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280A - Toothbrush sterilizer - Google Patents

Toothbrush steri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280A
KR20220067280A KR1020200153809A KR20200153809A KR20220067280A KR 20220067280 A KR20220067280 A KR 20220067280A KR 1020200153809 A KR1020200153809 A KR 1020200153809A KR 20200153809 A KR20200153809 A KR 20200153809A KR 20220067280 A KR20220067280 A KR 2022006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oothbrush
fan
mo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용
홍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 주식회사 명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to KR102020015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280A/en
Priority to CN202111336401.0A priority patent/CN114504256B/en
Publication of KR2022006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2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air inlets on one lateral side to make external air flow into the in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a toothbrush holder locat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with different heights and enabling toothbrushes to be mounted thereon; a fan located inside the case and making the external air flow into the cas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by a rotational motion to send the external air toward the toothbrush holder; and a driving module located in the case and rotating the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rilizing effect of toothbrushe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칫솔 살균기{TOOTHBRUSH STERILIZER}Toothbrush sterilizer {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은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칫솔을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용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urality of toothbrush sterilizers capable of holding a plurality of toothbrushes.

구강 건강을 위해 현대인은 하루에 몇 번씩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행하고 있다.For oral health, modern people use a toothbrush to brush their teeth several times a day.

하지만, 칫솔을 주로 습도가 높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화장실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고, 별도의 살균 처리를 행하지 않고 자연 건조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However, the toothbrush is often stored in a bathroom with high humidity and poor ventilation, and a natural drying method is us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sterilization treatment.

이러한 이유로,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성 미생물은 사용 후의 칫솔에 남아있는 수분이나 영양 물질에 의해 번식되어, 일반적으로 칫솔의 위생 상태는 매우 불량한 상태이다.For this reason,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are propagated by moisture or nutritional substances remaining in the toothbrush after use, and the hygiene condition of the toothbrush is generally very poor.

이처럼, 오염된 칫솔을 사용하게 되면 치주염과 같은 각종 구강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게 되고, 특히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렴, 기관지염, 간염, 감기 등에 노출되기 쉬워 칫솔의 사용 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청결한 관리가 필요하다. In this way, when a contaminated toothbrush is used, the risk of various oral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is high. It needs to be kept clean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따라서, 최근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칫솔을 살균하는 칫솔 살균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a toothbrush sterilizer for sterilizing a toothbrush using ultraviolet ray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651호(공고일자: 2006년 12월 26일, 고안의 명칭: 칫솔을 내장한 휴대용 칫솔살균장치)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4651 (Announcement date: December 26, 2006, name of design: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with built-in toothbrush)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칫솔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toothbrush.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칫솔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drying time of the toothbrush.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일 측부에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칫솔이 장착되는 복수 개의 단을 갖는 칫솔 걸이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칫솔 걸이대 쪽으로 외부 공기를 보내는 팬 및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inlets on one side of a cas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located inside the case, each other Toothbrush holder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on which toothbrushes are mounted,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ase, and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cas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by rotational operation to send external air toward the toothbrush holder a fan and a driving module positioned in the case to rotate the fan.

상기 케이스는 복수 개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마주보고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과 마주보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환기공을 포함하는 측면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sid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holes and a side cover facing the side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acing the plurality of air holes.

상기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상기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면 덮개로 덮여 있으며 내부에 상기 팬이 위치하는 모터 장착부 및 상기 모터 장착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is covered with the side co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motor mounting unit in which the fan is located and a motor located in the motor mounting unit and rotating the fan.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t least one window, and the driving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UV irradiation unit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t least one window and irradiating UV rays.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창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at least one window, the plurality of windows may b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각 창은 상기 칫솔 걸이대에 장착되는 각 칫솔의 칫솔모부와 마주보고 있을 수 있다.Each window may face the bristles of each toothbrush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복수 개의 공기홀을 구비하는 팬 장착홈을 구비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어 있는 후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부과 제2 측면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장착부, 상기 모터 장착부 내에 위치하는 모터, 상기 팬 장착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팬,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개방된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를 덮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 위에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과 마주보고 있는 복수 개의 환기공을 구비하는 후면 덮개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having a fan mounting groove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a rear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a first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respectively, and A case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second side part, a motor mount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art, a motor located in the motor mounting part, a fan loca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and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the case and A drive module mounted on the case and mounted on the case to cover the rear part of the case that is connected and open,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acing the plurality of air holes on the plurality of air holes; include

상기 팬 장착홈은 상기 상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팬은 크로스 팬일 수 있다.The fan mounting groove may exten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fan may be a cross fan.

상기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상기 후면 덮개에 장착되고 상기 후면 덮개의 상기 복수 개의 환기공 위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환기공을 덮는 지붕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is mounted on the rear cover and located on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of the rear cover may further include a roof cover for covering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면부에 부착되어 있어 있고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모터 장착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환기공과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1 구동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motor mounting unit attached to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mounted with the motor, wherein the driving module is located in the motor mounting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rotate the fan. 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dul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case throug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air holes.

상기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칫솔 걸이대 및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창과 마주보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구동 모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includes at least one window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positioned on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on the toothbrush holder and the case, and positioned to face the at least one window.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UV irradiation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부에 장착되는 전면 덮개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후면부에 장착되는 후면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ver mounted on the open front portion of the case and a rear cover mounted on the open rear portion of the case.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팬의 회전 동작을 이용해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칫솔모를 건조시키므로, 칫솔모의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이로 인해, 칫솔모에서의 세균 번식이 크게 억제되어, 칫솔의 청결 상태는 더욱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feature, since the bristles are dried by introducing air into the case us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an, the drying time of the bristles is greatly shortened. For this reason, bacterial propagation in bristles is suppressed greatly, and the clean state of a toothbrush improves further.

이때, 바람이 칫솔 걸이대의 측면에서부터 유입될 때, 칫솔 걸이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계단 형상을 갖고 있다. 칫솔 걸이대의 각 단에 장착된 장착된 칫솔의 칫솔모부 역시 높이 차이를 갖고 장착된다. 이로 인해, 칫솔모부 쪽으로 송풍되는 바람은 첫솔 걸이대에 장착된 칫솔모부 쪽으로 다른 칫솔모부의 방해없이 안정적으로 송풍되어 칫솔모부의 건조 동작은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when the wind is introduced from the side of the toothbrush holder, the toothbrush holder has a step shape having different heights.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mounted on each end of the toothbrush holder are also mounted with a difference in height. For this reason, the wind blown toward the bristles is stably blown toward the bristles mounted on the first brush holder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bristles, so that the drying operation of the bristles is performed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또한, 칫솔 걸이대가 평행한 바 형태를 갖는 경우, 칫솔모부 쪽으로 송풍되는 바람은 칫솔모부의 측면부가 아닌 상부쪽에서부터 하부 쪽으로 송풍되므로, 칫솔 걸이대에 장착된 모든 칫솔모부로 바람 송풍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toothbrush holder has a parallel bar shape, the wind blown toward the bristles is blown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stead of from the side of the bristles, so that the wind blows safely and efficiently to all bristles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또한, 자외선 조사 유닛을 이용하여 칫솔모부의 자외선 살균을 실시하므로, 칫솔모부의 세균 번식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of the bristles is performed using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bacterial propagation of the bristles can be prevented or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에 칫솔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 덮개가 개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에 칫솔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 덮개가 개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ach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toothbrush is mounted o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each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opened while the toothbrush is mounted o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field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it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를 설명한다.First,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본체(11), 모터 장착부(12) 및 전원 장착부(13)를 구비하는 케이스(1), 케이스(1)의 본체(11) 내부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이 장착되어 있는 구동 모듈(2), 칫솔 걸이대(3), 모터 장착부(12)에 위치하고 구동 모듈(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미도시)와 결합되어 있는 팬(4), 전원 장착부(13)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부(5), 모터 장착부(12)와 전원 장착부(13)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측면 덮개(61)와 제2 측면 덮개(62), 본체(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하여 본체(11)의 개방된 전면부와 후면부를 각각 덮는 전면 덮개(71)과 후면 덮개(72), 그리고 후면 덮개(72)에 부착되어 있는 장착부(8)를 구비할 수 있다.1 to 3 ,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 including a main body 11 , a motor mounting unit 12 and a power mounting unit 13 , and the body of the case 1 . (11) It is located in the driving module 2, the toothbrush holder 3, the motor mounting part 12, in which a plurality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21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inside are mount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2 The first side cover located on each side of the fan 4 coupled to the motor (not shown), the power supply unit 5 mounted on the power mounting unit 13, the motor mounting unit 12 and the power mounting unit 13 (61) and the second side cover 62, the front cover 71 and the rear cover 72, respectively locat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main body 11 to cover the open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main body 11, respectively; And it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8) attached to the rear cover (72).

케이스(1)는, 일 측부에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H113, H61)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하여, 케이스(1) 내에 위치하는 칫솔(100)의 칫솔모부(110) 쪽으로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The case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inlets (H113, H61) on one side so that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100 located in the case (1) ( 110) to blow the wind.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스(1)는 내부에 복수 개의 칫솔(100)이 장착되는 칫솔 장착 공간인 제1 공간(S11)과 구동 모듈(2) 등이 위치하는 제2 공간(S1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빈 공간(S11, S12) 속에 구동 모듈(2), 칫솔 걸이대(3), 팬(4) 및 전원부(6) 등이 위치하여 보호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case 1 has a first space S11 , which is a toothbrush mount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toothbrushes 100 are mounted, and a second drive module 2 in which the driving module 2 is located. A space S12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driving module 2, the toothbrush holder 3, the fan 4, and the power supply unit 6 may be positioned and protected in these empty spaces S11 and S12.

