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470B1 -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470B1
KR102211470B1 KR1020140032294A KR20140032294A KR102211470B1 KR 102211470 B1 KR102211470 B1 KR 102211470B1 KR 1020140032294 A KR1020140032294 A KR 1020140032294A KR 20140032294 A KR20140032294 A KR 20140032294A KR 102211470 B1 KR102211470 B1 KR 10221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dual connectivity
rrc connec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174A (ko
Inventor
안재현
허강석
Original Assignee
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70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ESTABLISHMENT IN DUAL CONNECTIVITY}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을 위해서 소형 셀을 활용하여 단말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소형 셀을 활용할 경우 단말은 두 개의 셀과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를 수행하는데, 이 경우 베어러(bearer)의 연결을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전술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은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기지국 간의 듀얼 커넥티비트의 유지를 위한 프로시져를 수행하거나, 혹은 듀얼 커넥티비트를 종료하기 위한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기지국과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RRC 연결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송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SeNB(Secondary eNB)이며 상기 기지국과 구별되며 상기 단말과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한 기지국은 MeNB(Master eN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며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기지국과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단말에게 RRC 연결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송신하는 제 2 송신부; 다른 기지국과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2 송신부; 및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기지국은 SeNB(Secondary eNB)이며, 상기 기지국과 구별되며 상기 단말과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한 기지국은 MeNB(Master eN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에 따라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하거나 혹은 종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기지국과 단말이 듀얼 커넥티비티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이하 "EPS"라 함) 베어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 가지 방식의 사용자 플레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MeNB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SeNB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3의 eNB 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의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의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7의 과정에서 MeNB에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사용자 단말은 단말로 약칭하여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LTE LTE-A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carrier)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업링크와 다운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할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는 UE가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자원을 제공 받아서 사용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MeNB(Master eNB)는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 최소한 S1-MME 인터페이스를 CN과 유지하여 모빌리티 앵커(mobility anchor)로서 동작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SeNB(Secondary eNB)는 듀얼 커넥티비티 상황에서 Master eNB가 아니면서 추가적인 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MCG(Master Cell Group)는 MeNB와 관련된 서빙 셀의 그룹을 의미하며, SCG(Secondary Cell Group)는 SeNB와 관련된 서빙 셀의 그룹을 의미한다. Xn은 MeNB와 SeNB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Pcell은 프라이머리 서빙 셀(Primary serving cell), Scell은 세컨더리 서빙 셀(Secondary serving cell), 그리고 sPcell은 스페설 서빙 셀(Special serving cell)로, SCG에서 PUCCH 전송을 담당하는 서빙 셀(serving cell of SCG with PUCHH)을 의미한다.
CN(core network)인 EPC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 등으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EPC는 본 발명에서 CN이라고도 부른다. 라디오 베어러(Radio Bearer, 이하 'RB'라 함)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EPC를 통해서 특정 QoS를 가지고 전달된 패킷들을 전달하는 통로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기지국과 단말이 듀얼 커넥티비티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스몰 셀(small cell) 시나리오에서 듀얼 커넥티비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110, 12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110, 12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0, 120)은 특정한 셀에 대해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기지국(110, 120)은 특정한 셀 내의 다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110, 120)과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 상태에 있는 단말(112)은 각각의 매크로 eNB(MeNB)(110) 및 스몰 eNB(SeNB)(12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중 연결은 단말이 적어도 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지점(network points)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소비하는 동작이라 할 수 있다.
MeNB는 MME와 S1-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연결이 설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간 핸드오버와 같은 이동(mobility) 시에 코어(core) 네트워크 관점에서 보여지는 중심(anchor) 기지국이다(예를 들어, 110). 즉, SeNB간 변경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관여하지 않는다. SeNB는 이중연결 되어있는 단말에게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MeNB가 아닌 기지국(예를 들어, 120)이다. 이 경우, 매크로 eNB(110)가 마스터기지국(Master eNB, 이하 MeNB라 함)이 될 수 있으며, 스몰 eNB(120)가 부가기지국(Secondary eNB, 이하 SeNB라 함)이 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 1과 같이 다른 기지국에서 하나의 단말이 서비스를 받는 동작으로 서로 다른 데이터를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도 1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듀얼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eNB에서 여러 개의 서빙 셀들을 서로 다른 주파수(frequency)에 설비하고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MeNB(매크로 eNB, 110)에 해당되는 서빙 셀들은 MCG라고 불리게 되고, SeNB(스몰 eNB, 120)에 해당되는 서빙 셀들은 SCG라고 불리게 된다. 즉, 하나의 eNB에 여러 개의 서빙 셀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이하 "EPS"라 함) 베어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말이 외부 인터넷 망과 사용자 데이터 (user data: 예, IP packet)를 송수신 하기 위해서는 단말과 외부 인터넷 망 사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엔터티(구성요소) 들 간에 존재하는 여러 경로에 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이렇게 데이타 송수신 경로에 자원이 할당되어 있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 경로를 베어러(Bearer)라고 한다.
