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472A -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472A
KR20220065472A KR1020200152040A KR20200152040A KR20220065472A KR 20220065472 A KR20220065472 A KR 20220065472A KR 1020200152040 A KR1020200152040 A KR 1020200152040A KR 20200152040 A KR20200152040 A KR 20200152040A KR 20220065472 A KR20220065472 A KR 2022006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wth
frame
growing plants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138B1 (ko
Inventor
자르비엔 니코
칼버그 페트리
Original Assignee
(주)나아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아바코리아 filed Critical (주)나아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5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는, 식물이 성장하는 성장 배지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포함하는 성장 유닛; 상기 성장 유닛이 탈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개구부 및 배지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성장 배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 수단; 및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배지 용액을 설치된 상기 성장 유닛의 성장 배지에 관개하기 위한 관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성장 유닛이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성장 배지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ASSEMBLED APPARATUS FOR GROWING OF PLANTS}
본 개시는 식물의 성장을 위한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공기 정화 식물의 성장을 위한 장치로서 그의 구조 및 조립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건축 분야에서, 수직의 외벽에 식물이 자라거나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수직 정원(Vertical Garden)과 그린월(Green Wall)이 종래 기술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771486호와 같이, 그린월을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식물을 공기 정화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겸비하는 데까지 발전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그린월을 실내로 들여온 것에 불과하여, 장치 자체가 거대하고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물을 성장시키는 배지는 유기물인 흙을 이용하는데, 건물 외벽에서라면 크게 우려되지 않았을 흙에서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는 그린월을 실내 인테리어에 적용하는 경우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등록번호 10-0771486
본 개시는 식물, 특히 공기 정화 식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장치의 운반과 설치에 편리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식물의 성장을 위한 장치를 모듈화하여 운반과 조립에 현저한 효율화를 꾀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식물의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식물이 성장하는 배지를 흙과 같은 유기물의 배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곰팡이 발생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는, 식물이 성장하는 성장 배지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포함하는 성장 유닛; 상기 성장 유닛이 탈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개구부 및 배지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성장 배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 수단; 및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배지 용액을 설치된 상기 성장 유닛의 성장 배지에 관개하기 위한 관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성장 유닛이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성장 배지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상기 설치된 상기 성장 배지가 위치하는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는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긴 홈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설치 부분 플레이트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 부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는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설치 부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둘 이상의 행으로 배열되고, 상기 설치 부분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인접하는 행에는 다른 개구부가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배치되지 않도록 각각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 부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설치 부분 플레이트와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의 각각의 폭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폭의 70% 내지 13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단부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는 상기 식물의 잎이 외부로 성장하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성장 배지에 상기 배지 용액이 관개되는 후단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성장 배지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중간 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배지 용액이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수용실의 바닥에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공은 상기 수용실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부터 상기 성장 유닛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성장 