이러한 케이스(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본체(11), 본체(11)의 일 측부(예, 좌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모터 장착부(12), 그리고 본체(11)의 타 측부(예, 우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원 장착부(13)를 구비할 수 있다.This case 1, as already described, the main body 11, the motor mounting part 12 located on one side (eg,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1,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 (eg, the right side) It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mounting unit 13 located in the unit).

본 예에서, 칫솔 살균기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직육면체와 같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와 달리, 원기둥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shap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alternatively, i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본체(11)의 형상 역시 칫솔 살균기의 형상을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고, 본 예의 본체(11)는 대략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 may also be determined based on the shap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nd the main body 11 of this example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are open.

따라서, 본 예의 본체(11)는 상면부(111), 후면부(112), 제1 측면부(예, 좌측면부)(113) 및 제2 측면부(예, 우측면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in body 11 of this example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111 , a rear surface portion 112 , a first side surface portion (eg, a left surface portion) 113 , and a second side portion (eg, a right surface portion) 114 . .

상면부(111)의 폭(W11)은 각 측면부(113, 114)의 각 폭보다 짧아 제1 측면부(113)과 제2 측면부(114)는 상면부(111)의 앞쪽 끝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면부(111)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측면부(113, 114)의 해당 가장자리부(즉, 상부 가장자리부)는 상면부(111)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The width W11 of the upper surface part 111 is shorter than each width of each side part 113 and 114 so that the first side part 113 and the second side part 114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part 111. can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edge portions (ie, upper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13 and 114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may have a portion where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is not located.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측면부(113, 114)의 해당 가장자리부의 일부는 상면부(111)로 덮여지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113 and 114 may be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

후면부(112)에는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을 노출시켜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으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창(WD11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창(WD112)의 개수는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rear part 1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dows WD112 for exposing each UV irradiation unit 21 so that the UV ray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UV irradiation units 21 are output to the front. Accordingly, the number of windows WD112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UV irradiation units 21 .

이러한 각 창(WD112)은 자외선을 투과하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막(WD113)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창(WD112)을 통해 자외선 조사 유닛(21)이 장착된 구동 모듈(2)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Each of these windows WD112 may be blocked with a protective film WD113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ultraviolet ray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or dust from entering the driving module 2 on which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is mounted through the open window WD112.

본 예에서, 각 창(WD112)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지만,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이때, 각 창(WD112)의 높이는 칫솔 걸이대(3)에 장착되는 각 칫솔(100)의 칫솔모부(110)의 높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창(WD112)은 칫솔 걸이대(3)에 위치하는 각 칫솔모부(11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shape of each window WD112 is the same, but the heigh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height of each window WD112 is the bristles 110 of each toothbrush 100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3 . )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ccordingly, each window WD112 may be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ristles 110 located on the toothbrush holder 3 .

이러한 각 창(WD112)은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windows WD112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such as a rect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lanar shape of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UV irradiation units 21 .

제1 측면부(113)는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ide part 113 may have a plurality of air holes H113.

이러한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은 제1 측면부(113)의 평면 형상을 따라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3 may be distributed along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side part 113 .

본 예에서, 제1 측면부(113)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의 지름과 인접한 두 공기홀(H113) 간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 간격은 해당 두 공기홀(H113)의 중심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일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3 located in the first side part 113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adjacent air holes H11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Here, the separation interval may be a distance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air holes H113 by a straight line.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의 지름은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칫솔 걸이대(3)에 장착된 칫솔(100)의 칫솔모부(110)에 대응되는 부분의 지름이 다른 부분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3)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ristles 110 of the toothbrush 100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3 is different from the It can be larger than the diameter.

또한, 인접한 두 공기홀(H113)의 이격 간격은 칫솔모부(110)에 대응되는 부분의 지름이 다른 부분의 이격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two air holes (H113) may be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diameter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ristles 110 of the other portion.

이로 인해, 칫솔모부(110)와 대응하고 있는 제1 측면부(113)의 부분이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 더 큰 공기홀(H113)이 좀 더 조밀하게 위치할 수 있어, 칫솔모부(110)와 대응되는 제1 측면부(113)의 부분을 통한 공기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Due to this, the larger air hole (H113) can be located more densely than the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113 corresponding to the bristle part 110, and the portion not corresponding to the bristle part 110, corresponding to the bristle part 110 Air communication through the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113 that is to be made smoothly.

제2 측면부(114)는 제1 측면부(113)와 달리 모두 막혀 있는 평탄면인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Unlike the first side part 113 , the second side part 114 may have a plate shape that is a flat surface that is completely blocked.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본체(11)에는 상면부(111), 후면부(112) 제1 측면부(113) 및 제2 측면부(114)으로 에워싸여져 있고, 하면부와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제1 공간(S11)이 존재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main body 11 has a first space ( S11) may exist.

모터 장착부(12)는 일 측면부(예, 좌측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otor mounting unit 12 may have a hexahedral shape in which one side part (eg, a left side part) is open.

이러한 모터 장착부(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측면부(113)에 부착될 수 있다.The motor mounting part 12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side part 113 as shown in FIGS. 2 and 3 .

이때, 제1 측면부(113)에서 후방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모터 장착부(12)의 폭(W12)은 본체(11)의 폭(W11)보다 클 수 있어, 모터 장착부(12)는 본체(11)의 후면부(112)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extend from the first side part 113 toward the rear by a predetermined length.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width W12 of the motor mounting unit 12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W11 of the main body 11 , and the motor mounting unit 12 is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1 . (112) may protrude rearward.

모터 장착부(12)는 모터(미도시)와 결합되어 있는 팬(4)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 장착부(12)의 내부에는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 팬(4)이 장착되는 거치대(121)가 위치할 수 있다.The motor mounting unit 12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an 4 coupled to the motor (not shown) may be located. To this end, the cradle 121 on which the fan 4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is mounted may be located inside the motor mounting unit 12 .

거치대(121)는 모터 장착부(12)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에 팬(4)이 장착되는 장착홀(H121)이 위치할 수 있다.The holder 121 may be loc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tor mounting unit 12 , and a mounting hole H121 in which the fan 4 is mounted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이러한 모터 장착부(12)에는 팬(4)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스위치(SW1), 구동 스위치(SW1)의 동작 상태 및 전원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등을 구비한 동작 표시기(LD1) 및 현재 시각과 예약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시간 표시기(LD2)를 구비할 수 있다.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t least one color indicating at least one of a driving switch SW1 for driving the fan 4 , an operation state of the driving switch SW1 and a power charging state, in the motor mounting unit 12 ,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indicator LD1 including a light and a time indicator LD2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nd a reserved time.

이때, 시간 표시기(LD2)는 7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time indicator LD2 may have 7 seg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동작 표시기(LD1)와 시간 표시기(LD2) 중 적어도 하나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Unlike this example, in an alternative example,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indicator LD1 and the time indicator LD2 may be omitted if necessary.

전원 장착부(13) 역시 모터 장착부(12)와 유사하게 본체(11)의 제2 측면부(114)에 부착될 수 있고, 이때, 제2 측면부(114)에서 후방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장착부(12)와 동일하게 전원 장착부(13)의 폭(W13)은 본체(11)의 폭(W11)보다 클 수 있어, 전원 장착부(13)는 본체(11)의 후면부(112)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ower mounting part 13 may also be attached to the second side part 114 of the main body 11 similarly to the motor mounting part 12 , and in this case, may extend from the second side part 114 toward the rear. Accordingly, as with the motor mounting unit 12 , the width W13 of the power mounting unit 13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W11 of the main body 11 , and the power mounting unit 13 is the rear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 . may protrude backwards.

이때, 모터 장착부(12)의 폭(W12)과 전원 장착부(13)의 폭(W13)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W12 of the motor mounting unit 12 and the width W13 of the power mounting unit 13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이러한 전원 장착부(13)의 내부에는 전원부(5)가 장착되는 장착홈(P13)을 구비할 수 있다. A mounting groove P13 in which the power unit 5 is moun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power mounting unit 13 .

이처럼, 모터 장착부(12)와 전원 장착부(13)는 본체(11)의 후면부(112)에서부터 후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본체(11)의 후면부(112) 및 본체(11)의 후면부(112)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모터 장착부(12)와 전원 장착부(13) 사이에는 빈 공간인 제2 공간(S12)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모터 장착부(12)와 전원 장착부(13) 사이에는 빈 공간(S12)의 하부를 막는 바닥판(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어, 이러한 바닥판에 의해 빈 공간(S12)의 하부는 막혀 있게 된다. As such, since the motor mounting unit 12 and the power mounting unit 13 extend from the rear side 112 of the main body 11 toward the rear, the rear side 112 of the main body 11 and the rear side 112 of the main body 11 A second space S12 that is an empty space may exist between the motor mounting unit 12 and the power mounting unit 13 protruding backward. At this time, there may be a bottom plate (not shown) blocking the lower portion of the empty space S12 between the motor mounting unit 12 and the power mounting unit 13,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empty space S12 is blocked by the bottom plate. do.

따라서, 이러한 제2 공간(S12)은 모터 장착부(12), 전원 장착부(13), 미도시한 바닥판 및 후면 덮개(72)로 에워싸여진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space S12 may be a closed space surrounded by the motor mounting unit 12 , the power mounting unit 13 , the bottom plate and the rear cover 72 not shown.

