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498A -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498A
KR20220072498A KR1020200160178A KR20200160178A KR20220072498A KR 20220072498 A KR20220072498 A KR 20220072498A KR 1020200160178 A KR1020200160178 A KR 1020200160178A KR 20200160178 A KR20200160178 A KR 20200160178A KR 20220072498 A KR20220072498 A KR 20220072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coordinate
information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칠
양창모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2498A/ko
Priority to PCT/KR2021/015414 priority patent/WO2022114558A1/ko
Publication of KR2022007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80Analysis of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intrinsic or extrinsic camera parameters, i.e. camera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은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가 연동하는 CCTV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에 대한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OLLING MULTIPLE CCTV CAMERAS}
본 발명은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CCTV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CCTV 회전카메라를 연동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은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무선 설비를 이용해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CCTV 시스템은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과 같이 그 용도가 다양하다.
종래의 CCTV 시스템(이하, “종래 기술”이라 지칭함)은 상하좌우 회전 없이 고정된 위치에서 촬영하는 고정카메라와,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한 회전카메라를 각각 하나씩 포함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는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하나의 회전카메라를 연동시켜 운용하는 제어 방법(즉, 고정카메라 및 회전카메라가 1:1인 관계에서의 대한 제어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감시 목적 및 대상에 대응하기 위해, 동일 선택 영역에 대해 동시에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촬영된 다중 뷰(multiple views)를 제공하는 지능형 CCTV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즉, 이러한 지능형 CCTV 시스템에서는 종래 기술 보다 많은 회전카메라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지능형 CCTV 시스템은 생활방범시스템, 사물자동추적시스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도로방범시스템, 신호·과속 단속시스템, 불법 쓰레기배출 단속시스템 등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제어 방법으로는 이러한 지능형 CCTV 시스템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의 제어 방법은 고정카메라 및 회전카메라가 1:1인 연동 관계에서의 대한 제어 기술에 불과하므로,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다수의 회전카메라를 연동하여 운용하는 제어 기술(즉, 고정카메라 및 회전카메라가 1:n인 연동 관계에서의 제어 기술)(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이 필요한 지능형 CCTV 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다. 즉, 회전카메라의 개수 증가에 따른 보다 정확한 영상 감시가 요구됨에, 다중의 회전카메라를 동시 연동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422205 B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카메라에서 선택된 관심 영역이 그 고정카메라에 연동되는 다수 회전카메라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은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가 연동하는 CCTV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에 대한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해 좌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상기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중심 지점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의 팬 이동 값 및 틸트 이동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특정 좌표점을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각 회전카메라의 연정 정보를 담은 연동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좌표 매핑 테이블 및 상기 연동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카메라의 줌 및 틸트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카메라의 제1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 촬영 가능한 회전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회전카메라의 영상(제3 영상)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중심 지점에 대한 좌표를 획득하며, 상기 연동 테이블의 팬 및 틸트의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좌표를 가지는 상기 중심 지점이 상기 제3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선택된 회전카메라의 팬 및 틸트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은 상기 팬 및 틸트를 제어하는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중심 지점이 상기 제3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 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연동 테이블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제2 영상에서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각 회전카메라의 줌(Zoom) 이동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 테이블은 상기 계산된 줌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을 줌 확대하기 위한 각 회전카메라의 연동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 테이블의 줌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영상이 확대되도록 상기 선택된 회전카메라의 줌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 디폴트(default) 크기의 픽셀 수의 범위만큼 그 픽셀 수를 가지도록 상기 선택된 각 회전카메라에 대한 줌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장치는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가 연동하는 