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813A -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813A
KR20220068813A KR1020200156014A KR20200156014A KR20220068813A KR 20220068813 A KR20220068813 A KR 20220068813A KR 1020200156014 A KR1020200156014 A KR 1020200156014A KR 20200156014 A KR20200156014 A KR 20200156014A KR 20220068813 A KR20220068813 A KR 20220068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patient
prescription
do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250B1 (ko
Inventor
김홍진
박권일
김마리
백지연
Original Assignee
(주)인성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정보 filed Critical (주)인성정보
Priority to KR102020015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2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병원 또는 의사와 환자가 이종 국가에 거주하는 경우, 환자 거주국의 원격진료 허용여부, 약 택배 가능 여부 등과 관계없이 환자가 원격진료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Global telemedicin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환자가 거주 중인 국가 외 다른 국가의 의사로부터 원격 진료를 받는 경우 이에 따른 처방전을 발급받고, 의약품을 수령할 수 있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바이러스 전염 확대와 의료시스템 붕괴 등의 이슈로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확대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그 해결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원격진료 서비스는 환자에 대한 생체 정보 모니터링, 건강 가이드, 원격 진료, 의료 보고서 또는 처방전 발급, 후속 치료 모니터링 등의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의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글로벌 시대에 의료시설이 부족하거나 의료진의 수준이 낙후된 국가에 거주하는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의료 자원과 고도의 인프라를 구비한 선 진국의 의료서비스 시스템을 방문하는 경우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오고 있었으나, 최근 바이러스 감염 확산으로 인해 국가간 국경이 봉쇄되거나 국가간 방문이 또한 용이하지 않게 된 실정이어서 글로벌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요구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국민, 재외동포 등은 보험제도, 진료 비용, 또는 언어 등의 문제로 인해 해외 거주지의 병원 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재외국민 및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또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종 국가간의 의사와 환자간의 원격진료 서비스 중 주된 문제점 중 하나는 국가별로 의약법, 의약 관련 규정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환자가 다른 국가의 의사로부터 원격진료를 받았으나 거주 중인 국가가 원격진료를 금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처방전을 발급받지 못하거나,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이 거주 중인 국가에서 금지되어 있어 처방약을 구할 수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한, 환자는 거주 중인 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이더라도 다른 국가의 의사로부터 원격 진료받은 처방전을 발급받기 위해 인근 병원을 결국 방문해야 하거나, 발급받은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을 수령하기 위해 인근 약국을 결국 방문해야 하는 등 원격진료의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환자가 타 국가의 의사로부터 원격 진료를 받은 경우, 타 국가의 의사로부터 받은 원격 진료에 기초한 처방전을 거주 중인 국가의 의사로부터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거주 중인 국가의 원격진료 허용 여부와 관계없이 원격 진료에 대한 처방전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거주 중인 국가의 원격진료 허용 여부 및 약 택배의 허용 여부에 따라 환자 자택이나 환자 자택 인근의 약국/병원으로 처방전 또는 처방약이 배송되도록 함으로써, 원격진료의 한계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선택한 진료희망국가와 거주국가에 따라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국가의 의사 및 거주 중인 국가의 의사를 자동으로 배정함으로써, 환자가 각 국가의 의사들을 모두 선택해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은,
환자 단말; 상기 환자 단말과 온라인 진료를 수행하고, 수행한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를 생성하는 제1국가 의사 단말; 및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료 보고서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 단말을 사용하는 환자의 처방전을 발행하는 제2국가 의사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 경우, 상기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발급하거나, 상기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이 상기 환자의 주소로 배달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가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이고, 약 택배 불가 국가인 경우 상기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발급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발급된 처방전을 수신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가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이고, 약 택배 가능 국가인 경우 상기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이 상기 환자 주소로 배달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상기 처방약을 배달받기 위한 상기 환자 주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금지 국가인 경우, 상기 진료 보고서에 기초한 처방전 작성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추천 처방전을 더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처방전을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으로 매칭시켜 상기 추천 처방전을 생성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추천 처방전을 더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처방전을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추천 처방전에 포함된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으로 매칭시켜 상기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진료 보고서를 생성하면, 생성된 진료 보고서를 상기 환자의 주소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병원의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온라인 진료를 받고자 희망하는 진료희망국가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거주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국 의사 단말은 상기 진료희망국가에 기초하여 배정되고, 상기 제2국 의사 단말은 상기 거주국에 의해 배정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담당 의사 또는 예약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선택된 담당 의사 또는 예약 시간에 기초하여 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환자 단말에 의해 온라인 진료가 예약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 제1국가 의사 단말간에 온라인 진료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상기 수행된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에서 상기 환자 단말을 사용하는 환자의 처방전이 상기 진료 보고서에 기초하여 발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환자가 원격진료를 받은 경우, 원격진료에 대한 처방전이 환자 주소의 인근 병원에서 발급되거나 온라인으로 발급되므로 환자는 거주 중인 국가의 원격진료 허용 여부와 관계없이 처방전을 수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격진료로 처방된 처방전의 의약품을 환자 주소로 직접 배송하거나, 근처 약국에서 수령 가능하도록 처방전을 온라인 발급됨으로써, 환자는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진료에 따른 의약품까지 거주지나 그 인근에서 용이하게 수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원격진료를 받고자 하는 진료희망국가와 거주국가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원격진료를 제공할 국가의 의사 및 처방전을 발행할 의사가 자동으로 배정되므로, 환자로 하여금 원격진료를 받기 위해 요구되는 수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을 환자 단말(환자)이 이용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을 제1국가 의사 단말(제1국가 의사)가 이용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을 제2국가 의사 단말(제2국가 의사)가 이용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에 접속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한 저장용량이 감소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글로벌 원격진료 서비스에서 환자에게 국가별 맞춤형 처방전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은 병원 또는 의사와 환자가 이종 국가에 거주하는 경우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원격진료 후 환자가 적절한 후속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처방전을 발행하고자 하며, 이 때 원격진료 과정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은 환자(10)와 제1국가 의사(20)와 제2국가 의사(30)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환자(10), 제1국가 의사(20), 제2국가 의사(30) 각각은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TV 등을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국가 의사(20)는 제1국가에 거주 중인 의사를 의미하고, 제2국가 의사(30)는 제2국가에 거주 중인 의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10)는 제2국가 의사(30)와 동일한 국가, 즉 제2국가에 사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여기서, 제2국가는 제1국가를 제외한 모든 국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국가와 제2국가는 나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국가와 제2국가는 동일 국가에 속하나 의료법 등에 의해 구별되는 구역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국가와 제2국가는 연방국가 내 행정구역들로 대체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미국의 제1 주(state)와 제2 주(state)를 의미할 수 있다.
