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2362A -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2362A
KR20220072362A KR1020200159872A KR20200159872A KR20220072362A KR 20220072362 A KR20220072362 A KR 20220072362A KR 1020200159872 A KR1020200159872 A KR 1020200159872A KR 20200159872 A KR20200159872 A KR 20200159872A KR 20220072362 A KR20220072362 A KR 2022007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ludge
unit
dirty tank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343B1 (ko
Inventor
김수한
Original Assignee
아이엔테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엔테코(주) filed Critical 아이엔테코(주)
Priority to KR102020015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3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유와 슬러지가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가 입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혼합물이 수용되는 더티 탱크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내부 및 외부를 반복적으로 경유하며 무한궤도의 형태로 설치되고, 전면에 장착된 필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필터 이동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출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더티 탱크부의 외부로 회수되는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수용하는 배출 용기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며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의 절삭유를 포집하는 진공 챔버부 및 상기 진공 챔버부와 연결되며, 포집된 절삭유를 크린탱크로 이송시키는 흡입 펌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Sludge filtering apparatus for machining}
본 발명은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는 필터를 세척하여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필터의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 내에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크랭크 축 등을 절삭 가공하게 되면 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칩은 절삭유와 함께 배출되는데, 절삭유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칩을 분리시키고, 개끗하게 분리된 절삭유를 배관라인을 통해 절삭 가공기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칩을 분리시키는 종래 절삭 가공용 칩 필터링 시스템의 경우, 절삭유(coolant)와 칩(chip)이 혼합된 혼합물이 저장되는 혼합 탱크와, 혼합 탱크 내부에서 걸러진 칩을 운반하여 1차로 제거하는 콘베이어가 설치되고, 혼합탱크의 상측에는 1차로 칩이 제거된 절삭유에 포함된 미세한 칩을 2차로 제거하는 필터기가 설치되며, 혼합탱크의 일측에는 필터기를 통과하여 깨끗하게 된 절삭유를 모으는 크린탱크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절삭 가공용 칩 필터링 시스템에서, 트렌치를 통해 혼합 탱크에 유입되는 혼합물 중에 포함된 칩은 컨베이어 상에 쌓이게 되는데, 컨베이어가 가동되면서 칩을 1차로 외부로 배출시켜 스크래퍼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1차로 칩이 제거된 혼합물은 망으로 구획된 공간(혼합탱크 내부 공간)에서 필터 펌프를 통해 필터기에 유입, 미세한 칩이 2차로 제거되어 깨끗하게 되고, 깨끗한 절삭유는 크린탱크에 유입되어 절삭유 공급 펌프를 통해 절삭 가공기(M/C)에 재공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는 필터를 통해 절삭유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한편, 높이 차를 이용하여 1차로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고, 정화된 절삭유 분사를 통해 순환하는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2차로 제거하며, 필터 표면을 흡입하여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3차로 제거함으로써, 필터가 일정한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필터 세척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게 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를 통과하여 혼합 탱크 내에 저장되는 절삭유를 크린탱크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정지된 상태의 필터가 필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해 순환 이동하는 시간 주기를 연속적으로 산출하고, 해당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필터 교체 시기를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필터 사용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는 절삭유와 슬러지가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가 입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혼합물이 수용되는 더티 탱크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내부 및 외부를 반복적으로 경유하며 무한궤도의 형태로 설치되고, 전면에 장착된 필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필터 이동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출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더티 탱크부의 외부로 회수되는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수용하는 배출 용기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며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의 절삭유를 포집하는 진공 챔버부 및 상기 진공 챔버부와 연결되며, 포집된 절삭유를 크린탱크로 이송시키는 흡입 펌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이동부는 상기 더티 탱크부의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더티 탱크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필터링 하는 필터링 구간, 상기 필터링 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더티 탱크부의 출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를 가지며 상기 필터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 구간, 상기 제1이동 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더티 탱크부의 출측에서 슬러지의 제거 후 회수되는 상기 필터의 회수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 구간 및 상기 회수 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더티 탱크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더티 탱크부의 내부로 상기 필터가 순환 이동하게 하는 제2이동 구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회수 구간은 상기 회수 경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회수되는 상기 필터에 가해지는 장력이 반복적으로 변화되게 하는 캠 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 구간은 상기 회수 경로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크린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캠 부재를 통해 상기 필터에 가해지는 장력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정체 탱크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필터로 분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분사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이동 구간은 상기 더티 탱크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상기 필터의 표면을 흡입,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흡입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흡입 펌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 펌프부의 구동 시 발생된 흡입력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는 상기 흡입 펌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펌프부가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필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필터를 이동시키며,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데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측정,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도달 시간이 짧아짐에 따른 추이를 분석하며, 상기 도달 시간이 기 설정된 교체 권장 시간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을 예상하여 해당 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은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는 필터를 통해 절삭유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한편, 높이 차를 이용하여 1차로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고, 정화된 절삭유 분사를 통해 순환하는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2차로 제거하며, 필터 표면을 흡입하여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3차로 제거함으로써, 필터가 일정한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필터 세척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게 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하는 필터의 이동 경로에 회전하는 캠 부재를 설치하여 필터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시적으로 변화된 상태에서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에 대한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터를 통과하여 혼합 탱크 내에 저장되는 절삭유를 크린탱크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정지된 상태의 필터가 필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해 순환 이동하는 시간 주기를 연속적으로 산출하고, 해당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필터 교체 시기를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필터 사용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필터 이동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캠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캠 부재의 작동에 따른 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흡입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제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필터 이동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캠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캠 부재의 작동에 따른 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흡입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에 대한 제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는 더티 탱크부(100), 필터 이동부(200), 배출 용기부(300) 및 진공 챔버부(400) 및 흡입 펌프부(500)를 포함한다.
