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465A -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 Google Patents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465A
KR20220065465A KR1020200152023A KR20200152023A KR20220065465A KR 20220065465 A KR20220065465 A KR 20220065465A KR 1020200152023 A KR1020200152023 A KR 1020200152023A KR 20200152023 A KR20200152023 A KR 20200152023A KR 20220065465 A KR20220065465 A KR 2022006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extended
simple desk
extension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899B1 (ko
Inventor
김아영
Original Assignee
김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영 filed Critical 김아영
Priority to KR102020015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8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며,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본체가 구비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며,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확장본체가 구비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확장본체는 상기 수납본체에 개폐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확장본체가 상기 수납본체에서 개방되어 사용될 경우, 간이 책상으로 이용되도록 확장됨으로써, 다양한 물건이 간편하게 수납될 수 있고, 간이 책상으로도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HANGING STORAGE BOX EXTENDING TO SIMPLE DESK}
본 발명은 수납함이 창틀이나 문에 거치됨으로써, 다양한 물건이 편리하게 수납될 수 있고, 수납함이 확장되어 간이 책상, 화이트 보드, 메모판, 액자 등의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납함은 다양한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주로,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함은 수납되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수납함의 크기가 정해지는데, 이러한 수납함이 집이나 사무실 등에 배치될 경우, 수납함이 차지하는 면적만큼의 공간이 요구된다.
그에 따라, 넓은 면적의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수납함의 면적이 커져야 하고, 그로 인해 배치되는 수납함이 차지하는 공간도 커져서,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른 가구 등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수납함은 높이가 일정하게 정해져서 생산되므로, 각각 다른 높이를 갖는 다양한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다른 크기의 수납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2989호(2005.12.01.등록)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2674호(2003.07.30.등록)
본 발명은 다양한 물건이 수납될 수 있고, 간이 책상, 화이트 보드, 메모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확장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높이의 물건이 수납되거나 거치되도록, 수납본체에 복수 개의 거치홀이 형성되고, 수납본체의 내부에 수납선반이 구비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함이 간이 책상, 화이트 보드, 메모판, 액자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수납본체에 개폐식으로 확장본체가 결합되고, 확장본체에 길이 조절 가능한 제 1 지지대가 결합되어 간이 책상의 책상 다리로 활용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며,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본체가 구비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며,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확장본체가 구비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확장본체는 상기 수납본체에 개폐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확장본체가 상기 수납본체에서 개방되어 사용될 경우, 간이 책상으로 이용되도록 확장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본체가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수납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거치걸개와, 상기 수납본체가 창틀이나 문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납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거치대와, 상기 수납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선반과, 상기 수납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전선구를 포함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부는, 상기 확장본체의 상단부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확장본체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될 경우,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대와, 상기 확장본체의 하단부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1 지지대 및 제 2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확장본체의 양면에 결합 가능한 확장판을 포함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납본체가 벽이나 문에 지지되도록 하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확장본체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될 경우,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확장본체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될 경우,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납본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수납홀에 거치유닛을 결합시켜 다양한 크기의 물건이 거치될 수 있고, 수납홀에 거치유닛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수납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높이의 물건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본체에 개폐식으로 결합되는 확장본체가 수납본체로부터 확장됨으로써, 간이 책상으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고, 확장본체에 결합된 제 1 지지대가 길이가 연장될 수 있어 간이 책상 다리로 활용됨으로써, 간이 책상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본체에 확장판이 결합됨으로써, 자성 물체가 메모지를 확장판에 고정시킬 수 있어 메모판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보드마커 등으로 글자를 쓰고 지울 수 있어 화이트 보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아크릴판을 이용한 액자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측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확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확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확장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확장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확장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측면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확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의 확장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10)은 수납부(110), 확장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이용 수납함(10)의 본체로서, 수납본체(111), 거치걸개(112), 거치대(113), 수납선반(114), 전선구(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본체(111)는 수납부(110)의 본체로서,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어, 물건이 수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수납본체(111)는 물건 등이 수납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본체(111) 내부에 수납선반(114)이 형성될 수 있어 물건 등이 수납될 수 있고, 수납본체(111) 내부의 전체 면은 복수 개의 수납홀(111a)이 형성될 수 있어, 수납본체(111)의 내측 방향, 외측 방향 등에서 물건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수납본체(111)의 하단부에 확장본체(121)가 접이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확장본체(121)가 접혀진 상태일 경우, 확장본체(121)에 형성된 거치홀(121a)을 통해 수납본체(111)의 전면 방향으로 물건 등이 거치될 수 있다.
