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101B1 - Toothbrush sterilizer - Google Patents

Toothbrush steri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101B1
KR102177101B1 KR1020190145081A KR20190145081A KR102177101B1 KR 102177101 B1 KR102177101 B1 KR 102177101B1 KR 1020190145081 A KR1020190145081 A KR 1020190145081A KR 20190145081 A KR20190145081 A KR 20190145081A KR 102177101 B1 KR102177101 B1 KR 10217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oothbrush
unit
outer cas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용
홍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to KR102019014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101B1/en
Priority to PCT/KR2020/013653 priority patent/WO20210960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for improving a sterilization effect of a toothbrush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case portion having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which are an 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a toothbrush holder which is positioned in the case portion and on which a toothbrush is mounted; a fan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and a driving module which is positioned in the case portion and rotates the fan to introduce external air toward the toothbrush.

Description

칫솔 살균기{TOOTHBRUSH STERILIZER}Toothbrush sterilizer {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은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구강 건강을 위해 현대인은 하루에 몇 번씩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행하고 있다.For oral health, modern people brush their teeth with a toothbrush several times a day.

하지만, 칫솔을 주로 습도가 높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화장실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고, 별도의 살균 처리를 행하지 않고 자연 건조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However, toothbrushes are often stored in toilets with high humidity and poor ventilation, and a natural drying method is used without performing separate sterilization treatment.

이러한 이유로,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성 미생물은 사용 후의 칫솔에 남아있는 수분이나 영양 물질에 의해 번식되어, 일반적으로 칫솔의 위생 상태는 매우 불량한 상태이다.For this reason,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are propagated by moisture or nutrients remaining in the toothbrush after use, and the hygiene condition of the toothbrush is generally very poor.

이처럼, 오염된 칫솔을 사용하게 되면 치주염과 같은 각종 구강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게 되고, 특히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렴, 기관지염, 간염, 감기 등에 노출되기 쉬워 칫솔의 사용 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청결한 관리가 필요하다. As such, the use of a contaminated toothbrush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various oral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and especially those with weaker immunity than healthy people are more susceptible to pneumonia, bronchitis, hepatitis, and colds, and bacteria grow after using the toothbrush. Clean care is necessary to prevent it.

따라서, 최근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칫솔을 살균하는 칫솔 살균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toothbrush sterilizer for sterilizing a toothbrush using ultraviolet ray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651호(공고일자: 2006년 12월 26일, 고안의 명칭: 칫솔을 내장한 휴대용 칫솔살균장치)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4651 (announcement date: December 26, 2006, designation: portabl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with built-in toothbrush)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칫솔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toothbrush.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칫솔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drying time of the toothbrush.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전면에 개방된 부분,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구비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칫솔이 장착되는 칫솔 걸이대,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제1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팬 및 상기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상기 팬을 회전시켜 상기 칫솔 쪽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case portion having an 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surface, a toothbrush holder positioned in the case portion and mounted with a toothbrush, and the case portion And a fan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driving module positioned in the case portion and rotating the fan to introduce external air toward the toothbrush.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ide su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holes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상기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상기 구동 모듈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positioned in the driving module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unit.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may include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상기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상기 케이스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케이스부와 마주보게 위치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을 상기 케이스부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ing unit positioned opposite the case unit to face the case unit to reflect ultraviolet rays output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toward the case unit.

상기 케이스부는 전면부에 개방된 부분을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후면을 구비하며 전면부에 개방된 부분을 구비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portion is located in the outer case and the outer case having an 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It may include an inner case having a connected rear surface and having an open portion on the front portion.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inner c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holes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상기 후면은 상기 구동 모듈에 위치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와 대면하게 위치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내부 케이스 쪽으로 노출시키는 창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surface may include a window positioned to fac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located on the driving module to expos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toward the inner case.

상기 반사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flector may have a curved surface.

상기 특징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상기 케이스부의 개방된 부분을 닫는 전면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ver that closes the open portion of the case.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부에 의한 칫솔모를 구비하는 칫솔모부를 살균을 실시할 때, 전면 덮개에 위치한 반사부에 의한 자외선 반사 동작에 의해 칫솔모 쪽으로 많은 양의 자외선이 조사되어 칫솔모의 살균 효과가 향상된다. According to this feature, when sterilizing the bristles provided with the bristles by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a large amount of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ward the bristles by the ultraviolet reflection operation by the reflecting unit located on the front cover, thereby sterilizing the bristles. Is improved.

또한, 칫솔모와 대응하는 부분에 별도의 자외선 조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칫솔 살균기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구조가 간소화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ristl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is reduced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이에 더해, 팬의 회전 동작으로 실내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칫솔모를 건조시키므로, 칫솔모의 건조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이로 인해, 칫솔모에서의 세균 번식이 크게 억제되어, 칫솔의 청결 상태는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the brush head is dried by introducing air into the indoor case by the rotation of the fan, so the drying time of the brush head is greatly shortened. For this reason, the propagation of bacteria on the bristles is greatly suppressed, and the cleanliness of the toothbrush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전면 케이스와 칫솔 걸이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에 칫솔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 덮개가 닫혀진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에 칫솔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 덮개가 개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의 자외선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전면 덮개에 반사되어 칫솔모부 쪽으로 입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older and a front case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closed while the toothbrush is mounted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opened while the toothbrush is mounted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lected on the front cover and incident toward the brist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evant field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these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according to related people or customs in the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reference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comprising' specifies a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기는 외부 케이스(1)와 외부 케이스(1) 내에 내장되는 내부 케이스(2)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케이스부, 좀 더 구체적으로 내부 케이스(2)에 장착되는 칫솔 걸이대(3), 케이스부의 제1 측면(예, 좌측면), 구체적으로, 외부 케이스(1)에 위치하고 모터 등을 구비하는 팬(4), 케이스부의 내부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51)가 장착되어 있고 팬(4)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 모듈(5), 구동 모듈(5)과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6), 케이스부, 구체적으로 외부 케이스(1)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면 덮개(71, 72), 그리고 케이스부, 즉 내부 케이스(2)에 장착되는 전면 덮개(8)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ortion having an outer case 1 and an inner case 2 embedded in the outer case 1, a case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toothbrush holder 3 mounted on the inner case 2, the first side (eg, left side) of the case part, specifically, a fan 4 located in the outer case 1 and provided with a motor, etc., the case part The driving module 5 connected to the fan 4 and the driving module 5 connected to the fan 4, the power supply 6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5, the case part, specifically the outer case First and second side covers 71 and 72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1), and a case portion, that is, a front cover 8 mounted on the inner case 2 are provided.

