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247A -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247A
KR20220068247A KR1020227013415A KR20227013415A KR20220068247A KR 20220068247 A KR20220068247 A KR 20220068247A KR 1020227013415 A KR1020227013415 A KR 1020227013415A KR 20227013415 A KR20227013415 A KR 20227013415A KR 20220068247 A KR20220068247 A KR 20220068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p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serving cell
detect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 리
수에밍 판
레이 지앙
시아오동 셴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2
    • H04W72/048
    • H04W72/1247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상기 업링크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
본 개시는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만약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와 같은 단말기에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발송한 슬롯 포맷 인디케이터(slot format indicator, SFI) 감지, 즉 SFI PDCCH 감지가 구성되고,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반정적(semi-static) 슬롯 포맷(slot format)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심볼에 구성되거나, 또는 UE에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SFI PDCCH를 감지하지 않은 상황에서 UE는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전송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은 SFI PDCCH를 전송하기 전에 유휴 채널 감지를 진행해야 하는데, 채널이 유휴할 경우에만 SFI PDCCH를 발송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발송할 수 없다. 만약 기지국이 SFI PDCCH를 발송하지 않으면 UE는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전송할 수 없어 UE가 채널을 점유하는 기회를 감소시키고 업링크 전송에 영향을 미쳐 기존 UE의 업링크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여 기존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 효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에 응용되는 업링크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단말기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고,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인 단계;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단말기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고,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인 결정 모듈;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업링크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업링크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고, 이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함으로써 단말기로 하여금 상응한 구성 및/또는 실제 상황에 근거하여 상이한 업링크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여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 기회를 증가하고 업링크 전송의 처리량과 시간 지연을 향상시키며 업링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뚜렷이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할 도면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하는데, 아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진보적인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이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구현예1에서 전송하는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구현예2에서 전송하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구현예3에서의 멤버 캐리어의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구현예4에서 전송하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구현예5에서 전송하는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1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2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의 흐름도로서, 이 방법은 단말기에 응용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 상기 단말기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다.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이다.
단계102: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이해의 편리를 위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는 내용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단말기의 구성 정보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이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할 경우, 직접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도 있고 기타 구성에 근거하여 암시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단말기가 현재 프레임 기반 기기(Frame Based Equipment, FBE) 동작 또는 LBE 동작을 사용하는 것인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FBE란, 기기의 발송과 수신이 정해진 시간으로 주기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의 주기는 고정 프레임 주기(Fixed Frame Period, FFP)이다. FBE 노드는 LBT에 기반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채널을 점유한다. 여기서, 한 차례 또는 여러 차례 연속적인 전송을 시작하는 전송 시퀀스의 노드를 시작 노드(Initiating Device)라고 하고, 기타 노드를 응답 노드(Responding Device)라고 한다. FBE노드는 시작 노드, 응답 노드 또는 두 가지 노드 기능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LBE 동작에 대하여, 전송 노드는 임의의 시각으로부터 LBT를 진행할 수 있고, 채널이 유휴가 되면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전송 노드에 대하여, 고정된 청취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바, 채널이 바쁠 경우, 건너 뛸 필요가 없이 eCCA의 카운팅 counter가 0이 될 때까지 약간의 eCCA를 백오프하여 계속하여 청취할 수 있다.
2)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선택적으로, 이 DCI 지시는 통상적으로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dynamic scheduled UL transmission), 또는, 유형2 구성 면허(type 2 configured grant)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만 적용되고, 이가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type 2 CG PUSCH와 대응되는 업링크 면허/활성화 DCI에서의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3)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선택적으로, 이 제1 정보는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다. 이 제1 정보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즉 SFI PDCCH), 채널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initial signal), 프리앰블 신호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 일 수 있고, 제1 정보는 PDCCH와 같은 물리적 채널의 형식으로 발송될 수도 있고, PDCCH DMRS, PDSCH DMSR, CSI-RS, ZC시퀀스 등과 같은 물리적 신호의 형식으로 발송될 수도 있다.
이 3)에서, 제1 정보(예를 들면 SFI PDCCH,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프리앰블 신호 등)가 위치하는 서빙 셀(즉 제1 정보를 발송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단말기는 이의 행동 패턴을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 즉 제1 단말기 행동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정보(예를 들면 SFI PDCCH)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단말기는 이의 행동 패턴을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 즉 제2 단말기 행동을 사용할 수 있다.
