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84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u 무선 베어러 대 pc5 무선 링크 제어(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u 무선 베어러 대 pc5 무선 링크 제어(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840A
KR20220066840A KR1020210150257A KR20210150257A KR20220066840A KR 20220066840 A KR20220066840 A KR 20220066840A KR 1020210150257 A KR1020210150257 A KR 1020210150257A KR 20210150257 A KR20210150257 A KR 20210150257A KR 20220066840 A KR20220066840 A KR 20220066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rlc
remote
relay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치 쿠오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6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Uu 무선 베어러 대 사이드링크(Sidelink; SL)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매핑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가 릴레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가 릴레이 UE로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adaptation layer 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및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U 무선 베어러 대 PC5 무선 링크 제어(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U RADIO BEARER TO PC5 RADIO LINK CONTROL (RLC) BEARER MA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1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63/114,158호에 대한 이익들을 주장하며, 이러한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이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전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U 무선 베어러 대 PC5 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로의 그리고 이로부터의 대용량 데이터 통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전통적인 모바일 음성 통신 네트워크들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데이터 패킷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들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IP 데이터 패킷 통신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에게 인터넷 전화(voice over IP),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및 주문형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구조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이다. E-UTRAN 시스템은 이상에서 언급된 인터넷 전화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실현하기 위하여 높은 데이터 스루풋을 제공할 수 있다. 차세대(예를 들어, 5G)를 위한 새로운 무선 기술이 현재 3GPP 표준 기구에 의해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3GPP 표준을 발전시키고 완결하기 위하여 3GPP 표준의 현재 바디(body)에 대한 변경들이 현재 제시되고 검토되고 있다.
Uu 무선 베어러 대 사이드링크(Sidelink; SL)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매핑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가 릴레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가 릴레이 UE로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및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로도 알려진) 송신기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또는 UE로도 알려진) 수신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3GPP TS 23.303 V16.0.0의 도 5.3.1-1의 재현이다.
도 6은 3GPP TS 23.303 V16.0.0의 도 5.3.1-2의 재현이다.
도 7은 3GPP TS 23.303 V16.0.0의 도 5.3.1-3의 재현이다.
도 8은 3GPP TS 23.303 V16.0.0의 도 6.44.2-1의 재현이다.
도 9는 3GPP 38.331 V16.1.0의 도 5.3.3.1-1의 재현이다.
도 10은 3GPP 38.331 V16.1.0의 도 5.3.5.1-1의 재현이다.
도 11은 3GPP 38.331 V16.1.0의 도 5.8.3.1-1의 재현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포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액세스, 3GPP LTE-A 또는 LTE-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 Advanced), 3GPP2 UMB(Ultra Mobile Broadband), WiMax, 3GPP NR(New Radio), 또는 어떤 다른 변조 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TS 23.303 V16.0.0,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 Stage 2 (Release 16)"; TR 23.752 V0.5.0, "Study on system enhancement for 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 in the 5G System (5GS) (Release 17)"; TS 23.502 V16.5.1, "Procedures for the 5G System (5GS); Stage 2 (Release 16)"; TS 38.331 v16.1.0, "NR;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6)"; and R2-2008047, "Study aspects of UE-to-Network relay and solutions for L2 relay", Huawei, HiSilicon을 포함하는 본원에서 3GPP로 지칭되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명칭의 컨소시엄에 의해 제공되는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이상에서 열거된 표준들 및 문서들은 명백히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100)는, 하나는 104 및 106을 포함하며, 다른 것은 108 및 110을 포함하고, 추가적인 것은 112 및 114를 포함하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한다. 도 1에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단지 2개의 안테나들만이 도시되지만, 그러나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116)이 안테나들(112 및 114)과 통신하며, 여기에서 안테나들(112 및 114)은 포워드 링크(120)를 통해 액세스 단말(116)로 정보를 송신하고 리버스 링크(118)를 통해 액세스 단말(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AT)(122)은 안테나들(106 및 108)과 통신하며, 여기에서 안테나들(106 및 108)은 포워드 링크(126)를 통해 액세스 단말(AT)(122)로 정보를 송신하고 리버스 링크(124)를 통해 액세스 단말(AT)(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들(118, 120, 124 및 126)은 통신을 위하여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워드 링크(120)는 리버스 링크(118)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는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이 흔히 액세스 네트워크의 섹터로 지칭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그룹들은 각기 액세스 네트워크(1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섹터 내에서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포워드 링크들(120 및 126)을 통한 통신에서,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송신 안테나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에 대하여 포워드 링크들의 신호-대-잡음 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빔포밍(beamforming)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하기 위해 그것의 커버리지를 통해 랜덤하게 산란되는 빔포밍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그것의 모든 액세스 단말들로 단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보다 이웃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들에 대하여 더 적은 간섭을 초래한다.
액세스 네트워크(AN)는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 또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기지국, 강화된 기지국, 진보된 노드 B(eNB),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또는 어떤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은 또한 사용자 단말(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단말, 액세스 단말 또는 어떤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MIMO 시스템(200) 내의 (액세스 네트워크로도 알려진) 송신기 시스템(210) 및 (액세스 단말(AT) 또는 사용자 단말(UE)로도 알려진) 수신기 시스템(250)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개별적인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코딩 기법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고, 코딩하며, 인터리빙(interleave)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프로세싱된 알려진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변조 기법(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된다(즉, 심볼 매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이 TX MIMO 프로세서(220)에 제공되며, 이것은 (예를 들어, OFDM에 대하여)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TX MIMO 프로세서(220)는 NT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 송신기들(TMTR)(222a 내지 222t)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TX MIMO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심볼이 송신되는 안테나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2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인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며,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절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조절(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upconvert))한다. 그런 다음, 송신기들(222a 내지 222t)로부터의 NT 변조된 신호들이 각기 NT 안테나들(224a 내지 224t)을 통해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송신된 변조된 신호들이 NR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을 통해 수신되며, 각각의 안테나(252)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들이 개별적인 수신기(RCVR)(254a 내지 2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개별적인 수신된 신호들을 조절(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downconvert))하며,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조절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그런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NT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R 수신기들(254)로부터 NR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한다. 그런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e)하며, 디코딩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에 대하여 상보적이다.
프로세서(270)는 주기적으로 어떠한 사전-코딩 매트릭스가 사용될지를 결정한다(이하에서 논의됨). 프로세서(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리버스 링크 메시지를 공식화(formulate)한다.
리버스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리버스 링크 메시지는,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254a 내지 254r)에 의해 조절되며, 다시 송신기 시스템(210)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222)에 의해 조절되며,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송신된 리버스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230)는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사전-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대안적인 간략화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300)는 도 1의 UE들(또는 AT들)(116 및 122) 또는 도 1의 기지국(또는 AN)(100)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NR 시스템이다. 통신 디바이스(300)는 입력 디바이스(302), 출력 디바이스(304), 제어 회로(306),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308), 메모리(310), 프로그램 코드(312), 및 트랜시버(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6)는 CPU(308)를 통해 메모리(310) 내의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하여 통신 디바이스(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디바이스(3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30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 또는 스피커들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304)를 통해 이미지들 및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트랜시버(314)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 수신된 신호를 제어 회로(306)로 전달하고 제어 회로(306)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들을 무선으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300)는 또한 도 1의 AN(100)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프로그램 코드(312)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그램 코드(312)는 애플리케이션 계층(400), 계층 3 부분(402), 및 계층 2 부분(404)을 포함하며, 계층 1 부분(406)에 결합된다. 계층 3 부분(402)은 일반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한다. 계층 2 부분(404)은 일반적으로 링크 제어를 수행한다. 계층 1 부분(406)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연결들을 수행한다.
