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497A -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 Google Patents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497A
KR20220072497A KR1020200160175A KR20200160175A KR20220072497A KR 20220072497 A KR20220072497 A KR 20220072497A KR 1020200160175 A KR1020200160175 A KR 1020200160175A KR 20200160175 A KR20200160175 A KR 20200160175A KR 20220072497 A KR20220072497 A KR 2022007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fluid
accommodating part
roof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744B1 (ko
Inventor
윤기열
김석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16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44B1/ko
Priority to PCT/KR2020/017785 priority patent/WO2022114346A1/ko
Priority to US17/617,463 priority patent/US20230247965A1/en
Publication of KR2022007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Arrangement of curtai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01D53/185Liquid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축사의 지붕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상기 지붕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붕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수용되는 제 1 리저버; 상기 제 1 리저버에서 낙하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유체가 S자 형상으로 낙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ODOR REMOVAL SYSTEM USING WATER CIRCULATION}
본 발명은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 일측면에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축사 내부에서 생성되는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행된 악취방지법(환경부)에 의하면 돼지 사육시설 면적이 일정 이상 되는 축산시설에 대해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지정 악취가스의 배출에 대한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이는, 축산시설이 위치한 부지의 경계선에서 측정한 지정 악취가스의 농도가 각각의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해야하는 법령으로 축사에 인접한 지역에서 악취가스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이다.
현재의 악취방지법은 시행 초기로서 폐수관리법과 같이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지 않지만 향후 몇 년 이내에 축산농가에서는 상기 악취방지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하는 상황이 다가오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악취방지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축산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스의 배출을 방지하거나 저감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4805호 (2019년6월11일 공개)에서는 하천의 박스 구간에 설치되어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악취방지용 워터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천 박스의 상부 일단부에 하천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하부로 수용부를 형성하고, 하천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전면 또는 후면의 높이가 어느 한 면에 비해 낮게 형성된 물저장부; 하천의 물을 상기 물저장부로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및 상기 물저장부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부 내부 전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파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되어 차오르는 물이 낮게 형성된 어느 한 면으로 넘쳐 낙하되면서 워터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방지용 워터스크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악취방지용 워터스크린장치에서는 물을 한번에 낙하시켜 워터커튼을 형성하고 있어, 워터커튼의 하측부에 공극이 다수 발생하여 악취가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물의 낙하에 따라 물이 사방으로 튄다는 문제가 있어 이를 축사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4805호 (2019년6월11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극이 없는 균일한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축사 내의 악취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축사의 지붕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상기 지붕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붕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수용되는 제 1 리저버; 상기 제 1 리저버에서 낙하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유체가 S자 형상으로 낙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서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리저버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1 수용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용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상측에는 제자리 회전 가능한 수차가 배치되고, 유체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에 상기 수차에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낙하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제 2 리저버; 상기 제 2 리저버에 수용되는 유체를 상기 유체공급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재순환라인; 및 상기 재순환라인 경로 상에 배치되는 순환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저버는, 상기 지붕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리저버의 수평을 조절가능한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지붕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리저버의 저면에 고정되는 조절부재; 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을 조이는 경우 상기 제 1 리저버는 상기 리브에 가까워지고, 상기 고정수단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 상기 제 1 리저버는 상기 리브에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는 재순환라인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으로 공급되어 노즐을 통하여 재공급됨으로써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는 축사의 지붕에 냉각 기능을 재차 수행하므로 총에너지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제 1 리저버와 제 2 리저버 사이에 복수개의 수용부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공극없이 균일한 워터커튼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축사 내의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망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리저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리저버의 수평을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망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리저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리저버의 수평을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10)의 천장에는 지붕(11)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복수의 개방창(12)이 형성될 수 있다. 지붕(11)은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지붕(11)으로 형성되어 축사(10)의 전장에 대응되는 길이의 최고점 모서리를 갖는 지붕(11)을 의미할 수 있고, 개방창(12)은 축사(10) 내부에서 가축의 배설물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지붕(11)의 최고점 모서리에는 노즐(411)이 배치될 수 있다. 노즐(411)은 후술하는 재순환라인(400)에 포함되는 유체공급라인(410) 도중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체공급라인(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붕(11)의 경사 방향을 향하여 유체를 분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공급라인(410)의 전장에 균등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노즐(411)이 형성됨으로써 지붕(11) 전면적에 대한 냉각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체공급라인(410) 양측에 노즐(411)이 배치되어, 지붕(11)의 양측을 향해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즉, 지붕(11)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고, 지붕(11)의 고온열이 축사(10) 내부로 전도되면 축사(10) 내부의 가축이 폐사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411)에 의해 분사되는 유체가 지붕(11)을 따라 흘러내려가면서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체는 상하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의미할 수 있고, 이외에도 물에 탈취제 등이 포함되어서 세척기능을 부가한 작동 유체일 수 있다.
