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981A -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 - Google Patents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981A
KR20220068981A KR1020227003873A KR20227003873A KR20220068981A KR 20220068981 A KR20220068981 A KR 20220068981A KR 1020227003873 A KR1020227003873 A KR 1020227003873A KR 20227003873 A KR20227003873 A KR 20227003873A KR 20220068981 A KR20220068981 A KR 20220068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thermal medium
circu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와무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2Crystallisation from solu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Abstract

[과제] 설비 비용 및 운전 비용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열 매체 이용 기기(1)에서, 열 매체의 유통부와 열 매체 공급 수단과의 사이에서 열 매체를 순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열 매체가 상기 유통부(2, 3)에 유입되고, 상기 유통부(2, 3)로부터 유출되는 제1 순환계(20)를 구성하며,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열 매체를, 상기 제1 순환계(20)에서 상기 유통부(2, 3)의 입측에 공급하고, 상기 유통부(2, 3)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 반송시키는 제2 순환계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
본 발명은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열 매체를 이용하는 기기, 예를 들면, 화학 기기, 나아가 간접 냉각식 정출기(晶出機)를 구체적인 예로 들은 경우, 그 정출기의 재킷 혹은 엘리먼트에도 냉매를 공급하고, 냉각면을 통해 내부액을 냉각해서 결정을 석출시키는 양태가 있다.
그렇지만, 이 종류의 정석(晶析) 조작에 있어서는, 냉매로서의 공급액 냉각 및 결정화 열을 제열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스케일링을 억제하기 위해서 냉각면과의 온도차를 너무 크게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재킷 혹은 엘리먼트에 대량의 냉매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형태 예로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형태가 있다. 즉, 냉매 홀드 탱크(4)로부터 액체 냉매를, 냉매 공급 펌프(5)에 의해, 공급로(6)를 통하여, 정석 장치(1)의 재킷(2) 및 엘리먼트(3)에 대하여 공급한다.
반송 냉매는, 반송로(7)를 통하여 냉매 홀드 탱크(4)로 반송시킨 후, 냉동기 공급 펌프(8)에 의해 냉동기(9)에 공급하고, 냉동기(9)에서 냉각한 것을 복로(復路, 9A)를 통하여 냉매 홀드 탱크(4)로 돌려보내는 양태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31522호
전술한 종래의 형태예에 있어서는, 대량의 액체 냉매를 정석 장치(1)의 재킷(2) 혹은 엘리먼트(3)에 대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냉매의 공급원, 예를 들면, 냉동기(9) 및 냉매 홀드 탱크(4)를, 정석 장치(1) 근방에 설치하는 것은, 공장의 설비 배치 등의 관점에서 곤란하고, 또한, 스케일링을 억제하기 위해, 냉각면에 대한 유속이 빨라져서는 안 되기 때문에, 대용량의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순환 라인을 대구경으로 하고, 또한, 장거리(예를 들면, 50∼100m)로 부설할 필요가 있다.
이러면 설비비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순환 과정에서의 대량의 냉각 순환 동력이나, 냉매 순환 라인에서의 입열 등에 따른 에너지 로스도 커지며, 그 결과, 운전 비용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설비 비용 및 운전 비용을 억제 가능한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열 매체 이용 기기에서, 열 매체의 유통부와 열 매체 공급 수단과의 사이에서 열 매체를 순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통부 근방에 국소적인 제1 순환계를 구성하고,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유출되어 그 후에 돌아오는 열 매체의 제2 순환계를 구성하며, 제1 순환계와 제2 순환계를 이어서, 제1 순환계 및 제2 순환계 각각의 부하를 경감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열 매체 이용 기기에서, 열 매체의 유통부와 열 매체 공급 수단과의 사이에서 열 매체를 순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열 매체가, 상기 유통부에 유입되고, 상기 유통부로부터 유출되는 제1 순환계를 구성하고,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열 매체를, 상기 제1 순환계에서 상기 유통부의 입측(入側)에 공급하고, 상기 유통부의 출측(出側)으로부터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 반송시키는 제2 순환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열 매체 이용 기기에서, 열 매체의 유통부와 열 매체 공급 수단과의 사이에서 열 매체가 순환하는 설비로서,
상기 열 매체가, 상기 유통부에 유입되고, 상기 유통부로부터 유출되는 제1 순환계와,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열 매체가, 상기 제1 순환계에서 상기 유통부의 입측에 공급되고, 상기 유통부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 반송되는 제2 순환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매체 이용 설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비 비용 및 운전 비용을 억제 가능한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형태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 시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 시트이다.
