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300A -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5300A KR20220065300A KR1020200151653A KR20200151653A KR20220065300A KR 20220065300 A KR20220065300 A KR 20220065300A KR 1020200151653 A KR1020200151653 A KR 1020200151653A KR 20200151653 A KR20200151653 A KR 20200151653A KR 20220065300 A KR20220065300 A KR 202200653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losing
- opening
- water tank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수조의 세척수를 수조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키거나, 양변기 수조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의 압력을 통해 사이펀 마개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양변기 수조의 배수구를 효율적으로 개폐하면서 동시에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밸브개폐부가 밸브본체부의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의 에어가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밸브개폐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조의 배수구를 폐쇄시킴에 따라 수조 내에 세척수를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수 낭비를 최소화하여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의 압력을 통해 사이펀 마개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양변기 수조의 배수구를 효율적으로 개폐하면서 동시에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밸브개폐부가 밸브본체부의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의 에어가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밸브개폐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조의 배수구를 폐쇄시킴에 따라 수조 내에 세척수를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수 낭비를 최소화하여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 수조의 세척수를 수조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키거나, 양변기 수조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수조에 담수한 상태에서 용변자의 용변 후,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를 배출시켜 양변기 내부에 위치한 용변자의 용변을 세척하고, 수도전으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만큼 세척수를 공급받아 다음 동작을 대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양변기는 용변후 수동레버가 조작되면 사이폰 마개가 오버플로우관의 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면서 배수구를 개방하고, 이때 세척수가 배수구를 통해 양변기 내부로 배수되면서 양변기 내부의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한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6652호에는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 물내림 기능이 부가된 비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사이펀 마개의 상승 및 하강을 물의 수압을 통해 안내하는 작동부가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작동부의 작동이 물의 수압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절수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작동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기의 압력을 통해 사이펀 마개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가 구비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즉, 최근에 개발된 세척수 조절장치는, 공기가 공급되면 사이펀 마개를 상승시켜 수조의 배수구를 개방하고, 공급된 공기가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사이펀 마개를 하강시켜 배수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세척수 조절장치는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수조에 세척수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압력을 통해 사이펀 마개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양변기 수조의 배수구를 효율적으로 개폐하면서 동시에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개폐부가 밸브본체부의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의 에어가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밸브개폐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조의 배수구를 폐쇄시킴에 따라, 수조 내에 세척수를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수 낭비를 최소화하여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양변기의 수조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사이펀 마개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수조의 세척수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수조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거나 내측으로 공급된 상기 에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사이펀 마개를 이동 또는 회전시켜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수조개폐부; 상기 에어공급부 및 상기 수조개폐부와 연통결합되어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상기 수조개폐부로 공급하되, 상기 배수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수조개폐부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밸브본체부; 및 상기 밸브본체부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상기 수조개폐부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배출부와 밀착되고,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세척수가 배출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방하는 밸브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개폐부가 상기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조개폐부 내측에 에어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의 압력을 통해 사이펀 마개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양변기 수조의 배수구를 효율적으로 개폐하면서 동시에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밸브개폐부가 밸브본체부의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의 에어가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밸브개폐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조의 배수구를 폐쇄시킴에 따라 수조 내에 세척수를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수 낭비를 최소화하여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조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조개폐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 및 밸브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 및 밸브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조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조개폐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 및 밸브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 및 밸브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조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조개폐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 및 밸브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 및 밸브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10)는, 양변기의 수조(20)의 배수구(21)를 개폐하는 사이펀 마개(30)를 제어함에 따라 수조(20)의 세척수를 배출시키거나 수조(20)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장치로서, 수조(20)의 내측에 구비되고,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거나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사이펀 마개(30)를 이동 또는 회전시켜 배수구(21)를 개폐하는 수조개폐부(103); 에어공급부(101) 및 수조개폐부(103)와 연통결합되어 에어공급부(101)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조개폐부(103)로 공급하되, 배수구(21)가 폐쇄되도록 수조개폐부(103)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401)가 형성된 밸브본체부(105); 및 밸브본체부(105)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수조개폐부(103)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배출부(401)와 밀착되고, 배수구(21)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부(401)를 개방하는 밸브개폐부(403);를 포함하되, 밸브개폐부(403)가 배출부(401)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103) 내측에 에어가 배출부(401)를 통해 외부로 배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10)는 에어공급부(101) 및 밸브개폐부(403)를 제어하는 제어부(107)를 더 포함한다.
