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133A -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133A
KR20220066133A KR1020227013053A KR20227013053A KR20220066133A KR 20220066133 A KR20220066133 A KR 20220066133A KR 1020227013053 A KR1020227013053 A KR 1020227013053A KR 20227013053 A KR20227013053 A KR 20227013053A KR 20220066133 A KR20220066133 A KR 2022006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harness
connecting plate
separator assembly
connec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201B1 (ko
Inventor
쉬광 왕
지화 야오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을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버스 바(112) 및 상기 버스 바(112)를 연결하는 절연막(113)을 포함하는 복수의 격리 유닛(11); 인접한 상기 격리 유닛(1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2)를 포함한다.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복수의 독립된 격리 유닛(11)을 포함하고, 성형 시 각 격리 유닛(11)은 독립적으로 가공될 수 있고, 또한 각 격리 유닛(11)의 크기는 작아서 가공 난이도가 감소될 수 있고, 또한 각 버스 바(112)의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버스 바(112)의 위치 정확도가 향상되므로, 버스 바(112)와 전극 리드(41) 간의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다. 동시에 각 격리 유닛(11)에서 버스 바(112)는 절연막(113)을 통해 연결되므로 버스 바(112)의 단락 위험이 낮다. 또한 서로 인접한 격리 유닛(11)은 연결 어셈블리(2)로 연결되어 완전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를 형성하므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버스 바(112)와 전극 리드(41)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본 출원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기술 분야와 관련되며, 특히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출원은 2019년 10월 21일에 제출된 발명의 명칭이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921769307.2를 인용하며, 이는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완전히 통합된다.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과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는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배터리 모듈에 가까운 크기를 갖는 일체형 구조이다. 전원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의 크기도 증가하여 핫 프레스 공정을 통해 성형 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의 생산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또한 크기가 크면 핫 프레스 과정에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의 각 구성 요소의 위치 정확도가 낮아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와 배터리 모듈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조립에 도움이 되지 않고, 또한 전극 리드와 버스 바 사이의 용접 정확도가 감소한다.
본 출원은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의 위치 정확도가 높고, 버스 바와 전극 리드의 연결 신뢰성이 높은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이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는: 버스 바 및 버스 바를 연결하는 절연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격리 유닛; 인접한 격리 유닛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결 부재와 격리 유닛 중 하나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결 홀이 구비되며, 돌출부는 연결 홀과 연결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제1연결 부재와 제2연결 부재 중 하나에는 볼록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매칭 홀이 구비되며, 볼록부는 매칭 홀과 연결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격리 유닛에는 연결 홀이 구비되며; 격리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돌출부는 매칭홀 및 연결 홀 모두에 연결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연결 부재는 제1연결판, 제2연결판 및 완충부를 포함하고, 완충부의 일단은 제1 연결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연결판에 연결되며;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은 인접한 격리 유닛에 각각 연결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완충부는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 사이에 위치하는 주름진 구조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연결 부재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며; 제2 몸체부는 제2 캐비티가 구비되고, 매칭 홀은 제2 캐비티의 일측벽에 구비되며; 돌출부는 제1 연결 부재에 구비되고, 돌출부는 매칭 홀을 통해 제2 캐비티로 삽입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연결 부재는 제5 연결판과 제6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제2몸체부의 다른 일측벽에는 제2개구부가 구비되고, 또한 제2 개구부는 매칭 홀과 대향되게 구비되며; 제5 연결판과 제6 연결판은 각각 제2 개구부의 측벽으로부터 길이 방향(X)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격리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제5 연결판과 제6 연결판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과 맞닿으며; 제1연결 부재는 제3연결판과 제4연결판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격리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연결판과 제4 연결판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과 맞닿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돌출부는 제1 섹션와 제2 섹션를 포함하고, 제1 섹션의 외부 윤곽은 제2 섹션의 외부 윤곽보다 크며; 매칭 홀은 제2섹션와 간극 피팅되고, 매칭홀의 크기는 제1섹션의 외형 크기보다 작고, 또한 제2 섹션는 매칭 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양태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며, 배터리 모듈은: 전극 리드가 구비되는 배터리 셀; 전술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의 버스 바는 전극 리드에 연결된다.