도 3은 타 양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요부의 플로 시트이다.
도 4는 다른 양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요부의 플로 시트이다.
본 발명의 열 매체 이용 기기 및 열 매체에 대하여서는, 가열 매체 및 냉매(냉각 매체) 양자를 포함하는 뜻이다.
또한, 이용 기기는, 열 매체를 이용하는 것이라면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반응 장치, 정석 장치, 증발 장치, 건조 장치 등을 포함한 각종 화학 기기 외에, 열 기기 등도 포함하는 뜻이다. 또한, 이용 기기는 단일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기기에서 해당 열을 이용하는 양태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열 매체로서 냉매를, 이용 기기로서 정석 장치(정출기)의 일례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 과정에서, 적절히, 다른 예에 대해서도 언급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양태에 있어서, 냉매 홀드 탱크(14)로부터 냉매를, 냉매 공급 펌프(15)에 의해, 공급로(16)를 통하여, 간접 냉각식 정석 장치(1)의 재킷(2) 및 엘리먼트(3)에 대하여 공급한다.
반송하는 냉매는, 반송로(17)를 통하여 냉매 홀드 탱크(14)로 반송시킨 후, 냉동기 공급 펌프(18)에 의해 냉동기(19)에 공급하고, 냉동기(19)에서 냉각한 것을 복로(19A)를 통하여 냉매 홀드 탱크(14)로 돌려보내도록 하고 있다.
이 양태에 있어서, 유통부를 구비한 정석 장치(1)에 대하여 냉매를 유통시킨다. 이 경우, 적어도 냉각 재킷(2)에 대하여 냉매를 공급하는 것이며, 엘리먼트(3)를 설치하지 않아, 이에 대한 공급을 실시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이 양태에 있어서, 냉매 순환을 위해, 순환 펌프(21)가 마련되어 있다. 냉매가, 순환 펌프(21)로부터 왕로(往路, 22)를 통해, 유통부로서의 냉각 재킷(2) 및 엘리먼트(3)에 유입되고, 냉각 재킷(2) 및 엘리먼트(3)로부터 유출되며, 반로(返路, 23)를 통해 순환 펌프(21)로 돌아오는 제1 순환계(20)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냉매 홀드 탱크(14), 냉동기(19)를 포함한 냉매 공급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냉매 홀드 탱크(14)로부터 액체 냉매를, 냉매 공급 펌프(15)에 의해, 공급로(16)를 통하여, 제1 순환계(20)에 공급하고, 제1 순환계(20)의 잉여분을 반송로(17)를 통하여 냉매 홀드 탱크(14)로 반송시키는 제2 순환계(3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양태에 있어서는, 사이펀(siphon) 효과를 피하기 위한 세로 방향 벤트(24)가 필요에 의해 제1 순환계(20)에 마련되고, 그 상부로부터 오버 플로로 제2 순환계(30)에 추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형태에 따르면, 부대 제어 기구 없이 안정적인 잉여분 추출이 가능해진다.
유통부에 대한 공급 냉매에 따른 냉각 및 결정화 열을 제열시킬 필요가 있는 바, 상기 양태에 따르면, 제1 순환계(20)에 있어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그리고, 주로 온도 변동분에 대해서만, 제2 순환계(30)로부터 냉매를 공급하면 충분하다.
제1 순환계(20)의 구성 요소는, 주로 순환 펌프(21) 및 순환용 관로이기 때문에, 정석 장치(1)를 둘러싼 극히 근방에 제1 순환계(20)를 구성 가능하다. 유통부 높이를 제외한 제1 순환계(20)의 길이는, 예를 들면, 종래예의 길이 50∼100m에 비하여, 예를 들면, 10∼20m 정도로 충분하다.
