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07A -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07A
KR20220065507A KR1020200152100A KR20200152100A KR20220065507A KR 20220065507 A KR20220065507 A KR 20220065507A KR 1020200152100 A KR1020200152100 A KR 1020200152100A KR 20200152100 A KR20200152100 A KR 20200152100A KR 20220065507 A KR20220065507 A KR 20220065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failure
video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418B1 (ko
Inventor
이주한
황병창
Original Assignee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4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입력받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3영상 장비;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1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하고, FPGA는 제1영상 장비의 고장을 인식하였을 경우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2영상 장비로 전환하여 제2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Automatic video fault recognition and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성능이 발전하면서 기존에 복수 개로 구성된 계기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나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합되고 있다. 항공기와 같이 신뢰성을 요구하는 분야에는 일반적으로 이중화 시스템으로 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이중화 시스템을 통해 동작중인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면 대기중인 시스템에서 이를 감지하고 대치해서 시스템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전투기와 같은 군용 항공기의 경우, 조종사의 전투 능력 향상을 위해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수적이며, F-35에는 이미 적용이 되었고, 개발중인 차세대 전투기에도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과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3557(공개일자: 2007년02월28일)에는 항공기 계기판의 듀얼 패널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입력받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3영상 장비;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1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하고, FPGA는 제1영상 장비의 고장을 인식하였을 경우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2영상 장비로 전환하여 제2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FPGA는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1영상을 수신하는 제1영상 수신부; 제2영상 장비로부터 제2영상을 수신하는 제2영상 수신부; 제1,2영상 수신부로부터 영상의 고장을 인식하고 영상을 전환하는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영상 프로세서; 및 영상 프로세서로부터 제3영상을 입력받아 제3영상 장비로 출력하는 제1영상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제1영상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Vsync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Vsync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하여 제2영상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영상 신호로 전환하여 입력받아 영상 프로세서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16.6 ms 마다 Vsync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제1영상의 1프레임동안 Vsyc의 갯수(Vcount)와 Hsync의 갯수(Hcount)를 카운트하여, 제1영상의 제1프레임의 끝에서 미리 정의된 해상도인 Vsyc의 갯수(Vcount)와 Hsync의 갯수(Hcount)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Vsyc의 갯수(Vcount)를 Vsync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리셋하여 카운트하고, Hsync의 갯수(Hcount)를 Hsync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리셋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입력받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FPGA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FPGA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FPGA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FPGA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FPGA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의 구성이 블럭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는 제1영상 장비(110), 제2영상 장비(120), 제3영상 장비(130), 제4영상 장비(140) 및 FPGA(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 장비(110)는 제1영상 신호를 FPGA(150)에 입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ARINC-818(1024*76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1을 포함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제2영상 장비(120)는 제2영상 신호를 FPGA(150)에 입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ARINC-818(1024*76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2를 포함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제3영상 장비(130)는 FPGA(150)로부터 제3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3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ARINC-8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1을 포함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제4영상 장비(140)는 FPGA(150)로부터 제4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4영상 신호는 DVI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1을 포함하거나 이로 지칭될 있다. 또한, 제4영상 장비(140)는 모니터를 포함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FPGA(150)는 제1영상 장비(110)로부터 제1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130)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FPGA(150)는 제1영상 장비(110)의 고장을 인식하였을 경우 영상 소스를 제1영상 장비(110)로부터 제2영상 장비(120)로 신속하게 전환하여 제2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130)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FPGA(150)는 제2영상 장비(120)의 고장을 인식하였을 경우 영상 소스를 제2영상 장비(120)로부터 제1영상 장비(110)로 신속하게 전환하여 제1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130)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FPGA(150)는 외부의 PCIe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FPGA(150)는 제1영상 수신부(151), 제2영상 수신부(152),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 영상 프로세서(154), 제1영상 출력부(155) 및 제2영상 출력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 수신부(151)는 제1영상 장비(110)로부터 제1영상을 입력받아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영상 수신부(151)는 제1영상 신호와 함께 Hsync 신호와 Vsync 신호를 함께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에 입력할 수 있다.