본 예에서, 본체(11)의 후면부(112)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113), 모터 장착부(12) 및 제1 측면 덮개(61)는 케이스(11)의 일 측부를 이루고, 제1 측의 반대편인 제2 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114), 전원 장착부(13) 및 제2 측면 덮개(62)는 케이스(11)의 타 측부를 이룰 수 있다. In this example, with the rear part 112 of the main body 11 as the center, the first side surface 113 , the motor mounting part 12 and the first side cover 61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are of the case 11 . The second side 114 , the power mounting unit 13 , and the second side cover 62 that form one side and are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may form the other side of the case 11 .

구동 모듈(2)은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 팬(4), 표시기(LD1, LD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서, 구동 모듈(2)은 팬(4)을 동작시키는 팬 구동부(미도시) 등과 같이 동작에 필요한 전기전자 소자가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2 i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21 , the fan 4 , and the indicators LD1 and LD2 , and the driving module 2 is a fan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fan 4 .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necessary for operation, such as (not shown), may be mounted.

이러한 구동 모듈(2)은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11)의 후방 쪽에 위치하는 제2 공간(S12)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2 may be form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pace S12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 .

구동 모듈(2)에 위치한 전기전자 소자들은 자신과 관련된 장치인 전원부(5), 구동 스위치(SW1) 및 동작 표시기(LD1) 및 시간 표시기(LD2)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electric and electronic elements located in the driving module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unit 5, the driving switch SW1, and the operation indicator LD1 and the time indicator LD2 which are devices related thereto, You can control the action.

따라서, 구동 모듈(2)은 전원부(5)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구동 스위치(SW1)의 동작 상태에 따라 팬 구동부와 동작 표시기(LD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riving module 2 may receiv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from the power supply 5 ,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driving unit and the operation indicator LD1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iving switch SW1 .

또한, 구동 모듈(2)은 전원부(5)의 충전 상태에 따라 동작 표시기(LD1)의 점등 개수나 밝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는 동작 표시기(LD1)의 점등 상태를 이용하여 전원부(5)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량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module 2 can control the number of lights or the brightness of the operation indicator LD1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5,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lighting state of the operation indicator LD1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5 You can check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

이러한 구동 모듈(2)은 구동 스위치(SW1) 등을 이용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시간 표시기(LD2)의 점등 상태 역시 제어하여 현재 시각이나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예약 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2 may also control the lighting state of the time indicator LD2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using the driving switch SW1 and the like to set the current time or the reserved time of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

구동 스위치(SW1)를 이용하여 팬 회전을 위한 모터 구동과 시간 표시기(LD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한 예로서, 구동 스위치(SW1)가 설정 시간(예, 3초) 미만으로 동작되면 구동 모듈(2)은 팬 회전을 위한 모터를 설정 시간 동안 동작시킨다.When driving the motor for fan rotatio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ime indicator LD2 by using the driving switch SW1, as an example, the driving switch SW1 operates for less than a set time (eg, 3 seconds). The module 2 operates the motor for fan rotation for a set time.

하지만, 구동 스위치(SW1)가 설정 시간 이상으로 동작되면 구동 모듈(2)은 시간 표시기(LD2)를 이용한 시간 설정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driving switch SW1 is operated for more than the set time, the driving module 2 may determine the time setting operation using the time indicator LD2 .

따라서, 설정 시간 이상으로 구동 스위치(SW1)가 동작되면, 구동 모듈(2)의 동작에 의해, 시간 표시기(LD2)의 '시간' 표시 부분이 점멸되어 시각 설정 상태를 표시하고, 이런 시각 설정 상태에서 구동 스위치(SW1)를 설정 시간 미만으로 짧게 동작시켜 원하는 시각을 조정한 후 설정 시간 이상 구동 스위치(SW1)를 동작시켜 조정된 시각을 설정한다. 시각 조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분 설정 상태가 되어 시간 표시기(LD2)의 '분' 표시 부분이 점멸되어 분 설정 상태를 표시하고, 시각 설정 동작과 동일하게 구동 스위치(SW1)를 동작시켜 '분' 설정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switch SW1 is operated for more than the set time, the 'time' display part of the time indicator LD2 flicker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2 to indicate the time setting state, and this time setting state In , after adjusting the desired time by operating the drive switch SW1 for less than the set time, the adjusted time is set by operating the drive switch SW1 over the set time. When the time adjustment is completed, it automatically enters the minute setting state and the 'minute' display part of the time indicator (LD2) flickers to indicate the minute setting state. The setting operation can be completed.

구동 모듈(2)에 부착되어 있는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은 한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 LED)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램프 등을 구비할 수 있다.Each UV irradiation unit 21 attached to the driving module 2 may include, as an example, at least one UV light emitting diode (UV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UV lamp or the like. can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은 구동 모듈(2)에 실장되어 있는 구동부(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점등되어 자외선을 조사할 수 다. Each UV irradiation unit 21 is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a driving unit (not shown) mounted on the driving module 2 to irradiate UV rays.

본 예에서,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은 본체(11)에 위치한 각 창(WD112)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창(WD112)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므로 각 창(WD112)에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위치 또한 각각 상이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each UV irradiation unit 2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window WD112 located on the main body 11 , and 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height of each window WD112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each window WD112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21 facing each other may als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따라서,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본체(11)의 후면부(112)에 형성된 각 대응 창(WD112)을 통해 칫솔 걸이대(3)가 위치한 제1 공간(S11) 속으로 조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each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are irradiated into the first space S11 in which the toothbrush holder 3 is located through each corresponding window WD112 formed in the rear part 112 of the main body 11 . can

위에 기술한 것처럼, 각 창(WD112)의 높이는 칫솔 걸이대(3)에 장착되어 있는 칫솔(100)의 칫솔모부(110)를 마주볼 수 있는 높이이므로, 각 창(WD112)을 통과한 자외선을 대응하는 칫솔모부(110) 쪽으로 바로 조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ight of each window WD112 is a height that can face the bristle part 110 of the toothbrush 100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3, it corresponds to the ultraviolet rays passing through each window WD112. It can be irradiated directly toward the bristles 110.

이로 인해,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으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은 대응하는 창(WD112)을 통과하여 대면하고 있는 각 칫솔(100)의 칫솔모부, 즉 칫솔모가 식재되어 칫솔모를 구비하는 칫솔 부분(110)으로 조사되어 자외선에 의한 해당 칫솔모부(110)의 살균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ltraviolet ray output from each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window WD112 and faces the bristle part of each toothbrush 100, that is, the toothbrush part 110 having bristles on which bristles are planted. The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bristle part 110 by the ultraviolet rays by being irradiated can be made.

이때,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대응하는 칫솔모부(110) 쪽으로 바로 조사되므로, 해당 칫솔모부(110)의 자외선 살균 효과 및 건조 효과를 더욱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each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are directly irradiated toward the corresponding bristles 110 ,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effect and drying effect of the corresponding bristle units 110 can be further improved.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이 수직 방향 및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즉, 케이스(1)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나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나 자외선 램프의 개수는 칫솔모부(110)의 길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나 자외선 램프의 개수는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에서 출력되는 빛의 확산 범위 및 최대 장착 가능한 칫솔의 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Each UV irradiation unit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V light emitting diodes or UV lamp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at least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se 1) In this case, the number of UV light emitting diodes or UV lamp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ristles 110, and the number of UV light emitting diodes or UV lamp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one UV irradiation.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usion range of light output from the unit 21 and the maximum number of mountable toothbrushes.

칫솔 걸이대(3)는 본체(11)의 제1 공간(S11)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측면부(113)과 제2 측면부(114)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칫솔 걸이대(3)의 일 단(예, 좌측단)은 제1 측면부(113)에 장착되고 일 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 단(예, 우측단)은 제2 측면부(114)에 장착될 수 있다.The toothbrush holder 3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pace S11 of the main body 11, for example, to be mounted on the first side part 113 and the second side part 114 that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can Accordingly, one end (eg, the left end) of the toothbrush holder 3 is mounted on the first side portion 113 , and the other end (eg, the right end) located opposite to the one end is mount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114 . can be

이러한 칫솔 걸이대(3)는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폭을 갖고 있지만,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 개의 단(ST31, ST32)을 구비한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the toothbrush holder 3 has the same width regardless of the position, it may have a step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ST31 and ST32 having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position.

한 예로서, 칫솔 걸이대(3)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단(ST31)과 제2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단(ST32)을 가질 수 있고, 각 단(ST31, ST32)에는 하나의 칫솔(100)이 삽입되는 칫솔 삽입홈(H31, H32)이 위치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othbrush holder 3 may have a first end ST31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end ST32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and each end ST31 and ST32. The toothbrush insertion groove (H31, H32) into which one toothbrush 100 is inserted may be located.

본 예의 경우, 각 단(ST31, ST32)에는 하나의 칫솔 삽입홈(H31, H32)이 구비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복수 개의 칫솔 삽입홈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단(ST31, ST32)에 두 개 이상의 칫솔(100)이 나란히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each end (ST31, ST32) is provided with one toothbrush insertion groove (H31, H32), unlike this, a plurality of toothbrush insertion grooves may be located. In this case, two or more toothbrushes 100 may be inserted side by side in each stage ST31 and ST32.

이때, 서로 상이한 제1 단(ST31)과 제2 단(ST32)의 각 높이는 제1 측면부(113)에 위치한 팬(4)의 동작에 의해 유입되는 바람의 길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pective heights of the first end ST31 and the second end ST32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h of the wind introduc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4 located on the first side part 113 .

칫솔 걸이대(3)의 각 단(ST31, ST32)의 높이가 정해지만, 이에 장착되는 각 칫솔(100)의 칫솔모부(110)의 높이에 대응되게 각 창(WD211)와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장착 위치 역시 정해질 수 있다.Although the height of each end (ST31, ST32) of the toothbrush holder 3 is determined, each window WD211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bristles 110 of each toothbrush 100 mounted there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y also be determined.