외부 케이스(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에 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그 빈 공간 속에 팬(4), 내부 케이스(2), 칫솔 걸이대(3) 전원부(6) 등이 위치하여 보호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uter case 1 has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and in the empty space, a fan 4, an inner case 2, a toothbrush holder 3, a power supply unit 6, etc. It is located and protected.

이러한 외부 케이스(1)는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case 1 may include a first outer case portion 11 and a second outer case portion 12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upled to each other.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제1 외부 케이스부(11)의 양 측부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의 양 측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의 내부 공간은 서로 통해 있다.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ortion 12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and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ortion Both sides of (12) are open. Accordingly, the inner spaces of the first outer case part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art 12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through each other.

또한, 전면 쪽에 위치하는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의 몸체는 개방되어 있어, 서로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되어 이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1)는 전면부에 개방된 부분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bodies of the first outer case part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art 12 located on the front side are open, so that they are connect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outer case part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art 11 The outer case 1 provided with the case part 12 has an open part in the front part.

따라서, 이 외부 케이스(1)의 개방된 부분에 전면 덮개(8)가 위치하여 제1 외부 케이스(1)의 개방된 부분을 덮거나 개방한다.Accordingly, the front cover 8 is position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outer case 1 to cover or open the open portion of the first outer case 1.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는 각각 아래 쪽(즉, 설치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가 위치하며, 이 연장부의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고 후면부는 후면으로 막혀있다. Each of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ortion 12 ha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ie, towar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is open and the rear portion is closed to the rear side. have.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외부 케이스부(11,12)의 몸체의 개방 부분과 연장부의 개방 부분을 서로 연결되어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open portions of the body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case portions 11 and 12 and the open portions of the extension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로 인해,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는 각각 외부면 일부 및 측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B11, B12)와 몸체(B11, B12)로부터 아래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연장부(T11, T12)를 구비하고 있다. For this reason, the first outer case part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art 12 are formed downward from the cylindrical bodies B11 and B12 and the bodies B11 and B12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side are respectively open. It is provided with extensions T11 and T12 which are extended and the front part is open.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외부 케이스부(11)의 몸체(B11)에는 팬(4)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스위치(SW11)와 구동 스위치(SW11)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표시기(LED1)가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dy B11 of the first outer case unit 11 notifi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iving switch SW11 and the driving switch SW11 for driving the fan 4 An indicator LED1 such as a blue light emitting diode may be mounted.

이로 인해, 제1 외부 케이스부(11)는 외부 케이스(11)의 일측부를 구성하고, 제2 외부 케이스부(12)는 외부 케이스(11)의 타측부를 구성한다. For this reason, the first outer case part 11 constitutes one side of the outer case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art 12 constitutes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ase 11.

제1 외부 케이스부(11)의 내부에는 팬(5)이 장착되는 거치대(111)가 위치하고 있다.A cradle 111 on which the fan 5 is mounted is located inside the first outer case part 11.

거치대(111)는 제1 외부 케이스부(11)의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거치대 본체(111a) 및 거치대 본체(111a) 끝단에 각각 위치하고 반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단부(111b)를 구비한다.The cradle 111 has a cradle body 111a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and two end portions 111b having a semicircular planar shape,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ends of the cradle body 111a. .

이러한 거치대(111)는 제2 외부 케이스부(12)와 대면하고 있는 부분(즉 일측부)은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즉, 팬(4)과 대면하고 있는 면]은 막혀 있다. In this cradle 111, the portion facing the second outer case portion 12 (that is, one side portion) is open, and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ie, the surface facing the fan 4) are It is blocked.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거치대(111)의 개방된 일측부 속으로 구동 모듈(5)과 구동 스위치(SW11)와 표시기(LED1)가 장착된 장착 기판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1)에는 구동 모듈(5)과 장착 기판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위치하여, 거치대(11)에 안정적으로 구동 모듈(5)과 장착 기판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모듈(5)과 장착 기판의 장착 위치가 절감되고, 구동 모듈(5)과 장착 기판의 장착 위치가 안정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substrate on which the driving module 5, the driving switch SW11 and the indicator LED1 are mounted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side of the cradle 111. In this cas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driving module 5 and the mounting substrate are inserted is positioned in the cradle 11, so that the driving module 5 and the mounting substrate are stably inserted into the cradle 11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Due to this,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driving module 5 and the mounting substrate can be reduced, and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driving module 5 and the mounting substrate can be stabilized.

거치대 본체(111a)의 가운데 부분에는 팬(4)이 장착되는 장착홀(H11)이 위치한다.A mounting hole H11 in which the fan 4 is mounte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older body 111a.

각 단부(111b)는 거치대 본체(111a)의 각 끝단에 위치하여 제1 외부 케이스부(11)의 본체(B11)의 내부면과 연결되어 있어, 거치대 본체(111a)를 제1 외부 케이스부(11)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Each end (111b) is located at each end of the base body (111a)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B11) of the first outer case part 11, so that the base body (111a)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case part ( 11) It should be located inside.