제2영상 수신부(152)는 제2영상 장비(120)로부터 제2영상을 입력받아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영상 수신부(152)는 제2영상 신호와 함께 Hsync 신호와 Vsync 신호를 함께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에 입력할 수 있다.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제1,2영상 수신부(151,152)로부터 영상의 고장을 인식하고 영상을 신속하게 전환하여 영상 프로세서(154)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제1영상 수신부(151)로부터 입력된 제1영상에 고장이 없을 경우, 제1영상을 영상 프로세서(154)로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제1영상 수신부(151)로부터 제1영상의 고장을 인식하였을 경우 제2영상을 영상 프로세서(154)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프로세서(154)는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한 후 이를 제1영상 출력부(155) 및/또는 제2영상 출력부(156)로 출력한다. 일부 예들에서, 영상 프로세서(154)는 외부의 PCIe와 영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영상 출력부(155)는 영상 프로세서(154)로부터 제3영상을 입력받아 제3영상 장비(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3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ARINC-8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1을 포함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제2영상 출력부(156)는 영상 프로세서(154)로부터 제4영상을 입력받아 제4영상 장비(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4영상 신호는 DVI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1을 포함하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FPGA(150)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ARINC-818 영상 신호를 각각 다른 2개의 장비 즉, 제1영상 장비(110) 및 제2영상 장비(12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1영상 장비(110)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ARINC-818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데 영상 신호 수신부, 즉, 제1영상 수신부(151)에서 출력되는 Hsync 와 Vsync 신호를 모니터링 하여 특정 시간 동안 미리 정의된 해상도가 입력되지 않으면 채널 2의 입력 즉, 제2영상 장비(120)의 입력을 출력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110)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입력받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타이밍 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제1영상 수신부(151)에서 출력되는 Vsync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Vsync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하여 영상 소스를 제2영상 수신부(152)로부터 출력되는 제2영상 신호로 전환하여 입력받아 영상 프로세서(154)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60 Hz 의 영상 신호는 16.6 ms 마다 도 2와 같이 Vsync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신호가 일정 시간동안(예를 들면, 20ms 동안)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에 입력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설계할 수 있다. 즉,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대략 20 ms 내에제1영상 수신부(151)로부터 Vsync가 입력되지 않으면, 에러를 출력하여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가 제1영상 장비(110)의 고장을 인식하도록 하고, 이어서 영상 소스를 제2영상 장비(120)에 의한 제2영상으로 전환하여 입력받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110)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입력받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타이밍 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제1영상 수신부(151)로부터 제1영상의 1프레임의 기간(예를 들면, 60Hz, 16.7ms)동안 Vsyc의 갯수(Vcount)와 Hsync의 갯수(Hcount)를 카운트하여, 제1영상의 제1프레임의 끝에서 미리 정의된 해상도인 Vsyc의 갯수(Vcount)와 Hsync의 갯수(Hcount)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하고, 제2영상 수신부(152)로부터 출력되는 제2영상 신호로 전환하여 입력받아 영상 프로세서(154)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Vsync 신호가 입력되어도 정상적인 해상도가 아니면 모니터에 깨진 영상이 출력되는데 이러한 것을 막고자 원하는 해상도로 영상이 입력되는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count 와 Vcount 을 이용하여 영상의 끝 부분에서 원하는 해상도로 타이밍 신호들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즉,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Vsync 신호와 Hsync 신호에 의한 Vcount의 갯수 및 Hcount의 갯수에 연동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153)는 Vsyc의 갯수(Vcount)를 Vsync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리셋하여 카운트하고, Hsync의 갯수(Hcount)를 Hsync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리셋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110)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입력받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는 전원이 온되면(S1) 채널 1의 입력이 정상인지 판단한다(S2). 즉, 제1영상 장비(110)의 제1영상 입력이 정상인지 판단한다. 이후, 제1영상 장비(110)의 제1영상 입력이 정상이면 채널 1로 출력한다(S3).
한편, 제1영상 장비(110)의 제1영상 입력이 정상이 아니면, 채널 2의 입력이 정상인지 판단한다(S4). 즉, 제2영상 장비(120)의 제2영상 입력이 정상인지 판단한다. 이후, 제2영상 장비(120)의 제2영상 입력이 정상이면 채널 2로 출력한다(S5).
더불어, 제2영상 장비(120)의 제2영상 입력이 정상이 아니면, 채널 1의 입력이 정상인지 다시 판단한다(S6). 즉 제1영상 장비(110)의 입력이 정상인지 판단한다. 이후 제1영상 장비(110)의 제1영상 입력이 정상이면 채널 1로 출력한다(S3).