환자(10)는 제1국가 의사(20)와 의료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즉, 환자(10)는 제1국가 의사(20)로부터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국가에 거주 중인 환자(10)가 제2국가의 언어에 능통하지 못할 경우, 접근 가능한 병원, 의사를 통해 제대로 진료를 받기 어려울 수 있고, 이에 환자(10)는 언어소통이 가능한 국가의 의사로부터 원격진료를 받고 싶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환자(10)는 거주 중인 국가에서 받을 수 있는 진료 보다 더 전문적인 진료를 받기 위해 다른 국가의 의사로부터 원격진료를 받고 싶을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원격 진료 과정, 즉 의료 상담 과정은 비디오로 녹화되거나, 오디오로 녹음되거나, 보고서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화된 영상 데이터, 녹음된 음성 데이터 혹은 생성된 보고서는 저장공간의 부담이 최소화되도록 소정의 처리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국가 의사(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10)에게 연결된 센서 등의 의료기기들을 통해 타국가 환자에 대하여 생체 데이터 또는 행위 데이터를 원격 모니터링하거나, 과거 환자의 의료 기록 정보를 환자 또는 환자의 기존 담당 병원 또는 의사로부터 수신 받아 검토하거나, 실시간 비대면 상담을 통해 환자에게 문진을 실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20)는 원격진료 후 진단에 따라 환자가 적절한 후속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처방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처방전은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또는 의사가 속하는 제1국가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제1국가에서 인허가된 의약품의 품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국가와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국가 간에 유통되는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분류기준이 다르고, 의약품 또는 조제약의 종류나 명칭, 성분, 함량, 용법용량, 허용 첨가제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국가에서 거주 중인 환자(10)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국가 의사(20)로부터 발급받은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들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1국 의사(20)는 제2국가 의사(30)와 처방전을 공유하고, 제2국가 의사(30)는 공유된 처방전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국가 의사(30)는 제1국가 의사(20)로부터 수신한 처방전을 현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국가 의사(20)는 생성된 처방전을 제2국가 의사(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30)는 제1국가 의사(20)로부터 제1국가 의사(20)에 의해 생성된 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된 처방전을 제2국가에 맞게 처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국가 의사(30)는 제1국거 의사(20)가 발행한 원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의 성분 및 효과 등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여 원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을 제2국가의 의약품과 매칭하여 제2국가에서 사용가능한 현지화된 처방전을 생성하고, 그 현지화된 처방전을 제2국가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자동 번역하여 환자(10)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 연계되어 원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성분 및 효과 등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여 의약품을 매칭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2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2국 의사(30)는 처방전을 현지화한 후 환자(10)에게 발급하기 전, 현지화된 처방전을 제1국가 의사(20)와 공유하여 처방전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받을 수도 있다. 즉, 제2국가 의사(30)가 현지화한 처방전을 제1국가 의사(20)에게 전송하면, 제1국가 의사(20)는 현지화된 처방전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처방전을 확정하거나, 필요한 경우 처방전을 수정하여 제2국가 의사(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국가 의사(30)는 적합성 판단을 통해 확정된 처방전을 환자(10)에게 발급할 수 있다.
한편, 제1국가 의사(20)는 원격진료 결과에 대한 진료 보고서(report)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국가 의사(20)는 작성한 진료 보고서를 제2국가 의사(30)에게 전송하고, 제2국가 의사(30)는 진료 보고서를 토대로 처방전을 발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에서 원격진료를 진행하는 제1국가 의사(20)는 진료 보고서 또는 처방전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제2국가 의사(30)에게 전송하고, 제2국가 의사(30)는 진료 보고서 또는 처방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30)는 발행된 처방전을 환자(10)에게 발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10)는 처방약을 수령할 수 있다. 이 때, 제2국가의 원격진료 허용 여부에 따라 환자(10)는 온라인으로 처방전을 발급받거나, 인근 병원을 방문해야만 처방전을 발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2국가의 약 배달 허용 여부에 따라 환자(10)는 거주지에서 처방약을 수령하거나, 약국을 방문해야만 처방약을 수령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환자(10), 제1국가 의사(20) 및 제2국가 의사(30) 각각의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환자 단말은 환자(10)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 의사(20)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2국가 의사(30)까 사용하는 단말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국가 의사 및 제2국가 의사로 명칭하였으나, 제1국가 의사는 제1국가에서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주체(예를 들어, 의사, 병원 등)를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제2국가 의사는 제2국가에서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주체(예를 들어, 의사, 병원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타당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을 환자 단말(환자)이 이용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환자 단말은 Hicare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S111).
즉, 환자(10)는 환자 단말을 이용하여 Hicare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Hicare 사이트는, 글로벌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의미할 수 있으나, 'Hicare'라는 명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러한 명칭에는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한편, Hicare 사이트는 웹 사이트에 한정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S111에서, 환자(10)는 환자 단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환자 단말은 Hicare 사이트에 접속하면, 환자 단말에 대응하는 환자(10)가 Hicare 사이트 회원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2).
환자 단말은 환자(10)가 Hicare 사이트 비회원으로 판단되면, 회원가입 및 인증을 진행(S113)하고, 환자(10)의 거주국과 본국(또는 진료받기를 희망하는 나라) 선택 및 거주국 주소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4).