먼저, 에어공급부(101)는 밸브본체부(105)와 연통결합되며, 제어부(107)로부터 에어공급신호(S1)가 인가되는 경우 에어(air)를 밸브본체부(105)로 공급한다.
수조개폐부(103)는 수조(21)의 내측에 구비되며,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도록 유로관(P)을 통해 밸브본체부(105) 및 에어공급부(101)와 연통결합된다.
여기서, 수조개폐부(103)는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거나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수구(21)가 개폐되도록 사이펀 마개(30)를 이동 또는 회전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수조개폐부(103)는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아암(201)이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사이펀 마개(30)를 상측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켜 배수구(21)를 개방한다.
그리고, 수조개폐부(103)는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아암(201)이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사이펀 마개(30)를 하측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켜 배수구(21)를 폐쇄하는데, 이때, 수조(20)에 세척수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수조개폐부(1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조개폐부(103)는 내측에 수용공간(203)이 형성되고, 상측에 유로관(P)을 통해 밸브본체부(105)와 연통결합되어 밸브본체부(105)부터 수용공간(203)으로 에어가 공급되거나 수용공간(203)으로 공급된 에어가 다시 밸브본체부(105)로 배출되는 유로관 결합부(205)가 형성된 하우징부(207); 하우징부(207)의 수용공간(203)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수용공간(203)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하강하고, 수용공간(203)의 에어가 유로관 결합부(205)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승강하는 승하강부(209); 및 일측이 하우징부(2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사이펀 마개(30)와 연결되되, 승하강부(209)가 하강함에 따라 일측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 사이펀 마개(30)를 상측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키고, 승하강부(209)가 상승함에 따라 일측으로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전되어 사이펀 마개(30)를 하측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아암(201);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부(207)는 내측에 제1공간(211)이 함몰형성되고 상측에 제1공간(211)과 연통되는 유로관 결합부(205)가 형성된 상부하우징(213); 및 상부하우징(213)과 결합되고, 내측에 제1공간(211)과 연통되어 제1공간(211)과 함께 수용공간(203)을 형성하는 제2공간(215)이 형성된 하부하우징(217);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하우징(217)은 승하강부(209)가 관통결합되는 관통홀(219)이 형성되고, 아암(20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결합부(221) 및 아암결합부(22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승하강부(209)의 승하강시 승하강부(209)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아암결합부(221)는 하부하우징(217)의 하측면에 한쌍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아암결합부(221)에는 아암(20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홀(225)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223)는 아암결합부(221)와 마찬가지로 하부하우징(217)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관통홀(219)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승하강부(209)의 승하강시 승하강부(209)와 밀착되어 승하강부(209)와 일정각도가 유지되도록 승하강부(209)를 가이드한다.
물론, 하부하우징(217)의 내측에는 제2공간(215)으로 유입된 에어가 관통홀(219)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형성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승하강부(209)는 하우징부(207)의 수용공간(203)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적어도 일부영역이 관통홀(219)에 관통결합되어 승하강시 가이드부(223)에 의해 가이드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승하강부(209)는 수용공간(203)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수용공간(203)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하강하고 수용공간(203)의 에어가 유로관 결합부(205)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승강하는 승하강본체(227); 및 승하강본체(227)로부터 돌출연장되고 관통홀(219)에 관통결합되어 적어도 일부영역이 가이드부(223)에 밀착되어 가이드되되, 어느 한쪽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기어(229)가 형성된 연장기어부(2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하강본체(227)는 유로관 결합부(205)로부터 에어 공급시 에어가 수용되어 에어에 의해 가해지는 공기 압력이 집중되도록 하는 에어 수용공간(301)이 함몰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승하강본체(227)에 에어 수용공간(301)이 함몰형성됨으로써, 에어공급부(101)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승하강본체(227)의 에어 수용공간(301)에 집중시켜 승하강본체(227)를 효율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아암(201)은 일측이 하우징부(2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사이펀 마개(30)와 연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아암(201)은 일측에 결합홀(2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233) 및 제1기어(229)와 맞물려 결합되는 제2기어(235)가 원호방향으로 형성되며, 타측이 사이펀 마개(30)과 연결된다.