노즐(411)은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공급라인(4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체공급라인(410)은 지붕(11)의 최고점에 형성되고, 아울러 처마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노즐(411)에서 분사된 유체는 지붕(11)을 따라 낙하하되, 지붕(11)의 처마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리저버(10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저버(100)는 처마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지붕(11)을 따라 자중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가 소정량 저장될 수 있는 수용홈(10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저버(100)의 전면판(101)은 후면판(102)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측면판의 상단은 후면판(102)으로부터 전면판(101)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리저버(100)에 축적되는 유체는 그 유량이 전면판(101)의 높이 이상에 도달 시 전면판(101)의 상단을 넘어 낙하하게 되어 지면에 위치하는 제 2 리저버(200)에 수용되고, 낙하시 워터커튼이 형성된다.
제 2 리저버(200)도 제 1 리저버(100)와 마찬가지로 처마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유체가 소정량 저장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유체가 저류통(430)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개구(201)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유체가 낙하함에 따라 유체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점차 변하며 유동이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유체가 축사(10)의 지붕(11)에서 곧바로 제 2 리저버(200)로 낙하되는 경우, 워터커튼 표면에 공극이 다수 형성되어, 축사(10) 내의 악취가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될 수 있으며, 또한 낙하과정에서 물이 사방으로 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에서는 제 1 리저버(100)와 제 2 리저버(200) 사이에 유체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0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300)는 제 1 수용부(31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용부(310)는 제 1 리저버(100) 하측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아울러, 상술한 제 1 리저버(100)와 마찬가지로 처마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자중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가 소정량 저장될 수 있는 수용홈(3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수용부(310)의 일측 전면판(311)은 타측 후면판(312)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측면판의 상단은 후면판(312)으로부터 전면판(311)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용부(310)는 축사(10)의 측방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외측프레임(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수용부(310)는 전면판(311), 후면판(312) 및 측면판으로 형성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판(311)이 후면판(312)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리저버(100)에서 낙하하는 유체는 제 1 수용부(310)에 수용되고, 유체의 유량이 제 1 수용부(310) 전면판(311)의 높이 이상에 도달시 전면판(311)의 상단을 넘어 낙하하게 된다. 이 때, 제 1 수용부(310)에서 낙하되는 유체가 축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낙하되는 경우, 지면에 위치하는 제 2 리저버(200)도 이에 대응하여 축사(10)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하는 바, 공간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제 1 수용부(310)는 제 1 리저버(100)와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반대방향으로 전환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1 수용부(310)는 그 전면판(311)이 축사(1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후면판(312)은 축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의 유량이 제 1수용부(310) 전면판(311)의 높이 이상에 도달시 유체는 축사(10)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즉, 제 1 리저버(100)에서 제 1 수용부(310)를 거쳐 유체의 흐름이 바뀌고 이에 S자 형상의 워터커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유체의 낙하거리가 짧아져 유체의 유동이 불균일해지기 전에 제 1 수용부(310)의 수용홈(313)에 수용되어, 물튐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공극없이 균일한 워터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제 2 리저버(200)를 축사(10)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워터커튼의 면적은 축사(10)의 측벽에 대한 투영 면적이 복수의 개방창(12)을 모두 포함하여 가릴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즉, 워터커튼은 개방창(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를 차단함과 동시에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부(3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저버(100) 하측에는 제 1 수용부(310) 및 제 2 수용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수용부(310)에서 낙하되는 유체는 제 2 수용부(320)에 수용되고, 제 2 수용부(320)에서 낙하되는 유체는 제 2 리저버(200)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S자 형상의 워터커튼이 형성되도록, 제 1 수용부(310)와 제 2 수용부(3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수용부(310)는 그 전면판(311)이 축사(1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후면판(312)은 축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배치되며, 제 2 수용부(320)는 그 전면판(321)이 축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면판(322)이 축사(1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300)를 복수개 배치하는 경우, 유체의 낙하거리가 보다 짧아져 워터커튼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10) 양측면 각각에 제 1 리저버(100), 복수개의 수용부(300) 및 제 2 리저버(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축사(10)의 양측벽에 형성된 개방창(12)에서 배출되는 악취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체가 제 1 리저버(100)에서 제 1 수용부(310)로 낙하하거나, 제 1 수용부(310)에서 제 2 수용부(320)로 낙하할 때, 제 1 수용부(310) 또는 제 2 수용부(320)에 이미 축적되어 있는 유체에 부딪히며 발생하는 물 튐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은 수용부(300) 상측에 배치되는 수차(330)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수차(33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원통형 중심부(331) 및 중심부(331)의 외주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332)로 이루어지며, 수용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아울러, 수차(330)는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외측프레임(20)에 지지되는 바, 블레이드(332) 사이 수용공간에 유체가 낙하하여 일정량 이상 수용되는 경우, 그 자중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수차(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체는 그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부(300)에 낙하하게 된다.