예를 들면, 간접 냉각식 정석 장치(1)에 있어서는, 스케일링을 억제하기 위해서 냉각면과의 온도차도 너무 크게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종래예에 있어서는, 재킷(2) 혹은 엘리먼트(3)에 대량의 냉매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제1 순환계(20)에서 순환 유속을 필요 속도로 유지하면 되며, 제2 순환계(30)로부터는 주로 온도 변동분에 대해서만 보상하도록, 액체 냉매를 적은 유량으로 공급하면 되기 때문에, 제2 순환계(30)의 경로는 소구경인 것으로 충분하다.
그 결과, 제2 순환계(30)의 유로 뿐만 아니라, 순환용 기기(예를 들면, 대용량이고 고양정(高揚程)인 펌프), 냉동기 관련 기기 등을 소형화 가능하여, 설비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로스도 적어져, 운전 비용도 저감된다.
이 점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하면, 재킷(2)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0.5∼4.0m/초 정도의 유속으로 냉매를 유통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제1 순환계에 의해 필요한 유속을 확보하고, 제2 순환계에서는 주로 제1 순환계에서의 온도 변동분에 대해서만 보상하면 되기 때문에, 제2 순환계에서의 순환량은 제1 순환계에서의 순환량의 1/5∼1/20으로 해서 양호한 운전이 가능하다.
유통부에 대한 냉매는 소정의 밸브 개방도로 일정량을 공급해도 좋고, 또한, 유량 제어 등에 의해 공급량을 제어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정출기의 재킷(2) 혹은 엘리먼트(3)에 대하여, 제1 순환계(20)를 국소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에 의해 냉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순환 펌프(21)의 출측에 온도 검출기(25)(지시 조절계 형태로 도시되어 있음)를 마련하고, 이 온도 검출기(25)에 의한 온도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순환계(20) 내에 마련한 유량 조정 밸브(미도시), 혹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순환 펌프(21)의 입측으로써, 제2 순환계(30)에서 냉매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31)에 의해 온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간접 냉각식 정석 장치(1) 측이 요구하는 온도 변동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1 순환계(20)에서의 유량 조정, 혹은 제2 순환계(30)로부터 제1 순환계(20)로 공급하는 액체 냉매의 유량 조정에 의해 온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제2 순환계(30)로부터 제1 순환계(20)로의 냉매 공급 개소는, 순환 펌프(21)의 석션 측 혹은 토출 측 어느 쪽에 공급해도 좋지만, 순환하는 냉매와의 혼합과 공급 압력을 고려하면, 석션 측이 바람직하다. 석션 측이라면, 순환 펌프(21) 내에서 양호하게 혼합 가능하다.
냉매의 공급에 의해 발생된 제1 순환계(20)를 국소 순환하는 냉매의 잉여분에 대해서는, 소정의 밸브 개방도로 일정량을 추출하여도 좋고, 또한, 유량 제어 등에 의해 추출량을 제어하여도 좋다.
정석 장치(1)의 냉각면에는 정석물이 부착되며, 전열 효과를 저감시켜, 스케일링이 성장하는 경우가 있다.