단말의 업링크 TFT(Uplink Traffic Flow Template)는 SDF(Service Data Flow)와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bearer)를 업링크 방향으로 바인딩한다. UL TFT의 다중 업링크 패킷 필터를 포함하여 다중 SDF는 같은 EPS 베어러로 멀티플렉싱 될 수 있다. PDN GW의 다운링크 TFT(DN TFT)는 SDF와 EPS 베어러를 다운링크 방향으로 바인딩한다. DL TFT의 다중 다운링크 패킷 필터를 포함하여 다중 SDF는 같은 EPS 베어러로 멀티플렉싱 될 수 있다.
E-RAB는 단말과 EPC의 EPS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한다. E-RAB가 존재할 경우 E-RAB와 EPS 베어러는 1:1 매핑이 성립한다.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data radio bearer)는 UE와 eNB간의 EPS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한다.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가 존재할 경우 라디오 베어러와 EPS 베어러/E-RAB 간에 1:1 매핑이 성립한다.
S1 베어러는 eNB와 Serving GW 간의 E-RAB의 패킷을 전송한다. S5/S8 베어러는 Serving GW와 DN GW 간의 EPS 베어러의 패킷을 전송한다.
단말은 업링크 패킷 필터와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 간의 매핑을 저장하여 SDF와 업링크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 간의 바인딩을 생성한다. PDN GW는 다운링크 패킷 필터와 S5/S8 베어러 간의 매핑을 저장하여 다운링크에서의 SDF와 S5/S8 간의 바인딩을 생성한다. eNB는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와 S1 베어러간의 1:1 매핑을 저장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와 S1 베어러간의 바인딩을 생성한다. Serving GW는 S1 베어러와 S5/S8 간의 매핑을 저장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S1 베어러와 S5/S8 간의 바인딩을 생성한다.
즉, 정리하면, 단말로부터 외부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려면, 단말은 우선 무선상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를 통해서 기지국 또는 eNB에게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어야 하며, 해당 데이터는 다시 S1 베어러를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이하 "S-GW"라고도 함)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시 해당 데이터는 S5/S8 베어러를 통해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이하 "P-GW" 또는 "PDN-GW"라고도 함)로 전달되어야 하며, 최종적으로 P-GW와 외부 인터넷 망에 존재하는 목적지까지 외부 베어러(External Bearer)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외부 인터넷 망에서 단말로 데이터가 전달 되려면 위의 설명과 역방향으로 각각의 베어러를 거쳐서 단말에 전달이 될 수 있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드-투-엔드(End-to-End) 서비스는 단말이 인터넷 망과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단말과 P-GW간의 경로인 EPS 베어러, 및 P-GW와 인터넷 망과의 경로인 외부 베어러(External Bearer)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외부 베어러(External Bearer)는 P-GW와 인터넷 망 사이의 베어러를 의미한다.
EPS 베어러는 특정 QoS(Quality of Service)로 IP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과 P-GW 사이에 설정된 전달 경로로써, 각 EPS 베어러는 전달 경로의 특성을 나타내는 QoS 파라미터들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하나의 EPS 베어러는 하나의 E-RAB와 하나의 S5/S8 베어러의 연결된 값(concatenation)을 고유하게 표현한다.
이 때, S5/S8 베어러는 S5/S8 인터페이스에서의 베어러로서, S5와 S8는 모두 S-GW와 P-GW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베어러이다. S5 인터페이스는 S-GW와 P-GW가 동일한 사업자에 속해 있을 경우이며, S8 인터페이스는 S-GW는 로밍해 들어간 사업자(즉, Visited PLMN)에 속하며 P-GW는 원래 서비스를 가입한 사업자(즉, Home PLMN)에 속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하나의 E-RAB는 S1 베어러와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도 2의 Radio Bearer)의 합을 고유하게 표현하며, 하나의 E-RAB가 존재할 때, 해당 E-RAB와 하나의 EPS 베어러 사이에 1대1 매핑이 된다.
