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879A - Tire - Google Patents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879A
KR20220070879A KR1020200157886A KR20200157886A KR20220070879A KR 20220070879 A KR20220070879 A KR 20220070879A KR 1020200157886 A KR1020200157886 A KR 1020200157886A KR 20200157886 A KR20200157886 A KR 20200157886A KR 20220070879 A KR20220070879 A KR 2022007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carcass
tire
dispose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5078B1 (en
Inventor
지용휘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78B1/en
Publication of KR2022007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8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4Bead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4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having annular inlays or covers, e.g. white sidewalls
    • B60C2013/045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having annular inlays or covers, e.g. white sidewalls comprising different sidewall rubbe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i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unit; a side wall unit formed and extended from an end of the tread unit; a bead unit which is disposed on an end of the side wall unit, and has a bead core and a bead filler; a belt layer extend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ire inside the tread unit; and a carcass which is extended along the tread unit, the side wall unit, and the bead unit to an inside of the belt layer, turned up at the bead core, and turned at a peak of the bead filler. The tire has improved safety and durability.

Description

타이어{Tire}tir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ires.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A vehicle driven by users consists of many parts, and among them, a tire substantially affects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parts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타이어의 비드부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림과 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고속 주행 시, 타이어는 열이 발생하고, 굴신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비드부와 림의 접촉면이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어의 비드부와 림의 접촉면 변화는 고속 주행 시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의 성능에 변화를 가져와 성능의 급격한 열화를 초래할 수 있고, 비드 이탈이 발생할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The bead part of the tire is responsible for fixing the rim and tire so that they do not separate when the vehicle is driving. During high-speed driving, the tire generates heat and repeats the flexing/extending motion. Accordingly, the contact surface of the tire bead and the rim flows. Such a change i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ead part and the rim of the tire may cause a change in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s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during high-speed driving, resulting in rapid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and may lead to a major accident if the bead escapes.

또한 사이드 월부의 변형이 커져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의 크기도 커짐에 따라 고속 내구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림 장착성 향상을 위해 타이어의 비드부 형상을 변경하거나, 림 쿠션의 재질을 변경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기존의 구조들은 만족할 만한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속 주행시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림 장착성 향상 및 유동성을 감소시킨 타이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deformation of the sidewall portion increases and the size of the standing wave increases, the high-speed durability performance is deteriora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improve the rim mountability, methods of changing the bead shape of the tire or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rim cushion have been proposed, but the existing structures do not provide satisfactory performance. And in order to improve stabilit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ire with improved rim mountability and reduced fluidity.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안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타이어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ire with improved safety and durab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비드 코어와 비드 필러를 가지는 비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층, 및 상기 벨트층의 내측으로 상기 트레드부, 상기 사이드월부 및 상기 비드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비드 코어에서 턴업되고, 상기 비드 필러의 피크단에서 터닝되는 카카스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a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read portion, a bead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sidewall portion, and having a bead core and a bead filler, and the tread portion inside the A belt laye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 carcass extending along the tread portion,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bead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belt layer, turned up at the bead core, and turned at the peak end of the bead filler It provides a tire comprising a.

또한, 상기 카카스는 단부가 상기 비드 필러의 상기 피크단에서 터닝되어 상기 카카스와 상기 비드 필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carcass may be turned at the peak end of the bead filler to be disposed between the carcass and the bead filler.

또한, 상기 카카스는 상기 카카스의 단부는 엔드 포인트가 상기 비드 필러의 내측의 일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rcass, the end point of the carcass may be disposed at one point inside the bead pillar.

또한, 상기 카카스는 상기 비드 필러의 상기 피크단에서 기 설정된 구간까지 상기 비드 필러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cass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bead pillar from the peak end of the bead pillar to a preset section.

또한, 상기 비드 필러와 상기 카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on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ead filler and the carcass.

또한, 상기 접합 부재는 상기 카카스의 두께보다 두께가 작을 수 있다.Also, the bonding member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carcass.

또한, 상기 접합 부재는 중첩된 상기 카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nd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verlapping carcass.

