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530A -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530A
KR20220067530A KR1020217039803A KR20217039803A KR20220067530A KR 20220067530 A KR20220067530 A KR 20220067530A KR 1020217039803 A KR1020217039803 A KR 1020217039803A KR 20217039803 A KR20217039803 A KR 20217039803A KR 20220067530 A KR20220067530 A KR 2022006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opening
connecting portion
component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루 오카다
마사유키 키무라
유야 세리자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2Providing cavities in the joined article to collect the bur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0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 B29C65/7808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in the form of holes or slots
    • B29C65/7811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in the form of holes or slots for centr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4Tongue and groove joints
    • B29C66/1246Tongue and groove joints characterised by the female part, i.e. the part comprising the groove
    • B29C66/12463Tongue and groove joints characterised by the female part, i.e. the part comprising the groove being tapered
    • B29C66/12464Tongue and groove joints characterised by the female part, i.e. the part comprising the groove being tapered being V-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 B29C66/24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 B29C66/24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circular, oval or elliptical
    • B29C66/242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circular, oval or elliptical being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 B29C66/30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said melt initiators being integral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2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said melt initiators being integral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said melt initiators being rib-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4Avoiding burr formation
    • B29C66/3242Avoiding burr formation on the inside of a tubular or hollow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4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 B29C66/5344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annular, i.e. of finite length, e.g. joining flanges to tub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2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joining hollow covers or hollow bottoms to open ends of contain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3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in different planes; 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mounted in parallel or in series
    • B29C66/8432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mounted in parallel or 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14Smokers'' requisites, e.g. pipe cleaners
    • B29L2031/7416Smokers'' requisites, e.g. pipe cleaners for cigars or ciga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베이퍼 제품을 구성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부분에서 잉여 부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베이퍼 제품의 일부에 도입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과, 일단이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부품과 접속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에 뻗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제1 부품으로부터 뻗어, 상기 제2 부품과는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가이드부를 갖는다.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가이드부가 감합하는 수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Nicotiana tobacum속의 식물에서 유래하는 건조잎담배나, 동속(同屬) 식물을 포함하는 재구성 담배·재구성 담배의 세편(細片)·과립(顆粒), 및/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을 연소시키지 않고, 그것들에 알코올류의 증기를 통과시켜 잎담배 유래의 성분 등이 기상(氣相, gas phase)으로 이행된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분위기(atmosphere)를 흡인하기 위한 가열식 담배가 알려져 있다. 또한, 향료의 알코올 용액 또는 수용액을 적절한 전기 부품으로 무화 또는 기화시켜, 발생한 증기와 외기가 혼합된 분위기를 흡인하기 위한 전자 담배가 알려져 있다(이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가열식 담배와 전자 담배를 총칭하여 「베이퍼 제품」이라고 한다). 그러한 베이퍼 제품은,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부품,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부품, 또는 에어로졸의 유로를 형성하는 부품 등을 갖는다. 그러한 부품으로서, 가공의 용이성, 중량 등의 관점에서, 수지(resin)제의 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베이퍼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수지제의 부품은, 다른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경우가 있다. 베이퍼 제품을 구성하는 수지제의 부품끼리나, 수지제의 부품과 금속제의 부품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레이저 용접법 및 초음파 용접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4 참조).
특허문헌 1:국제공개 제2020/081849호 공보 특허문헌 2:국제공개 제2020/023540호 공보 특허문헌 3:미국 특허공개 제2020/0214343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019681호 공보
이러한 양 부품을 용접할 때, 양 부품끼리의 위치 맞춤(alignment)을 할 필요가 있다. 부품끼리의 위치 맞춤을 하기 위해서, 한쪽의 부품에 단상부(stepped part)를 형성하고, 다른쪽의 부품에 단상부에 감합하는 볼록모양부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볼록모양부와 단상부가 접합되면, 용융된 수지가 접합부로부터 압출되어, 고화된 수지(잉여 부재)가 접합부의 주위에 남는다. 이러한 잉여 부재가 베이퍼 제품의 에어로졸 유로 중에 존재하는 경우, 에어로졸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로졸이 잉여 부재에 응축하여, 액적이 모일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모인 액적이 유저(user)의 입안에 들어가 버리거나, 에어로졸 유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베이퍼 제품의 성능이 설계로부터 벗어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잉여 부재는, 베이퍼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후속 공정에서 탈락(drop out)하여, 반송로에 퇴적되거나 제품에 혼입하거나 할 우려도 있다. 잉여 부재가 탈락하지 않았다고 해도 베이퍼 제품의 미관을 해친다. 특히, 베이퍼 제품을 구성하는, 주로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탱크(카트리지)에 잉여 부재가 형성된 경우에는, 노출된 잉여 부재가 에어로졸원 중의 이물(foreign matter)로 오인될 우려가 있다. 또 잉여 부재가 발생한 반제품은 설계 치수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전도하기 쉬워져서, 반송로를 폐색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퍼 제품을 구성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위치 결정 하기 위한 부분에서 잉여 부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포함)하는 베이퍼 제품의 일부에 도입되는(끼워넣어지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과,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속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에 뻗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제1 부품으로부터 뻗어, 상기 제2 부품과는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가이드부를 갖는다.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가이드부가 감합하는 수용부를 갖는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이 가이드부를 갖고, 제2 부품이 수용부를 가지므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경우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이드부는 제2 부품에는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감합」이란 가이드부와 수용부가 간극 없이 감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부품에 대한 접속부의 위치를 허용 범위에 가이드할 수 있는 정도로 가이드부와 수용부 사이에 간극을 가지면서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감합」에는 「여유 감합(loosely fit)」도 포함될 수 있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이 증발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유로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劃定)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므로, 이러한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때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2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 유로를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적어도 일부로 획정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별체로 성형되었을 경우에 필요한 조합 공정이나 접착하는 공정이 생략되며, 감합부나 접착 개소가 없기 때문에 소형의 수지 부품이면서 소비자가 사용 시에 손에 쥐어도 파손되기 어려워 취급이 쉬워진다. 한편, 에어로졸 유로의 형상은 양 부품 각각이 금형으로 일체 성형 가능한 범위로, 설계가 제약된다.
제3 형태는,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획정하므로, 이러한 공간을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경우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을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1 형태 및 제2 형태를 인용하는 제3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가지면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형태에서 설명한 효용도 또한 얻을 수 있다.