즉, 아암(201)은 승하강본체(227)가 하강시, 제1기어(229)와 결합된 제2기어(235)에 의해 결합돌기(233)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사이펀 마개(30)를 상측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켜 수조(20)의 배수구(21)를 개방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105)는, 에어공급부(101) 및 수조개폐부(103)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관(P)을 통해 에어공급부(101) 및 수조개폐부(103)와 연통결합된다.
또한, 밸브본체부(105)는 수조(20)의 배수구(21)가 개방되도록 에어공급부(101)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조개폐부(103)로 공급한 뒤, 배수구(21)가 폐쇄되도록 수조개폐부(103)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밸브본체부(105)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브본체부(105)는, 에어공급부(101) 및 수조개폐부(103)와 연통결합되되, 에어공급부(101)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수조개폐부(103)로 공급되며 내측에 배출부(401)가 돌출형성된 수용공간(405)이 형성된 제1본체(407); 및 제1본체(407)와 결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405)과 연통되되 밸브개폐부(403)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409)이 형성된 제2본체(411);를 포함한다.
제1본체(407)는 유로관(P)을 통해 에어공급부(101)와 연통결합되어 에어공급부(101)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수용공간(405)으로 유입시키는 공급홀(109)이 형성된다.
또한, 제1본체(407)는 유로관(P)을 통해 수조개폐부(103)와 연통결합되어 수용공간(405)으로 유입된 에어를 수조개폐부(103)로 공급하되, 수조개폐부(103)로 공급된 에어를 다시 수용공간(405)으로 유입시키는 공급유입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본체(40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홀(109) 및 공급유입홀(111)과 연통되는 수용공간(405)이 함몰형성된다.
즉,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제1본체(407)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에어는 공급홀(109)을 통해 수용공간(405)으로 유입된 후 공급유입홀(111)을 통해 수조개폐부(103)로 공급되고, 수조개폐부(103)를 거쳐 다시 공급유입홀(111)을 통해 수용공간으로(405)로 유입된 후 배출부(4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제1본체(407)는 수용공간(405) 내측에, 밸브개폐부(403)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수조개폐부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413)가 형성된 배출부(40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배출부(401)는 밸브개폐부(403)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103)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밸브개폐부(403)와 밀착되는 단부에 슬릿홈(413)이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밸브개폐부(403)가 밸브본체부(105)의 배출부(401)와 밀착된 상태에서도, 수조개폐부(103)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슬릿홈(4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2본체(411)는 제1본체(407)와 결합되는데, 제1본체(407)와 결합시 수용공간(405)과 연통되는 가이드홀(409)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홀(409)에는 밸브개폐부(403)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2본체(411)는 외주면에 후술할 결합부재(417)가 삽입되는 결합홈(419)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결합부재(417)가 걸림되는 걸림돌기(421)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2본체(411)는 제어부(107)로부터 밸브제어신호(S2)가 인가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내측에 형성된 자력을 통해 밸브개폐부(403)를 가이드홀(409) 내측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본체부(105)는, 제1본체(407)와 제2본체(411)를 결합하는 결합부재(417)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재(417)는 제2본체(411)의 결합홈(419)에 삽입되면서 제1본체(407)와 고정결합되는 체결부(423); 체결부(423)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연장부(425); 및 연장부(425)로부터 절곡연장되어 가이드홀(409)의 일측단부를 차폐하면서 밸브개폐부(403)를 지지하는 지지부(4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423)는 제2본체(411)의 외측으로 삽입되도록 체결홈(429)이 함몰형성되며 제1본체(407)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데, 이처럼 체결부(423)는 제2본체(411)의 결합홈(419)에 삽입되면서 동시에 제1본체(407)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본체(407)와 제2본체(411)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427)는 제2본체(411)와 결합시 제2본체(411)와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제2본체(411)의 걸림돌기(421)와 결합되는 걸림홈(431)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처럼 지지부(427)에 걸림돌기(421)와 걸림되는 걸림홈(431)이 형섬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결합부재(417)의 어느 하나의 걸림홈(431)이 제2본체(411)의 걸림돌기(421)와 걸림되어 결합부재(417)와 제2본체(411)가 고정결합됨으로써, 제1본체(407)와 제2본체(411)가 의도치않게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개폐부(403)는 밸브본체부(105)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밸브개폐부(403)는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수조개폐부(103)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배출부(401)와 밀착되고, 배수구(21)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부(401)를 개방한다.