더티 탱크부(100)는 절삭유와 슬러지가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100a)가 입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더티 탱크부(100)는 유입부(100a)를 통해 유입된 혼합물을 절삭유와 슬러지로 분리한 이후에, 분리된 슬러지가 더티 탱크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더티 탱크부(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평 구조의 바닥면(110a)을 가지는 제1본체(110), 제1본체(110)에서 연장되어 경사면(120a)을 가지는 제2본체(12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본체(110)의 상부에는 필터링을 통해 깨끗한 상태의 절삭유가 유입되어 저장되게 하는 크린탱크(130)가 마련된다.
또한, 필터 이동부(200)는 더티 탱크부(100)의 내부 및 외부를 반복적으로 경유하며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고, 전면에 장착된 필터(10)의 이동을 안내한다.
필터 이동부(200)는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됨에 있어서, 더티 탱크부(100)의 내부, 다시 말해 제1본체(110)의 바닥면(110a)과, 제2본체(120)의 경사면(120a)을 따라 연장되고, 더티 탱크부(100)의 외부에서 소정의 경로를 형성하며 연장되어 다시 제1본체(110)의 내부의 필터 이동부(200)와 연결된다.
이러한 필터 이동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구간(A), 제1이동 구간(B), 회수 구간(C) 및 제2이동 구간(D)를 구비한다.
먼저, 필터링 구간(A)은 제1본체(110)의 바닥면(110a)과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며, 전면에 설치된 필터(10)를 통해 더티 탱크부(100)에 수용된 혼합물을 필터링 하고, 그에 따라 필터(10) 상에 슬러지가 걸러진 상태에서, 절삭유만 진공 챔버부(400)로 유입되게 한다.
필터링 구간(A)에서는 자중에 의해 필터(10)를 통과하면서 절삭유에 포함된 슬러지가 걸러지기도 하지만, 흡입 펌프부(500)를 통해 진공 챔버부(400)에 수용된 깨끗한 상태의 절삭유를 크린탱크(130)로 이동시킴에 따라, 그 압력에 의해 혼합물이 필터(10)를 빠르게 통과되게 하여 슬러지에 대한 필터링 시간이 단축시킬 수 있다.
제1이동 구간(B)은 필터링 구간(A)과 연결되며, 더티 탱크부(100)의 출측 형상, 즉 제2본체(120)의 경사면(120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필터(10)를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제1이동 구간(B)에서는 필터링 구간(A)에서 걸러진 슬러지가 경사면(12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회수 구간(C)은 제1이동 구간(B)과 연결되고, 더티 탱크부(100)의 출측에서 슬러지의 제거 후 회수되는 필터(10)의 회수 경로를 형성한다.
회수 구간(C)은 제1이동 구간(B)의 단부, 다시 말해 제1더티 탱크부(100)의 출측에서 필터(10)가 회수되게 함에 있어, 상하가 반전되어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필터링 구간(A)에서 걸러져 제1이동 구간(B)을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가 낙하되도록 하여 배출 용기부(300)에 수집되게 한다.
이러한 회수 구간(C)에는 캠 부재(600) 및 분사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다.