제2 외부 케이스부(12)는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연결되어 있다.The second outer case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이때, 제1 외부 케이스부(11)의 몸체(B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의 몸체(B12)가 서로 맞대어 위치하고, 제1 외부 케이스부(11)의 연장부(T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의 연장부(T12)가 서로 맞대어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body (B11) of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and the body (B12) of the second outer case portion (12)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extension portion (T11) of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2 The extension portions T12 of the outer case portion 12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본 예에서, 외부 케이스(1)는 분리된 두 개의 몸체인 제1 외부 케이스부(11)와 제2 외부 케이스부(12)가 서로 체결된 구조를 갖지만, 이와 달리, 외부 케이스(1)는 분리되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outer case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outer case portion 11 and the second outer case portion 12, which are two separate bodies, are fastened to each other, but unlike this, the outer case 1 It can be made of a separate body.

내부 케이스부(2)는 외부 케이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잘려 나간 대략 원형의 측면 형상을 갖고 있다.The inner case portion 2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 and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ide shape in which a part is cut out in a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내부 케이스부(2)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수직면인 후면(21), 양 측면(221, 222) 및 앞부분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면(23) 및 설치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면(24)을 구비하고 있다.Accordingly, the inner case portion 2 has an empty space therein, and is loca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a vertical surface, the rear surface 21, both side surfaces 221 and 222, and the upper surface 23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partially open. It has a lower surface 24 extending toward the side.

이러한 내부 케이스부(2)의 형상은 내부 케이스부(2)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외부 케이스(1)의 해당 부분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inner case part 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corresponding part of the outer case 1 in which the inner case part 2 is inserted and positioned.

수직면인 후면(21)는 구동 모듈(5)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1 측면(221)과 제2 측면(222) 사이에서 제1 측면(221)과 제2 측면(222)에 연결되게 위치한다. The rear surface 21, which is a vertical surfac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riving module 5, and is position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221 and the second side 222 between the first side 221 and the second side 222. .

후면(21)에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구동 모듈(5)에 장착된 자외선 조사부(51)와 대면하게 위치하여 자외선 조사부(51)를 내부 케이스(2) 쪽으로 노출시키는 창(W21)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창(W21)는 정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조사부(51)의 배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평면 상을 가질 수 있다.The rear surface 21 is provided with a window W21 which is positioned to fac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ounted on the driving module 5 as shown in FIG. 4 to expos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toward the inner case 2. . As shown in FIG. 4, the window W21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such as a squ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may have a planar sha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따라서, 자외선 조사부(51)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은 창(W21)을 통과하여 대면하고 있는 내부 케이스(2)의 칫솔(200) 쪽으로 조사된다. 이때, 창(W21)의 위치는 내부 케이스(2) 내에 장착되는 칫솔(100)의 칫솔모부, 즉 칫솔모가 식재되어 칫솔모를 구비하는 칫솔 부분(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칫솔모부(110)는 창(W21)을 통해 노출되어 구동 모듈(5)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부(51)와 마주보게 대응된다. Accordingly, the ultraviolet rays output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are irradiated toward the toothbrush 200 of the inner case 2 facing through the window W21.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window W21 may be locat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bristle part of the toothbrush 100 that is mounted in the inner case 2, that is, the toothbrush part 110 provided with the bristles by planting the bristles. The unit 110 is exposed through the window W21 and corresponds to face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ounted on the driving module 5.

따라서, 자외선 조사부(51)에서 발광되는 빛은 창(W21)을 통과하여 대응하고 있는 칫솔모부(110) 쪽으로 조사되어 칫솔모부(110)의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passes through the window W21 and is irradiated toward the corresponding bristle unit 110 so that the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bristle unit 110 is performed.

이때, 자외선 조사부(51)는 수직 방향(즉 설치면 쪽 방향) 및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ay be arranged and positioned parallel to at least one of a vertical direction (ie, a direction towar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horizontal direction crossing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자외선 조사부(51)의 개수는 칫솔모부(110)의 길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자외선 조사부(51)의 개수는 하나의 자외선 조사부(51)에서 출력되는 빛의 확산 범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number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51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ristles 110, and the number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51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usion range of the light output.

내부 케이스(2)의 좌측면인 제1 측면(221)과 우측면인 제2 측면(222)에는 각각 전면 덮개(8)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H22)이 위치하여, 전면 덮개(8)의 대응 위치에 위치하는 연결 돌기(P81)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내부 케이스(2)에 전면 덮개(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개폐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A connection hole H22 for connection with the front cover 8 is located in the first side 221 and the second side 222 on the right side of the inner case 2, respectively. The connection protrusion P81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inserted. For this reason, the front cover 8 is connected to the inner case 2 in an openable and closed state, as shown in FIGS. 5 and 6.

내부 케이스(2)의 제1 측면(221)은 복수 개의 공기홀(H221)이 위치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공기홀(H221)은 제1 측면(221)의 평면 형상을 따라 구동 모듈(5)에 인접한 부분에서 전면 덮개(8)에 인접한 부분에 걸쳐 이격되게 분포되어 있다. A plurality of air holes H221 are located on the first side surface 221 of the inner case 2. The plurality of air holes H221 are spaced apart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driving module 5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cover 8 along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side surface 221.

본 예에서, 제1 측면(221)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공기홀(H221)의 지름과 인접한 두 공기홀(H221) 간의 이격 거리를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 간격은 해당 두 공기홀(H221)의 중심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일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air holes H221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surface 221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adjacent air holes H221 may be different. Here,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a distance obtained by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two air holes H221 in a straight line.

이때, 복수 개의 공기홀(H221)의 지름은 구동 모듈(5)에 인접한 부분에서 전면 덮개(8)에 인접한 부분을 갈수록 감소하고, 이격 거리는 반대로 구동 모듈(5)에 인접한 부분에서 전면 덮개(8)에 인접한 부분을 갈수록 증가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air holes H221 decreases gradually from the portion adjacent to the driving module 5 to the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cover 8, and the separation distance is opposite to the front cover 8 a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driving module 5 ) Increases as you move closer to it.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내부 케이스(2) 내에 위치하는 칫솔(100)의 칫솔모부(110)와 대응하고 있는 제1 측면(221)의 부분[예를 들어, 제1 측면(221)의 가운데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예를 들어, 제1 측면(2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공기홀(H221)의 지름이 상이하여, 제1 측면(221)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위치하는 공기홀(H221)의 지름은 감소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a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corresponding to the bristles 110 of the toothbrush 100 positioned in the inner case 2 (eg, the first side 221 ), the diameter of the air hole H221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and the other portion [for example,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are different, so that the edge portion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The diameter of the air hole H221 located toward the direction may decrease.

