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406A -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 Google Patents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406A
KR20220067406A KR1020200154064A KR20200154064A KR20220067406A KR 20220067406 A KR20220067406 A KR 20220067406A KR 1020200154064 A KR1020200154064 A KR 1020200154064A KR 20200154064 A KR20200154064 A KR 20200154064A KR 20220067406 A KR20220067406 A KR 2022006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ntainer
concentrate
drink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20015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406A/ko
Publication of KR2022006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음용 용기와 상기 음용 용기에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에서, 상기 농축액 용기에는 농축액이 담겨지는 챔버, 농축액이 음용 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구, 상기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가 결합되어 농축액과 음용수가 혼합된 상태인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기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의 내부 직경의 크기는 음용 용기 배출구의 외부외 결합되도록 크기가 만들어지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 내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이 음용 용기 배출구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므로서, 고농도 엑기스 등과 같은 첨가물의 장기간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고, 물류비를 절감하며, 첨가물이 일정량 수용된 혼합 용기를 음용물이 수용된 음용 용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간편하게 첨가물과 음용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최적의 맛으로 음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The concentrate container combined with drin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첨가물이 수용된 농축액 용기를 음용물이 수용된 음용 용기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첨가물과 음용물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는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매실, 오미자, 산야초 등을 설탕과 혼합하여 발효시킨 매실청, 오미자청, 산야초 발효액 등은 물에 희석하여, 음식을 먹은 후 디저트로 마시거나 다과와 함께 차로 즐겨 마시는 음료이다.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음료 트렌드는 에너지음료에 이온음료를 섞거나, 음료베이스에 과즙이나 시럽을 더한 혼합 음료이다.
다이어트와 디톡스에 좋은 헛개음료를 베이스로 하여 레몬이나 라임, 모히토나 메이플 시럽 등을 비율에 맞게 섞은 혼합 음료는 깔끔하고 풍미가 담백하여 인기가 좋다.
한편, 당도가 높거나 염도가 높은 물질은 인공적으로 방부제를 첨가하거나 내용물을 고온 살균하지 않아도 잘 부패되지 않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음료는 염도가 매우 낮고 당도도 15브릭스 내외로 상온에서 변질되거나 부패하기 쉽기 때문에, 유통기한을 포함한 소비자에게 판매될 시점까지의 보존기간을 길게 하기 위하여 음료를 고온 살균하거나, 방부제를 다량 첨가한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음료는 물과 첨가물(고농도의 엑기스)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는 보틀링 공정을 통해 제품을 생산한다. 혼합된 음료는 다량의 물과 엑기스가 혼합된 상태로 유통되므로 유통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보존 기간을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부득이하게 방부제를 추가하거나 고온 살균을 하므로, 고온 처리 과정에서 영양성분이 파괴 되거나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같이 섭취 할 수도 있다.
또는, 소비자가 직접 메이플 시럽, 매실효소, 감식초, 레몬즙, 꿀 등과 같은 고농도 엑기스를 물과 희석하여 음용한다. 이 때, 고농도 엑기스와 물을 희석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며, 소비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고농도 엑기스 등과 같은 첨가물이 일정량 수용된 별도의 농축액 용기를 음용물이 수용된 음용 용기에 장착하여, 첨가물과 음용물을 간편하게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는 농축액 용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 선행 기술 문헌 -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00728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 엑기스 등과 같은 첨가물의 장기간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고, 물류비를 절감하며, 첨가물이 일정량 수용된 농축액 용기를 음용물이 수용된 음용 용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첨가물과 음용물을 최적의 맛으로 음용할 수 있는 농축액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음용 용기와 상기 음용 용기에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에서, 상기 농축액 용기에는 농축액이 담겨지는 챔버, 농축액이 음용 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구, 상기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가 결합되어 농축액과 음용수가 혼합된 상태인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기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의 내부 직경의 크기는 음용 용기 배출구의 외부외 결합되도록 크기가 만들어지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 내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이 음용 용기 배출구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용 용기의 배출구가 농축액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의 방법으로, 음용 용기의 배출구가 농축액 용기의 챔버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농축액 용기의 챔버와 농축 용기의 배출구 사이에 상하 이동 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하 이동 밸브는 상기 챔버 내에 농축액이 배출구 방향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음용 용기와 상기 음용 용기에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에서, 상기 농축액 용기에는 농축액이 담겨지는 챔버, 농축액이 음용 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구, 상기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가 결합되어 농축액과 음용수가 혼합된 상태인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기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 상단에는 출구 손잡이와 출구 삽입부가 존재하고, 상기 출구 손잡이는 농축액 용기 배출구 상단에 노출되게 존재하고, 상기 출구 삽입부는 농축액 용기 배출구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외부로 노출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출구 삽입부가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 외부로 노출되면, 상하 이동 밸브가 이동하여, 챔버 내부의 농축액이 배출구로 배출되고, 혹은 상기 출구 삽입부와 상기 상하 이동 밸브는 밸브 연결바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농도 엑기스 등과 같은 첨가물의 장기간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고, 물류비를 절감하며, 첨가물이 일정량 수용된 혼합 용기를 음용물이 수용된 음용 용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간편하게 첨가물과 음용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최적의 맛으로 음용할 수 있다.