칫솔 거치대(3)는 탄성이 있는 탄성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The toothbrush holder 3 may be provided with a resilient and resilient material.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100)의 칫솔 목부분을 삽입홈(H31, H32)에 삽입하거나 삽입홈(H31, H32)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insert the toothbrush neck of the toothbrush 100 into the insertion grooves (H31, H32) or detachable from the insertion grooves (H31, H32).

이러한 칫솔 걸이대(3)의 형상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칫솔 걸이대(3)에 위치한 복수 개의 칫솔모부(110) 역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어,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두 칫솔모부(11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Due to the shape of the toothbrush holder 3,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bristles 110 located on the toothbrush holder 3 may also b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two bristle units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110) may have portions that do not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로 인해, 각 칫솔모부(110)는 제1 측면부(113)에 위치한 복수 개의 공기홀(H113)과 바로 대면하고 있어, 공기홀(H113)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은 다른 칫솔모부(110)에 의해 막히지 않고 각 칫솔모부(110) 쪽으로 바로 송풍되어 각 칫솔모부(110)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r this reason, each bristle part 110 directly faces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3 located on the first side part 113 , and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le H113 is blown by the other bristle parts 110 . Without clogging, the air is blown directly toward each bristle part 110 , thereby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of each bristle part 110 .

즉, 계단 형상의 칫솔 걸이대(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칫솔모부(110) 사이의 중첩 영역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감소하므로, 제1 측면부(12)의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을 통과해 유입되는 바람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각 칫솔모부(110) 쪽으로 바로 분사되어 바람에 의한 칫솔모부(110)의 건조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bristle parts 110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step-shaped toothbrush holder 3 does not exist or is reduced to a minimum, it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air holes H113 of the first side part 12 The wind introduced by the sea is sprayed directly toward each bristle part 110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drying operation of the bristle part 110 by the wind can be smoothly performed.

모터와 결합되어 있는 팬(4)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모터 장착부(12)에 장착되어 있고, 구동 스위치(SW1)의 동작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4)의 회전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가 모터 장착부(12) 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을 통해 본체(11)의 제1 공간(S11) 속으로 주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an 4 coupled to the motor is mounted on the motor mounting unit 12 and can rotat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witch SW1 .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an 4 ,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motor mounting unit 12 , and the suck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space S11 of the body 11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3 . can

이러한 팬(4)의 구동 시간은 미리 정해질 수 있고, 구동 스위치(SW1)가 동작될 때마다 설정된 시간동안만 회전할 수 있다.The driving time of the fan 4 may be predetermined, and each time the driving switch SW1 is operated, it may rotate only for a set time.

전원부(5)는 전원 장착부(13) 내에 위치한 장착홈(P13) 속에 장착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5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P13 located in the power supply mounting unit 13 .

이러한 전원부(5)는 대면하고 있는 제2 측면 덮개(62)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일 수 있고, 구동 모듈(2), 동작 표시기(LD1), 시간 표시기(LD2) 및 모터 등과 같이 칫솔 살균기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is power supply unit 5 may be a battery charged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acing second side cover 62, the driving module 2, the operation indicator (LD1), the time indicator (LD2) and Power may be supplied to a component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such as a motor.

제1 측면 덮개(61)는 모터 장착부(12)의 개방된 면인 측면을 덮는 덮개로서, 모터 장착부(12)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터와 팬(4)을 보호할 수 있다.The first side cover 61 is a cover that covers the side, which is an open surface of the motor mounting unit 12 , and may protect the motor and the fan 4 located in the motor mounting unit 12 .

제1 측면 덮개(6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환기공(H61)을 구비하는 망 형태를 갖고 있을 수 있다.The first side cover 61 may have a mesh shape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61 as shown in FIGS. 2 and 3 .

또한, 제2 측면 덮개(62)는 전원 장착부(13)의 개방된 면인 측면을 덮는 덮개로서, 전원 장착부(13)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전원부(5)를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ide cover 62 is a cover that covers the open side of the power mounting unit 13 , and may protect the power supply unit 5 located in the power mounting unit 13 .

이러한 제2 측면 덮개(62)는 전원부(5)의 충전을 위한 단자 연결홀(H6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단자 연결홀(H62)을 제외하면 모두 막혀 있는 평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Since the second side cover 62 has a terminal connection hole H62 for charging the power unit 5, all of the second side cover 62 may have a closed flat shape except for the terminal connection hole H62.

이처럼, 제1 측면 덮개(61)와 제2 측면 덮개(62)가 케이스(1)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므로, 제1 측면 덮개(61)와 제2 측면 덮개(62)는 각각 케이스(1)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이룰 수 있다.As such, since the first side cover 61 and the second side cover 62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1, respectively, the first side cover 61 and the second side cover 62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case 1 ) can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이미 기술한 것처럼, 팬(4)이 장착되어 있는 모터 장착부(12)를 덮고 있는 제1 측면 덮개(61)에는 복수 개의 환기공(H61)이 존재하므로, 팬(4)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 측면 덮개(61)의 환기공(H61)을 통해 외부 공기는 모터 장착부(12) 내로 유입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sinc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61 are present in the first side cover 61 covering the motor mounting part 12 on which the fan 4 is moun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an 4, th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motor mounting unit 12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H61 of the first side cover 61 .

이와 같이, 케이스(11)의 제1 측면(113)에 위치한 복수 개의 공기홀(H113)과 제1 측면 덮개(61)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환기공(H61)은 케이스(1)의 일 측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구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3 located on the first side surface 113 of the case 11 and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61 located on the first side cover 61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case 1 .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lurality of air inlets positioned.

따라서, 팬(4)의 회전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는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H61, H113)를 통과하여 케이스(1)의 본체(11) 내에 위치한 칫솔 걸이대(3) 쪽으로 송풍될 수 있다. Accordingly,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an 4 , external air may be blown toward the toothbrush holder 3 located in the body 11 of the case 1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H61 and H113 .

모터 장착부(12)로 유입되는 공기는 본체(11)의 측면부(113)에 위치한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을 통해 칫솔모부(110)가 위치하고 있는 본체(11) 내의 제1 공간(S11) 속으로 송풍되어, 제1 공간(S11) 속에 위치하는 칫솔모부(110)를 건조시킬 수 있다. The air flowing into the motor mounting unit 12 enters the first space S11 in the body 11 in which the bristles 110 is located through a plurality of air holes H113 located in the side surface 113 of the main body 11 . It is blown to, it is possible to dry the bristles 110 located in the first space (S11).

이와 같이, 칫솔 걸이대(3)에 장착되어 있는 각 칫솔모부(110)는 자외선 조사 유닛(21)으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뿐만 아니라 팬(4)의 회전 동작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한 건조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어, 밀폐된 제1 공간(S11) 속에 위치한 칫솔모부(110)는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In this way, each bristles 110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3 not only sterilizes using ultraviolet rays output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but also sterilizes them using the wind introduced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an 4 as well. It can be made, the bristles 110 located in the sealed first space (S11) can be kept clean and sanitary.

전면 덮개(71)는 개방된 케이스(1)의 본체(11) 전면부를 덮는 덮개로서, 양 측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면 덮개(72)는 개방된 케이스(1)의 본체(11) 후면부를 덮는 덮개이다.The front cover 71 is a cover that covers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1 of the open case 1, and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both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pen, and the rear cover 72 is the open case (1). It is a cover that covers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11 of the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후면 덮개(72)는 케이스(1)의 개방된 후면부 뿐만 아니라, 모터 장착부(12)와 전원 장착부(13)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들 상부와 접하게 위치하여 모터 장착부(12)와 전원 장착부(13)의 상부도 덮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rear cover 72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tor mounting part 12 and the power mounting part 13 as well as the open rear part of the case 1 and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s of the motor mounting part 12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ower mounting unit 13 may also be covered.

따라서, 이러한 후면 덮개(72) 역시 양 측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ar cover 72 may also have a hexahedral shape in which both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are open.

하지만, 전면 덮개(71)와 후면 덮개(72)의 형상은 각각 자신이 장착되는 개방된 전면부와 후면부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므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hapes of the front cover 71 and the rear cover 72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open front and rear parts to which they are mounted, they may have various shapes.

이러한 전면 덮개(71)에 의해, 제1 공간(S11)는 하면부가 개방되고 일측(예, 좌측)에 복수 개의 공기홀(H113)을 갖는 밀폐된 공간일 수 있고, 후면 덮개(72)에 의해, 제2 공간(S11)는 사방이 완전히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Due to the front cover 71 , the first space S11 may be a closed space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air holes H113 on one side (eg, the left side), and by the rear cover 72 , the second space S11 may be a completely enclosed space on all sides.

본 예에서, 전면 덮개(71)과 본체(11)는 홈(또는 구멍)과 돌기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전면 덮개(71)의 해당 부분과 본체(11)의 해당 부분에는 각각 돌기와 홈이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front cover 71 and the main body 1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groove (or hole) and a protrusion, and for this,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front cover 71 and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main body 11 . protrusions and grooves may be located, respectively.

따라서, 전면 덮개(71)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홈이나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cover 71 may be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ove or hole by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반면, 후면 덮개(72)는 접착제 등을 통해 해당 부분에 장착될 수 있고, 전면 덮개(71)와 달리 개폐 동작이 행해질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over 72 may be mount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and unlike the front cover 71 , an opening/closing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 덮개(71)을 위쪽 방향으로 열어 본체(11)의 칫솔 걸이대(3)에 칫솔(100)을 위치시키거나 양치질을 위해 칫솔(100)을 꺼낼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open the front cover 71 in an upward direction to position the toothbrush 100 on the toothbrush holder 3 of the body 11 or take out the toothbrush 100 for brushing teeth.