수납본체(111)의 전체 면(즉, 양 측면, 배면 등)에 복수 개의 수납홀(111a)이 타공되어 있어, 나사, 걸개, 다보피스 등의 거치유닛(111b)을 이용하여 물건 등이 거치되거나, 수납선반(114)이 거치될 수 있다.
수납홀(111a)을 통해 거치유닛(111b)이 결합되는 방향이 달라짐으로써(즉, 수납본체(111)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결함됨으로써) 수납부(110)에 다양한 물건이 보관될 수 있고, 특히, 거치유닛(111b)이 수납본체(111)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물건이 수납본체(111)의 내부에 거치됨으로써, 거치된 물건이 외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본체(111)의 외주면에 고무, 스펀지 등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완충체(111d)가 형성됨으로써, 수납본체(111)가 벽면이나 문에 밀착될 경우, 수납본체(111)와 벽면, 문 등이 외부의 진동에 의한 마찰 등으로 인해 흠집 등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특히, 완충체(111d)의 마찰력으로 인해, 벽면이나 문에 거치된 수납본체(111)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거치걸개(112)는 수납본체(111)가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수납본체(11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10)은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수납함(10)이 배치되도록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창틀이나 문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걸개(11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납본체(111)의 상단부에 형성된 거치걸개(112)는 창틀에 걸리는 방식으로 결착될 수 있으며, 문에 거치시킬 경우, 문의 상부에 걸리는 방식으로 거치될 수 있다.
거치걸개(112)의 말단부는 역‘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수납함(10)이 안정적 창틀이나 문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고, 특히, 수납함(10)이 문에 거치되어 이용될 경우, 거치걸개(112)가 문에 결착되더라도, 문이 개폐되는 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거치걸개(112)의 두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함(10)이 창틀이나 문에 거치될 경우, 수납함(10)의 배면이 벽면이나 문에 밀착되어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거치걸개(112)는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납함(10)은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창틀과 문 등은 각각 두께가 상이하여 거치걸개(112)의 길이가 고정되어 형성되는 경우, 벽면, 문 등과 거치된 수납함(1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수납함(10)이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걸개(112)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거치걸개(112)의 일측은 수납본체(111)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걸개구(111c)에 인입됨으로써 수납본체(111)와 결합될 수 있다.
즉, 거치걸개(112)의 일측이 걸개구(111c)에 인입되는 길이에 따라, 거치걸개(112)의 길이(또는 걸이 두께)가 조정될 수 있는데, 거치걸개(112)가 걸개구(111c)에 인입되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거치걸개(112)의 걸이 두께가 짧아지게 된다.