단계 S114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환자 단말은 환자(10)가 거주 중인 거주국을 선택하는 입력과 온라인 진료를 받고자 희망하는 진료희망국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 단말과 온라인 진료를 수행할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진료희망국가에 기초하여 배정되고, 처방전을 발행할 제2국가 의사 단말은 거주국에 기초하여 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의 거주국이 환자 단말에서 선택된 진료희망국가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의사 단말이 제1국가 의사 단말로 배정되고, 의사의 거주국이 환자 단말에서 선택된 환자 거주국과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의사 단말이 제2국가 의사 단말로 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10)의 거주국과 본국(또는 진료받기를 희망하는 나라) 선택 및 거주국 주소 입력을 수신하면, 회원가입 완료 및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환자 단말은 환자(10)가 회원으로 판단되면, Hicare 사이트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S115).
환자 단말은 로그인 진행되면, 문진 및 생체정보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S116).
환자 단말은 소정의 질문을 표시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함에 따라 문진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단말은 생체 정보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생체정보 등록을 진행하거나, 환자 단말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환자의 몸 상태를 센싱함에 따라 생체정보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즉, 환자 단말이 문진 및 생체정보 등록을 진행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질환 선택(예를 들어, 내과, 정형외과 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7).
환자는 환자 단말을 통해 진료 받고자 하는 질환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질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초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8).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회원 정보에 기초하여 초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다.
환자 단말은 초진이 아닌 것, 즉 재진으로 판단된 경우, 담당 의사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S119), 진료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실시 예에 따라 환자 단말은 진료 예약 후 상담내용의 작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21).
한편, 환자 단말은 초진으로 판단된 경우, 의사 선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2).
구체적으로, 환자 단말은 환자(10)가 의사를 직접 선택할지를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환자(10)가 의사를 직접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진료 예약을 진행하고(S123), 예약 시간에 맞는 의사를 랜덤 배정하고(S124), 상담내용의 작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27).
환자 단말은 환자(10)가 의사를 직접 선택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진료 가능한 의사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S125), 진료 예약을 진행하고(S126), 상담내용의 작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27).
따라서, 환자 단말은 담당 의사 또는 진료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제1국가 의사 단말은 환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담당 의사 또는 예약 시간에 기초하여 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진료 예약의 진행 단계에서 환자 단말은 진료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 단말은 선택된 진료 시간, 선택된 거주국, 선택된 진료희망국가, 선택된 질환, 선택된 의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국가 의사 단말과 제2국가 의사 단말을 배정할 수 있다.
상담내용은 환자가 의료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항에 대한 메모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담내용의 작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환자 단말은 진료 예약이 완료되면 온라인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S128).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Hicare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단말은 환자가 선택한 진료희망국가를 기초로 배정된 제1국가 의사 단말과 온라인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을 통해 수행된 온라인 진료에 대한 처방전은 제2국가 의사 단말을 통해 발행될 수 있고, 이러한 처방전의 수령 방법은 환자가 거주 중인 국가의 원격진료허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단말은 온라인 진료가 완료되면, 현재 소속된 나라가 원격진료를 허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9).
즉, 환자 단말은 입력된 거주국이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지 판단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환자의 거주국이 원격진료 금지 국가인 경우, 처방전을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환자 단말은 환자(10)로 하여금 인근 병원에 내방하여 처방전 수령을 지시하고(S130), 근처 약국 방문하여 처방전 제출을 지시할 수 있다(S131).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환자(10)에게 인근 병원에 내방하여 처방전을 수령하고, 근처 약국에서 처방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10)은 처방전 수령이 가능한 병원 정보,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의 수령이 가능한 약국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온라인 진료에 대한 처방약을 수령할 수 있다.
한편, 환자 단말은 환자의 거주국이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 경우,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단말은 환자의 거주국이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 경우에도 약 택배의 가능 여부에 따라 처방약이 환자(10)의 거주지로 직접 배송될 경우 처방전을 별도로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 단말은 환자의 거주국이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 경우, 약 택배 가능 국가인지 판단할 수 있다(S133).
환자 단말은 환자의 거주국이 약 택배 가능 국가인 경우, 처방약을 수령받을 주소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34). 또는, 환자 단말은 별도의 주소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단계 S114에서 입력된 거주국 주소로 처방약 배송 예정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온라인 진료에 대한 처방약을 거주지에서 용이하게 수령할 수 있다.
한편, 환자 단말은 환자의 거주국이 약 택배 불가 국가인 경우, 온라인으로 처방전 수령을 지시하고(S136), 근처 약국 방문하여 처방전 제출을 지시할 수 있다(S137).
즉, 환자 단말은 처방전을 출력할 수 있고, 환자는 Hicare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접속하여 처방전을 수령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단말은 근처 약국에서 처방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처방전 수령이 가능한 병원 정보,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의 수령이 가능한 약국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온라인 진료에 대한 처방전 또한 온라인으로 수령한 후 처방약을 수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을 제1국가 의사 단말(제1국가 의사)가 이용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Hicare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S211).
즉, 제1국가 의사(20)는 제1국가 의사 단말을 통해 Hicare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 Hicare 사이트 등 앞에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 의사 단말에 대응하는 제1국가 의사(20)가 Hicare 사이트 회원인지 판단할 수 있다(S212).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 의사(20)가 Hicare 사이트 비회원으로 판단되면, 회원가입 및 인증을 진행(S213)하고, 제1국가 의사(20)의 거주국과 병원 주소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14).
여기서, 제1국가 의사(20)의 거주국은 온라인 진료를 수행할 환자 단말과의 매칭에 이용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 의사(20)가 Hicare 사이트 회원으로 판단되면, 제1국가 의사가 예약 내용을 확인하도록 예약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S215).
예약 내용은 기 예약된 온라인 진료의 일정으로, 예약 시간, 예약된 환자 정보 및 예약된 환자에 의해 입력된 상담 내용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온라인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S216).