유닛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부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장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장 유닛이 공기 정화 식물을 수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포장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식물의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이며 특히, 공기 정화 식물(120)을 성장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에서 성장이란 단순히, 공기 정화 식물(120)의 잎 및 뿌리의 양이나 크기를 키우는 생장뿐만 아니라, 공기 정화 식물(120)을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프레임(110), 공기 정화 식물(120), 및 무기 성장 배지(130), 공기 순환 수단(140), 배지 관개 수단(150), 및 성장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0)는 독립적으로 서있을 수 있는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식물(120)은 성장 유닛(160) 내에 수용된 무기 성장 배지(130)에서 배양될 수 있다. 공기 정화 식물(120)이 배양된 성장 유닛(160)의 복수 개가 프레임(1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7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성장 유닛(160)은 복수의 행 및/또는 복수의 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전면에 성장 유닛(160)이 결합할 수 있는 개구부(170)가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부(170)를 통해 성장 유닛(160)에서 무기 성장 배지(130)가 수용된 부분이 프레임(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기 정화 식물(120)은 성장 유닛(160)에 수용된 무기 성장 배지(130)에 뿌리내려 적응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식물(120)의 뿌리 미생물은 오염된 공기와 직접 만나 공기를 정화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바이오 필터(biofilter)로서, 식물의 공기 정화 능력의 98%는 잎이 아닌 뿌리(root)에서 이루어 진다. 예를 들어, 공기 정화 식물(120)은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가 제거하거나, 초/극 미세먼지도 여과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식물(120)은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 드라세나콤팩타(Dracaena Compacta), 레몬서프라이즈(Dracaena Lemon Surprise), 미니홍콩야자(Schefflera Arboricola Nora), 무늬홍콩야자(Schefflera Arboricola Charlotte), 안스리움(Anthurium Scherzerianum)과 같이 나사(NASA)에서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 성장 배지(130)는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무기 성분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무기 성장 배지(130)는 흙과 같은 유기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곰팡이, 알레르기 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공기 순환 수단(140) 및 배지 관개 수단(150)은 각각 프레임(110)의 중간 빈 공간인 중공부(180) 내에서 공기와 배지 용액(152)을 순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 수단(140)은 공기 청정기(100)의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성장 유닛(160)을 통해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공기 정화 식물(120)이 정화한 공기를 공기 청정기(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순환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순환 수단(140)은 성장 유닛(160) 내에서 공기 정화 식물(120)이 무기 성장 배지(130)에 내린 뿌리의 미생물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를 성장 유닛(160)를 통과시키는 공기 순환을 생성할 수 있다. 공기 순환 수단(140)이 생성하는 인공적 공기 순환은, 자연적인 공기 순환보다 공기 정화 식물(120)의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순환 수단(140)은 공기 청정기(100)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측정된 실내 환경(예: 온도, 습도, 공기 오염률 등)에 기초하여 최적의 효율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오염률이 높게 측정되는 경우, 공기 순환 수단(140)은 공기 순환을 빠르게 하여 공기 정화력을 높일수 있다. 공기 순환 수단(140)은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100)의 상부에 설치된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지 관개 수단(150)은 공기 정화 식물(120)이 생장하도록 필요한 배지 용액(152)을 순환시킬 수 있다. 배지 용액(152)은 공기 청정기(100)의 하부의 저수부(111)에 저장될 수 있다. 배지 용액(152)은 물, 또는 영양분이 포함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배지 용액(152)은 저수부(111)로부터 공기 청정기(100)에 포함된 펌프(151)에 의해 배지 관개 수단(1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배지 관개 수단(150)은 배지 용액(152)을 아래로 낙하시키고, 낙하된 배지 용액(152)은 성장 유닛(160)에 전달될 수 있다. 배지 관개 수단(150)으로부터, 배지 용액(152)을 직접 전달받은 최상단 행에 배치된 성장 유닛(160)으로부터 아래로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장 유닛(160) 내에 배지 용액(152)이 가득 차게되는 경우, 성장 유닛(160)에 포함된 천공을 통하여 배지 용액(152)이 흘러나오고, 흘러나온 배지 용액(152)은 성장 유닛(160)의 바닥에 모여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아래로 떨어진 배지 용액(152)은 아래 행에 배치된 성장 유닛(160)에 전달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최하단 행의 배치된 성장 유닛(160)에서 흘러나온 배지 용액(152)이 다시 저수부(111)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지 용액(152)은 공기 청정기(100) 내에서 재순환될 수 있다. 배지 관개 수단(150)은 또한, 공기 청정기(100)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측정된 실내 환경(예: 온도, 습도, 공기 오염률 등)에 기초하여 최적의 효율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성장 유닛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의 프레임(110)은 전면 플레이트(210), 후면 플레이트(220), 측면 플레이트(230), 커버(240), 저장조(250), 및 저장조 커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전면 플레이트(210), 후면 플레이트(220), 측면 플레이트(230), 커버(240), 저장조(250), 및 저장조 커버(260)가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210), 후면 플레이트(220), 측면 플레이트(230)가 조립된 조립체는 저장조(250)의 위에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조(250)의 위에 저장조 커버(260)가 조립되고, 그 위에 전면 플레이트(210), 후면 플레이트(220), 측면 플레이트(230)가 조립된 조립체가 조립될 수 있다. 