한편,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가 전달되는 경로 또는 베어러로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와 구분되는 것이다.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는 RRC 와 NAS 제어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로이다. 하나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존재할 때, 해당 데이터 무선 베어러와 E-RAB 그리고 EPS 베어러 사이에는 1대1 매핑이 된다.
한편, 듀얼 컨낵티비티란 하나의 단말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지국(eNB)의 무선자원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기지국들은 기지국간의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거의 없는 이상적 백홀(ideal backhaul)로 연결될 수도 있고 기지국간의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 ms에서 수십 ms에 달하는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이상적 백홀 연결을 가정한다.
이러한 듀얼 컨낵티비티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2 이상의 기지국이 마스터 eNB(Master eNB; 이하 "MeNB"라고도 함)와 세컨더리 eNB(Secondary eNB. 이하 "SeNB"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MeNB 및 SeNB라는 표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 마스터 eNB 또는 MeNB는 듀얼 커낵티비티 환경에서 적어도 S1-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종단 기지국으로써 코어망(Core Network; CN)에 대해서 이동성의 고정축 (mobility anchor) 역할을 하는 기지국으로서, 단말과 RRC 구성 및 재구성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또한, 세컨더리 eNB 또는 SeNB는 듀얼 커낵티비티 환경에서 단말에게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써 MeNB가 아닌 기지국을 의미하며, SeNB는 단말과 직접적으로 RRC (재)구성 등과 같은 무선 구성(Radio Configuration)에 대한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달리 표현하면, SeNB는 서비스 받는 단말에 대한 RRC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무선 구성(Radio Configuration)에 대한 변경을 위한 RRC 메시지 등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듀얼 컨낵티비티 환경은 다시 크게 베어러 분할(Bearer Split)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베어러 분할이 있는 경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 가지 방식의 사용자 플레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1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두 가지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 UP)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UP 1A의 경우, MeNB(310)와 SeNB(320)는 각각 별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가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UP 3C의 경우, 단말에게 서비스되는 리소스 베어러(Resource Bearer, RB) 중 일부는 MeNB(310)에 의해서만 서비스되고, RB의 다른 일부는 MeNB(310)와 SeNB(320)에 의해 동시에 서비스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multi-flow 또는 bearer split으로 부를 수 있다. multi-flow를 수행하는 RB는 PDCP 계층은 MeNB(310)에 있고 RLC 계층 상에서 분리된 형상을 보일 수 있다. 즉, PDCP SDU(Service Data Unit)가 PDCP PDU(Packet Data Unit)가 되어 MeNB(310)와 SeNB(320) 각각의 RLC 계층으로 분배되어 전달될 수 있다. SeNB(320)의 RLC 계층은 MeNB(310)의 PDCP 계층으로부터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배되어 전달된 PDCP PDU를 가지고 RLC SDU를 형성하여 모드에 따른 라디오 링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MeNB(310)와 SeNB(320) 사이에는 Xn 인터페이스가 정의될 수 있고, Xn 인터페이스는 광섬유(fiber),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무선 백홀 등 다양한 기술로 설비될 수 있다. 다음의 표 1 및 2는 각 기술에 의한 Xn 인터페이스의 백홀 성능의 예를 나타낸다.