또한, 거치걸개(112)가 걸개구(111c)에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유닛(도면번호 생략)이 걸개구(111c)에 결합되면서 거치걸개(112)를 고정시킴으로써, 거치걸개(112)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어, 거치걸개(11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거치걸개(112)의 걸이 두께가 조절됨으로써, 수납함(10)이 다양한 장소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거치대(113)는 수납본체(1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수납본체(111)를 창틀이나 문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수납본체(111)는 상단부에 구비된 거치걸개(112)를 통해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지만,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수납본체(111)의 하단부에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납본체(111)의 하단부에 역‘ㄴ’자로 절곡되게 형성된 거치대(113)가 구비되어, 거치대(113)의 말단부가 벽면이나 문에 밀착됨으로써, 수납본체(111)가 더욱 안정적으로 창틀이나 문에 거치될 수 있고, 특히, 거치대(113)의 말단부에 탄성체(도면번호 생략)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서 작용되는 진동 등을 저지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치대(113)의 말단부는 거치걸개(112)의 길이(또는 걸이 두께)에 대응하게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13) 말단부의 길이가 거치걸개(112)의 길이와 상이할 경우, 수납본체(111)와 벽면, 문 사이에 공간이 생성되어, 수납본체(111)가 벽면, 문 등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없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거치대(113) 말단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거치걸개(112)의 길이에 대응되어 거치대(113) 말단부의 길이도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13)는 길이 방향(또는 수납본체(111)의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110)에 개폐식으로 결합되는 확장부(120)가 개방되어 간이 책상으로 사용될 경우, 수납본체(111) 등에 하방으로 외부의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확장본체(121)의 말단부는 제 1 지지대(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확장본체(121)가 수납본체(111)가 결합된 위치를 지지시키기 위해 거치대(113)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수납선반(114)은 수납본체(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건이 수납되는 것으로, 수납본체(111)의 내부에 복수 개로 구비되며,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본체(111)에 형성된 수납홀(111a)은 물건이 거치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고, 수납선반(114)이 수납본체(111) 내부에 형성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하면, 수납본체(111) 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수납홀(111a)에 거치유닛(111b)이 수평으로 각각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경우, 수납선반(114)의 양 단부는 거치유닛(111b)의 돌출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수납홀(111a)이 수납본체(111)에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거치유닛(111b)이 수납홀(111a)에 결합된 위치에 따라 수납선반(114)이 안착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 높이가 다른 여러 물건들을 자유롭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수납선반(114)이 구비될 수 있다.
전선구(115)는 수납본체(111) 내측 하단면에 형성되어, 전선 등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전선구(115)를 통해 전선 등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어, 수납본체(111) 내부에 스마트폰 등이 충전 상태로 수납될 수 있으며, 확장부(120)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어 사용될 경우, 간이 책상에 노트북 등 전자 제품 등이 전원을 공급받으며 사용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수납부(110)에 결합되며, 간이 책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확장본체(121), 제 1 지지대(122), 제 2 지지대(123), 확장판(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본체(121)는 확장부(120)의 본체로서, 수납본체(111)의 하단부에 개폐식으로 결합되며, 확장본체(121)가 수납본체(111)에서 개방되어 사용될 경우, 간이 책상으로 이동되도록 확장된다.
여기에서, 확장본체(121)의 본체면은 확장본체(121)가 수납본체(111)에 결합되었을 경우, 수납본체(111)의 내부를 향하는 확장본체(121)의 본체면(이하, 확장본체(121)의 상부면이라 한다)과 수납본체(111)의 외부, 즉 전방을 향하는 확장본체(121)의 본체면(이하, 확장본체(121)의 하부면이라 한다)로 구분될 수 있다.
확장본체(121)는 복수 개의 거치홀(121a)이 형성되어 있어, 확장본체(121)가 수납본체(111)에 결합된 상태일 경우, 거치홀(121a)에 거치유닛(111b)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물건이 확장본체(121)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확장본체(121)는 확장본체(121)의 하부면 방향으로 확장판(124)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확장본체(121)의 상부면, 자세히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확장본체(12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공간에 확장판(124)이 안착될 수 있으며, 확장판(124)이 안착될 경우, 확장본체(121)의 외주면에 구비된 확장판 걸이(121b)에 의해 확장판(124)이 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라, 확장판(124)이 확장본체(121)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확장부(120)가 간이 책상으로 사용될 경우, 확장판(124)은 간이 책상의 상부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 1 지지대(122)는 확장본체(121)의 상단부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며, 확장본체(121)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어 사용되는 경우, 확장본체(121)를 지지하도록 간이 책상의 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지지대(12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확장본체(121)의 상단부를 축으로 하여 접이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확장본체(121)가 수납본체(111)에 결합될 경우, 즉 폐쇄되어 사용될 경우, 제 1 지지대(122)도 접힌 상태로 확장본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판(124)이 확장본체(121)의 하부면에 거치되고, 제 1 지지대(122)가 접혀지면서 거치된 확장판(124)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 1 지지대(122)의 측면은 확장판(124) 두께에 두 배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지지대(122)는 확장본체(121)의 하부면 중 돌출되게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에 결합되는데, 제 1 지지대(122)의 측면이 확장본체(121)의 돌출된 하부면의 두께와 확장본체(12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확장판(124)의 두께가 모두 포함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경우, 제 1 지지대(122)가 접힌 상태로 확장본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대(122)는 확장본체(121)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될 경우, 확장본체(121)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된다.