제4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므로, 이러한 가열 요소를 수용하는 부품에 있어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경우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열 요소를 수용하는 부품에 있어서,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4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소비자가 그것을 사용할 때에 가열 요소와 조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5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에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접속부의 타단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므로, 접속부를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할 때에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가이드부에 의해 덮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과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1 개구연을 갖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개구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제1 개구에 감합함으로써,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가 제1 개구에 감합하므로, 접속부로부터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를 향해 노출되는 것이 가이드부에 의해 억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직접 대향하는 면을 말하며, 제1 부품의 대향면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의 사이에는 접속부 이외의 부재는 개재하지 않는다.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는 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7 형태는, 제6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고리 모양)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를 획정하는 외측 개구연 및 내측 개구연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외측 개구연 또는 상기 내측 개구연과 감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형태에 의하면, 환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가 제1 개구의 외측 개구연 또는 내측 개구연에 대해서 감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가 외측 개구연 또는 내측 개구연에 감합하므로, 접속부로부터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를 향해 노출되는 것이 가이드부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8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덮개 부재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통형 부재이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통형 부재의 일단에 상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가열 어셈블리를 접속하여,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일단의 개구를 폐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상기 통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원을 충전(充塡)하고, 상기 에어로졸원이 충전된 상기 통형 부재의 타단에 상기 접속부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열 어셈블리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유저(有底, 바닥있는) 통형 부재에 에어로졸원을 넣으면, 에어로졸원이 통형 부재로부터 빠지는(leak)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 어셈블리의 조립까지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제8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기 전에 가열 어셈블리를 통형 부재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미리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통형 부재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에 수송하여, 다른 장소에서 에어로졸원의 충전 및 덮개 부재의 접합 또는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제9 형태는, 제8 형태의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타단에,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접속부를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수용부에 감합시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추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을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제10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에 접속된 접속부를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할 경우에, 가이드부를 수용부에 감합시켜,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1 형태는, 제10 형태의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와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접속부가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의 상기 접속부보다 길고,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을 상기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수용부에 감합시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추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의 접속부보다 길기 때문에, 제1 부품에 접속된 접속부를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에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퍼(vapor) 제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탱크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화살표 3B-3B에서 본 탱크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덮개의 중심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탱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덮개와 탱크 본체의 접속부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카트리지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b는 카트리지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카트리지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d는 카트리지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e는 카트리지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f는 카트리지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퍼 제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베이퍼 제품(100)은, 베이퍼 제품(100)에 있어서 복수 존재하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 중, 카트리지의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도출시킨 에어로졸원을 전기적인 히터로 가열하거나 또는 이 에어로졸원에 초음파를 작용시켜 무화(霧化)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재구성 담배의 세편·과립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잎담배 유래의 성분 등이 기상으로 이행된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분위기를 흡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퍼 제품(100)은, 니코틴·멘솔 등의 성분, 향료와 알코올류를 혼합한 에어로졸원을 가열 또는 무화하여,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흡인하기 위한 장치여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베이퍼 제품(100)은 본체 유닛(10)과, 본체 유닛(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30) 및 담배 캡슐(12)을 갖는다. 본체 유닛(10)은, 전원 유닛(14)과, 보유(保持, retention) 유닛(16)과, 마우스피스(18)를 갖는다. 전원 유닛(14), 보유 유닛(16), 및 마우스피스(18)는 각각 통형(통모양)으로 형성된다. 마우스피스(18)는 보유 유닛(16)의 일단에 예를 들면 나사 접속될 수 있고, 전원 유닛(14)은 보유 유닛(16)의 타단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우스피스(18), 보유 유닛(16), 및 전원 유닛(14)이 연결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전원 유닛(14)은 배터리(14a)와, 스위치(14b)와, 핀 전극(14c)과, 계합(engagement)부(14d)를 갖는다. 배터리(14a)는 전원 유닛(14)의 내부에 수납된다. 스위치(14b)는 베이퍼 제품(100)을 조립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해, 베이퍼 제품(100)의 전원의 온, 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핀 전극(14c)은 카트리지(30)를 보유 유닛(16)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베이퍼 제품(100)을 조립함으로써, 카트리지(30)의 후술하는 전극과 접촉하여 배터리(14a)와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계합부(14d)는 보유 유닛(16) 내의 도시하지 않은 피계합부와 계합함으로써, 보유 유닛(16)과 전원 유닛(14)을 계합할 수 있다. 전원 유닛(14)은 배터리(14a)로부터 카트리지(30)의 전극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e)를 구비한다. 또한, 전원 유닛(14)은 도시하지 않은 퍼프(puff)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e)는 퍼프를 검지했을 때에 배터리(14a)로부터 카트리지(3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배터리(14a)를 제어할 수 있다.
보유 유닛(16)은 통체(16a)를 갖고, 카트리지(30)의 후술하는 전극이 전원 유닛(14) 측을 향하도록 하여 카트리지(30)를 통체(16a) 내에 수용한다. 보유 유닛(16)이 카트리지(30)를 수용한 상태로 보유 유닛(16)에 마우스피스(18)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30)가 보유 유닛(16)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보유 유닛(16)은 카트리지(30)에 수용되는 에어로졸원을 시인(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창(16c)과, 카트리지(3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구멍(16b)을 통체(16a)에 갖는다.
마우스피스(18)는 보유 유닛(16)과 나합(볼트너트결합)하는 나합부(18a)와, 나합부(18a)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통형부(18b)를 갖는다. 유저는 통형부(18b)를 입에 물고 베이퍼 제품(100)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담배 캡슐(12)은, 내부에 재구성 담배의 세편·과립을 수용하는 캡슐부(12a)와, 필터부(12b)를 갖는다. 캡슐부(12a)는 통형이며, 한쪽의 단면에 예를 들면 메시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단면에 개구가 형성된다. 캡슐부(12a)의 한쪽의 단면에 형성되는 메시의 사이즈는 캡슐부(12a)에 수용되는 재구성 담배의 세편·과립이 캡슐부(12a)로부터 빠져(새어)나오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필터부(12b)는 캡슐부(12a)의 개구를 폐지하도록(close) 개구에 감합된다. 담배 캡슐(12)은 마우스피스(18)의 통형부(18b) 내에, 보유 유닛(16)과 반대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액체의 에어로졸원을 저류(storage)하여, 전원 유닛(14)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에 따라,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물,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아토마이징(atomizing) 기능을 갖는 카트리지(30)는 카토마이저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베이퍼 제품(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베이퍼 제품(100)을 조립한 상태에서, 스위치(14b)를 압하하여(눌러서) 전원을 켠다. 이어서, 유저가 통형부(18b)를 입에 물고 흡인한다. 이 때, 전원 유닛(14)의 도시하지 않은 퍼프 센서가 유저의 흡인을 검지하면, 전원 유닛(14)의 배터리(14a)로부터 카트리지(30)의 전극에 전력이 공급되어, 카트리지(30)에 있어서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카트리지(3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유저의 흡인에 수반하여, 담배 캡슐(12) 내의 재구성 담배의 세편·과립을 통과하여 잎담배 유래의 성분 등을 수반하면서 유저의 입안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카트리지(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카트리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카트리지(30)는 유저 원통형의 탱크(50)와, 탱크(50) 내에 수납되는 대략 원판형의 개스킷(31)과, 대략 원판형의 메시체(32)와, 가열부(33)와, 무화용기(34)와, 히터 홀더(35)를 갖는다.
탱크(50)는, 개스킷(31), 메시체(32), 가열부(33), 무화용기(34), 히터 홀더(35)를 내부에 투입하기 위한 개구(51)와, 개구(51)를 획정하는 둘레벽(52)과, 둘레벽(52)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계합구멍(53)을 갖는다. 계합구멍(53)은 탱크(50)에 히터 홀더(35)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개스킷(31)은, 외경이 탱크(50)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스킷(31)은, 메시체(32)의 위치 결정을 수행함과 함께, 메시체(32)의 형상을 보유한다. 개스킷(31)은, 탱크(50)의 후술하는 유로관(61)(도 3a, 도 3b 참조)을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31a)을 직경 방향 중앙에 갖고, 삽입 구멍(31a)의 주위에 탱크(50) 내의 에어로졸원이 유통하는 개구(31b)(도면에서는 4개)를 갖는다. 이 삽입 구멍(31a)에 후술하는 유로관(61)이 삽입되도록, 탱크(50) 내에 개스킷(31)이 수용된다.