또한, 상기 카카스가 상기 피크단에서 터닝된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cas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disposed in the turned area at the peak en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장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카카스의 단부가 비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카카스와 비드부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카카스의 단부가 비드 필러와 카카스의 다른 구간(제1 구간)에 삽입되게 배치되므로, 외력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비드부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주행 중에 강한 충격이 타이어에 가해지더라도 비드부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is inserted into the bead, the carcass and the bead are firmly coupled.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is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section (the first section) of the bead filler and the carcass, it is not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so the position of the bead is firmly maintained, and even if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tire while driving, the bead The negative separation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카카스의 단부가 비드부의 피크단(PK)에서 턴닝되므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5 구간이 사이드월부를 따라 연장되지 않으므로, 다른 반제품들과의 간섭이 최소화 되므로, 제조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In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is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can be increased. Since the fifth section does not extend along the sidewall portion, interference with other semi-finished products is minimiz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i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 of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part of FIG. 2 .
4 and 5 are enlarged views of a part of FIG. 3 .
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without limiting the meaning.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타이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tir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100)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단부에서 연장된 사이드월부(120), 및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는 비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 the tire 100 includes a tread unit 110 and a sidewall unit 120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read unit 110 , and a bead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sidewall unit 120 . 130) may be included.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카카스(140)와 벨트층(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층(150)의 상부에는 캡 플라이(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와 한 쌍의 사이드월부(120)들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re 100 may include the carcass 140 and the belt layer 150 positioned below the tread part 110 , and a cap ply 16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belt layer 150 . . Also, the tire 100 may include an inner liner 170 positioned inside the tread unit 110 and the pair of sidewall units 120 to maintain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

트레드부(110)는 복수개의 그루브(115)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The tread unit 110 may have a tread block TB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grooves 115 . The tread block TB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may be partitioned by a first groove circumferential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and a second groov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ire 100 . have. The tread 110 is made of a thick rubber layer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트레드 블록(TB)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surface of the tread block TB, tread patterns for steering safety, traction, and braking performance and blocks partitioned by the tread patterns may be located. The tread patter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for drainage when driving on a wet road surface and sipes for improving traction and braking force. The sipe is formed in the block, and may be a groov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groove. The sipe serves to break the water film by absorbing moisture when driving on a wet road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tire 100 .

트레드부(110)는 내부에 카카스(140), 벨트층(150), 캡 플라이(160) 및 이너라이너(170)가 포함될 수 있다.The tread 110 may include a carcass 140 , a belt layer 150 , a cap ply 160 , and an inner liner 170 therein.

카카스(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카카스(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타이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arcass 140 extends along the tread part 110 , the sidewall part 120 , and the bead part 130 to form a skeleton of the tire 100 . The carcass 1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tire cord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rubber component.

카카스(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므로, 카카스(14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 비드 코어(131), 비드 필러(132)가 배치된다.Since the carcass 140 is turned up in the bead part 130 ,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carcass 140 may be created, and the bead core 131 and the bead filler 132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카카스(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arcass 14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rd papers made of a high-strength fiber organic material such as steel, polyester, rayon, or the like, and then coating it with rubber and rolling it.

구체적으로, 카카스(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rcass 140 includes one or more rubber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and natural rubb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ire cords. As the tire cord, various natural fibers or rayon, nylon, polyester, and Kevlar may be used, and a steel cord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thin wires may also be used.

벨트층(150)은 트레드부의 내측에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벨트층(150)은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벨트층(150)은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트레드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층(15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elt layer 150 extends inside the trea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 The belt layer 150 may improve durability of the tire 100 and form a skeleton. In addition, the belt layer 150 serves to secure driving stability by not only mitigating external impact, but also maintaining a wide tread of the tread. The belt layer 150 may be disposed below the tread 110 and may be formed by rolling by covering a plurality of belt cords (not shown) made of steel or organic fiber with rubber.

벨트층(15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벨트층(151)과, 제1 벨트층(151)의 상면에 배치된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elt layers 15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first belt layer 151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170 and the second belt layer 152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elt layer 151 may be provided.

캡 플라이(160)는 트레드부(110)와 벨트층(150) 사이에 배치된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 위에 부착되는 특수 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과 카카스(140)에 지지되어, 주행시에 벨트층(15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cap ply 160 is disposed between the tread 110 and the belt layer 150 . The cap ply 160 is a special cord paper attached on the belt layer 150 to improve performance during driving. The cap ply 160 may include, for example, polyester synthetic fibers. The cap ply 160 is supported by the belt layer 150 and the carcass 140, there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belt layer 150 during driving to ensure driving stability.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liner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ire 100 to prevent air leakage and maintain air pressure in the tire 100 . The inner liner 170 may be formed of a rubber layer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70 may be made of butyl rubber having a high density.