본 출원의 제3 양태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며, 배터리 팩은 박스 본체 및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배터리 모듈은 박스 본체 내에 고정된다.
본 출원의 제4 양태는 배터리 셀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장치는 상기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 및 동력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는 복수의 독립된 격리 유닛을 포함하고, 성형 시 각 격리 유닛은 독립적으로 가공될 수 있고, 또한 각 격리 유닛의 크기는 작아서 가공 난이도가 감소될 수 있고, 또한 각 버스 바의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버스 바의 위치 정확도가 향상되므로, 버스 바와 전극 리드 간의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다. 동시에 각 격리 유닛에서 버스 바는 절연막을 통해 연결되므로 버스 바의 단락 위험이 낮다. 또한 서로 인접한 격리 유닛은 연결 어셈블리로 연결되어 완전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를 형성하므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버스 바와 전극 리드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또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에 사용되어야 하는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명백하게, 다음 설명의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 기술자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구체적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제1 구체적 실시예의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제2 구체적 실시예의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V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1 구체적 실시예의 도 4의 연결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연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2 구체적 실시예의 도 4의 연결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4의 제1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실시예이다.
도 14는 도 4의 제1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2 실시예이다.
도 15는 도 4의 제2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실시예이다.
도 16은 도 4의 제2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2 실시예이다.
도 17은 도 4의 제3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실시예이다.
도 18은 도 4의 제3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2 실시예이다.
도 19는 도 4의 제4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실시예이다.
도 20은 도 4의 제4 유닛 및 연결 어셈블리의 분해도로서, 그 중에서 연결 어셈블리는 제2 실시예이다.
도 21은 구체적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배터리 팩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출원 과 일치하는 실시예를 예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출원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부일 뿐이라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창의적인 작업 없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 실시예와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단수형의 "하나의", "상기" 및 "그"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개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일 뿐이며 세가지 종류의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가지 경우가 있다. 또한, 본문에서 "/" 문자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계 객체가 "또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 "하", "좌", "우" 등과 같은 방향어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각도에서 설명된 것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연결된다고 언급될 때, 그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직접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 구성 요소를 통해 다른 구성 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 셀(4)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 배터리 팩, 배터리 모듈(A) 및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를 제공한다. 