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655A -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655A
KR20220068655A KR1020200155653A KR20200155653A KR20220068655A KR 20220068655 A KR20220068655 A KR 20220068655A KR 1020200155653 A KR1020200155653 A KR 1020200155653A KR 20200155653 A KR20200155653 A KR 20200155653A KR 20220068655 A KR20220068655 A KR 2022006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collected water
reservoir
contain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039B1 (ko
Inventor
이완근
강우석
서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5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0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2D45/005Evacuation of fumes, dust or waste gases during manipulations in the found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transporting la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서 발생된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집진장치로서, 상기 용기를 향해 포집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와 포집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기를 구비하고,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저장기에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기에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크레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저장기에 상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Apparatus for dust collecting object and method for dust collecting object}
본 발명은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집수를 저장 및 분사할 수 있는 크레인에 포집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선공정을 거쳐 나온 용선은 래들에 수용된 상태로 크레인에 의해 권상되어 전로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전로의 상부에 위치한 래들은 크레인의 보권후크의 동작에 의해 래들이 기울어지면서(즉, 경동되면서) 수용된 용선을 전로로 장입시키게 된다.
한편, 래들에서 전로로 용선을 장입시킨 후, 래들의 내부에 잔존하는 잔여물에 의해 분진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크레인에 구비된 저장기와 크레인에 구비된 분사기를 이용하여 래들의 개구로 포집수를 분사하여 피처리물을 집진하였다.
하지만, 크레인의 저장기로 포집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장에 마련된 포집수 공급호스가 저장기에 계속 접속되어 있는 상태여야 하였다. 이에, 크레인이 장입을 마친 래들을 운반하고 래들에 포집수를 분사함에 있어, 저장기에 접속된 포집수 공급호스가 크레인 이동경로의 주변에 배치된 구조물들과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포집수 공급호스가 주변 구조물들과 충돌하면서 저장기와 포집수 공급호스가 분리되어 저장기로 포집수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2008-0050852 A
본 발명은 크레인의 저장기에 선택적으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크레인 중 어느 하나의 크레인에 선택적으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에서 발생된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집진장치로서, 상기 용기를 향해 포집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와 포집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기를 구비하고,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저장기에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기에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크레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저장기에 상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이송경로에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크레인 중 어느 하나의 크레인의 저장기에 상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이송경로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대하여 상기 크레인과 마주보고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부를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경로 중 미리 정해진 위치의 상기 크레인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저장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상기 감지기와 상기 측정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저장기로 공급될 포집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기는, 상기 공급부 중 상기 이송경로의 미리 정해진 위치와 마주보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공급부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프레임;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 높이가 상기 저장기의 유입구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을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배관은, 상기 저장기와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기는,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유입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유입구의 중심부와 상기 배출구의 중심부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배관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절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삽입홈을 갖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관통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삽입홈에 배치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고 신장수축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기는,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분사기와 상기 저장기에 각각 연결되고, 신장 수축 가능한 연결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용기를 크레인에 결합하고, 이송경로로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용기의 용융물을 제2 용기로 장입시키는 과정; 및상기 크레인의 분사기로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를 향해 포집수를 분사하여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과정 전에, 포집수를 저장하는 공급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크레인이 있는지 감지하는 과정;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크레인을 향하여 상기 공급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크레인의 저장기 유입구에 상기 공급기의 배출구를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기의 유입구에 상기 공급기의 배출구를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상기 배출구를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저장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저장기로 공급될 공급량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공급량 만큼 상기 저장기로 포집수를 유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상기 배출구를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공급기를 가압하여 상기 배출구 높이를 상기 유입구 높이에 일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량 만큼 상기 저장기로 포집수를 유입시키는 과정은, 상기 공급기의 저장탱크에 수용된 포집수가 상기 공급량 만큼 감소하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포집수를 공급하면, 상기 크레인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크레인의 후방에 배치된 다른 크레인에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제1 용기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며, 상기 피처리물은 용융물이 배출된 상기 래들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함하며, 상기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과정은, 포집수를 상기 분진 보다 입자가 큰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로 포집수를 분사하는 크레인에 포집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크레인과 크레인에 포집수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분리된 상태에서, 크레인이 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호스가 크레인의 주변 구조물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크레인에 자동으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크레인으로 포집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크레인 중 어느 하나의 크레인에 선택적으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크레인 각각의 저장기에 포집수가 원활하게 충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장치가 적용되는 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기와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공급부의 일 예와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미리 정해진 위치로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도면.
