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766A -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766A
KR20220067766A KR1020200154366A KR20200154366A KR20220067766A KR 20220067766 A KR20220067766 A KR 20220067766A KR 1020200154366 A KR1020200154366 A KR 1020200154366A KR 20200154366 A KR20200154366 A KR 20200154366A KR 20220067766 A KR20220067766 A KR 2022006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azimuth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766A/ko
Publication of KR2022006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2Input other than that of destination using image analysis, e.g. detection of road signs, lanes, buildings, real preceding vehicle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00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with correlation of navigation data from several sources, e.g. map or contour 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01C21/1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 G01C21/165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with passive imaging devices, e.g.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comprising intertial navigation means, e.g. azimut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직접 판단하거나,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수신하여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AZIMUTH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된 상황에서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검출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차량마다 내비게이션을 보유하고 있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간 등을 안내하고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은 2D 전자지도뿐만 아니라 3D 전자지도를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편리한 주행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이 주행하고 상황에서는 차량의 방위각(또는 주행 방향, 헤딩 방향)을 판단하여 경로 안내가 가능하지만, 만약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된 상태에서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는 차량의 방위각(또는 주행 방향, 헤딩 방향)을 판단하지 못하였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현재 차량의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안내해야 하지만, 정차나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모르기 때문에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이 해당 경로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차(또는 주차)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가령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이 해당 경로로 곧바로 진입할 수 없는 반대 방향으로 정차(또는 주차)되어 있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곧바로 해당 경로에 진입하지 못하고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주행하다가 경로가 재설정된 이후에 비로소 재설정된 해당 경로로 진입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부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가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반영한 정확한 경로를 설정하게 하는 장치와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2675호(2017.06.26. 등록,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된 상황에서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검출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될 경우에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 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가 주차되거나 정차되어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는,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직접 판단하거나,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수신하여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나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차원 또는 3차원 전자 지도, 및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한 관심지역 정보(POI)나 도로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나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처리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상기 간판에 기재된 문자, 기호, 및 마크를 인식하며, 상기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나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 및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방이나 후방 영상에서 인식한 간판 정보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한 후,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를 반영하여 차량의 방위각을 판단하거나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나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은,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되면 제어부가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전방 영상이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게 하고, 상기 서버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수신하여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처리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상기 간판에 기재된 문자, 기호, 및 마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인식한 간판 정보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검출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만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한 영상을 분석한 정보와 상기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 및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직접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만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하여, 차량에 장착된 방위각 검출 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처리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상기 간판에 기재된 문자, 기호, 및 마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인식한 간판 정보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검출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된 상황에서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검출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될 경우에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 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가 주차되거나 정차되어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서버가 차량의 방위각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서버가 제어부에서 차량의 방위각을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제어부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는, 영상 촬영부(110), 위치 검출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및 맵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촬영부(110)는 차량의 적어도 전방이나 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촬영부(110)는 차량의 블랙박스에 구현되거나 내비게이션 장치에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차량(예 : 룸미러, 사이드미러, 트렁크 등)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검출부(120)는 지피에스(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검출부(120)는 차량의 블랙박스에 구현되거나 내비게이션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위치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직접 판단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위치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지정된 서버(미도시)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미도시)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서버(미도시), 블랙박스(미도시), 및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위치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지정된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서버(미도시)에서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미도시)로부터 상기 제어부(130)가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정보(예 : POI 정보, 도로 패턴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30)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 또는 상기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맵 저장부(150)는 2차원(2D) 또는 3차원(3D) 전자 지도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맵 저장부(150)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지도 정보(예 : POI 정보, 도로 패턴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나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영상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상기 간판에 기재된 문자, 기호, 마크 등을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나 상기 서버(미도시)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하여 상기 간판에 기재된 간판 정보(예 : 문자, 기호, 마크)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나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위치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 : Point of Interest, 차량 운전자가 쉽게 목표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도로 주변 건물의 위치 정보)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나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관심지점 정보(POI) 및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인식한 간판 정보(예 : 문자, 기호, 마크)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를 판단한다. 즉,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나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한다.
예컨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이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이다.
참고로 상기 영상의 중심에 가까운 건물의 간판부터 중심에서 먼 건물의 간판 순으로 분석함으로써 더 빠르게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판단이 가능하며, 정확한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판단을 위하여 지정된 복수의 간판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이 시동 오프(OFF)되거나, 차량 시동이 오프된 후 다시 차량 시동이 온(ON)된 경우(S101의 예), 즉, 차량이 주차(또는 정차)되어 시동이 오프(OFF)되거나, 주차(또는 정차)되어 있던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경우, 제어부(130)는 위치 검출부(12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S102).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의 전방(또는 후방) 영상을 촬영한다(S103).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예 : 전방 영상, 후방 영상)를 서버(미도시)에 전송한다(S104).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예 : 전방 영상, 후방 영상)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판단(또는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서버(미도시)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서버(미도시)로부터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수신하면(S105),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한다(S106).
이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부터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량이 주차(또는 정차)되어 시동이 오프(OFF)되거나, 주차(또는 정차)되어 있던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경우,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위치 검출부(120)에서 GPS 신호를 감지한 순간(예 : 지하 주차장의 출구로 진출하는 순간, 터널에서 진출하는 순간)에도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에서 주행 중 일시 정차(예 : 신호등 앞 일시 정차, 횡단보도 앞 일시 정차)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서버가 차량의 방위각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미도시)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면(S201의 예), 상기 서버(미도시)는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 : Point of Interest, 차량 운전자가 쉽게 목표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도로 주변 건물의 위치 정보)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한다(S202).
또한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영상 정보가 차량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 판단한다(S203). 예컨대 상기 영상 정보는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예 : 파일 이름으로 표시하거나, 필드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차량 전방(또는 후방) 영상을 분석하여 이 영상에 포함된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를 인식하고(S204), 상기 관심지점 정보(POI) 및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인식한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한다(S205).
또한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가 일치하는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를 판단한다(S206). 즉, 상기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가 일치하는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또는 검출)한다(S207).
예컨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이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이다.
또한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판단(또는 검출)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차량(즉, 차량에 장착된 방위각 검출 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한다(S208).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서버(미도시)로부터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가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부터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서버가 제어부에서 차량의 방위각을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미도시)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S301의 예), 상기 서버(미도시)는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 : Point of Interest, 차량 운전자가 쉽게 목표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도로 주변 건물의 위치 정보)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한다(S302).
또한 상기 서버(미도시)는 상기 검출한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차량(즉, 차량에 장착된 방위각 검출 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한다(S303).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직접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검출)한다.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제어부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가 서버(미도시)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수신하면(S401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차량 전방(또는 후방) 영상을 분석하여 이 영상에 포함된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를 인식한다(S402).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관심지점 정보(POI) 및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인식한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한다(S403).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가 일치하는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를 판단한다(S404). 즉, 상기 간판 정보(예 : 간판 명칭이나 전화번호 등의 문자, 기호, 마크)가 일치하는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판단(또는 검출)한다(S405).
예컨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이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판단(또는 검출)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에 적용한다(S406).
이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는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부터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보를 보인 예시도로서, (a)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보인 예시도이며 간판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b)는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c)는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도로 패턴 정보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될 경우에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 후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을 검출하고, 정차되거나 주차된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가 주차되거나 정차되어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또는 헤딩 방향) 정보를 반영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영상 촬영부
120 : 위치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맵 저장부