이 때, 유체는 수용부(300)에 축적된 유체에 낙하하는 것이 아닌, 수차(330)의 회전에 따라 계속해서 내부가 비워지는 수차(330)의 수용공간에 낙하하는 바, 물튐이 저감될 수 있다. 아울러 수차(330)와 수용부(300)는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바, 수차(330)에서 수용부(300)로 물이 낙하될 때, 물튐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상기와 같이 수차(330)에 유체를 낙하시킴에 따라, 물튐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2 리저버(200)에 수용된 유체는 그 일측에 형성된 개구(201)를 통해 저류통(430)으로 유동하여 축사(10)의 지붕(11)에 배치된 유체공급라인(410)을 향하여 순환하게 된다.
이때, 재순환라인(400) 도중에 순환펌프(420)가 배치됨으로써 제 2 리저버(200)에 수용된 유체가 지붕(11)의 유체공급라인(410)까지 상승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즉, 제 2 리저버(200)로 낙하되는 유체는 재순환라인(400)을 경유하여 순환펌프(420)를 통과한 후, 유체공급라인(410)을 통하여 지붕(11)의 노즐(411)까지 도달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의 워터커튼 형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붕(11)의 최고점에 형성되어 처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공급라인(410)에는 복수개의 노즐(411)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지붕(11) 전면에 균일하게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지붕(11)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게 되고, 지붕(11) 일측에 마련된 제 1 리저버(100)의 수용홈(103)에 수용된다.
여기서, 수용홈(103)의 유체 수위가 높아지며 그 수위가 제1 리저버(100)의 전면판(101)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전면판(101)의 상단을 넘쳐 흐르며,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어서, 유체는 제 1 수용부(310) 상측에 위치하는 수차(330)의 블레이드(332) 사이 수용공간에 낙하하게 되고, 수차(330)의 회전에 의하여 유체는 그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수용부(310)의 수용홈(313)에 수용된다.
제 1 수용부(310)의 유체 수위가 높아지며 그 높이가 제 1 수용부(310)의 전면판(311)의 높이보다 높아져 전면판(311)의 상단을 넘쳐 흐르는 경우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 때, 제 1 수용부(310)의 전면판(311)은 제 1 리저버(100)와 반대로 축사(10)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바, 유체의 흐름이 전환되어 S자 워터커튼이 형성된다.
유체는 제 2 수용부(320) 상측에 위치하는 수차(330)에 낙하하게 되고, 이어서 제 2 수용부(320)의 수용홈(323)에 수용된다. 제 2 수용부(320)의 유체 수위가 제 2 수용부(320)의 전면판(321)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전면판(321)의 상단을 넘쳐 흐르며 그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리저버(200)에 낙하하게 되고, 이 때, 제 2 수용부(320)의 전면판(321)은 제 1 리저버(100)와 반대로 축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바, 유체의 흐름이 다시 전환되어 S자 워터커튼이 형성된다.