메시체(32)는, 개스킷(31)의 개구(31b)를 덮도록 개스킷(31)과 접해서 배치된다. 메시체(32)는, 예를 들면 코튼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부재이며, 개스킷(31)의 개구(31b)를 통과한 에어로졸원을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체(32)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후술하는 유로관(61)을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32a)에 후술하는 유로관(61)이 삽입되어, 개스킷(31)에 메시체(32)가 접촉함으로써, 메시체(32)의 위치가 결정된다.
가열부(33)는 액체의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다. 가열부(33)는, 대략 U자형의 윅(33a)과, 윅(33a)의 주위에 감긴 전열선(33b)(가열 요소의 일례에 상당한다)을 갖는다. 윅(33a)은 유리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며, 메시체(32)에 보유된 에어로졸원을 흡수하여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전열선(33b)에 의해 윅(33a)에 보유된 에어로졸원이 가열되어 무화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도 2에서는 메시체(32)와 가열부(33)가 일체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가열부(33)는 무화용기(34) 내에 수용되고, 히터 홀더(35)에 접속되어 무화용기(34) 및 히터 홀더(35)와 함께 가열 어셈블리(38)를 구성한다.
무화용기(34)는, 가열부(33)를 수용하는 용기부(34a)와, 히터 홀더(35)에 감합되는 감합부(34b)를 갖는다. 무화용기(34)는, 탄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감합부(34b)는,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의 홈부(34c)와, 홈부(34c)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부(34d)를 갖는다. 용기부(34a)에 수용된 가열부(33)의 전열선(33b)의 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으로부터 홈부(34c)에 들어가, 돌기부(34d)에 감긴다.
히터 홀더(35)는, 전체적으로 대략 컵형으로 형성되어, 측벽부(35a)와, 저벽부(35b)와, 한 쌍의 전극(35c)을 갖는다. 한 쌍의 전극(35c)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부(35b)의 저면에 노출됨과 함께, 측벽부(35a)의 내측에도 노출된다. 무화용기(34)의 감합부(34b)는 측벽부(35a)에 감합된다. 이 때, 감합부(34b)의 돌기부(34d)에 감긴 전열선(33b)의 단부의 각각이, 한 쌍의 전극(35c)의 각각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측벽부(35a)는, 탱크(50)의 계합구멍(53)과 계합하는 고리(claw)(35d)를 갖는다.
무화용기(34)의 감합부(34b)를 히터 홀더(35)에 감합하고, 또한 가열부(33)를 무화용기(34)의 용기부(34a)에 수용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38)가 조립된다. 가열 어셈블리(38)를 탱크(50)에 감합시켜, 고리(35d)를 탱크(50)의 계합구멍(53)에 계합시킴으로써, 가열부(33)의 윅(33a)이 메시체(32)와 접촉하면서, 가열 어셈블리(38)가 탱크(50)에 고정된다. 이로써, 탱크(50)의 개구(51)가 가열 어셈블리(38)에 의해 폐지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낸 탱크(5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50)는, 적어도 2개의 부품과, 2개의 부품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탱크(50)는, 탱크 본체(60)(통형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와, 덮개(80)(덮개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갖고, 이들 탱크 본체(60)와 덮개(80)가 접속부를 개재하여(통하여) 서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탱크(50)가 형성된다(탱크 본체(60)와 덮개(80)는, 각각 제1 부품 또는 제2 부품의 일례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본체(60) 및 덮개(80)는 모두 수지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탱크 본체(60) 및 덮개(80) 중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이 다른 재료,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탱크 본체(6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화살표 3B-3B에서 본 탱크 본체(60)의 단면도이다. 도 3a에 나타내듯이, 본 명세서에서는, 탱크 본체(60)의 마우스피스(18) 측의 단부를 제1 단부(60a)로 하고, 반대측의 단부를 제2 단부(60b)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듯이, 탱크 본체(60)는 둘레벽(52)과 유로관(61)을 갖는다. 둘레벽(52)은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52a)의 일부를 획정한다. 유로관(61)은, 에어로졸원이 증발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유로(61a)의 일부를 획정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로관(61) 및 둘레벽(52)이 뻗어 있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유로관(61)은, 둘레벽(52)의 내부에 배치되어, 둘레벽(52)과 함께 공간(52a)의 일부를 획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둘레벽(52)의 내면과 유로관(61)의 외면의 사이에 공간(52a)이 형성된다. 도 3b에 나타내듯이, 유로관(61)은, 탱크 본체(60)의 제1 단부(60a)까지 뻗어서, 제1 단부(60a)의 단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탱크 본체(6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원기둥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통형 등,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둘레벽(52)의 내면과 유로관(61)의 외면의 사이에는, 이들 둘레벽(52)과 유로관에 걸친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리브(62)가 형성된다. 즉, 리브(62)는 유로관(61)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리브(62)는 탱크 본체(60)의 제1 단부(60a) 측에 마련되고, 길이 방향에서 봐서 방사형이 되도록, 둘레방향에 등(等)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둘레벽(52)의 내면에는, 볼록부(63)가 리브(62)와 일체로 형성된다. 볼록부(63)는, 리브(62)로부터 제2 단부(60b)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볼록부(63)는, 제2 단부(60b) 측의 리브(62)의 단부로부터, 유로관(61)의 제2 단부(60b) 측의 선단의 앞까지 뻗어 있다. 볼록부(63)는, 탱크 본체(60)의 기계적 강도를 높임과 함께, 개스킷(31)의 위치 결정을 수행한다.
탱크 본체(60)는, 도 2에 나타낸 개스킷(31), 메시체(32), 및 가열 어셈블리(38)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51)를 갖는다. 탱크 본체(60)의 유로관(61)보다도 제2 단부(60b) 측의 공간(64)에, 전열선(33b)을 포함하는 가열 어셈블리(38)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가열 어셈블리(38)의 일부는, 공간(64)에 수용되지 않고, 탱크 본체(6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탱크 본체(60)는 제1 단부(60a)에 있어서, 후술하는 덮개(80)와 대향하는 대향면(65)(제2 대향면의 일례에 상당한다)을 갖는다. 여기에서,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이란, 후술하는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뻗어 있는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 덮개(80)와 직접 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뻗어 있는 방향을, 이하에서, 길이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대향면(65)이란, 덮개(80)와 직접 대향하고, 또한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는 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탱크 본체(60)의 둘레벽(52)의 외면은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으므로 덮개(80)의 대향면이 아니고, 탱크 본체(60)의 제2 단부(60b)의 단면은, 덮개(80)와 직접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대향면이 아니다. 도 3b에 나타내듯이, 대향면(65)은, 최외연(outermost edge)(65a)(제2 최외연의 일례에 상당한다)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는, 최외연(65a)은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외연(65a)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듯이, 대향면(65)에는 제1 개구(6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개구(66)는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대향면(65)에 형성되는 내측 개구연(開口緣)(66a)(제1 개구연의 일례에 상당한다)과 외측 개구연(66b)(제1 개구연의 일례에 상당한다)에 의해 획정된다. 따라서, 내측 개구연(66a) 및 외측 개구연(66b)은 길이 방향에서 봐서 각각 원형이다. 이 경우, 내측 개구연(66a) 및 외측 개구연(66b)은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개구(66)는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52a)과 연통(連通)한다.