CCTV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과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장치는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가 연동되는 CCTV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과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한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상기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선택 영역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의 팬(Pan) 이동 값 및 틸트(Tilt) 이동 값의 계산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각 회전카메라의 이동 정보를 담은 연동 테이블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시스템은,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연동하는 다수의 회전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 및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과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을 수신하여,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을 제어하는 CCTV 카메라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CCTV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한 좌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상기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선택 영역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의 팬(Pan) 이동 값 및 틸트(Tilt) 이동 값을 계산할 수 있고, 상기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각 회전카메라의 이동 정보를 담은 연동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카메라에서 선택된 관심 영역이 그 고정카메라에 연동되는 다수 회전카메라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뷰에서 객체 및 이벤트 탐지를 통해 영상 보안 서비스 영역에 효과적인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객체나 이벤트에 대한 탐지가 가능함에 따라 영상 보안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 보다 정확한 영상 감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카메라의 개수 증가에 따른 보다 정확한 영상 감시 요구에 부합하여, 다중 회전카메라를 동시 연계할 수 있으며, 감시 대상 영역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시스템(1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운용 장치(2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운용 장치(200)에서 제어부(25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S100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시스템(10)의 카메라부(100)의 각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각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SR1, SR2, SR3)의 중심 지점(CP1, CP2, CP3)이 해당 영상에서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따라 중심 지점의 이동 후, 줌(Zoom) 기능에 따라 확대된 각 제2 영상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S200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시스템(1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CCTV 시스템(10)은 다수의 위치 영역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여 그 영상에 대한 표시 또는 분석을 기반으로, 범죄예방, 재난감시 등과 같이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CTV 시스템(10)은 카메라부(100) 및 CCTV 운용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0)는 다수의 CCTV 카메라(110, 120)들을 포함한다 이때, CCTV 카메라(110, 120)는 다수의 지점에 각각 설치된 CCTV용 카메라로서, 하나 이상의 고정카메라(110)와, 하나의 고정카메라(110)에 대해 연동하는 다수의 회전카메라(120-1, … 120-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한다. 이하, 고정카메라(110) 및 다수의 회전카메라(120)를 “CCTV 카메라(110, 120)”라 지칭한다.
즉, 고정카메라(110)는 어느 지점에서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해 고정 촬영하는 CCTV 카메라로서,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은 없지만, 줌(Zoom)의 기능은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팬 기능은 CCTV 카메라가 제1 방향(가령,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기능을 지칭하며, 틸트 기능은 CCTV 카메라가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가령, 수직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기능을 지칭한다. 또한, 줌 기능은 CCTV 카메라가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해 현재 촬영 영상의 중심 영역을 기반으로 그 영상을 확대 촬영하는 기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고정카메라(110)는 시설물 감지 지지대, 불법주정차 단속 지지대, 과속단속 지지대, 교통신호등 지지대 등의 지지구조물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카메라(120)는 고정카메라(110)에 연동하는 CCTV 카메라로서, 복수개가 설치된다. 즉, 각 회전카메라(120-1, … 120-n)는 고정카메라(110)와 다른 방향, 높이 또는 각도로 설치되어, 고정카메라(110)가 촬영하는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해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촬영함으로써, 다중 뷰(multiple views)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각 회전카메라(120-1, … 120-n)는 팬, 틸트 및 줌의 기능이 가능한 PTZ(Pan-Tilt-Zoom)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일, 고정카메라(110)가 다수개인 경우에도, 카메라부(100)는 각 고정카메라(110) 대해 별도로 다수개의 회전카메라(120)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회전카메라(120) 중에는 복수의 고정카메라(110)에 대해 공용으로 함께 연동하는 카메라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각 CCTV 카메라(110, 120)는 유선 또는 무선 전송 통로를 통해 CCTV 운용 장치(200)로 그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CCTV 카메라(110, 1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그 촬영한 영상 정보를 CCTV 운용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CTV 카메라(110, 120)는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카메라이거나, IP 주소가 부여된 IP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CCTV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지점'은 어느 한 픽셀을 지칭할 수 있으며, '영역'은 연접하는 다수의 지점(즉, 다수의 픽셀)을 지칭할 수 있다. 