Backhaul Technology Latency ( One way ) Throughput
Fiber Access 1 10-30ms  10M-10Gbps
Fiber Access 2 5-10ms 100-1000Mbps
Fiber Access 3 2-5ms 50M-10Gbps
DSL Access 15-60ms 10-100 Mbps
Cable  25-35ms 10-100 Mbps
Wireless Backhaul 5-35ms 10Mbps - 100Mbps typical, maybe up to Gbps range
Backhaul Technology Latency ( One way ) Throughput
Fiber Access 4 (NOTE 1) less than 2.5 us (NOTE2) Up to 10Gbps
표 1은 비이상적인(non-ideal) 백홀의 예를 나타내고, 표 2는 이상적인(ideal) 백홀의 예를 나타낸다. 표 1 및 2에서 "Latency (One way)"는 일 방향 지연 시간을 나타내고, "Throughput"은 단위 시간당 처리량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UE(401)는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410). UE(401)는 문제 상황(RLF(Radi Link Failure), HO(Handover) failure, mobility from EUTRA failure, integrity check failur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이 발생할 경우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S410 단계를 시작하기 위해 UE(401)는 다음의 동작을 세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에 T310 timer가 동작하고 있었다면 중단한다(stop timer T310, if running). 그리고 만약에 T311 timer를 시작한다(start timer T311). SRB0를 제외한 모든 RB를 중지(suspend)한다. 그리고 MAC을 리셋(reset)하고, Scell을 모두 릴리즈(release)한다. 이후 디폴트 물리 채널 설정(default physical channel configuration)을 적용하고, 디폴트 반정적 스케줄링 설정(default semi-persistent scheduling configuration)을 적용한다. 그리고 디폴트 MAC 메인 설정(default MAC main configuration)을 적용한다. T340 timer가 동작 중이었다면 정지시키고, powerPrefIndicationConfig를 릴리즈시킨다. 그리고 reportProximityConfig, obtainLocationConfig, idc-Config를 릴리즈시키고, measSubframePatternPcell를 릴리즈 시킨다. 그리고 RN 서브프레임 설정(RN subframe configuration)을 릴리즈 시킨다. 이후, 셀 선택(cell selection)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eNB(402)가 셀 선택 과정을 통해 선택된 경우, UE(401)는 해당 eNB(402)로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415).
S415의 request 메시지 내의 정보를 통해서 해당 eNB(402)는 해당 UE(401)의 UE 컨텍스트(UE context)가 해당 eNB에서 유효(valid)한지 유효하지 않은지(not valid) 판단하여 유효하다면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UE(401)에게 전송하고, 유효하지 않다면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ject message를 UE(401)에게 전송한다(S430).
UE(401)는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440).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유효한 경우, S430에서 eNB(402)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한다.
S440에서 해당 eNB(402)와 security re-activation에 관련된 추가적인 절차가 없이, UE(401)는 SRB1을 재개(resuming)하고,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정보에 담겨 있는 설정(configuration) 정보에 따라 서스펜드(supend)되어 있던 다른 RB들에 대한 통신을 재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MeNB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UE(501)는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트리거링(triggering)한다(S510). UE(501)는 문제 상황(RLF(Radi Link Failure), HO(Handover) failure, mobility from EUTRA failure, integrity check failur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이 발생할 경우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트리거링한다.
UE(501)가 사용하는 RB들 중에서 SRB0를 제외한 MeNB(502)와 SeNB(503)에 의해서 서비스 받고 있던 모든 RB들이 유예(suspend)된다. MeNB(502)와 SeNB(503)에 대한 UE(501)의 MAC 설정이 리셋된다. MCG의 Scell들과 SCG의 sPcell을 제외한 Scell들은 릴리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셀 선택(cell selection) 과정을 통하여 MeNB(502)를 선택하여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UE(501)는 MeNB(503)로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인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를 전송한다(S515). 이 때, 하나의 실시 예로 SeNB의 sPcell의 재개(resuming)를 위하여 도움이 되는 sPcell의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measurement) 정보(측정 결과)를 선택적으로 추가해서 보낼 수도 있다. 물론, S515에서 이러한 측정 정보가 없어도 MeNB(503)이 UE(501)에 대한 듀얼 커넥티비티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듀얼 커넥티비티의 재개 여부를 MeNB(502)가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MeNB(502)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안에 있는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C-RNTI, shortMAC-I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UE(501)의 UE 컨텍스트가 유효한지 체크하여 컨텍스트 유효 여부를 결정한다(S520). 또한 SeNB(503)와 듀얼 커넥티비티 수행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MeNB(502)가 판단한다. 해당 가능성은 S515 단계에서 UE로부터 MeNB에게 전달되는 RRM 측정 결과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이전에 MeNB(502)가 UE(501)에 대한 듀얼 커넥티비티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MeNB(502)는 보유한 정보를 이용하여 SeNB(503)와 듀얼 커넥티비티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MeNB(502)는 S520 단계를 이용하여 UE 컨텍스트가 유효하며 듀얼 커넥티비티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maintain)하라는 지시자를 true로 세팅하여 UE(501)에게 전달한다. 만약에 UE 컨텍스트는 유효하지만 듀얼 커넥티비티는 어렵다고 판단하면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하라는 지시자를 false로 세팅하여 전달한다. 