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465U -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 Google Patents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465U
KR19980065465U KR2019980016236U KR19980016236U KR19980065465U KR 19980065465 U KR19980065465 U KR 19980065465U KR 2019980016236 U KR2019980016236 U KR 2019980016236U KR 19980016236 U KR19980016236 U KR 19980016236U KR 19980065465 U KR19980065465 U KR 199800654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elf
clip
doo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6031Y1 (ko
Inventor
이장석
Original Assignee
이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석 filed Critical 이장석
Priority to KR2019980016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0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031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 등에 설치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에 관한 것이다. 선반 조립체를 문짝에 걸거나 고정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선반에 수납된 물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되지 않는 행어와, 복수개의 선반들의 간격 또는 높낮이를 특정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도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클립을 이용함으로써, 반영구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선반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본 고안은 다용도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짝 등에 설치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는 공간을 활용하여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문짝에 걸어 설치하는 네트 선반, 구두 선반 등의 다용도 선반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일반 주택 또는 아파트의 욕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코너의 플라스틱 수납장이나, 샤워기 걸이부에 달아 사용되는 수납통 등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용도 선반은 방문, 베란다 문 등에도 설치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물이 닿지 않게 되므로 수건, 화장지 등의 욕실 비품을 수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용도 선반 조립체, 예컨대 미국 특허 제3,918,670호에 기재된 문걸이식 구두 선반 조립체 또는 수납 선반 조립체는 선반 조립체를 문짝에 거는 행어(hanger)가 선반에 수납된 물건 등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기 쉬우며, 선반 조립체에 설비된 복수개의 선반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어 선반들의 간격을 용도에 맞게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를 문짝에 걸거나 고정 설치하였을 때 선반에 수납된 물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되지 않는,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용 행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선반들의 간격 또는 높낮이가 특정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도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선반을 선반 조립체에 설치하는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에 수납된 물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지 않으며, 구비된 선반들의 간격 또는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는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행어 및 클립을 사용하여 문짝의 전면에 설치된 선반 조립체의 사시도.
도2의 (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행어의 사시도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보강 리브를 도시하는, 도2의 (a)의 II 부분의 확대 상세도.
도3의 (a) 및 (b)는 문짝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본 고안에 따른 행어의 부분 정면도 및 부분 측면도.
도4의 (a), (b), (c) 및 (d)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클립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도5의 (a) 및 (b)는 도4에 도시된 클립에 의해 선반이 지지봉에 설치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평면도 및 정면도.
도6의 (a), (b) 및 (c)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클립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7의 (a) 및 (b)는 도6에 도시된 클립의 클립 고정 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8의 (a), (b) 및 (c)는 도6에 도시된 클립에 의해 선반이 지지봉에 설치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9의 (a), (b), (c), (d) 및 (e)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 조립체에 조립되는 선반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짝
2 : 행어
3 : 지지봉
4, 4' : 클립
5, 5' : 선반
6 : 마개
7 : 너트
8 : 클립 고정 부재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에 사용되는 행어에 있어서, 문짝의 상단부에 얹혀 끼워지도록, 문짝의 상단부면에 접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된 제2 면을 구비하는 행어 상부 지지부와; 행어 상부 지지부의 제1 면의 일측 모서리에 대향하는 타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문짝의 전면에 접촉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면 및 제1 면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2 면을 구비하고, 선반 지지봉의 단부를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된 지지봉 수용부와; 문짝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지지봉 수용부의 제2 면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행어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선반을 클립을 개재하여 선반 지지봉에 고정시키는 형식의 다용도 선반 조립체용 클립에 있어서, 선반 지지봉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사이에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본체부의 구멍은 간극과 연통되며, 연장부들에는 본체부의 구멍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부들을 관통하는 동축 구멍들이 형성된 클립이 마련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본 고안에 따른 행어와; 적어도 한 쌍의 본 고안에 따른 클립과; 일 단부가 행어의 지지봉 수용부의 구멍에 끼워지고, 중간부가 클립 본체부의 구멍에 끼워지는 적어도 한 쌍의 선반 지지봉과; 클립 연장부들의 관통 구멍에 끼워지고 자유 단부에 체결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고정축을 양측에 구비한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조립체가 마련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한 쌍의 행어(2) 및 복수개의 클립(4, 4')을 사용하여 한 쌍의 지지봉(3) 및 복수개의 선반(5, 5')이 조립되어 문짝(1)의 전면(선반 조립체가 설치되는 쪽의 문짝면)에 설치된 선반 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행어(2)가 문짝 상단에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걸려 있고, 금속, PVC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제작되고 선반(5, 5')이 조립될 공간을 만들기 위해 양 단부 부분이 소정 길이로 직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지봉(3)의 일 단부가 대응하는 행어(2)에 끼워져 현수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봉(3)의 중간부에는 요구되는 개수만큼의 클립(4, 4')이 해제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클립(4, 4')에 선반(5, 5')의 양측의 고정축(5-4, 5'-4)이 끼워짐으로써 선반(5, 5')이 클립(4, 4')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봉(3)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봉(3)의 양 단부에는 플라스틱 마개(6)가 각각 끼워져 있다.