가령, 영상에서, 어떤 영역의 '중심 지점'은 해당 영역의 중심에 위치한 픽셀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영상에서, '중심 좌표점'은 그 영상의 프레임 중심에 위치한 픽셀을 지칭할 수 있으며, '중심 영역'은 그 중심 좌표점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CCTV 운용 장치(200)는 CCTV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즉, CCTV 운용 장치(200)는 감시 등을 위해 수신된 영상 정보를 그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CCTV 운용 장치(200)는 후술할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에 따라, CCTV 카메라(110, 120) 간의 연동을 위한 설정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CCTV 운용 장치(200)는 “CCTV 카메라 제어 장치”라 지칭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CCTV 운용 장치(200)는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가령, CCTV 운용 장치(200)는 수신된 영상 정보에서 사람, 차량 등의 감시 대상 객체를 인식하고, 이들의 행동 패턴 등을 분석하여 이상 이벤트(예를 들어, 주차 위반, 신호 위반, 침입, 화재, 폭력, 도난, 투기 등)가 발생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각종 경고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즉, CCTV 운용 장치(200)는 CCTV 카메라(110, 120)에 대한 제어 처리 또는 CCTV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에 대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컴퓨팅(computing)이 가능한 전자 장치 또는 컴퓨팅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또는 휴대폰(mobile pho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운용 장치(2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CCTV 운용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 통신부(220), 디스플레이(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다양한 사용자(감시자 등)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키며, 다양한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입력부(210)는 각종 설정 및 연동 제어를 위한 명령(즉, 선택 영역, 관심 영역, 회전카메라 등에 대한 선택 명령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케이블 통신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통신부(220)는 CCTV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각 CCTV 카메라(110, 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각종 설정 및 연동 제어를 위한 명령 등을 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영상 정보, 설정된 연동 정보, 연동 제어 수행 결과 등을 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비발광형 패널이나 발광형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230)는 입력부(21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230)는 CCTV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설정된 연동 정보, 연동 제어 수행 결과 등을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CCTV 운용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 정보로는 CCTV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설정된 연동 정보, 연동 제어 수행 결과, 후술할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에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0)는 그 유형에 따라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그네틱 매체 타입(Sagnetic media type),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광기록 매체 타입(Optical Media type), 자기-광 매체 타입(Sagneto-optical media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Sultimedia card micro type),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롬 타입(read only memory type), 또는 램 타입(random access memory typ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모리(240)는 그 용도/위치에 따라 캐시(cache), 버퍼,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이거나 별도로 마련된 저장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50)는 CCTV 운용 장치(200)의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후술할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CCTV 운용 장치(200)의 나머지 구성, 즉 입력부(210), 통신부(220), 디스플레이(230), 메모리(2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스(proc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운용 장치(200)에서 제어부(25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수행을 제어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정보 설정부(251), 카메라 제어부(252) 및 업데이트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 정보 설정부(251), 카메라 제어부(252) 및 업데이트부(253)는 제어부(250)의 하드웨어 구성이거나, 제어부(250)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세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나의 고정카메라(110)와 이에 연동하는 다수의 회전카메라(120-1, … 120-n)를 기준으로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고정카메라(1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제1 영상”이라 지칭한다. 또한, 회전카메라(12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제2 영상”이라 지칭한다. 즉, 제2 영상들(즉, 제2-1 영상 내지 제2-n 영상)은 제1 회전카메라(120-1) 내지 제n 회전카메라(120-n)에서 각각 촬영되는 영상을 지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은 하나의 고정카메라(110)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120)가 연동하는 CCTV 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및 S200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S100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S100은 다수의 지점에 각각 설치된 CCTV 카메라(110, 120) 간의 연동 정보, 즉 하나의 고정카메라(110)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120)를 연동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S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1 내지 S10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101에서, 어느 지점에서 감시 대상 영역을 고정 촬영하는 하나의 고정카메라(110)와, 그 고정카메라(110)에 대해 연동하여 해당 감시 대상 영역을 다수의 방향 및 각도에서 촬영하는 다수의 회전카메라(120)를 각각 설치한다.