그 중에서, 배터리 셀(4)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는 차량, 선박, 소형 항공기 등과 같은 모바일 장비를 포함하고, 이 장치는 동력원을 포함하며, 동력원은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 또한 동력원은 동력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A)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의 구동력은 모두 전기 에너지일 수 있으며, 전기 에너지 및 기타 에너지원(예: 기계적 에너지)도 포함할 수 있으며, 동력원은 배터리 모듈(A)(또는 배터리 팩)일 수 있으며, 동력원은 배터리 모듈(A)(또는 배터리 팩) 및 엔진 등을 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4)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장치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차량을 예로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차량은 신에너지 차량일 수 있으며, 신에너지 차량은 순수 전기차,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장거리 차량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배터리 팩과 차체를 포함하고, 배터리 팩은 차체에 배치되고, 차체에는 구동 모터도 구비되고, 구동 모터는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 팩은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고 구동 모터는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차체의 바퀴와 연결됨으로써, 차량을 구동하여 주행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팩은 차체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은 박스 본체(B) 및 배터리 모듈(A)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 박스 본체(B)는 수용 캐비티(B3)를 구비하고, 배터리 모듈(A)은 수용 캐비티(B3)에 수용되고, 배터리 모듈(A)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A)은 수용 캐비티(B3)에 배열된다. 박스 본체(B)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프레임형 박스 본체, 원판형 박스 본체 또는 파우치형 박스 본체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본체(B)는 배터리 모듈(A)을 수용하는 하부 박스(B2)와 하부 박스(B2)를 덮는 상부 박스(B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A)은 복수의 배터리 셀(4)과 배터리 셀(4)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복수의 배터리 셀(4)은 서로 적층되며, 각 배터리 셀(4)의 적층 방향을 본 출원에서 길이 방향(X)으로 정의한다. 프레임 구조는 단부판(3)을 포함하며, 단부판(3)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터리 셀(4)의 양단부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X)을 따라 배터리 셀(4)의 이동에 사용된다. 동시에, 구체적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는 측면판(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측면판은 폭 방향(Y)을 따라 배터리 셀(4)의 양측에 위치하며, 또한 측면판은 단부판(3)과 연결되어 프레임 구조를 형성한다;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는 측면판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배터리 셀(4)이 적층된 후, 제1 케이블 타이(5)와 제2 케이블 타이(6)에 의해 연결되고, 단부판(3)과 2개의 케이블 타이는 전술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셀(4)은 전극 리드(41)를 포함하고, 각 배터리 셀(4)은 양극 리드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A)에서 복수의 배터리 셀(4)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직렬, 병렬, 혼합 연결 등의 연결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배터리 셀(4)은 버스 바(112)를 통해 연결된다(도 13참조). 예를 들어, 배터리 셀(4)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배터리 셀(4)의 양극 리드가 그와 인접한 배터리 셀(4)의 음극 리드와 버스 바(112)를 통해 연결된다.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A)은 회로판(16)을 더 포함하고, 회로판(16)은 버스 바(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스 바(112)를 통해 배터리 셀(4)의 전압 및/또는 전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회로판(16)은 또한 배터리 셀(4)의 온도를 획득하기 위해 온도 획득 유닛(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획득된 신호는 커넥터를 통해 출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A)은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를 더 포함하고,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배터리 셀(4)의 전극 리드(41)의 일단부 가까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배터리 셀(4) 위에 위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복수(2개 또는 2개 이상)의 격리 유닛(11)을 포함하고, 각 격리 유닛(11)은 별도로 구비되며, 격리 유닛(11)은 절연막(113)과 버스 바(112)를 포함하며(도 13 참조), 버스 바(112)는 절연막(113)에 연결되고, 연결 후 버스 바(112)는 절연막(113) 내부에 위치하고, 동시에 절연막(113)은 또한 전기 부품의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 역할을 한다. 동시에,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연결 어셈블리(2)를 더 포함하고, 인접한 격리 유닛(11) 사이는 연결 어셈블리(2)를 통해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리 유닛(11)은 절연막(113), 버스 바(112) 및 회로판(16)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 각 버스 바(112)와 회로판(16)은 절연막(113)에 연결되고, 연결 후 버스 바(112)와 회로판(16)은 절연막(113)의 내부에 위치한다. 