이너라이너(170)는 카카스(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비드부(1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카카스(1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inner liner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rcass 140 and extend to the bead part 130 . The inner liner 170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carcass 140 , and both ends may contact the bead part 130 .

도 3은 도 2의 비드부(130)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part 130 of FIG. 2 .

도 3을 참조하면,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bead part 1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idewall part 120 and serves to mount the tire 100 on the rim.

비드부(130)는 고무가 코팅된 스틸(Steel)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되는 비드 코어(131)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1)는 복수개의 비드 와이어(C)가 그룹화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ad part 130 may include a bead core 131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rubber-coated steel wires. The bead core 131 may be formed by grouping a plurality of bead wires (C). The bead core 13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ead filler 132 . Preferably, the bead core 131 may be disposed below the bead filler 132 .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로부터 사이드월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The bead part 130 may include a bead filler 132 , and the bead filler 132 may be disposed to extend from the bead core 131 in the sidewall part 120 direction. The bead filler 132 is a rubber fill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ead core 131 , and serves to reinforce the bead core 131 .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bead fillers 132 may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도 4와 도 5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and 5 are enlarged views of a part of FIG. 3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카카스(140)는 벨트층(150)의 내측으로,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된다. 3 to 5 , the carcass 140 extends inside the belt layer 150 along the tread 110 , the sidewall part 120 , and the bead part 130 .

일 실시예로, 카카스(140)는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구간(141)은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를 따라 연장되며, 비드부(130)의 내측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구간(142)은 제1 구간(141)에 연결되고 비드 코어(131)에서 턴업된다. 제3 구간(143)은 제2 구간(142)에 연결되고, 비드부(130)의 외측을 따라 연장된다. 제4 구간(144)은 제3 구간(143)과 연결되며,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서 터닝된다. 제5 구간(145)은 제4 구간(144)에서 연결되며, 제1 구간(141)과 비드부(130)의 내측에 삽입되게 배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carcass 14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e first section 141 extends along the tread part 110 and the sidewall part 120 , and extend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bead part 130 . The second section 142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141 and turned up in the bead core 131 . The third section 14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ction 142 and extends along the outside of the bead part 130 . The fourth section 144 is connected to the third section 143 and is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illar 132 . The fifth section 145 is connected in the fourth section 144 , and is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bead part 130 .

이때, 제3 구간(143)과 제5 구간(145)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서 소정의 거리(D)만큼, 제3 구간(143)과 제5 구간(145)이 서로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카카스(140)의 제3 구간(143)과 제5 구간(145)이 직접 연결되므로, 카카스(140)는 비드부(130)의 외측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 카카스(140)가 견고하가 커버되고, 제5 구간(145)이 비드 필러(132)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비드부(130)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section 143 and the fifth section 145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hird section 143 and the fifth section 145 may directly contact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from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illar 132 . Since the third section 143 and the fifth section 145 of the carcass 140 are directly connected, the carcass 1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bead part 130 . In particular, since the carcass 140 is firmly covered on the peak end PK of the bead filler 132 and the fifth section 145 is inserted into the bead filler 132 , the bead portion 130 of Separation can be prevented.

카카스(140)는 비드 코어(131)에서 턴업되고,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서 터닝된다. 카카스(140)는 단부가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서 터닝되어, 카카스(140)와 비드 필러(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rcass 140 is turned up at the bead core 131 , and is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illar 132 . The end of the carcass 140 is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filler 132 ,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rcass 140 and the bead filler 132 .

카카스(140)의 단부는 엔드 포인트(145EP)가 비드 필러(132)의 내측의 기 설정된 일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카카스(140)의 엔드 포인트(145EP)는 비드 코어(131)까지 연장되지는 않으며, 비드 필러(132)의 내측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엔드 포인트(145EP)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의 경계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end point 145EP of the carcass 14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side the bead pillar 132 . The end point 145EP of the carcass 140 does not extend to the bead core 131 , but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bead pillar 132 . In this case, the end point 145EP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bead core 131 and the bead filler 132 .