우선,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행어(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어(2)는 문짝(1)의 상단부에 얹혀 끼워지도록 문짝(1)의 상단부면에 접하는 제1 면(2-1) 및 제1 면(2-1)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문짝(1)의 배면에 접촉하는 제2 면(2-2)을 구비하는 행어 상부 지지부와, 행어 상부 지지부의 제1 면(2-1)의 일측 모서리에 대향하는 타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문짝(1)의 전면에 접촉하는 연장부(2-3)와, 연장부(2-3)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면(2-4) 및 제1 면(2-4)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2 면(2-5)을 구비하고 선반 지지봉(3)의 단부(3-1)를 수용하는 구멍(2-10)이 형성된 지지봉 수용부와, 문짝(1)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지지봉 수용부의 제2 면(2-5)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하부 지지부(2-6)를 포함한다.
이러한 행어(2)는 박판 금속의 스트립을 절곡 형성함으로써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행어 상부 지지부를 구성하는 제1 면(2-1)의 길이, 즉 제 2면(2-2)과 연장부(2-3) 사이의 거리는 문짝(1)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문짝의 두께와 대체로 비슷한 치수를 갖는다.
지지봉 수용부의 제2 면(2-5)에는 지지봉(3)의 직각으로 절곡된 일 단부(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봉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구멍(2-10)이 형성되며, 지지봉 수용부의 제1 면(2-4)은 구멍(2-10)을 통해 삽입되는 지지봉(3)의 일 단부(3-1)가 충분히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연장부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연장된다(도3 참조). 이때, 지지봉(3)의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의 길이는 지지봉(3)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와 문짝 전면 사이에 선반(5, 5')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
행어(2)의 하부 지지부(2-6)는 지지봉 수용부의 제2 면(2-5)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즉 문짝(1)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어 문짝(1)의 전면과 접촉 지탱함으로써, 선반 조립체의 선반, 지지봉 및 수납물의 하중으로 인해 행어(2)의 지지봉 수용부의 제1 면(2-4)이 하방으로 처져 지지봉(3)이 행어(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행어(2)를 변형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양호하게는, 이러한 하부 지지부(2-6)는 문짝의 전면과 접하여 하향 연장하는 플랜지면(2-7)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봉(3)이 행어(2)에 끼워진 후, 일 단부(3-1)가 지지봉 수용부의 구멍(2-1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지지봉의 단부와 문짝 전면의 접촉으로 인한 문짝 전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된 마개(6)가 지지봉의 단부(3-1)에 끼워진다.
한편, 행어의 연장부의 상단부에 절취선(2-8)이 형성되고 절취선의 하부에 소정 개수의 체결구용 구멍(2-9)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선반 조립체를 문짝의 상단부에 걸지 않고 벽 등의 수직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절취선(2-8)을 따라 손으로 절곡을 반복함으로써 피로 현상에 의해 행어의 상부 지지부를 절단해낸 후에, 못, 나사 등의 체결구를 연장부의 체결구용 구멍(2-9)을 통해 삽입시켜 벽면과 체결시켜 선반 조립체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행어는 상부 지지부가 없이 연장부에 체결구용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행어의 다른 실시예로서, 행어(2)의 처짐 및 변형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도2의 (a)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II 부분의 확대 상세도인 도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장부(2-3)와 지지봉 수용부의 제1 면(2-4)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부 형태의 보강 리브(reinforcement rib, 2-11)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강 리브(2-11)는 임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 형태 이외에도 전체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 보강 비드(bead)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강 리브는 상기 모서리 이외에도 행어의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필요에 따라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용도 선반 조립체용 클립(4)이 도시되어 있다.