동시에 절연막(113)은 또한 전기 부품의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격리 유닛(11) 중 일부의 격리 유닛(11)은 절연막(113)과 버스 바(112)를 포함하고, 다른 일부의 격리 유닛은 절연막(113), 버스 바(112) 및 회로판(16)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복수의 독립된 격리 유닛(11)을 포함하고, 성형 시 각 격리 유닛(11)은 독립적으로 가공될 수 있고, 완전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크기에 비교하여, 각 격리 유닛(11)의 크기는 작아서, 가공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각 버스 바(112)의 위치를 *쉽게 제어하여 버스 바(112)의 위치 정확도를 개선함으로써 버스 바(112)와 전극 리드(4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각 격리 유닛(11)에서 버스 바(112)는 절연막(113)을 통해 연결되어 버스 바(112)의 단락 위험이 낮다. 또한, 인접한 격리 유닛(11)은 연결 어셈블리(2)를 통해 연결되므로, 완전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를 형성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버스 바(112)와 전극 리드(41)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2)는 제1 연결 부재(21)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와 대응하는 격리 유닛(11) 중 하나에는 돌출부(211)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결 홀(111a)이 구비되며, 돌출부(211)는 연결 홀(111a)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 부재(21)에 돌출부(211)가 구비되고, 격리 유닛(11)(버스 바(112) 및 절연막(113)을 포함)에 연결 홀(111a)이 구비되면, 연결 홀(111a)은 격리 유닛(11)의 절연막(113)에 배치되거나, 버스 바(112)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버스 바(112)와 절연막(113)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격리 유닛(11)(버스 바(112), 회로판(16) 및 절연막(113)을 포함)에 연결 홀(111a)이 구비되는 경우, 연결 홀(111a)은 절연막(113)에 위치할 수 있고, 버스 바(112)에도 위치할 수도 있고, 회로판(16)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절연막(113), 버스 바(112) 및 회로판(16)의 임의의 조합에도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연결 홀(111a)의 구비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인접한 격리 유닛(11)은 동일한 제1 연결 부재(21)에 각각 연결되어 인접한 격리 유닛(11)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며, 또한 연결 어셈블리(2)가 제1 연결 부재(21)만을 포함하는 경우,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 유닛(11)은 연결부(111)를 포함하고, 연결부(111)는 연결 어셈블리(2)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결부(111)는 절연막(113) 및/또는 버스 바(112)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결부(111)는 절연막(113) 및/또는 버스 바(112) 및/또는 회로판(16)에 의해 형성되며, 연결 부재(21)에 비해 격리 유닛(11)의 두께는 얇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연결 홀(111a)은 두께가 얇은 격리 유닛(11)에 구비되고, 돌출부(211)는 제1 연결 부재(21)에 구비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결부(111)는 절연막(113)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 홀(111a)은 절연막(113)에만 위치하며, 버스 바(112) 및 회로판(16)에는 연결 홀(111a)이 형성되지 않아 버스 바(112)와 회로판(16)의 일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 부재(21)는 제1연결판(212)과 제2연결판(213)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제1연결판(212)과 제2연결판(213)은 각각 인접한 격리 유닛(213)에 연결된다. 즉, 제1 연결판(212) 및 제2 연결판(213)의 분포는 인접한 격리 유닛(11)의 분포와 일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에서 각 격리 유닛(11) 사이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연결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판(212)과 제2 연결판(213)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열된다. 동시에, 도 3,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는 완충부(214)를 더 포함하고, 완충부(214)는 제1 연결판(212)과 제2 연결판(213) 사이에 연결되며, 팽창력을 받을 때, 완충부(214)는 길이 방향(X)을 따라 변형될 수 있어 완충 역할을 하여 연결 어셈블리(2)와 격리 유닛(11)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연결 어셈블리(2)와 격리 유닛(11)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14)는 제1 연결판(212)과 제2 연결판(213)에 연결되는 주름진 구조이고, 주름진 구조는 높이 방향(Z)을 따라 돌출되며, 또한 돌출된 방향은 제1 연결판(212) 및 제2 연결판(213)에 구비된 돌출부(21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하여 높이 방향(Z)에서 연결 어셈블리(2)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2)는 별도로 구비되는 제1 연결 부재(21)와 제2 연결 부재(22)를 포함하고, 그 중에서, 제1 연결 부재(21) 및 제2 연결 부재(22)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211)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매칭 홀(221)이 구비되며, 돌출부(211)는 매칭 홀(221)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2)는 별도로 구비되는 제1 연결 부재(21)와 제2 연결 부재(22)를 포함하고, 이 둘은 인접한 격리 유닛(11)에 각각 연결되어 인접한 격리 유닛(11)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가능한 설계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2)의 