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594A -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 Google Patents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594A
KR20220067594A KR1020200152973A KR20200152973A KR20220067594A KR 20220067594 A KR20220067594 A KR 20220067594A KR 1020200152973 A KR1020200152973 A KR 1020200152973A KR 20200152973 A KR20200152973 A KR 20200152973A KR 20220067594 A KR20220067594 A KR 2022006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silicon
silicon
composite
carbon
carbo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804B1 (ko
Inventor
임종찬
이정현
전영민
임성우
박정규
이현석
임현희
남상진
이어랑
박시혜
Original Assignee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804B1/ko
Priority to CN202180090762.3A priority patent/CN116724414A/zh
Priority to US18/253,093 priority patent/US20230420651A1/en
Priority to PCT/KR2021/015550 priority patent/WO2022103038A1/ko
Priority to EP21892208.6A priority patent/EP4246622A1/en
Priority to JP2023528649A priority patent/JP2023549256A/ja
Priority to TW110142076A priority patent/TWI820513B/zh
Publication of KR2022006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02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08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1B33/1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fluorine, and other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22Magnesium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6/045Coating cavities or hollow spaces, e.g. interior of tubes; Infiltration of porous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6Deposition of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17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oating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8Halog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01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picted by a TEM-im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peak-intensities or a ratio thereof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7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unit-cell parameters, atom positions or structure diagr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IR- or Raman-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5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XPS, EDX or EDAX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현예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함으로써, 이차전지의 방전 용량은 물론, 초기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POROUS SILICON-CARBON COMPOSI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자 기기가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휴대화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킬 수 있는 전지로서, 이를 이용한 소형 전지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 대형의 전자기기 및 전력저장 시스템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서는, 탄소 재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전지의 용량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규소계 음극 활물질이 연구되고 있다. 규소의 이론 용량(4199 mAh/g)은 흑연의 이론 용량(372 mAh/g)보다 10배 이상 크기 때문에, 전지 용량의 대폭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규소에 리튬이 삽입될 경우의 반응식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22Li + 5Si = Li22Si5
상기 반응식에 따르는 규소계 음극 활물질의 경우, 규소 하나 당 리튬이 4.4 개까지 포함된 합금(alloy)을 형성하면서 고용량을 보여주지만, 대부분의 규소계 음극 활물질은 리튬의 삽입에 의해 최대 300 %까지 부피 팽창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음극이 파괴되어 높은 사이클 특성을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부피 변화는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고, 음극 활물질의 내부에 이온성 물질이 생성되어 음극 활물질이 집전체에서 전기적 탈리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적 탈리 현상은 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393610호는 규소를 탄소와 기계적인 가공 공정에서 복합화하고, 규소 입자의 표면을 화학 증착(CVD)법을 이용하여 탄소층으로 피복한 음극 활물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16-502253호에는 다공성 규소계 입자 및 탄소 입자를 포함하고 탄소 입자의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미립 탄소 입자 및 조립 탄소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들은 규소와 탄소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충방전 시에 부피 팽창과 수축을 억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39361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50225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0648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함으로써, 음극 활물질에 적용시 충방전 용량 및 초기 충방전 효율은 물론, 용량 유지율이 개선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규소계 원료 및 마그네슘계 원료를 이용하여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얻는 제 1 단계;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에칭하는 제 2 단계; 상기 에칭에 의해 얻어진 복합체를 여과 및 건조하여 다공성 규소 복합체를 얻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화학적 열분해 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음극 활물질에 적용시 방전 용량은 물론, 초기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최소화 된 단계로 연속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1의 (b)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의 이온빔 주사전자현미경(FIB-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표면의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배율에 따라 각각 (a) 내지 (d)에 도시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이온빔 주사전자현미경(FIB-SEM)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FIB-SEM EDAX) 사진 및 복합체 내의 성분분석 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투과형 전자현미경(TEM/EDS)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규소복합산화물(복합체 A1)(a),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b) 및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c)의 X선 회절 분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2)의 X선 회절 분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5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5)의 X선 회절 분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라만 분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 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음극 활물질에 적용시 방전 용량은 물론, 초기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상기 규소 입자에서 리튬 이온이 충전 및 방출될 때,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에서는 충전시 리튬이 반응하지 않고 리튬 이온이 급속하게 충전되지 않으므로, 이차전지 충전 시 규소 입자의 부피 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탄소를 포함함으로써 뛰어난 전기 전도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전해질의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규소 복합체 및 그의 표면에 탄소층을 포함하고, 상기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이 상기 규소 복합체에 존재하며, 상기 탄소가 상기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존재하여 탄소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다공성 구조의 내부에 쉽게 전해질이 침투되어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각 구성 성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규소 입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규소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규소 입자는 리튬을 충전하므로, 규소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차전지의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규소 입자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amorphous)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정질 또는 이와 유사한 상일 수 있다. 상기 규소 입자가 결정질일 경우, 결정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치밀한 복합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매트릭스의 강도가 강화되어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의 초기 효율이나 사이클 수명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규소 입자가 비정질 또는 이와 유사한 상인 경우,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의 팽창 또는 수축이 작고, 용량 특성 등의 전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규소 입자는 높은 초기 효율과 전지용량을 겸비하지만, 리튬 원자를 전기화학적으로 흡수 및 저장해 방출하는 반응으로 매우 복잡한 결정변화를 수반한다. 상기 규소 입자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된 구조를 가진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은 상기 규소 입자 중에 분산하여 이를 둘러쌈으로써, 규소의 팽창 및 수축을 억제하여 높은 이차전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에 포함되는 상기 규소 입자는 무정형, 2 nm 내지 20 nm의 결정자 크기를 갖는 결정형,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에 있어서, 구리를 음극 타겟으로 한 X선 회절(Cu-Kα) 분석시, 2θ=47.5°부근을 중심으로 한 Si(220)의 회절 피크의 반가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초로 시라법(sherrer equation)에 의해 구한 상기 규소 입자의 결정자 크기는 2 nm 내지 20 nm, 2 nm 내지 15 nm. 또는 2 nm 내지 10 nm일 수 있다.
상기 규소 입자가 결정형을 포함하고, 상기 규소 입자의 결정자 크기가 2 nm 미만인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에칭 후에 수득율이 낮을 수 있다. 또한, 결정자 크기가 20 nm를 초과하는 경우, 미세 기공이 충방전 시 발생하는 규소 입자의 부피 팽창을 적절히 억제할 없으며, 방전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고, 충전 용량과 방전 용량 비율을 나타내는 쿨롱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없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에 있어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규소(Si) 함량은 8 중량% 내지 95 중량%, 20 중량% 내지 8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규소(Si) 함량이 8 중량% 미만인 경우, 리튬 흡장·방출의 활물질량이 적기 때문에,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9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은 증가할 수 있지만, 충방전 시의 전극의 팽창·수축이 지나치게 커지며, 음극 활물질 분말이 더욱 미분화될 수 있어, 사이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마그네슘 불화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할 경우의 좋은 특징을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규소 입자는 이차전지 충전시 리튬 이온을 흡장하여 합금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격자 상수가 증대하게 되어 부피가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의 방전 시, 리튬 이온을 방출하여 본래 금속 나노 입자로 되돌리면서, 격자 상수가 저감된다.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은 리튬 이온이 흡장 및 방출되는 동안 결정 격자 상수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제로-스트레인 재료(zero-strain material)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규소 입자는 마그네슘 불화물 입자 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마그네슘 불화물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은 리튬 이차전지 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을 방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튬 이차전지의 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을 흡장이나 방출하지 않는 비활성 물질(inactive material)이기도 하다.