이와 반대로, 제1 측면(221)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인접한 두 공기홀(H221)의 이격 간격을 증가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adjacent air holes H221 may be increase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221 to the edge portion.

이러한 공기홀(H221)의 지름과 이격 간격에 의해, 공기홀(H221)은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지름과 이격 간격이 증가하는 글라데이션(gradation) 형태로 분포된다.Due to the diameter and spacing of the air holes H221, the air holes H221 a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gradation in which the diameter and spacing increase from the center to the edge.

다른 예에서, 내부 케이스(2)의 후면(21)과 인접한 제1 측면(221)의 부분[즉, 구동 모듈(5)과 인접한 제1 측면(221)의 부분]에서 전면 덮개(8) 쪽으로 갈수록 공기홀(H221)의 지름은 감소하고 인접한 두 공기홀(H221) 간의 이격 간격은 증가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from the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21 of the inner case 2 (ie, the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adjacent to the driving module 5) toward the front cover 8 Increasingly, the diameter of the air hole H221 may decreas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wo adjacent air holes H221 may increase.

따라서, 칫솔모부(110)와 대응하고 있는 제1 측면(221)의 가운데 부분에는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더 큰 공기홀(H221)이 좀 더 조밀하게 위치한다.Accordingly,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221 corresponding to the bristle portion 110, an air hole H221 that is larger than the edge portion is more densely positioned.

이로 인해, 단위 면적 당 구동 모듈(5)에 인접한 부분(예,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공기홀(H221)의 총 면적은 단위 면적 당 전면 덮개(8)에 인접한 부분(예,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구멍의 총 면적보다 훨씬 크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칫솔모부(110)와 대응되는 제1 측면(221)의 부분(예, 가운데 부분)으로의 공기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total area of the air hole H221 locat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driving module 5 per unit area (eg, a center portion) is located in a portion (eg, an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cover 8 per unit area. It becomes much larg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hole. Accordingly, air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to a portion (eg, a center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corresponding to the bristle portion 110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에 반해, 제2 측면(222)은 연결홀(H22)을 제외하면 별도의 구멍이 위치하지 않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막힌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2 is a blocked portion made of a flat surface where no separate hole is located except for the connection hole H22.

따라서, 제1 측면(221)의 공기홀(H221)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2 측면(222) 쪽으로 이동한 후 제2 측면(222)에 막혀 내부 케이스(2) 내부에 머무를 시간이 증가한다. Therefore,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le H221 of the first side 221 moves toward the second side 222 and then is blocked by the second side 222, thereby increasing the time to stay inside the inner case 2 do.

내부 케이스(2)의 상부면(23)는 후면(21)의 일측 단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제1 측면(221)과 제2 측면(222)의 일부분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면(23)은 이에 대응하는 제1 외부 케이스(1)의 부분과 마찬가지로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upper surface 23 of the inner case 2 is seamless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ar surface 21 and is seamless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and the second side 222. The upper surface 23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like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outer case 1.

하부면(24)은 상부면(23)과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으며, 후면(21)의 타측 단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제1 측면(221)과 제2 측면(222)의 일부분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다.The lower surface 24 is located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23, is seamless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ar surface 21, and is seamless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irst side 221 and the second side 222. connected.

이러한 하부면(24)은 설치면 쪽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고 설치면과 대면하고 있는 하면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The lower surface 24 has a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installation surface is open.

이러한 상부면(23)과 하부면(24)에 의해, 상부면(23)과 하부면(24)이 위치하지 않는 제1 측면(221)과 제2 측면(222) 사이는 개방되어 있어, 외부 케이스(1)와 유사하게 내부 케이스(2)는 전면부에 개방된 부분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칫솔(100)을 내부 케이스(2)에 편리하게 위치시키고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 케이스(2)의 개방된 부분 역시 전면 덮개(8)에 의해 닫혀진다. By the upper surface 23 and the lower surface 24, the upper surface 23 and the lower surface 24 are not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221 and the second side 222 are open, so that the outside Similar to case 1, the inner case 2 has an 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place and take out the toothbrush 100 in the inner case 2. At this time, the open part of the inner case 2 is also closed by the front cover 8.

이러한 하부면(24)에 칫솔(100)이 장착되는 칫솔 걸이대(3)가 위치한다.A toothbrush holder 3 on which the toothbrush 100 is mounted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24.

따라서, 하부면(24)의 연장 부분에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칫솔 거치대(3)가 장착되는 장착홀(H24)이 위치한다.Accordingly, a mounting hole H24 in which the toothbrush holder 3 is mounted is positioned in the extende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4 as shown in FIG. 4.

칫솔 거치대(3) 역시 장착홀(H24)에 삽입되어 칫솔 거치대(3)는 하부면(24)의 해당 위치에 위치시키는 장착 돌기(P31)와 가운데 부분이 위치하여 칫솔(100)이 삽입되는 칫솔 삽입홈(H31)이 위치한다. The toothbrush holder 3 is also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H24, so that the toothbrush holder 3 has a mounting protrusion P31 position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24 and a toothbrush in which the toothbrush 100 is inserted The insertion groove (H31) is located.

이러한 칫솔 거치대(3)는 탄성이 있는 탄성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This toothbrush holder 3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100)의 칫솔 목부분을 삽입홈(H31)에 삽입하거나 삽입홈(H31)으로부터 탈거하여 내부 케이스(2)의 내부 공간에 살균하고자 하는 칫솔(1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place the toothbrush 100 to be steriliz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2 by inserting the toothbrush neck portion of the toothbrush 100 into the insertion groove H31 or removing it from the insertion groove H31. .