3GPP TS 23.303은 UE가 다른 UE들을 발견하기 위한 UE-대-네트워크 릴레이 발견의 2개의 메커니즘들(즉, 모델 A 및 모델 B)을 지정한다. 3GPP TR 23.752은 추가로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지원할 것을 제안하며, 계층 2(Layer 2; L2) 및 계층 3(Layer 3; L3) 해법들이 다음 릴리즈(즉, 릴리즈 17)에 대해 포함된다. 3GPP TR 23.752의 관련 이슈 및 L2 릴레이 해법은 다음과 같다:
5.3 주요 이슈 #3: UE-대-네트워크 릴레이의 지원
5.3.1 개괄적인 설명
TS 22.261 [3] 및 TS 22.278 [2]에 따르면, UE-대-네트워크 릴레이에 대한 지원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Rel-16 5G 아키텍처 설계(예를 들어, PC5/Uu 인터페이스를 통한 흐름-기반 QoS 통신)가 마찬가지로 고려되어야 한다.
UE가 도 5.3.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접 네트워크 통신 또는 간접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는 케이스가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에서 경로 #1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직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이고, 뿐만 아니라 경로 #2 및 경로 #3은 상이한 UE-대-네트워크 릴레이들을 통한 간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들이다.
["Example scenario of direct or indirect network communication path between UE and Network"라는 명칭의 3GPP TS 23.303 V16.0.0의 도 5.3.1-1이 도 5로 재현된다]
따라서, 5G ProSe가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지원해야 한다. 특히, 다음의 측면들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UE를 5G UE-대-네트워크 릴레이로 인가하는 방법 및 UE가 5G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통해 5GC에 액세스하는 것을 인가하는 방법.
- 원격 UE에 대한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해 원격 UE와 UE-대-네트워크 릴레이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 QoS(예컨대 데이터 레이트, 신뢰도, 레이턴시) 및 PDU 세션 관련 속성들(예를 들어, S-NSSAI, DNN, PDU 세션 유형 및 SSC 모드)의 핸들링을 포함하여,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통한 원격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엔드-투-엔드 요건들을 지원하는 방법.
- 네트워크가 5G ProSe UE-대-NW 릴레이에 대한 QoS 요건을 허용하고 제어하는 방법.
-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통해 원격 UE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노트 1: 보안 및 프라이버시 측면들은 SA WG3에 의해 핸들링될 것이다.
- 2개의 간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들(즉, 도 5.3.1-1의 경로 #2 및 경로 #3) 사이에서 통신 경로 선택을 위해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재)선택하는 방법.
- 직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즉, 도 5.3.1-1의 경로 #1) 및 간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즉, 도 5.3.1-1의 경로 #2 또는 경로 #3) 사이에서 통신 경로 선택을 수행하는 방법.
- 직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와 간접 통신 경로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뿐만 아니라 2개의 간접 네트워크 통신 경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이러한 통신 경로 스위칭 절차들 동안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방법.
노트 2: 네트워크와 UE-대-네트워크 릴레이 UE 사이의 그리고 UE-대-네트워크 릴레이와 원격 UE(들) 사이의 비-유니캐스트 모드 통신(즉, 1-대-다 통신/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의 지원은 FS_5MBS 작업의 결과에 의존한다.
UE-대-네트워크 릴레이의 지원에 관해 2개의 케이스들, 즉, 도 5.3.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gNB에 의해 서비스되는 UE-대-네트워크 릴레이 및 도 5.3.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ng-eNB에 의해 서비스되는 UE-대-네트워크 릴레이가 고려될 수 있다.
["UE-to-Network Relay served by gNB"라는 명칭의 3GPP TS 23.303 V16.0.0의 도 5.3.1-2가 도 6으로 재현된다]
["UE-to-Network Relay served by ng-eNB"라는 명칭의 3GPP TS 23.303 V16.0.0의 도 5.3.1-3가 도 7로 재현된다]
노트 3: UE-대-네트워크 릴레이가 ng-eNB에 의해 서비스되는 케이스를 지원할지 여부는 이러한 연구 및 RAN 결정에서 식별될 해법에 의존한다.
노트 4: UE-대-네트워크 릴레이가 E-UTRAN으로 이동할 때, LTE PC5 기반 ProSe UE-대-네트워크 릴레이는 공공 안전을 위해 정의된 TS 23.303 [9]와 같이 지원될 수 있다.
6.44 해법 #44: 계층-2 릴레이에 대한 QoS 핸들링
6.44.1 설명
이는, 계층-2 UE-대-네트워크 릴레이 QoS 핸들링에 적용되는 주요 이슈 #3 "UE-대-네트워크 릴레이의 지원"에 대한 해법이다.
계층 2 UE-대-NW 릴레이 해법(해법 #7)에서, 원격 UE의 데이터 흐름은 그 자체의 PDU 세션에 의해 서비스된다. RAN은, PDU 세션이 계층 2 UE-대-NW 릴레이에 대한 것이라는 지식을 갖는다. QoS 파라미터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RAN은 PC5 레그(leg) 및 Uu 레그를 통해 적절한 구성들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RAN 영향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SMF은 RAN에 어떤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SMF는 Uu QoS 프로파일 및 PC5 QoS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그런 다음 이들을 RAN에 제공한다. RAN은 이러한 QoS 프로파일들을 PC5 레그 및 Uu 레그를 통해 구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원리들로서 취할 수 있다. 동적 PCC 제어가 지원되는 경우, SMF는 Uu QoS 프로파일 및 PC5 QoS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Uu 레그 및 PC5 레그를 통해 PCF가 제공한 PCC 규칙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해법에서, 원격 UE의 코어 네트워크는, 원격 UE가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통해 액세스하고 있는 지식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노트: Uu 및 PC5 레그들을 통해 구성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세부사항들은 RAN에 의해 구현된다.
6.44.2 절차들
["QoS handling for layer-2 relay"라는 명칭의 3GPP TS 23.303 V16.0.0의 도 6.44.2-1이 도 8로 재현된다]
0. 계층-2 릴레이에 기초하는 UE-대-네트워크 릴레이를 통한 원격 UE에 대한 간접 통신 링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1. PDU 세션 설정 및 수정 절차 동안, 동적 PCC 제어가 지원되는 경우, PCF는 운영자 정책들 및 Uu 및 PC5를 통한 과금 레이트에 기초하여 Uu 레그 및 PC5 레그를 통해 PCC 규칙들을 생성하며, 그런 다음 SM 정책 연관 설정 또는 SM 정책 연관 수정 절차에서 이들을 SMF로 전송한다.
2. SMF는 Uu 레그 및 PC5 레그를 통해 수신된 PCC 규칙들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Uu QoS 프로파일 및 PC5 QoS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3. SMF는 대응하는 Uu QoS 프로파일 및 PC5 QoS 프로파일을 RAN으로 전송한다.
4. RAN은 SMF에 의해 제공된 Uu QoS 프로파일 및 PC5 QoS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Uu 레그 및 PC5 레그를 통해 구성들을 발행한다.
6.44.3 서비스들, 엔티티들 및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영향들
PCF:
- (Uu 및 PC5를 통한 QoS 제어를 위해) Uu 및 PC5를 통해 PCC 규칙들을 생성한다.
SMF:
- (Uu 및 PC5를 통한 QoS 제어를 위해) Uu 및 PC5를 통해 QoS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RAN:
- SMF가 제공한 QoS 프로파일이 기초하여 Uu 및 PC5를 통해 구성들을 수행한다.