즉,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규소 입자에서는 리튬 이온이 방출되는 반면 마그네슘 불화물에서는 충전 시 급증한 리튬 이온이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한 다공성 매트릭스는 전지의 화학반응에는 참여하지 않지만 이차전지 충전 시 규소 입자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구조체(body)로 기능할 것으로 보인다.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의 함량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4 내지 56.3 중량%, 0.5 내지 25 중량%, 또는 1 내지 19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이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 및 용량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은 불화 마그네슘(MgF2), 마그네슘 불화 실리케이트(MgSiF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를 음극 타겟으로 한 X선 회절(Cu-Kα) 분석시, 2θ=40°부근을 중심으로 한 불화 마그네슘의 MgF2(111)의 X선 회절 피크의 반가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초로 시라법(sherrer equation)에 의해 산출된 MgF2의 결정자 크기는 2 nm 내지 35 nm, 5 nm 내지 25 nm, 또는 5 nm 내지 15 nm일 수 있다. 상기 MgF2의 결정자 크기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규소 입자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구조체(body)로서 기능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규소 입자의 Si(220) 결정면에 해당하는 구리를 음극 타겟으로 한 X선 회절(Cu-Kα) 분석시, 2θ=47.3°부근을 중심으로 한 Si(220)회절 피크의 강도(IA)와 MgF2(111) 결정면에 해당하는 2θ= 40.4°부근을 중심으로 한 회절 피크 강도(IB)의 비율인 IB/IA가 0 초과 내지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IB/IA가 1을 초과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내의 마그네슘(Mg)의 함량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 0.5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내에서 마그네슘(Mg)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내에 상기 마그네슘 외에 다른 금속을 함유하는 불화물 및/또는 규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금속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내지 16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들의 구체예로는, Li, Ca, Sr, Ba, Y, Ti, Zr, Hf, V, Nb, Cr, Mo, W, Fe, Pb, Ru, Ir, Pd, Pt, Cu, Ag, Au, Zn, Cd, B, Al, Ga, Sn, In, Ti, Ge, P, As, Sb, Bi, S, 및 Se를 들 수 있다.
규산 마그네슘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규산 마그네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산 마그네슘은 MgSiO3 결정, Mg2SiO4 결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MgSiO3 결정을 포함함으로써 쿨롱 효율이나 용량 유지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규산 마그네슘의 함량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30 중량%, 0.5 내지 25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현예에 따라,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경우, 에칭에 의해 규산 마그네슘이 마그네슘 불화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칭 방법 또는 에칭 정도에 따라 상기 규산 마그네슘의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가 마그네슘 불화물로 변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규산 마그네슘의 대부분이 마그네슘 불화물로 변할 수 있다.
산화 규소 화합물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산화 규소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규소 화합물은 일반식 SiOx(0.5≤x≤2)로 표시되는 규소계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산화 규소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SiOx(0.8<x≤1.2), 더욱 구체적으로 SiOx(0.9<x≤1.1)일 수 있다. 상기 일반식 SiOx에서, 상기 x 값이 0.5 미만인 경우,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 팽창 수축이 커지고 수명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x가 1.5 초과인 경우, 불활성 산화물이 많아지면서 이차전지의 초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산화 규소 화합물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 규소 화합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이차전지의 부피가 팽창될 수 있고, 수명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산화 규소 화합물의 함량이 4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초기 비가역반응이 증가하여 초기 효율이 저하할 수 있다.
기공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내부의 기공 형성에 의해 충방전 시 발생하는 부피 팽창을 음극 활물질의 외부보다 기공에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부피 팽창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리튬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구조의 내부에 전해질이 쉽게 침투되어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공은 공극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공은 열린 기공(open pore), 닫힌 기공(closed pore)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닫힌 기공은 기공의 벽면이 모두 닫힌 구조(폐쇄된 구조)로 형성되어 다른 기공과 연결되지 않은 기공으로서 독립된 기공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열린 기공은 기공의 벽면 중 적어도 일부가 열린 구조(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다른 기공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이 안될 수도 있다. 또한, 탄소 코팅 전(탄소층 형성 전)의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기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기공의 기공률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0.1 부피% 내지 40 부피%, 10 부피% 내지 35 부피%, 또는 15 부피% 내지 30 부피%일 수 있다. 상기 기공률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닫힌 기공의 기공률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상기 기공률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에 적용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부피 팽창의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규소 입자의 사용으로 인한 부피 팽창 문제를 최소화하고, 고용량 구현 및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상기 기공률이 0.1 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충방전 시 음극 활물질의 부피 팽창을 제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40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음극 활물질 내에 존재하는 다량의 기공에 의해서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고 이차전지 제조 공정, 예를 들어 음극 활물질 슬러리의 혼합, 코팅 후의 압연 공정 시, 음극 활물질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복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들의 직경은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탄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탄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탄소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에 적절한 전기 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고, 비표면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사용할 시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 및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극 활물질의 전기 전도도는 전기화학반응시 전자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만일, 음극 활물질로서 상기 복합체가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을 사용해 고용량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경우 전기 전도도가 적정 수치에 못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로 이루어진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탄소층을 형성함으로써 충방전 용량, 초기 충전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을 개선하고, 기계적 물성의 강화는 물론 충방전이 진행되고 전극이 팽창된 뒤에도 뛰어난 전기 전도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전해질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탄소층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가 상기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존재하여 탄소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상기 탄소층을 포함함으로써, 기공의 존재에 의한 입자와 입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충방전 시 전극이 팽창된 후에도 뛰어난 전기 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층의 두께 또는 탄소량을 제어하여, 적절한 전기 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수명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고용량의 음극 활물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을 형성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D50)은 1 ㎛ 내지 2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 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에 있어서의 부피 평균 D50(즉, 누적 부피가 50 %가 될 때의 입자 지름 또는 메디안 직경)으로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D50)은 1 ㎛ 내지 20 ㎛, 3 ㎛ 내지 10 ㎛, 또는 3 ㎛ 내지 8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이 1 ㎛ 미만이면, 상기 복합체의 입자들끼리의 응집에 의해 이를 이용한 음극 슬러리(음극 활물질 조성물)의 제조시 분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이 20 ㎛를 초과하는 경우, 리튬 이온 충전에 의한 복합체 입자의 팽창이 심해지게 되고,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복합체의 입자 간의 결착성 및 입자와 집전체와의 결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수명 특성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비표면적의 감소에 의한 활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C)의 함량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에 대해 3 중량% 내지 80 중량%, 3 중량% 내지 5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3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탄소(C)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도전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수명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방전 용량이 감소하고 벌크 밀도가 작아져, 단위 부피 당의 충방전 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의 평균 두께는 1 nm 내지 300 nm, 3 nm 내지 150 nm, 더욱 구체적으로 5 nm 내지 100 nm일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의 두께가 1 nm 이상인 경우 도전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300 nm 이하이면, 이차전지의 용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면, 이하의 순서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우선,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에 의해 임의의 배율로 음극 활물질을 관찰한다. 