커버(240)는 전면 플레이트(210), 후면 플레이트(220), 측면 플레이트(230)가 조립된 조립체 위를 덮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210)는 성장 유닛(160)이 결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개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210), 후면 플레이트(220), 및 측면 플레이트(230)의 조립체는 내부에 공기와 배지 용액(152)이 순환할 수 있는 중공부(180)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240)에는 공기 순환 수단(140)이 설치될 수 있다. 저장조(250)는 내부에 저수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조 커버(260)는 저수부(111)에 배지 용액(152)을 채울 수 있는 투입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청정기(100)는 공기 정화 식물(120)에 필요한 광을 공급하는 조명 수단(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수단은(280)은 커버(2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의 프레임(110)은 전면 플레이트(210)와 후면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210)는 복수 개의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가 조립되어 전면 플레이트(210)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는 성장 유닛(160)을 설치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는 복수개가 쌓여 전면 플레이트(210)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는 측면 플레이트(230)에 포함된 긴 홈에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의 측면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가 측면 플레이트(230)의 긴 홈에 차례로 끼워져, 전면 플레이트(210)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가 측면 플레이트(230)에 삽입될 때, 억지끼워맞춤을 제공하기 위한 실링부재(2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플레이트(220)는 복수 개의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가 조립되어 후면 플레이트(220)를 형성할 수 있다.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는 복수개가 쌓여 후면 플레이트(220)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는 측면 플레이트(230)에 포함된 긴 홈에 후면 플레이트(220)의 측면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는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와 달리 성장 유닛(160)을 설치할 수 있는 개구부(17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서,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에도 개구부(170)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프레임(110)의 전면 플레이트(210) 및 후면 플레이트(220) 양면에 공기 정화 식물(120)이 포함된 성장 유닛(16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에서 개구부(170)가 포함된 플레이트를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 개구부(170)가 포함되지 않은 플레이트를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로 지칭하였지만, 개구부(170)가 포함된 플레이트를 설치 부분 플레이트, 개구부(170)가 포함되지 않은 플레이트를 벽 부분 플레이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더하여, 일 면에 설치 부분 플레이트와 벽 부분 플레이트가 교대로 쌓여 조립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부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 후면 부분 플레이트(221)(미도시) 및 측면 플레이트(230)가 조립된 조립체에 커버(240)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240)에는 공기 순환 수단(140)으로서의 팬이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240)는 공기 청정기(100)를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시키고 사용자가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종하기 위한 전자장치,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WiFi, Bluetooths)) 및 전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40)는 이러한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222)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240)는 배지 관개 수단(150)으로서의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지 관개 수단(150)은 성장 유닛(160)에 배지 용액(152)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개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는 바이오 플라스틱(bioplastic)을 재료로 할 수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미생물이 에너지원으로서 체내에 과립 모양으로 저장하고 있는 고분자 폴리에스터를 합성하여 만들 수 있다. 토양 중의 세균에 의해 분해될 수 있어, 생물분해성 플라스틱이라고도 불린다. 보통의 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자연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공해문제를 일으키지만 바이오 플라스틱은 이러한 문제로부터 자유롭다. 본 개시에 따른 전면 플레이트(210)의 재료인 바이오 플라스틱은 특히, 나무와 같이 천연 재활용 자원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완전히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기 때문에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종래에는 공기 정화 식물이 설치되는 전면 플레이트가 하나의 큰 금속 플레이트가 성형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사출성형으로 제조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전면 플레이트(210)는 종래 하나의 큰 플레이트로 제조하는 것보다 생산성 및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하여, 전면 플레이트가 금속 플레이트로 제조되는 경우, 마감 공정으로서의 도장(paint coating)과 건조(dry)하는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부분 플레이트(211)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마감공정이 필요없어, 도장과 건조에 필요한 시간이 절약되어 생산성 