도 1 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6은 농축액 용기와 음용 용기가 결합되고, 농축액이 음용용기 안으로 흘러들어 가게 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내지 도 9는 밸브 마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설계 조건에 대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밸브 마개에 의하여 농축액 용기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챔버와 배출구 사이의 밀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내지 도 19는 커넥터가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0는 커넥터 내부에 구비된 밀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제 1 실시예의 방법에서 밀대 돌기 혹은 밀대날이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내지 도 28는 밸브 마개를 열어주게 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29는 챔버를 2개 연속 연결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음용물은 음용 가능한 식수, 생수, 주류 등을 의미하고, 농축액은 고농도 엑기스, 일정 농도를 갖는 농축액 등을 총칭함을 미리 밝혀둔다.
- 제 1 실시예 -
도 1 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은 음용 용기(100)와 농축액 용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음용 용기(100) 에는 음용 가능한 식수, 생수, 주류 등이 담겨져 있고, 농축액 용기(10)에는 고농도 액기스, 일정 농도를 가지는 농축액 등이 담겨져 있다.
농축액 용기(10)는 농축액이 담겨져 있는 챔버(13), 농축액이 아래로 배출되는 배출구(35), 배출구를 막는 배출구의 뚜껑 역할을 하는 배출구 캡(35b), 농축액 용기(10)와 음용 용기(100)가 결합된 형태에서 혼합액(음용물과 농축액의 혼합액)이 배출되는 용기 출구(19), 및 용기 출구를 막는 뚜껑에 해당되는 용기 캡(8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음용 용기(100)는 음용물이 담겨진 용기 챔버(110), 음용물이 배출되는 음용 용기 배출구(101) 및 상기 용기 배출구(101)를 막는 뚜껑 역할을 하는 음용 용기 캡(102)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음용 용기 배출구(101)에서 음용 용기 캡(102)을 분리한 후에, 농축액 용기(10)의 배출구(35)에서도 배출구 캡(35b)을 분리하고, 음용 용기 배출구(101)에 농축액 용기 배출구(35)를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도 3내지 도 6은 농축액 용기와 음용 용기가 결합되고, 농축액이 음용용기 안으로 흘러들어 가게 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농축액 용기(10)와 음용 용기(100)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 도면으로, 농축액이 챔버(13)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 마개(13a)가 챔버(13)와 배출구(35) 경계 부분에 존재하고, 배출구(35) 내부에는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배출구 나사(35a)가 구비된다. 또한, 음용 용기 배출구(101)에도 배출구 나사(101a)가 구비된다.
도 4는 농축액 용기(10)와 음용 용기(100)가 결합되기 시작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농축액 용기 배출구 나사(35a)와 음용 용기 배출구 나사(101a)가 결합되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농축액 용기(10)의 배출구(35) 직경의 크기는 음용 용기 배출구(101)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하고, 농축액 용기(10)의 배출구(35) 안으로 음용 용기 배출구(101)가 결합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5에서는 밸브 마개가 제거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농축액 용기(10)의 배출구(35) 안으로 음용 용기 배출구(101)가 결합되면서,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도 5 에서 화살표(E)가 가르키는 부분)이 밸브 마개(13a)을 점점 밀어 내어, 결과적으로 챔버(13)의 배출구(35)가 열리고 챔버(13) 내의 농축액이 배출구(35) 밖으로 흘러 나온 다음, 음용 용기 배출구(101)를 통하여 음용 용기 안으로 흘러 들러가게 된다.
