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745A -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745A
KR20080012745A KR1020070039492A KR20070039492A KR20080012745A KR 20080012745 A KR20080012745 A KR 20080012745A KR 1020070039492 A KR1020070039492 A KR 1020070039492A KR 20070039492 A KR20070039492 A KR 20070039492A KR 20080012745 A KR20080012745 A KR 2008001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seas
diagnosis
server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승
박길홍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8001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 진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를 통해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해외 이동 단말; 및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정보를 기설정된 국내 병원 서버로 전송하여 진단 결과를 조회하며, 상기 국내 병원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해외 여행 진단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비쿼터스, 해외 여행, 질병, 진단, 진단 키트

Description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disease about abroad residents and travelers using the ubiquitous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 여행자 질병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의 질병 진단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서의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가 전송하는 진단 정보에 대한 전송 사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해외 이동 단말 101 : 진단 키트
110 : 해외 이동 전화망 120 : 국내 이동 전화망
130 : 해외 여행 진단 서버 140 : 인터넷
150 : 국내 병원 서버 160 : 보험 회사 서버
170 : 국내 여행사 서버 180 : 현지 여행사 서버
190 : 해외 병원 서버 210 : 데이터 송수신부
220 : 진단 정보 수집부 230 : 진단 정보 저장부
240 : 진단 결과 저장부 250 : 진단 결과 수집부
260 : 진단 요청부 270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280 : 진단 정보 데이터베이스 290 : 진단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질병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외 여행자가 여행지에서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는 현재 매년 200만 명 이상이 해외 여행을 하고 있으며, 이중 동남아나 인도 등 열대 풍토 지역 여행자는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이들은 풍토병 예방이나 진단을 받는 경우 본인의 판단에 따라 여행을 중지하거나 언어의 불편을 감수한 상태에서 여행지의 병원에 방문을 하여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 개발된 간편한 말라리아, 뎅기열 등의 진단법이 보급되어 있으나, 여러 시도에 의하면 비의료인인 개개 여행자의 검사는 그 판단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의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하여 언어가 소통이 되지 않는 해외에서도 효과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외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해외에서의 질병 검사 정보를 국내의 기설정된 병원으로 전송하고, 상기 국내 병원에서는 상기 수신된 질병 검사 정보로부터 진단을 하여 진단 결과를 기설정된 해외 병원으로 전송함으로써 해외에서의 효과적인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외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해외에서의 질병 검사 정보를 국내의 기설정된 병원으로 전송하고, 상기 국내 병원에서는 상기 수신된 질병 검사 정보로부터 진단을 하여 치료 또는 입원 여부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여행 진단 서 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 진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를 통해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해외 이동 단말; 및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정보를 기설정된 국내 병원 서버로 전송하여 진단 결과를 조회하며, 상기 국내 병원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해외 여행 진단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 전송하는 국내 병원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해외에 위치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해외 병원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회원에 대한 보험 계약상의 처리를 수행하는 보험 회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는 상기 국내 병원 서버에서 추가 문진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문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이를 상기 국내 병원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정보는, 소정의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해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의 언어로 작성된 소견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여행자의 질병 진단 방법에 있어서,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에 여행자 질병 진단 서비스를 신청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한 회원에 대한 정보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해당 회원에 대해 서비스할 국내 병원 및 해외 병원이 지정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회원 가입한 해외 여행자가 해외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진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진단 정보를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가 국내 병원 서버로 상기 진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국내 병원 서버에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해외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정보는, 소정의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방법에 대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외 여행지에서 질병이 발생할 때, 지리적, 언어적 문제로 인하여 현지 병원 방문이 어려움으로 인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서 해외 병원 및 국내 병원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진료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해외 여행을 하는 사람은 서비스 회원으로 가입하여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 등록을 하고 상기 해외 여행자가 해외에서 등록하여 사용하는 이동 단말을 통해 질병 검사 정보를 사진 등을 