도 7은 감지기가 크레인을 감지하는 도면.
도 8은 공급부가 저장기에 연결되고 포집수를 주입하는 도면.
도 9는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을 장입하는 도면.
도 10은 용융물을 배출한 제1 용기에서 발생된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을 장입한 후에, 제1 용기에서 발생하는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으로 운반되는 제1 용기에 포집수를 원활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저장기에 선택적으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철소의 제선공정 및 제선공정에 사용되는 처리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즉, 제1 용기는 용융물을 담아 운반할 수 있는 래들일 수 있고, 제2 용기는 용융물이 장입될 수 있는 전로일 수 있다. 또한, 용융물은 용선일 수 있고, 피처리물은 잔여 용융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장치가 적용되는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처리 설비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용기(10)는 용융물이 담기는 보관체로서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기(1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주권걸이(11)가 구비될 수 있다. 주권걸이(11)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크레인(110)의 운반기(112)에 구비된 주권후크(112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10)의 측면에서 주권걸이(11)와 수평으로 직교하는 위치에 보권걸이(12)를 구비할 수 있다. 보권걸이(12)는 주권걸이(11)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권걸이(12)는 후술하는 보권후크(112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용기(20)는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보관체로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제2 용기(20)의 양측으로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가 형성되고, 파이프가 제2 용기 받침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용기 받침대는 예컨데 전로를 지지하는 도그하우스일 수 있다. 이에, 제2 용기(20)는 제2 용기 받침대에 지지된 상태에서 경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2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운반레일(30)은 크레인(110)이 이송될 수 있도록, 크레인(110)의 이송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운반레일(30)은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방향은 크레인(11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서, 도면상 운반레일(30)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제2 용기(20)는 운반레일(30)을 기준으로, 운반레일(30) 일측 부분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송경로 중 소정의 위치가 후술하는 미리 정해진 위치(P)일 수 있다. 예컨데, 미리 정해진 위치(P)는 이송경로 중 교차방향에 대하여 후술하는 공급부(120)와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상 운반레일(30)을 기준으로 제2 용기(20)가 배치되는 부분을 일측이라 하고, 공급부(120)가 배치되는 부분을 타측이라 한다. 즉, 운반레일(30)의 일측에는 제2 용기(20)가 배치되고 운반레일(30)의 타측에는 공급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용기에서 발생된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장치로서, 용기를 향해 포집수(w)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114)와 포집수(w)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기(113)를 구비하고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110),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기(113)에 분리, 결합될 수 있는 공급부(120) 및 크레인(110)의 위치에 따라 저장기(113)에 공급부(12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공급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는 제1 용기(10)일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용기가 제1 용기(10)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크레인(110)은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제1 용기(10)를 이송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크레인(110)은 크레인 몸체(111), 운반기(112), 저장기(113), 분사기(114), 후드(111d) 및 크레인 구동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몸체(111)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송방향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크레인 몸체(111)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내부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홀(111a)은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며, 운반기(112)의 주권후크 및 보권후크(112b)가 내부홀(111a)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 몸체(111)는 하면에 회전 가능한 휠(111b)을 구비할 수 있다. 휠(111b)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크레인 몸체(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휠(111b)은 운반레일(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휠(111b)이 회전하며, 운반레일(30) 상에서 크레인 몸체(111)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크레인 몸체(111)는 상면에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운반기 레일(111c)을 구비할 수 있다. 운반기 레일(111c)은 운반기(112)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운반기 레일(111c)은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내부홀(111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운반기(112)는 운반기 레일(111c)에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운반기(112)가 교차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용기(10)를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용기(10)를 제2 용기(20)에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운반기(112)는 제1 용기(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주권후크(112a)를 구비할 수 있다. 주권후크(112a)는 운반기(1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부홀(111a)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단부가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주권후크(112a)의 단부는 제1 용기(10)의 주권걸이(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용기(10)가 한쌍의 주권후크(112a)에 결합된 상태로 교차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운반기(112)는 제1 용기(10)를 제2 용기(20)를 향하여 경동시킬 수 있도록, 보권후크(112b)를 구비할 수 있다. 보권후크(112b)는 운반기(1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부홀(111a)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단부가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보권후크(112b)의 단부는 제1 용기(10)에 구비되는 보권걸이(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보권후크(112b)가 제1 용기(10)를 기울어지게 들어올려, 제1 용기(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이 제2 용기(20)로 장입될 수 있다.