Claims (13)

  1.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직접 판단하거나,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수신하여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나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에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2차원 또는 3차원 전자 지도, 및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한 관심지역 정보(POI)나 도로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나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처리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상기 간판에 기재된 문자, 기호, 및 마크를 인식하며,
    상기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나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 및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방이나 후방 영상에서 인식한 간판 정보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한 후,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를 반영하여 차량의 방위각을 판단하거나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나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7. 차량이 정차되거나 주차되면 제어부가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전방 영상이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한 영상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게 하고, 상기 서버가 판단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수신하여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처리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상기 간판에 기재된 문자, 기호, 및 마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인식한 간판 정보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검출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만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한 영상을 분석한 정보와 상기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 및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직접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만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검출하여, 차량에 장착된 방위각 검출 장치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전방이나 후방 영상을 처리하여 간판을 추출하고, 상기 간판에 기재된 문자, 기호, 및 마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차량 주변의 관심지점 정보(POI)와 도로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인식한 간판 정보와 일치하는 건물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검출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지 후방 영상인지에 따라 차량의 현재 방위각을 검출하거나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이 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바라보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후방 영상인 경우에 상기 검출된 건물의 맞은편 위치에 있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방위각은 상기 검출된 건물을 등지고 있는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위각 검출 방법.
KR1020200154366A 2020-11-18 2020-11-18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220067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66A KR20220067766A (ko) 2020-11-18 2020-11-18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66A KR20220067766A (ko) 2020-11-18 2020-11-18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766A true KR20220067766A (ko) 2022-05-25

Family

ID=8180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366A KR20220067766A (ko) 2020-11-18 2020-11-18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7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8842B1 (en) Guidance device, guidance method, and guidance program
JP6241422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録媒体
JP4935145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3496069A1 (en) Travel assistanc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579527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自律航法支援方法および自律航法支援プログラム
JP4994028B2 (ja) ガソリン価格情報収集システム、ガソリン価格情報収集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0998684B (zh) 图像收集系统、图像收集方法、图像收集装置、记录介质
KR20130089068A (ko)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위치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2541069B1 (ko) 목적지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20067766A (ko) 차량의 방위각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50058810A (ko) 전자지도를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08047449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 procédé d'affichage d'image, programme d'affichage d'im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JP2014145666A (ja) 走行案内システム、走行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73266B2 (ja) 車両用対象物画像認識装置、車両用対象物画像認識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139157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220354B2 (ja) 他車位置表示装置及び他車情報提示方法
JP7215184B2 (ja) 経路案内制御装置、経路案内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09280A (ko) 3d 맵 데이터를 이용한 차선 위치확인 및 경로 안내 시스템
JP2005339176A (ja) 車両認識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車両認識方法
JP6618603B2 (ja) 撮影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829300B2 (ja) 撮影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70109130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주소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2183674A1 (zh) 导航提示方法和导航提示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KR20200064544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21310A (ko) 동행차량 위치 표시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