상기 배율은 예를 들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임의의 15 점에 있어서, 탄소층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 경우, 가능한 한 특정의 장소에 집중하지 않고, 넓게 랜덤으로 측정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15 점의 탄소층의 두께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상기 탄소층은, 그래핀, 환원된 산화 그래핀, 탄소나노 튜브 및 탄소 나노 섬유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층은 흑연(그라파이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를 탄소원의 가스나 증기와 함께 고온에서 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공은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 내부 또는 둘 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은 상기 규소 복합체의 가장 바깥쪽인, 최외각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규소 복합체의 내부는 상기 최외각 부분 외, 즉 상기 최외각 부분 안쪽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그 구조가 하나의 덩어리의 형태, 예를 들면 다면체, 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된 복합체 내에 여러 개의 규소 입자가 고르게 분포된 복합체로서, 탄소,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를 포함하는 탄소층이 하나 이상의 규소 입자(규소 1차 입자)의 표면 또는 둘 이상의 규소 입자가 응집되면서 형성된 규소 2차 입자(덩어리)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비표면적(Brunauer-Emmett-Teller Method; BET)은 2 m2/g 내지 60 m2/g, 3 m2/g 내지 50 m2/g, 또는 3 m2/g 내지 40 m2/g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이 2 m2/g 미만인 경우 이차전지의 레이트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60 m2/g을 초과하면, 이차 전지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기에 적절한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기 어렵고, 전해질과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전해질의 분해 반응이 촉진 또는 이차전지의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비중은 1.8 g/㎤ 내지 2.6 g/㎤, 구체적으로 1.8 g/㎤ 내지 2.5 g/㎤, 더욱 구체적으로 2.0 g/㎤ 내지 2.5 g/㎤일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의 피복량에 따라 비중은 다를 수 있으며, 탄소량을 고정했을 때에, 상기 범위 내에서 비중이 커질수록 복합체 내부에 있는 기공이 적어지므로, 음극 활물질로 사용할 경우 도전율의 향상에 가세해 매트릭스의 강도가 강화되어 초기 효율이나 사이클 수명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중은 진비중이나 밀도, 진밀도와 같은 의미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건식 밀도계에 의한 비중의 측정 조건은, 예를 들면, 건식 밀도계로서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의 가 큐 피크 II1340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퍼지 가스는 헬륨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23℃의 온도에서 설정한 샘플 홀더 내에서 200번의 퍼지를 반복한 후, 측정하였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비중이 1.8 g/㎤ 이상인 경우 충전시 음극 활물질 분말의 부피 팽창에 의한 음극 활물질 분말끼리의 괴리가 막히고 사이클 열화가 억제될 수 있으며, 상기 비중이 2.6 g/㎤ 이하로 함으로써 전해액의 함침성이 향상되어 음극 활물질의 이용률이 높아 초기 충방전 용량이 향상될 수 있다.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규소계 원료 및 마그네슘계 원료를 이용하여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얻는 제 1 단계;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에칭하는 제 2 단계; 상기 에칭에 의해 얻어진 복합체를 여과 및 건조하여 다공성 규소 복합체를 얻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화학적 열분해 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최소화 된 단계로 연속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단계는 규소계 원료 및 마그네슘계 원료를 이용하여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소계 원료는 규소 분말, 산화규소 분말 및 이산화규소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계 원료는 금속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는,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06485호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은 마그네슘(Mg)의 함량이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 0.5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내에서 마그네슘(Mg)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규소복합산화물의 비표면적(Brunauer-Emmett-Teller Method; BET)은 2 m2/g 내지 100 m2/g, 3 m2/g 내지 80 m2/g, 또는 3 m2/g 내지 50 m2/g일 수 있다. 상기 규소복합산화물의 비표면적이 2 m2/g 미만인 경우 입자의 평균 입경이 너무 커서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집전체에 도포할 때 불균일한 전극이 형성되어 이차전지의 수명이 나빠질 수 있고, 100 m2/g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단계의 에칭 공정에서 에칭반응의 발열을 제어하기 어렵고 에칭 후 복합체의 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의 표면에 화학적 열분해 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하는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의 표면에 탄소층을 형성한 후 제 2 단계의 에칭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균일한 에칭이 가능하고,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후술하는 제 4 단계의 탄소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유사 또는 동일한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2 단계는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칭 공정은 건식 에칭 및 습식 에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식 에칭을 사용하는 경우 선택적 에칭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의 이산화 규소를 용해 및 용출시켜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칭 단계에 의해서 상기 규산 마그네슘을 마그네슘 불화물로 변환시킴으로써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 복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에칭 처리하는 공정을 통해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에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예를 들어, HF)을 이용해서 에칭하여 규산 마그네슘을 마그네슘 불화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이산화 규소가 용출 제거된 부분에 기공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규소 입자와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 복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에칭 공정에 있어서의 HF를 사용하여, 건식 에칭을 하는 경우 하기 반응식 G1 및 G2로 나타낼 수 있으며, 습식 에칭을 하는 경우 하기 반응식 L1a 내지 L2로 나타낼 수 있다:
MgSiO + 6HF(가스)→SiF4(g) + MgF + 3HO (G1)
MgSiO4 + 8HF(가스)→SiF4(g) +2MgF + 4HO (G2)
MgSiO + 6HF(수용액) → MgSiF6 + 3HO (L1a)
MgSiF6 + 2HF (수용액) → MgF2 + H2SiF6 (L1b)
MgSiO +2HF → SiO + MgF +HO (L1c)
SiO+6HF(l) → HSiF +2HO (L1d)
MgSiO + 8HF(수용액)→ MgF+ H2SiF6 + 3HO (L1)
Mg2SiO4 + 8HF(수용액)→ MgSiF6 + MgF2 + 4HO (L2a)
MgSiF6 + 2HF (수용액) → MgF2 + H2SiF6 (L2b)
MgSiO4 + 4HF(수용액) → SiO +2MgF + 2HO L2c)
SiO+6HF(수용액) → HSiF +2HO (L2d)
MgSiO4 + 10 HF(수용액) → 2MgF2 + H2SiF6 +4HO (L2)
또한 기공의 형성은 아래의 반응식 (3)과 (4)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SiO2 + 4HF (가스) → SiF4 + 2H2O (3)
SiO2 + 6HF (수용액) → H2SiF6 + 2H2O (4)
상기 반응식과 같은 반응 메카니즘에 의해, SiF4와 H2SiF6의 형태로 이산화 규소가 용해 및 제거된 곳에 기공(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칭 정도에 따라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 중에 포함되는 이산화 규소가 제거될 수 있고, 그 자리에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칭 정도에 따라 기공의 형성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공이 거의 형성되지 않거나, 기공이 일부 형성, 구체적으로 기공이 외곽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칭 후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O/Si 비와 비표면적은 각각 크게 다를 수 있다. 또한 기공을 형성한 규소 복합체에서 탄소 코팅 전후의 비표면적과 비중이 크게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에칭 후에는 마그네슘 불화물과 규산 마그네슘 모두의 결정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칭 후의 복합체는, 다공성을 가진 규소 입자, 불화 마그네슘 및 규산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칭 후의 복합체는, X-선 회절 분석에서, 규산 마그네슘의 패턴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다공성을 가진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에칭에 의해 복합체 입자의 표면, 또는 표면 및 내부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규소 복합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규소 복합체 내부에 닫힌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에칭 후, 마그네슘 불화물과 규산 마그네슘 양쪽 모두의 결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에칭이란 산을 함유한 산성 수용액, 예를 들어 용액에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각액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식각액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기 규소복합산화물을 분산매에 분산시킨 후 식각액을 투입하여 에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산매는 물, 알코올계, 케톤계, 에테르계, 탄화수소계 화합물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온도(처리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각액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각액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각액은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HF, NH4F, NH4 및 HF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F) 원자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칭 공정을 보다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각액은 유기산, 황산, 염산, 인산, 질산 및 크롬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은 이산화 규소 이외에 산화 규소가 일부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에칭에 의해 이산화 규소나 산화 규소와 같은 규소산화물이 제거된 부분은 입자 내부에서 공극 또는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칭에 의해 규산 마그네슘의 대부분이 식각액의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 중의 불소(F)와 반응하여 마그네슘 불화물이 형성된다.