제1 연결 부재(21) 및 제2 연결 부재(22)는 돌출부(211)를 통해 매칭 홀(221)에 연결되며, 동시에 격리 유닛(11)에는 연결 홀(111a)이 형성되고, 격리 유닛(1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 부재(21)와 제2 연결 부재(22)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돌출부(211)는 매칭 홀(221) 및 연결 홀(111a)과 연결되어, 격리 유닛(11)과 제1 연결 부재(21) 및/또는 제2 연결 부재(22)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 유닛(1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 부재(21)와 제2 연결 부재(22) 사이에 위치하여 격리 유닛(11)과 연결 어셈블리(2)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격리 유닛(11)과 연결 어셈블리(2)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재(21)는 제1 연결판(212) 및 제2 연결판(213)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제1 연결판(212) 및 제2 연결판(213)는 각각 인접한 격리 유닛(213)에 연결되고, 또한 제1 연결판(212)과 제2 연결판(213) 사이에는 또한 완충부(214)가 더 연결되며, 완충부(214)는 팽창력을 받을 때 길이 방향(X)을 따라 변형되어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동시에,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2)의 제2 연결 부재(22)는 2개의 매칭 판(222)을 포함하고, 2개의 매칭 판(222)은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완충부(214)는 2개의 매칭 판(222)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된다. 2개의 매칭 판(222)는 각각 제1 연결판(212) 및 제2 연결판(213)과 높이 방향(Z)을 따라 배치되고, 높이 방향(Z)을 따라 인접한 격리 유닛(11) 중에서,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판(212)과 매칭 판(222)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연결판(213)과 매칭 판(222) 사이에 위치한다. 즉, 높이 방향(Z)을 따라 격리 유닛(11)이 제1 연결 부재(21)와 제2 연결 부재(22) 사이에 끼워져서, 3자가 높이 방향(Z)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격리 유닛(11)과 연결 어셈블리(2)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격리 유닛(11)과 제1 연결 부재(21)는 돌출부(211)와 연결 홀(111a)을 통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칭 판(222)의 구비는 격리 유닛(11)에 대한 지지 작용을 할 수 있고, 매칭 판(222)과 2개의 연결판은 강성구조로 되어 있어 매칭 판(222)와 연결판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더 높으므로, 연결 어셈블리(2)와 강성이 낮은 격리 유닛(1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어셈블리(2)에서 돌출부(211)는 타원형 기둥 구조이고, 이에 대응하여 매칭 홀(221)은 타원형 홀이므로 돌출부(211)와 매칭 홀(22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높다.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2)는 제1 연결 부재(21) 및 제2 연결 부재(22)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제1 연결 부재(21)와 제2 연결 부재(22)는 인접한 격리 유닛(11)과 각각 연결되고, 또한 제1 연결 부재(21)와 제2 연결 부재(22)는 돌출부(211)를 통해 매칭 홀(221)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는 제1 몸체부(215)를 포함하고, 제2 연결 부재(22)는 제2 몸체부(223)를 포함하고, 제2 몸체부(223)는 제2 캐비티(223a)를 포함한다. 전술한 매칭 홀(221)은 제2 캐비티(223a)의 일측벽에 구비되고, 돌출부(211)는 제1 몸체부(215)의 일측벽에 구비되고, 또한 매칭 홀(221)은 돌기부(211)와 대향되게 구비되어, 돌기부(211)가 매칭 홀(221)과 쉽게 연결되며, 연결 후, 돌출부(211)는 매칭 홀(221)을 통해 제2 캐비티(223a)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부재(22)의 제2 캐비티(223a)는 2개의 연결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모듈(A)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제2 캐비티(223a)의 구비는 돌출부(211)를 위한 설치 공간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215)는 제1 캐비티(215a)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캐비티(215a)는 제1 연결 부재(21)의 무게를 줄여 배터리 모듈(A)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제1 몸체부(215)는 중실 구조일 수도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1)는 서로 연결된 제1 섹션(211a) 및 제2 섹션(211b)를 포함하고, 또한 제1 섹션(211a)의 외부 윤곽은 제2 섹션(211b)의 외부 윤곽보다 크고, 제2 섹션(211b)은 제1 캐비티(215a)의 측벽에 연결된다. 동시에, 매칭 홀(221)은 제2 섹션(211b)과 간극 피팅된다. 즉 매칭 홀(221)의 크기는 제2 섹션(211b)의 외부 윤곽 크기보다 크고, 매칭 홀(221)의 크기는 제1 섹션(211a)의 외부 윤곽 크기보다 작고, 또한 돌출부(211)는 매칭 홀(221)과 연결된 후, 그의 제1 섹션(211a)이 제2 캐비티(223a)로 삽입되고, 제2 섹션(211b)은 매칭 홀(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어셈블리(2)에서, 매칭 홀(221)과 돌출부(211)는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되고, 둘이 결합된 후, 돌출부(211)의 제2 섹션(211b)이 매칭 홀(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가 팽창력을 받으면, 돌출부(211)와 매칭 홀(221)의 상대적인 이동을 통해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11)의 제2 섹션(211b)은 완충부로서 매칭 홀(221)을 따라 이동하여 팽창력을 해제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는 제3 연결판(216) 및 제4 연결판(217)를 포함하고, 폭 방향(Y)을 따라 제1 캐비티(215a)의 측벽에는 제1 개구부(215b)가 구비되고, 제1 개구부(215b)는 돌출부(211)와 대향한다. 