정석 장치(1)의 안정된 운전을 위해, 선행기술(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31522호)은 열 매체를 가열한 것을 재킷에 공급함으로써, 정석물을 융해시키는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선행 기술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순환계 및 제2 순환계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융해 시에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형태에 의해 융해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정석 장치(1)의 내면에 정석된 결정이 부착되어, 계속된 운전이 곤란해지는 등의 단계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순환계(20) 속에 열 교환기(40)를 설치하고, 정석 장치(1)의 융해 세정 작업에 있어서, 제1 순환계(20) 내부의 냉매만을 가열함으로써, 융해 세정 작업을 위한 승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기(40) 대신 또는 병용하여, 순환 라인의 일부를 가열 재킷 배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 교환기로서는 쉘앤튜브(shell and tube), 플레이트, 이중관 등, 적절한 형식의 것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결정의 융해가 필요한지 여부는 예를 들면, 정석 장치(1)의 운전 시간, 정석 장치(1) 내부의 화상, 동영상, 또는 정석 장치(1)의 재킷(2)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 등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이것과의 대비에 관해, 종래예와 같이, 냉매 공급 수단과 정석 장치(1)와의 사이에서 순환 라인을 구성하는 냉매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매 시스템 전체의 홀드량에 대해 가열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용해(융해) 조작에 시간이 걸리고, 가열을 위해 많은 에너지를 요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제1 순환계(20) 내에 냉매 가열 수단(예를 들면, 열 교환기(40))이 편입되어,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냉매가 가열되고, 상기 유통부를 통해 결정의 융해를 실시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용해(융해) 조작에 장시간을 요하지 않아, 가열을 위한 에너지는 작은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냉매의 온도 조절을 필요로 하는 정석 조작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2 순환계(30) 내에서 냉매 온도가 온도 조절된 냉매를 제1 순환계(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또한 전술한 종래예와 같이, 냉매 공급 수단과 정석 장치(1)와의 사이에서 순환 라인을 구성하는 냉매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히, 저온 냉매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냉매를 냉각하기 위한 냉동기 등을 포함한 냉매 시스템 전체의 온도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온도 조절의 추종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르면, 제1 순환계(20)에서의 유량 조정, 혹은 제2 순환계(30)로부터 제1 순환계(20)로 공급하는 액체 냉매의 유량 조정에 의해 온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온도 제어가 가능한 것 외에, 냉동기 등을 포함한 냉매 시스템 전체의 온도 변화 없이, 주로 제1 순환계(20)로 공급하는 액체 냉매의 유량 조정에 의해, 혹은 냉매 시스템 전체의 온도 변화를 억제하면서 온도 조절 가능하다.
상기 예에 있어서는, 사이펀 효과를 피하기 위한 세로 방향 벤트(24)를 마련하고 있다. 종래의 형태에 있어서는, 정석 장치(1)의 재킷(2)에 넣은 대량의 냉매량이 그대로 리턴 라인에서 냉동기(19) 측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벤트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종래의 형태에 있어서의 반송량 제어는, 정석 장치(1)에 냉매를 공급하는 펌프의 회전수 제어 등에 따른다. 정석 장치(1)의 재킷(2)에 넣은 대량의 냉매가 그대로 리턴 라인에서 냉동기(19) 측으로 돌아온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의 순환계에서는, 제1 순환계(20)로부터 냉동기(19) 측으로 돌려보내야 하는 반송량이 적기 때문에, 벤트(24)를 설치하여, 제1 순환계(20)에서의 잉여분을 오버 플로로 냉동기(19) 측으로 반송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제1 순환계(20)에서 잉여분을 오버 플로로 냉동기(19) 측으로 반송 가능한 것은, 정석 장치(1)에 냉매를 공급하는 펌프 및 그 회전수 제어 기기 등의 부담이 작아져, 설비 및 운전 비용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냉동기(19) 측으로 돌려보내야 하는 반송량에 대한 압력 손실분 상당의 액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벤트(24)의 개구부를 마련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예에 있어서, 냉매 홀드 탱크(14)를 마련하고 있다. 냉매 홀드 탱크(14) 내에는 언판(weir plate, 14a)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순환계(20)로부터 반송되어 온 냉매의 리턴분은, 언판(14a)의 일방 측에, 냉동기(19)에서 냉각된 냉매는 복로(19A)를 통하여 냉매 홀드 탱크(14)의 언판(14a)의 타방 측으로 돌려보내진다. 