4)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선택적으로, 이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이다.
이 4)에서,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단말기는 이의 행동 패턴을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 즉 제1 단말기 행동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단말기는 이의 행동 패턴을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 즉 제2 단말기 행동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방법은,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고, 이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함으로써 단말기로 하여금 상응한 구성 및/또는 실제 상황에 근거하여 상이한 업링크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여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 기회를 증가하고 업링크 전송의 처리량과 시간 지연을 향상시키며 업링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은, 제1 단말기 행동과 제2 단말기 행동에서의 임의의 하나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제1 단말기 행동은,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 즉 구성된 업링크 전송(configured UL transmission)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dynamic scheduled UL transmission)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취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단말기 행동에 대하여, 제1 정보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즉 SFI PDCCH), 채널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initial signal), 프리앰블 신호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RRC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은 크로스 FFP 스케줄링에 적용되는 바, 즉 업링크 전송과 대응되는 스케줄링 정보는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FFP 이전의 FFP에서 수신된다.
한 가지 실시형태에서, 이 제1 단말기 행동에 대하여, 상응한 감지 주기는 SFI 감지 주기이고, 이 SFI 감지 주기는 예를 들면 DCI 포맷2_0을 사용한 PDCCH감지 주기(a PDCCH monitoring periodicity for DCI format 2_0)이며; 이 SFI 감지 주기 내에서 감지한 제1 정보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이다. 이 외에, 만약 SFI가 그룹 공유 PDCCH(예를 들면 DCI 포맷2_0)를 통해 발송한 것이면 SFI 감지 주기는 SFI와 대응되는 그룹 공유 PDCCH의 감지 주기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 제1 단말기 행동에 대하여, 상응한 감지 주기는 각 FFP이고, 각 FFP 내에서 감지한 제1 정보는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이다. 단말기는 제1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기지국의 채널 전송 기회 획득 여부를 결정하고 발송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이 제2 단말기 행동은,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 즉 구성된 업링크 전송(configured UL transmission)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dynamic scheduled UL transmission)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단말기 행동에 대하여, 제1 정보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즉 SFI PDCCH),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프리앰블 신호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RRC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한 SRS, PUCCH, PUSCH 및 PRACH에서의 임의의 하나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은 크로스 FFP 스케줄링, 즉 업링크 전송과 대응되는 스케줄링 정보가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FFP 이전의 FFP에 적용될 수 있고,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PUSCH, PUCCH, 비주기 SR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형태에서, 이 제2 단말기 행동에 대하여, 상응한 감지 주기는 SFI 감지 주기이고, 이 SFI 감지 주기는 예를 들면 DCI 포맷2_0을 사용한 PDCCH감지 주기이며; 이 SFI 감지 주기 내에서 감지한 제1 정보는 SFI PDCCH이다. 이 외에, 만약 SFI가 그룹 공유 PDCCH(예를 들면 DCI 포맷2_0)을 통해 발송한 것이면 SFI 감지 주기는 SFI와 대응되는 그룹 공유 PDCCH의 감지 주기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 제2 단말기 행동에 대하여, 상응한 감지 주기는 각 FFP이고, 각 FFP 내에서 감지한 제1 정보는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이다. 단말기는 제1 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기지국의 채널 전송 기회 획득 여부를 결정하고 발송할 수 있게 된다.