또한, 대향면(65)에는, 추가로 제2 개구(67)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개구(67)는 길이 방향에서 봐서 원형의 형상을 갖고, 대향면(65)에 형성되는 제2 개구연(67a)에 의해 획정된다. 따라서, 제2 개구연(67a)은 길이 방향에서 봐서 원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개구(67)는 에어로졸 유로(61a)와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개구(67)의 형상은 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개구(66)와 마찬가지로 환형이어도 되고, 이 경우, 제2 개구연(67a)은 외측의 개구연으로서 제2 개구(67)의 일부를 획정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듯이, 대향면(65)은 최외연(65a)과 외측 개구연(66b)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68)(오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와, 내측 개구연(66a)과 제2 개구연(67a)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69)(오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를 가질 수 있다. 제1 오목부(68)와 제2 오목부(69)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향면(65)에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오목부(68)와 제2 오목부(69)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3a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68) 및 제2 오목부(69)는, 탱크 본체(60)의 둘레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환형의 홈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오목부(68) 및 제2 오목부(69)의 평면 형상은 임의적이다. 도 3b에 나타내듯이, 제1 오목부(68)는 저부(68a)와 측벽부(68b)를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는, 측벽부(68b)는, 저부(68a)를 향해 제1 오목부(68)의 폭이 축소하도록 테이퍼면(68b)을 갖는다. 또한, 제2 오목부(69)는, 저부(69a)와 측벽부(69b)를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는, 측벽부(69b)는 저부(69a)를 향해 제2 오목부(69)의 폭이 축소하도록 테이퍼면(69b)을 갖는다.
도 4a는 덮개(8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덮개(80)의 중심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듯이, 덮개(80)는 대략 원반형의 평판부(80a)를 갖는다. 평판부(80a)의 대략 중앙부에는, 탱크 본체(60)의 제2 개구(67)와 연통하는 개구(80b)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80)에는, 그 일단이 평판부(80a)의 한쪽의 면에 접속된 제1 접속부(90)(접속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및 제2 접속부(92)(접속부의 일례에 상당한다)가 형성된다. 제1 접속부(90) 또는 제2 접속부(92)는, 덮개(8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덮개(80)에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접속부(90)와 제2 접속부(92)는, 어느 한쪽만이 덮개(80)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의 타단은, 탱크 본체(60)와 접합 또는 용접된다. 제2 접속부(92)는, 제2 접속부(92)가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서 봐서, 제1 접속부(90)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듯이,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는,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길이 방향)에서 봐서 환형의 형상을 갖는 돌조부일 수 있다. 이 돌조부의 단면 형상은 도 4b에 있어서는 직사각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등의 다각형이어도 되고, 원형과 같이 돌조부의 선단이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돌조부의 단면 형상과 제1 오목부(68) 또는 제2 오목부(69)의 단면 형상은 비상사(非相似, nonsimilarity)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속부(90)와 제2 접속부(92)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동심원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탱크(50)의 중앙에 수용 가능한 공간(52a)과는 분리된 에어로졸 유로(61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속부(90)의 타단은 탱크 본체(60)의 제1 오목부(68)와 접합 또는 용접된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의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를 제1 오목부(68) 내에 모을(담아둘)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접속부(90)의 잉여 부재가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사이에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90)의 타단은,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의 최외연(65a)으로부터 이간(離間)되어, 대향면(65)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의 잉여 부재가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의 최외연(65a)에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접속부(90)의 타단은, 외측 개구연(66b)으로부터 이간되어,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의 잉여 부재가 제1 개구(66)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접속부(90)의 타단은, 제1 오목부(68)의 저부(68a)에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의 잉여 부재를 저부(68a)에 모을 수 있어서, 제1 오목부(68)가 효율적으로 잉여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접속부(92)의 타단은, 탱크 본체(60)의 제2 오목부(69)와 접합 또는 용접된다. 이로써, 제2 접속부(92)의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를 제2 오목부(69) 내에 모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접속부(92)의 잉여 부재가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사이에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접속부(92)의 타단은, 내측 개구연(66a)으로부터 이간되어,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제2 접속부(92)의 잉여 부재가 제1 개구(66)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부(92)의 타단은, 제2 개구연(67a)으로부터 이간되어, 대향면(65)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제2 접속부(92)의 잉여 부재가 제2 개구(67)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접속부(92)의 타단은, 제2 오목부(69)의 저부(69a)에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 접속부(92)의 잉여 부재를 저부(69a)에 모을 수 있어서, 제2 오목부(69)가 효율적으로 잉여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접속부(90)와 제2 접속부(92)는, 탱크 본체(60)와,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용접될 수 있다.
덮개(80)는, 탱크 본체(60)와 대향하는 대향면(80d)(제1 대향면의 일례에 상당한다)을 갖는다. 여기에서, 덮개(80)의 대향면(80d)이란, 길이 방향에서, 탱크 본체(60)와 직접 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또한, 대향면(80d)이란, 탱크 본체(60)와 직접 대향하고, 또한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는 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대향면(80d)은 최외연(80c)(제1 최외연의 일례에 상당한다)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는, 최외연(80c)은, 길이 방향에서 봐서 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외연(80c)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대향면(80d)은, 개구(80b)를 획정하는 개구연(80e)을 갖는다. 개구연(80e)은, 덮개(80)의 최내연(innermost edge)이라고 할 수도 있다.
덮개(80)가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를 통하여 탱크 본체(60)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탱크 본체(60)의 제1 개구(66)가 폐지된다. 이 때, 덮개(80)는 에어로졸 유로(61a)의 일부를 획정하고, 덮개(80)의 개구(80b)는, 에어로졸 유로(61a)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탱크 본체(60)의 제1 개구(66)가 덮개(80)에 의해 폐지되는 것에 의해, 덮개(80)는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52a)의 일부를 획정한다.