여기서, 밸브개폐부(403)는, 배출부(401)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103)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401)와 밀착되는 단부에 배출슬릿(601)이 함몰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출부(401)와 밀착되는 밸브개폐부(403)의 단부에 배출슬릿(601)이 함몰형성됨으로써, 밸브개폐부(403)가 배출부(401)와 밀착된 상태에서도, 수조개폐부(103)로 공급된 에어가 배출슬릿(6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개폐부(4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브개폐부(403)는, 밸브본체부(105)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배출부(401)와 밀착 또는 분리되어 배출부(401)를 개폐하되 배출부(401)와 밀착되는 단부에 배출슬릿(601)이 형성된 개폐부재(433); 및 밸브본체부(105)의 내측에서 개폐부재(433)와 결합되되,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개폐부재(433)를 배출부(401)와 밀착시키고, 배수구(21)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부(401)로부터 개폐부재(433)를 분리시키는 이동본체(435);를 포함한다.
개폐부재(433)는 밸브본체부(105)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제2본체(411)의 가이드홀(409)에 내삽되어 가이드홀(409)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개폐부재(43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부(401)와 밀착되는 단부에 배출슬릿(601)이 함몰형성된다.
개폐부재(403)는 일예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이어서, 이동본체(435)는 밸브본체부(105)의 내측에서 개폐부재(433)와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2본체(411)의 가이드홀(409)에 내삽되어 가이드홀(409)을 따라 이동된다.
즉, 이동본체(435)는 에어공급부(101)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후술할 탄성부재(437)에 의해 개폐부재(433)가 배출부(401)와 밀착되도록 가이드홀(409)의 타측에 배치되고, 배수구(21)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된 후 배출부(401)로부터 개폐부재(433)가 분리되도록 제어부(107)에 의해 가이드홀(409)의 일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동본체(435)는 일측 단부에 후술할 탄성부재(437)가 삽입되는 삽입홈(439)이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개폐부재(433)가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밸브개폐부(403)는, 밸브본체부(105)의 내측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본체(441); 및 어느 한쪽이 이동본체(435)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이 지지본체(441)에 지지되며 개폐부재(433)가 배출부(401)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37);를 더 포함한다.
지지본체(441)는 가이드홀(409)에 내삽되며, 가이드홀(409)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결합부재(417)의 지지부(427)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본체(441)는 외주면에 실링부재(443)가 삽입되는 실링홈(445)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데, 여기서 실링부재(443)는 지지본체(441)와 함께 가이드홀(409)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부영역이 가이드홀(409)에 밀착되어 수용공간(405)으로 유입된 에어가 가이드홀(40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07)는, 에어공급부(101) 및 밸브개폐부(403)를 제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07)는 용변후, 사용자가 물내림버튼(미도시)을 누르는 경우, 에어공급부(101)가 밸브본체부(105) 및 수조개폐부(103)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에어공급신호(S1)를 에어공급부(101)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수조개폐부(103)로 에어가 공급되어 배수구(21)를 통해 세척수가 배출된 후, 이동본체(435)가 가이드홀(409)의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밸브제어신호(S2)를 제2본체(411)로 인가한다.
이때, 제2본체(411)는 내측에 자력이 형성되어 이동본체(435)를 가이드홀(409)의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10)의 작동순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용변후 물내림 버튼(미도시)을 조작해 제어부(107)가 에어공급신호(S1)를 에어공급부(101)로 인가하면, 에어공급부(101)는 밸브본체부(105)로 에어를 공급하는데, 이때, 에어공급부(101)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공급홀(109), 수용공간(405) 및 공급유입홀(111)을 지나 수조개폐부(103)의 수용공간(203)으로 유입된다.