카카스(140)의 단부는 엔드 포인트(145EP)까지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제5 구간(145)에서 끝단은 엔드 포인트(145EP)까지 두께가 줄어 들 수 있다. 엔드 포인트(145EP)의 두께가 줄어들도록 배치되므로, 제1 구간(141) 및 이너라이너(170)가 부드럽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다가, 제1 지점(P1)에서 비드부(13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데, 이‹š 이너라이너(170)가 부드럽게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end of the carcass 140 may be reduced in thickness up to the end point 145EP. In the fifth section 145 , the end may have a reduced thickness up to the end point 145EP. Since the thickness of the end point 145EP is reduced, 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inner liner 170 may extend smoothly. In particular, the inner liner 170 is dispo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100 and extends inward from the bead portion 130 at the first point P1, and the inner liner 170 is gently moved inward. can be extended

카카스(140)는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서 기 설정된 구간까지 비드 필러(132)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카카스(140)는 제5 구간(145)이 제1 구간(141)과 비드 필러(132) 사이에 삽입되므로, 제1 구간(141)과 제5 구간(145)은 서로 중첩되어, 중첩 구간(OL)을 형성한다.The carcass 14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bead pillar 132 from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illar 132 to a preset section. Referring to FIG. 3 , in the carcass 140 , since the fifth section 145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bead pillar 132 , 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fifth section 145 are mutually They overlap to form an overlapping section OL.

제1 구간(141)과 제5 구간(145)은 같은 물성을 가지는데, 동일한 물성을 가지는 카카스(140)가 서로 중첩되므로, 견고하게 비드부(13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구간(141)과 제5 구간(145)이 서로 중첩되면, 비드부(130)의 내측에는 카카스(140)의 두께가 증대하므로, 비드부(130)는 내측에서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fifth section 145 have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nd since the carcass 140 having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overlap each other, they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bead part 130 . When 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fifth section 145 overlap each other, the thickness of the carcass 140 is increased on the inside of the bead section 130 , so that the bead section 130 has increased rigidity on the inside. can

비드 필러(132)는 타이어(100)에서 가장 강도가 강한데, 제5 구간(145)이 비드 필러(132)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제5 구간(145)이 보호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서 카카스(1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ead filler 132 has the strongest strength in the tire 100, and since the fifth section 145 is disposed inside the bead filler 132, the fifth section 145 can be protected from an impac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ha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cass 140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종래의 타이어는 카카스가 비드부에서 턴업된 이후에, 카카스의 끝단이 사이드월의 측면에 배치된다. 카카스의 단부가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면, 카카스의 단부는 외부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크게 받는다. 특히,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전달되면, 카카스의 단부가 사이드월부에서 분리되고, 비드부가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타이어는 카카스의 단부가 상당한 길이로 연장되며 사이드월부에 부착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저하된다. 카카스의 단부가 다른 반제품의 배치에 영향을 주므로, 타이어의 설계가 복잡해 진다.In a conventional tire, after the carcass is turned up at the bead portion, the end of the carcass is disposed on the sidewall of the sidewall. When the end of the carcass is disposed on the sidewall portion, the end of the carcass is greatly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when a strong impact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end of the carcass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bead portion may be separated.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ire,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extends to a considerable length and is attached to the sidewall portion,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s reduced.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affects the placement of other semi-finished products, the design of the tire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100)는 카카스(140)의 단부가 비드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카카스(140)와 비드부(13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카카스(140)의 단부가 비드 필러(132)와 카카스(140)의 다른 구간(제1 구간)에 삽입되게 배치되므로, 외력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비드부(130)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주행 중에 강한 충격이 타이어(100)에 가해지더라도 비드부(130)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140 is inserted into the bead part 130 , the carcass 140 and the bead part 130 are firmly coupled.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140 is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another section (the first section) of the bead pillar 132 and the carcass 140 , it is not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ead part 130 is firmly It is maintained, and even if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tire 100 while driving, the separation of the bead part 130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100)는 카카스(140)의 단부가 비드부(130)의 피크단(PK)에서 턴닝되므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5 구간(145)이 사이드월부(120)를 따라 연장되지 않으므로, 다른 반제품들과의 간섭이 최소화 되므로, 제조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In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of the carcass 140 is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ortion 130,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can be increased. Since the fifth section 145 does not extend along the sidewall part 120 , interference with other semi-finished products is minimiz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ncreas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카카스(140)는 접합 부재(180)에 의해서 비드 필러(132)에 부착될 수 있다. 접합 부재(180)는 비드 필러(132)와 카카스(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carcass 140 may be attached to the bead pillar 132 by the bonding member 180 . The bonding member 1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ad pillar 132 and the carcass 140 .