3GPP TS 23.502는 다음과 같이, UE가 네트워크와 새로운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 설정 절차를 지정한다:
4.3.2 PDU 세션 설정
4.3.2.1 개괄
PDU 세션 설정은 다음에 대응할 수 있다:
- UE 개시 PDU 세션 설정 절차.
- 3GPP와 비-3GPP 사이의 UE 개시 PDU 세션 핸드오버.
- EPS로부터 5GS로의 UE 개시 PDU 세션 핸드오버.
- 네트워크 트리거 PDU 세션 설정 절차.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UE 측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으로 디바이스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한다. 디바이스 트리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페이로드는, UE 측 상의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PDU 세션 설정 요청을 트리거할 것으로 예상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UE 측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은 PDU 세션 설정 절차를 트리거한다. 보다 더 상세한 사항은 조항 4.13.2를 참조한다.
UE가 3GPP 액세스의 PLMN과는 상이한 PLMN 내에 위치된 N3IWF/TNGF/W-AGF를 통해 비-3GPP에 동시에 등록되는 경우, 다음 절차에서 기능 엔티티들은 PDU 세션에 대해 UE와 NAS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의 PLMN 내에 위치된다.
TS 23.501 [2], 조항 5.6.1에 지정된 바와 같이, PDU 세션은 (a) 주어진 시간에서 단일 액세스 유형, 즉,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와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b) 다수의 액세스 유형들, 즉, 하나의 3GPP 액세스 및 하나의 비-3GPP 액세스와 동시에 연관될 수 있다. 다수의 액세스 유형들과 연관된 PDU 세션은 다중 액세스-PDU(Multi Access-PDU; MA PDU) 세션으로 지칭되며, 이는 ATSSS-가능 UE들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다음 조항 4.3.2.2는 주어진 시간에서 단일 액세스 유형과 연관된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들을 지정한다. MA PDU 세션들과 연관된 특정 절차들은 조항 4.22에서 ATSSS 절차들의 부분으로서 지정된다.
4.3.2.2 UE 요청 PDU 세션 설정
4.3.2.2.1 로컬 브레이크아웃(Local Breakout)을 갖는 로밍 및 비-로밍
조항 4.3.2.2.1은 로컬 브레이크아웃 경우들을 갖는 로밍 및 비-로밍에서의 PDU 세션 설정을 지정한다. 절차는 하기의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 새로운 PDU 세션을 설정하는 것;
- EPS 내의 PDN 연결을 N26 인터페이스가 없는 5GS 내의 PDU 세션으로 핸드오버하는 것;
- 비-3GPP 액세스와 3GPP 액세스 사이에서 기존 PDU 세션을 스위칭하는 것. 이러한 경우에 특정 시스템 거동은 조항 4.9.2에서 추가로 정의되거나; 또는
- 응급 서비스들에 대한 PDU 세션을 요청하는 것.
[…]
3GPP TS 38.331은 다음과 같이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 RRC 연결 설정, RRC 재구성, 및 사이드링크 UE 정보 절차를 지정한다:
4.2.2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ling Radio Bearer; SRB)들"는 RRC 및 NAS 메시지들의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로서 정의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다음의 SRB들이 정의된다:
- SRB0은 C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RRC 메시지들에 대한 것이다;
- SRB1은, 모두 D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SRB2의 설정 이전의 NAS 메시지들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RRC 메시지들(피기백(piggyback)된 NAS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음)에 대한 것이다;
- SRB2는, 모두 D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로그된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들에 대한 그리고 NAS 메시지들에 대한 것이다. SRB2는 SRB1보다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 AS 보안 활성화 이후에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 SRB3은, 모두 D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UE가 (NG)EN-DC 또는 NR-DC 내에 있을 때의 특정 RRC 메시지들에 대한 것이다.
다운링크에서, NAS 메시지의 피기백은 하나의 종속(예를 들어, 조인트 성공/실패를 가짐) 절차: 베어러 설정/수정/릴리즈에 대해서만 사용된다. 업링크에서, NAS 메시지의 피기백은 연결 셋업 및 연결 재개 동안 초기 NAS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노트 1: SRB2를 통해 전송되는 NAS 메시지들이 또한 RRC 메시지들 내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는 임의의 RRC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단 AS 보안이 활성화되면, NAS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것들을 포함하여 SRB1, SRB2 및 SRB3 상의 모든 RRC 메시지들은 PDCP에 의해 무결성 보호되고 사이퍼링된다. NAS는 독립적으로 NAS 메시지들에 대해 무결성 보호 및 사이퍼링을 적용한다, TS 24.501 [23] 참조.
분할 SRB는 SRB1 및 SRB2 둘 모두에서 모든 MR-DC 옵션들에 대해 지원된다(분할 SRB는 SRB0 및 SRB3에 대해 지원되지 않는다).
공유 스펙트럼 채널 액세스를 이용한 동작에 대하여, SRB0, SRB1 및 SRB3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 클래스(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CAPC)가 할당되며(즉, CAPC = 1), 한편 SRB2에 대한 CAPC는 구성가능하다.
[…]
5.3.3 RRC 연결 설정
5.3.3.1 개괄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successful"이라는 명칭의 3GPP 38.331 V16.1.0의 도 5.3.3.1-1이 도 9로 재현된다]
[…]
이러한 절차의 목적은 RRC 연결을 설정하는 것이다. RRC 연결 설정은 SRB1 설정을 수반한다. 절차는 또한 UE로부터 네트워크로 초기 NAS 전용 정보/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절차를 적용한다:
- RRC 연결을 설정할 때;
- UE가 RRC 연결을 재개하거나 또는 재-설정하고, 네트워크가 UE 콘텍스트를 검색할 수 없거나 또는 검증할 수 없을 때. 이러한 경우에, UE는 RRCSetup을 수신하고, RRCSetupComplete를 가지고 응답한다.
[…]
5.3.5 RRC 재구성
5.3.5.1 개괄
["RRC reconfiguration, successful"이라는 명칭의 3GPP 38.331 V16.1.0의 도 5.3.5.1-1이 도 10으로 재현된다]
[…]
이러한 절차의 목적은, 예를 들어, RB들을 설정/수정/릴리즈하기 위하여, 싱크(sync)를 가지고 재구성을 수행하기 위하여, 측정들을 셋업/설정/릴리즈하기 위하여, S셀들 및 셀 그룹들을 추가/설정/릴리즈하기 위하여, 조건부 핸드오버 구성을 추가/수정/릴리즈하기 위하여, 조건부 PS셀 변경 구성을 추가/수정/릴리즈하기 위해 RRC 연결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절차의 부분으로서, NAS 전용 정보가 네트워크로부터 UE로 전송될 수 있다.
[…]
5.3.5.2 개시
네트워크는 RRC_CONNECTED 상태의 UE에 대하여 RRC 재구성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이 절차를 적용한다:
- (RRC 연결 설정 동안 설정된, SRB1이 아닌) RB들의 설정은 오로지 AS 보안이 활성화될 때에만 수행된다;
- 2차 셀 그룹 및 S셀들의 추가는 오로지 AS 보안이 활성화된 이후에만 수행된다;
- reconfigurationWithSync는 오로지 적어도 하나의 RLC 베어러가 SCG에서 셋업될 때에만 secondaryCellGroup 내에 포함된다;
- reconfigurationWithSync는 오로지 AS 보안이 활성화된 때에만 masterCellGroup 내에 포함되며, 적어도 하나의 DRB를 갖는 SRB2 또는 IAB에 대하여, SRB2가 셋업되고, 일시 중단(suspend)되지 않는다.
