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513A -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513A
KR20220068513A KR1020200155381A KR20200155381A KR20220068513A KR 20220068513 A KR20220068513 A KR 20220068513A KR 1020200155381 A KR1020200155381 A KR 1020200155381A KR 20200155381 A KR20200155381 A KR 20200155381A KR 20220068513 A KR20220068513 A KR 2022006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unit
heartbeat
smart terminal
bluetooth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석
김지석
구병기
이윤우
이종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513A/ko
Publication of KR2022006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1Dolls simulating physiological processes, e.g. heartbeat, breathing or f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인형 완구는, 인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인형에서 심장박동이 느껴지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심박 구동부;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 후 진동 감지부로부터 인형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시간 동안 심박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TOY OF DOL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형의 몸체 팔다리를 길게 구성하여 영유아를 감싸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엄마의 심장박동을 저장하여 엄마의 심박패턴에 따라 심장박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모태에서 분리되는 탄생 시점부터 분리감에 따른 불안과 공포의 심리적 공황 상태에 빠지게 된다.
아동심리는 성인의 심리와 달라서 독자적인 정신 구조를 갖는데 독일의 W.프라이어가 자신의 아들을 대상으로 출생에서부터 3 세까지 성장 과정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이 분야의 과학적인 학문의 기초를 만들었다. 소위 악벽(Bad habit)이란 바람직하지 못한 동작을 습관적으로 나타내는 개인의 성향으로서 무의식적으로는 손가락을 빠는 버릇,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 티크(tic : 얼굴을 찡그리거나 어깨를 움츠리거나 눈을 깜빡거리는 등의 반복 동작) 등이 있다.
그 이외에도 악벽에는 자위, 야뇨, 방랑, 도벽, 무릎을 떠는 버릇, 혼자서 중얼거림 등이 있는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다수 악벽의 원인은 욕구불만, 열등감에서 생기는 불안감, 특히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분리감 및 애정결핍에 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악벽이 영유아나 어린이들(이하 "아동"으로 총칭함)에게 나타나지 않도록 부모나 친지들이 관심과 애정을 아동들에게 쏟고는 있으나, 맞벌이가 일반화되면서 부모와의 접촉 시간이 적어지고 남의 손에 의해서 돌보아 지고 있는 시간이 점차 증대하면서 최근 아동들의 정서 안정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바, 경제 활동으로 시간이 부족한 부모들이 채워주지 못하는 빈 공간을 장난감을 통해 채워주려 하는 경향이 많은데, 아동들의 정서 함양용으로 가장 인기 있는 장난감으로는 통상 인형이나 동물모양의 완구들(이하 통칭하여 인형이라 한다)이 있다.
이러한 완구들은 특히 여아들에게 선호되는데, 종래 사용되는 인형들은 소꿉놀이 등에 이용되며 수동 작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크게 자극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아동용 완구로 집적회로 칩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말하거나 움직이는 기능을 부여한 것이 나오게 되었고, 최근에는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완구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1188호(2014.01.28. 공개, 아동의 정서 함양용 인형)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유아들이 가지고 노는 인형들을 통해 엄마 품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인형이나 동물완구의 몸체 안에 사람의 심장과 같은 박동을 제공하는 심장박동기를 삽입하여 심장박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거나 녹음기를 통해 엄마의 목소리나 심장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심장박동이 어머니 품과 같은 포근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특히 유아들의 정서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완구 인형들의 경우 일정한 패턴에 의해 심장박동이 규칙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심장 박동이 약하여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고 엄마의 심장 박동과는 차이가 있어 아동들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각작용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인형의 몸체 팔다리를 길게 구성하여 유아를 감싸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엄마의 심장박동을 저장하여 엄마의 심박패턴에 따라 심장박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형 완구는, 인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인형에서 심장박동이 느껴지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심박 구동부;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 후 진동 감지부로부터 인형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시간 동안 심박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진동 감지부, 심박 구동부, 블루투스 통신부, 저장부, 제어부 및 스피커는 인형의 몸체에 내장되고, 인형의 팔다리는 몸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형의 몸체 복부에 쿠션의 강도가 다른 머리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어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심박수에 따라 심박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어 설정값을 설정하고 변경할 때 스피커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은, 제어부가 진동 감지부를 통해 인형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인형의 움직임을 판단하여하여 인형이 움직인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장박동을 위한 심박패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심박패턴을 설정한 후 심박패턴에 기초하여 설정시간 동안 심박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어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심박패턴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심박수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은 인형의 몸체 팔다리를 길게 구성하여 유아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뒤집기나 사두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엄마의 심장박동을 저장하여 엄마의 심박패턴에 따라 심장박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정서를 안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는 진동 감지부(10), 심박 구동부(30), 블루투스 통신부(40), 저장부(60), 제어부(20) 및 스피커(5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10)는 인형(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20)에 제공함으로써, 인형(100)을 사용할 경우에만 심박 구동부(3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형(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배터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심박 구동부(30)는 인형(100)에서 심장박동이 느껴지도록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심박 구동부(30)는 심박패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40)는 인형 완구의 작동을 위한 심전도 데이터 및 심박수 등을 설정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기(40)와 연동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기(40)는 인형 완구를 설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심전도를 측정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인형 완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심전도 데이터 및 작동을 위한 설정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블루투스 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70)와 연동되어 스마트 단말기(70)로부터 수신되는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부(60)에 저장한 후 진동 감지부(10)로부터 인형(100)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저장부(60)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시간 동안 심박 구동부(30)를 작동시켜 인형(100)에서 심장박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블루투스 통신부(40)를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기(70)로부터 설정된 심박수에 따라 심박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영유아에 따라 선호하는 심박수 및 강도를 임의로 설정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스피커(50)는 제어부(20)에서 스마트 단말기(70)와 연동되어 설정값을 설정하고 변경하는 등 작동상태를 작동음으로 출력하여 설정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감지부(10), 심박 구동부(30), 블루투스 통신부(40), 저장부(60), 제어부(20) 및 스피커(50)는 인형(100)의 몸체에 내장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의 팔다리는 몸체보다 길게 형성되어 누워있는 영유아의 감싸 안아 뒤집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형(100)의 몸체 복부에는 쿠션의 강도가 다른 머리 안착부(110)를 형성하여 아이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두증을 예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형 완구에 따르면, 인형의 몸체 팔다리를 길게 구성하여 유아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뒤집기나 사두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엄마의 심장박동을 저장하여 엄마의 심박패턴에 따라 심장박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정서를 안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20)가 진동 감지부(10)를 통해 인형(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여부를 판단한다(S10).
S10 단계에서 인형(100)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한 후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0)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장박동을 위한 심박패턴을 설정한다(S20).
여기서, 심전도 데이터는 제어부(20)가 블루투스 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70)와 연동되어 스마트 단말기(70)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 측정하거나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부(60)에 저장한다.
한편, 심박패턴을 설정할 때, 제어부(20)는 블루투스 통신부(40)를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기(70)로부터 설정된 심박수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0)는 블루투스 통신부(40)를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기(70)로부터 설정된 심박수에 따라 심박 구동부(3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영유아에 따라 선호하는 심박수 및 강도를 임의로 설정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S20 단계에서 심장박동을 위한 심박패턴을 설정한 후 제어부(20)는 심박패턴에 기초하여 심박 구동부(30)를 작동시킨다(S30).
이와 같이 인형(100)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엄마의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박패턴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심박 구동부(30)를 작동시킨 후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킨다(S40).
예를 들어, 한 번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5분 동안 작동된 후 정지함으로써 인형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지되어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에 따르면, 인형의 몸체 팔다리를 길게 구성하여 유아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뒤집기나 사두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엄마의 심장박동을 저장하여 엄마의 심박패턴에 따라 심장박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정서를 안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진동 감지부 20 : 제어부
30 : 심박 구동부 40 : 블루투스 통신부
50 : 스피커 60 : 저장부
70 : 스마트 단말기 100 : 인형
110 : 안착부