덮개(80)에는, 추가적으로, 덮개(80)의 대향면(80d)으로부터 뻗어 있는 가이드부(95)가 형성된다. 도 4a에 나타내듯이, 가이드부(95)는 길이 방향에서 봐서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95)의 형상은 임의적이며, 예를 들면 핀형의 복수의 가이드부(95)가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95)는 탱크 본체(60)의 제1 개구(66)에 감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부(95)는 제1 개구(66)를 획정하는 외측 개구연(66b)에 감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를 탱크 본체(60)에 접합 또는 용접할 경우에, 탱크 본체(60)에 대해서 덮개(8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95)가 제1 개구(66)의 외측 개구연(66b)에 감합하므로, 제1 접속부(90)로부터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66)를 향해 노출되는 것이 가이드부(95)에 의해 억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95)는 제1 접속부(90)의 잉여 부재가 제1 개구(66)에 파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95)는 제1 개구(66)를 획정하는 내측 개구연(66a)에 감합하도록 덮개(80)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측 개구연(66a)과 외측 개구연(66b)의 양쪽 모두에 감합하도록, 2개의 가이드부(95)가 덮개(80)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가이드부(95)는 제1 접속부(90) 또는 제2 접속부(92)보다, 길이 방향에서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탱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접속부의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덮개(80)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제1 접속부(90)와 덮개(80)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탱크 본체의 최외연(65a)을 향해 뻗어 있는 연재(延在)부(82)를 갖는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의 잉여 부재가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간극으로부터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가이드부(95)는 탱크 본체(60)와는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다. 이로써, 가이드부(95)로부터, 가이드부(95)가 용융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95)는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사이에 뻗어 있는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접속부(90)의 제1 오목부(68)와의 접속 개소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를 탱크 본체(60)(제1 오목부(68))에 접합 또는 용접할 때에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가이드부(95)에 의해 덮여서, 제1 개구(66)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80)가 탱크 본체(60)에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80)의 최외연(80c)과 탱크 본체(6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들은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다. 또한,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의 최외연(65a)과 덮개(80)의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되고, 이들은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다. 덮개(80)의 최외연(80c) 또는 탱크 본체(60)의 최외연(65a)이 어떤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되면, 이들 부분이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가 탱크(50)의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덮개(80)의 최외연(80c) 또는 탱크 본체(60)의 최외연(65a)이 어느 부분과도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최외연(80c) 및 최외연(65a)이 용융되는 일이 없어서, 이들 잉여 부재가 탱크(5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80)의 최외연(80c)과 탱크 본체(60)의 최외연(65a)이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80)의 최외연(80c)과 탱크 본체(60)의 최외연(65a)이 접합 또는 용접되면, 잉여 부재가 최외연(80c)과 최외연(65a)으로부터 노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덮개(80)의 최외연(80c)과 탱크 본체(60)의 최외연(65a)이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경우, 최외연(80c)과 최외연(65a)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탱크(50)는 덮개(80)의 최외연(80c)과 탱크 본체(60)의 최외연(65a)의 사이에 간극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사이에 발생한 잉여 부재가 이 간극에 머물 수 있으므로,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로부터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이 간극에 머물 수 있어서, 잉여 부재가 탱크(5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탱크(50)에서는 제1 개구(66)의 내측 개구연(66a) 또는 외측 개구연(66b)이 덮개(80)와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내측 개구연(66a) 또는 외측 개구연(66b)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지 않아, 제1 개구(66)(공간(52a))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에어로졸원 중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다고 오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탱크(50)에서는 제2 개구(67)의 제2 개구연(67a)이 덮개(80)와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 개구연(67a)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지 않아, 제2 개구(67)(에어로졸 유로(61a))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에어로졸이 잉여 부재에 응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50)에서는 덮개(80)의 개구(80b)를 획정하는 개구연(80e)이, 탱크 본체(60)와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개구연(80e)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지 않아, 개구(80b)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덮개(80)의 대향면(80d)과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은,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덮개(80)와 탱크 본체(60)는,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만을 통하여 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대향면(80d) 및 대향면(65)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결과, 잉여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듯이, 탱크 본체(60)의 제1 오목부(68)의 일부가 덮개(80)의 제1 접속부(90)의 일부(잉여 부재를 포함한다)에 의해 메워지는(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오목부(68)가 제1 접속부(90)에 의해 완전히 메워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오목부(68)는 제1 접속부(90)가 용융됨으로써 발생되는 잉여 부재의 전부를 수용할 수 있어, 잉여 부재가 제1 오목부(68)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60)의 제2 오목부(69)의 일부가 덮개(80)의 제2 접속부(92)의 일부(잉여 부재를 포함한다)에 의해 메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오목부(69)가 제2 접속부(92)에 의해 완전히 메워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 오목부(69)는 제2 접속부(92)가 용융됨으로써 발생되는 잉여 부재의 전부를 수용할 수 있어, 잉여 부재가 제2 오목부(69)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퍼 제품(100)의 카트리지(3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카트리지(30)의 제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듯이, 우선, 카트리지(30)를 구성하는 탱크 본체(60)를 준비한다. 이 때, 탱크 본체(60)는 제2 단부(60b)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있어서는, 탱크 본체(60)의 둘레벽(52)만이 나타나 있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내듯이, 개스킷(31)이 탱크 본체(60)의 개구(51)로부터 탱크 본체(6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때, 개스킷(31)의 삽입 구멍(31a)(도 2 참조)에 탱크 본체(60)의 유로관(61)이 삽입되고, 개스킷(31)은 탱크 본체(60)의 볼록부(63)(도 3b참조)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듯이, 메시체(32)가 탱크 본체(60)의 개구(51)로부터 탱크 본체(60)의 내부에 개스킷(31)과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이 때, 메시체(32)의 삽입 구멍(32a)(도 2 참조)에 탱크 본체(60)의 유로관(61)이 삽입된다. 그 후, 도 6d에 나타내듯이, 가열 어셈블리(38)가 탱크 본체(60)의 제2 단부(60b)에 접속되어 개구(51)가 폐지된다. 가열 어셈블리(38)의 일부는 개구(51)를 통하여 탱크 본체(60)의 내부에 삽입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6e에 나타내듯이, 가열 어셈블리(38)가 접속된 탱크 본체(60)의 공간(52a)에 에어로졸원(L1)이 충전된다. 이 때, 탱크 본체(60)는 제1 단부(60a)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f에 나타내듯이, 덮개(80)가 탱크 본체(60)의 제1 단부(60a)에,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합 또는 용접되어, 카트리지(30)가 제조된다. 가열 어셈블리(38)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유저 탱크 본체(60)에 에어로졸원(L1)을 넣으면, 에어로졸원(L1)이 탱크 본체(60)로부터 빠지는(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 어셈블리(38)의 조립까지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도 6a 내지 도 6e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에 의하면, 에어로졸원(L1)을 충전하기 전에 가열 어셈블리(38)를 탱크 본체(60)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6d에 나타내는 가열 어셈블리(38)가 접속된 탱크 본체(60)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에 수송하여, 다른 장소에서 도 6e 및 도 6f에 나타내듯이, 에어로졸원의 충전 및 덮개(80)의 접합 또는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f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탱크 본체(60)의 제1 오목부(68)의 일부가 덮개(80)의 제1 접속부(90)의 일부(잉여 부재를 포함한다)에 의해 메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오목부(68)가 제1 접속부(90)에 의해 완전히 메워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오목부(68)는 제1 접속부(90)가 용융됨으로써 발생되는 잉여 부재를 전부 수용할 수 있어서, 잉여 부재가 제1 오목부(68)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60)의 제2 오목부(69)의 일부가 덮개(80)의 제2 접속부(92)의 일부(잉여 부재를 포함한다)에 의해 메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오목부(69)가 제2 접속부(92)에 의해 완전히 메워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 오목부(69)는 제2 접속부(92)가 용융됨으로써 발생되는 잉여 부재를 전부 수용할 수 있어서, 잉여 부재가 제2 오목부(69)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f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덮개(80)의 대향면(80d)과 탱크 본체(60)의 대향면(65)이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도록,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탱크 본체(60)에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대향면(80d)과 대향면(65)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결과, 잉여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f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가이드부(95)가 제1 개구(66)(외측 개구연(66b))에 감합되는 것에 의해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위치가 맞춰진 상태로,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탱크 본체(60)에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95)는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와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뻗어 있는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 탱크 본체(60)와 접합 또는 용접되기 전의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보다 길다. 이로써, 제1 접속부(90) 및 제2 접속부(92)가 탱크 본체(60)와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에, 가이드부(95)를 제1 개구(66)에 감합시켜서, 덮개(80)와 탱크 본체(60)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떤 형상이나 재질이라도,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이하에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형태의 몇 가지를 기재한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베이퍼 제품의 일부에 도입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과,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상기 제2 부품은 오목부를 갖는다.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오목부에 접합 또는 용접된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제2 부품이, 접속부의 타단이 접합 또는 용접되는 오목부를 가지므로,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를 오목부 내에 모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이 증발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유로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므로, 이러한 에어로졸 유로 중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에어로졸이 잉여 부재에 응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2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 유로를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적어도 일부로 획정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앞서 설명한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소를 가지면서,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별체로 성형되었을 경우에 필요해지는 조합 공정이나 접착하는 공정은 생략되며, 감합부나 접착 개소가 없기 때문에 소형의 수지 부품이면서 소비자가 사용 시에 손에 쥐어도 파손되기 어려워 취급이 쉬워진다. 한편, 오목부와 에어로졸 유로의 형상은, 양 부품 각각이 금형으로 일체 성형 가능한 범위로 설계가 제약된다.