- CPC에 대한 conditionalReconfiguration은, 오직 적어도 하나의 RLC 베어러가 SCG에서 셋업될 때에만 포함된다;
- CHO에 대한 conditionalReconfiguration은 오로지 AS 보안이 활성화된 때에만 포함되며, 적어도 하나의 DRB를 갖는 SRB2 또는 IAB에 대하여, SRB2가 셋업되고, 일시 중단되지 않는다.
[…]
5.8.3 NR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사이드링크 UE 정보
5.8.3.1 개괄
["Sidelink UE information for NR sidelink communication"이라는 명칭의 3GPP 38.331 V16.1.0의 도 5.8.3.1-1이 도 11로 재현된다]
이러한 절차의 목적은 하기를 네트워크에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 UE가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거나 또는 송신하는데 관심이 있거나 또는 더 이상 관심이 없다는 것,
- UE가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의 할당 또는 릴리즈를 요청한다는 것,
- UE가 NR 사이드링크 통신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및 QoS 프로파일(들)을 보고한다는 것,
- UE가, 사이드링크 무선 링크 장애 또는 사이드링크 RRC 재구성 실패가 검출되었다는 것을 보고한다는 것.
5.8.3.2 개시
RRC_CONNECTED 상태에서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있는 UE는, 성공적인 연결 설정 또는 재개 시, 관심의 변화 시, QoS 프로파일(들)의 변화 시 또는 sl-ConfigCommonNR을 포함하는 SIB12를 제공하는 P셀에 대한 변화 시를 포함하여, 몇몇 케이스들에서 이것이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고 있거나 또는 송신하고 있음(관심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있는 UE는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을 위한 전용 사이드링크 DRB 구성 및 송신 자원들의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있는 UE는, 사이드링크 무선 링크 장애 또는 사이드링크 RRC 재구성 실패가 선언되었다는 것을 네트워크에 보고하기 위해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의 개시 시에, UE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1> sl-ConfigCommonNR를 포함하는 SIB12가 P셀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2> P셀에 대하여 SIB12의 유효 버전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2> P셀의 SIB12 내의 sl-FreqInfoList 내에 포함된 주파수 상에서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3> UE가 마지막으로 RRC_CONNECTED 상태에 진입한 때로부터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또는
3> UE가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마지막으로 전송한 시간으로부터 sl-ConfigCommonNR을 포함하는 SIB12를 제공하지 않는 P셀에 연결된 경우; 또는
3>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마지막 송신이 sl-RxInterestedFreqList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또는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마지막 송신으로부터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가 변화된 경우:
4> 5.8.3.3에 따라 관심이 있는 NR 사이드링크 통신 수신 주파수를 나타내기 위해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한다;
2> 그렇지 않으면:
3>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마지막 송신이 sl-RxInterestedFreqList를 포함한 경우:
4> 5.8.3.3에 따라 이것이 더 이상 NR 사이드링크 통신 수신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한다;
2> P셀의 SIB12 내의 sl-FreqInfoList 내에 포함된 주파수 상에서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송신하도록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3> UE가 마지막으로 RRC_CONNECTED 상태에 진입한 때로부터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또는
3> UE가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마지막으로 전송한 시간으로부터 sl-ConfigCommonNR을 포함하는 SIB12를 제공하지 않는 P셀에 연결된 경우; 또는
3>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마지막 송신이 sl-TxResourceReqList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또는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마지막 송신으로부터 sl-TxResourceReqList에 의해 운반된 정보가 변화된 경우:
4> 5.8.3.3에 따라 UE에 의해 요구되는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 자원들을 나타내기 위해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한다;
2> 그렇지 않으면:
3>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마지막 송신이 sl-TxResourceReqList를 포함한 경우:
4> 5.8.3.3에 따라 이것이 더 이상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 자원들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한다.
5.8.3.3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송신에 관한 액션들
UE는 다음과 같이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콘텐트를 설정해야 한다:
1> UE가 NR 사이드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더 이상 관심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또는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 자원들의 (구성/릴리즈)를 요청하기 위해 또는 사이드링크 무선 링크 장애 또는 사이드링크 RRC 재구성 실패가 선언되었다는 것을 네트워크에 보고하기 위해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즉, UE는 어떠한 것이 절차를 트리거했는지와 무관하게 모든 관련된 정보를 포함함):
2> sl-ConfigCommonNR를 포함하는 SIB12가 P셀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3>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신하도록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4> sl-RxInterestedFreqList를 포함시키고, NR 사이드링크 통신 수신을 위한 주파수로 이것을 설정한다;
3>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송신하도록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4> sl-TxResourceReqList를 포함시키고, (필요한 경우) NR 사이드링크 통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이것이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각각의 목적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이것의 필드들을 설정한다:
5> sl-DestinationIdentiy를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을 위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목적지 신원(identity)으로 설정한다;
5> sl-CastType을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을 위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연관된 목적지 신원의 캐스트 유형으로 설정한다;
5> 연관된 양-방향 사이드링크 DRB가 RRCReconfigurationSidelink에 의한 구성에 기인하여 설정된 경우, RLC 모드(들) 및 선택적으로 연관된 RLC 모드(들)의 사이드링크 QoS 흐름(들)의 QoS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도록 sl-RLC-ModeIndication를 설정한다;
5>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에 대하여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연관된 목적지의 사이드링크 QoS 흐름(들)의 QoS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도록 sl-QoS-InfoList를 설정한다;
5>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을 위한 주파수를 나타내도록 sl-InterestedFreqList를 설정한다;
5> sl-TypeTxSyncList를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에 대하여 연관된 sl-InterestedFreqList 상에서 사용되는 현재 동기화 참조 유형으로 설정한다.
5> 존재하는 경우, 피어 UE로부터 수신된 UECapabilityInformationSidelink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sl-CapabilityInformationSidelink를 설정한다.
4> sl-FailureList를 포함시키고, NR 사이드링크 통신 실패를 보고하기 위한 각각의 목적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것의 필드들을 설정한다:
5> sl-DestinationIdentiy를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을 위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목적지 신원(identity)으로 설정한다;
5> 사이드링크 RLF가 하위-조항 5.8.9.3에 지정된 바와 같이 검출되는 경우,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에 대한 연관된 목적지에 대하여 rlf로서 sl-Failure를 설정한다;
5> RRCReconfigurationFailureSidelink가 수신되는 경우, NR 사이드링크 통신 송신에 대하여 연관된 목적지에 대해 sl-Failure를 configFailure로서 설정한다;
1> UE가 E-UTRA P셀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
2> TS 36.331 [10], 조항 5.6.x에 지정된 바와 같이 LTE RRC 메시지 ULInformationTransferIRAT 내에 내장된, SRB1을 통해 하위 계층들로 SidelinkUEInformationNR을 제출한다;
1> 그렇지 않으면:
2>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송신을 위한 하위 계층들로 제출한다.
- RRCReconfiguration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는 RRC 연결을 수정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것은 측정 구성, 이동성 제어, 무선 자원 구성(RB들, MAC 메인 구성 및 물리 채널 구성을 포함함) 및 AS 보안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RRCReconfiguration 메시지
Figure pat00001
- SL-ConfigDedicatedNR
IE SL-ConfigDedicatedNR은 NR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전용 구성 정보를 지정한다.