즉, 제1 개구부(215b)는 돌출부(211)와 대향하는 측벽에 구비되며, 또한 제3 연결판(216)과 제4 연결판(217)은 각각 제1 개구부(215b)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3 연결판(216) 및 제4 연결판(217)은 높이 방향(Z)을 따라 배치되고, 제3 연결판(216)과 제4 연결판(217) 사이에는 제1 개구부(215b)가 형성되며, 격리 유닛(11)과 연결될 때, 대응하는 격리 유닛(11)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연결판(216)과 제4 연결판(217)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과 맞닿아 격리 유닛(11)과 제1 연결 부재(21)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동시에, 도 5,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22)는 제5 연결판(224) 및 제6 연결판(225)를 더 포함하고, 폭 방향(Y)을 따라 제2 캐비티(223a)의 측벽에는 제2 개구부(223b)가 구비되고, 제2 개구부(223b)는 매칭 홀(211)과 대향되게 구비된다. 즉, 제2 개구부(223b)는 매칭 홀(221)과 대향하는 측벽에 구비되며, 제5 연결판(224) 및 제6 연결판(225)은 각각 길이 방향(X)을 따라 제2 개구부(223b)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양자는 높이 방향(Z)을 따라 배치되고, 제5 연결판(224)과 제6 연결판(225) 사이에는 제2 개구부(223b)가 형성되며, 격리 유닛(11)과 연결될 때, 대응하는 격리 유닛(11)의 적어도 일부는 제5 연결판(224)과 제6 연결판(225)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과 맞닿아 격리 유닛(11)과 제2 연결 부재(22)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연결 부재가 대응하는 격리 유닛(11)에 연결되면, 격리 유닛(111)에는 연결 홀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높이 방향(Z)을 따라 배치된 2개의 연결판으로 격리 유닛(11)을 가압하여 격리 유닛(11)과 대응하는 연결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격리 유닛(111)이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격리 유닛(11)의 구체적인 형태는 제2 유닛(13), 제3 유닛(14) 및 제4 유닛(15)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13)에는 네가티브 출력 극(131)이 구비되고, 제3 유닛(14)에는 포지티브 출력 극(141)이 구비되므로, 제2 유닛(13)과 제3유닛(14)은 각각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출력단에 위치하고, 또한 양자는 연결 어셈블리(2)를 통해 연결되며, 동시에, 제4 유닛(15)은 제2 유닛(13) 및 제3 유닛(14)으로부터 떨어진 일단부에 위치한다.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복수의 제1 유닛(12)을 더 포함하고, 또한 복수의 제1 유닛(12)의 구조는 같고, 인접한 제1 유닛(12)은 연결 어셈블리(2)를 통해 연결되고, 제1 유닛(12)과 제2 유닛(13)은 연결 어셈블리(2)를 통해 연결되고, 제1 유닛(12)과 제3 유닛(14)은 연결 어셈블리(2)를 통해 연결되고, 제1 유닛(12)과 제4 유닛(15)은 연결 어셈블리(2)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에서 각 연결 어셈블리(2)의 구조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중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A)에서, 각 배터리 셀(4)은 직렬로 연결된다. 즉, 배터리 셀(4)의 양극 리드는 인접한 배터리 셀(4)의 음극 리드와 버스 바(112)를 통해 연결되고, 또한 폭 방향 Y를 따라 2열의 배터리 셀(4)을 포함한다. 이에 기초하여, 도 4 및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격리 유닛(11)의 버스 바(112) 및 그 단자 홀(112a)의 구비 위치는 각 배터리 셀(4)의 직렬 연결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는 배터리 셀(4)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의 각 격리 유닛(11)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배터리 셀(4)이 병렬 또는 혼합(직렬 및 병렬을 포함) 연결되는 경우, 각 격리 유닛(11)의 구조는 상이하며, 본 출원에서 각 격리 유닛(11)의 구체적인 구조는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출원에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복수의 격리 유닛(11)을 접합하여 형성되며, 각 격리 유닛(11)은 크기가 작아서 각 부품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배터리 모듈(A)에서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조립 정확도와, 버스 바(112)와 배터리 셀(4)의 전극 리드(41)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교체, 개선 등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1-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11-격리 유닛, 12-제1 유닛, 13-제2 유닛, 14-제3 유닛, 15-제4 유닛, 16: 회로판, 111-연결부, 111a-연결 홀, 112: 버스 바, 113-절연막;
2-연결 어셈블리, 21-제1 연결 부재, 211-돌출부, 221a-제1 섹션, 211b-제2 섹션, 212-제1 연결판, 213-제2 연결판, 214-완충부, 215-제1 몸체부, 215a-제1 캐비티, 215b-제1 개구부, 216-제3 연결판, 217-제4 연결판, 22-제2 연결 부재, 221-매칭 홀, 222-매칭 판, 223-제2 몸체부, 223a-제2 캐비티, 223b-제2 개구부, 224-제5 연결판, 225-제6 연결판;
3-단부판,
4-배터리 셀, 41-전극 리드,
5-제1 케이블 타이,
6-제2 케이블 타이.