향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장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장 유닛이 공기 정화 식물을 수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성장 유닛(16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성장 유닛(160)은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성장 유닛(160)은 전 단의 전단부(310) 및 후 단의 후단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부(310)는 성장 유닛(160)이 프레임(110)에 설치되었을 때, 전면에 노출되는 부분이며, 후단부(320)는 성장 유닛(160)이 프레임(110)에 결합되었을 때 개구부(170)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단부(320)는 원형의 개구부(170)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개구부(170)는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후단부(320)도 원통형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성장 유닛(160)은 개구부(170)를 통해 프레임(110)에 설치되었을 때, 무게중심이 프레임(110) 내부에 있어야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는 후단부(320)는 성장 유닛(160)의 전체 길이(축방향을 따라)의 30% 내지 9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단부(310)는 위를 향하는 전단 개구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부(320)는 위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 개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부(310) 및 후단부(320)에 각각 포함된 전단 개구부(311) 및 후단 개구부(321)를 통해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정화될 수 있다. 전단부(310) 및 후단부(320)는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무기 성장 배지(130)가 수용되는 수용실(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부(310)의 전단 개구부(311)를 통해 공기 정화 식물(120)의 잎들이 자연스럽게 자랄 수 있으며, 후단부(320)의 후단 개구부(321)를 통해 상부에 배치된 배지 관개 수단(150) 또는 다른 성장 유닛(160)으로부터 떨어지는 배지 용액(152)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단부(310)는 곡면 형상을 가지고, 전단 개구부(311)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프레임(110)의 전면을 향해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전단부(310)가 가지는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후단부(320) 후단 상부(322) 및 후단 하부(323)의 두개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후단부(320)가 후단 상부(322) 및 후단 하부(323)로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성장 유닛(160) 내의 수용실(340)에 공기 정화 식물(120)과 무기 성장 배지(130)를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단부(310)와 후단부(320)의 사이에는 중간 벽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벽부(324)는 전단부(3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 정화 식물(120), 특히 무기 성장 배지(130)에 적응한 공기 정화 식물(120)의 뿌리에 의한 공기 정화 작용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후단 개구부(321)를 통해 프레임(110)의 내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단부(310) 및 후단부(320)는 각각 복수의 천공(350)을 포함할 수 있다. 천공들을 통해 성장 유닛(160)으로의 공기 순환과 배지 용액(152)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부(310)는 천공(351)을 포함할 수 있고, 후단부(320)는 천공(3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천공(350)은 성장 유닛(160)이 일정한 양의 배지 용액(152) 만이 수용실(340) 내에서 유지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천공(350)은 바닥 높이로부터 일정거리(326) 떨어진 위치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배지 용액(152)은 수용실(340)의 바닥높이로부터 일정거리(326)까지 성장 유닛(160)에 공급될 수 있고, 더 공급된 배지 용액(152)은 천공(350)을 통해 수용실(34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기 청정기(100)는 다양한 종류의 공기 정화 식물(120)을 이용할 수 있고, 공기 정화 식물(120)의 종류와 성장시기에 따라 생장하는데 필요한 배지 용액(152)의 양이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성장 유닛(160)은 일정거리(326)를 달리하여 천공(340)을 형성함에 따라, 성장 유닛(160) 마다 유지할 수 있는 배지 용액(152)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공기 청정기(100)는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공기 정화 식물(120)을 생장시키는 것을 가능케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장 유닛(160)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성장 유닛(160)은 프레임(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자세에서 바닥면에 평탄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장 유닛(160)의 후단 하부(323)는 단부 바닥에 평탄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325)는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100)에서 공기 정화 식물(120)(또는 공기 정화 식물(120)이 포함된 성장 유닛(160))을 교차하거나 관리할 때, 사용자가 성장 유닛(160)을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하여 편평한 곳에 놓을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탄부(325)는 성장 유닛(160)이 복수의 행으로 프레임(110)에 배치될 때, 수용실(340)에서 넘쳐흐르는 배지 용액(152)이 아래에 배치된 다른 성장 유닛(160)으로 떨어져 전달될 때, 떨어지는 배지 용액(152)을 조절하기 위한 유로(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실(340)에서 넘친 배지 용액(152)은 표면장력에 의해 후단부(320)의 외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평탄부(325)에서 뭉쳐져 아래로 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유로가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성장 유닛(160)은 전단부(310)와 후단부(320) 사이에 플랜지(412)(예를 들어, 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412)는 성장 유닛(160)이 프레임(110)의 개구부(170)에 꽉 끼워지게 하여 성장 유닛(160)이 프레임(110)에 설치 또는 부착된 후 분리가 