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19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195A
KR20220070195A KR1020220061368A KR20220061368A KR20220070195A KR 20220070195 A KR20220070195 A KR 20220070195A KR 1020220061368 A KR1020220061368 A KR 1020220061368A KR 20220061368 A KR20220061368 A KR 20220061368A KR 20220070195 A KR20220070195 A KR 2022007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rea
region
layer
pres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824B1 (ko
Inventor
이문선
김은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01L2251/5338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제 1 기판, 제 1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층, 화소 어레이층 상에 마련되고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으로부터 벤딩된 제 2 영역을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제 2 기판의 두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서 서로 다르므로, 스트레스에 최적화 되어 벤딩부의 벤딩이 용이하고 벤딩시 벤딩부 상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층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보다 슬림화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시되고 있고, 이 중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상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많은 이점이 있다.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을 접을 수 있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벤딩 영역에서 기판을 접어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좁은 베젤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더 좁은 베젤을 가지기 위해 벤딩의 정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최외각 스트레스가 늘어나고 패널 내부의 응력이 강해지게 되어 발광 소자층이 박리되고 박막 트랜지스터가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출원은 벤딩을 용이하게 하여 제로 베젤을 가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제 1 기판, 제 1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층, 화소 어레이층 상에 마련되고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으로부터 벤딩된 제 2 영역을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제 2 기판의 두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서 서로 다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트레스에 최적화 되어 벤딩부의 벤딩이 용이하고, 벤딩시 벤딩부 상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층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1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3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4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5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6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7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1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기판(100), 화소 어레이층(120), 제 2 기판(140), 및 커버막(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00)은 베이스 기판으로서, 플렉서블 기판이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0)은 투명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재질의 제 1 기판(100)은 캐리어 유리 기판에 마련되어 있는 릴리즈층의 전면(前面)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폴리이미드 수지가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캐리어 유리 기판은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이용한 릴리즈층의 릴리즈에 의해 제 1 기판(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제 1 기판(100)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제 1 기판(100)의 중앙 부분에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 어레이층(120)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제 1 기판(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기판(100)의 상에 버퍼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110)은 제 1 기판(100)을 통해 표시 영역(DA)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 1 기판(10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버퍼막(110)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110)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및 실리콘산질화막(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어레이층(120)은 제 1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된다. 즉, 화소 어레이층(120)은 제 1 기판(100)에 정의된 표시 영역(DA)과 중첩되는 버퍼막(110) 상에 마련된다.
상기 화소 어레이층(120)은 스캔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구동 전원 라인들, 화소 구동 회로, 및 발광 소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라인들은 제 1 기판(100)의 제 1 길이 방향(X)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1 기판(100)의 제 2 길이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은 제 1 기판(100)의 제 2 길이 방향(Y)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1 기판(100)의 제 1 길이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전원 라인들은 데이터 라인들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화소 구동 회로는 스캔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소 구동 회로는 인접한 스캔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신호, 인접한 구동 전원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 및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 소자층을 발광시킨다.