이때, 밸브개폐부(403)의 개폐부재(433)는 탄성부재(437)에 의해 배출부(401)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물론, 개폐부재(433)가 배출부(401)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103)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슬릿홈(415) 및 배출슬릿(601)을 통해 에어가 배출될 수 있으나, 이는 에어가 단위시간당 소량씩 배출되므로 사이펀 마개(30)가 배수구(21)를 개방하는 시간동안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계속해서, 수조개폐부(103)는, 유로관 결합부(205)를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승하강부(209)가 하강하는데, 이때 연장기어부(231)와 기어결합된 아암(201)이 결합돌기(233)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사이펀 마개(30)가 상측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고, 이때 세척수가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밸브제어신호(S2)를 밸브본체부(105)로 인가하는데, 이때 밸브개폐부(403)의 이동본체(435)가 탄성부재(437)를 가압하며 가이드홀(409)의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출부(401)가 개방되어 수조개폐부(103) 내측으로 유입된 에어가 배출부(40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승하강부(209)가 승강하면서 아암(201)이 하측으로 회전되고 사이펀 마개(30)가 배수구(21)를 폐쇄하여, 수조(20)에 세척수가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조개폐부(103)로 에어가 공급되어 배수구(2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본체부(105) 및 밸브개폐부(40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개폐부재(433)가 배출부(401)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수조개폐부(103)의 수용공간(203)으로 유입된 에어가 배출부(401)의 슬릿홈(415) 및 개폐부재(433)의 배출슬릿(601)을 통해 배출부(401)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승하강부(209)가 승강하여 사이펀 마개(30)가 배수구(21)를 폐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밸브개폐부(403)가 밸브본체부(105)의 배출부(401)와 밀착된 상태에서 수조개폐부(103)의 에어가 배출부(4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밸브개폐부(40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조(20)의 배수구(21)를 폐쇄시킴에 따라 수조(20) 내에 세척수를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수 낭비를 최소화하여 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20 : 수조
21 : 배수구
30 : 사이펀 마개
101 : 에어공급부
103 : 수조개폐부
105 : 밸브본체부
107 : 제어부
109 : 공급홀
111 : 공급유입홀
201 : 아암
203 : 수용공간
205 : 유로관 결합부
207 : 하우징부
209 : 승하강부
211 : 제1공간
213 : 상부하우징
215 : 제2공간
217 : 하부하우징
219 : 관통홀
221 : 아암결합부
223 : 가이드부
225 : 결합홀
227 : 승하강본체
229 : 제1기어
231 : 연장기어부
233 : 결합돌기
301 : 에어 수용공간
401 : 배출부
403 : 밸브개폐부
405 : 수용공간
407 : 제1본체
409 : 가이드홀
411 : 제2본체
413 : 배출유로
415 : 슬릿홈
417 : 결합부재
419 : 결합홈
421 : 걸림돌기
423 : 체결부
425 : 연장부
427 : 지지부
429 : 체결홈
431 : 걸림홈
433 : 개폐부재
435 : 이동본체
437 : 탄성부재
439 : 삽입홈
441 : 지지본체
443 : 실링부재
601 : 배출슬릿
20 : 수조
21 : 배수구
30 : 사이펀 마개
101 : 에어공급부
103 : 수조개폐부
105 : 밸브본체부
107 : 제어부
109 : 공급홀
111 : 공급유입홀
201 : 아암
203 : 수용공간
205 : 유로관 결합부
207 : 하우징부
209 : 승하강부
211 : 제1공간
213 : 상부하우징
215 : 제2공간
217 : 하부하우징
219 : 관통홀
221 : 아암결합부
223 : 가이드부
225 : 결합홀
227 : 승하강본체
229 : 제1기어
231 : 연장기어부
233 : 결합돌기
301 : 에어 수용공간
401 : 배출부
403 : 밸브개폐부
405 : 수용공간
407 : 제1본체
409 : 가이드홀
411 : 제2본체
413 : 배출유로
415 : 슬릿홈
417 : 결합부재
419 : 결합홈
421 : 걸림돌기
423 : 체결부
425 : 연장부
427 : 지지부
429 : 체결홈
431 : 걸림홈
433 : 개폐부재
435 : 이동본체
437 : 탄성부재
439 : 삽입홈
441 : 지지본체
443 : 실링부재
601 : 배출슬릿
Claims (6)
- 양변기의 수조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사이펀 마개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수조의 세척수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수조에 세척수가 공급되게 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조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거나 내측으로 공급된 상기 에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사이펀 마개를 이동 또는 회전시켜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수조개폐부;
상기 에어공급부 및 상기 수조개폐부와 연통결합되어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상기 수조개폐부로 공급하되, 상기 배수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수조개폐부 내측으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밸브본체부; 및
상기 밸브본체부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상기 수조개폐부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배출부와 밀착되고,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세척수가 배출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방하는 밸브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개폐부가 상기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조개폐부 내측에 에어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밸브개폐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조개폐부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개폐부와 밀착되는 단부에 슬릿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부는,