저장기(113)는 포집수(w)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기(113)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기(113)는 크레인 몸체(111)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저장기(113)는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후술하는 공급부(120)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
또한, 저장기(113)는 공급부(120)로부터 포집수(w)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유입구(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113a)는 저장기(113)의 타측 측면의 하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구(113a)는 유입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센서는 유입구(113a)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센서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의 측정기(132)가 저장기(113)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면, 제어기(133)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유입구(113a)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유입센서는 저장기(113) 내부의 공간이 포집수(w)로 가득차게 되면, 유입구(113a)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제어부(130)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한다.
분사기(114)는 제1 용기(10)의 개구를 향하여 포집수(w)를 분사할 수 있다. 즉, 분사기(114)는 제1 용기(10)의 상부로 비산되는 피처리물에 포집수(w)를 분사하여 피처리물을 포집할 수 있다. 분사기(114)는 포집수(w)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114a)과, 저장기(113)의 포집수(w)를 노즐(114a)에 공급할 수 있도록 노즐(114a)과 저장기(113)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호스(114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크레인(11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크레인(110)은 이송경로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크레인(110)이 이송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114a)은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노즐(114a)이 교차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용기(10)를 따라가며, 제1 용기(10)에 포집수(w)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연결호스(114b)는 교차방향으로 이동하는 노즐(114a)과 저장기(113)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드(111d)는 크레인 몸체(111)의 하면에 설치되고, 용융물에서 발생되는 부산물, 분진 등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드(111d)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크레인 몸체(111)의 일측 하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용기(10)에서 제2 용기(20)로 용융물을 장입할 때, 발생되는 부산물이 후드(111d)로 흡입될 수 있다.
크레인 구동기(미도시)는 운반레일(30) 상에 배치된 크레인(110)을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크레인 구동기는 제선 공정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이므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기와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공급부의 일 예와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급부(120)는 저장기(113)에 분리 및 결합되며, 저장기(113)에 선택적으로 포집수(w)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공급부(120)는 저장기(113)에 포집수(w)가 충진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저장기(113)에 연통되며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집수(w)가 충진될 필요가 있는 저장기(113)는 저장기(113) 내부의 공간을 100이라 할 때, 포집수(w)가 30 미만으로 충진되어 있는 저장기(113)일 수 있다.
한편, 공급부(12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크레인(110)들 중 어느 하나의 크레인(110)의 저장기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에, 복수의 크레인(110) 중 포집수(w)가 충진될 필요가 있는 어느 하나의 저장기(113)를 선택하여 포집수(w)를 공급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부(120)는 교차방향에 대하여 크레인(110)과 마주보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급부(120)가 이송경로 중 미리 정해진 위치(P)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위치(P)에 위치한 크레인(110)의 저장기(113)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급부(120)는 프레임(121), 공급배관(122), 구동기, 조절기(124) 및 저장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1)은 공급배관(122)이 수용되는 몸체일 수 있다. 프레임(121)은 교차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컨데, 프레임(121)은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예컨데, 프레임(121)은 운반레일(30)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21) 내부의 공간에 공급배관(12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1)은 관통구(121a)를 구비할 수 있다.