이후, S102에서,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고정카메라(110)의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의 좌표를 기반으로, 고정카메라(110)의 제1 영상과 다수 회전카메라(120)의 제2 영상에 대해 좌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좌표 캘리브레이션이란 감시 대상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 또는 영역에 대해, 제1 영상에서의 좌표와, 제2 영상에서의 좌표를 서로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이하, “매핑”이라 지칭함)하는 작업을 지칭한다. 또한, 선택 영역은 제1 영상 중에서 선택되는 영역으로서, 고정카메라(110)와 연동하는 적어도 2개의 회전카메라(120)의 각 제2 영상에서도 함께 표시되는 특정의 객체(object) 영역을 포함한 영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시스템(10)의 카메라부(100)의 각 카메라(110, 120)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카메라(110)는 특정의 객체 영역(ER)을 포함하는 감시 대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에서는 이러한 객체 영역(ER)을 포함하는 영역이 선택 영역(SR)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영상에서의 선택 영역(SR)의 선택에 따라, 각 제2 영상에서도 그와 대응하는 영역인 “대응 영역(SR1, …SRn)”이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영역에 대한 선택은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통신부(220)를 통해 타 장치로부터 그 선택 입력의 전달, 또는 메모리(240)에 사전 설정된 객체 추출 알고리즘 등의 정보에 따라, 연동 정보 설정부(251)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에서 특정의 객체 영역(ER)을 포함하는 선택 영역(SR)이 선택되면, 그 감시 대상 영역을 다른 방향 및 각도로 촬영하는 제1 내지 제3 회전카메라(120-1, 120-2, 120-3)의 각 제2 영상(제2-1 영상, 제2-2 영상 및 제2-3 영상)에서는 그와는 다른 방향 및 각도의 객체 영역(ER)을 포함한 제1 내지 제3 대응 영역(SR1, SR2, SR3)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영역에 대한 선택 후,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한 좌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선택 영역(SR)의 중심 지점(CP)과, 대응 영역(SR1, SR2 및 SR3)의 각 중심 지점(CP1, CP2, CP3)을 도출한 후, CP와 CP1 간의 좌표 매핑, CP와 CP2 간의 좌표 매핑, CP와 CP3 간의 좌표 매핑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택 영역(SR) 및 대응 영역(SR1, SR2 및 SR3)의 중심 지점 간에 좌표 매핑이 수행됨에 따라, 그 중심 지점의 주변에 배열되는 선택 영역(SR)과 각 대응 영역(CP1, CP2, CP3) 내의 다른 지점들 간에도 좌표 매핑이 가능하다. 이러한 좌표 매핑이 확장된다면, 제1 영상의 모든 지점과 각 제2 영상의 모든 지점에 대한 좌표 매핑도 가능하다. 물론, 서로 다른 복수의 선택 영역이 선택되어, 각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에 따른 좌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한다. 즉, 좌표 매핑 테이블은 CCTV 카메라(110, 120)를 연동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가령, 도 6을 참조하면, 좌표 매핑 테이블은 제1 영상의 각 좌표점에 대응하는 제2-1 영상의 각 좌표점에 대한 정보와, 제1 영상의 각 좌표점에 대응하는 제2-2 영상의 각 좌표점에 대한 정보와, 제1 영상의 각 좌표점에 대응하는 제2-3 영상의 각 좌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좌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면, 제1 영상의 어느 지점에 대한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가령, 고정카메라(110)의 제1 영상의 지점들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대한 중심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중심 지점의 좌표 값을 매핑 테이블에 입력함으로써, 각 회전카메라(120)의 제2 영상에서의 그 특정 영역의 중심 지점의 좌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각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SR1, SR2, SR3)의 중심 지점(CP1, CP2, CP3)이 해당 영상에서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후, S104에서,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각 회전카메라(120)의 팬 이동 값 및 틸트 이동 값을 계산한다. 즉,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각 회전카메라(120)에서 획득한 대응 영역(SR1, SR2, SR3)의 중심 지점(CP1, CP2, CP3)이 해당 제2 영상의 내 중심 위치에 오도록 각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 이동 값은 각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SR1, SR2, SR3)의 중심 지점(CP1, CP2, CP3)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CP1', CP2', CP3')에 위치시키기 위해, 해당 회전카메라(120)를 팬 기능의 제1 방향(가령, 수평 방향)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 정보이다. 이때, 중심 영역은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좌표점(CP1', CP2', CP3')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틸트 이동 값은 각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SR1, SR2, SR3)의 중심 지점(CP1, CP2, CP3)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CP1', CP2', CP3')에 위치시키기 위해, 해당 회전카메라(120)를 틸트 기능의 제2 방향(가령, 수직 방향)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 정보이다.
