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409A - 차량 가니쉬 - Google Patents

차량 가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409A
KR20220069409A KR1020200156491A KR20200156491A KR20220069409A KR 20220069409 A KR20220069409 A KR 20220069409A KR 1020200156491 A KR1020200156491 A KR 1020200156491A KR 20200156491 A KR20200156491 A KR 20200156491A KR 20220069409 A KR20220069409 A KR 2022006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area
vehicle
garnish
optic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781B1 (ko
Inventor
이해창
고재우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삼신화학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신화학공업(주) filed Critical 삼신화학공업(주)
Priority to KR102020015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7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가니쉬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를 장식하는 부품으로, 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는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영역은 내측에 광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은 유색질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영역은 투명패널 및 투광성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영역은 투광성 금속층에 의해 금속색을 나타내거나 상기 광모듈로부터의 빛이 투과하여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가니쉬{GARNISH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가니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광면을 구비하는 차량 가니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외관은 차량 선택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심미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이 채택되고 있다.
가니쉬는 차량의 내외부에 부착되어 차량을 장식하여 심미감을 증가시키는 부재이다.
가니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크래쉬패드(crash pad), 도어, 콘솔(console), 각종 트림(trim)류에 부착되며, 통상적으로 외관의 패턴 구현 등을 위하여 우드그레인 필름지나 도장 처리된 표면을 가진다.
최근 가니쉬를 색다르게 장식하고 고급화를 위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가니쉬가 개시된다.
종래의 가니쉬는 조명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가니쉬 몸체와 별도로 발광체를 제작하여 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작업공수가 증가되고, 제조비용이 증가되어 고급차량 이외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조과정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대량으로 양산되는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 차량의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 가니쉬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9369호는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외부에 구비될 수 있는 차량 가니쉬에 투광성 금속층을 형성하여 주간에는 특유의 금속색을 나타내도록 하여 심미감을 증진시키고, 광모듈을 배치하고 발광시켜 야간에는 심미감뿐만 아니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가니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는 차량 가니쉬에 대응하기 위해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투명패널에 발광구조를 배치하여 다양한 차량 가니쉬 형태에 따라 맞춤형 가니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주간에는 투광성 금속층의 모양에 따른 패턴을 나타내고, 야간에는 패턴에 따른 발광영역이 형성되도록 하여 심미감을 매우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 가니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차량 가니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 가니쉬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를 장식하는 부품으로, 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는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영역은 내측에 광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은 유색질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영역은 투명패널 및 투광성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영역은 투광성 금속층에 의해 금속색을 나타내거나 상기 광모듈로부터의 빛이 투과하여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구체예에서, 상기 광모듈은 광원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광원 상부에 형성된 확산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상기 투명패널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상기 투명패널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4 내지 10%의 투과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크롬, 니켈,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이 교대로 배치되어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8. 상기 7 구체예에서, 상기 발광영역은 반사발광영역과, 광모듈발광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발광영역은 상기 광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광모듈이 작동하는 경우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질감부는 마스킹 도장으로 형성될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의 상부에 UV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가니쉬를 일정 형상으로 제조하되, 장식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식부에 유색질감부를 포함하는 비발광역영과 투광성 금속층에 의해 특유의 금속색을 띠는 발광영역을 패턴으로 배치하여 타 차량 제조사와 상이한 심미감으로 차량에 대한 식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야간에는 발광영역 중 일부가 광모듈에 의해 발광하여 높은 시인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발광영역 중 일부 부위에 배치된 광모듈발광영역이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기 때문에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네트, 리어 테일 게이트, 루프, 필러, 펜더, 도어, 트렁크 등 자동차 외부에 장식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가니쉬에 발광체를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심미감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투광성 금속층이 투명패널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투광성 금속층이 투명패널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5 도는 도 2에 있어서, 투광성 금속층 및 도료층이 투명패널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차량 외부 부착 시 초기 발광 과정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차량 외부 부착 시 최후 발광 과정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투광성 금속층이 투명패널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투광성 금속층이 투명패널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5 도는 도 2에 있어서, 투광성 금속층 및 도료층이 투명패널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가니쉬는 장식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가니쉬는 범퍼가니쉬, 리어가니쉬, 테일게이트가니쉬, 또는 도어 가니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가니쉬는 모서리를 감싸는 몰딩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차량 가니쉬는 본네트, 리어 테일 게이트, 루프, 필러, 펜더, 도어, 트렁크 등 자동차 외부에 장식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가니쉬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니쉬는 도어 가니쉬이고, 투명패널(100), 장식부(200) 및 광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패널(100)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1 종 이상 플라스틱 수지의 성형체이다.