통해 상기 해외 진단 서버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서는 상기 전송된 회원의 질병 검사 정보를 지정된 국내 병 원 서버로 다시 전송하여 질병 검사 결과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국내 병원 서버에서는 해당 질병 검사에 대해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 결과를 다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서는 해당 국가에 지정된 해외 병원 및 상기 서비스 회원의 해외 이동 단말로 상기 진단 결과를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외 여행자가 현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언어적, 지리적 장애를 극복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해외 여행자뿐만 아니라,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해외에 단기 또는 장기간 체류하게 될 경우 언어 소통, 현지 사정 등의 문제로 질병에 대한 대처가 용이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해외 여행자와 마찬가지로 국내 병원과의 연계를 통해 용이하게 질병 진단 및 치료를 받을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 질병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해외 이동 단말(100), 해외 이동 전화망(110), 국내 이동 전화망(120),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 인터 넷(140), 국내 병원 서버(150), 보험 회사 서버(160), 국내 여행사 서버(170), 현지 여행사 서버(180), 해외 병원 서버(19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 해외 이동 전화망(110), 해외 병원 서버(190) 및 현지 여행사 서버(180)는 여행자가 여행하는 해외에 구비된 장치들이며, 상기 국내 이동 전화망(120),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 국내 병원 서버(150), 보험 회사 서버(160), 국내 여행사 서버(170) 등은 국내에 구비된 장치들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해외 여행자는 인터넷(140) 등을 통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에 접속하고,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회원 가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해외 여행자는 자신이 해외 여행 동안 사용할 해외 이동 단말(100)(예컨대, 로밍 기능이 포함된 핸드폰 등)을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에 등록하게 된다.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내 병원 및 해외 병원을 등록함으로써 상기 국내 병원 서버(150) 및 해외 병원 서버(190)와 인터넷(140)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험 회사 서버(160), 국내 여행사 서버(170) 및 현지 여행사 서버(180) 등도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에 등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외 여행자는 해외 여행시 상기 해외 전용 단말(100)을 이용하 여 질병 검사 정보를 국내에 있는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질병 검사 정보는 사진 또는 영상이 될 수도 있으며, 여행자가 입력한 문자 정보 또는 통화 녹음 정보 등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해당 국가 내에서 유행하는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101)에 의해 질병을 진단하고, 상기 해외 전용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진단 키트(101)를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영상을 해외 이동 전화망(110) 및 국내 이동 전화망(120)을 통해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진단 키트(101)에 대한 촬영 영상을 수신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에서는 인터넷(140)을 통해 기설정된 국내 병원 서버(150)로 상기 촬영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한 상기 국내 병원 서버(150)에서는 전문의 등이 상기 진단 키트의 촬영 영상을 확인하고, 진단 및 판단을 하여 치료 여부 또는 입원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국내 병원 서버(150)에서 결정된 진단 결과는 상기 인터넷(140)을 통해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로 전송하고,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에서는 인터넷(140)을 통해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해외 병원 서버(19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단 결과를 국내 이동 전화망(120) 및 해외 이동 전화망(110)을 통해 상기 회원의 해외 이동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외 여행 중인 상기 회원은 자신이 소지한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을 통해 진단 결과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 만약,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 또는 입원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기설정된 해외 병원 서 버(190) 및 현지 여행사 서버(180)로 상기 진단 결과가 통보됨으로써 상기 회원이 상기 현지에 있는 해외 병원을 통해 용이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진단 결과에는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이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작성된 소견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에서는 상기 보험 회사 서버(160)와 연계하여 상기 질병 발생 정보 등에 따라 보험금 지급 처리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에 대한 진료는 현지의 의사를 고용 또는 협약에 의하여 미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국내 병원에서 상기 고용 또는 협약된 현지 의사에게 처방 결과를 전송하면, 상기 현지 의사가 현지에서 처방을 내게 된다.
또한, 상기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이 중증일 경우에는 상기 현지 병원에서 치료할 수 있도록 국내 병원에서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말라리아 등과 같이 현지 여행 가이드가 치료약과 진단 시약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현지 여행사 서버(180)를 통해 상기 현지 여행 가이드의 무선 단말 등으로 조치 내용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현지 여행가이드가 응급 조치한 후, 해당 의료 시설로 이동시키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진단 정보 수집부(220), 진단 정보 저장부(230), 진단 결과 저장부(240), 진단 결과 수집부(250) 및 진단 요청부(260) 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130)를 통한 서비스 제공시 사용되는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70), 진단 정보 데이터베이스(280) 및 진단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9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원이 소지하고 있는 해외 이동 전화(100)에서 전송되어, 해외 이동 전화망(110) 및 국내 이동 전화망(120)을 통해 전송된 진단 정보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10)에서는 상기 수신된 진단 정보 및 해당 회원 정보를 진단 정보 수집부(220)로 전송한다.