또한, 사용한 칫솔(100)을 본 예의 칫솔 살균기에 보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면 덮개(71)를 열어 칫솔 걸이대(3)에 칫솔(100)을 장착한 후, 칫솔(100)의 살균 및 건조를 위해 구동 스위치(SW1)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tore the used toothbrush 100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the user opens the front cover 71 and mounts the toothbrush 100 on the toothbrush holder 3, and then sterilizes and dries the toothbrush 100. For this purpose, the driving switch SW1 may be operated.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구동 스위치(SW1)는 해당 상태의 신호를 구동 모듈(5)로 전송하고, 구동 모듈(2)은 팬 구동부(41)와 자외선 조사 유닛(21)으로 각각 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driving switch SW1 transmit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to the driving module 5, and the driving module 2 sends a driving signal to the fan driving unit 41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respectively. can be printed out.

따라서, 팬(4)은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부 공기를 본체(11) 내부로 유입시켜 장착된 칫솔(100)의 칫솔모부(110)를 건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an 4 can be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o dry the bristles 110 of the mounted toothbrush 100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body 11 .

또한, 자외선 조사 유닛(21)은 점등하여 대면하고 있는 첫솔(100)의 칫솔모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본체(11) 후면부(112)의 창(WD112)을 통과한 자외선은 각 칫솔(100)의 칫솔모부(110) 쪽으로 조사되어 칫솔(100)의 살균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ward the bristles of the first brush 100 that is turned on and faces, and the ultraviolet rays passing through the window WD112 of the main body 11 rear part 112 are of each toothbrush 100 . It is irradiated toward the bristles 110 to perform a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toothbrush 100 .

이때, 팬(4)과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동작 시간은 이미 정해져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해진 시간 동안 팬(4)과 자외선 조사 유닛(21)이 동작되면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도 구동 모듈(2)의 제어에 따라 팬(4)과 자외선 조사 유닛(51)의 동작은 중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time of the fan 4 and each UV irradiation unit 21 may be already determined, and accordingly, when the fan 4 and the UV irradiation unit 21 are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riving modul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2), the operation of the fan 4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ay be stopped.

대안적인 예에서,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은 구동 스위치(SW1) 대신에 전면 덮개(71)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 덮개(71)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 모듈(2)은 자외선 조사 유닛(21)으로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xample, each UV irradiation unit 21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cover 71 instead of the driving switch SW1. To this en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open/close state of the front cover 71 may be provided, and the driving module 2 may output a driving signal to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us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have.

장착부(8)는 후면 덮개(72)와 장착될 수 있고, 칫솔 살균기의 설치면에 접착 필름 등과 같이 부착 또는 장착될 수 있는 설치 도구를 구비할 수 있어, 설치 도구를 이용해 원하는 설치면에 칫솔 살균기를 설치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8 may be mounted with the rear cover 72 and may include an installation tool that can be attached or mount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such as an adhesive film, so that the toothbrush sterilizer can be installed on a desired installation surface using the installation tool. can be installed

대안적인 예에서, 모터 장착부(13)와 전원 장착부(14)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고, 이런 경우, 모터 장착부(13)가 위치하는 제2 측면부(114)가 복수 개의 공기홀을 구비하여, 제2 측면부(114) 쪽에서부터 내부 공간(S11) 쪽으로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motor mounting unit 13 and the power mounting unit 14 may be interchanged, and in this case, the second side portion 114 in which the motor mounting unit 13 is locate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holes, Wind may be blown from the side of the second side part 114 toward the inner space S11.

또한, 본 예와 달리, 복수 개의 창(WD112)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이런 경우, 각 창(WD112)과 대응하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높이 역시 동일할 수 있다.Also, unlike the present example, the plurality of windows WD112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each other, and in this case, the respective windows WD112 and the plurality of UV irradiation units 2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also have the same height.

다음,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예의 칫솔 살균기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칫솔 살균기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칫솔 살균기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또한 생략한다.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compared to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Figs. 1 to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Figs. omit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예의 칫솔 살균기 역시 본체(11a), 모터 장착부(12a) 및 전원 장착부(13a)를 구비하는 케이스(1a), 케이스(1a)의 본체(11a)의 내부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이 장착되어 있는 구동 모듈(2a), 칫솔 걸이대(3a), 모터 장착부(12a)에 위치하고 구동 모듈(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41), 모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팬(4a), 전원 장착부(13a)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부(5), 모터 장착부(12a)와 전원 장착부(13a)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측면 덮개(61a)와 제2 측면 덮개(62), 본체(11a)의 개방된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위치하는 전면 덮개(71a)과 후면 덮개(72a), 후면 덮개(72a)에 부착되어 있는 장착부(8a) 및 본체(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73)를 구비할 수 있다.5 to 7,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also has a main body 11a, a motor mounting unit 12a, and a case 1a having a power mounting unit 13a,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a of the case 1a. A drive module (2a) on which a plurality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21)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re mounted, a toothbrush holder (3a), a motor (41) located in the motor mounting part (12a)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dule (2a) , the fan 4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41, the power supply unit 5 mounted on the power mounting unit 13a, the motor mounting unit 12a and the first side located on each side of the power mounting unit 13a The cover 61a and the second side cover 62, the front cover 71a and the rear cover 72a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open front and rear parts of the main body 11a, and the mounting part attached to the rear cover 72a (8a) and an upper cover 73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 may be provided.

본 예의 케이스(1a) 역시 내부에 전면부 쪽에 위치하는 제1 공간(S11)과 후면부 쪽에 위치하는 제2 공간(S12)을 구비할 수 있다.The case 1a of the present example may also include a first space S11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space S12 positioned on the rear side therein.

본체(11a) 역시 본 예의 칫솔 살균기의 형상을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고, 본 예의 본체(11a)는 대략 전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main body 11a may also be determined based on the shap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and the main body 11a of this example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are open.

본 예의 본체(11a)는 내부에 칫솔모부(110)가 위치하는 제1 공간(S11)을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팬(4a)이 위치하는 팬 장착홈(P11)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11a of this example has a first space S11 in which the bristle part 110 is located,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fan mounting groove P11 in which the fan 4a is located.

따라서, 본체(11a)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면부(111a), 후면부(112a), 제1 측면부(예, 좌측면부)(113a) 및 제2 측면부(예, 우측면부)(114)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은 상면부(111a)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의 후면부(112), 제1 측면부(113) 및 제2 측면부(114)와 그 형상만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dy 11a is,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an upper surface portion 111a, a rear surface portion 112a, a first side surface portion (eg, a left surface portion) 113a, and a second side portion (eg, a right surface portion). 114 may be provided, and these are only different in shape from the rear part 112, the first side part 113 and the second side part 114 of FIGS. 1 to 3, except for the upper surface part 111a. It can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면부(111a)의 일부(제1 부분)(1c1)는 본체(111a)의 상부 전면 일부를 덮고 있고, 나머지인 제2 부분(1c2)은 제1 부분(1c1)과 연결되어 있고 제1 부분(1c1)보다 낮은 위치에서 후방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6 and 7, a portion (first portion) 1c1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covers a portion of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1a, and the remaining second portion 1c2 is the first portion ( 1c1) and may extend rearwar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irst portion 1c1.

따라서, 제1 부분(1c1)과 제2 부분(1c2)의 높이 차이로 인해,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의 내부에는 본체(111a)의 연장 방향인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팬 장착홈(P11)이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rt 1c1 and the second part 1c2, the inside of the second part 1c2 of the upper surface part 111a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1a. A fan mounting groove P11 may be provided.

이때,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의 하면의 일부, 예를 들어, 하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제1 부분(1c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복수 개의 공기홀(H11)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팬 장착홈(P11)은 복수 개의 공기홀(H11)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air holes H11 are formed in a band shap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1c2 i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c2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for exampl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Since they may exist, the fan mounting groove P11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

따라서, 본 예의 팬(4a)은 모터 장착부(12a)가 아닌 본체(11a)의 상면부(111a)에 위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모터(41)의 동작으로 유입되는 바람은 본체(11a)의 측면이 아닌 상부에 케이스(1a)의 제1 공간(S11) 쪽으로 송풍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an 4a of this example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of the main body 11a rather than the motor mounting portion 12a, and thus, the wind introduc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41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11a. It may be blown toward the first space (S11) of the case (1a) on the upper side rather than the side of the.

후면부(112a)는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에서 하방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rear portion 112a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econd portion 1c2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본 예에서, 후면부(112a)는 대략 전면부(111a)의 제2 부분(1c2)의 끝단이 아닌 중간 부분에서 하방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면부(111a), 후면부(112a)의 후방부, 모터 장착부(12a) 및 전원 장착부(13a)에 의해 에워싸여진 제2 공간(S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S12)의 하부 역시 바닥판(1c3)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1c3)은 후면부(112a)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rear portion 112a extends downwardly from the middle portion rather than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1c2 of the front portion 111a, so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12a, the motor A second space S12 surrounded by the mounting unit 12a and the power mounting unit 13a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S12 may also be blocked by the bottom plate 1c3. The bottom plate 1c3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rear surface portion 112a.

따라서, 후면 덮개(72)가 케이스(1a)에 장착되면, 구동 모듈(2a)이 장착되는 제2 공간(S12)은 후면 덮개(72)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rear cover 72 is mounted on the case 1a , the second space S12 in which the driving module 2a is mounted may be a space sealed by the rear cover 72 .