즉, 팬 및 틸트 이동 값에 따라 각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팬 및 틸트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 영상에서의 그 대응 영역이 SR1, SR2 및 SR3에서 SR1', SR2' 및 SR3'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현재 대응 영역(SR1, SR2, SR3)의 중심 지점(CP1, CP2, CP3)과, 해당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의 차이를 계산한 후, 이를 각 회전카메라(120)의 팬 및 틸트 기능의 사양 정보와 매핑함으로써, 해당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의 중심 지점이 x=100 및 y=100(각각 픽셀 좌표 값)이고 그 제2 영상의 중심 좌표점이 x=960 및 y=540인 경우, 그 중심 지점과 중심 좌표점 간의 차이는 x 좌표에서 860 픽셀, y 좌표에서 440 픽셀이다. 이때, 해당 회전카메라가 0.1s 동안 팬(Pan) 이동하는 동안 100픽셀을 이동하는 팬 기능의 사양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약 0.86s를 그 팬 이동 값으로 설정한다면, 그 중심 지점의 x 좌표에 대해 860 픽셀만큼의 팬 이동시킬 수 있어,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좌표점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팬 및 틸트 기능의 각 사양 정보(가령, duration 등)를 이용하여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이후, S105에서,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S104에서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연동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연동 테이블은 제1 영상에서의 특정 좌표점을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연동 정보를 포함한다. 즉, 연동 테이블에는 각 제2 영상의 모든 좌표점들(다만, 중심 좌표점을 제외한 좌표점들)에 대한 정보와, 그 각 좌표점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120)의 팬 및 틸트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라 중심 지점의 이동 후, 줌(Zoom) 기능에 따라 확대된 각 제2 영상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한편, S104에서,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팬 이동 값 및 틸트 이동 값 외에, 각 회전카메라(120)의 줌 이동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줌 이동 값의 계산은 선택 사항일 수 있다. 이때, 줌 이동 값은 각 제2 영상에서 팬 및 틸트 기능에 따라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된 대응 영역(SR1', SR2', SR3')의 중심 지점(CP1', CP2', CP3')을 기준으로, 해당 회전카메라(120)의 제2 영상을 줌 기능에 따라 그 렌즈를 이동시켜 해당 제2 영상을 확대시키기 위한 연동 정보이다.
즉, 줌 이동 값에 따라 각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줌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 영상에서 그 중심 영역에 위치한 대응 영역이 SR1', SR2' 및 SR3'에서 SR1'', SR2'' 및 SR3''로 확대될 수 있다.
특히,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각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SR1', SR2', SR3')이 최적(optimal) 크기가 될 수 있게 하는 줌 이동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디폴트(default) 크기만큼 확대하기 위한 줌 이동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디폴트 크기에 대한 정보는 확대된 대응 영역(SR1'', SR2'', SR3'')에 대한 최적(optimal) 크기에 해당하는 픽셀 수(즉, 확대된 대응 영역이 최적 크기가 되기 위해 가져야할 픽셀 수)의 범위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메모리(24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대응 영역(SR1, SR2, SR3)의 크기(객체 또는 이벤트 크기 등)에 따라 확대 비율이 조절되어, 확대된 대응 영역(SR1'', SR2'', SR3'')이 디폴트 크기만큼의 커지도록 하는 줌 이동 값이 생성될 수 있다. 가령, 대응 영역(SR1, SR2, SR3)이 일정 이하인 경우, SR1'', SR2'' 및 SR3'이 보다 큰 확대 비율로 확대되도록 하는 줌 이동 값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응 영역(SR1, SR2, SR3)이 일정 이상인 경우, 디폴트 크기 정보는 SR1'', SR2'' 및 SR3'이 보다 작은 확대 비율로 확대되도록 하는 줌 이동 값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의 크기가 5,000픽셀(즉, 해당 대응 영역이 총 5,000픽셀을 포함)이고, 디폴트 크기의 정보가 10,000픽셀 내지 12,000픽셀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대응 영역이 10,000픽셀 내지 12,000픽셀의 픽셀 수를 가질 수 있도록 해당 회전카메라를 줌 확대시키는 줌 이동 값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현재 대응 영역(SR1, SR2, SR3)의 크기와, 최적 크기를 위한 디폴트 크기의 차이를 계산한 후, 이를 각 회전카메라(120)의 줌 기능의 사양 정보와 매핑함으로써, 해당 줌 이동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제2 영상에서 대응 영역의 크기가 1,000픽셀(즉, 해당 대응 영역이 총 1,000픽셀을 포함)이며, 최적 크기를 위한 디폴트 크기 크기가 