즉, 음용 용기(100)와 농축액 용기(10)에 통로가 만들어서 서로 섞이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음용 용기 배출구(101)가 농축액 용기 배출구(35)를 지나서 챔버(13)안으로 진행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의 음용 용기 배출구(101) 끝단(도면에서 화살표(E)가 가르키는 부분)이 챔버(13)안으로까지 진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진행되는 정도는 5mm로 매우 작아도 된다. 실질적으로는 음용 용기 배출구(101) 끝단이 챔버(13) 안으로 1mm 이내만 진행되어도 밸브 마개(13a)를 열어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7내지 도 9는 밸브 마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밸브의 구체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농축액 용기의 챔버(13)와 배출구(35) 부분에서 농축액이 챔버(13)에서 나오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밸브 머리(13b),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도 5에서 화살표(E)가 가르키는 부분)에 밀려서 밸브 머리(13b)를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밸브 밀대(13c), 밸브 밀대(13c)와 밸브 머리(13b)를 연결하여 주는 밸브 연결대(13d) 및 상기 밸브 머리(13b)가 장착되는 밸브 틀(13e)로 각각 구성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밸브 머리(13b)가 밸브 틀(13e) 안에 장착되어 있다가 밸브 밀대(13c)가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에 의하여 밀려서 이동하면, 밸브 머리(13b)가 밸브 틀(13e)에서 벗어나게 된다. (도 7의 왼쪽 도면이 밸브 머리(13b)가 밸브틀(13e) 안에 위치한 도면이고, 도 7의 오른쪽 도면이 밸브 머리(13b)가 밸브틀(13e) 안에서 벗어난 도면이다.)
이때, 밸브 틀(13e)는 밸브 머리(13b)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밸브 틀(13e)로 인하여, 밸브 머리(13b)와 밸브 밀대(13c)가 일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게 된다. 도면에서 생략 되었지만 밸브 틀(13e)에 의하여 밸브 밀대(13c)가 걸리도록 밸브 틀(13e)하부가 만들어져서, 밸브 머리(13b)와 밸브 밀대(13c)가 정해진 영역에서 벗어나서 용기 출구(19)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
또한, 밸브 틀(13e) 하부에 의하여 밸브 머리(13b)가 정해진 영역에서 벗어나서 방향으로 배출구(35)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한다.
도 8은 밸브 연결대(13d)가 2단으로(혹은 2단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밸브 머리(13b)와 밸브 밀대(13c) 사이에 탄성체(혹은 스프링)(13f)가 구비되게 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밸브 머리(13b)를 밸브 밀대(13c)에서 더 밀어 내게 된다.
상기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1) 밸브 머리(13b)가 챔버(13)와 배출구(35)사이에 점착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점착은 힘을 가하면 분리될 정도의 부착을 의미한다.
2)밸브 밀대(13c)에 의하여 밸브 연결대(13d)가 밀리면 밸브 머리(13b)가 밀리게 되어, 밸브 머리(13b)가 챔버(13)와 배출구(35)사이에 챔버(13) 안으로 이동하게 된다.
3) 탄성체(13f)에 의하여 밸브 머리(13b)가 더 밀려서, 밸브 머리(13b)는 챔버(13) 안으로 더 들어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챔버(13) 안에 농축액이 농축액 용기의 배출구(35) 밖으로 더 잘나오게 된다.
도 9는 밸브 밀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밸브 밀대(13c)는 음용 용기의 배출구(101) 끝단에 밀리는 기능을 하지만, 농축액 혹은 혼합액(농축액과 음용수의 혼합액)이 이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 특징은 아래아 같다.
밸브 밀대(13b)는 가장자리가 형성되어야 한다.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도 5에서 화살표(E)가 가르키는 부분)에 밀려야 하므로 밸브 밀대(13b)는 가장자리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A)에서처럼, 상기 밸브 밀대(13b)의 가장자리의 폭(w)는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도 5에서 화살표(E)가 가르키는 부분)의 폭 보다는 넓어야 한다.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에 의하여 밸브 밀대(13b)가 밀려야 하기 때문이다.
도 (B)에서처럼, 밸브 밀대(13b)의 가장자리 중에서 일부만 두껍게 형성되고(13c-2), 두껍게 형성(13c-2)되지 않은 다른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즉, 두껍게 형성(13c-2)되지 않은 다른 부분은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도 된다.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에 의하여 밀리는 부분이 두껍게 형성(13c-2)되는 부분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C)에서 처럼 밸브 밀대(13b)의 가장자리 중에서 일부만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부분(13c-2)을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끝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하여도 된다.