쉽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0)는 전면 및 후면 모두에 공기 정화 식물(120) 및 성장 유닛(160)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성장 유닛(160)이 설치되는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부분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공기 청정기(1000)의 양면에 성장 유닛(160)을 설치하는 공기 청정기(1000)에 있어서, 프레임 폭(1003)(또는 측면 플레이트의 폭)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면 플레이트(1001) 및 후면 플레이트(1002)에 설치된 성장 유닛(160)끼리 공기 청정기(1000)의 내부에서 서로 간섭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는 둘 이상의 행과 열로 배치된 개구부(170)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부(170)의 인접하는 위아래의 행에는 다른 개구부(170)가 배치되지 않도록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에 개구부(170)가 지그재그(zigzag)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70)의 배치구조를 가지는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는 전면과 후면에서 180도 뒤집어 배치하게 되면,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170)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양면에서 성장 유닛(160)을 설치하여도 공기 청정기(1000) 내에서 성장 유닛(160)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는 위와 같은 개구부(170)의 배치구조를 가짐으로써 같은 형상을 가진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1000)의 양면에 성장 유닛(16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일면만이 성장 유닛(160)을 설치하는 공기 청정기(예: 도 2의 공기 청정기(100))나 양면에 성장 유닛(160)을 설치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1000)의 개구부(170)가 포함된 플레이트를, 같은 형상의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 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모듈화가 가능하다. 특히,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사출성형의 금형의 설계 및 제조에 있어 현저한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100)는 전면 및/또는 후면에 공기 정화 식물(120) 및 성장 유닛(160)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공기 청정기(1100)의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예를 들어, 온도, 습도, 필요한 공기 정화 능력)에 따라서, 공기 정화 식물(120) 및 성장 유닛(160)의 개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는 공기 정화 식물(120)의 생장력, 잎의 크기에 따라서도 공기 정화 식물(120) 및 성장 유닛(160)의 개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 전면 플레이트(1101) 또는 후면 플레이트(1102)를 구성하는 데 있어, 개구부(170)가 형성되는 설치 부분 플레이트(1110) 및 개구부(170)가 형성되지 않는 벽 부분 플레이트(1120)를 교대로 배치하여, 전면 플레이트(1101) 또는 후면 플레이트(1102)에 설치되는 성장 유닛(160)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측면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전면 플레이트(1101)에 개구부(170)가 형성된 설치 부분 플레이트(1110)가 배치되었다면, 같은 높이의 후면 플레이트(1102)에는 벽 부분 플레이트(1120)가 배치되어, 공기 청정기(1100)의 내부에서 성장 유닛(16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부분 플레이트(1110)와 벽 부분 플레이트(1120)의 조합으로 다양한 플레이트의 구성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모듈화가 가능하다. 특히, 설치 부분 플레이트(1010)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사출성형의 금형의 설계 및 제조에 있어 현저한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설치 부분 플레이트(1110) 및 벽 부분 플레이트(1120)에 있어, 개구부(170)의 존재를 제외한 재료 및 크기(예: 길이, 높이 및 두께)를 같게 할 수 있어 생산성에서 현저한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포장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부품이 조립되어 완성될 수 있도록 한 본 개시의 공기 청정기는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포장(packaging)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 및 벽 부분 플레이트(1220)은 각각 또는 서로 겹쳐져 포장이 가능할 수 있다.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와 벽 부분 플레이트(1220)가 겹쳐져 포장되는 경우, 포장의 부피가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다. 성장 유닛(160)이 설치되는 플레이트(예: 도 1의 전면 플레이트(210))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와 같이 모듈화되지 않고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면, 큰 크기의 플레이트를 포장하기 위해서는 큰 포장 박스가 필요할 것이며, 포장 박스의 그 자체, 포장 박스 내에서 남는 공간을 채우기 위한 충전재 등에 있어서 큰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 및/또는 벽 부분 플레이트(1220)는 각각의 폭(1211, 1221))이 측면 플레이트(1230)의 폭(1231)과 실질적으로 같게 구성될 수 있고,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 및/또는 벽 부분 플레이트(1220)가 측면 플레이트(1230)와 하나의 포장 박스(1240)에 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230)는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 및/또는 벽 부분 플레이트(1220)와 겹쳐져 포장될 수 있어, 포장의 효율화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 및/또는 벽 부분 플레이트(1220)의 폭은 측면 플레이트(1230)의 폭의 130% 이하, 또는 70%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 벽 부분 플레이트(1220)의 모듈화를 이룸으로써, 설치 부분 플레이트(1210), 벽 부분 플레이트(1220)의 폭과 측면 플레이트(1230)의 폭을 실질적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포장에 있어서 현저한 효율화를 이뤘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공기 정화 식물(120)이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다량의 공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것으로, 공기 정화 식물(120)의 공기 정화 기능은 기존에 알려진 지식에 기초한다. 구체적으로 공기 정화 식물(120)의 분형근에서 작용하는 미생물 성장에 기초하여, 해로운 화합물을 스스로 분해하고 식물의 호기성 과정에서 분해할 수 있다.