후면부(112a)에는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을 노출시켜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창(WD112)을 구비할 수 있다. 창(WD112)의 개수는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The rear portion 112a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dows WD112 for exposing each UV irradiation unit 21 so that the UV ray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UV irradiation units 21 are output to the front. The number of windows WD112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UV irradiation units 21 .

하지만, 본 예의 칫솔 살균기에서, 각 창(WD12)의 형상과 높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the shape and height of each window WD12 may all be the same.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창(WD12)의 높이는 칫솔 걸이대(3a)에 위치하는 각 칫솔모부(110)와 대응되는 높이일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height of each window WD12 may be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ristles 110 positioned on the toothbrush holder 3a.

제1 측면부(113a)와 제2 측면부(114)는 전면부(111a)의 양 측단과 후면부(112a)의 양 단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측면부(113a)와 제2 측면부(114)는 모두 막혀 있는 평탄면일 수 있다.The first side part 113a and the second side part 114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front part 111a and both ends of the rear part 112a. In this example, both the first side part 113a and the second side part 114 may be a blocked flat surface.

따라서, 제1 공간(S11)은 상면부(111a), 후면부(112a)의 전방부, 모터 장착부(12a) 및 전원 장착부(13a)에 의해 에워싸여져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pace S11 may be formed surrounded by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the front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12a, the motor mounting portion 12a, and the power mounting portion 13a.

모터 장착부(12a) 역시 일 측면부(예, 좌측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11a)의 제1 측면부(113a)에 부착되어 제1 측면부(113a)에서 후방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The motor mounting part 12a may also have a hexahedral shape in which one side part (eg, the left side part) is open,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side part 113a of the main body 11a as shown in FIGS. 6 and 7 . It may extend from the first side part 113a toward the rear by a predetermined length.

이때, 제1 측면부(113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터 장착부(12a)의 연장 길이는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의 끝단을 넘어서까지 연장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motor mounting portion 12a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irst side portion 113a may extend beyond the end of the second portion 1c2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 인해, 모터 장착부(12a)는 본체(11a)의 후면부(112a)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전면부(111a)에는 구동 스위치(SW1), 동작 표시기(LD1) 및 시간 표시기(LD2)가 위치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motor mounting portion 12a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portion 112a of the main body 11a, and the driving switch SW1, the operation indicator LD1 and the time indicator LD2 ar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111a. can be located

따라서, 모터 장착부(12a)의 내부에는 모터(41) 및 모터(41)와 동작 표시기(LD1) 및 시간 표시기(LD2)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모듈(2a)의 제1 구동 모듈부(2a1)가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motor mounting part 12a, the motor 41 and the first driving module part 2a1 of the driving module 2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41 and the operation indicator LD1 and the time indicator LD2 can be located

이때, 모터 장착부(12a)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후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 모터 장착부(12a)에 장착된 모터(41)와 팬 장착홈(P11)에 장착된 팬(4a)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the motor mounting part 12a has a part of the rear side open, so that the motor 41 mounted on the motor mounting part 12a and the fan 4a mounted on the fan mounting groove P11 are formed. Make electrical and physical connections possible.

전원 장착부(13a) 역시 본체(11a)의 제2 측면부(114)에 부착되어 제2 측면부(114)에서 후방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장착부(13a) 역시 본체(11a)의 후면부(112a)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ower mounting part 13a may also be attached to the second side part 114 of the main body 11a and extend rearward from the second side part 114 . Accordingly, the power mounting part 13a may als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part 112a of the main body 11a.

이때, 제2 측면부(114)의 후방으로의 전원 장착부(13a)의 연장 길이는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의 끝단을 넘어서까지 연장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of the power mounting part 13a to the rear of the second side part 114 may extend beyond the end of the second part 1c2 of the upper surface part 111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 인해, 이미 기술한 것처럼,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 후면부(112a), 모터 장착부(12a), 전원 장착부(13c)으로 에워싸여진 제2 공간(S12)이 형성될 수 있다.Due to this, as already described, the second space S12 surrounded by the second part 1c2, the rear part 112a, the motor mounting part 12a, and the power mounting part 13c of the upper surface part 111a can be formed. have.

제2 공간(S12)에는 구동 모듈(2a)의 일부인 제2 구동 모듈부(2a2)가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driving module unit 2a2 that is a part of the driving module 2a may be positioned in the second space S12 .

전원 장착부(13a)에는 전원부(5)가 장착되는 장착홈(P13)뿐만 아니라 제2 구동 모듈부(2a2)의 장착을 위한 장착 구멍(H13)을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mounting unit 13a has a mounting groove P13 in which the power unit 5 is mounted as well as for mounting the second driving module unit 2a2. A mounting hole H13 may be provided.

따라서, 전원부(5)는 장착홈(P13)에 안착되며, 제2 공간(S12)에 위치하는 제2 구동 모듈부(2a2)는 장착 구멍(H13)을 통과하여 전원 장착부(13a) 내에 일부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wer supply unit 5 is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P13, and the second driving module unit 2a2 located in the second space S12 passes through the mounting hole H13 and is partially positioned within the power mounting unit 13a. can do.

구동 모듈(2a)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구동 모듈부(2a1)와 제2 구동 모듈부(2a2)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2a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dule unit 2a1 and a second driving module unit 2a2 as described above.

제1 구동 모듈부(2a1)와 제2 구동 모듈부(2a2)는 모두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동작에 필요한 전기전자 소자 등이 실장될 수 있다.Both the first driving module unit 2a1 and the second driving module unit 2a2 may be form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required for each operation may be mounted thereon.

제1 구동 모듈부(2a1)는 모터 장착부(12a)에 장착되어, 구동 스위치(SW1)의 동작에 따라 모터(41)를 동작시켜 팬(4a)을 회전시키고, 모터 장착부(12a)에 위치하는 동작 표시기(LD1)와 시간 표시기(LD2)의 점등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module unit 2a1 is mounted on the motor mounting unit 12a, operates the motor 4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witch SW1 to rotate the fan 4a, and is located in the motor mounting unit 12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state of the operation indicator LD1 and the time indicator LD2.

제2 구동 모듈부(2a2)는 케이스(1a)의 후방에 위치한 제2 공간(S12)에 위치하여 자신에게 실장되어 있는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점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odule unit 2a2 may be positioned in the second space S12 located at the rear of the case 1a to control the blinking operation of the UV irradiation unit 21 mounted therein.

제2 구동 모듈부(2a2)에 위치하는 각 자외선 조사 유닛(21)은 케이스(1a)의 후면부(112a)에 위치한 각 창(WD112)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개방된 창(WD112)을 통해 제1 공간(S11)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Each UV irradiation unit 21 positioned in the second driving module part 2a2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window WD112 positioned in the rear part 112a of the case 1a, and is formed through the open window WD112. One space S11 may b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본 예에서는 각 창(WD112)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므로, 제2 구동 모듈부(2a2)에 장착되어 있는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높이 역시 서로 동일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in this example, since the heights of the respective windows WD112 are the same, the heights of the UV irradiation units 21 mounted on the second driving module part 2a2 may also be the same.

칫솔 걸이대(3a)는 케이스(1a)의 제1 측면부(113a)와 제2 측면부(114) 사이에 위치하며 후면부(112a)와 접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toothbrush holder 3a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de part 113a and the second side part 114 of the case 1a and may be mounted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112a.

본 예의 칫솔 걸이대(3a)는 정해진 폭을 갖고 연장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판일 수 있고,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칫솔 삽입홈(H31-H34)을 구비할 수 있다.The toothbrush holder 3a of this example may be a plate that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elongated in an extension direction (eg, a transverse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toothbrush insertion grooves H31-H34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이때, 복수 개의 칫솔 삽입홈(H31-H34)의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어,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칫솔 걸이대(3a)의 칫솔 삽입홈(H31-H34)에 삽입된 칫솔(110)의 칫솔모부(110)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toothbrush insertion grooves (H31-H34)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 8, the toothbrush 110 inserted into the toothbrush insertion grooves (H31-H34) of the toothbrush holder 3a of this example. The height of the bristles 110 of the may be the same or similar.

하지만, 이미 기술한 것처럼, 팬(4a)이 칫솔모부(110)의 상부인 본체(11a)의 상면부(111a)에 위치한 팬 장착홈(P11)에 위치하고 있다. However, as already described, the fan 4a is loca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P1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of the main body 11a,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bristle part 110 .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의 칫솔 살균기가 본체의 일 측면부로부터 타 측면부 쪽인 제1 공간(S11) 쪽으로 바람이 송풍되는 것이 비해, 본 예의 칫솔 살균기는 본체(11)의 상부에서부터 하방 쪽인 본체(11)의 제1 공간(S11) 쪽으로 바람이 송풍될 수 있다.Therefore, in comparison with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FIGS. 1 to 4 in which wind is blown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ace S11,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is the main body 11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wind may be blown toward the first space (S11).

이로 인해, 제1 공간(S11)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한 모든 칫솔모부(110) 쪽으로 바람이 골고루 송풍되어, 수평 방향으로 칫솔모부(110)가 중첩되게 위치하더라도 모든 칫솔모부(110)에 대한 안정적인 건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wind is uniformly blown toward all the bristles 110 located at the same or similar height in the first space S11, so that even if the bristles 110 are positioned to overl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ll the bristles 110 A stable drying operation can be achieved.

모터 장착부(12a)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41)는 팬 장착홈(P11)에 위치하는 팬(4a)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팬(4a)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otor 41 mounted on the motor mounting unit 12a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fan 4a loca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P11 to control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an 4a.