구동 모듈(5)은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조사부(51)와 팬(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서, 따라서, 구동 모듈(5)은 팬(4)을 동작시키는 팬 구동부(41) 등이 추가로 실장되어 있다.The driving module 5 is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and the fan 4, and thus, the driving module 5 includes a fan driving unit 41 that operates the fan 4, and the like. It is additionally implemented.

이러한 구동 모듈(5)은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케이스(2)와 후면(21)와 외부 케이스(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5 may be form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ay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2 and the rear surface 21 and the outer case 1.

이러한 구동 모듈(5)은 전원부(6), 구동 스위치(SW11) 및 표시기(LED1)와 연결되어 있다.The driving module 5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6, the driving switch SW11, and the indicator LED1.

따라서, 전원부(6)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구동 스위치(SW11)의 상태 상태에 따라 팬 구동부(41)와 표시기(LED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6, and the operation of the fan driving unit 41 and the indicator LED1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riving switch SW11.

자외선 조사부(51)는 한 예로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 LED)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램프 등을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ay include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 ultraviolet lamp or the like.

전원부(6)는 내부 케이스(2)의 제2 측면(222)과 제2 외부 케이스부(12)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내부 케이스(2)의 제2 측면(222)에 부착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6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ide 222 of the inner case 2 and the side of the second outer case 12 and attached to the second side 222 of the inner case 2.

이러한 전원부(6)는 대면하고 있는 제2 측면 덮개(72)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6 may be a battery that is charged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side cover 72 facing each other.

제1 측면 덮개(71)는 외부 케이스(1)의 좌측을 덮는 덮개로서 복수 개의 환기공(H71)을 구비하는 망 형태를 갖고 있고, 제2 측면 덮개(72)는 외부 케이스(1)의 우측을 덮는 덮개로서 전원부(5)의 충전을 위한 단자 연결홀(H72)를 제외하면 모두 막혀 있는 평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The first side cover 71 is a cover covering the left side of the outer case 1 and has a mesh shape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71, and the second side cover 72 is on the right side of the outer case 1 As a cover covering the power supply unit 5, except for the terminal connection hole H72 for charging, it is formed in a flat shape that is all blocked.

이러한 제1 측면 덮개(71)와 제2 측면 덮개(72)가 외부 케이스(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된다.The first side cover 71 and the second side cover 72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case 1, respectively.

따라서, 팬(4)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 측면 덮개(71)의 환기공(H71)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어 바람에 의해, 내부 케이스(2) 내에 장착되어 있는 칫솔모부(110)의 건조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환기공(H71)의 지름과 이격 거리 역시 내부 케이스(2)의 제1 측면(221)에 위치한 복수 개의 공기홀(H221)와 동일하게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an 4, i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H71 of the first side cover 71, and by wind, the bristles 110 installed in the inner case 2 are dried. The operation takes place. At this time, the diameter and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ventilation hole H71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plurality of air holes H221 located on the first side 221 of the inner case 2.

이로 인해, 자외선 조사부(51)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동작뿐만 아니라 팬(4)에 의한 자연 바람을 이용한 건조 동작도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부 케이스(2) 내에서 칫솔(100)은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보관된다.For this reason, not only the sterilization operation using ultraviolet rays output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but also the drying operation using natural wind by the fan 4 is performed. Therefore, the toothbrush 100 is kept clean and hygienic in the inner case 2.

전면 덮개(8)는 반원통형 형상(semi-cylindric shape)의 본체(81)와 본체(81)의 하부에서 설치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역시 반원통형 형상의 연장부(82)를 구비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8 may include a main body 81 having a semi-cylindric shape and an extension portion 82 having a semi-cylindric shape and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81 toward an installation surface.

본체(81)의 상부 양 측단에는 내부 케이스(2)의 해당 장착홈(H22)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P81)가 위치한다.Engaging protrusions P81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mounting grooves H22 of the inner case 2 are located at both upper side ends of the main body 81.

이때, 본체(81)의 가장자리는 내부 케이스(2)의 제1 및 제2 측면(221, 222), 상부면(23)의 단부와 접하게 위치하고, 연장부(82)의 가장자리는 내부 케이스(2)의 하부면(24)의 단부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main body 81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221 and 222 of the inner case 2 and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23, and the edge of the extension 82 is the inner case 2 ) May be locate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24.

이로 인해, 전면 덮개(8)가 내부 케이스(2)에 장착됨에 따라 내부 케이스(2) 및 외부 케이스(1)의 개방된 전면 부분은 전면 덮개(8)에 의해 닫히게 된다.For this reason, as the front cover 8 is mounted on the inner case 2, the open front portions of the inner case 2 and the outer case 1 are closed by the front cover 8.

이러한 전면 덮개(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위쪽 방향과 아래쪽 방향으로 장착홈(H2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 케이스(2)의 개방된 부분을 노출하거나 덮게 된다.This front cover 8, as shown in FIGS. 5 and 6, moves upward and downward with the mounting groove H22 as the cent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inner case 2 The open area is exposed or covered.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전면 덮개(8)을 위쪽 방향으로 열어 내부 케이스(2)의 칫솔 걸이대(3)에 칫솔(100)을 위치시키거나 양치질을 위해 칫솔(100)을 꺼낼 수 있다. Accordingly, as already described, the user can open the front cover 8 in an upward direction to place the toothbrush 100 on the toothbrush holder 3 of the inner case 2 or take out the toothbrush 100 for brushing teeth. .

또한, 내부 케이스(2)에 사용한 칫솔(100)을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면 덮개(8)를 열어 칫솔 걸이대(3)에 칫솔(100)을 장착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장착된 칫솔(100)의 살균 및 건조를 위해, 사용자가 구동 스위치(SW11)를 동작시키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구동 스위치(SW11)는 해당 상태의 신호를 구동 모듈(5)로 전송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store the toothbrush 100 used in the inner case 2, the user opens the front cover 8 and mounts the toothbrush 100 on the toothbrush holder 3. For sterilization and drying of the toothbrush 100 mounte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driving switch SW11, the driving switch SW11 transmits a signal in the corresponding state to the driving module 5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

이에 따라, 구동 모듈(5)은 팬 구동부(41)와 자외선 조사부(51)로 각각 구동신호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driving module 5 outputs a driving signal to the fan driving unit 41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ng unit 51, respectively.