즉,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온라인 진료의 예약 시간이 되면, 예약된 환자 단말과 무선 통신 연결하여 온라인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환자 단말과 온라인 진료를 수행하고, 수행한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국가 의사(20)는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S217). 즉,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 작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진료 보고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국가 의사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성될 수도 있으나, 자동으로 작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료 보고서는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자동 작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추천 처방전의 작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국가 의사(20)는 환자의 거주국에 존재하는 처방약으로 매칭된 약을 확인하여 추천 처방전을 작성할 수 있다(S218).
즉, 제1국가 의사 단말은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추천 처방전을 더 생성할 수 있고, 이 때 추천 처방전은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으로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국가 의사(20)는 환자의 거주국 의약품과 관계없이 추천 처방전을 작성할 수도 있다. 즉,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추천 처방전을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처방전을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추천 처방전에 포함된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으로 매칭시켜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작성된 진료 보고서를 환자 인근 병원으로 전송할 수 있다(S219). 즉,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작성된 진료 보고서를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국가 의사 단말은 도 2에서 진료 예약 단계에서 배정된 제2국가 의사(30)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고, 이는 환자의 주소(거주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병원의 의사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진료 보고서를 생성하면, 생성된 진료 보고서를 환자의 주소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병원의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작성된 진료 보고서 대신 추천 처방전을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작성된 진료 보고서와 추천 처방전을 함께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을 제2국가 의사 단말(제2국가 의사)가 이용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제2국가가 원격진료 가능 국가인 경우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5는 제2국가가 원격진료 불가 국가인 경우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렇게 구분되는 것은, 제2국가 의사(30)는 환자(10)와 제2국가 의사(30)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지 여부에 따라 처방전을 다른 방식으로 발행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즉, 제2국가 의사 단말은 환자(10)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 경우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발급하거나,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이 환자(10)의 주소로 배달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제2국가 의사 단말은 환자(10)가 거주 중인 제2국각가 원격진료 금지 국가인 경우 진료 보고서에 기초한 처방전 작성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제2국가가 원격진료 가능 국가인 경우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을 제2국가 의사 단말(제2국가 의사)가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Hicare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S311).
즉, 제2국가 의사(30)는 제2국가 의사 단말을 통해 Hicare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2국가 의사 단말에 대응하는 제2국가 의사(30)가 Hicare 사이트 회원인지 판단할 수 있다(S312).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2국가 의사(30)가 Hicare 사이트 비회원으로 판단되면, 회원가입 및 인증을 진행(S313)하고, 제2국가 의사(30)의 거주국과 병원 주소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14).
여기서, 제2국가 의사(30)의 거주국은 온라인 진료에 대한 처방전 발급 대상이 되는 환자 단말과의 매칭에 이용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는(30) Hicare 사이트 회원이면, 진료 보고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S315).
즉,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진료 보고서가 있는지 판단하고, 수신된 진료 보고서가 있는 경우 수신된 진료 보고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 의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추천 처방전이 있는지 판단하고, 수신된 추천 처방전이 있는 경우 수신된 추천 처방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진료 보고서 또는 추천 처방전에 기초하여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S316).
즉,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생성된 진료 보고서에 기초하여 환자 단말을 사용하는 환자의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30)는 진료 보고서 또는 추천 처방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처방전을 작성 및/또는 수정하여 처방전을 발행할 수 있다.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처방전을 발행한 후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약 택배 가능 국가인지 판단할 수 있다(S317).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2국가가 약 택배 가능 국가이면 처방약이 환자의 주소로 배송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배송 요청은 약국 또는 제약회사 등으로 직접 전송되거나, 글로벌 원격진료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500, 도 6 참고)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제2국가가 약 택배 불가 국가이면 온라인(예를 들어, Hicare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다(S319).
이 경우, 환자는 온라인으로 처방된 처방전을 갖고 약국을 방문하여 처방약을 수령할 수 있다(S320).
정리하면, 제2국가 의사 단말은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이고, 약 택배 불가 국가인 경우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발급하고, 이 경우 환자 단말은 Hicare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 올라인을 통해 제2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발급된 처방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국가 의사 단말은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이고, 약 택배 가능 국가인 경우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이 환자 주소로 배달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이 때 환자 단말은 처방약을 배달받기 위한 환자 주소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제2국가 의사는 환자가 내원하면(S331), Hicare 사이트에 접속하여(S332), 내원 환자에 대한 진료 보고서 내용을 확인하고(S333), 진료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처방전을 작성하여 환자에게 직접 발급할 수 있다(S334).