Claims (10)

  1. 인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인형에서 심장박동이 느껴지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심박 구동부;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심전도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진동 감지부로부터 상기 인형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시간 동안 상기 심박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부, 상기 심박 구동부,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인형의 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의 팔다리는 몸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의 몸체 복부에 쿠션의 강도가 다른 머리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심전도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심박수에 따라 상기 심박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어 설정값을 설정하고 변경할 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작동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
  8. 제어부가 진동 감지부를 통해 인형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형의 움직임을 판단하여하여 상기 인형이 움직인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장박동을 위한 심박패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심박패턴을 설정한 후 상기 심박패턴에 기초하여 설정시간 동안 심박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어 상기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패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심박수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완구의 구동방법.
KR1020200155381A 2020-11-19 2020-11-19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68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81A KR20220068513A (ko) 2020-11-19 2020-11-19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81A KR20220068513A (ko) 2020-11-19 2020-11-19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513A true KR20220068513A (ko) 2022-05-26

Family

ID=8180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81A KR20220068513A (ko) 2020-11-19 2020-11-19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5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0521B2 (en) Sound and heartbeat playback system
JPH0375080A (ja) 縫いぐるみの解剖的部材
Vo The Mindful teen: Powerful skills to help you handle stress one moment at a time
US20150112121A1 (en) Pacifier system adapted to imitate the closeness of a subject at rest
WO2017202359A1 (zh) 婴幼儿用感统智力启发椅
CN101198366A (zh) 用于协助患者自给药的方法和装置
Ludington-Hoe et al. How to have a smarter baby: The infant stimulation program for enhancing your baby's natural development
KR20220068513A (ko) 인형 완구 및 그 구동방법
Barrickman A developmental music therapy approach for preschool hospitalized children
JP7098627B2 (ja) 音声装置および使用方法
KR20160082109A (ko) 정서 발달에 도움을 주는 뇌파 및 사운드를 출력하는 장치
White Raising a happy, unspoiled child
JP2007117639A (ja) 仮想生命体の育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3566646B2 (ja) 音楽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US20140278514A1 (en) Guided Cooperation for Medical Evaluation or Treatment
Street Playful meaning making in music with young children and parents
JP2003135405A (ja) 健康機器
JP3816362B2 (ja) おしゃぶり型音具
US10946288B1 (en) Musical gaming device
US20190314732A1 (en) Emotionally Responsive Electronic Toy
KR102242833B1 (ko)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Silberg 125 Brain Games for Babies: Simple Games to Promote Early Brain Development
KR200219884Y1 (ko) 아기용 매트리스
KR200294856Y1 (ko) 간지럽히면 웃는 인형완구
Burlingham et al. The re-education of a retarded blind ch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