클립(4)은 선반 지지봉(3)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4-3)이 형성된 대체로 원통형의 본체부(4-2)와, 본체부(4-2)로부터 사이에 간극(4-5)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대체로 사각형 판 형태의 한 쌍의 연장부(4-4)를 포함한다. 본체부의 구멍(4-3)은 간극(4-5)과 연통되며, 각각의 연장부(4-4)에는 본체부의 구멍(4-3)의 축(A)에 대해 직각인 축(B)을 따라 연장부(4-4)들을 관통하는 동축 구멍(4-6)들이 형성된다.
본체부 구멍(4-3)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지지봉(3)이 끼워지는 구멍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원형 구멍으로 도시되었으나 지지봉(3)의 단면 형상에 따라 여러 형상의 구멍일 수 있으며, 예컨대, 지지봉(3)이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본체부 구멍(4-3)도 다각형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따라 본체부(4-2)도 원통형 이외의 다각형 단면을 갖는 각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장부 구멍(4-6)도 원형 구멍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삽입되는 후술되는 선반(5)의 고정축(5-4)의 단면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클립(4)은 본체부 구멍(4-3)에 의해 지지봉(3)에 끼워지며, 후술되는 선반(5)의 바닥 지지 선재의 양 단부에서 후방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축(5-4)(도9 참조)이 클립의 연장부 구멍(4-6)을 관통해 끼워진다. 이 때, 선반 고정축(5-4)의 자유 단부에는 소정 길이에 걸쳐 체결부로서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4)을 지지봉(3)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정한 후, 요구되는 높이에서 클립의 연장부(4-4)를 지나 돌출한 선반 고정축(5-4)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 나삿니에 너트(7)를 끼워 체결시킴으로써 클립(4) 및 선반(5)을 지지봉(3)에 고정시킨다. 추후, 선반의 높낮이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너트(7)를 풀어 클립 및 선반의 높이를 조정한 후 너트를 다시 체결하면 된다.
도6,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용도 선반 조립체용 클립(4')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클립(4')은 전술한 실시예의 클립(4)과 대체로 유사하나, 연장부 사이의 간극(4'-5)에 클립 고정 부재(8)가 추가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클립(4')에 있어서, 한 쌍의 연장부(4'-4) 각각에는 간극쪽 면에 연장부 구멍(4'-6)과 동심인 경계면을 가지는 리세스(recess, 4'-7)가 형성된다.
클립(4')의 연장부 사이의 간극(4'-5)에 형성된 클립 고정 부재(8)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 리세스(4'-7)에 삽입되고 관통 구멍(8-5)을 갖는 축부(8-1)와, 연장부 구멍(4'-6)의 중심(O)을 중심으로 본체부 구멍(4'-3)의 외주에 접하는 원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소정의 원(a)에 접하여 형성된 제1 직선부(8-3)와, 연장부 구멍(4'-6)의 중심(O)을 중심으로 본체부 구멍(4'-3)의 외주에 접하는 원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소정의 원(b)에 접하고 제1 직선부(8-3)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직선부(8-4)와, 제1 및 제2 직선부(8-3, 8-4)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형성된 손잡이부(8-2)를 포함한다.