밸브 밀대(13b)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밸브 바(13c-1)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밸브 바(13c-1)가 서로 교차되는 부분(도 (C)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 밸브 연결대(13d)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물론, 밸브 밀대 내에 밸브 연결대(13d)의 연결이 가능한 곳이라면 상기의 위치가 아닌 곳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밸브 밀대, 밸브 바, 가장자리 및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은 단가 절감을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밸브 연결대(13d) 일부 혹은 전체도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10과 도 11은 설계 조건에 대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액 용기 챔버(13)의 직경(CD)의 크기는 농축액 용기 배출구(35)의 크기보다 커야 한다. 농축액 용기의 용량이 어느 정도는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농축액 용기(10)는 휴대용 음용 용기(10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인용 휴대용 음용 용기(100)의 크기는 보통 500 ml 이므로, 농축액 용기의 챔버(13)의 용량도 그에 맞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즉 농축액 용기 챔버(13)의 크기는 최대 500/3 ml 를 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대 15배 정도의 희석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농축액 용기 챔버(13)의 크기는 최소한 33.3 ml(500/15 ml) 이상은 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챔버(13) 내에 농축액이 배출구(35)로 모두 배출되기 위하여서는, 챔버(13)와 배출구(35)사이의 경계를 수평으로 연장하였을 때 상기 수평선(도 10에서 level로 표시된 화살표)보다는 위에 챔버(13)가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도 11은 밸브 마개(13a)가 이동하는 거리 혹은, 밸브 마개(13a)가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난 도면이다.
배출구(35) 내에서 밸브 마개(13b)가 위치하는 길이(VL)은 배출구(35)의 길이(OL)보다 작게 된다. 음용 용기의 배출구(101)을 농축액 용기의 배출구(35)에 내에 결합시킬 때 나사결합의 방법(회전 시키는 방법)으로 결합되기만, 나사의 방법이 필요 없이 음용 용기의 배출구(101)를 농축액 용기의 배출구(35)에 내에 삽입 시킬 수 있는 거리에는 밸브 마개(13b)가 위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밸브 마개(13b)가 위치하는 길이(VL)은 밸브 마개(13b)의 최대 가능한 길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밸브 마개(13a) 자체의 길이를 의미하지만, 도 7과 8의 실시예에서는 밸브 밀대(13c)에서 밸브 머리(13b)를 포함한 길이가 된다.
한편,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밸브 연결대(13d)가 탄성체의 작용에 의하여 2단 이상으로 늘어 날 수 있으며, 따라서 밸브 마개(13a)가 이동하는 거리(MD)는 음용 용기 배출구(101) 끝 부분(도 5에서 화살표(E)가 표시된 부분)이 이동하는 거리보다 길게 된다. 만일 상기 탄성체의 작용이 없으면 상기 거리(MD)는 배출구(101) 끝 부분(도 5에서 화살표(E)가 표시된 부분)이 이동하는 거리와 같게 된다.
도 12와 도 13은 밸브 마개에 의하여 농축액 용기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밸브 틀(13e) 내에 장착된 밸브 머리(13b)가 밸브 연결대(13d)에 밀려서 밸브 틀(13e)를 벗어나 챔버(13) 내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챔버(13)은 개방되어 농축액이 배출구(35)로 나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밸브 머리(13b)의 처음 위치가 배출구(35) 내인 경우이고, 도 13은 밸브 머리(13b)의 처음 위치가 챔버(13) 내인 경우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밸브 머리(13b)의 처음 위치가 챔버(13)와 배출구(35)에 모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밸브 밀대(c)는 도시 생략되었다.
도 14는 챔버와 배출구 사이의 밀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배출구(35)를 막아 주는 밸브 마개(13a)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밀봉 효과를 더 높인다. 그리고, 밸브 마개(13e)와 배출구(35) 상단이 만나는 부분(도 14에서 화살표가 표시된 부분)에는 점착되게 된다. 즉 힘을 주면 분리되는 부착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만나는 부분의 밸브 마개(13a)는 탄성력 있는 수지나 고무가 사용된다.
한편, 밸브 마개(13e)와 배출구(35) 상단이 만나는 부분(도 14에서 화살표가 표시된 부분)에는 밸브 틀(13e)이 그역할을 할 수가 있다.(도 12와 13참조)
아울러, 도 6도과 도 10에서 도 14까지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도시 편의상 농축액 용기 출구(19)와 농축액 용기 캡(80)은 도시 생략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1과 도 2의 실시예에서처럼 농축액 용기 출구(19)와 농축액 용기 캡(80)이 구비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 제 2 실시예 -
도 15내지 도 19는 커넥터가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5의 실시예와 같이, 농축액 용기의 배출구(35)에 커넥터(30)가 더 구비되고, 도 16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커넥터(30)의 커넥터 나사와 음용 용기 배출구(101)의 나사가 회전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30)과 음용 용기 배출구(101)이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도 17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커넥터(30) 외부에 형성된 나사(30a)와 배출구 나사(35a)가 회전 이동되는 방법으로 커넥터(30)가 배출구(35) 내부에서 챔버(1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커텍터(30) 끝 부분(도 17에서 화살표가 가르킨 부분)이 밸브 마개(13a)를 밀어주게 된다.