Claims (12)

  1. 배터리 모듈(A)에 사용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는:
    버스 바(112) 및 상기 버스 바(112)를 연결하는 절연막(113)을 포함하는 복수의 격리 유닛(11);
    인접한 상기 격리 유닛(1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2)를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2)는 제1 연결 부재(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21)와 상기 격리 유닛(11) 중 하나에는 돌출부(211)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결 홀(111a)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211)는 상기 연결 홀(111a)과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어셈블리(2)는 제1 연결 부재(21) 및 제2 연결 부재(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 부재(21)와 상기 제2연결 부재(22) 중 하나에는 볼록부(211)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매칭 홀(221)이 구비되며, 상기 볼록부(211)는 상기 매칭 홀(221)과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리 유닛(11)에는 연결 홀(111a)이 구비되며;
    상기 격리 유닛(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21)와 상기 제2 연결 부재(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211)는 상기 매칭홀(221) 및 상기 연결 홀(111a) 모두에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21)는 제1연결판(212), 제2연결판(213) 및 완충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214)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판(2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연결판(213)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판(212)과 상기 제2 연결판(213)은 인접한 상기 격리 유닛(11)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14)는 상기 제1 연결판(212)과 상기 제2 연결판(213) 사이에 위치하는 주름진 구조인,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부재(22)는 제2몸체부(22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부(223)는 제2 캐비티(223a)가 구비되고, 상기 매칭 홀(221)은 상기 제2 캐비티(223a)의 일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211)는 상기 제1 연결 부재(21)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211)는 상기 매칭 홀(221)을 통해 상기 제2 캐비티(223a)로 삽입되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22)는 제5 연결판(224)과 제6 연결판(2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223)의 다른 일측벽에는 제2개구부(223b)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제2 개구부(223b)는 상기 매칭 홀(221)과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5 연결판(224)과 상기 제6 연결판(225)은 각각 상기 제2 개구부(223b)의 측벽으로부터 길이 방향(X)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상기 격리 유닛(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5 연결판(224)과 상기 제6 연결판(225)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과 맞닿으며;
    상기 제1연결 부재(21)는 제3연결판(216)과 제4연결판(217)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격리 유닛(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연결판(216)과 상기 제4 연결판(217)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과 맞닿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1)는 제1 섹션(211a)와 제2 섹션(21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211a)의 외부 윤곽은 상기 제2 섹션(211b)의 외부 윤곽보다 크며;
    상기 매칭 홀(221)은 상기 제2섹션(211b)와 간극 피팅되고, 상기 매칭홀(221)의 크기는 상기 제1섹션(211a)의 외형 크기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2 섹션(211b)는 상기 매칭 홀(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
  10. 전극 리드(41)가 구비되는 배터리 셀(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1)의 상기 버스 바(112)는 상기 전극 리드(41)에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A).
  11. 박스 본체(B) 및 청구항10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A)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A)은 상기 박스 본체(B)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 팩.