관통구(121a)는 프레임(121)의 일측 측면에서 교차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구(121a)의 위치는 저장기(113)의 유입구(113a)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구(121a)의 중심부 높이가, 유입구(113a) 중심부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21)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통구(121a)를 형성하는 프레임(121)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삽입홈(121b)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삽입홈(121b)은 관통구(121a)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121b)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조절기(124)가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삽입홈(121b)이 관통구(121a)의 둘레를 따라 4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도 5 참조)
또한, 삽입홈(121b)은 제1 홈(121c)과, 제1 홈(121c)보다 직경이 짧고, 제1 홈(121c)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깊게 파여지는 제2 홈(121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홈(121c)과 제2 홈(121d)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21c)에는 후술하는 조절기(124)의 접촉부재(124a)와 탄성부재(124b)가 함께 삽입될 수 있고, 제2 홈(121d)에는 접촉부재(124a)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조절기(124)를 설명하면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급배관(122)은 저장탱크에서 저장기(113)로 포집수(w)가 이동하는 경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급배관(122)은 일부가 프레임(121)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일부가 프레임(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공급배관(122)은 제1 배관(122a), 제2 배관(122b), 제3 배관(12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급배관(122)은 주입부재(122d), 개폐부재(122e), 동력부재(미도시) 및 접촉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배관(122a)은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제1 배관(122a)은 내부에 포집수(w)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며, 일측 단부에 배출구(122f)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관(122a)은 배출구(122f)의 중심부 높이가 유입구(113a)의 중심부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관통구(121a)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122a)의 직경의 길이는 관통구(121a)의 내경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제1 배관(122a)이 후술하는 조절기(12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관통구(121a)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제2 배관(122b)은 일부가 교차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부가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단부에서 교차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제2 배관(122b)은 내부에 포집수(w)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며, 타측 단부가 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배관(122c)은 제1 배관(122a) 및 제2 배관(122b)에 각각 연결되며, 제2 배관(122b)의 포집수(w)를 제1 배관(122a)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3 배관(122c)은 내부에 포집수(w)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배관(122c)은 적어도 일부분이 플랙시블하게(즉, 유동성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배관(122c)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배관(122a) 혹은 제2 배관(122b)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할 때, 제3 배관(122c)이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며, 제1 배관(122a) 및 제2 배관(122b)을 유동성 있게 지지해줄 수 있다.
한편, 제1 배관(122a), 제3 배관(122c) 및 제2 배관(122b)은 내부의 통로의 내경이 배출구(122f)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는 동일한 유량일 때 통과하는 단면적이 좁을수록 이동속도를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배관(122a), 제3 배관(122c) 및 제2 배관(122b)의 내부 통로의 내경을 점점 더 작게 형성하므로, 배출구(122f)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이동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더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주입부재(122d)는 제1 배관(122a)과 유입구(113a)를 연결시킬 수 있다. 주입부재(122d)는 제1 배관(122a)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유입구(113a)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입부재(122d)의 외경의 길이는 유입구(113a)의 내경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배출구(122f)에서 배출되는 포집수(w)가 유입구(113a)를 통해 저장기(113)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주입부재(122d)는 접촉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센서는 공급배관(122)과 저장기(113)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주입부재(122d)가 유입구(113a)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센서는 주입부재(122d)와 유입구(113a)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접촉센서가 주입부재(122d)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접촉센서의 감지를 통해, 제어부(130)에서 후술하는 개폐부재(122e)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개폐부재(122e)와 제어부(130)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주입부재(122d)는 외주면에 실링부재(122g)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재(122g)는 주입부재(122d)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주입부재(122d)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122h)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122g)는 주입부재(122d)의 둘레를 따라 O-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22g)는 고정홈(122h)에 끼워져, 주입부재(122d)와 유입구(113a)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입부재(122d)을 통해 유입구(113a)로 포집수(w)가 이동하는 동안, 실링부재(122g)가 주입부재(122d)와 유입구(113a) 사이의 틈새로 포집수(w)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재(122e)는 제1 배관(122a) 내지 제3 배관(122c)의 내부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122e)는 제1 배관(122a) 내지 제3 배관(122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개폐부재(122e)가 제1 배관(122a)의 배출구(122f)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도 4(a)를 참조하여 공급부의 일 예를 설명한다. 개폐부재(122e)는 적어도 일부가 배출구(122f)의 중심부를 향해 회전 이동하며, 배출구(122f)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122e)는 복수의 날개가 서로 중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개폐부재(122e)는 복수의 날개가 배출구(122f)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122e)는 교차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출구(122f)의 중심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122e)의 개폐방식은 카메라의 광의 노출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방식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이에, 개폐부재(122e)의 날개가 배출구(122f)의 개구율을 일정한 비율로 증감시키며 배출구(122f)를 개폐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4(b)를 참조하여 공급부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개폐부재(122e)는 복수의 날개가 서로 중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날개의 일단부가 제1 배관(122a)의 내주면에 회전 중심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만 배출구(122f)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122e)의 개폐방식은 오리피스의 개폐방식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일 수 있다. 이에, 개폐부재(122e)가 배출구(122f)를 개폐하며, 제1 배관(122a)에서 자동으로 포집수(w)를 배출시킬 수 있다.