그렇게 되면, 챔버(13)와 배출구(35) 사이로 농축액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밸브 마개(13a)를 밀어주는 다양한 방법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커넥테 내부에 밀대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밸브 마개(13a)를 커텍터(30) 끝 부분(도 17에서 화살표가 가르킨 부분)이 밀어 줄수도 있지만, 커텍터(30) 내부에 밀대가 구비되어 상기 밀대가 밸브 마개(13a)를 밀어주게 할 수 있다.
도 18의 실시예에서처럼, 커텍터(30) 내부에 구비된 밀대는, 밸브 마개(13a)를 밀어 주는 밀대 머리(15c), 밀대를 지지하는 밀대 암(arm)(15a), 밀대 암(15a)과 밀대 머리(15c)를 연결하는 밀대 연결대(15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텍터(30) 내부에 구비된 밀대의 구조는 도 7과 도 8의 밸브 구조와 유사하게 된다. 즉 밀대 암(15a)는 도 9의 실시예에서처럼 밀대 연결대(15b)를 커넥터(30) 내부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액체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밀대 연결대(15b)는 바(bar) 형태로 밀대 머리(15c)와 밀대 암(15a)을 연결해주고 밀대 머리(15c)를 밀대 암(15a)에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밀대 머리(15c)는 밸브 마개(13a)를 밀어주는 기능을 하므로 판상의 형태이면 가능하고 판상의 형상이지만, 도7과 도8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밸브 밀대(13c)의 형상처럼 액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밀대 머리(15c)의 일부가 개방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9는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커넥터(30) 하부(도면에서 볼 때 하부)에는 음용 용기의 배출구(101)이 결합되고, 커넥터(30) 상부(도면에서 볼 때 상부)에는 챔버의 배출구(35)가 결합된다.
이때, 커넥터(30)의 안쪽으로는 음용 용기의 배출구(101)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커넥터(30) 바깥쪽은 챔버의 배출구(35) 안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이때, 챔버 결합 나사부(30a-1)와 음용 용기 결합 나사부(30a-2)가 커넥터에서 존재하는 영역이 서로 다르고 단차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즉, 챔버 결합 나사부(30a-1)가 형성된 부분의 커넥터(30) 두께가 음용 용기 결합 나사부(30a-2)가 형성된 부분의 커넥터(30) 두께 보다 더 얇다.
한편, 챔버 배출구(35)와 커넥터의 두꺼운 영역 사이에 고정부(60)와 고정 손잡이(61)가 존재하여, 커넥터(30)와 챔버의 배출구(35)가 서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 손잡이(61)를 사용하여 고정부(60)를 제거하므로서, 커넥터(30)와 챔버의 배출구(35)가 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서 도시 생략되었지만, 커넥터(30)를 덮어주는 캡이 존재하게 된다.
- 제 3 실시예 -
도 20는 커넥터 내부에 구비된 밀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A)는 밀대 머리(15c) 대신 밀대 날(15d)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20의(B)는 밀대 머리(15c) 대신 밀대 돌기(15e)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밀대 머리(15c) 대신 밀대 날(15d)이 구비되기 위하여서는, 밸브 마개(13b) 대신에 차단 막(도면에서는 도시 생략됨.)이 구비되어야 한다. 차단 막은 수지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필름 형태로 찢겨짐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막은 농축액을 챔버(13) 내에 가두어 주는 역할을 하지만 밀대 날(15d)에 의하여 찢겨지게 되면, 농축액이 챔버(13)에서 배출구(35)로 나오게 된다.
또한, 밀대 머리(15c) 대신 밀대 돌기(15e)가 구비되기 위하여서는, 밸브 마개(13b) 대신에 파열 구조(도면에서는 도시 생략됨.)이 구비되어야 한다. 밀대 돌기(15e)는 막보다 두꺼운 구조이만 뾰족한 물질에 의하여 파열되는 구조이며 플라스틱이나 수지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따라서, 파열 구조는 농축액을 챔버(13) 내에 가두어 주는 역할을 하지만 밀대 돌기(15e)에 의하여 찢겨지게 되면, 농축액이 챔버(13)에서 배출구(35)로 나오게 된다.