이로 인해, 팬(4)은 팬 구동부(41)의 동작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여 외부 공기를 실내 케이스(2) 내부로 유입시켜 장착된 칫솔(100)의 건조 동작이 이루어진다.For this reason, the fan 4 rotates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fan driving unit 41 to inflow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case 2 to perform a drying operation of the installed toothbrush 100.

또한, 자외선 조사부(51)는 점등하여 대면하고 있는 첫솔(100)의 칫솔모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창(W21)을 통과한 자외선은 칫솔모부(110) 쪽으로 조사하여 칫솔(100)의 살균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is illuminat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bristles of the first brush 100 facing each other, and the ultraviolet ray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window W21 are irradiated toward the bristle head 110 to perform the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toothbrush 100. Will be implemented.

이때, 팬(4)과 자외선 조사부(51)의 동작 시키는 이미 정해져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해진 시간 동안 팬(4)과 자외선 조사부(51)가 동작되면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도 구동 모듈(5)의 제어에 따라 팬(4)과 자외선 조사부(51)의 동작은 중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fan 4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ay be already determined, and accordingly, if the fan 4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are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riving module 5 is operated without a separate switch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fan 4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ay be stopped according to the control.

본 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스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케이스부와 마주보게 위치하는 곳에 위치하여, 예를 들어, 케이스부의 내부 케이스(2)와 전면 덮개(8) 사이에 위치하여, 자외선 조사부(51)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을 케이스부 쪽(예, 내부 케이스(2)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801)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7, it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ase part to face the case part, for example, it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case 2 and the front cover 8 of the case part, A reflector 801 may be provided to reflect ultraviolet rays output from 51 toward the case portion (eg, toward the inner case 2).

또한, 이러한 반사부(801)는 내부 케이스(2) 내부면 전체에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ive part 801 may be additionally locat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

반사부(801)는 반사 물질로 이루어진 반사층, 반사필름 또는 반사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reflective part 801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made of a reflective material, a reflective film, or a reflective plate.

반사부(801)가 반사층이나 반사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반사부(801)는 내부 케이스(2)의 내부면 및 전면 덮개(8)의 내부면 즉, 자외선 조사부(51)와 대면하고 있는 면에 적층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When the reflective part 801 is made of a reflective layer or a reflective film, as shown in FIG. 7, the reflective part 801 is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8, that is, an ultraviolet irradiation part 51 ) Can be stacked or attached to the side facing.

또한 반사부(801)가 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반사판은 전면 덮개(8)과 별개로 케이스부, 즉 내부 케이스(2)와 전면 덮개(8)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내부 케이스(2)의 내부면에는 반사층이나 반사필름이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flecting part 801 is made of a reflecting plate, the refl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case part, that is, the inner case 2 and the front cover 8 separately from the front cover 8, and also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 A reflective layer or reflective film may be located.

이로 인해, 반사판(801)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내부 케이스(2) 내에 위치하고 있는 칫솔(100)의 칫솔모부(110) 전체를 에워싸게 위치할 수 있고, 전면 덮개(8)의 내부면과 내부 케이스(2)의 내부면의 윤곽과 동일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flector 801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entire bristles 110 of the toothbrush 100 located in the inner case 2, as shown in FIG. 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8 And may have the same contour as the contou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

따라서, 자외선 조사부(51)와 대면하고 있는 반사부(801)의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unit 801 facing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이와 같이, 곡면인 반원통형 형상의 내부 케이스(2) 및 전면 덮개(8)의 내부면이나 전면 덮개(8)에 인접하게 반사부(801)가 위치하는 경우, 전면 덮개(8)의 본체(81)와 연장부(82) 전체에 위치하거나 본체(81)의 적어도 일부만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reflective part 801 is located adjacent to the inner case 2 and the front cover 8 or the front cover 8 having a curved semi-cylindrical shape, the main body of the front cover 8 ( 81) and the extension part 82 may be located,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81 may be located.

이때, 전면 덮개(8)는 반원통형 형상의 본체(81)가 연장부(82)를 구비하고 있고, 반사부(801)가 반사층이나 반사필름을 구비하는 경우 이들 본체(81)와 연장부(82)의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반사부(801) 역시 본체(81)와 연장부(82)처럼 반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the front cover 8 has a semi-cylindrical body 81 with an extension 82, and the reflective portion 801 has a reflective layer or a reflective film, the main body 81 and the extension ( Since it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82), the reflective part 801 may also have a semi-cylindrical shape like the main body 81 and the extension part 82.

이로 인해, 수직한 직선면에 위치하는 자외선 조사부(51)는 칫솔모부(110)를에워싸고 있는 곡면인 반사부(801)와 대면하고 있으므로, 반사부(801)는 칫솔모부(110)를 사방에서 에워싸고 있는 곡면의 반사경 역할을 하게 되어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자외선 조사부(5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적어도 한 번의 반사 동작에 의해 칫솔모부(110)의 부분(예, 앞면) 쪽으로 조사되는 경로(B1), 칫솔모부(110)의 측면 쪽으로 조사되는 경로(B2) 및 전면 덮개(8)와 인접해 있는 칫솔모부(110)의 부분(예, 뒷면) 쪽으로 조사된 경로(B3)를 거쳐 전면 덮개(8)에 위치하거나 근접하게 위치한 반사부 부분으로 커버할 수 없는 부분(예, 칫솔모부의 전면 및 후면)에도 빠짐없이 조사된다. For this reason, sinc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located on a vertical straight surface faces the reflective unit 801, which is a curved surface surrounding the bristles 110, the reflective unit 801 has the brush head unit 110 in all directions. As shown in FIG. 7,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are irradiated toward a portion (eg, the front surface) of the bristles 110 by at least one reflection operation. Through the path (B1), the path (B2) irradiated toward the side of the bristle part 110, and the path (B3) irradiated toward the part (eg, the back) of the bristle part 110 adjacent to the front cover (8) A portion that cannot be covered by a reflective portion located on or close to the front cover 8 (eg, front and rear of the bristles) is irradiated without fail.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부(51)를 배열하여 동작시킬 경우, 하나의 자외선 조사부(51)에 의한 자외선 조사 범위보다 복수 개의 자외선 조사부(51)에 의한 자외선 조사 범위가 훨씬 증가하게 되어, 반사부(801)에 의한 반사 동작을 통해 칫솔(100)의 칫솔모부(110) 쪽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양 역시 크게 증가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7, when a plurality of ultraviolet irradiation units 51 are arranged and operated in parallel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ultraviolet rays irradiation ranges by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51 Sinc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range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part 51 is much increased, the amount of ultraviolet rays irradiated toward the bristle part 110 of the toothbrush 100 through the reflection operation by the reflecting part 801 is also greatly increased.