접합 부재(180)는 비드 필러(132)와 카카스(14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180)는 비드 필러(132)와 카카스(140)의 물성 차이를 완충시켜서, 카카스(140)가 비드 필러(13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onding member 180 may fix the bead pillar 132 and the carcass 140 . In addition, the bonding member 180 may prevent the carcass 1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ead filler 132 by buffering a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between the bead filler 132 and the carcass 140 .

일 실시예로, 접합 부재(180)는 카카스(14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접합 부재(180)는 카카스(140) 및 비드 필러(132) 중 적어도 하나에 코팅, 도포 또는 부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bonding member 180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rcass 140 . The bonding member 180 may be coated, applied, or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carcass 140 and the bead filler 132 .

다른 실시예로, 접합 부재(180)는 플라이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이 스트립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비드부(130)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onding member 180 may be formed of a ply strip. The fly strip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bead portion 13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접합 부재(180)가 비드부(130)와 카카스(140) 사이에 배치되어, 비드 필러(132)와 카카스(140)의 물성 차이를 완충시켜서, 카카스(140)를 비드부(1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member 180 is disposed between the bead part 130 and the carcass 140 , so that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between the bead filler 132 and the carcass 140 is buffered. Thus, the carcass 1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bead part 130 .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카카스(140)는 제1 접합 부재(180A)와 제2 접합 부재(180B)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arcass 140 may include a first bonding member 180A and a second bonding member 180B.

제1 접합 부재(180A)는 비드부(130)를 커버하며, 비드부(130)와 카카스(1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합 부재(180A)는 비드 필러(132)와 카카스(140)의 물성 차이를 완충시켜서, 카카스(140)를 비드부(1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member 180A covers the bead part 13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ead part 130 and the carcass 140 . The first bonding member 180A cushions a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between the bead filler 132 and the carcass 140 , so that the carcass 140 may be firmly fixed to the bead part 130 .

제2 접합 부재(180B)는 중첩되는 카카스(140)를 서로 연결하여, 카카스(140)의 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간(141)과 제5 구간(145) 사이에 제2 접합 부재(180B)가 배치되므로, 제2 접합 부재(180B)는 제1 구간(141)과 제5 구간(145)을 강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bonding member 180B connects the overlapping carcass 140 to each other, so that the end of the carcass 140 can be firmly fixed. Since the second bonding member 180B is disposed, the second bonding member 180B may strongly connect 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fifth section 145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비드부(130)의 피크단(PK)에서 터닝된 카카스(140)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180A)는 제5 구간(145)과 비드 필러(132)의 고정력을 높이며, 제2 접합 부재(180B)는 제5 구간(145)과 제1 구간(141)의 고정력을 높인다. 카카스(140)의 제5 구간(145)은 제1 접합 부재(180A)와 제2 접합 부재(180B)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비드부(130)의 내측에서 분리되지 않는다.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rmly fix the end of the carcass 140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art 130 . The first bonding member 180A increases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fifth section 145 and the bead filler 132 , and the second bonding member 180B increases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fifth section 145 and the first section 141 . . Since the fifth section 145 of the carcass 140 is fixed by the first bonding member 180A and the second bonding member 180B,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ead part 130 .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비드부(130)의 피크단(PK)에는 고정 부재(140F)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0F)는 카카스(140)에서 피크단에서 터닝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fixing member 140F may be dispos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art 130 . The fixing member 140F may be disposed in a region turned from the peak end of the carcass 140 .