다른 실시 예로, False를 묵시적(implicit)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해당 지시자를 포함시키지 않은(absent) 상태로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UE(501)에게 보낼 수 있다. 상기 지시자를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dual connectivity maintain indicator)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또는 상기 유지 지시자는 1 bit 시그널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듀얼 커넥티비티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면, 별도의 유지 지시자 없이도 듀얼 커넥티비티의 재개 여부에 대한 정보를 UE(501)가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는 묵시적으로 지시될 수도 있고 명시적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MeNB(502)가 S520, S530 단계를 통하여 듀얼 커넥티비티를 재개하기로 결정한다면 듀얼 커넥티비티를 재개하라는 지시 메시지를 SeNB(503)에 전달한다(S540). UE(501)는 MeNB(502)의 Pcell과 SeNB(503)의 sPcell을 통하여 통신을 재개한다(S550). S550에서 UE(501)는 SRB1(Signal RB)을 재개하고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정보에 따라 DRB(Data RB)를 재개하며 이후 RRCConnectionReestablishment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하는 후속 작업과 함께 듀얼 커넥티비티를 재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SeNB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 MeNB(602)와 SeNB(603) 간에는 UE(601)의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UE 컨텍스트를 공유하고 있다(S610). 여기서 공유라는 의미는 UE 컨텍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MeNB(602)와 SeNB(603) 사이에 듀얼 커넥티비티를 수행하고 있는 UE의 컨텍스트로 MeNB(602)의 Pcell의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MeNB(602)의 C-RNTI, MeNB(602)의 shortMAC-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공유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S610 과정에서 UE(601)의 컨텍스트는 공유되지 않고, 듀얼 커넥티비티를 수행하는 UE의 존재 여부만을 SeNB(603)가 인지할 수도 있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UE(601)는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트리거링(triggering)한다(S62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UE(601)는 문제 상황(RLF(Radi Link Failure), HO(Handover) failure, mobility from EUTRA failure, integrity check failur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이 발생할 경우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UE(601)에서 SeNB로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630). 이 때, 하나의 실시 예로 해당 UE(601)가 듀얼 커넥티비티를 수행 중이었다는 상태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해당 지시자가 존재함은 해당 UE(601)가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에서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를 트리거링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지시자를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S630의 메시지에서 추가적으로 MeNB(602)에 대한 RRM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S640 과정은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S610 과정을 통하여 공유된 정보(physical cell ID of Pcell of MeNB, C-RNTI for MeNB, shortMAC-I for MeNB) 중 일부분만이 SeNB에 공유되거나 공유 과정 이후에 해당 정보의 변경이 발생하였음에도 갱신(update)되지 않았을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S640은 SeNB(603)가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에 담겨있는 UE 컨텍스트의 정보를 기반으로 MeNB(602)에 요청하는 UE 컨텍스트 업데이트 요청(UE context update request)(S641) 메시지를 전송한다(S641). 이 때, UE 컨텍스트의 정보와 더불어 S630 에서 전송된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를 참조할 수도 있다. SeNB(603)의 요청에 따라 MeNB(602)는 업데이트된 UE 컨텍스트 정보를 SeNB(603)에게 전달한다(UE context update response)(S642).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에 포함된 UE 컨텍스트 정보와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S640 과정에서 획득한 업데이트된 UE 컨텍스트(updated UE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SeNB(603)가 해당 UE(601)가 해당 기지국을 SeNB(603)로서 듀얼 커넥티비티를 수행한 UE인 것으로 결정 또는 판단한다면(S650), SeNB(603)는 해당 UE(601)의 UE 컨텍스트가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요청을 거절(reject)하지 않고,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통해 허여하게 된다(S660). 더불어서 MeNB(602)의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도 있다.
상기 S650 과정을 통하여 UE 컨텍스트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SeNB(603)는 UE(601)에게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전달한다(S660). 이 때,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지시자가 존재하면, UE(601)는 MeNB(602)의 Pcell에 대해서도 재개 과정을 수행하여,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S670을 진행하며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할 경우 S679를 진행한다. 즉, 듀얼 커넥티비티의 유지 여부에 따라 SeNB(603)는 S670과 S679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S670은 S671, S672, S673의 과정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는 MeNB(602)를 릴리즈 시키면서 MeNB(602)에서 서비스 중이던 RB들의 데이터를 전달받는 과정이다. SeNB(603)는 MeNB(602)에게 데이터 포워딩을 요청(data forwarding request)하는데(S671), 이는 MeNB(602)의 릴리즈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MeNB(602)는 SeNB(603)에게 데이터 포워딩 응답(data forwarding response)를 수행하고(S672), 데이터 포워딩과 SN 상태 리포트(Sequence Number status report)를 수행한 후 UE(601)의 UE 컨텍스트를 릴리즈할 수 있다(S673).