상기 발광 소자층은 해당 화소의 화소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한다. 발광 소자층에서 방출되는 광은 제 1 기판(100)을 통과하여 외부로 추출된다. 이러한 발광 소자층은 해당 화소의 화소 구동 회로에 연결된 제 1 전극, 제 1 전극 상에 형성된 발광층, 및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은 화소들에 개별적으로 패터닝된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제 1 전극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발광층은 화소에 설정된 색상에 대응되는 광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발광층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 무기 발광층, 및 양자점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기 발광층(또는 무기 발광층)과 양자점 발광층의 적층 또는 혼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층은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한 2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층은 제 1 광과 제 2 광의 혼합에 의해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발광부는 제 1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발광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발광부는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중 제 1 광의 보색 관계를 갖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극은 캐소드 전극으로서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제 2 전극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극은 알루미늄(Al)과 티타늄(Ti)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Al)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Ag/Pd/Cu)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과 같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금(Au), 마그네슘(Mg), 칼슘(Ca), 또는 바륨(B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2 이상의 합금 물질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40)은 화소 어레이층(12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화소 어레이층(120)에 인접한 제 1 면, 및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을 갖는다. 제 2 기판(140)의 제 1 면은 화소 어레이층(120)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 2 기판(140)은 산소 또는 수분이 발광 소자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제 2 기판(140)은 불투명한 메탈 재질로 이루어진 메탈 포일, 메탈 시트, 또는 메탈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판(140)은 열팽창 계수가 낮은 철(Fe)과 니켈(Ni)의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 2 기판(140)은 제 1 영역(A1) 및 제 1 영역으로부터 벤딩된 제 2 영역(A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A1)은 평면 영역으로 제 1 기판(100)의 정면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A2)은 벤딩 영역으로 제 1 기판(100)의 에지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영역(A2)은 곡면 형태로 벤딩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기판(140)은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에서 각각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A1)에서의 제 2 기판(140)의 두께는 제 2 영역(A2)에서의 제 2 기판(14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기판(140)은 제 2 영역(A2)의 부분 식각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에칭 공정, 레이저 공정 등을 이용하여 제 2 영역(A2)의 부분 식각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기판(140)은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에서 각각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에서 단차를 가진다. 일예로, 단차는 40um 내지 60u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기판(140)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므로 벤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의 두께가 저감되면, 벤딩시 발생하는 스트레스 및 응력이 저감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항상성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기판(140)에서 제 1 영역(A1)의 두께보다 제 2 영역(A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및 응력을 줄일 수 있고, 곡률반경 선택의 폭이 넓어지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기판(140)의 제 1 면은 접착층(130)을 매개로 하여 화소 어레이층(120)에 부착된다. 이러한 접착층(130)은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30)은 감압 접착제 또는 흡습 기능을 갖는 배리어 감압 접착제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막(150)은 제 2 기판(140)의 측면과 맞닿도록 제 1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A)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막(150)은 폴리머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우레탄 또는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막(150)은 제 1 기판(100)의 표시 영역(DA)과 접하는 비표시 영역(NA)에서 접착층(130)보다 높게 구비되어 접착층(130)을 통한 투습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막(150)은 캐리어 유리 기판이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이용한 릴리즈층의 릴리즈에 의해 제 1 기판(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 1 기판(100)의 말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A)에는 제 2 기판(140)이 마련되지 않아, 플렉서블하고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 1 기판(100)이 말려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커버막(150)은 제 1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A)에 마련되어 제 1 기판(100)의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후에 제 1 기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투광성 필름(160)을 형성하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200)는 제 1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A)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각 화소에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200)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복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인쇄 회로 기판(230), 및 타이밍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의 일측에 마련된 입력 단자들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230)에 부착되고,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의 타측에 마련된 출력 단자들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제 1 기판(100)에 마련된 패드부에 부착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각각은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에 개별적으로 실장된다. 이러한 복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각각은 타이밍 제어부(240)로부터 제공되는 화소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화소별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30)은 타이밍 제어부(220)를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200)의 구성들 간의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40)는 인쇄 회로 기판(230)에 실장되고, 인쇄 회로 기판(230)에 마련된 유저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제어부(240)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영상 데이터를 화소 어레이층(120)의 화소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소 데이터를 해당하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에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40)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데이터 제어 신호와 스캔 제어 신호 각각을 생성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고, 스캔 제어 신호를 통해 스캔 구동 회로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여기서, 스캔 제어 신호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중 첫번째 또는/및 마지막 연성 회로 필름과 제 1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A)을 통해서 해당하는 스캔 구동 회로에 공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기판(100)에 중첩되도록 제 1 기판(100)에 부착된 투광성 필름(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투광성 필름(160)은 투명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제 1 기판(100)에 버퍼막(110)이 형성되는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에 부착된다. 