SL-ConfigDedicatedNR 정보 엘리먼트
Figure pat00002
- SidelinkUEInformationNR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는 NR 사이드링크 UE 정보를 네트워크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3GPP TS 38.331에 지정된 정상 RRC 연결 설정 절차에 따르면, RRCSetupRequest 메시지는 UE에 의해 SRB0 상에서 gNB로 송신된다. RRCSetupRequest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gNB는 SRB1을 설정하기 위해 SRB0 상에서 RRCSetup 메시지를 UE로 송신할 것이다. 그런 다음, UE는 SRB1 상에서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가지고 회신한다. RRCSetup 메시지는 SRB1과 연관된 IE RadioBearerConfig를 포함하며, 반면 SRB1와 연관된 IE RLC-BearerConfig는 3GPP TS 38.331에서 미리 정의된 디폴트 SRB 구성들 내에 포함된다. SRB2 및 SRB3은, AS 보안이 활성화된 이후에 RRC 재구성 절차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3GPP R2-200847은, L2 UE-대-네트워크 릴레이에 대한 해법들에 초점을 맞춘, UE-대-네트워크 릴레이의 연구 측면들에 대한 개괄을 제공한다. 3GPP R2-2008047의 도 2(본원에 미도시)는 L2 UE-대-네트워크 릴레이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을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프로토콜 스택 내에 2개의 레그들, 즉, 원격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PC5(또는 SL) 레그뿐만 아니라 릴레이 UE와 gNB 사이의 Uu 레그가 존재한다.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ling radio bearer; SRB)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들에 관하여, 3GPP R2-2008047은 다음과 같은 제안들을 제기한다:
제안 3: 원격 UE의 Uu SRB0에 대해, PC5 및 Uu 링크 상의 관련 RLC 베어러 파라미터들은 규격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제안 4: 원격 UE의 Uu SRB1 및 Uu SRB2에 대해, PC5 및 Uu 링크 상의 관련 PDCP 및 RLC 베어러 파라미터들은 g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안 5: 원격 UE의 Uu DRB에 대해, PC5 및 Uu 링크 상의 관련 Uu SDAP, Uu PDCP 및 RLC 베어러 파라미터들은 g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3GPP R2-2008047의 도 3(본원에 미도시)에 예시된) 원격 UE 및 릴레이 UE에서의 베어러 매핑들과 관련하여, 3GPP R2-2008047은 다음과 같은 제안들을 제기한다:
제안 6: 원격 UE에 대해, Uu PDCP 엔티티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1 대 1 매핑만이 지원된다.
제안 7: 릴레이 UE에 대해, SL RLC 베어러와 Uu RLC 베어러 사이의 1 대 1 매핑 및 N 대 1 매핑 둘 모두가 지원된다.
제안 8: L2 UE-대-네트워크 릴레이에서, 원격 UE 및 릴레이 UE에서의 모든 베어러/LCH 매핑들은 gNB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은 gNB가 베어러 매핑을 구성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이다:
- 원격 UE의 Uu DRB를 식별하는 베어러 ID는, N:1 매핑의 경우에, 릴레이 UE 및 gNB에서의 베어러 매핑을 위해 적응 계층 헤더 내에 추가될 수 있다.
- 원격 UE에서, Uu DRB ID 대 SL RLC ID 사이의 매핑 테이블이 gNB에 의해 구성된다.
- 릴레이 UE에서, 다음의 매핑 테이블들이 g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1) UL에 대해, SL RLC ID 대 Uu RLC ID; 2) DL에 대해, 적응 헤더 내의 베어러 ID 대 SL RLC ID.
그러나, 원격 UE에 대해 Uu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와 SL RLC 베어러 사이에 N 대 1 매핑을 지원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격 UE 내의 PC5 RLC와 Uu PDCP 사이의 적응 계층은 또한 적응 계층 헤더 내에 베어러 ID를 추가하고 제거하기 위해 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3GPP R2-2008047의 도 3(본원에 미도시)을 참조하면) 적응 계층들과 관련하여, 3GPP R2-2008047은 다음과 같은 제안들을 제기한다:
제안 9: 어떠한 적응 계층도 UE-대-네트워크 릴레이에 대한 SL 홉(hop)에서 요구되지 않는다.
제안 10: Uu RLC 위의 적응 계층이 UE-대-네트워크 릴레이에 대한 Uu 홉에서 필요하다.
제안 11: 원격 UE의 DRB의 베어러 ID는 릴레이 UE에서의 SL RLC 베어러 대 Uu RLC 베어러 사이의 N:1 매핑을 지원하기 위해 적응 계층 내에 추가되어야 한다.
다수의 원격 UE들이 동일한 릴레이 UE를 통해 gNB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 로컬 UE 식별자가 원격 UE들과 릴레이 UE를 구별하기 위해 릴레이 UE와 gNB 사이에서 요구된다. 3GPP R2-2008047의 도 6(본원에 미도시)은 다음과 같이 릴레이 UE를 통한 원격 UE와 gNB 사이의 데이터 라우팅을 예시한다:
단계 1: gNB는 DL 데이터가 어떤 UE(즉, 릴레이 UE, 원격 UE1 또는 원격 UE2)에 속하는지를 안다
gNB는 동일한 하위 L2 엔티티들(즉, RLC 및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을 공유하는 각각의 UE의 DRB들에 대해 상위 L2 엔티티들(즉, Uu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ion Protocol; SDAP) 및 Uu PDCP)을 설정하며, gNB는 각각의 UE의 UE 로컬 식별자를 포함하는 UE 콘텍스트를 유지한다.
하나의 PDCP 엔티티로부터 DL 데이터가 도착할 때, gNB는 PDCP 엔티티가 어떠한 UE에 속하는지를 안다. 대응하여, gNB는 적응 계층 헤더 내에 포함될 로컬 UE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gNB는 적응 계층 헤더와 함께 PDCP PDU를 릴레이 UE로 전송한다.
단계 2: 릴레이 UE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가 어떤 원격 UE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이전에, 릴레이 UE 및 gNB가 로컬 UE 식별자를 교환하였으며, 이는 릴레이 UE 및 gNB가 전용 원격 UE 또는 릴레이 UE에 대한 기준으로서 이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gNB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 시에, 릴레이 UE는 적응 계층 헤더를 해석할 수 있으며, 포함된 정보, 즉, 로컬 UE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로컬 UE 식별자에 기초하여, 릴레이 UE는 연관된 원격 UE 또는 릴레이 UE 자체를 알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해, 전체 절차가 유사하며, 즉, 릴레이 UE는 원격 UE 또는 릴레이 UE 자체로부터 SL 유니캐스트를 통해 업링크 PDCP PDU를 수신한다. 릴레이 UE는 gNB에 의해 이전에 제공된 구성에 기초하여 로컬 UE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릴레이 UE는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응 계층 헤더를 수신된 PDCP PDU에 추가한다. 마지막으로, 릴레이 UE는 적응 계층 헤더와 함께 PDCP PDU를 gNB로 송신한다.
따라서, 다음이 제안된다:
제안 12: UE-대-네트워크 L2 릴레이에 대해, 적응 계층 헤더 내에 포함된 로컬 식별자는 라우팅을 위해 사용된다.
제안 13: 로컬 식별자는 릴레이 UE에 의해 할당되며, 릴레이 UE의 범위 내의 하나의 원격 UE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추가로, 3GPP R2-2008047의 도 7(본원에 미도시)은 원격 UE가 릴레이 UE를 통해 gNB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단계 1: 릴레이 UE 발견
일반적으로, 우리는 릴레이 UE (재)선택 기준뿐만 아니라 LTE에서 정의된 기본 발견 절차가 재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계 2: 유니캐스트 연결 설정
원격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유니캐스트 연결이 설정되어야 한다. 세부사항들은 SA2에서 계류 중이다.