10,000픽셀인 경우,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줌 기능의 사양 정보(가령, duration 등)를 이용하여 해당 대응 영역이 10,000픽셀의 크기가 되기 위한 줌 이동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줌 이동 값이 계산되는 경우, S105에서, 연동 정보 설정부(251)는 해당 줌 이동 값을 기반으로, 해당 제2 영상을 줌 확대하기 위한 각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연동 정보를 더 포함한 연동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연동 테이블은 각 제2 영상의 모든 좌표점들(다만, 중심 좌표점을 제외한 좌표점들)에 대한 정보와, 그 각 좌표점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120)의 팬 및 틸트 이동 값에 대한 정보 외에도, 그 모든 좌표점에 대한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의 이동 상태에서 해당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줌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CCTV 카메라 제어 방법의 S200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S200은 S100에서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연동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각 회전카메라(120)에 대해,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줌(Zoom)의 기능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201 내지 S20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201에서, 카메라 제어부(252)는 고정카메라(110)의 제1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선택한다. 이때, 관심 영역은 제1 영상 중에서 선택되는 영역으로서, 회전카메라(120)를 통해 더 면밀히 관찰, 감시 등이 필요한 영역일 수 있다. 가령, 관심 영역은 고정카메라(110)와 연동하는 적어도 2개의 회전카메라(120)의 각 제2 영상에서도 함께 표시되는 특정의 객체(object) 영역 또는 이벤트 영역을 포함한 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관심 영역에 대한 선택은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통신부(220)를 통해 타 장치로부터 그 선택 입력의 전달, 또는 메모리(240)에 사전 설정된 객체 또는 이벤트 추출 알고리즘 등의 정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252)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S202에서, 카메라 제어부(252)는 관심 영역에 대해 촬영 가능한 회전카메라(120)를 k개(단, k는 2 이상의 자연수) 선택한다. 즉, 관심 영역을 기반으로, 연동 가능한 다수의 회전카메라(120)가 선택된다. 이하, 이와 같이 선택된 회전카메라를 “선택 회전카메라”라 지칭하며, 선택 회전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제3 영상”이라 지칭한다. 즉, 제3 영상들(즉, 제3-1 영상 내지 제3-k 영상)은 제1 선택 회전카메라(120-1) 내지 제k 선택 회전카메라(120-k)에서 각각 촬영되는 영상을 지칭할 수 있다.
이후, S203에서, 카메라 제어부(252)는 S100에서 생성된 좌표 매핑 테이블 및 연동 테이블을 기반으로, 선택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연동 제어를 수행한다.
즉, 카메라 제어부(252)는 제1 영상의 관심 영역에서 그 중심 지점을 추출한 후, 좌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 회전카메라(120)의 제3 영상에서 제1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대응 영역의 중심 지점에 대한 좌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 제어부(252)는 추출된 제1 영상의 관심 영역의 중심 지점을 좌표 매핑 테이블에 입력함으로써, 제3 영상의 대응 영역의 중심 지점에 대한 좌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52)는 연동 테이블의 팬 및 틸트의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회전카메라(120)의 팬 및 틸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획득된 좌표 값을 가지는 제3 영상의 대응 영역의 중심 지점이, 연동 테이블의 팬 및 틸트의 이동 값에 따라, 제3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하도록 선택 회전카메라(120)의 팬 및 틸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S204에서, 카메라 제어부(252)는 S203의 결과에 따른 연동 제어가 성공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연동 제어가 성공적일 경우, 즉 제3 영상의 대응 영역의 중심 지점이 제3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정확히 이동(팬 및 틸트 이동)한 경우, 카메라 제어부(252)는 선택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연동 제어를 종료한다. 이 경우, 카메라 제어부(252)는 그 연동 제어에 대한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제어부(252)는 연동 제어 결과를 메모리(240)에 저장하면서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통신부(220)를 통해 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연동 제어가 실패한 경우, 즉 제3 영상의 대응 영역의 중심 지점이 제3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 외의 영역으로 벗어나게 이동한 경우, S205가 수행된다.