카카스(140)는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서 터닝되므로, 제4 구간(144)과 제1 구간(141)은 분리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0F)는 터닝되는 제1 구간(141)과 제4 구간(14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므로, 제1 구간(141)에서 제4 구간(14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carcass 140 is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pillar 132 , the fourth section 144 and the first section 141 may be separated. Since the fixing member 140F is dispos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ction 141 and the fourth section 144 that are tur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urth section 14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ection 141 .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비드 필러(132)의 피크단(PK)에서 카카스(140)가 터닝된 부분에 고정 부재(140F)가 배치되므로, 카카스(140)의 터닝된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member 140F is disposed at the portion where the carcass 140 is turned at the peak end PK of the bead filler 132 , the turning of the carcass 14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ed parts from being sepa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월부
130: 비드부
140: 카카스
100: tire
110: tread part
120 side wall
130: bead unit
140: carcass

Claims (8)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월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비드 코어와 비드 필러를 가지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층; 및
상기 벨트층의 내측으로 상기 트레드부, 상기 사이드월부 및 상기 비드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비드 코어에서 턴업되고, 상기 비드 필러의 피크단에서 터닝되는 카카스;를 포함하는, 타이어.
tread;
a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read portion;
a bead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sidewall portion, the bead portion having a bead core and a bead filler;
a belt laye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inside the tread part; and
A carcass extending along the tread portion,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bead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belt layer, turned up at the bead core, and turned at the peak end of the bead filler; and a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스는
단부가 상기 비드 필러의 상기 피크단에서 터닝되어 상기 카카스와 상기 비드 필러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carcass
an end turned at the peak end of the bead pillar and disposed between the carcass and the bead pilla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스는
상기 카카스의 단부는
엔드 포인트가 상기 비드 필러의 내측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carcass
The end of the carcass is
and an endpoint is disposed at a point on the inside of the bead pilla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스는
상기 비드 필러의 상기 피크단에서 기 설정된 구간까지 상기 비드 필러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carcass
The tire is disposed to overlap the inside of the bead filler from the peak end of the bead filler to a preset s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필러와 상기 카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further comprising a; a bon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ead filler and the carcas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는
상기 카카스의 두께보다 두께가 작은,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nding member is
A tir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rcas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는
중첩된 상기 카카스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nding member is
A tire disposed between the overlapping carca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스가 상기 피크단에서 터닝된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carcass is turned at the peak end.
KR1020200157886A 2020-11-23 2020-11-23 Tire KR102425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886A KR102425078B1 (en) 2020-11-23 2020-11-23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886A KR102425078B1 (en) 2020-11-23 2020-11-23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879A true KR20220070879A (en) 2022-05-31
KR102425078B1 KR102425078B1 (en) 2022-07-27

Family

ID=8178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886A KR102425078B1 (en) 2020-11-23 2020-11-23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7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7309A (en) * 1988-05-26 1989-11-30 Bridgestone Corp Pneumatic radial tyre for heavy load
JP3934619B2 (en) * 2004-03-12 2007-06-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KR20100058879A (en) * 2008-11-25 2010-06-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Ultra high performance tire having improved bead durability
JP2011240834A (en) * 2010-05-19 2011-12-01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7309A (en) * 1988-05-26 1989-11-30 Bridgestone Corp Pneumatic radial tyre for heavy load
JP3934619B2 (en) * 2004-03-12 2007-06-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KR20100058879A (en) * 2008-11-25 2010-06-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Ultra high performance tire having improved bead durability
JP2011240834A (en) * 2010-05-19 2011-12-01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078B1 (en)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20066906A1 (en) Pneumatic tires
KR102425078B1 (en) Tire
KR102082950B1 (en) Pneumatic tire
KR102126000B1 (en) Pneumatic tire
JP7159676B2 (en) pneumatic tire
KR102030013B1 (en) Pneumatic tire
KR102318398B1 (en) Tire
KR102149457B1 (en) Pneumatic tire
KR102314845B1 (en) Tire
KR102304430B1 (en) Tire
KR102605834B1 (en) Tire
KR102278587B1 (en) Tire
KR1021826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ead core of pneumatic tire
KR20200047196A (en) Pneumatic tire
KR102097076B1 (en) Pneumatic tire
KR102113313B1 (en) Pneumatic tire
KR102291034B1 (en) Tire
KR102350629B1 (en)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8105B1 (en) Pneumatic tire
KR102287885B1 (en) Tire
KR102185303B1 (en) Wheel assembly
KR102303271B1 (en) Tire
KR102504843B1 (en) Tire curing bladder, tir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001984B1 (en) Tire
KR102113315B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