캠 부재(600)는 회수 경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 시 회전 축(600a)의 중심부와 멀어진 일단부가 필터(10)를 밀어내어 회수 경로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즉, 캠 부재(600)는 그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회전 시 필터(10)에 가해지는 장력이 반복적으로 변화되게 하여, 회수 경로의 타측에 위치된 필터(10)르 잡아당기는 역할을 반복하며,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의 관통 홀(10a) 직경이 일시적으로 확장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필터(10)의 관통 홀(10a)이 일시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분사부재(700)의 구동을 통해 필터(10)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분사부재(700)는 회수 경로의 타측에 설치되고, 필터(10)를 향해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슬러지가 제거되게 할 수 있는데, 만일 필터(10)의 관통 홀(10a)이 확장된 상태가 되면, 관통 홀(10a) 내부에 점착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슬러지에 대한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사부재(700)의 경우, 별도의 연결관(710)을 통해 크린탱크(130)와 연결되기 때문에, 분사부재(700)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크린탱크(130) 내에 수용된 깨끗한 상태의 절삭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사되는 깨끗하지 않은 유체에 의해 필터(10)의 세척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이동 구간(D)은 회수 구간(C)과 연결되며, 더티 탱크부(100)의 외부로부터 더티 탱크부(100)의 내부로 필터(10)가 순환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제2이동 구간(D)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재(800)가 설치될 수 있다.
흡입부재(800)는 제2이동 구간(D)에서 필터(10) 표면을 흡입함으로써, 회수 구간(C)에서 1 차로 제거된 필터(10)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총 2 회에 걸쳐 슬러지를 제거한 깨끗한 상태의 필터(10)가 다시 더티 탱크부(100)의 내부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흡입부재(800)는 바람직하게는 포집된 절삭유를 크린탱크(130)로 이송시키는 흡입 펌프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흡입부재(800)는 슬러지 제거를 위하여 별도 구동 펌프(미도시)를 통해 필터(10)의 표면을 흡입하는 것이 아니라, 진공 챔버부(400)에 포집된 절삭유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존 흡입 펌프부(500)의 흡입력을 함께 이용, 필터(10)의 표면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흡입부재(800)는 제2이동 구간(D)에 하나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제2이동 구간(D)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900)는 흡입 펌프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흡입 펌프부(500)가 기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필터(10)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터 이송부(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필터(10)는 통상적으로 소정 시간 동안 필터링 구간(A)에 머물면서 슬러지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하며, 그 이후 필터링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말해 흡입 펌프부(500)의 구동 시 흡입되는 절삭유의 양이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판단되면, 필터(10)의 관통 홀(10a)이 슬러지에 의해 막힌 것으로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900)를 통해 필터 이송부(200)를 구동을 제어하여 필터링 구간(A)에 위치된 필터(10)가 제1이동 구간(B)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필터(10)가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며 필터 이동부(20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장시간 필터(10)를 사용한 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필터(10) 모두에 대한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필터(1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제어부(900)는 필터링 구간(A)에서 제1이동 구간(B)으로 이동하기 전,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시간의 추이를 고려하여 필터(10)의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흡입 펌프부(500)가 설정된 기준 압력, 즉 슬러지가 필터(10) 상에 걸려 더 이상 절삭유를 이송시킬 수 없다고 판단되는 압력으로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필터(10)의 세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판단, 필터 이동부(200)를 구동시켜 필터(10)가 필터링 구간(A)에서 제1이동 구간(B)으로 이동하도록 하는데, 이때 제어부(900)는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데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누적 저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필터링 구간(A)에서 필터(10)가 상기와 같이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데 도달한 도달 시간이 40분이라 가정하고, 제2이동 구간(D)에서 필터링 구간(A)으로 이동한 필터(10')가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데 도달한 도달 시간이 30분이라 가정하면, 이러한 복수개의 데이터가 반복해서 누적되게 되면, 그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900)를 통해 그 추이를 확인함에 있어, 만일 도달 시간이 기 설정된 교체 권장 시간, 일례로 20분으로 설정된 교체 권장 시간에 가까워짐에 따라 필터(10)의 교체 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여기서, 교체 권장 시간은 누적된 복수의 데이터를 확인해본 결과, 교체가 이루어지기 전 도달 시간의 평균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10)를 사용함에 있어, 필터링 구간(A)에서의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데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계속적으로 누적시켜,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필터(10)에 대하여 교체 권장 시간에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를 위한 신호를 송출하여 필터(10)가 제기능을 상실하게 이전에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터(10)가 항상 동일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는 필터(10)의 사용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는 필터를 통해 절삭유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한편, 높이 차를 이용하여 1차로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고, 정화된 절삭유 분사를 통해 순환하는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2차로 제거하며, 필터 표면을 흡입하여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3차로 제거함으로써, 필터가 일정한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필터 세척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게 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하는 필터의 이동 경로에 회전하는 캠 부재를 설치하여 필터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시적으로 변화된 상태에서 필터에 잔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에 대한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터를 통과하여 혼합 탱크 내에 저장되는 절삭유를 크린탱크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정지된 상태의 필터가 필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해 순환 이동하는 시간 주기를 연속적으로 산출하고, 해당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필터 교체 시기를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필터 사용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필터 10a : 관통 홀