이 경우의 냉매 홀드 탱크(14)에 대한 공급분의 배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동기(19) 측으로부터 복로(19A)를 통한 냉매 홀드 탱크(14)에 대한 공급량을 많게 하고, 냉매 홀드 탱크(14) 내를 언판(14a)으로 구분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판(14a)의 타방 측으로부터 냉동기 공급 펌프(18)에 의한 냉동기(19)에 대한 공급 측으로(즉, 제1 정석 순환계(20)로부터 반송로(17)를 통하여 냉매의 리턴분이 반송되는 언판(14a)의 일방 측으로) 오버 플로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오버 플로 형태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순환계에서의 냉매 순환량이 적어짐에 따라, 오버 플로하는 냉매의 순환량도 적어지기 때문에, 냉매 홀드 탱크(14)에서의 오버 플로 형태의 이점이 표면화되어, 설비 및 운전 비용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열 매체 이용 기기 및 열 매체에 대하여서는, 가열 매체 및 냉매(냉각 매체) 양자를 포함하는 뜻이지, 전술한 정석 장치 및 냉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간접 냉각식 정석 장치 2 재킷
3 엘리먼트 14 냉매 홀드 탱크
15 냉매 공급 펌프 16 공급로
17 반송로 19 냉동기
20 제1 순환계 21 순환 펌프
22 왕로 22, 23 반로
24 벤트 25 온도 검출기
30 제2 순환계 31 유량 조정 밸브
40 열 교환기

Claims (13)

  1. 열 매체 이용 기기에서, 열 매체의 유통부와 열 매체 공급 수단과의 사이에서 열 매체를 순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열 매체가, 상기 유통부에 유입되고, 상기 유통부로부터 유출되는 제1 순환계를 구성하고,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열 매체를, 상기 제1 순환계에서 상기 유통부의 입측에 공급하고, 상기 유통부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 반송시키는 제2 순환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계 내에서 열 매체 온도를 조절한 뒤, 온도 조절한 열 매체를 상기 제1 순환계에 공급하는,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3. 냉매를 유통시키는 적어도 냉각 재킷을 갖는 유통부를 구비한 정석 장치에 냉매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냉매가, 상기 유통부에 유입되고, 상기 유통부로부터 유출되는 제1 순환계를 구성하고,
    냉매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제1 순환계에서 상기 유통부의 입측에 공급하고, 상기 유통부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냉매 공급 수단으로 반송시키는 제2 순환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석 장치에 대한 냉매 공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계 내에서 냉매 온도를 조절한 뒤, 온도 조절한 냉매를 상기 제1 순환계에 공급하는, 정석 장치에 대한 냉매 공급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계 내에 냉매의 가열 수단을 편입하여,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냉매를 가열하고, 상기 유통부를 통해 결정의 융해를 도모하는, 정석 장치에 대한 냉매 공급 방법.
  6. 열 매체 이용 기기에서, 열 매체의 유통부와 열 매체 공급 수단과의 사이에서 열 매체가 순환하는 설비로서,
    상기 열 매체가, 상기 유통부에 유입되고, 상기 유통부로부터 유출되는 제1 순환계와,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열 매체가, 상기 제1 순환계에서 상기 유통부의 입측에 공급되고, 상기 유통부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열 매체 공급 수단으로 반송되는 제2 순환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매체 이용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계 내에서 열 매체 온도가 온도 조절된 열 매체가 상기 제 1 순환계에 공급되는, 열 매체 이용 설비.
  8. 냉매를 유통시키는 적어도 냉각 재킷을 갖는 유통부를 구비한 정석 설비로서,
    상기 냉매가, 상기 유통부에 유입되고, 상기 유통부로부터 유출되는 제1 순환계와,
    냉매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냉매가, 상기 제1 순환계에서 상기 유통부의 입측에 공급되고, 상기 유통부의 출측으로부터 상기 냉매 공급 수단으로 반송되는 제2 순환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석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계 내에서 냉매 온도가 온도 조절된 냉매가 상기 제1 순환계에 공급되는, 정석 설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계 내에 냉매의 가열 수단이 편입되어,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냉매가 가열되고, 상기 유통부를 통해 결정의 융해가 가능한 구성을 갖는, 정석 설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계에 온도 검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순환계에서 상기 제1 순환계에 대한 냉매 공급로에 유량 조정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냉매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수단에 의해 냉매 유량이 조정되는, 정석 설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계에서, 순환 펌프의 출측과 상기 유통부의 입구의 사이에 온도 검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순환계에서, 상기 제1 순환계의 상기 순환 펌프의 입측에 대한 냉매 공급로에 유량 조정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한 냉매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유량 조정 수단에 의해 냉매 유량이 조정되는, 정석 설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계에 세로 방향 벤트가 마련되고, 상기 벤트의 개구부가 상기 제2 순환계와 접속되어 있는, 정석 설비.