상기 에어공급부 및 상기 수조개폐부와 연통결합되되,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상기 수조개폐부로 공급되며 내측에 상기 배출부가 돌출형성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밸브개폐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부는,
상기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조개폐부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부와 밀착되는 단부에 배출슬릿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부는,
상기 밸브본체부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와 밀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되 상기 배출부와 밀착되는 단부에 상기 배출슬릿이 형성된 개폐부재; 및
상기 밸브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개폐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에어공급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배출부와 밀착시키고,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세척수가 배출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개폐부재를 분리시키는 이동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부는,
상기 밸브본체부의 내측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본체; 및
어느 한쪽이 상기 이동본체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지지본체에 지지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배출부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653A KR102425348B1 (ko) | 2020-11-13 | 2020-11-13 |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653A KR102425348B1 (ko) | 2020-11-13 | 2020-11-13 |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5300A true KR20220065300A (ko) | 2022-05-20 |
KR102425348B1 KR102425348B1 (ko) | 2022-07-27 |
Family
ID=8179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1653A KR102425348B1 (ko) | 2020-11-13 | 2020-11-13 |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534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0302A (ko) * | 2004-04-13 | 2005-10-18 | 한국에스엠씨공압(주) | 엑츄에이터의 실린더 |
KR100756652B1 (ko) | 2006-11-30 | 2007-09-07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
KR20100064623A (ko) * | 2008-12-05 | 2010-06-15 | 노태종 |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
KR101020102B1 (ko) * | 2008-05-19 | 2011-03-09 | 주식회사 에이에프 |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
KR20140071000A (ko) * | 2012-12-03 | 2014-06-11 | 고관평 | 좌변기의 공기압식 자동물내림장치 |
-
2020
- 2020-11-13 KR KR1020200151653A patent/KR1024253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0302A (ko) * | 2004-04-13 | 2005-10-18 | 한국에스엠씨공압(주) | 엑츄에이터의 실린더 |
KR100756652B1 (ko) | 2006-11-30 | 2007-09-07 |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
KR101020102B1 (ko) * | 2008-05-19 | 2011-03-09 | 주식회사 에이에프 |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
KR20100064623A (ko) * | 2008-12-05 | 2010-06-15 | 노태종 |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
KR20140071000A (ko) * | 2012-12-03 | 2014-06-11 | 고관평 | 좌변기의 공기압식 자동물내림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5348B1 (ko) | 2022-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8063B1 (ko) |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급수장치 | |
JP7539021B2 (ja) |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便器装置 | |
KR101528309B1 (ko) |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급수장치 | |
KR100621696B1 (ko) |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 |
CN111511999B (zh) | 用于卫生用水箱的排水阀 | |
KR102425348B1 (ko) |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 |
JP5198286B2 (ja) | 液圧作動装置 | |
JP2014224432A (ja) | 便器洗浄装置 | |
KR200453734Y1 (ko) |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수동급수장치 | |
JP6332828B2 (ja) |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便器 | |
KR100993058B1 (ko) |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 |
KR101582074B1 (ko) | 절수형 양변기 | |
KR101245067B1 (ko) | 양변기용 물내림 장치 | |
JP7466837B2 (ja) |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便器装置 | |
KR20170001922U (ko) | 좌변기 절수장치 | |
KR20120084476A (ko) |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 |
US4041556A (en) | Flush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1010343B1 (ko) | 양변기 | |
KR100354526B1 (ko) | 절수형 수세식 변기 | |
CN216948593U (zh) | 一种带有排残留水功能的切换装置及马桶冲刷系统 | |
KR100915254B1 (ko) | 양변기의 물내림 작동장치 | |
KR200432084Y1 (ko) | 양변기 세척용 급수장치 | |
KR20100002791A (ko) | 수압을 이용한 양변기의 수동레버 | |
KR20100003033U (ko) | 비데 일체형 위생도기의 자동급수장치 | |
KR101032105B1 (ko) | 수압을 이용한 벽 매립 버튼형 무전원 변기의 물내림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