이 제2 단말기 행동에서, 단말기는 구성된 업링크 전송 및/또는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전에 리슨 비퍼 토크(listen before talk, LBT) 결과에 의거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즉 단말기는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것을 감지할 때에만 상응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는 상응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에 대하여, 프레임 기반 기기(Frame Based Equipment, FBE) 동작을 수행, 즉 이 단말기가 FBE인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또는, 상기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은 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구성 또는 스케줄링이 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는 것은 단지 제2 단말기 행동 하에서의 전송 요구로서, 제1 단말기 행동에는 이러한 전송 요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 행동이든 제2 단말기 행동이든 단말기는,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SFI PDCCH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반정적 슬롯 포맷(업링크 UL/다운링크 DL)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심볼(flexible symbol)에 구성되는 것;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SFI PDCCH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는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이 존재하지 않은 것에서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시킬 경우, SFI 감지 주기 내에서 SFI PDCCH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이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진행한 업링크 UL/다운링크 DL 구성을 말한다. 하나의 슬롯 포맷은 다운링크 심볼(downlink symbols), 업링크 심볼 (uplink symbols) 및 플렉서블 심볼(flexible symbol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 tdd-UL-DL-ConfigurationCommon 및/또는 tdd-UL-DL-ConfigurationDedicated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SFI PDCCH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근거하여 구성하는 것을 말하고, 단말기는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발송한 SFI PDCCH을 감지해야 하지만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SFI PDCCH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SFI PDCCH가 위치하는 서빙 셀은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과 대응되는 스케줄링 셀(scheduling cell)이고,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한 가지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무선 액세스(New Radio, NR) 언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 또는 시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기기는 셀에 기반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cell-specific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단말기에 대해 반정적(semi-static)인 UL/DL 구성을 진행할 수도 있고, 단말기에 기반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UE-specific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단말기에 대해 반정적인 UL/DL 구성을 진행할 수도 있다. 반정적인 UL/DL 구성을 통해, 각 슬롯의 각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DL symbol), 업링크 심볼(UL symbol) 또는 플렉서블 심볼(flexible symbol)로 구성될 수 있다. DL symbols은 다운링크 전송에만 사용되고, UL symbols은 업링크 전송에만 사용되며, flexible symbols은 업링크 전송 또는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 기지국은 그룹 공유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group-common PDCCH)이 발송한 동적(dynamic) SFI를 통해 단말기에 대해 동적인 UL/DL 구성을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만약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해 semi-static의 UL/DL 구성을 진행하면 semi-static의 UL/DL 구성에 대한 DL symbol, UL symbol, dynamic SFI는 반드시 DL symbol, UL symbol을 지시하고, semi-static의 UL/DL 구성에 대한 flexible symbol, dynamic SFI는 DL symbol, UL symbol 또는 flexible symbol을 지시할 수 있다. 즉 dynamic SFI는 semi-static DL/UL 구성의 flexible symbol만 수정할 수 있을 뿐 semi-static UL/DL 구성의 DL symbol과 UL symbol을 변화시킬 수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주요하게 응용될 수 있고, 이 시스템에서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기기는 모두 비면허 주파수 대역 전송을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외에,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을 담보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는 이의 업링크 전송과 구성된 다운링크 수신에 충돌(예를 들면 동일한 서빙 셀에 놓이고, 시간적으로 중첩됨)이 발생할 경우, 업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이하 구체적인 구현예와 결부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구현예1
이 구현예1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FBE를 사용하고, 연결 상태(CONNECTED)에 놓이는 UE에 대하여, UE에는 상응한 FFP가 구성되고, UE가 각 FFP 내에서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배치된다. 만약 UE가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면 UE는 이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지시 내용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또는 다운링크 수신을 진행한다. 만약 어느 FFP 내에서 UE가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지 못하고, UE가 이 FFP에서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존재하면 UE는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취소할 수 있다.
만약 UE가 크로스 FFP 스케줄링을 지지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첫 번째 FFP에서 PDCCH를 수신하며, 이가 UE로 하여금 두 번째 FFP에서 PUSCH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하지만 두 번째 FFP로부터 시작하여 UE가 이 FFP와 대응되는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지 못하면 UE는 이 스케줄링된 PUSCH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취소할 수 있다.
상기 UE가 구성된 업링크 전송 또는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을 취소할 경우, 일정한 처리시간이 필요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E는 구성된 업링크 전송 또는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을 취소할 경우, COT 지시 정보 또는 초기 신호 완료 위치의 일정한 시간(예를 들면 T≥T2) 다음의 업링크 전송을 취소한다. 이 시간은 UE의 처리 능력과 관련된다.