일 예에 따른 투광성 필름(160)은 플렉서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편광 필름, 및 투과도 제어 필름(transmittance controllable film)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투광성 필름(160)은 캐리어 유리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제 1 기판(100)의 제 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접착층은 OCR(optically clear resin)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벤딩된다. 즉, 제 1 기판(100)의 에지 표시 영역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제 2 기판(140)의 제 2 면 쪽으로 벤딩되어 제 2 기판(140)의 측면을 둘러싼다. 이때, 제 1 기판(100)의 에지 표시 영역은 1mm 내지 5mm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이처럼 곡면 형태로 벤딩된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에서는 에지 표시 화면(또는 서브 표시 화면)을 구성한다. 반면에, 벤딩되지 않은 표시 영역(DA)에서는 실질적으로 평면 상태를 갖는 정면 표시 화면(또는 메인 표시 화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기판(140)의 제 2 영역(A2)의 두께를 제 1 영역(A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벤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벤딩에 따라 10um 이하의 베젤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벤딩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발광 소자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2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3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2 및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기판(100), 화소 어레이층(120), 제 2 기판(140), 커버막(150), 및 보호막(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보호막(170)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막(170)은 제 2 기판(140)의 제 2 영역(A2) 상에 마련된다. 보호막(170)은 제 2 기판(140)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기판(140)의 제 2 영역(A2)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막(170)은 상압 플라즈마, 저온 증착 공정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제 2 기판(140)의 제 2 영역(A2)은 식각 공정에 의해 부분 식각이 된 영역으로 외부의 수분과 산소에 노출 될 수 있다. 제 2 기판(1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부식에 취약할 수 있고, 식각 공정에 의해 표면이 제거되면 외부의 수분과 산소에 쉽게 노출되어 산화(녹)이 발생한다. 제 2 기판(140)에 산화(녹)이 발생하면 표면의 두께를 변화시키며, 두께 변화에 의한 단차에 의해 표면 울리 불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호막(170)은 제 2 기판(140)의 제 2 영역(A2) 상에 마련되어, 식각된 부분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보호막(170)은 제 2 기판(140)으로 침투하는 산소 및/또는 수분을 차단하여 제 2 기판(14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170)은 단일층 또는 복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막(170)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및 실리콘산질화막(SiON) 중 어느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복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170)은 1um 이내의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기판(140)의 제 2 영역(A2)은 벤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가 저감된 영역에 해당하므로, 얇은 두께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호막(17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다. 일 예로, 제 2 영역(A2)에서의 제 2 기판(140)은 20um 내지 80u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보호막(170)은 제 2 기판(140)보다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영역(A2)에서의 제 2 기판(140)의 두께와 보호막(170)의 두께를 더하여도 제 1 영역(A1)에서의 제 2 기판(140)의 두께보다 얇다. 이와 같이, 얇은 두께를 갖는 보호막(170)을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제 2 기판(140)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보호막(170)은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기판(140)이 식각 공정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식각되면, 제 2 영역(A2)뿐만 아니라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 부분에서도 제 2 기판(140)의 산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보호막(170)은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 부분을 완전히 덮기 위하여, 제 2 영역(A2)과 경계를 이루는 제 1 영역(A1)의 끝단 일부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막(170)을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 부분을 완전하게 덮도록 형성하여, 제 2 영역(A2)뿐만 아니라 제 1 영역(A1)의 끝단 일부 영역에서 일어나는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4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5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출원의 6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4 내지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기판(100), 화소 어레이층(120), 제 2 기판(140), 커버막(150), 보호막(170), 및 홈(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홈(180)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홈(180)은 제 2 기판(140)의 제 2 영역(A2)에 마련된다. 홈(180)은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 및 제 2 기판(140)의 끝단부(DP) 사이에 마련된다. 여기서 끝단부(DP)는 제 2 기판(140)의 좌우 양 끝단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 2 영역(A2)에 포함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영역(A2)에서 제 2 기판(140)이 완전히 식각되지 않고, 홈(180)을 가지는 구조로 마련된다. 제 2 영역(A2)은 제 2 기판(140)의 좌우 양 끝에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하므로, 제 2 영역(A2)에서의 제 2 기판(140)을 식각하는 과정에서 제 2 기판(140)의 측면이 같이 식각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영역(A2)에서 끝단부(DP)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제 2 기판(140)을 식각하여 홈(180)을 갖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끝단부(DP)의 제 2 기판(140)을 식각하지 않으므로, 제 2 기판(140)의 측면이 같이 식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끝단부(DP)는 제 2 영역(A2)의 폭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가지고, 제 2 영역(A2)의 중앙부에 비하여 벤딩시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부분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끝단부(DP)의 제 2 기판(140)이 식각되지 않더라도, 끝단부(DP)를 제외한 나머지 제 2 영역(A2)에서의 제 2 기판(140)을 식각하면, 벤딩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홈(180)을 덮는 보호막(1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막(170)은 홈(18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 및 끝단부(DP)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호막(170)의 특징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7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기판(100), 화소 어레이층(120), 제 2 기판(140), 커버막(150), 보호막(170), 및 홈(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달라진 구성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막(170)은 제 2 기판(140)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된다. 제 2 기판(1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식각된 부분이 아니더라도 산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기판(140)의 전면을 덮도록 보호막(170)을 형성하여, 부분적으로 식각된 영역뿐만 아니라 식각되지 않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막(170)을 제 2 기판(140)의 전면에 마련하면, 제 2 기판(140)의 모든 영역에서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제 1 기판