제3 형태는,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획정하므로, 이러한 공간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에어로졸원 중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다고 오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1 형태 및 제2 형태를 인용하는 제3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앞서 설명한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소를 갖거나,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면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형태에서 설명한 효용도 또한 얻을 수 있다.
제4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므로, 이러한 가열 요소에 대해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4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소비자가 그것을 사용할 때에, 가열 요소와 조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5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평판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평판부의 평면에 형성된 환형의 돌조부이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조부를 따라 뻗어 있는 홈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형태에 의하면, 환형의 돌조부가 환형의 홈에 접합 또는 용접된다. 이로써, 환형의 접합 또는 용접 개소에 있어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형의 돌조부가 환형의 홈에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에 의해, 제1 부품, 제2 부품, 및 접속부에 의해, 닫힌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이 공간을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제6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제2 부품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접속부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각각은,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접속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타단이 접합 또는 용접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타단이 접합 또는 용접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형태에 의하면, 환형의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에 각각 접합 또는 용접된다. 이로써, 환형의 접합 또는 용접 개소에 있어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형의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에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에 의해, 제1 부품, 제2 부품,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의해, 환형의 닫힌 공간과, 그 내측에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닫힌 공간을,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하고, 분리된 공간을 에어로졸 유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직접 대향하는 면을 말하며, 제1 부품의 대향면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의 사이에는 접속부 이외의 부재는 개재하지 않는다.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는 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7 형태는, 제6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동심원 상에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환형의 닫힌 공간의 중앙에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중앙의 공간을 에어로졸 유로로 할 수 있다.
제8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저부를 갖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오목부의 상기 저부에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형태에 의하면, 접속부의 타단이 오목부의 저부에 접합 또는 용접되므로,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를 저부에 모을 수 있어, 오목부가 효율적으로 잉여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제9 형태는, 제8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저부를 향해 상기 오목부의 폭이 축소하는 듯한 테이퍼면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형태에 의하면, 접속부의 타단을 오목부에 접합 또는 용접할 때, 접합부의 타단이 테이퍼면을 따라 가이드되므로, 접속부의 타단을 오목부의 저부에 용이하게 접합 또는 용접할 수 있다.
제10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9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접속부의 일부로 메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형태에 의하면, 오목부의 일부가 접속부에 의해 메워진다, 즉, 오목부 전부가 접속부에 의해 메워지지 않기 때문에, 오목부가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를 전부 수용할 수 있어서, 잉여 부재가 오목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1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내지 제10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덮개 부재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통형 부재이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통형 부재의 일단에 상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가열 어셈블리를 접속하여,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일단의 개구를 폐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상기 통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고, 상기 에어로졸원이 충전된 상기 통형 부재의 타단에 상기 접속부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열 어셈블리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유저 통형 부재에 에어로졸원을 넣으면, 에어로졸원이 통형 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 어셈블리의 조립까지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제11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기 전에 가열 어셈블리를 통형 부재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미리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통형 부재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에 수송하여, 다른 장소에서 에어로졸원의 충전 및 덮개 부재의 접합 또는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제12 형태는, 제11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타단에,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접속부를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내지 제10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부품에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접속부를 접합 또는 용접하여,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오목부의 일부를 상기 접속부의 일부로 메우는 것을 포함한다.
제13 형태에 의하면, 오목부의 일부가 접속부에 의해 메워진다, 즉, 오목부 전부가 접속부에 의해 메워지지 않기 때문에, 오목부가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를 전부 수용할 수 있어, 잉여 부재가 오목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4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과,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과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의 최외연을 갖는다.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최외연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대향면과 접합 또는 용접된다.
제14 형태에 의하면, 접속부가 제2 부품의 대향면의 최외연으로부터 이간되므로,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가 제2 부품의 대향면의 최외연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직접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제1 부품의 대향면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의 사이에는 접속부 이외의 부재는 개재하지 않는다.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는 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15 형태는, 제14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이 증발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유로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므로, 이러한 에어로졸 유로 중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에어로졸이 잉여 부재에 응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15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 유로를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적어도 일부로 획정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앞서 설명한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소를 가지면서,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별체로 성형되었을 경우에 필요해지는 조합 공정이나 접착하는 공정은 생략되며, 감합부나 접착 개소가 없기 때문에 소형의 수지 부품이면서 소비자가 사용 시에 손에 쥐어도 파손되기 어려워 취급이 쉬워진다. 한편, 오목부와 에어로졸 유로의 형상은, 양 부품 각각이 금형으로 일체 성형 가능한 범위로, 설계가 제약된다.
제16 형태는, 제14 형태 또는 제15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획정하므로, 이러한 공간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에어로졸원 중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다고 오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14 형태 및 제15 형태를 인용하는 제16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앞서 설명한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소를 갖거나,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면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제15 형태에서 설명한 효용도 또한 얻을 수 있다.
제17 형태는, 제14 형태 내지 제16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므로, 이러한 가열 요소에 대해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17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소비자가 그것을 사용할 때에 가열 요소와 조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8 형태는, 제14 형태 내지 제17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1 개구연을 갖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1 개구연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단면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 형태에 의하면, 제1 개구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9 형태는, 제18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를 획정하는 외측 개구연 및 내측 개구연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각각은,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접속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외측 개구연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고,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내측 개구연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 형태에 의하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가, 제1 개구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0 형태는, 제19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개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2 개구연을 갖고,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2 개구연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 형태에 의하면, 제2 접속부의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가 제2 개구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1 형태는, 제14 형태 내지 제20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접속부가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최외연을 향해 뻗어 있는 연재부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이 연재부를 가지므로, 잉여 부재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간극으로부터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2 형태에 의하면, 제14 형태 내지 제21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덮개 부재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통형 부재이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통형 부재의 일단에 상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가열 어셈블리를 접속하여,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일단의 개구를 폐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상기 통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고, 상기 에어로졸원이 충전된 상기 통형 부재의 타단에 상기 접속부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열 어셈블리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유저 통형 부재에 에어로졸원을 넣으면, 에어로졸원이 통형 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 어셈블리의 조립까지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제22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기 전에 가열 어셈블리를 통형 부재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미리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통형 부재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에 수송하여, 다른 장소에서 에어로졸원의 충전 및 덮개 부재의 접합 또는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제23 형태는, 제22 형태의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타단에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접속부를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4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베이퍼 제품의 일부에 도입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과,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제2 부품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과 상기 제1 대향면의 제1 최외연을 갖는다.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의 제2 최외연을 갖는다. 상기 제1 최외연과 상기 제2 부품은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고, 또한 상기 제2 최외연과 상기 제1 부품은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다.