이러한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은 온라인 진료시 저장되는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및 처방전의 현지화를 위한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100)은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 및 서버(50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100)은 도 6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500)는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 및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상술한 환자 단말, 제1국가 의사 단말 및 제2국가 의사 단말을 중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에서는 환자 단말, 제1국가 의사 단말, 제2국가 의사 단말 간에 직접 신호나 정보가 송수신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환자 단말, 제1국가 의사 단말,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서버(500)를 통해 신호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은 통신부(210), 음성인식부(220), 진료영상 분석부(230), 진료영상 편집부(240),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은 보고서 생성부(250), 언어 변환부(260), 제어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은 대규모 컴퓨팅이 가능한 장치에서 구현 가능하며, 예컨대 별도의 서버, 프라이빗(private) 또는 퍼블릭(public) 클라우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원격지의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화상 진료 수행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화상 진료를 수행하는 영상을 기록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는 720p 이상의 HD(High Definition)급 고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음성인식부(220)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은 Speech-to-Text (STT) 및/또는 보이스 인식(Voice recognition) 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음성 인식부(220)는 상용 STT API를 사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음성인식부(220)는 상용 STT API를 사용하면서 텍스트 변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음성인식부(220)는 상용 STT API를 사용하면서 의료 용어 및 구문에 전문화되어 학습된 의료전문 음성 인식 모델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비대면 진료 영상에서의 대화를 텍스트 인식하여 변환하는 데 있어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진료영상 분석부(230)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또는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진료 대화 또는 진료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과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중요도는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진료 대화 또는 진료 상황에 기초하여 진료 분석 모델에 의해 평가되며 상기 중요도의 소정의 값은 상기 진료 분석 모델에 미리 설정된 값 또는 레벨(level)일 수 있으며, 진료 분석 모델의 학습에 의해 정해지는 값 또는 레벨(level)일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중요도의 소정의 값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료영상 분석부(230)는, 진료 대화 내용의 중요도 또는 진료 상황의 분쟁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대화 또는 상황이 발 생했다고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갖는 대화 또는 상황의 시작 30초 전부터 상기 대화 또는 상황의 종료 30초 후까지의 구간을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진료영상 분석부(230)는 상기 진료 대화 내용의 중요도 또는 진료 상황의 분쟁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상기 대화 또는 상황 전후 포함 시간을 축소 또는 증가하여 상기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화 또는 상황이 의료 분쟁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중요도는 상승하고 상기 구간 내에서 대화 또는 상황의 전후 포함 시간은 1분으로 증가되어 구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진료영상 분석부(230)는 미리 입력된 조건에 기초한 롤 기반(rolebased) 분석 모델에 의하여 상기 중요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료 내용에 중요한 미리 정해진 단어 또는 구문이 발견되는 구간을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으로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진료영상 분석부(230)는 머신러닝(machine-learning) 또는 딥러닝(deep-learning)에 의해 학습된 이상 징후 분석 모델에 의하여 상기 중요도를 판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의사 음성 또는 환자 음성의 톤, 떨림, 음량, 피치(pitch)를 포함하는 음향 정보, 또는 상기 의사 또는 환자의 거동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구간을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으로서 판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의 판정은, 진료 분석 모델에 따라 위와 상이하게 미리 설정 또는 학습될 수도 있다.
진료영상 편집부(240)는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보다 낮은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대응 구간에 편집하여 삽입함으로서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하여 저장 용량이 현저히 감소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의사 및 환자의 신원이 식별가능한 정도 이상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진료 영상 편집부(240)는 제2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한 후,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7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이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화상 진료의 전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용량의 부담이 큰 고화질로 저장할 필요 없이, 추후 진료 내용 또는 분쟁 관련 증거 확인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은 중요 구간만 고화질로 저장하고 그 밖의 구간은 저화질로 구성하여 저장함으로서 진료 영상 데이터의 유지를 위해 필요로 하는 저장 공간의 증가에 따른 전기, 설비 및 비용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진료영상 편집부(240)는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저장용량을 적게 필요로 하는 저화질로 저장하고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저장용량을 많이 필요로 하는 고화질로 저장하고 이 영상들을 결합하여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하여 제1 영상 데이터의 컨텐츠에 대응하지만 제1 영상 데이터에 비해 저장 용량이 현저히 감소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보고서 생성부(250)는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단서 또는 의료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환자로부터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되어 있는 문진 데이터, 생체 모니터링 데이터, 및/또는 과거 의료 기록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 정보, 및/또는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서 또는 의료 보고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보고서 생성을 위한 기초 자료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언어 변환부(260)는 상기 환자 또는 협진 의료 기관이 해외 국가에 위치한 경우, 보고서 생성부(250)에서 생성되는 진단서 또는 의료 보고서를 그 해당 국가의 언어 등의 상이한 언어로 자동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대면 진료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원격지 의사, 환자, 또는 협진 의료 기관에 대한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환자에 대한 과거 의료 기록, 문진 정보, 생체 및 거동 데이터, 생체 모니터링 결과, 진단서, 기타 의료 보고서, 처방전을 포함하는 환자 의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음성 인식 모델, 진료 분석 모델, 및/또는 상기 모델들의 학습 및 갱신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진단서 포맷, 기타 의료보고서 포맷, 처방전 포맷, 텍스트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생성 모델, 및/또는 보고서 생성 모델의 학습 및 갱신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70)는 언어 변환을 위한 자동 번역 모델 및 관련 언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280)는 통신부(210), 음성 인식부(220), 진료영상 분석부(230), 진료영상 편집부(240), 보고서 생성부(250), 언어 변환부(260), 데이터베이스(270)를 제어하여 비대면 진료 시스템이 상기 원격지 의사 또는 환자에게 적절한 비대면 진료 및/또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진료 분석, 언어 변환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인공지능(AI)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에 접속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1에서 검토한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의 구성일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환자의 사용자 단말(300)은 영상 획득 모듈(310), 디스플레이 모듈(320),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모듈 (330), 메모리(340), 통신 모듈(350), 제어 모듈(3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지 의사의 사용자 단말 (미도시) 또한 유사하게 영상 획득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모듈, 메모리, 통신 모듈,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지 의사 및/또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은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이 구현된 서버 또는 클라우드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클라이언트 모듈(3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환자의 사용자 단말(300)상의 클라이언트 모듈은 생체센서 모듈(38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환자의 사용자 단말은 Hicare Hub와 같은 비대면 치료용 전용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원격지 의사, 환자, 협진 의료기관의 단말은 비대면 치료 전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동작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또는 기타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영상 획득 모듈(310)은 환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단말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포함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300)이 비대면 진료 시스템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접속시 비대면 진료 시스템을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모듈(33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듈로서, 자판, 터치스크린, 음성 등을 통한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사용자 단말(300)이 비대면 진료 시스템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비대면 진료 또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350)은 사용자 단말(300)이 비대면 진료 시스템 서버 또는 클라우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모듈(360)은 적절히 비대면 진료 또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00) 내의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모듈(370)은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이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이 비대면 진료 시스템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모듈(37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모듈(370)은 비대면 진료 시스템(200)과 진료 및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단말(300) 상에서 상기 시스템 UI를 구현할 수 있다. 