한편,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할 경우 SeNB(603)는 MeNB(602)에게 듀얼 커넥티비티 재개를 지시한다(S679). 그리고 UE(601)는 S660에서 수신한 메시지의 정보에 따라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하거나, SeNB(603)에서만 서비스를 받는 형태로 재설정 과정을 마무리한다(S680). UE(601)는 SRB1와 DRB를 재개하며 이후 RRCConnectionReestablishment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하는 후속 작업과 함께 SeNB(603)과의 연결과 관련한 SRB(들)과 DRB(들)을 재개하게 되며, 듀얼 커넥티비티를 재개할 수 있다.
도 6에서 S670은 S680 이후 진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3의 eNB 로 재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UE(701)는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트리거링(triggering)한다(S710). UE(701)는 문제 상황(RLF(Radi Link Failure), HO(Handover) failure, mobility from EUTRA failure, integrity check failur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이 발생할 경우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UE(701)에서 듀얼 커넥티비티로 연결하지 않았던, 즉 MeNB(702)나 SeNB(703)가 아닌 다른 제 3의 eNB(704)를 셀 선택(cell selection)을 통하여 선택하고, 제 3의 eNB(704)로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720). 이 때, 하나의 실시 예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당 UE(701)가 듀얼 커넥티비티를 수행 중이었다는 상태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해당 지시자가 존재함은 해당 UE(701)가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에서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를 트리거링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지시자는 앞서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로 살펴보았다.
제 3의 eNB(704)는 UE(701)에 대한 UE 컨텍스트가 없으므로 유효하지 않은(not valid) 것으로 판단하고 결정한다(S730). UE(701)가 eNB(704)에 컨텍스트가 없어 유효하지 않으므로, 제 3의 eNB(704)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jection" 메시지를 UE(701)에게 전달한다(S740). 이 메시지를 받은 UE(701)는 "idle" 모드로 진입한다(S750). 제 3의 eNB(704)는 MeNB(702)에게 MeNB(702)에 속해있던 특정 UE(701)에 대한 UE 컨텍스트 릴리즈(UE context release)를 요청하는 메시지(예> RLF가 발생했었다는 것)를 MeNB(702)에게 전달한다(S760). 하나의 예로 "RLF indicaton"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단말의 UE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S720의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HO 과정 중에 문제(failure)가 발생한 경우, HO의 목표가 되었던 제 4의 기지국으로 제 3의 기지국에서 HO 리포트 메시지(HO report message)가 전달되고, 해당 제 4의 기지국을 통하여 해당 UE 컨텍스트 릴리즈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MeNB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해당 UE 컨텍스트 릴리즈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제 3의 기지국으로부터 MeNB로 바로 전달되지 않고, 다른 기지국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CN에서 해당 단말의 문제를 인식하고 MeNB로 해당 UE 컨텍스트 릴리즈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즉, 해당 UE 컨텍스트 릴리즈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제 3의 기지국으로부터 MeNB로 바로 전달되지 않고, CN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7에서 제 3의 기지국이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MeNB에게 UE 컨텍스트 릴리즈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상기 제 3 기지국과는 구별되는 제 4 기지국에서 상기 MeNB로 전송하거나, 혹은 CN에서 전송하는 실시예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MeNB(702)는 SeNB 릴리즈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770). 보다 상세히, MeNB(702)는 제 3의 eNB(704)로부터 RLF indic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UE(701)가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였다고 판단되면, UE(701)가 듀얼 커넥티비티로 연결 설정되었던 SeNB(703)에게 릴리즈 요청(SeNB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771). SeNB(703)는 릴리즈 요청에 대해서 응답(SeNB release response)을 하고 UE(701)의 컨텍스트를 릴리즈 한다(S772).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의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S810). 여기서 제 1 기지국이 MeNB가 되고 제 2 기지국이 SeNB가 되는 경우 도 6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기지국이 MeNB가 되고 제 1 기지국이 SeNB가 되는 경우 도 5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제 2 기지국으로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그리고 문제 상황(RLF(Radi Link Failure), HO(Handover) failure, mobility from EUTRA failure, integrity check failur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이 발생할 경우 RRC 연결 재설정이 필요함을 확인한다(S820).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830).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고(S840),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850).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5의 S515 및 도 6의 S63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S830의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RRM 측정(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결과 또는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S530 및 도 6의 S66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S840의 RRC 연결 메시지는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dual connectivity maintain indicator)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적용할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이 MeNB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이 SeNB가 되며, S64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 2 기지국과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670 단계와 같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도 5 및 도 6의 단말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의 단말이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이 제 3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문제 상황(RLF(Radi Link Failure), HO(Handover) failure, mobility from EUTRA failure, integrity check failur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이 발생할 경우 RRC 연결 재설정이 필요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단말은 셀 선택(cell selection)을 수행하여 제 3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S920).