제1 최외연 또는 제2 최외연이 어떤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면, 이들 부분이 용융된 재료(잉여 부재)가 부품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제24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의 제1 최외연과 제2 부품의 제2 최외연이 어느 부분과도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최외연 및 제2 최외연이 용융되는 일이 없어, 이들의 잉여 부재가 부품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부품의 「제1 대향면」 및 제2 부품의 「제2 대향면」이란, 각각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직접 대향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면을 말하며, 제1 부품의 대향면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의 사이에는 접속부 이외의 부재는 개재하지 않는다.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는 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25 형태는, 제24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이 증발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유로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5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므로, 이러한 에어로졸 유로 중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에어로졸이 잉여 부재에 응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25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 유로를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적어도 일부로 획정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앞서 설명한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소를 가지면서,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별체로 성형되었을 경우에 필요해지는 조합 공정이나 접착하는 공정이 생략되며, 감합부나 접착 개소가 없기 때문에 소형의 수지 부품이면서 소비자가 사용 시에 손에 쥐어도 파손되기 어려워 취급이 쉬워진다. 한편, 오목부와 에어로졸 유로의 형상은, 양 부품 각각이 금형으로 일체 성형 가능한 범위로, 설계가 제약된다.
제26 형태는, 제24 형태 또는 제25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6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획정하므로, 이러한 공간에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에어로졸원 중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다고 오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24 형태 및 제25 형태를 인용하는 제26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앞서 설명한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소를 갖거나,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면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제25 형태에서 설명한 효용도 또한 얻을 수 있다.
제27 형태는, 제24 형태 내지 제26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7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므로, 이러한 가열 요소에 대해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27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소비자가 그것을 사용할 때에, 가열 요소와 조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28 형태는, 제24 형태 내지 제27 형태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최외연과 상기 제2 최외연이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 부품의 제1 최외연과 제2 부품의 제2 최외연이 접합 또는 용접되면, 잉여 부재가 제1 최외연 및 제2 최외연으로부터 노출된다. 이에 대해서, 제28 형태에 의하면, 제1 최외연과 제2 최외연이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최외연과 제2 최외연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9 형태는, 제28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최외연과 상기 제2 최외연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9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에 발생한 잉여 부재가 머물 수 있는 간극을 가지므로,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는 접속부로부터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다.
제30 형태는, 제24 형태 내지 제29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2 대향면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1 개구연을 갖고, 상기 제1 개구연은 상기 제1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0 형태에 의하면, 제1 개구연이 제1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제1 개구연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지 않아, 제1 개구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1 형태는, 제30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를 획정하는 외측 개구연 및 내측 개구연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개구연 및 상기 내측 개구연은 상기 제1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1 형태에 의하면, 외측 개구연 및 내측 개구연이 제1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외측 개구연 및 내측 개구연으로부터 제1 개구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2 형태는, 제31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2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개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2 개구연을 갖고, 상기 제2 개구연은 상기 제1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2 형태에 의하면, 제2 개구연이 제1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제2 개구연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지 않아, 제2 개구로 잉여 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3 형태는, 제24 형태 내지 제32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의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부품의 제2 대향면은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3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의 제1 대향면과 제2 부품의 제2 대향면이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결과, 잉여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34 형태에 의하면, 제24 형태 내지 제33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덮개 부재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통형 부재이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통형 부재의 일단에 상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가열 어셈블리를 접속하여,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일단의 개구를 폐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상기 통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고, 상기 에어로졸원이 충전된 상기 통형 부재의 타단에 상기 접속부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열 어셈블리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유저 통형 부재에 에어로졸원을 넣으면, 에어로졸원이 통형 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 어셈블리의 조립까지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제34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기 전에 가열 어셈블리를 통형 부재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미리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통형 부재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에 수송하여, 다른 장소에서 에어로졸원의 충전 및 덮개 부재의 접합 또는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제35 형태는, 제33 형태의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타단에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접속부를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6 형태에 의하면, 제24 형태 내지 제33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부품의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부품의 제2 대향면이 서로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도록,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을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6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의 제1 대향면과 제2 부품의 제2 대향면이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으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결과, 잉여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37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베이퍼 제품의 일부에 도입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과,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속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에 뻗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제1 부품으로부터 뻗어, 상기 제2 부품과는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가이드부를 갖는다.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가이드부가 감합하는 수용부를 갖는다.
제37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이 가이드부를 갖고, 제2 부품이 수용부를 가지므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경우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이드부는 제2 부품에는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감합」이란 가이드부와 수용부가 간극 없이 감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부품에 대한 접속부의 위치를 허용 범위에 가이드할 수 있는 정도로 가이드부와 수용부 사이에 간극을 가지면서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감합」에는 「여유 감합(loosely fit)」도 포함될 수 있다.
제38 형태는, 제37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이 증발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유로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8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므로, 이러한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때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에어로졸 유로를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38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 유로를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적어도 일부로 획정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별체로 성형되었을 경우에 필요한 조합 공정이나 접착하는 공정이 생략되며, 감합부나 접착 개소가 없기 때문에 소형의 수지 부품이면서 소비자가 사용 시에 손에 쥐어도 파손되기 어려워 취급이 쉬워진다. 한편, 에어로졸 유로의 형상은 양 부품 각각이 금형으로 일체 성형 가능한 범위로, 설계가 제약된다.
제39 형태는, 제37 형태 또는 제38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9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획정하므로, 이러한 공간을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경우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을 획정하는 부품에 있어서,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37 형태 및 제38 형태를 인용하는 제39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것은, 양 부품은 각각 에어로졸 유로를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하는 개소를 가지면서,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구성하는 개소를 갖도록, 일체로 금형 성형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제38 형태에서 설명한 효용도 또한 얻을 수 있다.