  12. 배터리 셀(4)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 및
    상기 동력원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청구항 10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A)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27013053A 2019-10-21 2020-09-29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KR102646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769307.2 2019-10-21
CN201921769307.2U CN210744017U (zh) 2019-10-21 2019-10-21 线束隔离板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PCT/CN2020/119082 WO2021078006A1 (zh) 2019-10-21 2020-09-29 线束隔离板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133A true KR20220066133A (ko) 2022-05-23
KR102646201B1 KR102646201B1 (ko) 2024-03-12

Family

ID=7100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053A KR102646201B1 (ko) 2019-10-21 2020-09-29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42647B2 (ko)
EP (2) EP4246680A3 (ko)
JP (1) JP2022554110A (ko)
KR (1) KR102646201B1 (ko)
CN (1) CN210744017U (ko)
HU (1) HUE064091T2 (ko)
WO (1) WO2021078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744017U (zh) 2019-10-21 2020-06-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线束隔离板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CN112332035B (zh) * 2021-01-07 2021-04-06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线束隔离板组件及其装配方法、电池和装置
CN115000600A (zh) * 2022-06-28 2022-09-02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基于方形电芯的电池大模组的设计方法及电池模组
CN115411461B (zh) * 2022-10-10 2023-09-08 厦门海辰储能科技股份有限公司 线束隔离板及电池模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4437A (ja) * 2011-02-03 2012-08-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池接続アセンブリ
CN202839812U (zh) * 2012-08-28 2013-03-27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一种动力连接及信号采集的集成组件
KR20170110288A (ko) * 2016-03-23 2017-10-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JP2018116880A (ja) * 2017-01-20 2018-07-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US20190088912A1 (en) * 2017-09-20 2019-03-21 Molex, Llc Battery connection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4770A (en) * 1995-09-19 1998-09-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ver equippe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a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02329490A (ja) * 2001-05-01 2002-11-15 Nippon Mektron Ltd 電源配線用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27154B2 (ja) * 2005-05-23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288973B2 (ja) *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2010225449A (ja) * 2009-03-24 2010-10-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接続ユニット
KR101201747B1 (ko) * 2010-05-24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2013037777A (ja) * 2011-08-03 2013-02-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バッテリー接続構造
JP6125311B2 (ja) * 2013-04-26 2017-05-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6344362B2 (ja) * 2015-10-23 2018-06-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接続モジュール
CN106935747A (zh) * 2015-12-31 2017-07-07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电动汽车的电池模组
EP3220444A1 (de) * 2016-03-14 2017-09-20 Nordfels GmbH Batterie
CN206947422U (zh) * 2017-06-09 2018-01-30 芜湖天量电池系统有限公司 一种锂电池线束隔离板
JP6594382B2 (ja) * 2017-08-17 2019-10-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EP3868623B1 (en) * 2017-10-03 2024-01-03 Google LLC Vehicle function control with sensor based validation
KR102328730B1 (ko) * 2018-04-20 2021-1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직/병렬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0085780A (zh) * 2019-05-31 2019-08-02 杭州捷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高强度的电池模组
CN210744017U (zh) * 2019-10-21 2020-06-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线束隔离板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4437A (ja) * 2011-02-03 2012-08-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池接続アセンブリ
CN202839812U (zh) * 2012-08-28 2013-03-27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一种动力连接及信号采集的集成组件
KR20170110288A (ko) * 2016-03-23 2017-10-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JP2018116880A (ja) * 2017-01-20 2018-07-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US20190088912A1 (en) * 2017-09-20 2019-03-21 Molex, Llc Battery connec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744017U (zh) 2020-06-12
US11942647B2 (en) 2024-03-26
EP3933952A4 (en) 2022-06-29
EP4246680A2 (en) 2023-09-20
KR102646201B1 (ko) 2024-03-12
EP3933952A1 (en) 2022-01-05
WO2021078006A1 (zh) 2021-04-29
EP3933952B1 (en) 2023-10-04
EP4246680A3 (en) 2023-12-27
US20220123401A1 (en) 2022-04-21
JP2022554110A (ja) 2022-12-28
HUE064091T2 (hu)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201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격리판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EP276563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N101395737B (zh) 中型或大型电池模块
EP1812982B1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configuration of alternative orientation
JP5357853B2 (ja) 電池モジュール
EP2645454B1 (en) Bus bar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US11056747B2 (en) Battery module
KR102317639B1 (ko) 인서트 사출된 버스바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2006128116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12099477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20080025429A (ko) 전지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팩
KR20120074421A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387356B1 (ko) 유동 너트를 구비한 단자 연결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과 이를 포함한 전지 팩
KR20120074415A (ko)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8142809A1 (ja) 蓄電装置
US10326174B2 (en) Battery pack
KR20210036902A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JPWO2006059469A1 (ja)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CN110277531B (zh) 电池组
KR101957403B1 (ko) 셀 리드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00061909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15663406A (zh) 一种电芯转接件、电芯堆及无模组电池包
JP2014022238A (ja) 電池パック
KR20210046340A (ko) 전지 모듈
CN220189787U (zh) 电池模块和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