구현예2
이 구현예2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FBE를 사용하는데, 연결 상태(CONNECTED)에 놓인 UE에 대하여, UE는 SFI PDCCH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UE에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 즉 tdd-UL-DL-ConfigurationCommon 및/또는 tdd-UL-DL-ConfigurationDedicated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UE가 SFI PDCCH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반정적 슬롯 포맷으로 구성된 flexible symbol에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어느 SFI 감지 주기에서, SFI PDCCH 감지 기회에 UE가 SFI PDCCH를 감지하지 못하면 UE는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전에 유휴 채널 감지를 진행하는데; 만약 채널이 유휴인 것으로 감지되면 UE는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고; 또는 만약 채널이 바쁜 것으로 감지되면 UE는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구현예3
UE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을 구성할 경우, UE는 다수의 멤버 캐리어에서 수신 또는 발송을 진행할 수 있는데 UE는 DCI가 어느 멤버 캐리어와 대응되는지 알아야 한다. 이 정보는 암시적 또는 명시적일 수 있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사용 여부에 의해 결정되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각 UE의 각 멤버 캐리어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사용 여부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비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대하여, 각 멤버 캐리어에는 모두 PDCCH가 구성되고, 이 멤버 캐리어에서의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모두 본 멤버 캐리어에 대한 것이다. 업링크 승인, 업 다운링크 멤버 캐리어 사이에는 연관이 있고, 각 업링크 멤버 캐리어는 하나의 관련되는 다운링크 멤버 캐리어와 대응되며, 이러한 관련 정보는 시스템 정보의 일부이다. 따라서, 업 다운링크 멤버 캐리어 사이의 연관으로부터 UE는 DCI가 어느 업링크 멤버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알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 다운링크 PDSCH 또는 업링크 PUSCH는 PDCCH가 위치하는 멤버 캐리어에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관련되는 멤버 캐리어에서 전송하고, PDCCH에서의CIF(carrier indicator field) 도메인은 다운링크 PDSCH와 업링크 PUSCH가 사용하는 멤버 캐리어의 정보를 지시한다.
어떠한 스케줄링 방식이든 각 멤버 캐리어에 대하여 모두 하나의 관련되는 멤버 캐리어가 존재하고, 상응한 DCI는 이러한 멤버 캐리어에서 전송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 즉 기지국이 각 서빙 셀(scheduled carrier)을 위해 하나의 스케줄링 셀(scheduling carrier)을 구성한다.
이 구현예3에서, UE는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 행동 또는 제2 단말기 행동을 사용하는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UE는 구성된 또는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제1 단말기 행동 또는 제2 단말기 행동을 사용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제1 정보는 SFI PDCCH,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프리앰블 신호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일 경우, 제1 정보의 발송 여부는 LBT 결과에 의해 결정되므로 기지국이 LBT에 의해 채널이 바쁜 것으로 감지될 경우, 기지국은 제1 정보를 발송할 수 없으며, 이때 단말기 업링크 전송 기회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말기가 상응한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단말기는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전에 LBT를 진행하여 만약 채널이 유휴한 것으로 감지되면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 구성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지 않는다.
구현예4
이 구현예4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 즉 tdd-UL-DL-ConfigurationCommon 및/또는 tdd-UL-DL-ConfigurationDedicated를 구성하고, 이 서빙 셀UE는 dynamic SFI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되, 여기서,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dynamic SFI가 지시하는 UL symbol에 구성되고,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은 dynamic SFI가 지시하는 UL symbol 및/또는 flexible symbol에 스케줄링되며, 구성된 또는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의 시작 심볼 이전에는 dynamic SFI가 지시하는 flexible symbol(기존의 규정에 따르면, dynamic SFI가 지시하는 flexible symbol에서, 만약 UE에 DCI가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수신 또는 업링크 전송이 존재하지 않으면 UE는 발송하지도 않고 수신하지도 않음)이다. UE가 구성된 또는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기 전에 유휴 채널 평가(CCA)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UE는 상응한 신호(dynamic SFI가 지시하는 flexible symbol에서라도)를 수신하여 현재 채널의 사용 여부를 판정해야 한다.
구현예5
이 구현예5에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FBE를 사용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하여, 어느 시각에, COT 지시 정보, 초기 신호 및 프리앰블 신호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및 구성된 또는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며, 모두 FFP의 시작 위치에 구성되거나 스케줄링되므로 양자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는 중첩된다. UE가 동일한 시간에 다운링크 수신 또는 업링크 발송만 진행할 수 있고 동시에 진행될 수 없으므로 UE의 행동을 정의해야 한다. 이때 먼저 업링크 전송, 즉 UE가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고 다운링크 COT 지시 정보 및/또는 초기 신호의 수신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업링크 전송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UE 업링크 전송 시간 지연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개시에 따른 업링크 전송 방법을 설명하였는데 아래에는 실시예 및 도면과 결부하여 본 개시에 따른 업링크 전송 방법과 대응되는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조 모식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단말기(70)는,
상기 단말기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고,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인 결정 모듈(71);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전송 모듈(7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은, 제1 단말기 행동과 제2 단말기 행동에서의 임의의 하나 일 수 있고;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은,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 즉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취소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은,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 즉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취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할 때,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의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할 때,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감지 주기는 SFI 감지 주기이고; 상기 제1 정보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반정적 슬롯 포맷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심볼에 구성되는 것;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는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이 존재하지 않은 것에서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시킬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SFI 감지 주기 내에서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한다.