즉, S205에서, 카메라 제어부(252)는 업데이트부(253)를 호출하며, 업데이트부(253)는 연동 테이블에 대한 업데이트의 수행을 제어한다. 가령, 업데이트부(253)는 관심 영역이 선택 영역인 것으로 선택하여 S100를 수행함으로써 연동 테이블의 팬 및 틸트 이동 값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데이트부(253)는 그 업데이트 제어에 대한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즉, 업데이트부(253)는 업데이트 제어 결과를 메모리(240)에 저장하면서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통신부(220)를 통해 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업데이트 수행 후, S200은 S201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S203에서, 카메라 제어부(252)는 선택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팬 및 틸트의 기능을 제어한 후, 연동 테이블의 줌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영상이 확대되도록 선택 회전카메라(120)의 줌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 제어부(252)는 대응 영역이 최적(optimal) 크기를 가지는 디폴트(default) 크기의 픽셀 수의 범위만큼 그 픽셀 수를 가지도록 선택 회전카메라(120)에 대한 줌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S200의 연동 제어가 성공적으로 끝나는 경우, 제어부(250)는 대응 영역이 그 중심 영역에 위치하거나, 대응 영역이 그 중심 영역에 위치하면서 확대된 제3 영상에 대해, 영상 분석을 추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250)는 해당 제3 영상에서 사람, 차량 등의 감시 대상 객체를 인식하고, 이들의 행동 패턴 등을 분석하여 이상 이벤트(예를 들어, 주차 위반, 신호 위반, 침입, 화재, 폭력, 도난, 투기 등)가 발생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각종 경고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카메라에서 선택된 관심 영역이 그 고정카메라에 연동되는 다수 회전카메라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뷰에서 객체 및 이벤트 탐지를 통해 영상 보안 서비스 영역에 효과적인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객체나 이벤트에 대한 탐지가 가능함에 따라 영상 보안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 보다 정확한 영상 감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카메라의 개수 증가에 따른 보다 정확한 영상 감시 요구에 부합하여, 다중 회전카메라를 동시 연계할 수 있으며, 감시 대상 영역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CCTV 시스템 100: 카메라부
110: 고정카메라 120: 회전카메라
200: CCTV 운용 장치 210: 입력부
220: 통신부 230: 디스플레이
240: 메모리 250: 제어부
251: 연동 정보 설정부 252: 카메라 제어부
253: 업데이트부

Claims (11)

  1.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가 연동하는 CCTV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에 대한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해 좌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상기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중심 지점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의 팬 이동 값 및 틸트 이동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특정 좌표점을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각 회전카메라의 연정 정보를 담은 연동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좌표 매핑 테이블 및 상기 연동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카메라의 줌 및 틸트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카메라의 제1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 촬영 가능한 회전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회전카메라의 영상(제3 영상)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중심 지점에 대한 좌표를 획득하며, 상기 연동 테이블의 팬 및 틸트의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좌표를 가지는 상기 중심 지점이 상기 제3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선택된 회전카메라의 팬 및 틸트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 및 틸트를 제어하는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중심 지점이 상기 제3 영상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좌표점 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연동 테이블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제2 영상에서 상기 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각 회전카메라의 줌(Zoom) 이동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테이블은 상기 계산된 줌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을 줌 확대하기 위한 각 회전카메라의 연동 정보를 더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 테이블의 줌 이동 값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영상이 확대되도록 상기 선택된 회전카메라의 줌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줌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 디폴트(default) 크기의 픽셀 수의 범위만큼 그 픽셀 수를 가지도록 상기 선택된 각 회전카메라에 대한 줌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9.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가 연동하는 CCTV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과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한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상기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각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선택 영역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의 팬(Pan) 이동 값 및 틸트(Tilt) 이동 값의 계산을 제어하고,
    상기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각 회전카메라의 이동 정보를 담은 연동 테이블의 생성을 제어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장치.