확장본체(121)가 간이 책상으로 이용될 경우, 제 1 지지대(122)가 펴진 상태가 되더라도, 제 1 지지대(122)의 말단부가 지면에 접하지 않을 수 있는바, 제 1 지지대(122)의 하단부가 길이 연장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간이 책상의 다리로써 확장본체(121)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지지대(123)는 확장본체(121)의 하단부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 2 지지대(123)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확장본체(121)의 하단부를 축으로 하여 접이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판(124)이 확장본체(121)의 하부면에 결합될 경우, 제 2 지지대(123)가 확장판(12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 지지대(123)의 측면 두께는 제 1 지지대(122)의 측면 두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확장판(124)은 확장본체(121)의 양면에 결합 가능하며, 제 1 지지대(122) 및 제 2 지지대(123)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에서, 확장판(124)은 사각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확장본체(1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확장판(124)의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판(124)이 확장본체(1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공간에 안착되고, 확장판 걸이(121b)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확장부(120)가 간이 책상으로 이용될 경우, 간이 책상의 상부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판(124)은 도체 소재로서 구비될 수 있어,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체가 확장판(124)의 표면에 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본체(121)가 수납본체(111)에 폐쇄된 상태에서 확장본체(121)의 하부면에 확장판(124)이 결합될 경우, 자석 등을 이용하여 메모지가 확장판(124)에 붙을 수 있어, 확장판(124)이 메모판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판(124)의 후면에 자석을 부착시킴으로써, 제 1 지지대(122) 또는 제 2 지지대(123)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확장본체(121)의 하부면에 확장판(124)을 부착시킬 수 있다.
더불어, 확장판(124)의 표면이 보드마커 등과 같은 펜으로 글씨를 쓰고 지울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화이트 보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고, 아크릴판 사이에 사진, 그림 등을 끼워 확장본체(121)의 후면에 결합시키거나, 자석 등을 이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사진 액자, 그림 액자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수납부 111 : 수납본체
112 : 거치걸개 113 : 거치대
114 : 수납선반 115 : 전선구
120 : 확장부 121 : 확장본체
122 : 제 1 지지대 123 : 제 2 지지대
124 : 확장판

Claims (5)

  1.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며,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본체가 구비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며,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확장본체가 구비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확장본체는 상기 수납본체에 개폐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확장본체가 상기 수납본체에서 개방되어 사용될 경우, 간이 책상으로 이용되도록 확장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본체가 창틀이나 문에 거치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수납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거치걸개와,
    상기 수납본체가 창틀이나 문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납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거치대와,
    상기 수납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선반과,
    상기 수납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전선구
    를 포함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확장본체의 상단부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확장본체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될 경우,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대와,
    상기 확장본체의 하단부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1 지지대 및 제 2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확장본체의 양면에 결합 가능한 확장판
    을 포함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납본체가 벽이나 문에 지지되도록 하단부가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확장본체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될 경우,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는,