그리고 단말은 상기 제 3 기지국에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S930), 제 3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제 3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다(S940). 단말은 상기 거절 메시지에 따라 Idle 모드로 진입한다(S950).
여기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도 7의 S720과 같이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지국이 MeNB인 경우, 제 3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RLF Ind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 메시지에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 정보를 이용하거나 혹은 상기 제 1 기지국 내에 보유한 UE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SeNB인 제 2 기지국과 제 1 기지국은 SeNB 릴리즈를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제 1 기지국은 MeNB이며 제 2 기지국은 SeNB가 된다. 즉 도 6의 경우 SeNB의 동작 과정을 제 2 기지국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 기지국(SeNB인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MeNB인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를 공유한다(S1010). 여기서 공유라는 의미는 UE 컨텍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1020). 여기서 상기 S1020의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RRM 측정(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결과 또는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S1010 단계에서 정보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간에 정보가 공유되지 않았거나 공유된 정보가 오래되어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30). S1030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고(S1040),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RRC 연결 메시지를 송신한다(S1050).
여기서 상기 RRC 연결 메시지는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dual connectivity maintain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과 단말 간에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없는 지를 판단하여(S1060),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이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데이터 포워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포워딩되는 데이터 및 SN 상태 리포트를 수신한다(S1070).
그리고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이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할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듀얼 커넥티비티 재개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S1080).
이후 제 2 기지국은 상기 송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S109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적용하기 위해 도 10에서 제 1 기지국이 SeNB이며 제 2 기지국은 MeNB인 경우, 제 2 기지국인 MeNB는 도 10의 S1020, S1040, S1050, S1080 및 S109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7의 과정에서 MeNB에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1 기지국은 MeNB가 되며 제 2 기지국은 SeNB가 된다. 제 3 기지국은 제 3의 eNB를 의미한다.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기지국은 제 3 기지국으로부터 RLF 지시 메시지(Radio Link Failure indication message)를 수신한다(S1110). RLF 지시 메시지는 하나의 예이며, 도 7의 과정에서 상세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통하여 UE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 메시지가 제 1 기지국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 메시지에는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 3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3 기지국 수신한 메시지를 확인하고,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에게 해당 단말과의 연결을 릴리즈할 것을 요청한다(S1120). 이후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과의 릴리즈 응답을 수신한다(S113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말(1200)의 전체 구성은 수신부(1210), 제어부(1220), 그리고 송신부(1230)으로 구성된다. 단말(1200)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며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한다. 송신부(1230)는 상기 제 2 기지국에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수신부(1210)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20)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
앞서 도 5, 6, 7의 실시예에 적용할 경우,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RRM 측정(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결과 또는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RRC 연결 메시지는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dual connectivity maintain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SeNB로의 RRC 재설정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이 MeNB(Master eNB)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이 SeNB(Secondary eNB)인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과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SeNB로의 RRC 재설정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이 MeNB(Master eNB)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이 SeNB(Secondary eNB)이며 상기 제 1 기지국과의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프로시져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기지국(1300)은 제 1 수신부(1310), 제어부(1320), 제 1 송신부(1330), 그리고 제 2 수신부(1315)와 제 2 송신부(1335)로 구성된다. 도 13의 기지국의 동작을 도 6의 SeNB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수신부(1310) 및 제 1 송신부(1330)는 단말과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며 제 2 수신부(1315) 및 제 2 송신부(1335)는 다른 기지국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로, 예를 들어 Xn 인터페이스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기지국, 예를 들어 MeNB와 통신을 수행하며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하는 제 2 기지국을 도 13의 기지국(1300)으로 살펴본다. 즉, 상기 제 1 기지국은 MeNB(Master eNB)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은 SeNB(Secondary eNB)인 경우의 제 2 기지국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제 1 수신부(1310)는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어부(1320)는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 1 송신부(1330)는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RRC 연결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320)는 상기 송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6의 컨텍스트 공유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320)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를 공유하도록 상기 제 2 수신부(1315) 및 상기 제 2 송신부(1335)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라는 의미는 UE 컨텍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RRM 측정(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결과 또는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신부(1310)가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 2 송신부(1335)가 상기 제 1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 2 