이처럼, 칫솔모부(110)를 사방에서 에워싸고 위치하고 있는 반사부(801)에 의해 칫솔모부(110)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살균이 필요한 칫솔모의 모든 영역으로 자외선의 조사가 빠짐없이 이루어져 칫솔모의 살균 효과는 더욱 더 향상되게 된다. In this way, the bristle part 110 does not have a blind spot to which ultraviolet rays are not irradiated by the reflective part 801 that surrounds the bristle part 110 in all directions.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bristles is further improved by doing all of the irradiation.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예에서, 케이스부는 서로 분리되는 외부 케이스(1)와 외부 케이스(1) 속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내부 케이스(2)를 구비한다.In this example shown in FIGS. 2 to 4, the case portion includes an outer case 1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n inner case 2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 the outer case 1.

하지만, 케이스부는 내부 케이스(2)가 생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However, the case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case 2 is omitted.

이런 경우, 케이스부인 외부 케이스(1)는 전면에 개방된 부분을 구비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 몸체에 연결되어 설치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거의 반원 형상을 갖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case 1, which is the case part, may have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open part on the front and an empty space therein, and an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and extending towar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having an almost semicircular shape. .

팬(3)과 인접한 외부 케이스(1)의 제1 측면부는 개방되어 제1 측면 덮개(71)로 막혀 있을 수 있어 제1 측면 덮개(71)는 외부 케이스의 일 측면(예, 제1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외부 케이스(1)의 일 측면의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환기공 즉, 공기홀(H71)의 구조는 내부 케이스부(2)의 제1 측면(221)에 위치한 복수 개의 공기홀(H22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같은 기능을 수행할 있다.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outer case 1 adjacent to the fan 3 may be opened and closed with the first side cover 71, so that the first side cover 71 is one side of the outer case (eg, the first side). Can be achieved. 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located on one side of the outer case 1, that is, the air hole H71 is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air holes H221 located on the first side 221 of the inner case part 2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tructure and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따라서 팬(4)는 제1 측면인 제1 측면 덮개(71)로 막힌 케이스부의 내부에 제1 측면 덮개(7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an 4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cover 71 in the inside of the case portion closed by the first side cover 71 which is the first side.

또한, 케이스부의 제1 측면부과 마주보고 있는 제2 측면부는, 위에 기술한 예의 달리, 막혀 있어 케이스부의 타 측면(예, 제2 측면)을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ortion facing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case portion is blocked, unlike the example described above, and thus can form the other side (eg, the second side portion) of the case portion.

이런 경우, 칫솔 걸이대(3)는 외부 케이스의 연장부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케이스(1)의 연장부는 칫솔 걸이대(3)의 장착을 위한 장착홀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othbrush holder 3 may be mounted o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accordingly,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outer case 1 may have a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toothbrush holder 3.

또한, 전면 덮개(8)는 케이스부의 개방된 부분과 접해 있는 케이스부의 가장자리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부의 개방된 부분을 막거나 노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ver 8 is rotatably coupled to an edge portion of the cas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pen portion of the case portion in an up-down direction, thereby blocking or exposing the open portion of the case portion.

이때, 반사부(801)는 전면 덮개(8)의 내부면에 위치하거나 케이스부와 전면 덮개(8)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케이스부(예, 외부 케이스(1))의 내부면이나 내부면과 근접한 위치에도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lective part 801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8 or between the case part and the front cover 8, and also the inn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part (for example, the outer case 1) Additional locations can also be placed in close proximity.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칫솔모부(110)를 에워싸게 사방으로 반사부(801)가 위치하므로, 자외선 조사부(51)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은 적어도 하나의 반사 동작을 통해 사각지대 없이 칫솔모부(110) 쪽으로 조사되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7, since the reflecting part 801 is located in all directions surrounding the bristle part 110, the ultraviolet rays output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ng part 51 are applied without a blind spot through at least one reflection operation. It will be irradiated toward (110).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merg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칫솔 살균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toothbrush ster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well as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1: 외부 케이스 2: 내부 케이스
21: 후면 221, 222: 측면
23: 상부면 24: 하부면
3: 칫솔 걸이대 4: 팬
5: 구동 모듈 51: 자외선 조사부
71: 제1 측면 덮개 72: 제2 측면 덮개
8: 전면 덮개 801: 반사부
W21: 창
1: outer case 2: inner case
21: rear 221, 222: side
23: upper surface 24: lower surface
3: toothbrush rack 4: fan
5: drive module 51: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71: first side cover 72: second side cover
8: front cover 801: reflector
W21: window

Claims (10)