선택적으로, FBE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고정 프레임 주기(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또는,
상기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은 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모듈(72)은,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과 구성된 다운링크 수신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데 더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7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더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도 1에 도시된 업링크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단말기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로서, 단말기(800)는, 무선 주파수 유닛(801), 네트워크 모듈(802), 오디오 출력 유닛(803), 입력 유닛(804), 센서(805), 디스플레이 유닛(806), 사용자 입력 유닛(807), 인터페이스 유닛(808), 메모리(809), 프로세서(810) 및 전원(811)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8에 도시된 단말기의 구조가 단말기에 어떠한 한정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기는 도면에 도시된 부품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팜톱 컴퓨터, 차량용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810)는, 단말기(800)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고;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이며;
무선 주파수 유닛(801)은,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800)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80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발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810)에 의해 처리되고; 그 밖에,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발송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8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외에, 무선 주파수 유닛(80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네트워크 모듈(8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803)은 무선 주파수 유닛(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8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8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803)은 단말기(8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면,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803)은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8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유닛(804)은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8041) 및 마이크로폰(8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유닛(8041)은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8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유닛(8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809)(또는 기타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801) 또는 네트워크 모듈(802)을 통해 발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8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8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기(800)에는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8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여기서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단말기(800)가 귀 가까이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8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각 방향(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자세 인식(예를 들면 세로와 가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및 두드리기) 등에 사용될 수 있고; 센서(8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8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806)은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8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807)은 터치 패널(8071) 및 기타 입력 기기(8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 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8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80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며,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8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8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이 외에, 터치 패널(8071)은 저항형, 용량형,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8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유닛(807)은 또한 기타 입력 기기(8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8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 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터치 패널(8071)은 디스플레이 패널(8061) 위에 커버되어 터치 패널(8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810)에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8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80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비록 도 8에서 터치 패널(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단말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8071)과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통합시켜 단말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인터페이스 유닛(808)은 외부 장치와 단말기(8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808)은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를 들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을 단말기(800) 내부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자에 전송하는데 사용하거나 단말기(8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8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8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 메모리(8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소자,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단말기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이용하여 전체 단말기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8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수행하며 메모리(8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기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8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프로세서(8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통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8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단말기(800)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811)(예를 들면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전원(8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8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 밖에, 단말기(800)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는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도 1에 도시된 업링크 전송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별도로 한정되지 않는 한, "??을(를)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적 부분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한 대의 단말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과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닌 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 하에 본 개시의 취지 및 청구범위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형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8)

  1. 단말기에 응용되는 업링크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고,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인 단계;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은, 제1 단말기 행동과 제2 단말기 행동에서의 임의의 하나이고;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은,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취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은,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할 때,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할 때,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주기는 슬롯 포맷 인디케이터(SFI) 감지 주기이고;
    상기 제1 정보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발송한 SF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반정적 슬롯 포맷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심볼에 구성되는 것;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는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이 존재하지 않은 것에서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시킬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SFI 감지 주기 내에서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 기반 기기(FBE)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고정 프레임 주기(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또는,
    상기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은 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과 구성된 다운링크 수신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방법.