상기 진단 정보 수집부(220)에서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진단 정보 및 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회원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내에 기저장된 회원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진단 정보 수집부(220)에서는 상기 회원 정보 및 진단 정보를 상기 진단 정보 저장부(230)로 제공하고, 상기 진단 정보 저장부(230)에서는 상기 수신된 진단 정보를 회원 정보와 링크시켜 상기 진단 정보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단 정보 저장부(230)에서는 상기 진단 정보를 진단 요청부(260)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 요청부(260)에서는 기설정된 국내 병원 서버(150)로 상기 진단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진단 정보에 대한 진단 결과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국내 병원 서버(150)에서는 상기 수신된 진단 정보를 검사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진단 결과를 상기 진단 결과 수집부(25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진단 결과 수집부(250)에서는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진단 결과 저장부(240)로 제공하고, 상기 진단 결과 저장부(240)에서는 상기 진단 결과 수집부(25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진단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단 결과 저장부(240)에서는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1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10)에서는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해당 해외 이동 단말(100) 또는 기설정된 해외 병원 서버(19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진단 정보를 전송한 회원 또는 해외 병원에서는 상기 진단 결과가 수신된 해당 해외 이동 단말(100) 또는 해외 병원 서버(190)를 통해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의 질병 진단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해외 이동 단말(100)을 통해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에 여행자 질병 진단 서비스를 등록(S301)하게 되면, 상기 등록한 회원에 대한 정보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해당 회원에 대해 서비스할 국내 병원 및 해외 병원이 지정된다.
한편, 상기 회원 가입한 해외 여행자가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을 통해 진단 정보를 수집(S302)하게 되면, 상기 수집된 진단 정보를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S303)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단 정보 수집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진단한 후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있고, 상기 회원이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을 통해 문자 또는 질병 부위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직접 전송하는 방법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을 통해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에 구비된 전화 통신 수단과 통화를 하고, 상기 통화 내역을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진단 시약은 검출할 수 있는 질병이나 신체 이상의 종류에 따라서, 소변 검사 후 나타나는 선들의 변화를 제공하는 방식 외에도 소변 검사에 따라 진단부의 색상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외에 혈액을 이용하여 질병을 검출하는 시약이나 키트도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해외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키트의 색상 변화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경우 주변 환경에 의해 키트가 진단한 색상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키드에는 추후 촬영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기준 색상들(정확한 색상값이 알려진 순수 R, G, B 색상들)이 인쇄되어 있거나, 영상의 보정을 위해 기준 색상과 해당 색상의 색상값 정보가 함께 인쇄되어 촬영되는 영상에 함께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자동적으로 보정하는 수단을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에 내장하여 보정된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은 상기 진단 시약 외에도 사용자나 여행 가이드 혹은 현지 의료진이 구비한 다양한 생체 측정 장치들로부터 진단 정보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진단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는 국내 병원 서버(150)로 상기 진단 정보를 전송(S304)하게 된다. 상기 국내 병원 서버(150)에서는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전문의 등을 통해 진단한 진단 결과를 생성(S305)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국내 병원 서버(150)에서 상기 진단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할 경우, 추가적인 문의사항을 작성한 문진 혹은 추가 문의 정보(전용 포멧이거나 범용적인 HTML, Javascript, Visual Basic Script 등과 같이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문서 포멧으로 작성)를 진단 결과 대신 생성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를 통해 상기 해당 해외 이동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은 이를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의 입력 결과를 받아 이를 다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에 제공하며,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는 해당 사용자의 입력 결과를 상기 문진 정보를 제공한 국내 병원 서버(150)에 제공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진단 결과는 상기 국내 병원 서버(150)에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S306)되고,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해당 해외 이동 단말(100)로 전송(S307)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해외 병원 서버(190)로도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전송(S308)함으로써, 상기 해당 회원과 상기 해외 병원 간의 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해외 이동 단말(100)과 상기 해외 병원 서버(190) 간의 통신에 의해 진단 결과 조치를 위한 정보 교환(S309)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서의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 서비스 회원 가입 및 서비스 신청(S401)을 하고, 여행 정보를 입력(S402)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원 가입한 여행자는 현지 해외 여행지에서 진단 키트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한 후, 상기 진단 정보를 해당 해외 이동 단말을 통해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 전송(S403)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단 정보의 전송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 업체와의 통화 내용도 전송되어 저장(S404)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업체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S405)하고, 상기 진단 결과 이상이 발생할 경우(S406)에는 지정된 현지 병원으로 방문하여 치료(S407)받을 수 있도록 한다. 