KR1020227003873A 2019-09-30 2020-09-23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 KR20220068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80908A JP6869306B2 (ja) 2019-09-30 2019-09-30 熱媒体利用機器への熱媒体供給方法及び熱媒体利用設備
JPJP-P-2019-180908 2019-09-30
PCT/JP2020/035731 WO2021065600A1 (ja) 2019-09-30 2020-09-23 熱媒体利用機器への熱媒体供給方法及び熱媒体利用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81A true KR20220068981A (ko) 2022-05-26

Family

ID=7526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873A KR20220068981A (ko) 2019-09-30 2020-09-23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69306B2 (ko)
KR (1) KR20220068981A (ko)
WO (1) WO202106560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522A (ja) 2008-12-04 2010-06-17 Mitsubishi Rayon Co Ltd 晶析装置および晶析物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075A (ja) * 1997-04-23 1998-11-10 Lion Corp バッチ式反応器の温度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0318647A (ja) * 1997-05-19 1998-12-04 Orion Mach Co Ltd 液体冷却装置
JP3839915B2 (ja) * 1997-07-17 2006-11-01 大陽日酸株式会社 冷媒冷却装置
JP4602140B2 (ja) * 2005-03-30 2010-12-22 日揮株式会社 温度制御装置
JP5297014B2 (ja) * 2007-09-21 2013-09-25 大陽日酸株式会社 熱媒加熱冷却装置及び熱媒温度制御方法
JP5306708B2 (ja) * 2008-05-28 2013-10-02 大陽日酸株式会社 冷媒冷却装置
JP5606692B2 (ja) * 2009-06-25 2014-10-15 株式会社日本触媒 (メタ)アクリル酸の製造方法
JP5840938B2 (ja) * 2011-11-29 2016-01-06 大陽日酸株式会社 熱媒冷却装置及び熱媒冷却装置の運転方法
JP6088399B2 (ja) * 2013-10-28 2017-03-01 アズビル株式会社 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17020687A (ja) * 2015-07-09 2017-01-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6796382B2 (ja) * 2016-02-10 2020-12-09 野村マイク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加熱水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522A (ja) 2008-12-04 2010-06-17 Mitsubishi Rayon Co Ltd 晶析装置および晶析物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53597A (ja) 2021-04-08
WO2021065600A1 (ja) 2021-04-08
JP6869306B2 (ja)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425B1 (ko) 급가열 및 급냉각을 위한 칠러 시스템
US11649184B2 (en) Glass form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glass ribbons
US99365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soldered printed circuit boards
CN102348555B (zh) 具有印刷单元和调节印刷单元部件温度的设备的印刷机
US20070104626A1 (en) Heat-transfer-medium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JP2008224163A (ja) 精密空気温度制御装置
KR20220068981A (ko) 열 매체 이용 기기에 대한 열 매체 공급 방법 및 열 매체 이용 설비
KR102204693B1 (ko) 복수 개의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JP7044919B2 (ja) 熱媒体利用機器への熱媒体供給方法及び熱媒体利用設備
JPH102652A (ja) 水槽を備えた冷却装置
CN104907222A (zh) 液态的膜材料的吐出装置
KR100204603B1 (ko) 플로코터의 온도제어장치
KR101375713B1 (ko) 금형 온도조절장치
US11850916B2 (en) Recreational vehicle heating system
JP2007030911A (ja) 容器熱処理装置
JP2000257800A (ja) 液体循環装置
KR20200022487A (ko) 액체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993539B (zh) 温控装置及半导体加工设备
JP2014199745A (ja) 超電導ケーブル用冷却システム
JP6129760B2 (ja) 温調装置
JP2001228924A (ja) 熱交換器における温調流体温度の高速設定変更方法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サーキュレータ
JPH102631A (ja) 気化冷却装置
JPH102647A (ja) 加熱冷却装置
JP2017174913A (ja) 処理液冷却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102107594B1 (ko) 반도체 공정 설비용 온도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