동력부재는 개폐부재(122e)의 날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폐부재(122e)의 날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부재는, 회전체, 모터, 제1 톱니, 제2 톱니, 및 제3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배출구(122f)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체가 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1 톱니 및 제2 톱니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며 개폐부재(122e)를 배출구(122f)의 중심부를 향하여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는 프레임(121) 및 공급배관(12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21)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와, 운반레일(30)과 동일한 높이의 작업대에 구비된 구동기 레일 상에서 교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기 바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기 바퀴(123)는 이송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레임(121)을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 바퀴(123)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구동기는 구동기 바퀴(123)와 프레임(121)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이송방향 및 교차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구동기 바퀴(123)가 연결부재를 통해,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하며 프레임(121)이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를 통해 구동기 바퀴(123)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이 교차방향에서 이송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 바퀴(123)가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송경로의 미리 정해진 위치(P)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의 구동기 바퀴(123)와 연결부재는 캐스터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조절기(124)는 삽입홈(121b)에 설치되며, 유입구(113a)의 중심부 높이와 배출구(122f)의 중심부 높이를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조절기(124)는 제1 배관(122a)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홈(121b)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기(124)는 접촉부재(124a)와 탄성부재(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재(124a)는 관통구(121a)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 볼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124a)는 헤드부분이 관통구(121a)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헤드부분이 관통구(121a)에 삽입된 제1 배관(122a)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재(124a)의 헤드부분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124a)의 헤드부분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재(124a)와 제1 배관(122a)의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배관(122a)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할 때, 제1 배관(122a)과 접촉부재(124a)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여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접촉부재(124a)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술한 각각의 삽입홈(121b)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삽입홈(121b)의 제2 홈(121d)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접촉부재(124a)가 구비될 수 있고, 관통구(121a)의 사방에 배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관통구(121a)에 삽입된 제1 배관(122a)에 접촉할 수 있다.
탄성부재(124b)는 접촉부재(124a)와 연결되고, 접촉부재(124a)를 제1 배관(122a)에 밀착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24b)는 삽입홈(121b) 내에 위치하여 제1 배관(122a)을 향하여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24b)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24b)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삽입홈(121b)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124b)는 삽입홈(121b)의 제1 홈(121c)에 위치한다. 즉, 탄성부재(124b)는 일단부가 접촉부재(124a)의 헤드부분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홈(121c)과 제2 홈(121d) 사이의 단차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탄성부재(124b)는 제1 홈(121c) 내에서 접촉부재(124a)에 의해 신장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24b)는 접촉부재(124a)를 밀어내어 접촉부재(124a)와 접촉하는 제1 배관(122a)이 유입구(113a)와 정렬되게 밀어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배관(122a)은 사방에 위치한 접촉부재(124a)가 밀어내는 힘들이 균형을 이루며, 관통구(121a)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관(122a)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거나 전달되는 경우, 접촉부재(124a)들이 이루는 균형이 깨져 제1 배관(122a)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배관(122a)이 접촉부재(124a)들 중 일부를 밀어내면서, 복수개의 탄성부재(124b)들 중 일부는 수축하고, 다른 일부는 신장하면서 접촉부재(124a)들이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때, 신장되거나 수축되었던 탄성부재(124b)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24b)들에 의해 접촉부재(124a)들이 힘의 균형을 이루었던 처음 위치로 제1 배관(122a)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배관(122a)이 처음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제1 배관(122a)의 배출구(122f)의 중심부 높이와 유입구(113a)의 중심부 높이가 틀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저장탱크(미도시)는 다량의 포집수(w)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로서, 공급배관(122)과 연결되며, 예컨데 작업장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탱크는 제선 공정에 포집수(w)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저장기(113)에 