한편, 막 혹은 파열 구조가 찢겨지기 위하여 밀대 날(15d) 혹은 밀대 돌기(15e)가 챔버(13)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는 앞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상기 밀대 날(15d) 혹은 밀대 돌기(15e)가 커넥터(30) 내부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밀대 암(arm)(15a)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밀대 밀대 암(arm)(15a)은 바(bar) 형태로 만들어져서 커넥터(30) 내부면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밀대 날(15d) 혹은 밀대 돌기(15e)가 커넥터(30) 내부면과 연결되는 방법이라면, 밀대 암(arm)(15a)의 형상이 바(bar)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은 제 1 실시예의 방법에서 밀대 돌기 혹은 밀대날이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밀대 틀(13e) 위쪽(도 21의 (A)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에 밀대 날(15d) 혹은 밀대 돌기(15e)에 의하여 파열이 가능한 필름 혹은 얇은 판형 구조가 존재하고, 음용 용기의 배출구(101) 윗 부분(도 5에서 E로 표시된 부분)에 의하여 밸브 밀대(13c)가 밀리면 밀대 돌기(15e)(혹은 밀대 날(15d))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대 돌기(15e)(혹은 밀대 날(15d))에 의하여 필름 혹은 얇은 판형 구조가 파열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밸브 밀대(13c)에 의하여 밀대 틀(13e)이 들어올려져서 파열이 가능한 필름 혹은 얇은 판형 구조가 완전히 위로 올려지게 되어, 챔버(13) 내에 농축액의 이동이 더 원할해지게 된다.
한편, 도 8의 실시예에서처럼 2단으로 올려져서 밀대 돌기(15e)(혹은 밀대 날(15d))가 음용 용기의 배출구(101) 윗 부분(도 5에서 E로 표시된 부분)이 이동된 거리보다 더 길게 이동할 수 있다.(도 11의 실시예 설명 참조)
아울러, 막, 파열구조 혹은 밸브 마개를 밀대 날, 밀대 돌기, 혹은 밀대 머리가 파열시키거나 올려 줄 때, 밀대 날의 맨 윗 부분, 밀대 돌기의 맨 윗 부분 혹은 혹은 밀대 머리의 맨 윗 부분이 챔버(13)와 배출구(35) 경계보다 위로 올라오도록하여야 한다. 즉, 도 10의 실시예에서 표시된 level(챔버와 배출구의 경계)로 표시된 직선보다 위로 올라오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막, 파열구조 혹은 밸브 마개가 챔버(13)와 배출구(35) 경계보다 위로 올라게가 된다.
- 제 4 실시예 -
도 22내지 도 29는 밸브 마개를 열어주게 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22내지 도 24에서와 같이, 용기 출구(19) 상단(도면에서 볼 때 상단)에 출구 손잡이(19a)가 존재하고, 상기 출구 손잡이(19a) 하단(도면에서 볼 때 하단)에는 용기 출구(19) 안으로 삽입되는 출구 삽입부(19b)가 존재하고, 챔버(13) 배출구에는 상하 이동 밸브(19d)가 존재하고, 상하 이동 밸브(19d)는 출구 삽입부(19b)와 밸브 연결바(19c)를 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연결바(19c)는 출구 삽입부(19b) 안쪽에 존재하는 밸브 지지부(19e)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편, 도 22는 출구 손잡이(19a) 하단(도면에서 볼 때 하단)의 출구 삽입부(19b)가 용기 출구(19)에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출구 손잡이(19a)가 돌려져서 용기 출구(19) 위쪽(도면에서 볼 때 위쪽)으로 빠지게 되면, 출구 삽입부(19b)가 용기 출구(19) 밖으로 노출되는 도 23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3의 상태에서는 출구 삽입부(19b) 안쪽에 존재하는 밸브 지지부(19e)와 연결된 밸브 연결 바(19c)에 의하여 상하 이동 밸브(19d)도 위로 이동하여, 챔버(13)가 열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챔버(13)가 열려지면 챔버 내에 농축액이 챔버 밖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24와 도 25는 용기 출구를 덮는 캡의 크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 에서는 용기 출구를 덮는 캡의 크기를 용기 출구에 맞추면 된다. 그러나 제 4 실시예에서는 용구 출구(19)를 덮은 캡(80)의 크기를 더 길게 하여야 한다.