만일, 현지 병원이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와 연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진단 결과 상기 여행자가 현지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할 상황이라면 상기 진단 결과에는 상기 해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의 언어로 작성된 소견서(상기 해외 이동 단말이 해당 지역의 언어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그 림 포멧을 이용할 수도 있다)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여행자가 해당 소견서를 현지 병원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견서에는 해당 여행자에 대한 기본적인 인적 정보와 병력 정보 및 현재 증상에 대한 소견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외 이동 단말의 표시 영역이 작아 상기 소견서의 판독이 어려운 경우나 별도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상기 소견서를 다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해외 이동 단말은 상기 소견서를 범용 문서 포멧이나 범용 그림 포멧 혹은 범용 인쇄용 파일 포멧으로 제공하며, 이는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수단이나 착탈식 메모리를 포함하는 정보 전달 수단들 중 하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현지 병원에 상기 해외 이동 단말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거나, 착탈식 메모리를 지원하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젼, 프린터등이 있는 경우 상기 소견서를 상이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가 전송하는 진단 정보에 대한 전송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진단 키트(500, 510) 등을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진단 키트에 표시되는 진단 결과(501, 511) 및 회원 정보(502, 5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외 이동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색상이 판단 결과가 되는 진단 키트의 경우 표준 색상들이 인쇄된 것을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미리 표준 색상의 인쇄물(해외 여행진단 서버 가입시 제공)을 준비하여 상기 진단 키트와 함께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해외 여행진단 서버나 국내 병원 서버에서 상기 영상을 상기 표준 색상을 기준으로 해석 하여 쵤영된 진단 키트의 진단 결과를 명확히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질병 이외에 확인 목적으로 개인의 의료 정보를 이용하려는 기관(예컨대, 개인 보험 회사)에 장기적인 의료 기록을 확인하려는 서비스로까지 확대될 수 있으며, 보험 회사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계약자 선정의 위험도를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환자의 경우 자신의 장기적 의무 기록의 통합 보존에 따라 질병 예방의 장기적인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타 병원 방문시 의무 기록의 복사 없이 언제나 해당 환자의 의무 기록에 대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여행 진단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 진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를 통해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해외 이동 단말; 및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정보를 기설정된 국내 병원 서버로 전송하여 진단 결과를 조회하며, 상기 국내 병원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해외 여행 진단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 전송하는 국내 병원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해외에 위치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해외 병원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회원에 대한 보험 계약상의 처리를 수행하는 보험 회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소정의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키트에는 기준 색상들이 표시되거나, 기준 색상 및 상기 기준 색상에 대한 색상값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소정의 의료용 측정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측정정보이며, 상기 해외 이동 단말은 상기 의료용 측정 수단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측정정보를 진단 정보의 일부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 정보, 해외 이동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문자 정보, 통화 녹음 정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문진에 대한 답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버는 상기 국내 병원 서버에서 추가 문진 자료를 제공하면서 그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문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이를 상기 국내 병원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는 상기 해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의 언어로 작성된 소견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 이동 단말은 상기 소견서를 범용 문서 포멧이나 범용 그림 포멧 혹은 범용 인쇄용 파일 포멧으로 제공하며, 이는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수단이나 착탈식 메모리를 포함하는 정보 전달 수단들 중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시스템.
  12.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방법에 있어서,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에 여행자 질병 진단 서비스를 신청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한 회원에 대한 정보가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해당 회원에 대해 서비스할 국내 병원 및 해외 병원이 지정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회원 가입한 해외 여행자가 해외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진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진단 정보를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를 수신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가 국내 병원 서버로 상기 진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국내 병원 서버에서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해외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해외 여행 진단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소정의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해외 이동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 진단 방법.