생체센서 모듈(380)은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직접 획득하거나 환자의 몸체에 부착된 생체 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획득, 모니터링,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한 저장용량이 감소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에 대한 저장용량이 감소된 영상 데이터 생성 방법은,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 영상을 기록한 제1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하여 제1 영상 데이터 생성하는 단계 (S410),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S420),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진료 대화 또는 진료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과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을 판별하는 단계 (S430), 및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 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의 제1 영상 데이터보다 낮은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의 대응 구간에 편집 합성함으로서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하여 저장 용량이 감소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하는 단계 (S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의사 및 환자의 신원이 식별가능한 정도 이상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에 대한 저장용량이 감소된 영상 데이터 생성 방법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 (S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에 대한 저장용량이 감소된 영상 데이터 생성 방법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 시스템이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화상 진료의 전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용량의 부담이 큰 고화질로 저장할 필요 없이, 추후 진료 내용 또는 분쟁 관련 증거 확인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은 중요 구간만 고화질로 저장하고 그 밖의 구간은 저화질로 구성하여 저장함으로서 진료 영상 데이터의 유지를 위해 필요로 하는 저장 공간의 증가에 따른 전기, 설비 및 비용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단계(S430)에서는, 미리 입력된 조건에 기초한 롤 기반(rolebased) 분석 모델에 의하여 상기 중요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료 내용에 중요한 미리 정해진 단어 또는 구문이 발견되는 구간을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으로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30)에서는, 머신러닝(machine-learning) 또는 딥러닝(deep-learning)에 의해 학습된 이상 징후 분석 모델에 의하여 상기 중요도를 판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의사 음성 또는 환자 음성의 톤, 떨림, 음량, 피치(pitch)를 포함하는 음향 정보, 또는 상기 의사 또는 환자의 거동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된 구간을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으로 서 판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의 판정은, 진료 분석 모델에 따라 위와 상이하게 미리 설정 또는 학습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에 대한 보고서 생성 방법은, 의사와 환자 간의 비대면 진료 영상을 기록한 제1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제1 영상 데이터 생성하는 단계 (S510),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S520),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의사와 환자 간의 진료 대화 또는 진료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과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을 판별하는 단계 (S530), 문진 데이터, 생체 모니터링 데이터, 또는 과거 의료 데이터를 포함 하는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 데이터, 및/또는 상기 소정 값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는 대화 또는 상황을 포함하는 구간의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단서 또는 의료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S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진료에 대한 보고서 생성 방법은, 환자 또는 협진 의료 기관이 해외에 위치한 경우, 제1언어로 작성된 진단서 또는 의료 보고서를 상기한 제2언어로 번역된 진단서 또는 의료 보고서로 변환하는 단계 (S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언어는 비대면 진료 의사의 거주 국가의 언어 또는 비대면 진료 시스템이 소속된 국가의 언어이고, 상기 제2 언어는 비대면 진료의 환자가 거주하는 국가 또는 상기 환자에 대하여 협진을 행하는 의사의 거주 국가의 언어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수신부(410), 의약품 분석부(420), 의약품 매칭부(430), 송신부(450), 언어변환부(460), 데이터베이스(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매칭알고리즘 갱신부(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제1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0)에 연결되어 의약품 관련 상세 정보를 검색 및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0)는 제1국가의 전문의약품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일반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또한 제2 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90)에 연결되어 의약품 관련 상세 정보를 검색 및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90)는 제2국가의 전문의약품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일반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0) 및 제2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90)로부터 수신한 의약품 리스트 및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하는 상세정보 항목들로 재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490)에 저장될 수 있다:
(a) 생산 국가 및/또는 판매 국가,
(b) 성분명 및/또는 성분 함량
(c) 첨가제명,
(d) 효능효과,
(e) 용법용량
(f) 전문의약품/일반의약품 여부
(g) 의약품/의약외품 여부,
(h) 해당국가에서 현재 수급가능 여부
(i) 매칭코드
위 상세정보 항목들은 제1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의약품 정보에 제2국가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의약품 정보를 매칭하는 데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이 매칭알고리즘에 따른 유사도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수신부(410)는 제1국가의 원격진료서비스 제공 병원 또는 의사로부터 원격진료 결과 제2국가의 환자에 대하여 처방한 제1국가의 의약품들을 포함하는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410)는 제1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0) 및/또는 제2 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90)로부터 의약품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의약품 분석부(420)는, 수신부(410)를 통해 제1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국가 언어 처방전에 기재된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성분, 효과, 용법용량,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의약품 상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세 정보가 분석된 의약품에 대해서 매칭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의약품 매칭부(430)는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분석된 상세정보에 기초하여 환자가 거주하는 제2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제2 국가의 의약품들과 매칭도를 산출하고,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최고 매칭도 값을 갖는 제2국가의 의약품에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의 의약품의 매칭코드에 대응하는 매칭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제2국가 대체 의약품으로 사용하여 제2국가 처방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국가의 의사가 제1국가 언어 처방전에 소화제 a를 처방한 경우, 의약품 분석부(420)는 제1국가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80)의 데이터에서 소화제a에 대한 성분, 함량, 효과, 용법용량,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검색 수신하여 분석하고, 소화제 a에 해당국가 및 의약품을 나타내는 매칭코드(예컨대, 매칭코드A1)를 부여할 수 있다. 그 후 의약품 매칭부(430)는 분석된 소화제 a의 상세정보에 기초하여 제2국가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90)의 데이터에서 소화제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 함량, 효과, 용법용량, 첨가제 등을 갖는 소화제들을 검색하여 매칭도를 산출하고 그 중 가장 높은 매칭도를 나타내는 소화제 b 등에 대응 매칭코드 (예컨대, 매칭코드 B1)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가 매칭코드 A1의 의약품을 처방전으로 작성한 경우, 의약품 매칭부(430)는 제2국가의 대응 매칭코드 B1이 부여된 유사 의약품들이 리스트화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매칭부(430)는 대응하는 매칭코드의 의약품을 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원격진료를 제공하는 제1 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에서 의약품의 생산 및 판매 국가, 제품명, 성분명, 효능효과, 용법용량, 첨가제 등의 관련 정보를 검색했을 때에도 유사 제품군들을 리스트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칭도는 의약품 매칭부(430)의 매칭 알고리즘에 따라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의 각 의약품에 대하여 성분, 효과, 용법용량 등의 상세정보에 기초하여 제2국가의 의약품과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계산될 수 있다. 매칭도의 계산시, 상세정보의 각 항목에 대하여 미리정해진 개별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매칭 알고리즘은 인공지능(AI)에 의한 매칭 알고리즘일 수 있으며, 이때 개별 가중치는 데이터베이스(47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예컨대, 480 및 490 등)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으로 학습되어 도출된 개별 가중치일 수 있다.