제40 형태는, 제37 형태 내지 제39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0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므로, 이러한 가열 요소를 수용하는 부품에 있어서, 접속부를 개재하여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접속할 경우에, 가이드부가 수용부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열 요소를 수용하는 부품에 있어서, 가이드부로부터 잉여 부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40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는, 소비자가 그것을 사용할 때에 가열 요소와 조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41 형태는, 제37 형태 내지 제40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에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1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접속부의 타단을 측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므로, 접속부를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할 때에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가이드부에 의해 덮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2 형태는, 제37 형태 내지 제41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과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1 개구연을 갖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개구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42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제1 개구에 감합함으로써,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가 제1 개구에 감합하므로, 접속부로부터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를 향해 노출되는 것이 가이드부에 의해 억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직접 대향하는 면을 말하며, 제1 부품의 대향면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의 사이에는 접속부 이외의 부재는 개재하지 않는다.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대향면」이란, 접속부가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는 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43 형태는, 제42 형태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를 획정하는 외측 개구연 및 내측 개구연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외측 개구연 또는 상기 내측 개구연과 감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3 형태에 의하면, 환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가 제1 개구의 외측 개구연 또는 내측 개구연에 대해서 감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가 외측 개구연 또는 내측 개구연에 감합하므로, 접속부로부터 발생되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를 향해 노출되는 것이 가이드부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는 잉여 부재가 제1 개구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4 형태에 의하면, 제37 형태 내지 제43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덮개 부재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통형 부재이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통형 부재의 일단에 상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가열 어셈블리를 접속하여,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일단의 개구를 폐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상기 통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고, 상기 에어로졸원이 충전된 상기 통형 부재의 타단에 상기 접속부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열 어셈블리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유저 통형 부재에 에어로졸원을 넣으면, 에어로졸원이 통형 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 어셈블리의 조립까지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제44 형태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기 전에 가열 어셈블리를 통형 부재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미리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통형 부재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조하고, 그 후에 수송하여, 다른 장소에서 에어로졸원의 충전 및 덮개 부재의 접합 또는 용접을 실시할 수 있다.
제45 형태는, 제44 형태의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타단에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접속부를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6 형태에 의하면, 제37 형태 내지 제43 형태 중 어느 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수용부에 감합시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추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을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제46 형태에 의하면, 제1 부품에 접속된 접속부를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할 경우에, 가이드부를 수용부에 감합시켜, 제2 부품에 대해서 접속부 및 제1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47 형태는, 제46 형태의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와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접속부가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의 상기 접속부보다 길고,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을 상기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수용부에 감합시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추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7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부가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의 접속부보다 길기 때문에, 제1 부품에 접속된 접속부를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에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제48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내지 제47 형태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베이퍼 제품이 제공된다.
30:카트리지
33b:전열선
38:가열 어셈블리
50:탱크
51:개구
52:둘레벽
52a:공간
60:탱크 본체
60a:제1 단부
60b:제2 단부
61a:에어로졸 유로
65:대향면
65a:최외연
66:제1 개구
66a:내측 개구연
66b:외측 개구연
67:제2 개구
67a:제2 개구연
68:제1 오목부
68a:저부
68b:테이퍼면
69:제2 오목부
69a:저부
69b:테이퍼면
80:덮개
80a:평판부
80b:개구
80c:최외연
80d:대향면
80e:개구연
82:연재부
90:제1 접속부
92:제2 접속부
95:가이드부
100:베이퍼 제품
L1:에어로졸원

Claims (11)

  1.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베이퍼 제품의 일부에 도입되는 카트리지로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지로 형성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과,
    일단이 상기 제1 부품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부품과 접속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에 뻗어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제1 부품으로부터 뻗어, 상기 제2 부품과는 접합 또는 용접되지 않는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가이드부가 감합하는 수용부를 갖는, 카트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이 증발되어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에어로졸 유로를 갖고,
    상기 에어로졸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카트리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정되는, 카트리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되는, 카트리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에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카트리지.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과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제1 개구연을 갖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개구인, 카트리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서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개구연은, 상기 제1 개구를 획정하는 외측 개구연 및 내측 개구연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사이를 뻗어 있는 방향에서 보아 환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외측 개구연 또는 상기 내측 개구연과 감합하는, 카트리지.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부품은 덮개 부재이고, 상기 제2 부품은 통형 부재이며,
    상기 통형 부재의 일단에 상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가열 어셈블리를 접속하여,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일단의 개구를 폐지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접속된 상기 통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에어로졸원을 충전하고,
    상기 에어로졸원이 충전된 상기 통형 부재의 타단에 상기 접속부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타단에,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접속부를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수용부에 감합시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추고,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을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속부와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접속부가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과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의 상기 접속부보다 길고,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접속부의 상기 타단을 상기 제2 부품에 접합 또는 용접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수용부에 감합시켜,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의 위치를 맞추는 것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1020217039803A 2020-11-16 2020-11-16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20220067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2580 WO2022102118A1 (ja) 2020-11-16 2020-11-16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530A true KR20220067530A (ko) 2022-05-24

Family

ID=8160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803A KR20220067530A (ko) 2020-11-16 2020-11-16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40578A1 (ko)
EP (1) EP4026436A4 (ko)
JP (1) JP7240532B2 (ko)
KR (1) KR20220067530A (ko)
CN (1) CN114828669A (ko)
CA (1) CA3156294A1 (ko)
WO (1) WO202210211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681A (ko) 2015-06-23 2018-02-26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장방형 다이어프램 밸브
KR20200023540A (ko) 2016-07-14 2020-03-04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KR20200081849A (ko) 2018-12-28 2020-07-08 박창길 가스 검출 센서 연동형 비상 방송 시스템
US20200214343A1 (en) 2016-07-14 2020-07-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and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17B2 (ja) * 1986-03-24 1995-03-01 日本電装株式会社 超音波溶着部材および超音波溶着方法
JP3967529B2 (ja) * 2000-07-07 2007-08-2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ポンプ装置
CN103416853B (zh) * 2013-08-07 2016-08-10 林光榕 电子烟超声熔接结构、超声熔接模具及超声熔接方法
ITUA20163828A1 (it) 2016-05-26 2017-11-26 Gd Spa Sonotrodo per la saldatura ad ultrasuoni di componenti plastici di una sigaretta elettronica
US10015991B1 (en) * 2016-12-29 2018-07-10 Altria Client Services Llc Hybrid E-vaping cartridge, E-vaping device including a hybrid E-vaping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20200022418A1 (en) 2018-07-23 2020-01-23 Juul Labs, Inc. Cartridge for vaporizer device
IE20190173A1 (en) 2018-10-17 2021-02-03 Juul Labs Inc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681A (ko) 2015-06-23 2018-02-26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장방형 다이어프램 밸브
KR20200023540A (ko) 2016-07-14 2020-03-04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US20200214343A1 (en) 2016-07-14 2020-07-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and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KR20200081849A (ko) 2018-12-28 2020-07-08 박창길 가스 검출 센서 연동형 비상 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6436A4 (en) 2023-07-05
US20220240578A1 (en) 2022-08-04
JPWO2022102118A1 (ko) 2022-05-19
CA3156294A1 (en) 2022-05-16
WO2022102118A1 (ja) 2022-05-19
EP4026436A1 (en) 2022-07-13
JP7240532B2 (ja) 2023-03-15
CN114828669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85676C (en) Vapour provision cartridge and system
EP3087853A1 (en) Electronic smoking device and cartomizer
CN107105778B (zh) 电子吸烟装置
CA3127610A1 (en) Vapour provision systems
KR20220067530A (ko)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20220067529A (ko)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20220067528A (ko)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20220067527A (ko)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FR3103084A1 (fr) Cigarette électronique à nébulisation
WO2019087414A1 (ja) 霧化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JP2022511680A (ja) 蒸気供給システム用の構成要素
RU2795657C1 (ru) Картридж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ртриджа
RU2798757C1 (ru) Картридж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ртриджа
RU2796488C1 (ru) Картридж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ртриджа
WO2020183521A1 (ja) 吸引器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引器
CN211832810U (zh) 基于超声波焊接密封的烟弹和电子烟
US20240023616A1 (en) A Vapour Generating System
CN117858633A (zh)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烟弹
WO2022034007A1 (en)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