공급부(12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공급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공급부(120)를 포집수(w)가 충진될 필요가 있는 저장기(113) 즉, 포집수(w)가 저장기(113) 내부의 공간에 30 미만으로 충진되어 있는 저장기(113)에 공급부(120)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복수개로 마련되는 크레인(110)들 중 어느 하나의 크레인(110), 즉 포집수(w)가 충진될 필요가 있는 저장기(113)를 선택하여 공급부(120)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기(131), 측정기(132), 제어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131)는 공급부(120)에 설치되며, 이송경로 중 미리 정해진 위치(P)의 크레인(11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기(131)는 위치 감지 센서(131a)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감지 센서(131a)는 프레임(12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121)에서 이송경로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기(131)는 감지한 정보를 제어기(13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 센서(131a)는 광학 카메라 또는 적외선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기(132)는 저장기(113)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데, 저장기(113)에는 소량의 포집수(w)가 잔존해 있을 수 있다. 즉, 복수의 크레인(110)의 각각의 저장기(113)에 잔존하는 포집수 양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포집수(w)를 저장기(113)에 공급하기 전에, 저장기(113)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하여 잔존하는 포집수(w)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저장기(113)로 공급될 포집수(w) 공급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측정기(132)는 측정한 정보를 제어기(133)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기(132)는 저장기(113)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32)는 내부 압력을 초음파로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33)는 감지기(131)에 각각 연결되고, 감지기(131)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동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133)는 감지기(131)에서 크레인(110)을 감지했다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구동기 바퀴(123)를 제어하여, 프레임(121)을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공급배관(122)이 유입구(113a)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주입부재(122d)의 접촉센서가 유입구(113a)와의 접촉을 감지하면, 제어기(133)가 개폐부재(122e)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배출구(122f)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3)는 측정기(132)의 측정값에 따라 저장기(113)로 공급될 포집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측정기(132)에서 저장기(113)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저장탱크에서 측정값만큼 포집수(w)가 배출되도록 하여 저장기(113)로 포집수(w)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3)는 측정기(132)에서 신호를 전송받으면, 유입구(113a)의 유입센서로 개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기(133)는 공급부(120)의 저장탱크에서 측정값만큼 포집수(w)가 배출되게 하는 과정과 유입구가 개방되게 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포집수(w)가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저장기(113)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구동기의 연결부재를 제어하여 공급부(12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프레임(121)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켜 미리 정해진 위치(P)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집진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장치(100)에서 저장기(113)로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과 피처리물(d)을 포집하는 과정은 집진방법을 설명하면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미리 정해진 위치로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도면이고, 도 7은 감지기가 크레인을 감지하는 도면이고, 도 8은 공급부가 저장기에 연결되고 포집수를 주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을 장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용융물을 배출한 제1 용기에서 발생된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집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 방법은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을 장입한 후에, 제1 용기에서 발생하는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으로 운반되는 제1 용기에 포집수를 원활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저장기에 선택적으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집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방법은 제1 용기(10)를 크레인(110)에 결합하고 이송경로로 크레인(110)을 이동시키는 과정(S110), 제1 용기(10)의 용융물을 제2 용기(20)로 장입시키는 과정(S120) 및 크레인(110)의 분사기(114)로 제1 용기(10)의 개구를 향해 포집수(w)를 분사하여 피처리물(d)을 포집하는 과정(S130)을 포함하고, 피처리물(d)을 포집하는 과정 전에 포집수(w)를 저장하는 공급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P)에서 포집수(w)를 공급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기는 상술한 집진장치(100)의 공급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공급기가 집진장치(100)의 공급부(120)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용기(10)를 크레인(110)에 결합시키고, 이송경로로 크레인(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크레인(110)은 운반레일(30) 상에서 이동경로 중 제2 용기(20)와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위치(이하, 대기 위치라 함)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크레인(110)은 대기 위치에서 이송경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크레인(110) 중 도면상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크레인(110)을 일 크레인(110)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크레인을 다른 크레인(110)이라 한다.