의약품 매칭부(430)는 제2국가 처방전 생성 후에 제1국가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병원에게 제2 국가 처방전의 의약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제2 국가 처방전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받고, 필요시 제1국가 원격진료서비스 제공 병원이 상기 제2국가 처방전을 수동으로 수정하여 환자에 대한 제2국가 처방전을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약품 매칭부(430)는,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의 분석된 각 의약품 품목의 상세정보에 기초하여, 그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제2국가의 전문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전문의약품과의 매칭도를 산출하고 소정의 매칭도 값 이상을 갖는 제2국가 전문의약품 중 최고 매칭도를 갖는 제2국가 전문의약품을 상기 제2국가 대체 의약품으로 사용하여 제2국가 처방전을 생성하고, 소정의 매칭도 값 이상을 갖는 대응 제2국가 전문의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석된 각 의약품 품목의 상세정보에 기초하여,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제2국가의 일반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일반의약품과의 매칭도를 산출하고, 상기 소정의 매칭도 값 이상을 갖는 제2 국가 일반 의약품 중 최고 매칭도 값을 갖는 제2국가 전문의약품을 상기 제2 국가 대체 의약품으로 사용하여 제2국가 처방전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약품 매칭부(430)는,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의 분석된 각 의약품 품목의 상세정보에 기초하여, 그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제2국가의 전문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전문의약품과의 매칭도 및 제2국가의 일반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일반의약품과의 매칭도를 산출하고, 소정의 매칭도 값 이상을 갖는 제2 국가의 전문의약품 및 일반의약품을 제2국가 대체 의약품 후보군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국가 대체 의약품 후보군 중 최고 매칭도 값을 갖는 의약품을 제2국가 대체 의약품으로 사용하여 제2국가 처방전을 생성하고, 제2국가 처방전 생성 후에 제1국가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병원에게 제2국가 처방전의 의약품 품목의 상세 정보, 및 제2국가 대체 의약품 후보군의 상세정보를 제공하여 제2국가 처방전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 받고, 필요시 제1국가 원격진료서비스 제공 병원이 제2 국가 대체 의약품 후보군의 상세정보 및 제2국가 환자의 진료정보를 기초로 제2국가 처방전을 수동으로 수정하여 환자에 대한 제2국가 처방전을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의약품 매칭부(430)는, 제2국가 대체 의약품 후보군의 선택시, 상기 제2국가 환자에 대하여 약물 민감성이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제2국가 전문의약품 또는 일반의약품은 배제할 수 있다.
의약품 매칭부(430)는 제2국가 처방전 생성시 제2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490) 또는 데이터베이스(470)에 저장된 제2국가에서의 의약품 수급가능 여부 정보를 고려하여, 제2 국가에서 수급이 불가능한 의약품이 원처방전의 의약품과 가장 매칭도가 높은 값으로 나타난 경우 이를 배제하고 매칭도가 그보다 낮은 다른 유사 의약품들 중 최고 매칭도를 갖는 유사 의약품으로 대체하여 제2국가 처방전을 생성할 수 있다.
언어변환부(460)는 제2국가 처방전의 언어를 제1국가 언어에서 제2국가 언어로 변환하여 제2국가 언어 처방전을 생성할 수 있다. 언어변환부(460)는 제1국가의 의사와 제2국가의 환자 간의 원격진료시 의사 및/또는 환자의 음성 또는 입력된 텍스트를 자동번역하여 의사 및/또는 환자의 단말기에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챗봇을 통해 음성으로 발현하여 원격진료 또는 처방전의 복약지도 및 안내 등을 원활하게 이해가능하게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언어변환부(460)는 기존의 원격진료 상담, 처방전 등의 자동번역 결과물을 머신러닝 및/또는 딥러닝으로 학습하여 자동번역에 사용되는 언어변환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70)는 제1국가 언어 처방전, 제2국가 처방전, 제2국가 언어 처방전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70)는 제2국가 대체 의약품 후보군, 상기 제1국가 원격진료서비스 제공 병원에 의해 수정된 제2국가 처방전 및 그 관련 상세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70)는 의약품 분석부(420) 및 의약품 매칭부(430)에서 생성되는 매칭코드 및 유사 의약품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70)는 환자의 기본정보, 생체정보, 의약품 정보, 의료 용어 및 정보 등 원격진료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70)는 제1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국가의 의약품 리스트 및 관련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70)는 제2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국가의 의약품 리스트 및 관련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80)는 의사로부터 환자에 대한 제1국가 언어 처방전과 함께 환자의 약물 또는 식품 성분 민감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70)는, 제2국가에서 유사 의약품의 수급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여, 각 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시 이를 수신하고 각 국가의 의약품 리스트 내 제품별 수급 가능여부 또한 저장하여, 의약품 매칭부(430)가 제2국가 처방전 작성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매칭알고리즘 갱신부(440)는 데이터베이스(470)에 저장된 데이터를 머신러닝 및/또는 딥러닝으로 학습하여 매칭도를 산출하기 위한 매칭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매칭 알고리즘은 다시 의약품 매칭부(430)에 의해 제2국가 처방전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글로벌 원격진료 서비스에서 환자에게 국가별 맞춤형 처방전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가별 맞춤형 처방전 제공 방법에서는,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이 제1국가 의사 단말 혹은 제1국가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병원으로부터 제2국가 환자(10)에 대하여 처방한 제1국가의 의약품들을 포함하는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S611).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연결된 외부 기관 또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국가 언어 처방전에 기재된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성분, 함량, 효과, 용법용량,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의약품 상세 정보를 분석한다 (S612). 그 후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의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분석된 상세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기관 또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국가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제2국가의 의약품들과 매칭도를 산출한다 (S613).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그러한 산출된 매칭도에 기초하여, 제1국가 언어 처방전의 각 의약품 품목에 대하여 최고 배칭도 값을 갖는 제2 국가의 의약품을 제2국가 대체 의약품으로 사용하여 제2 국가 처방전을 생성한다 (S614). 그 후, 의약품 분석 및 매칭 시스템(400)은 생성된 제2 국가 처방전의 언어를 제1국가 언어에서 제2국가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변환 또는 자동번역하여 제2국가 언어 처방전을 생성한다 (S615). 이와 같이 생성된 제2국가 언어 처방전을 제2국가 환자 단말 및/또는 제2국가 의사 단말(제2국가 협진 병원)에 전송한다 (S61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614 와 단계 S615 사이에서, 제2국가 처방전 생성 후에 제1국가 의사(20)에게 제2 국가 처방전의 의약품 품목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제2국가 처방전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받고, 필요시 제1국가 원격진료서비스 의사(20)가 상기 제2국가 처방전을 수동으로 수정하여 환자에 대한 제2국가 처방전을 확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1국가 의사(20)는 환자(10)의 약물 민감성 정보 등의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제2국가 처방전의 의약품을 제외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술한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위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환자 20: 제1국가 의사
30: 제2국가 의사

Claims (15)

  1. 환자 단말;