이러한 모터(41) 역시 구동 시간은 미리 정해질 수 있고, 구동 스위치(SW1)가 동작될 때마다 설정된 시간 동안만 팬(4a)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iving time of the motor 41 may also be predetermined, and each time the driving switch SW1 is operated, the fan 4a may be rotated only for a set time.

본체(11) 상부의 팬 장착홈(P11)에 위치하고 있는 팬(4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회전 날개가 외부로 도출되는 팬인 아닌 원통형과 같은 눕혀진 타워형 형태를 갖는 크로스팬(cross fan)일 수 있다.The fan 4a loca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P11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 is a cross fan having a tower-like shape laid down, such as a cylindrical one, rather than a fan whose rotary blades are drawn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S. 2 and 3 . (Cross fan)

따라서, 본체(11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면부(111a)에 길게 형성된 팬 장착홈(P11) 내에 팬(4a)이 위치하여 팬(4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위치한 송풍구를 통해 위치에 무관하게 하방으로 균일한 바람이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an 4a is loca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P11 formed long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a, and through the tuyere located for a certain section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an 4a. Make sure that the air is uniformly blown down regardless.

이로 인해, 칫솔 살균기의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복수 개의 칫솔에 대한 건조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Due to this, the drying operation for a plurality of toothbrushes can be efficiently made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예를 들어, 높이 서로 다른 계단 형태의 칫솔 걸이대를 이용하는 경우, 계단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연장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칫솔 살균기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using a toothbrush holder in the form of steps having different heights, as the number of steps increases, the siz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not only in the extension direction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reases.

하지만, 본 예의 칫솔 살균기의 경우, 상하 방향으로의 크기 증가없이 연장 방향으로의 크기만을 증가시켜 장착되는 칫솔(100)의 개수를 크게 늘리고, 각 칫솔모부(110)에 대한 균일한 바람 송풍으로 각 칫솔모부(110)의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by increasing only the size in the extension direction without increasing the siz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number of mounted toothbrushes 100 is greatly increased, and each bristle unit 110 is uniformly blown by wind. Drying time of the bristles 110 can be greatly shortened.

전원 장착부(13a)의 장착홈(P13)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전원부(5)는 배터리로서, 제1 구동 모듈부(2a1)과 제2 구동 모듈부(2a2), 모터(41), 구동 스위치(SW1) 및 표시기(LD1, LD2) 등과 같이 칫솔 살균기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 positioned in the mounting groove P13 of the power supply mounting unit 13a is a battery, and includes a first driving module unit 2a1 and a second driving module unit 2a2, a motor 41, and a driving switch SW1. And indicators (LD1, LD2), such as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제1 측면 덮개(61a)와 제2 측면 덮개(62)는 각각 모터 장착부(12a)의 전원 장착부(13a)의 개방된 측면을 덮는 덮개이다.The first side cover 61a and the second side cover 62 are covers covering the open side of the power mounting part 13a of the motor mounting part 12a, respectively.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본체(11a)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팬(4a)이 본체(11a) 상부에 위치하므로, 모터(41)가 장착되어 있는 모터 장착부(12a)에 장착되는 본 예의 제1 측면 덮개(61a)에는 환기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fan 4a for injecting air into the body 11a is located above the body 11a, the first side of the present example is mounted on the motor mounting part 12a on which the motor 41 is mounted. A ventilation hole may not exist in the cover 61a.

전면 덮개(71a)과 후면 덮개(72a)는 각각 본체(11a)의 해당 부분에 장착되어 개방되어 있는 본체(11a)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덮을 수 있다.The front cover 71a and the rear cover 72a may cover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main body 11a, which are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main body 11a, respectively, and are opened.

전면 덮개(71a)는 도 1 내지 도 3의 전면 덮개(71)와 비교할 때, 형상만 상이할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Compared to the front cover 71 of FIGS. 1 to 3 , the front cover 71a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except for a different shape.

따라서, 전면 덮개(71a)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본체(11a)의 상면부(111a)에 장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ont cover 71a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of the main body 11a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user.

또한, 이러한 전면 덮개(71a)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감지부의 감지 상태에 따라 자외선 조사 유닛(21)의 점멸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front cover 71a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nd the blinking state of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nsing state of the sensing unit.

후면 덮개(72a)는 전면부와 좌우 측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면부(721), 후면부(722), 및 하면부(723)를 구비하는 역'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11a), 모터 장착부(12a)와 전원 장착부(13a)에 장착되어, 개방된 본체(11a)의 후면부를 덮을 수 있다. The rear cover 72a may have an inverted 'C' shape having an open front portion and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721 , a rear portion 722 , and a lower surface portion 723 . For this reason, it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1a, the motor mounting part 12a, and the power supply mounting part 13a, and it can cover the back surface of the opened main body 11a.

이미 기술한 것처럼, 후면 덮개(72a)는 케이스(1a)의 개방된 후면부 뿐만 아니라, 모터 장착부(12a)와 전원 장착부(13a)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들 상부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후면 덮개(72a)의 상면부(721)는 모터 장착부(12a)와 전원 장착부(13a)를 덮을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rear cover 72a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tor mounting part 12a and the power mounting part 13a as well as the open rear part of the case 1a and can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se upper parts, so the rear cover ( The upper surface part 721 of 72a may cover the motor mounting part 12a and the power mounting part 13a.

또한, 후면 덮개(72a)의 상면부(721)는 본체(11a)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 위에 위치하여 제2 부분(1c2)과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721 of the rear cover 72a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portion 1c2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of the main body 11a to overlap the second portion 1c2 .

따라서, 팬 장착홈(P11)의 개방된 상부는 후면 덮개(72a)의 상면부(721)에 의해 덮여지고, 제2 공간(S12) 역시 후면 덮개(72a)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fan mounting groove P11 may be covered by the upper surface portion 721 of the rear cover 72a, and the second space S12 may also be sealed by the rear cover 72a.

이때, 팬 장착홈(P11)에 위치하는 팬(4a)의 상부에서 팬(4a)과 대면하고 있는 후면 덮개(72a)의 상면부(721)에는 복수 개의 환기공(H72)이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may be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721 of the rear cover 72a facing the fan 4a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4a loca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P11. .

복수 개의 환기공(H72)은 본체(11a) 상면부(111a)의 제2 부분(1c2)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공기홀(H11) 위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공기홀(H11)과 대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환기공(H72)과 복수 개의 공기홀(H11)은 상하 방향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may be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 positioned in the second portion 1c2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a of the main body 11a to face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 For this reason,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and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환기공(H72)을 통해 유입된 바람은 하부에 위치한 복수 개의 공기홀(H11)을 통해 신속하게 제1 공간(S11) 속으로 송풍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may be quickly blown into the first space S11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holes H11 located below.

각 환기공(H72)은 후면 덮개(72a)의 상면부(721)의 폭이 연장되는 방향인 폭 방향(예, 세로 방향)을 따라 길게 직선이나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ventilation hole (H72) may be formed in a long straight line or oblique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eg,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721 of the rear cover 72a extends, and has a flat shape such as a square. can have

이와 같이, 제1 측면부(113a)가 아니라 팬 장착홈(P11)에 장착된 팬(4a) 위에 복수 개의 환기공(H72)이 위치하므로, 팬(4a)의 동작에 따라 외부 공기는 안정적으로 환기공(H72)을 통해 팬 장착홈(P11) 내로 송풍된 후 본체(11a) 내의 제1 공간(S11)으로 유입되어,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are located on the fan 4a moun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P11 instead of the first side portion 113a, the outside air is stably ventil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an 4a. After the air is blown into the fan mounting groove P11 through the ball H72, it flows into the first space S11 in the main body 11a, so that air circulation can be made smoothly.

장착부(8a)는 본 예의 칫솔 살균기를 설치면에 장착하기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후면 덮개(72a)에 위치한 복수 개의 환기공(H72a) 속으로 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환기공(H72a)을 덮는 지붕으로도 기능하는 지붕 덮개부일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8a has a function for mounting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is example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s well 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a located on the rear cover 72a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or dust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a. It may be a roof covering part that also functions as a roof covering the ventilation hole H72a.

따라서, 본 예의 장착부(8)는 역시 역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면 덮개(72a)를 감싸는 형태로 후면 덮개(72a)에 장착될 수 있고, 상면부(81), 후면부(82) 및 하면부(83)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unting portion 8 of this example may also have an inverted 'C' shape, and may be mounted on the rear cover 72a in a form surrounding the rear cover 72a,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81, the rear portion 82 ) and a lower surface portion 83 may be provided.

하지만, 장착부(8a)는 복수 개의 환기공(H72a)을 위한 지붕으로의 역할을 위해, 상면부(81)는 후면 덮개(72a)의 상면부(721) 위에 상면부(721)와 중첩되게 위치하여, 상면부(721)에 위치한 복수 개의 환기공(H7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However, for the mounting portion 8a to serve as a roof for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a, the upper surface portion 81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upper surface portion 721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721 of the rear cover 72a. Thu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cover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721).

이처럼, 복수 개의 환기공(H72)이 장착부(8a)의 상면부(81)에 의해 완전히 덮여져 있으므로, 칫솔 살균기의 위쪽에서 쏟아지는 물이나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이 복수 개의 환기공(H72)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are completely covered by the upper surface portion 81 of the mounting portion (8a), pollutants such as water or dust pouring from the top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re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2) can be prevented.