상기 에칭에 의해 얻어진 복합체는, 다공성이며,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칭에 의해서, 복합체 입자의 표면, 내부 또는 둘 다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칭에 의해 상기 복합체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의 수를 낮출 수 있다. 즉, 상기 에칭에 의해 상기 복합체 표면의 산소 분율을 크게 떨어뜨리고 표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복합체를 음극 활물질에 적용시 리튬 이차전지의 전기 화학적 특성, 특히 수명 특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 에칭에 의해 이산화 규소를 다량 제거함으로써 규소복합산화물은 산소(O)에 비해 규소(Si)를 매우 높은 분율로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성 복합체 내에 존재하는 규소(Si) 원자에 대한 산소(O) 원자의 몰비(O/Si)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첫회 충방전 효율의 향상과 함께 고용량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산화 규소가 제거된 위치에 기공이나 공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규소 복합체의 비표면적은 에칭전의 상기 규소복합산화물의 비표면적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규소 복합체 내에 존재하는 규소(Si) 원자에 대한 산소(O) 원자의 몰비(O/Si)가 0.01 내지 1, 0.03 내지 0.7, 또는 0.03 내지 0.6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리튬의 삽입 반응시에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차전지의 전기 화학적 특성, 특히 수명 특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에칭 후 얻어진 다공성 규소 복합체(탄소 코팅하기 전의 전구체)에 있어서, 규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규소(Si) 함량은 30 중량% 내지 99 중량%, 30 중량% 내지 8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규소(Si)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리튬 흡장·방출의 활물질량이 적기 때문에,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9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은 증가할 수 있지만, 충방전 시의 전극의 팽창·수축이 지나치게 커지며, 음극 활물질 분말이 더욱 미분화될 수 있어, 사이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규소 복합체 내의 마그네슘(Mg)의 함량은 상기 규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 0.5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6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규소 복합체 내에서 마그네슘(Mg)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충전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에칭 단계 전 후에 따라 원소 함량, 및 비표면적 등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에칭 공정 전의 규소복합산화물 및 에칭 후의 규소 복합체 내의 원소 함량, 및 비표면적 등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소 복합체는 규소복합산화물(MgxSiOy, 0<x≤0.2, 0.8<y<1.2)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하나의 덩어리의 형태, 예를 들면 다면체, 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된 복합체 내에 여러 개의 규소 입자가 고르게 분포된 복합체로서, 둘 이상의 규소 입자(규소 1차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규소 2차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은 규소 입자의 표면 또는 규소 입자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은 규소 입자의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 복합체는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 내부 또는 둘 다에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상기 에칭에 의해 얻어진 복합체를 여과 및 건조하여 다공성 규소 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및 건조 공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4 단계는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화학적 열분해 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층 형성 공정에 의해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입자와 입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방전이 흐를수록 전극이 팽창된 뒤에도 뛰어난 전기 전도도를 줄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층은 음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높여 전지의 출력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활물질의 부피 변화시에 응력 완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은 그래핀, 환원된 산화 그래핀, 탄소나노 튜브, 탄소 나노 섬유 및 흑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얻은 다공성 규소 복합체를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원 가스를 투입하여 400 ℃ 내지 1200 ℃에서 가스 상태로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1]
CNH(2N + 2-A)[OH]A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A는 0 또는 1이며,
[화학식 2]
CNH(2N-B)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B는 0 내지 2이고
[화학식 3]
CxHyOz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y는 O 내지 25의 정수이며,
z는 0 내지 5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x는 y와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y는 0 초과 내지 25 이하의 정수, 또는 1 내지 25의 정수이고, 상기 z는 0 초과 내지 5 이하의 정수, 또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프로판디올 및 부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부타디엔 및 사이클로펜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세틸렌, 벤젠, 톨루엔, 자이렌, 에틸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및 디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BH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소원 가스에 수소, 질소, 헬륨 및 아르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불활성 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400 ℃ 내지 1200 ℃, 구체적으로 500 ℃ 내지 1100 ℃, 더욱 구체적으로 600 ℃ 내지 1000 ℃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시간(열처리 시간)은 열처리 온도, 열처리 시의 압력, 가스 혼합물의 조성 및 원하는 탄소 코팅량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 시간은 10 분 내지 100 시간, 구체적으로 30 분 내지 90 시간, 더 구체적으로는 50 분 내지 40 시간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형성되는 탄소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그에 따라 복합체의 전기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탄소원 가스의 기상반응을 개입시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그래핀, 환원된 산화 그래핀, 탄소나노 튜브 및 탄소 나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한 얇고 균일한 탄소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성된 탄소층에서 탈리반응은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상반응을 통해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 전체에 걸쳐 탄소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높은 결정성을 가진 탄소피막(탄소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음극 활물질로서 사용할 경우, 구조 변화 없이 음극 활물질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상기 탄소원 가스, 를 포함하는 반응 가스를 공급하면, 규소 입자의 표면에, 그래핀, 환원된 산화 그래핀 및 산화 그래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그래핀 함유 물질, 탄소나노 튜브 또는 탄소 나노섬유가 성장하게 된다. 