  9. 상기 단말기의 구성 정보, 수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 및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서의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감지한 정보이고,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은 구성된 업링크 전송과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에서의 적어도 하나인 결정 모듈;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은, 제1 단말기 행동과 제2 단말기 행동에서의 임의의 하나이고;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은,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취소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은, 상기 단말기가 감지 주기 내에 제1 정보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할 때,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결정할 때,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1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 행동 패턴을 상기 제2 단말기 행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주기는 슬롯 포맷 인디케이터(SFI) 감지 주기이고;
    상기 제1 정보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발송한 SF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반정적 슬롯 포맷으로 구성된 플렉서블 심볼에 구성되는 것;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이 위치하는 서빙 셀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는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는 반정적 슬롯 포맷 구성이 존재하지 않은 것에서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시킬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SFI 감지 주기 내에서 PDCCH를 통해 발송한 SFI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 기반 기기(FBE)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감지 주기 내의 제1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은,
    상기 구성된 업링크 전송은 고정 프레임 주기(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것;
    또는,
    상기 동적으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은 FFP 시작 위치로부터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업링크 전송과 구성된 다운링크 수신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데 더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메모리,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운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업링크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업링크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13415A 2019-09-25 2020-09-25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 KR20220068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914009.6 2019-09-25
CN201910914009.6A CN112566146B (zh) 2019-09-25 2019-09-25 一种上行传输方法及终端
PCT/CN2020/117711 WO2021057896A1 (zh) 2019-09-25 2020-09-25 上行传输方法及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247A true KR20220068247A (ko) 2022-05-25

Family

ID=7502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415A KR20220068247A (ko) 2019-09-25 2020-09-25 업링크 전송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17708A1 (ko)
EP (1) EP4037227A4 (ko)
JP (1) JP7293505B2 (ko)
KR (1) KR20220068247A (ko)
CN (1) CN112566146B (ko)
BR (1) BR112022005587A2 (ko)
WO (1) WO2021057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9547B2 (en) * 2020-02-14 2023-05-23 Samsung Electronic Co., Ltd Existence of periodic/semi-static signals and channels outside of channel occupancy time (COT)
US11825468B2 (en) * 2020-04-03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restrictions for canceled or conflicting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4049B (zh) * 2016-11-08 2020-03-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波形获取、反馈方法、终端及基站
CN110582952B (zh) * 2017-03-24 2021-12-31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控制信道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8231621A1 (en) * 2017-06-14 2018-12-20 Idac Holdings, Inc. Group-comm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9026216A1 (ja) * 2017-08-02 2019-02-0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9699084B (zh) * 2017-10-20 2021-1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授权频段下的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09698738B (zh) * 2017-10-24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09803409B (zh) * 2017-11-17 2023-05-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pdcch的检测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66202A (zh) * 2018-02-13 2019-08-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处理rrc配置的半静态ul传输的方法及装置和用户终端
JP7085868B2 (ja) * 2018-03-15 2022-06-1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986622B2 (en) * 2018-05-10 2021-04-20 Apple Inc. User equipment (UE) down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state selection
US20190261454A1 (en) * 2018-05-11 2019-08-22 Intel Corporation Handling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figured channels and signals with conflict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5587A2 (pt) 2022-06-21
CN112566146B (zh) 2022-04-12
JP2022549676A (ja) 2022-11-28
JP7293505B2 (ja) 2023-06-19
EP4037227A4 (en) 2023-03-08
US20220217708A1 (en) 2022-07-07
EP4037227A1 (en) 2022-08-03
WO2021057896A1 (zh) 2021-04-01
CN112566146A (zh)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5959B2 (ja) チャネルモニタリング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EP4017116A1 (en) Relay reselec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EP3735040B1 (en) Interference processing method, user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11936474B2 (en) Transmission antenna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19141058A1 (zh) 侦听指示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0933763B (zh) 一种传输方法及相关设备
WO2020192547A1 (zh) 信息传输、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7289981B2 (ja) スケジューリング要求送信方法、スケジューリング要求受信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2022501908A (ja) 免許不要帯域の送信時間の指示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端末
US11564143B2 (en) Method for cell management,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WO2020156428A1 (zh) 信息发送方法、信息检测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20220217708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WO2021018130A1 (zh) 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7335422B2 (ja) ビーム障害の発生に対する処理方法及び端末
WO2021068876A1 (zh) 信息传输、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7278397B2 (ja) 伝送リソース指示方法、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
CN111132316B (zh) 一种资源分配方法、终端设备及网络侧设备
CN111615204A (zh) 一种随机接入消息的处理方法和终端
US20220272666A1 (en)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WO2021197191A1 (zh) 冲突资源确定方法和终端
JP7430729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端末
CN111835484B (zh) Cot的指示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543215A (zh) 一种冲突资源判断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2584479B (zh) 功率余量报告处理方法、终端及网络设备
RU277761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 устрой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