크레인(110)이 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운반기(112)의 주권후크(112a)가 제1 용기(10)의 주권걸이(11)에 결합되고, 보권후크(112b)가 제1 용기(10)의 보권걸이(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용기(10)를 권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용기(10)의 내부에는 용융물이 담겨 있을 수 있다. 이후, 일 크레인(110)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크레인(110)을 미리 정해진 위치(P)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위치(P)는 이송경로 중 교차방향에 대하여 공급부(120)와 마주보는 부분의 소정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위치 감지 센서(131a)가 미리 정해진 위치(P)에 크레인(110)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131a)는 감지한 신호를 제어기(133)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크레인(110)이 미리 정해진 위치(P)에 있으면, 제어기(133)가 구동기 바퀴(123)를 제어하여, 프레임(121) 을 교차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주입부재(122d)가 유입구(113a)에 삽입되고, 접촉센서가 주입부재(122d)와 유입구(113a)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기(133)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33)가 접촉센서에서 신호를 전송받으면, 개폐부재(122e)를 작동시켜 배출구(122f)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3a)는 폐쇄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주입부재(122d)가 유입구(113a)에 삽입되면서 동시에 측정기(132)가 저장기(113)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측정기(132)가 저장기(113)에 초음파를 분사하여 저장기(113) 내부 공간의 압력을 측정하고, 저장기(113) 내부의 잔존하는 포집수(w) 양을 측정하여, 저장기(113)로 공급될 포집수(w) 공급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측정기(132)는 측정한 정보를 제어기(133)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133)가 공급부(120)의 저장탱크에서 측정값만큼 포집수(w)가 배출되도록 하여, 저장기(113)로 포집수(w)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3)는 측정기(132)에서 신호를 전송받으면, 유입구(113a)의 유입센서로 개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공급부(120)의 저장탱크에서 측정값만큼 포집수(w)가 배출되게 하는 과정과 유입구(113a)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저장기(113)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다(S140). 즉, 포집수(w)가 저장탱크, 공급배관(122), 배출구(122f), 유입구(113a)를 통해 저장기(113)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일 크레인(110)의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저장하는 과정과 동시에 대기 위치에 있던 다른 크레인(110)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크레인(110)의 저장기(113)와 공급배관(122)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제적으로, 저장탱크에서 측정값만큼 포집수(w)가 배출되면, 제어기(133)가 개폐부재(122e)를 작동시켜 배출구(122f)를 폐쇄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133)가 유입센서에 신호를 전송하여, 유입구(113a)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기(133)가 구동기 바퀴(123)를 작동시켜 저장기(113)에 대하여 공급부(12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저장기(113)와 공급부(120)가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일 크레인(110)을 소정거리 더 전진시키고, 제2 용기(20) 앞에 정지시킬 수 있다. 운반기(112)가 교차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용기(10)를 제2 용기(2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후. 보권후크(112b)가 작동하며 제1 용기(10)를 제2 용기(20)의 개구를 향해 경동시킬 수 있고, 용융물을 제2 용기(20)에 장입시킬 수 있다(S120). 이때, 제1 용기(10)에서 제2 용기(20)로 용융물을 장입시킴에 있어서, 제1 용기(10) 및 제2 용기(20)의 상부로 부산물이 비산될 수 있다. 비산되는 부산물은 후드(111d)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비어있는 미리 정해진 위치(P)로 다른 크레인(110)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위치 감지 센서(131a)는 미리 정해진 위치(P)의 다른 크레인(11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용기(20)에 용융물을 장입시킨 후, 크레인(110)이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제1 용기(10)를 이송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제1 용기(10)의 잔존하는 용융물로부터 발생된 피처리물(d)이 개구를 통해 제1 용기(10)의 상부로 비산될 수 있다. 이에, 노즐(114a)에서 제1 용기(10)의 개구로 포집수(w)를 분사하여 피처리물(d)을 포집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d)이 포집수(w)와 응집되며, 제1 용기(10)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장에 피처리물(d)이 부유하여 작업장 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크레인(110)의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크레인(110)의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공급하는 과정은 일 크레인(110)의 저장기(113)에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크레인(110)은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공급받으면서, 동시에 운반기(112)를 작동시켜, 제1 용기(10)에서 제2 용기(20)로 용융물을 장입시킬 수도 있다. 즉, 저장기(113)에 포집수(w)를 공급받는 과정과 제1 용기(10)에서 제2 용기(20)로 용융물을 장입시키는 과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크레인의 저장기에 선택적으로 포집수를 공급하여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크레인과 크레인에 포집수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분리된 상태로 제1 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호스가 크레인의 주변 구조물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크레인에 자동으로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제1 용기 20: 제2 용기
100: 집진장치 110: 크레인
120: 공급부 130: 제어부

Claims (16)

  1. 용기에서 발생된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집진장치로서,
    상기 용기를 향해 포집수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와 포집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기를 구비하고,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저장기에 포집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기에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공급부; 및
    상기 크레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저장기에 상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이송경로에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크레인 중 어느 하나의 크레인의 저장기에 상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집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이송경로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에 대하여 상기 크레인과 마주보고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부를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는 집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경로 중 미리 정해진 위치의 상기 크레인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저장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기; 및