상기 투명패널(100)은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종류의 플라스틱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좁고, 용융 시 유동특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크기로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투명패널(100)이 사출 성형으로 다양한 크기, 모양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가니쉬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가니쉬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종류 이외의 플라스틱 수지는 높은 투명성을 나타내기 어려우며, 공정조건이 까다로워 차량 가니쉬과 같이 대량 생산이 필요한 차량용 부품에 적용하기 매우 어렵다.
상기 투명패널(100)이 높은 투명성을 가지는 경우 보다 얇은 투광성 금속층(230)을 형성하여도 금속색을 나타내기 유리하며, 광모듈(300)을 배치하여 발광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투명패널(100)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금형에서 사출되어 차량의 사이드에 부착되는 가니쉬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투명패널(100)은 사출성형 단계에서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인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패널(100)에 패턴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경우 장식부(200)의 형성 과정에서 마스킹 도장만으로 비발광영역(220)을 형성하기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차량 가니쉬는 크기에 따라 투명패널(100)과 상기 투명패널(100)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지지패널(110)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10)은 차량 외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패널(10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10)을 이용하여 투명패널(100)을 차량 외부에 장착하는 경우 투명패널(100)의 손상 없이 차량 외부에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장식부(200)는 상기 투명패널(100)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장식부(200)는 발광영역(210)과 비발광영역(220)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장식부(200)는 상기 발광영역(210)과 비발광영역(220) 교대로 배치되어 패턴을 나타낸다.
상기 발광영역(210)과 비발광영역(220)은 빛의 반사 또는 확산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영역(210)과 비발광영역(220)의 배치를 조절하여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차량의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비발광영역(220)은 도료층(221)이 형성되어 유색질감부(222)를 형성한다.
상기 유색질감부(222)는 마스킹 도장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색질감부(222)는 상기 도료층(221)이 2 가지 이상의 유색도료가 순차적으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료층(221)이 마스킹 도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발광영역(210)과 비발광영역(220)을 구별하여 도장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차량 가니쉬의 생산 효율이 증가된다.
상기 도료층(221)은 마스킹 도장을 통하여 하도층과 상도층 2개 이상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색질감부(222)의 색상을 2종 이상으로 상이하게 도포하여 일정한 모양을 나타내거나, 발포제 첨가 등에 따라 다양한 질감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광영역(210)과 비발광영역(220)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심미감이 증가되거나, 타사 차량과 구별되는 특징적인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 경우에는 배치 구조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영역(210)은 투광성 금속층(230)이 형성되며 외부 광원이 반사되어 금속색을 나타내거나 상기 광모듈(300)의 광원(311)에서 생성되는 빛이 투과되어 확산된다.
상기 금속색은 투광성 금속층(230)의 성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은 크롬, 니켈,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금속은 특유의 금속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진공증착, 스퍼터링 또는 이온플레이팅 방법으로 증착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패널(100)은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어 다양한 형태의 표면을 가지므로, 상기 종류의 금속을 선택하여 증착하는 경우 상기 투명패널(100)의 표면에 투광성 금속층(230)을 형성하기 매우 유리하다.
상기 발광영역(210)이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의 고유의 금속색을 나타내는 경우에 차량 부품의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모듈(300)은 상기 투명패널(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장식부(200)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광모듈(300)이 상기 장식부(200)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광모듈(300)의 광원(311)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투명패널(100)을 투과하고, 상기 발광영역(210)에서 확산되기 때문에 광원(311)에서 발산되는 빛을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광모듈(300)은 상기 장식부(200)의 형태에 따라 상기 발광영역(210)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영역(210)에서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기 용이하다.
한편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은 상기 투명패널(100)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한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은 상기 투명패널(100)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투명패널(100)가 일정한 금속색을 나타내기 용이하며, 마스킹 도장 작업만으로 표면 일부에 도료층(221)을 형성하여 비발광영역(220)을 일정한 패턴으로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심미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패턴의 형태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은 외부면 일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금속 증착량이 감소되어 투광성 금속층(230) 형성에 따른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은 투명패널(10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이 상기 투명패널(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증착과정이 매우 용이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이 증가되고,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자유로워 금속색을 장시간 유지하기에 매우 유리하며, 투광성 금속층(2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투명패널(100)는 내부가 비치는 재질이므로 상기 발광영역(210)에서 금속색을 나타낼 수 있으며, 광모듈(300)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이 용이하게 투과되어 확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과 도료층(221)이 상기 투명패널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 및 상기 도료층(210)이 상기 투명몸체(100) 내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투명몸체(100) 재질의 특성에 따라 표면 질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투광성 금속층(230)과 도료층(21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서 내구성이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230)은 4 내지 10%의 투과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투광성 금속층(230)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발광영역(210)에서 외부 광원에 의한 반사만으로 금속색을 충분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광모듈(300)이 대향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이 높은 투과율로 투과되어 효과적인 확산이 가능하다.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투광성 금속층(230)의 고유의 금속색을 나타내기 어려우며, 상기 투명패널(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광모듈(300)의 형태가 외부에서 식별되어 심미감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광원(311)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이 투과하지 못하여 광모듈(300)에 의한 발광 효과가 감소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발광영역(210)은 반사발광영역(212)과, 광모듈발광영역(211)을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발광영역(211)은 상기 투명패널(100)를 사이에 두고 대향면에 광모듈(300)이 배치된다.