마지막으로, 채널 1 즉, 제1영상 장비(110)의 제1영상 입력이 비정상이면, 고장 알림을 출력한다(S7). 즉, FPGA(150)는 제1영상 장비(110)의 고장이면 이의 고장 상태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2영상 장비(120)의 제2영상을 입력받아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110)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히 인식하여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12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환하여 입력받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110; 제1영상 장비 120; 제2영상 장비
130; 제3영상 장비 140; 제4영상 장비
150;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151; 제1영상 수신부 152; 제2영상 수신부
153;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 154; 영상 프로세서
155; 제1영상 출력부 156; 제2영상 출력부

Claims (6)

  1. 제1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 장비;
    제2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 장비;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3영상 장비;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1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하고,
    FPGA는 제1영상 장비의 고장을 인식하였을 경우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2영상 장비로 전환하여 제2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3영상 장비로 제3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FPGA는
    제1영상 장비로부터 제1영상을 수신하는 제1영상 수신부;
    제2영상 장비로부터 제2영상을 수신하는 제2영상 수신부;
    제1,2영상 수신부로부터 영상의 고장을 인식하고 영상을 전환하는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영상 프로세서; 및
    영상 프로세서로부터 제3영상을 입력받아 제3영상 장비로 출력하는 제1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제1영상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Vsync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Vsync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하여 제2영상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영상 신호로 전환하여 입력받아 영상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16.6 ms 마다 Vsync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하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제1영상의 1프레임동안 Vsyc의 갯수(Vcount)와 Hsync의 갯수(Hcount)를 카운트하여, 제1영상의 제1프레임의 끝에서 미리 정의된 해상도인 Vsyc의 갯수(Vcount)와 Hsync의 갯수(Hcount)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영상 신호의 고장으로 인식하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부는 Vsyc의 갯수(Vcount)를 Vsync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리셋하여 카운트하고, Hsync의 갯수(Hcount)를 Hsync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에서 리셋하여 카운트하는,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KR1020200152100A 2020-11-13 2020-11-13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KR10246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00A KR102465418B1 (ko) 2020-11-13 2020-11-13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00A KR102465418B1 (ko) 2020-11-13 2020-11-13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07A true KR20220065507A (ko) 2022-05-20
KR102465418B1 KR102465418B1 (ko) 2022-11-11

Family

ID=8180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100A KR102465418B1 (ko) 2020-11-13 2020-11-13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4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049A (ko) * 2005-09-08 2007-03-13 이노버티브 솔루션즈 앤드 서포트 개선된 정보 가용성을 갖는 항공기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80007116A (ko) * 2006-07-13 2008-01-17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구동장치 및 표시장치
KR101807177B1 (ko) * 2016-07-27 2017-12-11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항공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50946B1 (ko) * 2017-11-07 2019-02-25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이중화가 적용된 항공기용 대화면 시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049A (ko) * 2005-09-08 2007-03-13 이노버티브 솔루션즈 앤드 서포트 개선된 정보 가용성을 갖는 항공기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80007116A (ko) * 2006-07-13 2008-01-17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구동장치 및 표시장치
KR101807177B1 (ko) * 2016-07-27 2017-12-11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항공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50946B1 (ko) * 2017-11-07 2019-02-25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이중화가 적용된 항공기용 대화면 시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418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5541B2 (en) Integrated fault-tolerant augmented area viewing system
US20170053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ransparency of screen menu, and audio and video playing device
WO2016008403A1 (zh) 移动终端的控制装置、控制方法及其移动终端
US20200201796A1 (en) Interrup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failure detection for a semiconductor device
CN111077763A (zh) 一种车载显示装置冗余控制方法及装置
KR102465418B1 (ko) 자동 영상 고장 인식 및 전환 장치
US7728788B1 (en) Segmented redundant display cell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9865190B2 (en) Display unit with a safety function
CN117156101A (zh) 车载摄像头视频数据处理方法、中央计算单元及设备
JP2011145208A (ja) 基板
EP2626788A1 (en) Control device and nuclear power plant control system
US20060136607A1 (en) Multiplex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xing legacy device
US10672313B2 (en) Array substrate, method for determining abnormal display there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752877B1 (ko) 이중화된 영상 처리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위칭 지연 시간 감소 방법 및 장치
US11537348B2 (en) Multi-display apparatus with sensors
US11455970B2 (en)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N1682194A (zh) 用于事件同步特别是针对容错系统处理器的方法
WO2020065755A1 (ja) 表示装置、マルチモニタシステム、映像信号伝送方法、表示方法
JP2018059996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CN105162633B (zh) 一种在基于容器的多操作系统中管理网络的方法和装置
KR200490075Y1 (ko) 항공기 데이터처리기 점검장치
JP5860659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
US20230152371A1 (en) Clock monitor circuit and micro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97696A (ja) 監視端末性能処理システム
JPH02301855A (ja) 中央演算処理装置の並列運転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