KR1020070039492A 2006-08-04 2007-04-23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2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3958 2006-08-04
KR1020060073958 2006-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745A true KR20080012745A (ko) 2008-02-12

Family

ID=3934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492A KR20080012745A (ko) 2006-08-04 2007-04-23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74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722A (ko) 2017-08-23 2019-03-06 재단법인 제주한의약연구원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8813A (ko) * 2020-11-19 2022-05-26 (주)인성정보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367530B1 (en) 2021-01-12 2022-06-21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369454B1 (en) 2021-05-24 2022-06-28 Emed Lab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agnostic aid kit apparatus
US11515037B2 (en) 2021-03-23 2022-11-29 Emed Labs, Llc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US11610682B2 (en) 2021-06-22 2023-03-21 Emed Labs,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on-human readable diagnostic tests
US11929168B2 (en) 2021-05-24 2024-03-12 Emed Lab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agnostic aid kit apparatus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722A (ko) 2017-08-23 2019-03-06 재단법인 제주한의약연구원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8813A (ko) * 2020-11-19 2022-05-26 (주)인성정보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367530B1 (en) 2021-01-12 2022-06-21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942218B2 (en) 2021-01-12 2024-03-26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894137B2 (en) 2021-01-12 2024-02-06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393586B1 (en) 2021-01-12 2022-07-19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WO2022154847A1 (en) * 2021-01-12 2022-07-21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410773B2 (en) 2021-01-12 2022-08-09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875896B2 (en) 2021-01-12 2024-01-16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568988B2 (en) 2021-01-12 2023-01-31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605459B2 (en) 2021-01-12 2023-03-14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804299B2 (en) 2021-01-12 2023-10-31 Emed Labs, Llc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US11615888B2 (en) 2021-03-23 2023-03-28 Emed Labs, Llc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US11515037B2 (en) 2021-03-23 2022-11-29 Emed Labs, Llc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US11894138B2 (en) 2021-03-23 2024-02-06 Emed Labs, Llc Remote diagnostic testing and treatment
US11373756B1 (en) 2021-05-24 2022-06-28 Emed Lab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agnostic aid kit apparatus
US11929168B2 (en) 2021-05-24 2024-03-12 Emed Lab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agnostic aid kit apparatus
US11369454B1 (en) 2021-05-24 2022-06-28 Emed Lab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agnostic aid kit apparatus
US11610682B2 (en) 2021-06-22 2023-03-21 Emed Labs,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on-human readable diagnostic tes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2745A (ko)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해외 거주자 및 여행자의 질병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5721510B2 (ja) 遠隔診断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装置、データ解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EP1191473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medical facility
WO20090391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care
Ganapathy Telemedicine and neurosciences
Brindha Emerging trends of telemedicine in India
Haux et al. A brief survey on six basic and reduced eHealth indicators in seven countries in 2017
Meng et al. Application of smartphone otoscope in telemedicine in rural medical consortium in Eastern China in the COVID-19 era
JP6661045B1 (ja)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Namahoot et al. Mobile diagnosis system with emergency telecare in Thailand (MOD-SET)
JP2002117152A (ja) 遠隔医療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遠隔医療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した記録媒体
WO2022225122A1 (ko)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Qaderi et al. Understanding HPV-positive women’s needs and experiences in relation to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issues: a qualitative study
JP2004220497A (ja) 医療システム及び医療センターの管理方法
Lozano-Ortega et 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overactive bladder in Brazil: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using data from the Brazilian Public Health System
Namuju et al. Rates of refusal of clinical autopsies among HIV-positive decedents and an overview of autopsies in Uganda
KR20110090116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상담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Asbach et al. A telemedicine guideline for the practice of teleconsultation
JP2021018659A (ja) 乗物、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1188858A (ja) 医用システム
Harris et al. Acceptability of a mobile sensing application to characterize community integration among homeless‐experienced veterans
Pooprasert SUCCESSFUL FACTORS OF SERVICES AND FUNCTIONS OF TELEMEDICINE APPLICATION IN OPHTHALMOLOGY IN THAILAND
US20230352190A1 (en) Personal medical record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noncontact screening treatment for large-scale infectious disease
KR20070055895A (ko)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Aida et al. Telemedicine’s Patients and Their Protection: What Does The International Law Offer?(A Perspective From Indone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