상기 반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그래핀 함유 물질이 서서히 분포하여 형성되어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탄소 코팅량에 따라 비표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 함유 물질의 구조는 막(layer) 또는 나노 시트(nanosheet) 타입이거나 또는 몇 개의 플레이크가 혼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규소 복합체의 표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그래핀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탄소층을 형성하는 경우, 규소 입자나 마그네슘 불화물 표면에 전도성이 향상되고 부피 팽창에 유연한 그래핀 함유 물질을 직접 성장시킴으로써 부피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층 코팅에 의해 규소가 전해질과 직접 만날 기회를 줄여 고체 전해질 계면(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층의 생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부피 기준 분포에서 복합체의 평균 입경(D50)이 1 ㎛ 내지 20 ㎛, 3 ㎛ 내지 10 ㎛, 또는 3 ㎛ 내지 8 ㎛일 수 있다. 상기 D50이 1 ㎛ 미만인 경우, 부피 밀도가 작기 단위 부피당 충방전 용량이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D50이 20 ㎛을 초과하는 경우 전극 막 제작이 어려워지면서 집전체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상기 평균 입경(D50)은 레이저광 회절법에 따르는 입도 분포 측정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치 D50, 즉 누적 부피가 50 %가 될 때의 입자경 또는 메디안 지름으로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해쇄 또는 분쇄, 및 분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급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입도 분포를 정돈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건식 분급, 습식 분급 또는 체로 분급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식 분급은 주로 기류를 이용해 분산, 분리, 포집(고체와 기체의 분리), 배출의 프로세스가 순서대로 혹은 동시에 행해져 입자 상호간의 간섭, 입자의 형상, 기류의 흐름의 혼란, 속도 분포, 정전기의 영향 등으로 분급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분급을 하기 전에 사전 처리(수분, 분산성, 습도 등의 조정)를 실시함으로써, 사용되는 기류의 수분이나 산소 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에 해쇄 또는 분쇄, 분급을 수행하여 소망하는 입도 분포로 얻을 수 있다. 상기 해쇄 또는 분쇄 후 분급기나 체로 조분측 및 과립측을 나누는 것이 유효하다.
상기 해쇄 또는 분쇄, 및 분급 처리에 의해, 평균 입경이 1 ㎛ 내지 20 ㎛, 3 ㎛ 내지 8 ㎛, 또는 3 ㎛ 내지 6 ㎛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 탄소-복합체의 분말은 Dmin가 0.3 ㎛ 이하이고, Dmax가 8 ㎛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인 경우, 복합체의 비표면적이 감소하고 초기 효율과 사이클 특성이 분급 전에 비해 약 10 % 내지 20 %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해쇄 또는 분쇄, 및 분급 후의 복합체의 분말은, 비정질 입계 및 결정 입계를 가지고 있어 비정질 입계 및 결정 입계의 응력 완화 효과에 의해 충방전 사이클로의 입자 붕괴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규소 입자를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이용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이 충방전에 의한 부피 팽창 변화의 응력에 견딜 수 있고, 고용량으로 긴 수명의 이차전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규소계 음극 표면에 생성하는 SEI 층에 존재하는 Li2O 등의 리튬함유 화합물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에칭 단계 전 후에 따라, 즉 에칭 전의 규소복합산화물 및 에칭 후의 규소 복합체 또는 규소-탄소 복합체 내의 원소 함량, 및 비표면적 등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내에 존재하는 규소(Si) 원자에 대한 산소(O) 원자의 몰비(O/Si)는 0.01 이상 내지 1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내에 존재하는 규소(Si) 원자에 대한 산소(O) 원자의 몰비(O/Si)는 0.02 내지 0.90, 또는 0.03 내지 0.6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산소 분율을 크게 낮출 수 있고 표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복합체를 음극 활물질에 적용 시, 리튬 이차전지의 전기 화학적 특성, 특히 초기 효율 특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산소(O) 함량은 상기 규소복합산화물의 산소(O) 함량에 비해 5 중량% 내지 95 중량% 더, 구체적으로 5 중량% 내지 75 중량% 더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최소화된 단계로 연속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음극에 이용한 이차전지는 용량은 물론, 용량 유지율 및 초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극 활물질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음극 활물질은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음극 재료, 구체적으로 흑연계 음극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및 상기 탄소계 음극 재료, 예를 들어 흑연계 음극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음극 활물질의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충전에 수반하는 팽창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계 음극 재료는, 예를 들면, 천연흑연, 인조흑연, 소프트카본, 하드카본, 메조카본, 탄소파이버, 탄소나노튜브, 열분해 탄소류, 코크스류, 유리장 탄소섬유, 유기 고분자 화합물 소성체 및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음극 재료의 함량은 음극 활물질 총 중량에 대해 30 중량%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30 중량% 내지 8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50 중량%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이차전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리튬염이 용해되어 있는 비수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은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이 음극합제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음극 집전체와 그 위에 담지된 음극합제층(음극 활물질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양극이 양극합제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양극 집전체와 그 위에 담지된 양극합제층(양극 활물질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극합제 및 상기 양극합제는 도전제 및 결착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를 구성하는 재료 및 상기 양극 집전체를 구성하는 재료로 해당 분야에서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음극 및 상기 양극에 첨가되는 결착제 및 도전제 등으로 해당 분야에서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이 집전체와 그 위에 담지된 활물질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음극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조성물을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비수 전해액을 포함하며, 상기 비수 전해액은 비수용매와 그 비수용매에 용해된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수용매로는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양자성 유기용매(aprotic organic solvent)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비양자성 유기용매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등의 환상 카보네이트, 푸라논(furanone) 등의 환상 카르본산에스테르,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등의 쇄상 카보네이트, 1,2-메톡시에탄, 1,2-에톡시에탄, 에톡시메톡시에탄 등의 쇄상 에테르, 및 테트라히드로프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프란 등의 환상 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비수계 이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구현예에 따른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이용한 음극 활물질 및 이차전지는 충방전 용량은 물론, 초기 충방전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
(1) 제 1 단계: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06485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규소 분말, 이산화규소 분말 및 금속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원소 함량 및 물성을 갖는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준비하였다.
(2) 제 2 단계: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 50 g을 물에 분산 시킨 후 3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며 식각액으로서 30 중량% HF 수용액 400 mL를 첨가하여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에칭하였다.
(3) 제 3 단계: 상기 에칭에 의해 얻어진 다공성 복합체를 여과한 후 150 ℃ 에서 2시간 건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다공성 복합체의 입도제어를 위하여 막자사발로 평균 입경이 5.8㎛가 되도록 해쇄하여 다공성 규소 복합체(B1)를 제조하였다.