상기 광모듈(300)이 작동하는 경우 광모듈발광영역(211)이 발광하여 일정한 빛의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광모듈발광영역(211)이 일정한 빛의 패턴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특히 야간에 발광에 따라 심미감뿐만 아니라, 차량 시인성이 증가되어 주행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타 제조사 차량과 구별이 용이해질 수 있어서 식별력이 증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광모듈(300)은 인쇄회로기판(310), 확산필름(320) 및 하우징(330)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10)는 광원(311)이 구비된다.
상기 광원(311)은 구체적으로 발광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10)의 형태는 상기 광모듈발광영역(211)의 배치에 따라 결정되며 다양한 형태로 결정되어 광원(311)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확산필름(320)은 상기 광원(311) 상부에 구비되고 광원(311)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킨다.
상기 확산필름(320)은 광원(311)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산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광모듈발광영역(211)의 발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확산필름(320)은 광원(311)의 파장을 조절하여 광모듈발광영역(211)이 일정한 조도의 빛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10)의 일측에 광모듈 제어유닛(340)을 더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원(311)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거나, 순차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다.
상기 광모듈 제어유닛(340)이 상기 복수개의 광원(311)의 점멸을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는 경우 점멸에 따른 특정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타사 차량과 구별되는 식별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광모듈발광영역(211)이 점멸되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 점멸과 같이 특정 상황에 맞는 점등 신호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발광영역(210) 및 비발광영역(220)의 상부에 UV 코팅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UV 코팅층은 발광영역(210) 및 비발광영역(220)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영역(210)이 금속색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고, 광모듈발광영역(211)의 발광 시 시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배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차량 가니쉬는 차량 펜더 상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가니쉬이다.
상기 사이드 가니쉬는 상기 투명패널(100)을 사이드 가니쉬 형태에 대응하여 사출 성형으로 구비되며, 지지패널(110)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 부착된다.
상기 사이드 가니쉬는 상기 투명패널(100) 일측에 배치되는 장식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200)는 발광영역(210)과 비발광영역(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영역(210)은 상기 투명패널(1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발광영역(210)은 투광성 금속층(230)이 포함되어 특유의 금속색을 나타낸다.
상기 발광영역(210)은 투명패널(100)의 배후측에 광모듈(300)이 배치되어, 상기 광모듈(300)에서 생성되는 빛이 투과하여 확산된다.
도 6의 삽도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영역(210)은 반사발광영역(212)과 광모듈발광영역(211)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발광영역(212)은 특유의 금속색을 배경색으로 나타내고, 상기 광모듈발광영역(211)은 레터링으로 구비된다.
상기 광모듈발광영역(211)이 레터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광모듈(300)이 동작하는 경우 문자 모양으로 발광하여 인식력이 매우 증가하고, 심미감 또한 증가한다.
상기 레터링은 상기 투명패널(10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음각 또는 양각으로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발광영역(220)은 상기 발광영역(210)과 구분되도록 배치되며, 마스킹 도장으로 유색질감부(222)를 형성한다.