박테리아는 해로운 화합물의 대부분의 분해를 수행하지만, 일부 식물은 예를 들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더 작은 양을 자체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식물이 공기의 미생물 함량을 50% 이상 줄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식물을 활성탄 배지에서 생장하면, 정화 능력이 20배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식물 뿌리의 미생물 성장은 활성탄을 지속적으로 정화하므로, 기존 활성탄 필터에서와 같이 활성탄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공기 청정기(100)가 식물인 것으로 인한 사용자에 심리적 긍정적 효과, 예를 들어 작업 효율 및 집중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도 야기하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측정 데이터, 예를 들어 pH, 저장조(250)에 저장된 배지 용액(152)의 수위, 전기 전도도, 성장 유닛(160)의 수분, 온도, 관개 및 조명을 위한 타이밍 데이터, 및 작동 조건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측정 데이터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원격으로 수집될 수 있으며, 공기 청정기(100)의 작동도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공기 청정기(100)는 주로 공기만을 정화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식물의 성장을 빠르게 촉진하거나, 심지어 물을 정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공기 정화에 더하여, 공기 정화 식물(120)은 식용 식물로 길러질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공기 청정기(100)는 전면에 공기 정화 식물(120)이 포함된 성장 유닛(160)이 설치되는 실시예만으로 설명되었지만, 성장 유닛(160)은 다른 방향, 예를 들어 평면(top), 후면(rear), 측면(side), 또는 이 중 둘 이상의 방향의 조합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성장 유닛(160)이 설치되는 개구부(170)가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210)가 복수 개의 조립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다양한 방향에 성장 유닛(160)이 설치되는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매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필터로서 기능하는 무기 성장 배지(130)는 무기 입자형 물질(inorganic granular material),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공성 입자형 물질은 넓은 반응 표면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다공성 입자형 물질은 높은 공극률을 얻을 수 있어 공기정화에 효과적이다. 더하여, 무기 성장 배지(130)는 공기 정화 식물(120)의 미생물의 성장을 위한 최적의 환경도 제공할 수 있다. 다공성의 무기 성장 배지(130)에 대한 공기 순환은 적은 에너지로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 식물(120)의 뿌리가 입자형 물질의 무기 성장 배지(130) 내에서 뿌리가 치밀한 분형근(root ball)을 이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흙과 같은 유기 배지보다 유리하다. 무기 성장 배지(130)는 또한, 공기 정화 식물(120)을 손상시키지 않고 무기 성장 배지(130)에 대한 배지 용액(152)의 공급을 가능케 한다. 무기 성장 배지(130) 그리고 성장 유닛(160)은, 과도한 배지 용액(152)이 공급되더라도 이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이상적인 배지 용액(152)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정화 식물(120)의 뿌리는 이상적인 공기와 배지 용액(152)의 비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기 배지와 다리, 공기 정화 식물(120)의 뿌리가 썩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흙과 같은 유기 배지는 수분을 보유하지 못하는 것에 반하여 다공성의 무기 성장 배지(130)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항상 동일한 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정화 식물(120)이 지속적으로 최적의 성장 조건을 갖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기 성장 배지(130)의 수분 보유율, 즉, 성장 유닛(160) 내에서 무기 성장 배지(130)가 수분 흡수 비율은 1~30%, 적절하게는 1~15%, 보다 적절하게는 5~12%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무기 성장 배지(130)는 다른 종류의 식물에 최적화된 성장 조건을 위하여, 적응적으로 다른 수분 흡수 비율을 가진 물질을 재료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와 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식물이 성장하는 성장 배지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포함하는 성장 유닛;
    상기 성장 유닛이 탈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개구부 및 배지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성장 배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 수단; 및
    상기 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배지 용액을 설치된 상기 성장 유닛의 성장 배지에 관개하기 위한 관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성장 유닛이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성장 배지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상기 설치된 상기 성장 배지가 위치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는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긴 홈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설치 부분 플레이트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 부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는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설치 부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둘 이상의 행으로 배열되고, 상기 설치 부분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인접하는 행에는 다른 개구부가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배치되지 않도록 각각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 부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 부분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설치 부분 플레이트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플레이트의 각각의 폭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폭의 70% 내지 130%의 폭을 가지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단부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는 상기 식물의 잎이 외부로 성장하는 전단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성장 배지에 상기 배지 용액이 관개되는 후단 개구부를 포함하는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성장 배지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중간 벽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배지 용액이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천공을 포함하는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유닛은 상기 수용실의 바닥에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하는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공은 상기 수용실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부터 상기 성장 유닛에 형성되는 것인,
    식물 성장을 위한 장치.