전면에 개방된 부분, 복수 개의 환기공을 포함하는 제1 측면 덮개 및 상기 제1 측면 덮개와 마주보고 있고 복수 개의 공기홀을 포함하는 제1 측면을 구비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칫솔이 장착되는 칫솔 걸이대;
상기 케이스부의 상기 제1 측면 덮개와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환기공과 상기 복수 개의 공기홀을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케이스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 및
상기 케이스부에 위치하고, 상기 팬을 회전시켜 상기 칫솔 쪽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A case portion having an 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a first side cover includ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d a first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cov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holes;
A toothbrush holder positioned in the case and on which a toothbrush is mounted;
A fa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de cover and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case unit and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case unit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air holes; And
A driving module located in the case and rotating the fan to introduce external air toward the toothbrush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1,
Toothbrush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positioned on the driving module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uni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UV irradiation unit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UV light emitting diod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케이스부와 마주보게 위치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을 상기 케이스부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3,
Toothbrush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ng unit positioned opposite the case unit to face the case unit to reflect ultraviolet rays output from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toward the case uni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개방된 제1 측부, 상기 제1 측부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개방된 제2 측부 및 개방된 전면부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부와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제1 측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제2 측부와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후면을 구비하며 전면부에 개방된 부분을 구비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ase part,
An outer case having an open first side, an open second side and an open front part located opposite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side surface located in the outer case and facing the first side portion, a second side surface positioned facing the second side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n inner case having a first side and a rear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and having an 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제2 측부를 덮는 제2 측면 덮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칫솔 걸이대는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6,
A second side cover covering the second side of the outer case
Including more,
The toothbrush holder is a toothbrush sterilizer located in the inner cas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은 상기 구동 모듈에 위치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와 대면하게 위치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내부 케이스 쪽으로 노출시키는 창을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window positioned to fac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located on the driving module to expos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toward the inner cas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toothbrush sterilizer has a curved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개방된 부분을 닫는 전면 덮개
를 더 포함하는 칫솔 살균기.
The method of claim 1,
Front cover to close the open part of the case part
Toothbrush sterilizer further comprising a.
KR1020190145081A 2019-11-13 2019-11-13 Toothbrush sterilizer KR102177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81A KR102177101B1 (en) 2019-11-13 2019-11-13 Toothbrush sterilizer
PCT/KR2020/013653 WO2021096065A1 (en) 2019-11-13 2020-10-07 Toothbrush ster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81A KR102177101B1 (en) 2019-11-13 2019-11-13 Toothbrush steriliz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101B1 true KR102177101B1 (en) 2020-11-10

Family

ID=7354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81A KR102177101B1 (en) 2019-11-13 2019-11-13 Toothbrush steriliz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7101B1 (en)
WO (1) WO2021096065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891B1 (en) * 2022-02-21 2022-05-03 최현겸 Nipper for nail care
KR20220069128A (en)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헬로우미스터리 Toothbrush sterilizer with sterilization and drying functions
KR102501027B1 (en) * 2022-07-11 2023-02-17 주식회사 세영테크 Air-circulating toothbrush sterilizer using UV LED
KR20230151782A (en) 2022-04-26 2023-11-02 (주)에스티에스 엔지니어링 Toothbrush sterilizer using silica gel
KR200497634Y1 (en) * 2023-05-19 2024-01-15 주식회사 에스엠엘메디트리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with quick drying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51Y1 (en) 2006-08-07 2006-12-26 (주)한국나노기술 A portable toothbrush-sterilization device with toothbrush
KR20160066932A (en) * 2014-12-03 2016-06-13 김성재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26Y1 (en) * 2002-04-18 2002-07-13 김기현 Sterilizer for sanitary products using uv led
KR100524655B1 (en) * 2003-09-19 2005-10-3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Sterilizer and sterilizing method of toothbrush using ultraviolet radiation module
US20060175554A1 (en) * 2005-02-07 2006-08-10 Riddell Robert H Germicidal brush cleaner
KR20110006246U (en) * 2009-12-15 2011-06-22 동은주 Toothbrush steriliz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51Y1 (en) 2006-08-07 2006-12-26 (주)한국나노기술 A portable toothbrush-sterilization device with toothbrush
KR20160066932A (en) * 2014-12-03 2016-06-13 김성재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128A (en)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헬로우미스터리 Toothbrush sterilizer with sterilization and drying functions
KR102577553B1 (en) * 2020-11-19 2023-09-13 주식회사 헬로우미스터리 Toothbrush sterilizer with sterilization and drying functions
KR102393891B1 (en) * 2022-02-21 2022-05-03 최현겸 Nipper for nail care
KR20230151782A (en) 2022-04-26 2023-11-02 (주)에스티에스 엔지니어링 Toothbrush sterilizer using silica gel
KR102501027B1 (en) * 2022-07-11 2023-02-17 주식회사 세영테크 Air-circulating toothbrush sterilizer using UV LED
KR200497634Y1 (en) * 2023-05-19 2024-01-15 주식회사 에스엠엘메디트리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with quick dry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065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101B1 (en) Toothbrush sterilizer
CA1275778C (en) Sanitizer for bathroom articles
US20070075268A1 (en) Sponge sterilizer
KR101284639B1 (en) Cellular Phone Case With UV LED sterilization
KR20160066932A (en)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US20060255291A1 (en) Sponge sterilizer
KR20110067206A (en) Ultraviolet sterilizer of a toilet stool
KR20130116994A (en)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KR20130021158A (en) Toothbrush cap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KR20190084717A (en) Ultraviolet ramp based sterilizing keyboard
KR20030033475A (en) Battery charger having ultraviolet-sterilizer for mobile phone
CN114504256B (en) Toothbrush sterilizer
WO2010058254A1 (en) Device for the sterilization of dental screws and/or dental prostheses
CN111632465A (en) Deep ultraviolet sterilizer
KR102643668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toothbrush
CN214284803U (en) Sterilization component, base station and cleaning equipment
CN212490827U (en) LED ultraviolet germicidal lamp
KR102239536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84160B1 (en) A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and a mold for forming it
KR200457189Y1 (en) Sterilizer for portable toothbrush
KR20180008943A (en) Keyboard with the sterilization function
CN106617660A (en) Brush head, toothbrush and face cleanser
KR102569432B1 (en)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JP3756932B1 (en) Toilet seat sterilizer
KR200417798Y1 (en)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