단계 2a/2b: 통합 액세스 제어
다음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원격 UE에 대한 액세스 제어가 이러한 절차에서 지원된다. 릴레이 UE는, SL 유니캐스트 연결이 설정될 때 UAC 파라미터들을 원격 UE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전용 파라미터들로서 SL 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RRC 컨테이너로서 SIB1에 포함될 수 있다. UAC 파라미터들의 수신 시에, 원격 UE는 자체적으로 액세스 제어를 수행한다. 액세스가 허용되는 경우, 원격 UE는 릴레이 UE를 통해 gNB와의 RRC 셋업 절차를 트리거한다.
단계 3: 원격 UE는 릴레이 UE를 통해 Uu RRCSetupRequest를 gNB로 전송한다
원격 UE는 RRCSetupRequest 메시지를 릴레이 UE로 송신하며, 그 결과 릴레이 UE는 이러한 메시지를 gNB로 릴레이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원격 UE는 디폴트 SL RLC 베어러를 통해 RRCSetupRequest 메시지를 릴레이 UE로 송신할 수 있으며, 즉, 디폴트 SL RLC 베어러가 SRB0 관련 메시지들, 예를 들어, RRCSetupRequest, RRCSetup의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어야 한다.
원격 UE 사이에서 디폴트 SL RLC 베어러를 통해 RRCSetupRequest를 캡슐화하는 RLC SDU의 수신 시에, 릴레이 UE는 이것이 새로운 원격 UE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다음, 릴레이 UE는 원격 UE에 대한 로컬 UE 식별자를 할당하며, 이것을 유니캐스트 연결 ID, 즉, SRC L2 ID, DST L2 ID와 함께 원격 UE의 콘텍스트로서 저장한다.
추가로, 릴레이 UE는, 예를 들어, 디폴트 Uu RLC 베어러를 통해 수신된 RRCSetupRequest 메시지를 gNB로 포워딩한다. 세부적으로, 릴레이 UE는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응 계층 헤더를 수신된 RRCSetupRequest 메시지에 추가하며, 그런 다음 적응 계층 PDU를 gNB로 송신한다. 디폴트 Uu RLC 베어러는 Uu에서 SRB0 관련 메시지들을 운반하기 위해 도입된다.
단계 4: gNB는 릴레이 UE를 통해 RRCSetup 메시지를 원격 UE로 송신한다.
gNB가 원격 UE로부터의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이것은 릴레이 UE를 통해 원격 UE로 RRCSetup 메시지를 응답한다. 세부적으로, gNB는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응 계층 헤더를 RRC PDU에 추가하며, 이러한 적응 계층 PDU를 릴레이 UE로 송신한다.
RRCSetup 메시지를 캡슐화하는 적응 계층 PDU의 수신 시에, 릴레이 UE는 적응 계층 헤더로부터 로컬 UE 식별자를 획득하며 이러한 로컬 UE 식별자에 기초하여 링크된 원격 UE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UE는 원격 UE로 수신된 RRC PDU를 회신할 수 있다.
단계 5: 원격 UE는 릴레이 UE를 통해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gNB로 송신한다
원격 UE는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캡슐화하는 PDCP PDU를 생성하며, 이러한 PDCP PDU를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을 통해 릴레이 UE로 송신한다.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캡슐화하는 PDCP PDU의 수신 시에, 릴레이 UE는 할당된 로컬 UE id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릴레이 UE는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응 계층 헤더를 PDCP PDU에 추가하고, 이것을 gNB로 전송한다.
RRCSetupComplete 메시지 송신 절차에 적용된 프로토콜 스택은 3GPP R2-2008047의 도 5(본원에 미도시)에 예시된다.
단계 6: 원격 UE와 gNB 사이의 초기 AS 보안 활성화 절차
초기 AS 보안 활성화는 릴레이 UE를 통해 원격 UE와 gNB 사이에서 수행된다.
단계 7: 원격 UE와 gNB 사이의 RRC 재구성 절차
유사하게, RRC 재구성은 릴레이 UE를 통해 원격 UE와 gNB 사이에서 수행된다.
R2-2008047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디폴트 SL RLC 베어러를 통해 원격 UE로부터 전송되는 RRCSetupRequest를 캡슐화하는 RLC SDU의 수신 시에, 릴레이 UE는 이것이 새로운 원격 UE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 UE는 원격 UE에 대한 로컬 UE 식별자를 할당하거나 또는 배정하고, 이것을 유니캐스트 연결 ID들, 즉, 소스 L2 ID 및 목적지 L2 ID와 함께 원격 UE의 콘텍스트에 저장한다. 대안적으로, 원격 UE에 대한 로컬 UE 식별자는 gNB에 의해 배정되거나 또는 할당되고 릴레이 UE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릴레이 UE는 수신된 RRCSetupRequest 메시지를 디폴트 Uu RLC 베어러를 통해 gNB로 포워딩한다. 세부적으로, 릴레이 UE는 로컬 UE 식별자(identifier; ID)를 적응 계층 헤더 내에 포함시키며, 그런 다음 수신된 RRCSetupRequest 메시지를 캡슐화하는 적응 계층 PDU를 gNB로 송신한다. 릴레이 UE에 의해 포워딩된 RRCSetupRequest를 캡슐화하는 RLC SDU의 수신 시에, gNB는 RRCSetupRequest 메시지 내에 포함된 원격 UE의 초기 UE 신원 및 원격 UE의 로컬 UE ID를 포함하는 UE 콘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원격 UE와 gNB 사이의 RRC 연결이 설정된 이후에, 원격 UE는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와의 PDU 세션 설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gNB는 Uu 무선 베어러 구성, SL RLC 베어러 구성, 및/또는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또는 연관)을 할당하기 위해 제 1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원격 UE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릴레이 UE는 적응 계층 헤더 내에 포함된 로컬 UE ID에 따라 원격 UE로 제 1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포워딩할 수 있다.
한편, gNB는 UE-대-네트워크 릴레잉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할당하기 위한 제 2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릴레이 UE로 송신할 수 있다: SL RLC 베어러 구성, (UL에 대한) SL RLC에 매핑된(또는 이와 연관된) Uu 무선 베어러, (UL에 대한) SL RLC 베어러 대 Uu RLC 베어러 매핑, (DL에 대한)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 및 Uu RLC 베어러 구성. Uu RLC 베어러 구성은, 예를 들어, 선택적일 수 있으며, 이는 관련 Uu RLC 베어러가 동일한 원격 UE 또는 다른 원격 UE의 다른 Uu 무선 베어러에 대해 설정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Uu 무선 베어러가 단방향(즉, UL 전용 또는 DL 전용)인 경우 아이템들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외에, 동일한 Uu 무선 베어러 신원 또는 Uu 무선 베어러 구성 인덱스가 UL 및 DL 둘 모두에 의해 공유되는 경우, SL RLC 베어러에 매핑된(또는 이와 연관된) Uu 무선 베어러 및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 중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반면, 제 2 RRCReconfiguration가 릴레이 UE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메시지가 송신할 때 gNB가 이러한 메시지에 대해 적응 헤더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을 수 있다.
DL에서 적응 계층 헤더가 적응 계층 PDU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 Uu 무선 베어러의 베어러 ID 및 원격 UE의 로컬 UE ID를 포함하기 때문에, 베어러 ID의 값이 원격 UE의 범위 내에서 유효하다고 가정되며, 이는 동일한 베어러 ID 값이 릴레이 UE와 연결된 다수의 원격 UE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gNB로부터 적응 계층 PDU를 수신할 때, 릴레이 UE는 먼저 로컬 UE ID에 따라 원격 UE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gNB에 의해 구성된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 및 적응 계층 헤더 내에 포함된 베어러 ID에 기초하여 원격 UE로 대응하는 적응 계층 SDU를 포워딩하기 위한 SL RLC 베어러를 선택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릴레이 UE는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이 어떠한 원격 UE에 할당되는지 알아야 한다. 따라서,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을 릴레이 UE에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또한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정보는, 예를 들어, 원격 UE의 로컬 UE ID일 수 있다. 이하의 표 1은 릴레이 UE와 연결된 3개의 원격 UE들에 대한 릴레이 UE 내에서 유지되는 예시적인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 표를 예시한다.