도 24의 도면에서처럼, 출구 손잡이(19a)가 용구 출구(19) 위로 올라가서 출구 삽입부(19b)가 용기 출구(19) 밖으로 나왔을 때의 길이가 고려되어 캡(80)이 만들어져야 한다. 상기 캡(80)이 닫혀졌을 때, 용기 출구(19) 밖으로 나온 출구 삽입부(19b)가 다시 용기 출구(19)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손잡이(19a)와 출구 삽입부(19b)가 용기 출구(19) 밖으로 노출된 부분의 거리를 BL 이라고 할 때, 캡(80)의 길이에 상기 BL의 거리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용기 출구(19)와 캡이 결합되는 영역의 거리 AL과 상기 거리 BL이 합쳐진 거리보다, 캡(80)의 길이는 더 커야 한다는 의미이다. 출구 손잡이(19a)와 캡(80) 사이의 여백과 캡(80)의 두께도 캡(80)의 길에에 반영이 된다.
도 26내지 도28은 출구 손잡이(19a)와 상하 이동 밸브(19d)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출구 손잡이(19a)는 용기 출구(19)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출구 손잡이(19a)를 용기 출구(19) 반대 방향으로 잡아 뺄 수 있고(본원 발명에서는 나사 회전 방법을 실시예의 방법으로 사용함.) 이를 위하여 출구 삽입부(19b)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출구 손잡이를 최대한 잡아 빼면 출구 삽입부(19b)가 노출되고, 이 상태에서 출두 삽입부(19b)가 더이상 용기 출구(19)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걸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원 발명에서는 걸림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생략하였지만, 걸림턱 작용을 하는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6에서와 같이, 출구 삽입부(19b) 내부에 밸브 지지부(19e)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지지부(19e)에는 상하 이동 밸브(19d)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출구 삽입부(19b)가 용기 출구(19) 밖으로 이동하면, 상하 이동 밸브(19)도 용기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챔버(13) 내에 농축액이 챔버(13) 밖으로 나가게 된다,
도 27은 출구 삽입부(19b)를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모양이다. 밸브 연결바(19c)를 떼어냈다고 가정하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지지부(19e)는 출구 삽입부(19b)와 연결되고 암(arm) 혹은 바 형태로 되어 있고, 출구 지지부(19e)와 출구 삽입부(19b) 사이에는 농축액이나 음용액이 이동되는 개구(開口)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27에서 작은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 밸브 연결바(19c)가 연결되게 된다. 물론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기능상 분리하였지만, 일체형으로 사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 이동 밸브(19d) 하단 가장자리 부분으로, 챔버(13) 혹은 배출구(35)에 맞 닿은 부분 혹은 상하 이동 밸브(19d) 아래쪽 면 전체에 탄성체가 부착되어 밀봉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탄성력을 가진 수지나 고무이다.
도 28는 출구 손잡이(19a)와 출구 삽입부(19b)가 이동되는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 26의 실시예에서는 나사 결합의 방법으로 출구 삽입부(19b)와 챔버의 배출구(19)가 상호 이동하지만, 직선 이동의 방법과 좌우 회전으로 직선이동을 막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출구 삽입부(19)의 외부면 혹은 챔버의 배출구(19) 내부면에 도 28에 도시된 모양의 홈(돌기 가이드(19f)와 지지홈(19g))이 파여져 있게 된다. 그리고 그 반대면(예를들면 출구 삽입부(19)의 외부면에 홈이 구비되면 배출구(19) 내부면, 배출구(19) 내부면에 홈이 구비되면 출구 삽입부(19)의 외부면)에 돌기(돌기는 도면에서 도시 생략되었다,)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가 홈의 돌기 가이드(19f)를 통하여 상하 이동하게 되는 방법으로 출구 삽입부(19)와 배출구(19)가 상호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가 홈의 지지홈(19g)에 좌우 이동을 하게 함으로서 출구 삽입부(19)와 배출구(19)의 상호 상하 이동이 제지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출구 삽입부(19)를 상하 이동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 제 5 실시예 -
도 29는 챔버를 2개 연속 연결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용기 배출구(101)에 챔버(13)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음용용기(100)에 농축액 용기(10)를 결합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음용용기(100)에 결합된 농축액 용기(10) 위에 또 다른 농축액 용기(10-1)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농축액 용기의 출구(19)의 직경을 음용 용기 배출구 직경(101)과 같게 하고, 농축액 용기의 출구(19)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모양과 크기를 음용 용기 배출구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의 모양과 크기와 동일하도록 하여야 한다. 즉, 농축액 용기(10) 하부에 형성된 커넥너(30)의 내부 나사산 혹은 농축액 용기 배출구(35) 내부 나사산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한편, 본원 발명의 챔버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며, 외부에 눈금이 형성되어 농축액이 투입되는 용량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퉁명한 플라스틱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재도 금속 재질로도 가능하다.