    상기 확장본체가 간이 책상으로 확장될 경우, 상기 확장본체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KR1020200152023A 2020-11-13 2020-11-13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KR10247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23A KR102471899B1 (ko) 2020-11-13 2020-11-13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023A KR102471899B1 (ko) 2020-11-13 2020-11-13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65A true KR20220065465A (ko) 2022-05-20
KR102471899B1 KR102471899B1 (ko) 2022-11-28

Family

ID=8179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023A KR102471899B1 (ko) 2020-11-13 2020-11-13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89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284U (ko) * 1994-06-27 1996-01-19 방향제 수납케이스를 갖는 루움 밀러
KR19980065465U (ko) * 1998-08-28 1998-11-25 이장석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KR200322674Y1 (ko) 2003-05-12 2003-08-14 김영신 벽걸이형 다용도 수납함
KR200402989Y1 (ko) 2005-09-09 2005-12-07 조윤상 조명이 나오는 다용도 회전식 수납걸이
KR20090116162A (ko) * 2008-05-06 2009-11-11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성이 우수한 가변형 수납벽체
KR20140111676A (ko) * 2011-12-19 2014-09-19 힌제뉴이티 인터내셔널, 엘엘씨 도어 프레임 상에 방문을 지지하는 힌지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캐비닛 및 거울, 이러한 장착을 위한 힌지 및 그 장착 방법
CN104382390A (zh) * 2014-11-05 2015-03-04 合肥柏隆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挂柜
CN205734818U (zh) * 2016-05-13 2016-11-30 象山家园纺织助剂厂 壁挂式工具柜
CN205734817U (zh) * 2016-05-13 2016-11-30 象山家园纺织助剂厂 一种壁挂式工具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284U (ko) * 1994-06-27 1996-01-19 방향제 수납케이스를 갖는 루움 밀러
KR19980065465U (ko) * 1998-08-28 1998-11-25 이장석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KR200322674Y1 (ko) 2003-05-12 2003-08-14 김영신 벽걸이형 다용도 수납함
KR200402989Y1 (ko) 2005-09-09 2005-12-07 조윤상 조명이 나오는 다용도 회전식 수납걸이
KR20090116162A (ko) * 2008-05-06 2009-11-11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성이 우수한 가변형 수납벽체
KR20140111676A (ko) * 2011-12-19 2014-09-19 힌제뉴이티 인터내셔널, 엘엘씨 도어 프레임 상에 방문을 지지하는 힌지 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캐비닛 및 거울, 이러한 장착을 위한 힌지 및 그 장착 방법
CN104382390A (zh) * 2014-11-05 2015-03-04 合肥柏隆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挂柜
CN205734818U (zh) * 2016-05-13 2016-11-30 象山家园纺织助剂厂 壁挂式工具柜
CN205734817U (zh) * 2016-05-13 2016-11-30 象山家园纺织助剂厂 一种壁挂式工具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899B1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889B1 (en) Organizer for computer monitor
US5741053A (en) Pedestal for utilizing computer hardware and accessories
KR20220065465A (ko)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JP4244122B2 (ja) スクリーン、簡易テーブル
US7769163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KR20190041892A (ko) 모니터용 거치대
KR200411301Y1 (ko) 키보드 수납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KR100887677B1 (ko) 체결의 안정성과 용이성이 보장되는 컴퓨터 장착용 다목적물품수납함
JP2000060647A (ja) 書棚付き机
KR200411306Y1 (ko) 키보드 수납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KR101525194B1 (ko) 거치대가 구비된 다기능 독서대
KR20140116280A (ko) 필기구 수납도구
KR200193710Y1 (ko) 간이 씨디홀더
CN218219609U (zh) 一种多功能工作位
JP3839906B2 (ja) 移動テーブル
US20100181444A1 (en) Hanging organizer
KR200193680Y1 (ko) 모니터용 광고 수납대
KR20110017542A (ko) 책 거치대가 있는 서류함
CN207650777U (zh) 一种新型电子白板
KR200206562Y1 (ko)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CN209846668U (zh) 多功能学习桌
KR100269475B1 (ko) 열람용 책 걸이대
KR100453292B1 (ko) 측면책꽂이를 갖는 학습용 책상
KR100752275B1 (ko) 물품수납부가 구비된 키보드
KR100844517B1 (ko) 독서대 겸용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