상기 마스킹 도장과정에서 유색 하도층을 형성하고, 선택된 유색보다 밝은 색상의 상도층을 형성하여 색 대비에 의한 패턴형성과 함께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발광영역(220)은 마스킹 도장되지 않는 구역을 이용하여 광모듈발광영역(211)과 상이한 레터링이 가능하며, 특유의 금속색을 나타내어 주간에 외부 광원에 의한 빛의 반사로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된 패널의 경우 자외선에 취약하나, 광모듈발광영역(211)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비발광영역(220)으로 마스킹 도장되거나 투광성 금속층(230)이 형성된 발광영역(220)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차량 외부에 배치되는 가니쉬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차량 외부 부착 시 초기 발광 과정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의 차량 외부 부착 시 최후 발광 과정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야간에 차량 외부는 시각적으로 식별이 어려우므로, 심미감, 시인성 및 식별력이 모두 감소되나, 한 구체예에 따른 차량 가니쉬는 상기 광모듈 제어유닛(340)의 조절에 따라 광모듈발광영역(211)의 전단이 점등하고, 후단이 소등하는 등 점멸을 조절하여 일정 순서로 점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멸과정에서 일정한 점멸 패턴 형성이 가능하여 심미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비상등과 같은 점멸 신호의 방출이 가능하여 타 제조사 차량 대비 식별력이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가니쉬는 차량 내외부에 배치되어 주야간 차량의 심미성과 식별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외부에서 배치되는 경우 차량의 식별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투명패널 110 : 지지패널
200 : 장식부 210 : 발광영역
211: 광모듈발광영역 212 : 반사발광영역
220 : 비발광영역 221 : 도료층
222: 유색질감부 230 : 투광성 금속층
300 : 광모듈 310 : 인쇄회로기판
311 : 광원 320 : 확산필름
330 : 하우징 340 : 광모듈 제어유닛

Claims (10)

  1.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를 장식하는 부품으로, 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는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영역은 내측에 광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은 유색질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영역은 투명패널 및 투광성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영역은 투광성 금속층에 의해 금속색을 나타내거나 상기 광모듈로부터의 빛이 투과하여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광원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광원 상부에 형성된 확산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상기 투명패널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상기 투명패널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4 내지 10%의 투과헤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금속층은 크롬, 니켈,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이 교대로 배치되어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영역은 반사발광영역과, 광모듈발광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발광영역은 상기 광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광모듈이 작동하는 경우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질감부는 마스킹 도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영역 및 비발광영역의 상부에 UV 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니쉬.
KR1020200156491A 2020-11-20 2020-11-20 차량 가니쉬 KR10240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91A KR102405781B1 (ko) 2020-11-20 2020-11-20 차량 가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91A KR102405781B1 (ko) 2020-11-20 2020-11-20 차량 가니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09A true KR20220069409A (ko) 2022-05-27
KR102405781B1 KR102405781B1 (ko) 2022-06-08

Family

ID=8179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491A KR102405781B1 (ko) 2020-11-20 2020-11-20 차량 가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7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06B1 (ko) * 2008-05-14 2009-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스커프용 장식장치
KR101328459B1 (ko) * 2012-05-10 2013-11-12 로레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발광 엠블렘
JP2014231309A (ja) * 2013-05-29 2014-12-1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加飾部材及び車両用加飾部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306B1 (ko) * 2008-05-14 2009-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스커프용 장식장치
KR101328459B1 (ko) * 2012-05-10 2013-11-12 로레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발광 엠블렘
JP2014231309A (ja) * 2013-05-29 2014-12-1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加飾部材及び車両用加飾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781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1820B (zh) 车辆上的护板元件以及用于制造的方法
US10279736B2 (en) Vehicle interior trim assembly configured to form a light pattern having an emblem shape at the front of a trim part such as an air bag cover
EP2628638B1 (en) Automotive body element comprising a light source on its inner face
US7396147B2 (en) Back-illuminated panel with ultraviolet protection
US7350949B2 (en) Trim component with concealed indicium
US8113695B2 (en) Trim component with concealed indicium
US11512830B2 (en) Light emitting system, a design element, a rear view device, a covering device, and a body component of a vehicle
US10207632B2 (en) Vehicle body element comprising a translucent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body
US20120280528A1 (en) Vehicle accent molding with puddle light
US11807159B2 (en) Selectively illuminable metallic looking trim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EP4074551A1 (en) Automotive bodywork part comprising an ornamental motif
CN113195307A (zh) 背光照明的车身零件
US20140184068A1 (en) Bi-color Illuminated Emblem
CN117561561A (zh) 用于制造用于车辆的发亮构件的方法
KR102405781B1 (ko) 차량 가니쉬
CN216429327U (zh) 一种把手结构及其车门件
US11280951B2 (en) Vehicle panel for emitting stereoscopic pattern
KR102405780B1 (ko) 차량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5782B1 (ko) 차량 엠블럼
US11999303B2 (en) Cladding part for a motor vehicle
US20240092281A1 (en) Cladding part for a motor vehicle
EP3848628A1 (en) A light emitting system, a design element, a rear view device, a covering device, and a body component of a vehicle
US20240101022A1 (en) Illumination system for an external cladding part of a motor vehicle
JPS6253264A (ja) 装飾成形品
GB2497833A (en) An illuminated design element such as a badge for the exterior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