120: 버퍼막 130: 화소 어레이층
140: 스캔 구동 회로 150: 접착층
160: 제 2 기판 170: 커버막
18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 190: 투광성 필름
200: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210: 스크린 모듈
220: 지지 프레임 230: 전면 커버
240: 모듈 결합 부재

Claims (10)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며,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 영역;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층; 그리고
    상기 화소 어레이층 영역 내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제2 영역을 구비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제 2 영역 상에 마련된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제 1 영역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 2 기판의 제 2 영역에서의 두께와 상기 보호막의 두께의 합보다 두꺼운,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두께는 상기 제 2 기판의 제 2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 2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경계를 덮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SiNx, SiOx의 단일층 또는 복합층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의 제 2 영역에 마련된 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덮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 2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경계 및 상기 제 2 기판의 끝단부를 덮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 2 기판의 전면을 덮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61368A 2017-10-31 2022-05-1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68A KR102488824B1 (ko) 2017-10-31 2022-05-1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18A KR102401414B1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61368A KR102488824B1 (ko) 2017-10-31 2022-05-19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18A Division KR102401414B1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195A true KR20220070195A (ko) 2022-05-30
KR102488824B1 KR102488824B1 (ko) 2023-01-13

Family

ID=662443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18A KR102401414B1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61368A KR102488824B1 (ko) 2017-10-31 2022-05-19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18A KR102401414B1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189670B2 (ko)
KR (2) KR102401414B1 (ko)
CN (2) CN1097275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38A (ko) 2018-11-19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570764A (zh) * 2019-08-23 2019-12-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1445796B (zh) * 2020-04-02 2022-1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6079A (zh) * 2015-11-05 2016-01-0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211A (ko) 2005-11-25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0786479B1 (ko) * 2006-09-22 2007-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표시기기
KR101200258B1 (ko) * 2008-12-26 2012-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모 어레이 기판
KR101341908B1 (ko) * 2009-05-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76540B1 (ko) 2011-12-28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17890B1 (ko)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76666B1 (ko) 2013-04-1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KR20150029429A (ko) 2013-09-10 2015-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76098B1 (ko) 2013-11-25 2020-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136246A (ko) * 2014-05-27 2015-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37186A (ko) 2014-05-28 2015-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더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9276055B1 (en) 2014-08-31 2016-03-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40628B1 (ko) 2014-12-02 2017-05-29 한국과학기술원 박막 봉지막
KR102383097B1 (ko) * 2015-08-27 2022-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797728B1 (ko) 2016-03-11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212038A (ja) * 2016-05-23 2017-1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979444B1 (ko) * 2016-07-29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61563A (ko) * 2016-11-29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783881A (zh) * 2016-12-26 2017-05-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08400138B (zh) 2016-12-28 2020-11-0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和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7132687B (zh) 2017-07-07 2020-03-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制备方法、液晶显示面板、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6079A (zh) * 2015-11-05 2016-01-0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10644B2 (en) 2024-02-20
KR102488824B1 (ko) 2023-01-13
KR20190048734A (ko) 2019-05-09
US20220045143A1 (en) 2022-02-10
CN109727536A (zh) 2019-05-07
US20190131362A1 (en) 2019-05-02
CN109727536B (zh) 2022-07-12
CN115172622A (zh) 2022-10-11
US11189670B2 (en) 2021-11-30
KR102401414B1 (ko)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3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88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65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913018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765925B2 (en) Display device
KR1024297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9152695A (ja) 表示装置及びカバーパネル
JP672831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5146904A1 (ja) 表示装置
JP2008277047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2100862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72852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