  10.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다수의 회전카메라가 연동되는 CCTV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과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한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상기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각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선택 영역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의 팬(Pan) 이동 값 및 틸트(Tilt) 이동 값의 계산을 제어하고,
    상기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각 회전카메라의 이동 정보를 담은 연동 테이블의 생성을 제어하는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장치.
  11. 하나의 고정카메라에 대해 연동하는 다수의 회전카메라를 구비한 카메라부; 및
    고정카메라의 영상(제1 영상)과 각 회전카메라의 영상(제2 영상)들을 수신하여, 제1 영상에 대한 제2 영상들의 연동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각 회전카메라의 팬(Pan) 및 틸트(Tilt)의 기능을 제어하는 CCTV 카메라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CCTV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내 선택 영역의 중심 지점을 기반으로, 제1 영상과 각 제2 영상에 대한 좌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좌표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에 대한 상기 각 제2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매핑하는 정보를 담은 좌표 매핑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각 제2 영상에 대해, 상기 선택 영역을 해당 제2 영상의 중심 영역에 위치시키기 위한 해당 회전카메라의 팬(Pan) 이동 값 및 틸트(Tilt) 이동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팬 및 틸트 이동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에서의 좌표점을 상기 제2 영상에서의 중심 좌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각 회전카메라의 이동 정보를 담은 연동 테이블을 생성하는 CCTV 시스템.
KR1020200160178A 2020-11-25 2020-11-25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72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78A KR20220072498A (ko) 2020-11-25 2020-11-25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CT/KR2021/015414 WO2022114558A1 (ko) 2020-11-25 2021-10-29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78A KR20220072498A (ko) 2020-11-25 2020-11-25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98A true KR20220072498A (ko) 2022-06-02

Family

ID=8175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178A KR20220072498A (ko) 2020-11-25 2020-11-25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2498A (ko)
WO (1) WO20221145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05B1 (ko) 2013-12-27 2014-07-24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다목적 cctv 카메라 시스템과 그의 활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587B1 (ko) * 2004-07-03 2006-07-19 (주)나인정보시스템 고정카메라 뷰 내부로의 ptz 카메라 뷰 자동확대정렬을 위한 카메라 보정방법
KR100888935B1 (ko) * 2008-09-01 2009-03-16 주식회사 일리시스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두 카메라 간의 연동 방법
KR101290782B1 (ko) * 2011-12-15 2013-07-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적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기반의 다중 ptz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984466B1 (en) * 2014-09-02 2018-05-29 Jemez Technology LLC Autonomous camera-to-camera change detection system
KR102315525B1 (ko) * 2017-07-31 2021-10-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05B1 (ko) 2013-12-27 2014-07-24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다목적 cctv 카메라 시스템과 그의 활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558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7862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amifying the process of obtaining panoramic images
CN104350736B (zh) 附近位置信息的增强现实布置
US9723203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target user interface for capturing panoramic images
US85372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105201A (ko) 휴대 단말, 원격 카메라, 및 휴대 단말에 의한 원격 카메라의 팬/틸트/줌 제어 방법
CN110557603B (zh) 移动目标的监控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WO2006137072A2 (en) Wide area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07836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CN111553196A (zh) 检测隐藏摄像头的方法、系统、装置、以及存储介质
KR20110093040A (ko) 피사체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97294B1 (ko) 카메라 제어용 맵 인터페이스 시스템
CN113869231A (zh) 一种用于获取目标对象的实时图像信息的方法与设备
CN113905211B (zh) 一种视频巡逻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90051770A1 (en) Camera control method, camera control device, camera control program, and camera system
JP5677055B2 (ja) 監視映像表示装置
JP62996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EP3376758A1 (en) Dynamic videotelephony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220072498A (ko) 다중 cctv 카메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56831B1 (ko) 이동형 영상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47300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141179B1 (ko) 자동 초점 기반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JP2019153986A (ja) 監視システム、管理装置、監視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095650B1 (ko) 맵 표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제어 방법
JP73562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