표 1. 릴레이 UE 내의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매핑 표
Figure pat00005
이상의 표 1에서, 신원은 Uu 무선 베어러 또는 SL RLC 베어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SL RLC 베어러의 SL RLC 베어러 구성 또는 Uu 무선 베어러의 Uu 무선 베어러 구성과 연관된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실현 가능하다.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잠재적인 방식은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또는 Uu 무선 베어러의 Uu 무선 베어러 구성의 인덱스를 SL RLC 베어러의 SL RLC 베어러 구성 내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SL RLC 베어러 구성은 SL RLC 베어러의 신원 및/또는 SL RLC 베어러 구성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이슈가 UL 방향에 대해 또한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릴레이 UE는, 이것이 SL RLC 베어러 상의 원격 UE로부터 SDU를 수신할 때 베어러 ID가 적응 계층 헤더 내에 포함될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이 어떤 원격 UE에 할당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제 2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제 1 정보와 연관된 원격 UE를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또는 Uu 무선 베어러의 Uu 무선 베어러 구성의 인덱스는, Uu 무선 베어러가 SL RLC 베어러에 매핑(또는 이와 연관)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SL RLC 베어러의 SL RLC 베어러 구성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Uu RLC 베어러의 신원 또는 Uu RLC 베어러의 Uu RLC 베어러 구성의 인덱스는, SL RLC 무선 베어러가 Uu RLC 베어러에 매핑(또는 이와 연관)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SL RLC 베어러의 SL RLC 베어러 구성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상의 해법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gNB는 릴레이 UE로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매핑은 UL 송신, DL 송신, 또는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다른 RRC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Uu 무선 베어러는 Uu 무선 베어러 신원에 의해 식별될 수 있거나 및/또는 SL RLC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 신원 또는 논리 채널 신원(logical channel identity; LC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또한, SL RLC 베어러에 대한 SL RLC 베어러 구성, SL RLC 베어러 대 Uu RLC 베어러 매핑, 및/또는 Uu RLC 베어러에 대한 Uu RLC 베어러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은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을 나타내기 위해 SL RLC 베어러에 대한 SL RLC 베어러 구성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원격 UE와 연관된 SL RLC 베어러들과 Uu 무선 베어러들 사이의 모든 매핑들이 주어지면(복수의 매핑들은 다수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음), 릴레이 UE는, 적응 계층 헤더 내에 포함된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 및 베어러 ID에 기초하여 원격 UE로, gNB로부터 수신된 적응 계층 PDU에 대응하는 SDU를 포워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SL RLC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베어러 ID는, 이로부터 적응 계층 PDU 내의 데이터가 오는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이다. UL 송신에 대해, 릴레이 UE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이 수신되는 SL RLC 베어러에 기초하여 원격 UE로부터 SDU를 수신할 때 gNB로 송신될 적응 계층 PDU의 헤더 내에 포함된 베어러 ID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할 것이다. 베어러 ID에 따라, gNB는 수신된 SDU를 전달할 Uu PDCP 엔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적응 계층 관점으로부터, PDU는 SDU 또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UE가 다수의 원격 UE들에 대한 UE-대-네트워크 릴레잉을 지원하는 경우에, gNB는 다른 원격 UE(들)에 대해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들)을 구성하기 위해 릴레이 UE로 다른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들)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2는 네트워크 노드의 관점으로부터의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에 대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1200)이다. 단계(1205)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UE로 RRC 메시지를 송신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121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릴레이 UE로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며, 여기에서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및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한다.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노드(300)는 메모리(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CPU(308)는, 네트워크 노드가 (i) 릴레이 UE로 RRC 메시지를 송신하되,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송신하고, 및 (ii) 릴레이 UE로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를 송신하되, 여기에서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 및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을 포함하는, 적응 계층 PDU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로, CPU(308)는 이상에서 설명된 액션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3은 릴레이 UE의 관점으로부터의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에 대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1300)이다. 단계(1305)에서, 릴레이 UE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RRC 메시지를 수신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1310)에서, 릴레이 UE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수신하며, 여기에서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및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1315)에서, 릴레이 UE는 SL RLC 베어러 상에서 원격 UE로 적응 계층 PDU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을 송신하며, 여기에서 SL RLC 베어러는 매핑에 따라 Uu 무선 베어러와 연관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Uu 무선 베어러 대 SL 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릴레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노드(300)는 메모리(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CPU(308)는, 릴레이 UE가 (i)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RRC 메시지를 수신하되,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ii)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적응 계층 PDU를 수신하되, 여기에서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 및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을 포함하는, 적응 계층 PDU를 수신하고, 및 (iii) SL RLC 베어러 상에서 원격 UE로 적응 계층 PDU에 대응하는 SDU를 송신하되, 여기에서 SL RLC 베어러는 매핑에 따라 Uu 무선 베어러와 연관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SDU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로, CPU(308)는 이상에서 설명된 액션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논의되고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PC5 RRC 연결 또는 유니캐스트 링크는 릴레이 UE와 원격 UE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RRC 메시지는, SL RLC 베어러에 대한 SL RLC 베어러 구성, SL RLC 베어러 대 Uu RLC 베어러 매핑, 및/또는 Uu RLC 베어러에 대한 Uu RLC 베어러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은 SL RLC 베어러에 대한 SL RLC 베어러 구성 내에 포함될 수 있다. SL RLC 베어러 구성은 SL RLC 베어러의 신원 또는 SL RLC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신원(logical channel identity; LCID), 및/또는 SL RLC 베어러 구성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RRC 메시지는 RRCReconfiguration일 수 있다. Uu 무선 베어러는 Uu 무선 베어러 신원에 의해 식별될 수 있거나, 및/또는 SL RLC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 신원 또는 논리 LC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적응 계층은 Uu RLC 계층 위에 있을 수 있다.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는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일 수 있다.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는 릴레이 UE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배정되거나 또는 할당될 수 있다. Uu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ling radio bearer; SRB)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측면들이 이상에서 설명되었다. 본원에서의 교시들이 광범위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이 둘 모두가 단지 대표적일 뿐이라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원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이 임의의 다른 측면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 및 이러한 측면들 중 2 이상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기술된 측면들 중 임의의 수의 측면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원에서 기술된 측면들 중 하나 이상에 더하여 또는 그 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이상의 개념들 중 일부의 일 예로서, 일부 측면들에 있어서 동시 채널들이 펄스 반복 주파수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 있어서, 동시 채널들은 펄스 위치 또는 오프셋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 있어서, 동시 채널들은 시간 호핑(hopping) 시퀀스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 있어서, 동시 채널들은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및 시간 호핑 시퀀스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하고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의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되는 데이터, 명령어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적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추가로, 본원에서 개시된 측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예를 들어, 소스 코딩 또는 어떤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예, 아날로그 구현예, 또는 이들 둘의 조합), 명령어들을 통합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편의성을 위하여, 본원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지칭될 수 있음), 또는 둘 모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상에서 그들의 기능성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더하여, 본원에서 개시된 측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집적 회로("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C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적 컴포넌트들, 광학적 컴포넌트들, 기계적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IC 내에, IC 외부에, 또는 둘 모두에 상주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예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으로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샘플 접근 방식의 일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선호사항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남아 있으면서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며, 제공되는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 둘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예를 들어,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관련 데이터를 포함함)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샘플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컴퓨터/프로세서(편의성을 위하여 본원에서 "프로세서"로 지칭될 수 있음)와 같은 기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코드)를 판독하고 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샘플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측면들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본 개시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양한 측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추가적인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따르며, 본 발명이 관련되는 기술분야 내에서 공지되고 관습적인 실시의 범위 내에 있는 바와 같은 본 개시로부터의 이탈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예들, 사용들 또는 개조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Uu 무선 베어러 대 사이드링크(Sidelink; SL)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매핑을 위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노드가 릴레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또한 상기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릴레이 UE로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상기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및 상기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PC5 RRC 연결 또는 유니캐스트 링크가 상기 릴레이 UE와 상기 원격 UE 사이에 설정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는, SL RLC 베어러에 대한 SL RLC 베어러 구성, SL RLC 베어러 대 Uu RLC 베어러 매핑, 및/또는 상기 Uu RLC 베어러에 대한 Uu RLC 베어러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u 무선 베어러는 상기 Uu 무선 베어러 신원에 의해 식별되며, 및/또는 상기 SL RLC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 신원 또는 논리 채널 신원(logical channel identity; LCID)에 의해 식별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은 상기 SL RLC 베어러에 대한 상기 SL RLC 베어러 구성 내에 포함되는,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SL RLC 베어러 구성은 SL RLC 베어러의 신원 또는 상기 SL RLC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신원(logical channel identity; LCID), 및/또는 상기 SL RLC 베어러 구성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응 계층은 Uu RLC 계층 위에 있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UE를 식별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원격 UE의 상기 로컬 UE 식별자인,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는 상기 릴레이 UE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배정되거나 또는 할당되는, 방법.