장착부(8a)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칫솔 살균기를 설치면에 설치하기 위해 접착 필름(84)과 같은 설치 도구를 구비하고 있고, 자력 등을 이용하여 후면 덮개(72a)에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8a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tool such as an adhesive film 84 to install the toothbrush sterilizer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s described above, and is coupled to the rear cover 72a using magnetic force or the like to be mounted. have.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케이스(11, 11a)는 복수 개의 창(WD112)과 각 창(WD112)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을 구비하고 있다.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s 11 and 11a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dows WD112 and a plurality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21 corresponding to each window WD112.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창(WD112)의 개수는 하나이고, 개방된 창(WD112)에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창(WD112)은 위치에 무관하게 높이가 동일하거나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number of windows WD112 is one, and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open window WD112. In this case, one window WD112 may have the same height or a step shape regardless of a location.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는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21)에 복수 개의 창(WD112)이 존재할 수 있고, 이때, 각 창(WD112)은 칫솔 걸이대(3, 3a)에 장착되는 칫솔(100)의 칫솔모부(110)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alternative example, a plurality of windows WD112 may exist in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21, and in this case, each window WD112 is a bristle portion of the toothbrush 100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3, 3a. It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110).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칫솔 살균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1a: 케이스 3, 3a: 칫솔 걸이대
4, 4a: 팬 41: 모터
2, 2a: 구동 모듈 21: 자외선 조사 유닛
61, 61a: 제1 측면 덮개 62, 62a: 제2 측면 덮개
71, 71a: 전면 덮개 72, 72a: 후면 덮개
8, 8a: 장착부 W112: 창
P11: 팬 장착홈 H113, H11: 공기홀
H61, H72: 환기공
1. 1a: case 3, 3a: toothbrush holder
4, 4a: fan 41: motor
2, 2a: drive module 21: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61, 61a: first side cover 62, 62a: second side cover
71, 71a: front cover 72, 72a: back cover
8, 8a: mounting part W112: window
P11: Fan mounting groove H113, H11: Air hole
H61, H72: ventilation holes

Claims (12)

일 측부에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칫솔이 장착되는 복수 개의 단을 갖는 칫솔 걸이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칫솔 걸이대 쪽으로 외부 공기를 보내는 팬; 및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air inlets on one side and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a toothbrush holder positioned inside the case, having a different height and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on which toothbrushes are mounted;
a fan located inside the case,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cas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s by a rotational operation and sending the external air toward the toothbrush holder; and
A drive module located in the case and rotating the fan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복수 개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마주보고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과 마주보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환기공을 포함하는 측면 덮개
를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a sid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holes; and
A side cover facing the side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positioned to face the plurality of air holes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면 덮개로 덮여 있으며 내부에 상기 팬이 위치하는 모터 장착부; 및
상기 모터 장착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를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motor mounting part connected to the side part, covered with the side cover, and having the fan located therein; and
a motor located within the motor mount and rotating the fan
Toothbrush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을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comprises at least one window,
The driving module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t least one window, and the toothbrush sterilizer includes at least one UV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UV ray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창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칫솔 살균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at least one window is plural, the plurality of windows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제5 항에 있어서,
각 창은 상기 칫솔 걸이대에 장착되는 각 칫솔의 칫솔모부와 마주보고 있는 칫솔 살균기.
6. The method of claim 5,
Each window is a toothbrush sterilizer facing the bristles of each toothbrush mounted on the toothbrush holder.
복수 개의 공기홀을 구비하는 팬 장착홈을 구비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어 있는 후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부과 제2 측면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장착부;
상기 모터 장착부 내에 위치하는 모터;
상기 팬 장착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팬;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개방된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를 덮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 위에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과 마주보고 있는 복수 개의 환기공을 구비하는 후면 덮개;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portion having a fan mounting groove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a rear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case;
a motor mount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art;
a motor located within the motor mounting unit;
a fan located in the fan mounting groove and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 rear cover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connected to the case and covering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case and facing the plurality of air holes on the plurality of air holes; and
A driving module mounted on the case and driving the motor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장착홈은 상기 상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팬은 크로스 팬인 칫솔 살균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an mounting groove extends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The fan is a cross fan toothbrush steriliz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에 장착되고 상기 후면 덮개의 상기 복수 개의 환기공 위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환기공을 덮는 지붕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oothbrush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 roof cover mounted on the rear cover and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of the rear cover to cover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제1 측면부에 부착되어 있어 있고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모터 장착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팬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환기공과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1 구동 모듈부를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ase is attached to the first side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motor mounting part to which the motor is mounted.
further comprising,
The driving module is located in the motor mounting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rotate the fan, and includes a first driving module unit configured to introduce air into the case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air holes.
toothbrush steriliz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칫솔 걸이대; 및
상기 케이스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창과 마주보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구동 모듈부
를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8.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window position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a toothbrush holder positioned on the body; and
A second driving module unit located in the case and including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positioned to face at least one window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Toothbrush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제1 항 또는 제7 항에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부에 장착되는 전면 덮개;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후면부에 장착되는 후면 덮개
를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8. In claim 1 or 7,
a front cover mounted on the open front part of the case; and
A rear cover mounted on the open rear part of the case
Toothbrush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KR1020200153809A 2020-11-17 2020-11-17 Toothbrush sterilizer KR2022006728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09A KR20220067280A (en) 2020-11-17 2020-11-17 Toothbrush sterilizer
CN202111336401.0A CN114504256B (en) 2020-11-17 2021-11-12 Toothbrush ster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09A KR20220067280A (en) 2020-11-17 2020-11-17 Toothbrush steriliz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280A true KR20220067280A (en) 2022-05-24

Family

ID=8154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09A KR20220067280A (en) 2020-11-17 2020-11-17 Toothbrush steriliz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7280A (en)
CN (1) CN114504256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027B1 (en) * 2022-07-11 2023-02-17 주식회사 세영테크 Air-circulating toothbrush sterilizer using UV LE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51Y1 (en) 2006-08-07 2006-12-26 (주)한국나노기술 A portable toothbrush-sterilization device with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0652A (en) * 2006-03-03 2007-09-06 에센시아주식회사 A toothbrush sterilizer
TWM509043U (en) * 2015-06-08 2015-09-21 chen-wei Xu Toothbrush receiving box with sterilization and drying functions
CN205548409U (en) * 2015-12-22 2016-09-07 纳诺神蜂(福建)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Toothbrush holder with disinfection function
TWM530118U (en) * 2016-02-05 2016-10-11 Univ Far East Toothbrush disinfection device
CN206910530U (en) * 2016-11-04 2018-01-23 深圳市林央技术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al toothbrush sterilizer
CN207456100U (en) * 2017-10-31 2018-06-05 民生药业集团珍医堂制药有限公司 A kind of drying unit of Chinese medicine
CN209220091U (en) * 2018-06-26 2019-08-09 龙海市九湖力达五金加工厂 A kind of bathroom towel rack of included dried disinfecting function
CN209734582U (en) * 2018-12-27 2019-12-06 深圳市紫牛智光科技有限公司 Toothbrush sterilizer capable of air drying
CN210432746U (en) * 2018-12-31 2020-05-01 云南滇鲁农业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Donkey meat linkage
CN209931787U (en) * 2019-05-14 2020-01-14 杭州博盾环境科技有限公司 Toothbrush sterilizer
CN210249634U (en) * 2019-05-20 2020-04-07 浙江麦青智能家居有限公司 Intelligent sterilization multifunctional toothbrush storage rack
CN210227956U (en) * 2019-05-22 2020-04-03 陆元婷 Timing toothbrush holder
CN211093622U (en) * 2019-07-03 2020-07-28 深圳市金裕仁实业有限公司 Automatically controlled formula disinfection stoving toothbrush places box
CN211717095U (en) * 2019-12-30 2020-10-20 郎溪远华纺织有限公司 Drying device for dyeing superfine fiber loop sports fabri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51Y1 (en) 2006-08-07 2006-12-26 (주)한국나노기술 A portable toothbrush-sterilization device with toothbru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027B1 (en) * 2022-07-11 2023-02-17 주식회사 세영테크 Air-circulating toothbrush sterilizer using UV 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04256A (en) 2022-05-17
CN114504256B (en)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101B1 (en) Toothbrush sterilizer
EP3967333A1 (en) Led lighting device for sterilizing surface or space
KR101362704B1 (en) Oral cavity sterilization appratus
US20130175711A1 (en) Uv sterilization chamber for a humidifier
CN206910530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toothbrush sterilizer
WO2007136831A2 (en) Robotic pool cleaner with internal ultraviolet water sterilization
KR20220067280A (en) Toothbrush sterilizer
KR20130021158A (en) Toothbrush cap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KR20170032011A (en) Sterilization device for mobile phone
KR19990030943U (en) Humidifier Sterilizer
KR20110070183A (en) The sterilizing system of the humidifier using the uv lamp
KR20180035019A (en) Toothbrush Hanger Having A Sterilizing And Drying Function
KR100524125B1 (en) Charger of electromotive hair cutter having sterilization means
JP2004061078A (en) Air cleaner
CN218685350U (en) Chopstick sterilizer
CN215821765U (en) Ultraviolet sterilizer
KR20070064875A (en)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mold for forming it
CN219440077U (en) Toothbrush sterilizer
KR100611934B1 (en) A portable toothbrush-sterilization device with U-type cold cathode ultraviolet rays lamp
CN213155571U (en) Toothbrush stores pylon disinfects
CN211834829U (en) Sterilizing electric toothbrush
CN220466344U (en) Be used for sterile light receiver of denture
CN210228719U (en) Milk bottle disinfection cabinet with side surface supplementary sterilization function
CN215350836U (en) Novel sterilization device
CN213787099U (en) Sterilization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