이후, 제 2 리저버(200)에 수용된 유체는 일측에 마련된 개구(201)를 통하여 재순환라인(400)의 저류통(430)을 경유하여 순환펌프(420)를 통과한 후, 다시 유체공급라인(41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유체는 재순환라인(400)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410)으로 공급되어 노즐(411)을 통하여 재공급됨으로써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는 축사(10)의 지붕(11)에 냉각 기능을 재차 수행하므로 총에너지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축사(10)의 지붕(11)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리저버(100)와 지면에 위치하는 제 2 리저버(200) 사이에 복수개의 수용부(300)를 배치하고, 수용부(300)를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공극없이 균일한 워터커튼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축사 내의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유체는 수용부(300) 상측에 위치하는 수차(330)에 낙하하는 바, 물 튐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리저버(100)와 같이, 처마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면, 사용과정에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제 1 리저버(100)에 굴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된 부분에 물이 집중적으로 공급되어, 워터커튼이 처마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제 1 리저버(100)는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절수단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서 처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110)와, 리브(110) 상면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120), 상기 리브(1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제 1 리저버(100)에 고정되는 조절부재(130)로 이루어진다.
리브(110)는 외측프레임(20) 상단에 지지되며, 리브(110) 및 고정플레이트(12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111, 121)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때, 제 1 리저버(100)의 저면에도 상기 관통공(111, 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리브(110) 및 고정플레이트(120)의 관통공(111, 121)과 제 1 리저버(100)의 고정홈은 그 중심이 일치하도록 서로 정렬되고, 이어서 조절부재(130)는 관통공(111, 121)을 통과하여 고정홈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조절부재(1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공(111, 121) 및 고정홈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탭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조절부재(130)를 조이는 경우 상기 조절부재(130)가 위치하는 제 1 리저버(100)의 일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리브(110)에 보다 단단히 고정되고, 조절부재(130)를 느슨하게 하는 경우, 제 1 리저버(100)에 가해지는 힘이 줄어들어, 제 1 리저버(100)의 일부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저버(100)의 일부가 상측으로 굴곡된 경우, 굴곡부위 근처의 조절부재(130)를 단단하게 조이면 굴곡부위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리브(110)에 고정되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리저버(100)의 일부가 하측으로 굴곡된 경우, 굴곡부위 근처의 조절부재(130)를 느슨하게 하면 굴곡부위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1 리저버(100)가 굴곡되었을 때, 제 1 리저버(100) 전체를 교체하거나 분리작업후 수평화하는 작업을 할 필요 없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조절부재(130)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제 1 리저버(1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은 순환펌프(420)의 출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악취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제공하는 악취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세하게는, 악취감지센서는 축사(10)의 개방창(12)을 통해 유출되는 악취의 강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제공하고, 제어부는 측정된 악취가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순환펌프(420)의 출력량을 증가시켜 지붕(11)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축사(10)의 지붕(11)에서 낙하되는 유체의 양이 증가하여, 워터커튼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바, 악취의 유출을 보다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악취감지센서는 악취강도 및 악취 기여도가 높은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등 총환원성황화합물 센서, 즉 TRS(Total Reduced Sulfur)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축사
11 지붕
20 외측프레임
100 제 1 리저버
110 리브
120 결합플레이트
130 조절부재
200 제 2 리저버
300 수용부
310 제 1 수용부
320 제 2 수용부
330 수차
400 재순환라인
410 유체공급라인
420 순환펌프
430 저류통

Claims (7)

  1. 축사의 지붕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상기 지붕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붕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수용되는 제 1 리저버;
    상기 제 1 리저버에서 낙하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유체가 S자 형상으로 낙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서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리저버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1 수용부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수용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상측에는 제자리 회전 가능한 수차가 배치되고, 유체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에 상기 수차에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낙하하는 유체를 수용하는 제 2 리저버;
    상기 제 2 리저버에 수용되는 유체를 상기 유체공급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재순환라인; 및
    상기 재순환라인 경로 상에 배치되는 순환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저버는,