    상기 감지기와 상기 측정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정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저장기로 공급될 포집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공급부 중 상기 이송경로의 미리 정해진 위치와 마주보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급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집진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프레임;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 높이가 상기 저장기의 유입구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을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은, 상기 저장기와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기는,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유입센서;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유입구의 중심부와 상기 배출구의 중심부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배관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삽입홈을 갖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관통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삽입홈에 배치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연결되고 신장수축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분사기와 상기 저장기에 각각 연결되고, 신장 수축 가능한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11. 제1 용기를 크레인에 결합하고, 이송경로로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용기의 용융물을 제2 용기로 장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크레인의 분사기로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를 향해 포집수를 분사하여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과정 전에, 포집수를 저장하는 공급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집진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크레인이 있는지 감지하는 과정;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크레인을 향하여 상기 공급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크레인의 저장기 유입구에 상기 공급기의 배출구를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집진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의 유입구에 상기 공급기의 배출구를 접촉시키는 과정은,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상기 배출구를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저장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저장기로 공급될 공급량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공급량 만큼 상기 저장기로 포집수를 유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집진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상기 배출구를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공급기를 가압하여 상기 배출구 높이를 상기 유입구 높이에 일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량 만큼 상기 저장기로 포집수를 유입시키는 과정은, 상기 공급기의 저장탱크에 수용된 포집수가 상기 공급량 만큼 감소하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집진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포집수를 공급하면, 상기 크레인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크레인의 후방에 배치된 다른 크레인에 포집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집진방법.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며, 상기 피처리물은 용융물이 배출된 상기 래들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함하며,
    상기 피처리물을 포집하는 과정은, 포집수를 상기 분진 보다 입자가 큰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집진방법.
KR1020200155653A 2020-11-19 2020-11-19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KR10249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53A KR102491039B1 (ko) 2020-11-19 2020-11-19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53A KR102491039B1 (ko) 2020-11-19 2020-11-19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55A true KR20220068655A (ko) 2022-05-26
KR102491039B1 KR102491039B1 (ko) 2023-01-20

Family

ID=8180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53A KR102491039B1 (ko) 2020-11-19 2020-11-19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0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63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내의 분진 제진장치
KR20080050852A (ko)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 레이들의 분진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진저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63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내의 분진 제진장치
KR20080050852A (ko)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 레이들의 분진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진저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039B1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68085B (zh) 一种用于清洁机器人加水排水的基站及机器人系统
US20230380648A1 (en) Modular robotic floor-cleaning system
CN111345733B (zh) 一种石材护理的清洁机器人
US20160091899A1 (en) Apparatus for guiding an autonomous vehicle towards a docking station
US20050212478A1 (en) Station for self-propelled robot
US11407599B2 (en) Apparatus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bulk material
JP2024525859A (ja) ベースステーションおよび清掃ロボットシステム
EP3312120A1 (en) Spun yarn take-up system and yarn threading robot
KR102176859B1 (ko) 노즐의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30304A (ko) 협업 멀티 로봇청소기의 도킹스테이션 제어방법
JP747238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
KR20220068655A (ko)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EP4041620A1 (en) Navigator
JP7555236B2 (ja) 走行可能な機器に物資を補給する供給装置及び走行可能な機器
KR101708054B1 (ko) 무전원 하이브리드 공압 ict 관로 청소용 대차
KR102549563B1 (ko) 원격 제어형 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링 방법
KR101245320B1 (ko) 살수 장치를 가진 원료 처리용 이동장비의 물 공급 시스템
KR20220139554A (ko) 파이프 도장 집진 장치 및 파이프 도장 자동화 시스템
KR10178727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KR102335144B1 (ko) 대용량 가스 배럴의 교체 시스템
CN220655515U (zh) 基站及清洁系统
JP2001087687A (ja) 不良箇所明示装置
CN219126212U (zh) 基站
KR20100066667A (ko) 블라스팅 장치 및 블라스팅 장치의 노즐 위치 제어 방법
KR101900828B1 (ko) 강판 에지부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