(4) 제 4 단계: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 10 g을 튜브형 전기로 내부에 넣고 아르곤(Ar)과 메탄 가스를 각각 1 L/min씩 흘려주면서 900 ℃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켜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탄소로 피복하여 하기 표 3의 각 성분의 함량 및 물성을 갖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5) 제 5 단계: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입도제어를 위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평균 입경이 6.1 ㎛가 되도록 해쇄 및 분급하였다.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분말(C1)을 제조하였다.
이차전지의 제작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음극 활물질로서 포함하는 음극과 전지(코인셀)를 제작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 도전재로 SUPER-P, 폴리아크릴산을 중량비가 80:10:10이 되도록 물과 혼합하여 고형분 45 %의 음극 활물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 조성물을 두께 18 ㎛의 구리 호일에 도포해서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70 ㎛의 전극을 제조하였고, 상기 전극이 도포된 구리 호일을 직경 14 mm의 원형으로 펀칭해서 코인셀용 음극극판을 제조하였다.
한편, 양극극판으로, 두께 0.3 ㎜의 금속 리튬 호일을 사용하였다.
분리막으로 두께 25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시트를 사용하였고, 전해액으로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에틸렌 카보네이트(DEC)를 부피비 1:1로 혼합한 용액에 1M 농도의 LiPF6를 용해시켜 전해질로 사용하였으며, 상기의 구성 요소들을 적용하여 두께 3.2 ㎜, 직경 20 ㎜의 코인셀(전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1>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기 표 1의 원소 함량 및 물성을 갖는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사용하고, 분산매의 종류, 에칭 조건, 및 탄소원 가스의 종류 및 사용량 등을 변경하여, 각 성분의 함량 및 복합체의 물성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기 표 1의 원소 함량 및 물성을 갖는 규소산화물을 사용하고, 제 2 단계의 에칭 공정 및 제 4 단계 코팅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 2 단계의 에칭 공정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1의 제 2 단계의 에칭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전자현미경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 및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를 각각 주사전자현미경(FE-SEM) 사진(S-4700, Hitachi)을 이용하여 표면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각각 도 1a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a를 살펴보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의 표면에 기공을 포함하였다.
또한,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탄소층을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표면의 배율에 따른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사진을 각각 (a) 내지 (d)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의 (a) 내지 (d)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 1a와 도 2를 비교해 보면, 복합체의 표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규소 입자가 응집되면서 형성된 규소 이차입자의 표면에 탄소층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 및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를 각각 이온빔 주사전자현미경(FIB-SEM) 사진(S-4700; Hitachi, QUANTA 3D FEG; FEI)을 이용하여 복합체의 내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각각 도 1b 및 3에 나타내었다.
도 1b를 살펴보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의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b에 의해, 다공성 규소 복합체 내부에 침투한 식각액에 의해 기공이 형성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탄소층을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내부를 관찰한 결과,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탄소 코팅층을 형성한 후에도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내부에 기공이 관찰되었다.
한편,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FIB-SEM EDAX(S-4700; Hitachi, QUANTA 3D FEG; FEI, EDS System; EDAX) 사진(a) 및 복합체 내의 성분분석 표(b)를 나타낸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에칭 후 메탄으로 탄소 코팅을 진행하였을 때,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안쪽까지 탄소 함량이 약 15 % 정도 관찰되어 메탄 코팅 후에 안쪽의 기공까지 탄소로 코팅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의 성분분석 표와 같이, 실시예 1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Mg, F, C, O 및 Si 성분 등이 관측되었다.
<실험예 2> 탄소층의 두께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탄소를 포함하는 탄소층의 두께를 분석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의 투과형 전자현미경(TEM/EDS)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EM/EDS를 사용하기 위해 [FC-FI20]-FIB II 장비를 이용하여 밀링을 진행한 후 TEM을 이용하여 탄소층의 두께 분석을 진행하였다.
도 5 및 하기 표 3에서 분석 결과 실시예 1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메탄가스로 34.9 % 탄소 코팅 시, 탄소층의 두께가 약 20 nm 내지 30 nm로 나타났다.
<실험예 3> X선 회절 분석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규소복합산화물(복합체 A),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 및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의 결정구조를 X선 회절 분석기(Malvern panalytical 사, X'Pert3)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가전압을 40 kV하고 인가전류를 40 mA로 하였으며, 2θ의 범위는 10° 내지 90°이고, 0.05° 간격으로 스캔하여 측정하였다.
도 6은 실시예 1의 규소복합산화물(복합체 A1)(a),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b) 및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c)의 X선 회절 분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여, X선 회절패턴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규소복합산화물(복합체 A1)은 회절각(2θ) 21.7°부근에서 SiO2에 해당하는 피크; 회절각(2θ) 28.1°, 47.0°, 55.8°, 68.6°, 76.1°부근에서 Si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 및 회절각(2θ) 30.4°, 35.0°부근에서 MgSiO3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나, 상기 규소복합산화물은 비정질 SiO2, 결정질 Si, 및 MgSiO3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여, X선 회절패턴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다공성 규소 복합체(복합체 B1)은 회절각(2θ) 27.1°, 35.2°, 40.4°, 43.5°, 53.3°, 60.9°, 67.9° 부근에서 MgF2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 및 회절각(2θ) 28.1°, 47.0°, 55.8°, 68.6°, 76.1°부근에서 Si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gSiO3에 해당하는 피크가 사라지고 MgF2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에칭 이후 MgSiO3가 MgF2로 변환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여, X선 회절패턴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1)는 회절각(2θ) 27.1°, 35.2°, 40.4°, 43.5°, 53.3°, 60.9°, 67.9°, 76.4°부근에서 MgF2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 및 회절각(2θ) 28.1°, 47.0°, 55.8°, 68.6°, 76.1°부근에서 Si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탄소 코팅 전 후 강도(intensity) 변화 이외에 큰 변화는 없었으며, 탄소의 회절각(2θ)은 Si(111) 피크와 겹쳐서 확인할 수 없었다.
도 7은 실시예 2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2)의 X선 회절 분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X선 회절패턴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2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2)는 회절각(2θ) 21.7°부근에서 SiO2에 해당하는 피크; 회절각(2θ) 28.1°, 47.0°, 55.8°, 68.6°, 76.1°부근에서 Si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 및 회절각(2θ) 30.4°, 35.0°부근에서 MgSiO3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 및 회절각(2θ) 26.9°, 34.8°, 40.1°, 43.4°, 53.1°, 60.3°, 67.8°부근에서 MgF2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나 SiO2, 결정질 Si, MgSiO3 와 MgF2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탄소의 회절각(2θ)은 Si(111) 피크와 겹쳐서 확인할 수 없었다.
도 8은 실시예 5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5)의 X선 회절 분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X선 회절패턴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5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복합체 C5)는 회절각(2θ) 28.0°, 34.9°, 40.1°, 43.4°, 53.0°, 60.2°부근에서 MgF2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 및 회절각(2θ) 28.1°, 47.1°, 55.8°, 68.9°, 76.4°부근에서 Si 결정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소의 회절각(2θ)은 Si(111) 피크와 겹쳐서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얻어진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중의 Si 결정자 크기(crystal size)는 X선 회절 분석에서 Si(220)에 해당하는 피크의 반가치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초로 하기 식 1의 시라법(sherrer equation)에 의해 분석하였다.