100 : 더티 탱크부 100a : 유입부
110 : 제1본체 110a : 바닥면
120 : 제2본체 120a : 경사면
130 : 크린탱크 200 : 필터 이동부
300 : 배출 용기부 400 : 진공 챔버부
500 : 흡입 펌프부 600 : 캠 부재
600a: 회전 축 700 : 분사부재
710 : 연결관 800 : 흡입부재
900 : 제어부 A : 필터링 구간
B : 제1이동 구간 C : 회수 구간
D : 제2이동 구간

Claims (9)

  1. 절삭유와 슬러지가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가 입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혼합물이 수용되는 더티 탱크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내부 및 외부를 반복적으로 경유하며 무한궤도의 형태로 설치되고, 전면에 장착된 필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필터 이동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출측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더티 탱크부의 외부로 회수되는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수용하는 배출 용기부;
    상기 더티 탱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며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의 절삭유를 포집하는 진공 챔버부; 및
    상기 진공 챔버부와 연결되며, 포집된 절삭유를 크린탱크로 이송시키는 흡입 펌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이동부는,
    상기 더티 탱크부의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더티 탱크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필터링 하는 필터링 구간;
    상기 필터링 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더티 탱크부의 출측 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를 가지며 상기 필터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 구간;
    상기 제1이동 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더티 탱크부의 출측에서 슬러지의 제거 후 회수되는 상기 필터의 회수 경로를 형성하는 회수 구간; 및
    상기 회수 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더티 탱크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더티 탱크부의 내부로 상기 필터가 순환 이동하게 하는 제2이동 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구간은,
    상기 회수 경로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회수되는 상기 필터에 가해지는 장력이 반복적으로 변화되게 하는 캠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구간은,
    상기 회수 경로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크린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캠 부재를 통해 상기 필터에 가해지는 장력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정체 탱크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필터로 분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분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 구간은,
    상기 더티 탱크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상기 필터의 표면을 흡입,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흡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흡입 펌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 펌프부의 구동 시 발생된 흡입력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펌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펌프부가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필터 이동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필터를 이동시키며,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데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측정,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도달 시간이 짧아짐에 따른 추이를 분석하며, 상기 도달 시간이 기 설정된 교체 권장 시간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필터의 교체 시점을 예상하여 해당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KR1020200159872A 2020-11-25 2020-11-25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KR102559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72A KR102559343B1 (ko) 2020-11-25 2020-11-25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72A KR102559343B1 (ko) 2020-11-25 2020-11-25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362A true KR20220072362A (ko) 2022-06-02
KR102559343B1 KR102559343B1 (ko) 2023-07-25

Family

ID=8198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872A KR102559343B1 (ko) 2020-11-25 2020-11-25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3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0U (ja) * 1992-06-23 1994-02-01 椿本メイフラン株式会社 汚濁液濾過装置の使用済み濾紙の切断機構
JPH109660A (ja) * 1996-06-20 1998-01-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空気調和装置
KR100667400B1 (ko) * 2005-12-07 2007-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절삭 가공용 칩 필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0U (ja) * 1992-06-23 1994-02-01 椿本メイフラン株式会社 汚濁液濾過装置の使用済み濾紙の切断機構
JPH109660A (ja) * 1996-06-20 1998-01-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空気調和装置
KR100667400B1 (ko) * 2005-12-07 2007-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절삭 가공용 칩 필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343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956B1 (ko) 칩 컨베이어에 부속되는 칩/절삭유 여과장치
US5738782A (en) Cleaning apparatus for fluids
US6332983B1 (en) Chip treatment device
KR101116421B1 (ko) 더티액 처리 장치
KR101122047B1 (ko) 친환경 인삼 세척장치
JP3727210B2 (ja) 濾過装置
KR100925947B1 (ko) 엔진 실린더 블록용 칩 제거장치
KR102435010B1 (ko) 여과장치
JP5433823B2 (ja) チップ搬送コンベヤ装置
KR20120067587A (ko) 칩 컨베이어 장치
WO2006009094A1 (ja) 切粉搬送式切粉濾過および排出装置
KR20120069046A (ko) 칩 컨베이어 장치
KR20080071564A (ko) 액체 여과 시스템
JP5349065B2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KR20220072362A (ko) 절삭 가공용 슬러지 필터링 장치
JP6738942B1 (ja) スラッジの処理装置及びスラッジ処理システム工作機械
US6578714B2 (en) Mobile washer with fluid reclamation system
KR200404946Y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세정장치
KR101634036B1 (ko) 여과기
KR101725829B1 (ko) 칩 및 오일 제거기능을 가지는 절삭유 공급장치
JP2007203411A (ja) クーラントの清浄装置
KR100667400B1 (ko) 절삭 가공용 칩 필터링 시스템
KR101992435B1 (ko) 필터드럼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미세칩 분리장치
CN210413744U (zh) 一种用于机床内的新型排屑机
CN113909988A (zh) 用于金属切屑机床的智能排屑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