    상기 지붕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리저버의 수평을 조절가능한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지붕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리저버의 저면에 고정되는 조절부재; 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을 조이는 경우 상기 제 1 리저버는 상기 리브에 가까워지고, 상기 고정수단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 상기 제 1 리저버는 상기 리브에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KR1020200160175A 2020-11-25 2020-11-25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KR10250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75A KR102504744B1 (ko) 2020-11-25 2020-11-25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PCT/KR2020/017785 WO2022114346A1 (ko) 2020-11-25 2020-12-07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US17/617,463 US20230247965A1 (en) 2020-11-25 2020-12-07 Water circulation-type malodor redu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175A KR102504744B1 (ko) 2020-11-25 2020-11-25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497A true KR20220072497A (ko) 2022-06-02
KR102504744B1 KR102504744B1 (ko) 2023-03-02

Family

ID=8175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175A KR102504744B1 (ko) 2020-11-25 2020-11-25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47965A1 (ko)
KR (1) KR102504744B1 (ko)
WO (1) WO2022114346A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865U (ko) * 1973-06-12 1975-02-26
JPS5053448U (ko) * 1973-09-22 1975-05-22
KR940018726U (ko) * 1993-01-08 1994-08-16 박장춘 양돈 급이기의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급이통
JP2006341249A (ja) * 2005-05-13 2006-12-21 Yoshimoto Pole Co Ltd 除塵・脱臭システム、除塵・脱臭方法、並びに畜舎
KR101528408B1 (ko) * 2013-12-24 2015-06-11 양수복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
KR101826893B1 (ko) * 2017-09-19 2018-02-08 (주)아쿠아 스마트 pdf 물탱크
KR101825845B1 (ko) * 2016-11-22 2018-03-22 박정치 다단 낙차구조를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KR20180046106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KR101867306B1 (ko) * 2017-01-24 2018-06-14 이종배 수차 발전 시스템
KR101894095B1 (ko) * 2017-12-21 2018-10-04 천용삼 바이오커튼과 이온수를 이용하여 축사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
KR20190064805A (ko) 2017-12-01 2019-06-11 이일환 악취방지용 워터스크린장치
KR102091191B1 (ko) * 2018-06-22 2020-04-23 (주)지엔비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9616A (en) * 1973-07-26 1976-02-24 Schapker Richard L Rain water run-off disperser
CN108812336A (zh) * 2018-05-22 2018-11-16 傅家淳 一种喷淋降温式猪舍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865U (ko) * 1973-06-12 1975-02-26
JPS5053448U (ko) * 1973-09-22 1975-05-22
KR940018726U (ko) * 1993-01-08 1994-08-16 박장춘 양돈 급이기의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급이통
JP2006341249A (ja) * 2005-05-13 2006-12-21 Yoshimoto Pole Co Ltd 除塵・脱臭システム、除塵・脱臭方法、並びに畜舎
KR101528408B1 (ko) * 2013-12-24 2015-06-11 양수복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
KR20180046106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KR101825845B1 (ko) * 2016-11-22 2018-03-22 박정치 다단 낙차구조를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KR101867306B1 (ko) * 2017-01-24 2018-06-14 이종배 수차 발전 시스템
KR101826893B1 (ko) * 2017-09-19 2018-02-08 (주)아쿠아 스마트 pdf 물탱크
KR20190064805A (ko) 2017-12-01 2019-06-11 이일환 악취방지용 워터스크린장치
KR101894095B1 (ko) * 2017-12-21 2018-10-04 천용삼 바이오커튼과 이온수를 이용하여 축사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
KR102091191B1 (ko) * 2018-06-22 2020-04-23 (주)지엔비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47965A1 (en) 2023-08-10
WO2022114346A1 (ko) 2022-06-02
KR102504744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475B1 (ko)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US5768982A (en) Convection steam oven
KR102379348B1 (ko)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JP2005537409A (ja) 越流チャンバ
DE102014001964A1 (de) Geschirrspülmaschin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KR20220072497A (ko)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US4289713A (en) Automatic flushing and draining reservoir apparatus for evaporative coolers
KR101713908B1 (ko) 축사용 악취 물질 제거 장치
KR102030177B1 (ko) 축사 지붕 설치용 탈취장치
CN2412159Y (zh) 水浴丝网高效除尘器
AU2003215425B2 (en) Evaporative coolers
KR101901746B1 (ko)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JP2020032407A (ja) 脱臭装置及び畜舎の臭気低減システム
KR101333637B1 (ko)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형 축사
KR102291424B1 (ko) 악취 제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가축분뇨 저장설비
KR20230127835A (ko) 이끼 패널을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190044192A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장치
US2776861A (en) Gutter water control structure
JP2742039B2 (ja) 動物ラック用水洗装置
JP4446859B2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KR100698773B1 (ko)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CN209276637U (zh) 一种铜合金线材防氧化结构
KR20060021783A (ko) 폭포수 음이온 발생 가습기 겸용 선풍기
KR102508247B1 (ko) 외부 조도 인식 센서를 활용한 도로조명 설비 복합 전력 공급 시스템
KR200382667Y1 (ko) 세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