KR1020200152040A 2020-11-13 2020-11-13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 KR10253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40A KR102533138B1 (ko) 2020-11-13 2020-11-13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40A KR102533138B1 (ko) 2020-11-13 2020-11-13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72A true KR20220065472A (ko) 2022-05-20
KR102533138B1 KR102533138B1 (ko) 2023-05-17

Family

ID=8180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040A KR102533138B1 (ko) 2020-11-13 2020-11-13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1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32Y1 (ko) * 1994-04-06 1996-12-16 전병주 작물의 토경과 수경을 겸용할 수 있는 냉온 재배상자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1009461B1 (ko) * 2010-07-30 2011-01-19 곽원근 다단 수경재배장치
JP3181458U (ja) * 2012-11-28 2013-02-07 林銘村 植物栽培設備
KR20200017077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예안산업 식물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458B2 (ja) * 1993-12-27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利得切り替え型光受信増幅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32Y1 (ko) * 1994-04-06 1996-12-16 전병주 작물의 토경과 수경을 겸용할 수 있는 냉온 재배상자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1009461B1 (ko) * 2010-07-30 2011-01-19 곽원근 다단 수경재배장치
JP3181458U (ja) * 2012-11-28 2013-02-07 林銘村 植物栽培設備
KR20200017077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예안산업 식물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138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11773B (zh) 一种多级串联式生物集成除臭方法及装置
US9090864B2 (en) Multi-tube biofilter system for treating waste gas
US20120090232A1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KR20180007503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용 식생모듈
KR101042489B1 (ko) 친환경적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정화장치
CN201793421U (zh) 跌水曝气式生物滤塔
KR101056064B1 (ko) 고농도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스크러버와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장치
CN104707473B (zh) 一种植物空气净化装置
CN108286737B (zh) 一种生态型空气净化器
KR20220065472A (ko) 식물 성장을 위한 조립식 장치
US7604988B2 (en) Closed loop work station bioremediation using mini-reactor cartridges
US6551818B2 (en) Biological filter structures
US8058059B2 (en) Bio-wall
KR102246376B1 (ko) 생계형 지하돈사와 지상온실의 융복합 생산 시스템
KR0138050B1 (ko) 폐기가스의 생물학적 탈취방법 및 장치
CN101264422B (zh) 管式气相生物过滤装置
KR100437534B1 (ko) 탈취기내에 균일한 가스를 공급하는 다공성에어팩을이용한 생물학적 악취제거장치
KR101488108B1 (ko) 바이오필터화분 수분공급장치
CN2768882Y (zh) 治理恶臭的生物滴滤装置
KR101023736B1 (ko) 미세 에어버블 흡수기 장착형 하이브리드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장치 및 필터방법
KR200425845Y1 (ko)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KR101139793B1 (ko) 메디아 복층부를 구비한 탈취장치
CN207056330U (zh) 除臭装置
KR200477051Y1 (ko) 자연통풍형 공기정화기
KR20160083492A (ko) 친환경 핼리오스탯 오염공기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