클립 고정 부재(8)의 축부(8-1)는 연장부 간극(4'-5)에 압력 끼워 맞춤되어 리세스(4'-7)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손잡이부(8-2)는 손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클립 하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클립(4')은 클립 고정 부재(8)가 도8의 (b)에서 X로 나타낸 위치(점선 표시)(해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본체부 구멍(4'-3)에 의해 지지봉(3)에 끼워지며, 후술되는 선반(5')의 바닥 지지 선재(5'-1)의 양 단부에서 후방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축(5'-4)(도9 참조)이 클립의 연장부 구멍(4'-6) 및 클립 고정 부재(8)의 축부 관통 구멍(8-5)을 통해 끼워진다. 이 때,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선반(5')의 선반 고정축(5'-4)의 자유 단부에는 나삿니 등의 체결부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클립(4')을 지지봉(3)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정한 후, 요구되는 높이에서 클립 고정 부재(8)를 손잡이부(8-2)를 눌러 X 위치로부터 Y 위치(실선 표시)(고정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립(4') 및 선반(5')을 지지봉(3)에 고정시킨다[도8의 (b) 참조]. 추후, 선반의 높낮이를 변경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클립 고정 부재(8)를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전시켜 클립 및 선반의 높이를 조정한 후 클립 고정 부재(8)를 다시 고정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시킨다.
클립 고정 부재(8)가 지지봉(3)에 고정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클립 해제 위치(X)에서는 클립 고정 부재의 제2 직선부(8-4)가 지지봉(3)과 대면하게 되는데, 제2 직선부(8-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연장부 구멍(4'-6)의 중심(O)을 중심으로 하고 본체부 구멍(4'-3)의 외주에 접하는 원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소정의 원(b)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직선부(8-4)와 지지봉(3)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게 되어 클립(4')이 지지봉(3)을 따라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클립 고정 부재(8)가 해제 위치(X)로부터 고정 위치(Y)로 회전된 때, 클립 고정 부재(8)의 제1 직선부(8-3)가 지지봉(3)과 대면하게 되는데, 제1 직선부(8-3)는 연장부 구멍(4'-6)의 중심(O)을 중심으로 하고 본체부 구멍(4'-3)의 외주에 접하는 원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소정의 원(a)에 접하도록 형성되었으므로 제1 직선부(8-3)는 지지봉(3)의 표면과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클립(8)은 지지봉(3)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반 조립체에 사용되는 선반이 도시되어 있다.
선반(5')은 대향하는 한 쌍의 종방향 선재(5'-3) 및 대향하는 한 쌍의 횡방향 선재(5'-5)가 각각 단부에서 용접되어 형성된 직사각형 상부 프레임에 복수개의 ㄷ자형의 선재(5'-2)를 소정 간격으로 횡방향 선재(5'-5)에 평행하게 배열하여 종방향 선재(5'-3)에 양 단부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복수개의 ㄷ자형의 선재(5'-2) 밑면의 중앙에는 이들을 가로질러 바닥 지지 선재(5'-1)가 용접되는데, 바닥 지지 선재(5'-1)의 양 단부에는 후방으로 직각으로 절곡 연장된 고정축(5'-4)이 형성된다. 고정축(5'-4)은 전술된 바와 같이 클립의 연장부 구멍을 통해 끼워져 선반(5')이 지지봉(3)에 고정되게 한다.
도9에 도시된 선반(5')은 클립(4')과 함께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정축(5'-4)에는 나삿니 등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립(4)과 사용되는 선반(5)은 선반(5')과 구성이 대체로 유사하며, 다만 선반(5)의 고정축(5-4)에는 나삿니 등의 체결부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선반(5')의 고정축(5'-4)은 바닥 지지 선재(5'-1)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다르게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선반의 고정축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선반의 고정축은 선반의 양 측면으로부터 선반의 종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선반을 클립에 의해 지지봉에 장착하는 경우, 클립은 도면에 도시된 위치, 즉 클립 연장부가 측면을 행하는 위치로부터, 90°회전된 위치, 즉 클립의 연장부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위치를 취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본 고안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행어 및 클립을 이용하여 조립된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는 선반에 수납된 물건의 하중이 클지라도 하방으로 처지지 않으며, 클립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여 수납될 물건의 크기 등에 따라 선반들의 간격 또는 높낮이가 특별한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Claims (8)

  1.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에 사용되는 행어에 있어서,
    문짝의 상단부에 얹혀 끼워지도록, 문짝의 상단부면에 접하는 제1 면 및 제1 면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된 제2 면을 구비하는 행어 상부 지지부와,
    상기 행어 상부 지지부의 제1 면의 상기 일측 모서리에 대향하는 타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문짝의 전면에 접촉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제1 면 및 제1 면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2 면을 구비하고, 선반 지지봉의 단부를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된 지지봉 수용부와,
    문짝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봉 수용부의 제2 면의 하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하부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에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의 하부에는 체결구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문짝의 전면에 접하여 하향 연장하도록 형성된 플랜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지지봉 수용부의 제1 면 사이의 모서리에 보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5. 선반을 클립을 개재하여 선반 지지봉에 고정시키는 형식의 다용도 선반 조립체용 클립에 있어서,