  10. Uu 무선 베어러 대 사이드링크(Sidelink; SL)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매핑을 위한 방법으로서,
    릴레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UE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상기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및 상기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UE가 상기 SL RLC 베어러 상에서 상기 원격 UE로 상기 적응 계층 PDU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SL RLC 베어러는 상기 매핑에 따라 상기 Uu 무선 베어러와 연관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PC5 RRC 연결 또는 유니캐스트 링크가 상기 릴레이 UE와 상기 원격 UE 사이에 설정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는, SL RLC 베어러에 대한 SL RLC 베어러 구성, SL RLC 베어러 대 Uu RLC 베어러 매핑, 및/또는 상기 Uu RLC 베어러에 대한 Uu RLC 베어러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Uu 무선 베어러는 상기 Uu 무선 베어러 신원에 의해 식별되며, 및/또는 상기 SL RLC 베어러는 SL RLC 베어러 신원 또는 논리 채널 신원(logical channel identity; LCID)에 의해 식별되는,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은 상기 SL RLC 베어러에 대한 상기 SL RLC 베어러 구성 내에 포함되는,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SL RLC 베어러 구성은 SL RLC 베어러의 신원 또는 상기 SL RLC 베어러의 논리 채널 신원(logical channel identity; LCID), 및/또는 상기 SL RLC 베어러 구성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응 계층은 Uu RLC 계층 위에 있는,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원격 UE를 식별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원격 UE의 상기 로컬 UE 식별자인, 방법.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는 상기 릴레이 UE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배정되거나 또는 할당되는, 방법.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Uu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ling radio bearer; SRB)인, 방법.
  20. Uu 무선 베어러 대 사이드링크(Sidelink; SL)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매핑을 위한 릴레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서,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서 동작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RRC 메시지는 Uu 무선 베어러와 SL RLC 베어러 사이의 연관을 나타내는 매핑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또한 매핑과 연관된 원격 UE를 식별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적응 계층 PDU를 수신하되, 상기 적응 계층 PDU의 헤더는 상기 Uu 무선 베어러의 신원 및 상기 원격 UE의 로컬 UE 식별자를 포함하며; 및
    상기 SL RLC 베어러 상에서 상기 원격 UE로 상기 적응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에 대응하는 SDU를 송신하되, 상기 SL RLC 베어러는 상기 매핑에 따라 상기 Uu 무선 베어러와 연관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릴레이 UE.
KR1020210150257A 2020-11-16 2021-11-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u 무선 베어러 대 pc5 무선 링크 제어(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66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14158P 2020-11-16 2020-11-16
US63/114,158 2020-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840A true KR20220066840A (ko) 2022-05-24

Family

ID=8154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257A KR20220066840A (ko) 2020-11-16 2021-11-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u 무선 베어러 대 pc5 무선 링크 제어(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59753A1 (ko)
KR (1) KR20220066840A (ko)
CN (1) CN1145138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627A1 (ko) * 2022-09-23 202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UE-to-UE relay 연결 설정에 관련된 릴레이 UE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6836B2 (en) * 2021-05-07 2023-03-14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DRX) parameter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EP4175399B1 (en) * 2021-10-25 2024-05-08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ue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to support ue-to-network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527027A (zh) * 2022-07-29 2024-02-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终端到终端中继场景下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7693067A (zh) * 2022-09-09 2024-03-1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链路配置方法、装置、拉远终端、网络设备及存储介质
WO2024055321A1 (en) * 2022-09-16 2024-03-21 Zt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4315A4 (en) * 2018-08-09 2022-05-11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0831075A (zh) * 2018-08-10 2020-02-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业务切换方法及装置
US11224007B2 (en) * 2018-11-19 2022-0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idelink radio bearers
CN113711663A (zh) * 2019-02-15 2021-1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设备到设备的链路的资源配置和选择
US11711785B2 (en) * 2019-08-09 2023-07-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in user equipment groups
US20210105787A1 (en) * 2019-10-03 2021-04-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delink Bearer Mode Selection
CN113038416B (zh) * 2019-12-25 2023-03-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参考信号传输方法及终端
CN115066966A (zh) * 2020-02-10 2022-09-16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支持侧链路中继的逻辑通道优先级排序方法
CN111901847A (zh) * 2020-02-13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sidelink中继通信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901836A (zh) * 2020-02-13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链路切换、链路切换配置方法、装置、通信节点及介质
IL297151A (en) * 2020-04-08 2022-12-01 Idac Holdings Inc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of device-to-device relay connection
US20220022279A1 (en) * 2020-07-15 2022-01-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ow power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220053519A1 (en) * 2020-08-14 2022-02-17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carrier group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3955635A1 (en) * 2020-08-14 2022-02-16 Nokia Technologies Oy Configuring of relay ue context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627A1 (ko) * 2022-09-23 202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UE-to-UE relay 연결 설정에 관련된 릴레이 UE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9753A1 (en) 2022-05-19
CN114513866A (zh)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idelink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6684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u 무선 베어러 대 pc5 무선 링크 제어(rlc) 베어러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37428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idelink radio bearer (slrb) configuration of unicas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52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QOS (quality of service) flow to DRB (data radio bearer) remapp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390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라디오 베어러를 해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1470B1 (ko)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517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der compression configuration for sidelink radio bear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492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idelink transmission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904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bearer configuration to support UE-to-network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0456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무효 rrc 재구성 메시지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124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ation layer configuration for user equipment (ue)-to-network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587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대-네트워크 릴레이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567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사용자 단말(ue)이 직접 대 간접 통신 경로 스위칭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173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사용자 단말(ue)이 직접 대 간접 통신 경로 스위칭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358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대-네트워크 릴레이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9105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대-네트워크 릴레잉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401473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transmission scenario 2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0823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qos(quality of service) 플로우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029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대-nw 릴레이 통신에 대한 인터-gnb 적접-대-간접 경로 스위칭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