[식 1]
결정자 크기(㎚) = Kλ/ Bcosθ
상기 식 1에서,
K는 0.9이고,
λ는 0.154 ㎚이며,
B는 반가치폭(FWHM)이고,
θ는 피크위치(각도)이다.
<실험예 4> 복합체의 성분원소의 함량 및 비중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체 중 마그네슘(Mg), 규소(Si), 산소(O) 및 탄소(C)의 각 성분원소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마그네슘(Mg)의 함량과 규소(Si)의 함량은 PerkinElmer사의 Optima-5300를 이용하여 유도결합플라즈마(ICP) 발광분광법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산소(O)의 함량은 LECO사의 O-836를 이용하여 3회 평균값을 취하였고, 탄소(C)의 함량은 LECO사의 CS-744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에 의해 각각 분석되었다. 불소(F)의 함량은 상기 규소(Si), 산소(O) 및 마그네슘(Mg) 함량을 기초로 도출된 계산값이다.
또한, 비중(진비중)은 제조된 복합체를 Micromeritics사의 Accupyc Ⅱ 1340을 이용하여, 10ml 용기에 2/3 채워 넣고 5회 측정하였다.
<실험예 5> 복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체 입자의 평균 입경(D50)은, S3500(Microtrac)의 레이저광 회절법에 의한 입도분포 측정에 있어서의 중량평균치 D50, 즉 누적 부피가 50 %가 될 때의 입자 직경 또는 메디안 지름으로서 측정하였다.
<실험예 6> 라만 분광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에 대해 라만 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라만분석은 2.41 eV(514 nm)에서 마이크로 라만 분석기(Renishaw, RM1000-In Vi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라만 분광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라만 스펙트럼에서 2600cm-1 내지 2760cm-1의 범위에 2D 밴드 피크를, 1500cm-1 내지 1660cm-1의 범위에 G 밴드 피크를, 1300cm-1 내지 1460cm-1의 범위에 D 밴드 피크를 가졌고, 상기 2D 밴드 피크의 강도를 I2D, 상기 D 밴드 피크의 강도를 ID, 상기 G 밴드 피크의 강도를 IG라 할 때, 상기 ID, I2D 및 IG는 각각 536, 102 및 402였고, (I2D + IG)/ID는 0.94였다.
상기 라만 분광 분석 결과로부터, 탄소층이 상기 값의 ID, I2D 및 IG를 가짐으로써, 도전성이 양호하고, 이차전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I2D + IG)/ID가 0.94로서, 충방전시 부반응을 억제 하고 초기 효율의 악화를 억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는 도전성이 우수하고, 이차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비표면적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체를 튜브에 넣고, MicrotracBEL사의 전처리 장비 (BELPREP-vac2)로 10-2 kPa, 100℃에서 5시간 처리 하였다.
전처리 후 분석 장비(BELSORP-max)의 분석 포트(Analysis Port)에 튜브를 장착 후 비표면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8> 이차전지의 용량, 초기 효율 및 용량 유지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코인셀(이차전지)을 0.1 C의 정전류로 전압이 0.005 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0.1 C의 정전류로 전압이 2.0 V가 될 때까지 방전하여 충전용량(mAh/g), 방전 용량(mAh/g) 및 초기 효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식 2]
초기 효율(%)= 방전 용량/충전용량 X 100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코인셀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1회 충전과 방전을 시킨 이후 2회부터의 충전과 방전에서는 0.5 C의 정전류로 전압이 0.005 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0.5 C의 정전류로 전압이 2.0 V가 될 때까지 방전하여 사이클 특성(50회 용량 유지율, %)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식 3]
50회 용량 유지율(%)=51회 방전 용량/2회 방전 용량 X 10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체의 각 원소 함량 및 물성을 하기 표 1 내지 3에 정리하고,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특성을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이차전지는 방전 용량, 초기 효율 및 사이클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성능이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11의 이차전지는 방전 용량이 1398 mAh/g 내지 2074 mAh/g로 전반적으로 우수하였고, 특히 초기 효율이 80.8 % 내지 91.4 %, 50회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82.1 % 내지 89.5 %였다.
이에 반해, 규소 산화물을 이용한 비교예 1의 이차전지는 초기 효율이 62.2 %, 50회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59.2 %로서, 초기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이 실시예의 이차전지에 비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시예 1의 이차전지, 및 실시예 1의 공정에 있어서 에칭만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이차전지를 비교하면, 실시예 1의 이차전지는 방전 용량이 1702 mAh/g, 초기 효율이 90 %, 50회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84.1 %인데 반해, 비교예 2의 이차전지는 방전 용량이 1443 mAh/g, 초기 효율이 79.6 %, 50회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81 %로서, 실시예 1의 이차전지에 비해 방전 용량, 초기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이 모두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1의 이차전지, 및 실시예 11의 공정에 있어서 에칭만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 3의 이차전지를 비교하면, 실시예 11의 이차전지는 방전 용량이 1398 mAh/g, 초기 효율이 87.4 %, 50회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83.7 %인데 반해, 비교예 3의 이차전지는 방전 용량이 1219 mAh/g, 초기 효율이 83.9 %, 50회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이 80.1 %로서, 실시예 11의 이차전지에 비해 방전 용량, 초기 효율 및 용량 유지율이 모두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불화 마그네슘 및 탄소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불화 마그네슘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3의 이차전지의 경우 실시예의 이차전지에 비해 이차전지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모두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8)

  1. 규소 입자, 마그네슘 불화물 및 탄소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내부에 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기공률이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0.1 부피% 내지 40 부피%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불화물이 불화 마그네슘(MgF2), 마그네슘 불화 실리케이트(MgSiF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 마그네슘(MgF2)의 X선 회절 분석에 의해 산출된 결정자 크기가 2 nm 내지 35 nm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규산 마그네슘을 더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 마그네슘이 MgSiO3 결정, Mg2SiO4 결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내의 마그네슘(Mg)의 함량이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X선 회절 분석에서 상기 규소 입자의 Si (220) 결정면에 해당하는 X선 회절 피크의 강도(IA)와 상기 불화 마그네슘의 MgF2(111) 결정면에 해당하는 X선 회절 피크 강도(IB)의 비율인 IB/IA가 0 초과 내지 1 이하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산화 규소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규소 화합물이 SiOx(0.5≤x≤2)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Si)의 함량이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8 중량% 내지 95 중량%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 입자가 무정형, 2 nm 내지 20 nm의 결정자 크기를 갖는 결정형,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가 규소 복합체 및 그의 표면에 탄소층을 포함하고,
    상기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이 상기 규소 복합체에 존재하며,
    상기 탄소가 상기 규소 입자 및 마그네슘 불화물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존재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내에 존재하는 규소 원자에 대한 산소 원자의 몰비(O/Si)가 0.01 이상 내지 1 미만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층이 그래핀, 환원된 산화 그래핀, 탄소나노 튜브, 탄소 나노 섬 및 흑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C)가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층의 두께가 1 nm 내지 300 nm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D50)이 1 ㎛ 내지 20 ㎛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비중이 1.8 g/㎤ 내지 2.6 g/㎤이고, 비표면적(Brunauer-Emmett-Teller; BET)이 2 m2/g 내지 60 m2/g인,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20. 규소계 원료 및 마그네슘계 원료를 이용하여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얻는 제 1 단계;
    불소(F) 원자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이용하여,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을 에칭하는 제 2 단계;
    상기 에칭에 의해 얻어진 복합체를 여과 및 건조하여 다공성 규소 복합체를 얻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다공성 규소 복합체의 표면에 화학적 열분해 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탄소층을 형성한 후,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평균 입경이 1 ㎛ 내지 20 ㎛이 되도록 해쇄 또는 분쇄, 및 분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식각액이 유기산, 황산, 염산, 인산, 질산 및 크롬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산을 더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상기 탄소층의 형성이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입하여 400 ℃ 내지 1200 ℃에서 가스 상태로 반응시켜 수행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CNH(2N + 2-A)[OH]A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고,
    A는 0 또는 1이며,
    [화학식 2]
    CNH(2N-B)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B는 0 내지 2이고
    [화학식 3]
    CxHyOz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y는 O 내지 25의 정수이며,
    z는 0 내지 5의 정수이다.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규소복합산화물 분말의 표면에 화학적 열분해 증착법을 이용하여 탄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25. 제 1 항의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이 탄소계 음극 재료를 더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음극 재료가 음극 활물질 총 중량에 대해 3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음극 활물질.