    선반 지지봉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사이에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본체부의 구멍은 상기 간극과 연통되며,
    상기 연장부들에는 본체부의 구멍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부들을 관통하는 동축 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는 상기 간극쪽 면에 상기 구멍과 동심인 경계면을 가지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립은,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고 관통 구멍을 갖는 축부와, 상기 연장부 구멍의 중심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 구멍의 외주에 접하는 크기의 원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소정의 원에 접하는 제1 직선부와, 상기 연장부 구멍의 중심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 구멍의 외주에 접하는 원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소정의 원에 접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직선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손잡이부
    를 구비한 클립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 고정 부재의 축부는 상기 연장부 간극에 압력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행어와,
    적어도 한 쌍의 제5항에 따른 클립과,
    일 단부가 상기 행어의 지지봉 수용부의 구멍에 끼워지고, 중간부가 상기 클립 본체부의 구멍에 끼워지는 적어도 한 쌍의 선반 지지봉과,
    상기 클립 연장부들의 관통 구멍에 끼워지고 자유 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축을 양측에 구비한 선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
  8.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행어와,
    적어도 한 쌍의 제6항에 따른 클립과,
    일 단부가 상기 행어의 지지봉 수용부의 구멍에 끼워지고, 중간부가 상기 클립 본체부의 구멍에 끼워지는 적어도 한 쌍의 선반 지지봉과,
    상기 클립 연장부들의 관통 구멍에 끼워지는 고정축을 양측에 구비한 선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
KR2019980016236U 1998-08-28 1998-08-28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KR200216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36U KR200216031Y1 (ko) 1998-08-28 1998-08-28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36U KR200216031Y1 (ko) 1998-08-28 1998-08-28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65U true KR19980065465U (ko) 1998-11-25
KR200216031Y1 KR200216031Y1 (ko) 2001-03-15

Family

ID=6951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236U KR200216031Y1 (ko) 1998-08-28 1998-08-28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0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703A (ko) * 2001-05-31 2001-07-27 박우희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KR102286624B1 (ko) * 2021-02-18 2021-08-06 (주)영인정공 문걸이형 다용도 수납장치
KR20220065465A (ko) * 2020-11-13 2022-05-20 김아영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703A (ko) * 2001-05-31 2001-07-27 박우희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KR20220065465A (ko) * 2020-11-13 2022-05-20 김아영 간이 책상으로 확장되는 걸이용 수납함
KR102286624B1 (ko) * 2021-02-18 2021-08-06 (주)영인정공 문걸이형 다용도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031Y1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060B2 (en) Wall-mounted shelving system
US4361099A (en) Shelf apparatus
US5205630A (en) Multiple purpose, knock-down modula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5039902A (en) Overhead storage system
US6915913B2 (en) Attachment device for shelving and organizer systems
US8777022B2 (en) Universal storage and shelving system
US5626404A (en) Work space management system and cabinet therefor
US87829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storage containers
US3691709A (en) Modular partition system
US4645276A (en) Angle iron for supporting plates, panels or other objects and cabinet formed using angle irons of this type
US7261213B2 (en) Closet partition system
US20050224433A1 (en) Wall storage system
KR200216031Y1 (ko)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US6003694A (en) Wall mounted clothes hanger support
US11533996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ccessories and leveling objects to wire shelving
EP0495177B1 (de) Wandhalterung
KR200492752Y1 (ko) 거치가 용이한 욕실장
JPS6112815Y2 (ko)
KR960000674Y1 (ko) 다단식 걸이선반의 수납케이스 연결고정장치
JP2634886B2 (ja) 支柱への横架材の取り付け構造
KR200329201Y1 (ko) 다용도 바스켓 선반
KR200287178Y1 (ko) 행거 벽면취부구
KR970006613Y1 (ko) 선반용 횡대지지구
JPH0336266Y2 (ko)
JPH02393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