10 : 농축액 용기(시럽 용기) 15e : 밀대 돌기
13 : 챔버 13a : 밸브 마개
13b : 밸브 머리 13c : 밸브 밀대
13d : 밸브 연결대 13e : 밸브 틀
15a : 밀대 암(arm) 15b : 밀대 연결대
15c : 밀대 머리 15d : 밀대 날
19 : 용기 출구 19a : 출구 손잡이
19b : 출구 삽입부 19c : 밸브 연결 바
19e : 밸브 지지부 19d : 상하 이동 밸브
19f : 돌기 가이드 19g : 지지홈
30 : 커넥터 30a : 커넥터 나사
35 : 배출구 35a : 배출구 나사
35b : 배출구 캡 60 : 고정부
61 : 고정 손잡이 80 : 용기 캡
100 : 음용 용기 101 : 음용 용기 배출구
102 : 음용 용기 캡 110 : 용기 챔버

Claims (6)

  1.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음용 용기와 상기 음용 용기에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에서,
    상기 농축액 용기에는 농축액이 담겨지는 챔버, 농축액이 음용 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구, 상기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가 결합되어 농축액과 음용수가 혼합된 상태인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기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의 내부 직경의 크기는 음용 용기 배출구의 외부외 결합되도록 크기가 만들어지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 내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이 음용 용기 배출구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용기의 배출구가 농축액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의 방법으로, 음용 용기의 배출구가 농축액 용기의 챔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액 용기의 챔버와 농축 용기의 배출구 사이에 상하 이동 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하 이동 밸브는 상기 챔버 내에 농축액이 배출구 방향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4.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음용 용기와 상기 음용 용기에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에서,
    상기 농축액 용기에는 농축액이 담겨지는 챔버, 농축액이 음용 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구, 상기 음용 용기와 농축액 용기가 결합되어 농축액과 음용수가 혼합된 상태인 액상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용기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 상단에는 출구 손잡이와 출구 삽입부가 존재하고, 상기 출구 손잡이는 농축액 용기 배출구 상단에 노출되게 존재하고, 상기 출구 삽입부는 농축액 용기 배출구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외부로 노출 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삽입부가 상기 농축액 용기 배출구 외부로 노출되면, 상하 이동 밸브가 이동하여, 챔버 내부의 농축액이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삽입부와 상기 상하 이동 밸브는 밸브 연결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액 용기.

















    ,
KR1020200154064A 2020-11-17 2020-11-17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KR20220067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64A KR20220067406A (ko) 2020-11-17 2020-11-17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64A KR20220067406A (ko) 2020-11-17 2020-11-17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06A true KR20220067406A (ko) 2022-05-24

Family

ID=8180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064A KR20220067406A (ko) 2020-11-17 2020-11-17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7493A (ko)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혼합 용기
US20200087048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Multiple Doses of a Concentrated Liquid
US20050263414A1 (en) Dispensing capsule
CN104755386A (zh) 双液式饮料容器
KR20220067406A (ko)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KR20220065622A (ko) 음용 용기와 결합되는 농축액 용기
US20090120892A1 (en) Bottle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2271487B1 (ko) 혼합 용기 유니트
KR200180484Y1 (ko) 칵테일용 소주 병마개
KR100360035B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US11926464B2 (en) Multi-chamber beverage container
KR200352133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KR20100000038A (ko) 병뚜껑 구조
KR200286577Y1 (ko) 탄산음료 탄산가스 손실 방지 뚜껑
KR200244231Y1 (ko) 더블형 1.5리터 페트병
RU2058092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дерсу"
KR200170710Y1 (ko) 여러가지의 음료원액이 내장된 음료용기
KR200411882Y1 (ko) 빨대 용기마개
KR200359480Y1 (ko) 음료용기
KR20090004474U (ko) 유출구 홈이 구비된 음료수 캔
KR200276214Y1 (ko) 컵형 뚜껑
KR20070000613U (ko) 커플 음료수 페트병 및 그 내부 뚜껑
KR200182100Y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330302Y1 (ko) 거꾸로 병마개 페트병
KR200311192Y1 (ko) 컵 겸용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