    상기 환자 단말과 온라인 진료를 수행하고, 수행한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를 생성하는 제1국가 의사 단말; 및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료 보고서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 단말을 사용하는 환자의 처방전을 발행하는 제2국가 의사 단말을 포함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인 경우, 상기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발급하거나, 상기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이 상기 환자의 주소로 배달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가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이고, 약 택배 불가 국가인 경우 상기 처방전을 온라인으로 발급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은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발급된 처방전을 수신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가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허용 국가이고, 약 택배 가능 국가인 경우 상기 처방전에 따른 처방약이 상기 환자 주소로 배달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을 전송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은
    상기 처방약을 배달받기 위한 상기 환자 주소를 입력받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가 원격진료 금지 국가인 경우, 상기 진료 보고서에 기초한 처방전 작성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처방전을 발행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추천 처방전을 더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처방전을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으로 매칭시켜 상기 추천 처방전을 생성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추천 처방전을 더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처방전을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로 전송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추천 처방전에 포함된 제1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으로 매칭시켜 상기 제2국가에서 허용된 의약품을 포함하는 처방전을 발행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진료 보고서를 생성하면, 생성된 진료 보고서를 상기 환자의 주소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병원의 의사 단말로 전송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은
    온라인 진료를 받고자 희망하는 진료희망국가와 상기 환자가 거주 중인 거주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진료희망국가에 기초하여 배정되고,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은 상기 거주국에 기초하여 배정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은
    담당 의사 또는 진료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제1국가 의사 단말은 선택된 담당 의사 또는 진료 시간에 기초하여 배정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15. 환자 단말에 의해 온라인 진료가 예약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 제1국가 의사 단말간에 온라인 진료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제1국가 의사 단말에 의해 상기 수행된 온라인 진료에 대한 진료 보고서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2국가 의사 단말에서 상기 환자 단말을 사용하는 환자의 처방전이 상기 진료 보고서에 기초하여 발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00156014A 2020-11-19 2020-11-19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014A KR102500250B1 (ko) 2020-11-19 2020-11-19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014A KR102500250B1 (ko) 2020-11-19 2020-11-19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813A true KR20220068813A (ko) 2022-05-26
KR102500250B1 KR102500250B1 (ko) 2023-02-16

Family

ID=8180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014A KR102500250B1 (ko) 2020-11-19 2020-11-19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2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635A (ko) 2000-05-23 2001-12-07 안병문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방법
KR20010109019A (ko) * 2000-06-01 2001-12-08 김두용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020046811A (ko) * 2000-12-15 2002-06-21 권석형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JP2002351987A (ja) * 2001-05-23 2002-12-06 Hitachi Medical Corp 遠隔医療方法、こ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遠隔医療システム
KR20080012745A (ko) * 2006-08-04 2008-0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09146109A (ja) * 2007-12-13 2009-07-02 Toshiba Corp 診療情報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635A (ko) 2000-05-23 2001-12-07 안병문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방법
KR20010109019A (ko) * 2000-06-01 2001-12-08 김두용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020046811A (ko) * 2000-12-15 2002-06-21 권석형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JP2002351987A (ja) * 2001-05-23 2002-12-06 Hitachi Medical Corp 遠隔医療方法、こ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遠隔医療システム
KR20080012745A (ko) * 2006-08-04 2008-0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09146109A (ja) * 2007-12-13 2009-07-02 Toshiba Corp 診療情報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250B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372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2365941A (zh) 受试者招募的方法及系统
KR20210153845A (ko) 개인화된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기반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316271B2 (ja) 医療照会回答装置
KR20210153878A (ko) 건강 위험도 예측에 기반한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US20170177802A1 (en) Allergy Service Management Portal
US201901088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edical consultation
KR20220009097A (ko) 국가별 맞춤형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CN112749321B (zh) 数据处理方法、客户端、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KR101157866B1 (ko) U-의료센터를 이용한 원격의료시스템
KR20190021722A (ko)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00250B1 (ko)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53869A (ko) 개인화된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기반 추천 영양소와 비추천 영양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JP2022015486A (ja) 管理サーバおよび施術画面提供方法
CN111190931A (zh) 一种处方笺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892931B1 (ko) 협진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71738B1 (ko)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969907B1 (ko)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CN112002381B (zh) 智能病案数据管理系统
CN113764097A (zh) 医嘱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KR20210153883A (ko) 개인화된 영양소 추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기록매체
US11837341B1 (en) Secured messaging service with customized near real-time data integration
KR102621983B1 (ko)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CN111951984B (zh) 智能辅诊系统
CN111133521B (zh) 用于医学记录的自动检索和分析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