 경우 흰색을 표시하고, 필터 교체 주기가 중간 정도 남은 경우 베이지색을 표시하고, 필터 교체 주기가 조금 남은 경우 주황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1-2)의 필터 교체 주기 또는 실내 공기의 미세 먼지 농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4)가 집진통(100-4)의 먼지 포화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4)는,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모터를 포함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4)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4)는,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통(100-4)을 포함하며, 집진통(100-4)의 외면에는 외면 패널(102-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외면 패널(102-3)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외면에 위치하여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청소기(1-4)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청소기(1-4)는, 집지통(100-4)의 먼지 포화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1-4)는, 먼지 포화도가 높아질수록 진한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먼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혐오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1-4)는, 먼지 포화도가 30%미만인 경우 흰색을 표시하고, 먼지 포화도가 30%이상에서 80%미만인 경우 회색을 표시하고, 먼지 포화도가 80%이상인 경우 검은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5)가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5)는, 내부에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열원을 포함하고, 조리 기기(1-5)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5)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5)는, 열원이 마련되는 내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00-5)을 포함한다. 이때, 전면 패널(100-5)은, 열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는 가열 패널(101-5)과, 가열 패널(101-5) 이외의 영역에 마련되는 외면 패널(102-5)을 포함한다.
이때, 외면 패널(102-5)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5)의 외면에 위치하여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조리 기기(1-5)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조리 기기(1-5)는, 조리 기기(1-5)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 기기(1-5)는 가열 동작에 따라 동작 온도가 높아질수록 진한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온도가 50℃에서 70℃에 해당하는 경우 흰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 온도가 70℃에서 100℃에 해당하는 경우 선홍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 온도가 100℃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적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조리 기기(1-5)의 동작 온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이후에 음식물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조리 기기(1-5)의 온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6)가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6)는 내부에 세척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6)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6)는, 세척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0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100-6)는, 도어 본체(101-6)와 도어 본체(101-6)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 패널(10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어 패널(102-6)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6)의 외면에 위치하여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식기 세척기(1-6)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1-6)는, 세척 행정의 진행 정도에 따라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1-6)는, 오프 중에는 흰색을 표시하고, 세척 행정이 진행되는 중에는 자주색을 표시하고, 세척 행정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녹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식기 세척기(1-6)는, 동작 진행 정도에 따라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1-6)의 세척 행정 진행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7)가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7)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7)는, 의류 관리실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미도시)와,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기계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7)는, 의류 관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0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100-7)는, 도어 본체(101-7)와 도어 본체(101-7)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 패널(10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어 패널(102-7)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6)의 외면에 위치하여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의류 관리기(1-7)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관리기(1-7)는, 의류 관리 행정의 진행 정도에 따라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관리기(1-7)는, 오프 중에는 흰색을 표시하고, 의류 관리 행정이 진행되는 중에는 자주색을 표시하고, 의류 관리 행정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녹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의류 관리기(1-7)는, 동작 진행 정도에 따라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류 관리기(1-7)의 의류 관리 행정 진행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8)가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8)는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터브(미도시)가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8)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8)는, 터브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0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100-8)는, 도어 본체(101-8)와 도어 본체(101-8)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 패널(10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어 패널(102-8)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8)의 외면에 위치하여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세탁기(1-8) 외관의 디자인 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기(1-8)는, 세탁 행정의 진행 정도에 따라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8)는, 오프 중에는 흰색을 표시하고, 세탁 행정이 진행되는 중에는 하늘색을 표시하고, 세탁 행정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청색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세탁기(1-8)는, 동작 진행 정도에 따라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기(1-8)의 세척 행정 진행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가전 기기(1)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가전 기기(1)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가전 기기(1)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는, 색상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2210의 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2220).
즉,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20)를 통하여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트랜시버(1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입력부(120) 또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1)의 외면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 또는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별도의 패널 교체 없이도 원하는 색상 또는 디자인으로 가전 기기(1)의 외관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의 제어 방법 중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1)는,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고(2310의 예), 동작 상태가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2320의 예),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2330).
즉,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이 표시하는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고려하여, 동작 상태가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냉장고(1-1)에 해당하는 경우, 저장실(20)의 동작 모드, 동작 온도, 또는 내부 상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가전 기기(1)의 고장 시 색상이 교번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실시예에 따라, 외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공기 조화기 또는 조리 기기에 해당하는 경우,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공기 청정기에 해당하는 경우, 필터 교체 주기 또는 미세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청소기에 해당하는 경우, 청소기의 집진통의 먼지 포화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가 식기 세척기, 세탁기 또는 의류 관리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가전 기기(1)의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가전 기기(1)는,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1)의 외면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색상 또는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가전 기기(1)의 동작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가전 기기 10: 본체
110: 센서 120: 입력부
130: 트랜시버 140: 프로세서
150: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160: 메모리

Claims (18)

  1.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도어 바디.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및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명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유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동작 상태가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실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실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실의 내부 상태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냉장고의 고장 시 색상이 교번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냉장고.
  10.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명 패널; 및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유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가전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색상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색상 변경 조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동작 상태가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 변경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조화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공기 청정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 주기 또는 미세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청소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집진통의 먼지 포화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조리 기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리 기기의 동작 온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식기세척기, 세탁기 또는 의류 관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전 기기의 동작 진행 정도에 기초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KR1020210096747A 2020-11-26 2021-07-22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3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98320.3A EP4215987A4 (en) 2020-11-26 2021-09-29 REFRIGERATOR, HOUSEHOLD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1/013406 WO2022114493A1 (ko) 2020-11-26 2021-09-29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2180077007.1A CN116547598A (zh) 2020-11-26 2021-09-29 冰箱、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KR1020230000421A KR102633117B1 (ko) 2020-11-26 2023-01-02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8/302,424 US20230258388A1 (en) 2020-11-26 2023-04-18 Refrigerator,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1381 2020-11-26
KR1020200161381 2020-11-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421A Division KR102633117B1 (ko) 2020-11-26 2023-01-02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626A true KR20220073626A (ko) 2022-06-03

Family

ID=819831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747A KR20220073626A (ko) 2020-11-26 2021-07-22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40014157A KR20240017891A (ko) 2020-11-26 2024-01-30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4157A KR20240017891A (ko) 2020-11-26 2024-01-30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73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70A1 (ko) * 2022-07-20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70A1 (ko) * 2022-07-20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891A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117B1 (ko)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EP2886981B1 (en) Display apparatus
KR102098689B1 (ko) 냉장고
KR20240017891A (ko) 냉장고,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2758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제품
KR20200087049A (ko) 냉장고
JP6230299B2 (ja) 冷蔵庫
KR10245816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CN102997603A (zh) 冰箱
AU2020393453B2 (en) Refrigerator
KR102197963B1 (ko) 냉장고
CN104344655A (zh) 用于冰箱制冷间室的隔板,制冷间室及冰箱
CN116547598A (zh) 冰箱、家用电器及其控制方法
KR102663842B1 (ko) 냉장고
KR102630194B1 (ko) 냉장고
KR20200038222A (ko) 냉장고
JP2016142424A (ja) 冷蔵庫
KR102486508B1 (ko) 냉장고
KR102634122B1 (ko) 냉장고
JP6745947B2 (ja) 冷蔵庫
KR102665527B1 (ko) 냉장고
CN102727011B (zh) 陈列柜
KR20240016859A (ko) 가전 기기 및 냉장고
KR20150045255A (ko) 냉장고의 저장실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148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