수신부(1315)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RRC 연결 메시지는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dual connectivity maintain indicator)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이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2 송신부(1335)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데이터 포워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 2 수신부(1315)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포워딩 및 SN 상태 리포트를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MeNB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할 경우, 즉,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단말이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할 경우, 상기 제 2 송신부(1335)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듀얼 커넥티비티 재개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RRC 연결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은 MeNB(Master eNB)이며 상기 제 2 기지국은 SeNB(Secondary eN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대한 RRM 측정(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결과 또는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메시지는 듀얼 커넥티비티 유지 지시자(dual connectivity maintain indic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과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둘 이상의 기지국과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를 유지하는 단말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RRC 연결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송신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SeNB(Secondary eNB)이며 상기 기지국과 구별되며 상기 단말과 듀얼 커넥티비티를 유지한 기지국은 MeNB(Master eN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를 상기 MeNB인 기지국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MeNB인 기지국에 대한 RRM 측정(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결과 또는 상기 듀얼 커넥티비티 상태 지시자(Dual Connectivity state indicato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MeNB인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MeNB인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40032294A 2014-03-19 2014-03-19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94A KR102211470B1 (ko) 2014-03-19 2014-03-19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94A KR102211470B1 (ko) 2014-03-19 2014-03-19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74A KR20150109174A (ko) 2015-10-01
KR102211470B1 true KR102211470B1 (ko) 2021-02-03

Family

ID=5433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294A KR102211470B1 (ko) 2014-03-19 2014-03-19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826B1 (ko) * 2016-05-12 2020-11-30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방법 및 그 장치
CN109155945B (zh) * 2016-07-01 2021-03-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EP3481135A4 (en) * 2016-07-01 2020-03-04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A DUAL CONNECTIVITY STATE
WO2018004278A1 (ko) * 2016-07-01 2018-01-04 주식회사 케이티 이중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18056623A1 (en) * 2016-09-22 2018-03-29 Lg Electronics Inc. Handling of conflic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WO2018057076A1 (en) * 2016-09-26 2018-03-29 Intel Corporation Splitting signal radio bearer enhancements for standalone 5g new rat multi-connectivity
BR112019021978A2 (pt) * 2017-04-20 2020-05-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omunicação, dispositivo de rede de acesso e dispositivo terminal
KR20210060069A (ko) * 2019-11-18 202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747457A (zh) * 2020-05-27 2021-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配置信息获取方法、装置、用户设备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2441*
3GPP R2-1400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74A (ko)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3281B2 (ja) 通信システム
KR102175874B1 (ko) Ue-ambr을 구성하는 방법
KR102211470B1 (ko)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03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ACH-less mobility with pre-allocated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11309B1 (ko) 스몰 셀 환경에서의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7211475B (zh) 用于重新配置无线承载的方法及其装置
RU2640397C2 (ru) Способ для сообщ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и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лин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EP36660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dc configuration
KR102337539B1 (ko) Ue의 총계 최대 비트 레이트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비-gbr 서비스의 총계 비트 레이트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기지국
US1085565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WLAN carriers and apparatus thereof
JP7232781B2 (ja) Scg構成を維持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6018323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US202201597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u radio bearer to pc5 radio link control (rlc) bearer ma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64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security and changing PDCP version
KR20140145524A (ko)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7505017A (ja) 複数のキャリアを有する端末がttiバンドリングを設定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50020510A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이중 연결성의 제공 방법
KR201500182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방법 및 장치
US20220124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ation layer configuration for user equipment (ue)-to-network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77780B1 (ko)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05941B1 (ko) Wlan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37277A (ko) 무선자원 재설정/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9022B1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물리제어채널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155148B1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별 서빙셀 그룹 구성 방법 및 장치
US115642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to support UE-to-network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