  28. 제 25 항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200152973A 2020-11-16 2020-11-16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KR10251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73A KR102512804B1 (ko) 2020-11-16 2020-11-16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CN202180090762.3A CN116724414A (zh) 2020-11-16 2021-11-01 多孔硅碳复合材料、其制造方法以及包含其的负极活性材料
US18/253,093 US20230420651A1 (en) 2020-11-16 2021-11-01 Porous Silicon-Carbon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Same
PCT/KR2021/015550 WO2022103038A1 (ko) 2020-11-16 2021-11-01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EP21892208.6A EP4246622A1 (en) 2020-11-16 2021-11-01 Porous silicon-carbon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same
JP2023528649A JP2023549256A (ja) 2020-11-16 2021-11-01 ポーラスケイ素-炭素コンポジッ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負極活物質
TW110142076A TWI820513B (zh) 2020-11-16 2021-11-11 多孔性矽碳複合物、其製備方法及包含其之負電極活性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73A KR102512804B1 (ko) 2020-11-16 2020-11-16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594A true KR20220067594A (ko) 2022-05-25
KR102512804B1 KR102512804B1 (ko) 2023-03-24

Family

ID=8160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973A KR102512804B1 (ko) 2020-11-16 2020-11-16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420651A1 (ko)
EP (1) EP4246622A1 (ko)
JP (1) JP2023549256A (ko)
KR (1) KR102512804B1 (ko)
CN (1) CN116724414A (ko)
TW (1) TWI820513B (ko)
WO (1) WO20221030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19774A1 (ko) * 2023-04-19 2024-10-24 (주)포스코퓨처엠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465B1 (ko) * 2020-12-23 2023-07-19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다공성 규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및 음극 활물질
KR20220091672A (ko) * 2020-12-23 2022-07-01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다공성 규소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및 음극 활물질
FR3143868A1 (fr) * 2022-12-16 2024-06-21 Saft Electrodes negatives a base de silicium et d’additif fluo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3610B2 (ja) 1999-01-26 2010-01-06 日本コークス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同二次電池の充電方法
KR20140024586A (ko) * 2012-08-20 2014-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50167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JP2016502253A (ja) 2013-09-17 2016-01-2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多孔性シリコン系負極活物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80106485A (ko) 2017-03-20 2018-10-01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음극재용 실리콘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5182A (ko) * 2017-12-01 2019-06-11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규소산화물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135B1 (ko) * 2007-04-16 2008-11-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2차 전지용 음극활물질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음극으로포함하는 2차 전지
KR101636143B1 (ko) * 2013-09-02 2016-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실리콘계 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KR101813302B1 (ko) * 2013-10-31 2017-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9564B1 (ko) * 2014-12-31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음극 활물질, 상기 복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79722B1 (ko) * 2015-09-24 2022-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및 상기 복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WO2019039856A1 (ko) * 2017-08-25 2019-02-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음극 및 상기 이차전지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9950470A (zh) * 2017-12-20 2019-06-2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极极片,其制备方法及电化学装置
CN108682817A (zh) * 2018-05-21 2018-10-19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多孔硅碳负极材料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3610B2 (ja) 1999-01-26 2010-01-06 日本コークス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同二次電池の充電方法
KR20140024586A (ko) * 2012-08-20 2014-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JP2016502253A (ja) 2013-09-17 2016-01-2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多孔性シリコン系負極活物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50050167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06485A (ko) 2017-03-20 2018-10-01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음극재용 실리콘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5182A (ko) * 2017-12-01 2019-06-11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규소산화물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19774A1 (ko) * 2023-04-19 2024-10-24 (주)포스코퓨처엠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20651A1 (en) 2023-12-28
WO2022103038A1 (ko) 2022-05-19
TWI820513B (zh) 2023-11-01
KR102512804B1 (ko) 2023-03-24
CN116724414A (zh) 2023-09-08
JP2023549256A (ja) 2023-11-22
EP4246622A1 (en) 2023-09-20
TW202226652A (zh)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461B1 (ko) 다공성 규소계-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KR102512804B1 (ko)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KR20210094685A (ko) 규소-규소 복합산화물-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EP3355388B1 (en)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668164B1 (ko) 난층 탄소 코팅을 포함하는 열적으로 불균등화된 애노드 활물질
KR102556465B1 (ko) 다공성 규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다공성 규소-탄소 복합체 및 음극 활물질
KR20210021932A (ko) 규소·산화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KR20210149970A (ko) 규소계-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US20240010503A1 (en) Porous Silicon-Based Composit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n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Same
EP4443552A1 (en) Porous silicon-carbon composite, preparing method therefor, and an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same
KR20230138929A (ko)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30123898A (ko) 규소-탄소 혼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US20240047659A1 (en) Porous silicon structure, porous silicon-carbon composite comprising same,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ng et al. Rapid fabrication of porous silicon/carbon microtube composites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TWI854491B (zh) 矽碳混合物、其製備方法以及包含其之負極活性材料與鋰二次電池
TWI856581B (zh) 矽-碳混合物、其製備方法及包含其之負極活性材料與鋰二次電池
KR20230140533A (ko) 규소-탄소 혼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30124502A (ko)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30137551A (ko)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KR20230080209A (ko)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KR20240029248A (ko) 규소-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