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158A -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158A
KR20220065158A KR1020200151338A KR20200151338A KR20220065158A KR 20220065158 A KR20220065158 A KR 20220065158A KR 1020200151338 A KR1020200151338 A KR 1020200151338A KR 20200151338 A KR20200151338 A KR 20200151338A KR 20220065158 A KR20220065158 A KR 20220065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iler
air
container
house
broiler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214B1 (ko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filed Critical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5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Arrangement of curtai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4Dropping-boards; Device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 Y02P60/52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use of renewable energ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환경 유지비용을 줄이기 위해 단열재 판넬로 구비된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육계의 반출과 사양관리를 위한 밀폐형 출입구가 형성되고, 동절기나 하절기에 작업자의 출입시 급격한 온도변화 또는 샛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전실을 콘테이너의 내부에 배치한 육계사; 상기 육계사의 내부에 설치되고,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다층형 케이지; 상기 육계사로 투사되는 태양열을 차단하여 냉방부하나 난방부하를 줄이기 위한 차열수단; 상기 육계사 측 내부 공기를 재순환시켜 냉방과 난방을 겸하면서 일령별 육계 사육을 위한 혼합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분배장치를 갖춘 공기조화설비; 상기 육계사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먼지여과수단; 상기 육계사 내부에서의 악취 발생을 줄이고 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층형 케이지 상에서 발생되는 육계분뇨를 청소하기 위한 육계분뇨 청소수단; 상기 육계사 측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와 먼지를 줄여주기 위한 배출공기정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성을 갖는 콘테이너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차열막을 이용하여 태양 복사열을 사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의 난방비용 또는 냉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설비와 미세먼지여과수단 및 육계분뇨 청소수단 등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육계사 내 오염물질을 처리하거나 별도 수집함으로써 주변에 악취나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농촌환경을 보존함과 동시에 육계사 증축이나 개축에 대한 민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밀폐식 콘테이너를 활용하는 폐쇄형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육되는 육계에 대해 야생조류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조류독감 등 전염병에 대한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Container type Closed Broiler House System}
본 발명은 창문이 없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계사에서 방출하는 악취와 분진으로 육계사 신설이 어려워지는 상황 및 조류독감과 같이 전염성 질병이 자주 발생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밀폐형 육계사육 시스템을 제안하며, 특히 밀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화기술과 내부환경 조절기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기능별 적절한 배치구조를 갖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계(肉鷄)를 4계절 생산하기 위한 육계사는 환기만이 아니라 냉난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공조시스템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육계사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은 좌우의 측창을 개폐하는 시스템, 마주보는 두 단변 중 하나에 열교환장치를 설치하고 다른 편에는 대형 팬을 이용하여 환기시키는 터널시스템, 육계사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굴뚝시스템, 계절에 따라 터널식과 굴뚝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방식 등이 있다.
여기에서, 터널식이나 굴뚝식은 팬으로 빨아들여(pull system) 계사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식, 밀어넣어(push system) 계사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하는 방식, 밀어넣는 팬과 빨아들이는 팬을 모두 사용하는 푸시 풀 시스템(push-pull system)으로 세분하기도 한다.
한편, 육계사에 있어 냉방과 난방이 필요한 경우, 보통 공조기 내부에 난방기를 설치하거나 냉방장치를 육계사 내부 벽의 한쪽에 설치하여 운영하는데, 난방기는 배출가스로 인한 공기오염으로 작업자나 병아리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냉방장치는 가동에너지가 적게 드는 패드-팬(pad-fan)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하절기가 습하면서 더운 지역에서는 패드-팬 시스템 측 성능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패드-팬 시스템은 내부 공기의 습도를 올리는 영향이 있어서 부적절하게 사용할 때에는 병아리 사육시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러한 육계사의 공조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전량 외부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와 교체하는 방식으로서 내부 시설이나 내부 열 발생 상황에 따라서 유입된 외기가 내부 공기와 혼합되지 않고 그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환기를 통한 내부 공기질을 유지하는 것과 병아리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 및 풍속을 제공하는 것이 환경조절의 핵심이다.
또한, 육계사는 병아리를 키우는 공간인데, 어린 병아리의 경우 공기 속도에 민감하여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기 쉬우므로 병아리가 키워지는 케이지 공간의 유속을 매우 느리게 유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병아리가 털갈이를 시작하는 시점부터 분진이나 분뇨 발생이 증가하므로 그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공조 공간 측 내부 유속을 발생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더불어, 공조 공간에 유입되는 공기와 내부의 공기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다르며, 두 가지가 잘 혼합된다면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온도나 습도가 일정하겠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이루려면 공조 공간의 특성에 적합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순환팬을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공조기의 흡입공기를 모두 외부에서 공급하는 경우에는 계절에 따라 많은 냉방 또는 난방 부하가 필요하며, 내부 공기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원하는 유속에 비해 냉난방 에너지를 줄일 수 있지만 이렇게 하려면 순환시스템에 적합한 유닛쿨러가 필요하다.
하지만, 육계사의 내부에 깃털과 비듬, 사료 유래 분진이 높은 상황에서 유닛쿨러의 사용은 순환하는 내부공기 중 분진이 열교환기에 누적되면서 열교환성능을 떨어뜨리고 미생물 서식에 의한 부가적인 악취를 유발한다.
한편, 육계사의 공조에서는 여름철에 외부공기를 많이 끌어들여 환기하고 겨울철에 병아리에 필요한 최소 환기를 실시하도록 권장되는데, 최소 환기량은 육계사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서 달라지는 특성이 있으며, 외기와 내부공기의 혼합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 환기량 역시 닭이 생물학적으로 요구하는 최소의 공기량보다는 크다.
나아가, 육계사의 냉난방 부하를 줄이려면 육계사 벽체를 단열재로 구성하거나 겹 비닐하우스처럼 단열공간을 두며, 간이 육계사에서는 부직포를 덮은 경우가 있으나 부직포를 길이방향으로 개폐하지는 않고 측창을 여닫을 때에만 윗방향으로 말아 올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계절에 따라 복사열이 냉난방에 도움이 되기도 하고, 부담이 되기도 하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한편, 육계사육 시스템과 관련하여 종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등록특허 제10-106343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와 제10-162852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케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지의 각 층별로 복수개의 육계군을 일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육계사육에 따른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육계사육공간과 분을 분리함에 따라 육계를 관리하기에 보다 적합하게 하는 육계사육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는 "슬렛판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여 인위적으로 닭이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질(골격발달부진, 족부질환, 급사증후군 및 앞가슴살 물집 등이 방지된)의 사육 닭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출하시에도 왕복 운동하는 슬렛판의 회전에 의해 몰림현상이 없이 용이하게 어리장으로 출하가능하고, 몸체에서 출하되는 닭을 선별수단에 의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선별하여 출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출하기준치에 미달한 닭을 다시 몸체 내부의 제2수용공간에 재수용할 수 있어 원하는 닭의 출하만 선택할 수 있는 육계사육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이하에서 제안하는 본원발명과 같은 콘테이너형 밀폐식 하우징 구조를 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서 차이가 있으며, 본원발명과는 종래 배경기술에서뿐만 아니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이를 위한 기술적 구성 및 방식에 있어서도 각별한 기술적 차이를 갖는다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34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523호
본 발명은 종래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육계사에서 방출하는 악취와 분진으로 육계사 신설이 어려워지는 상황 및 조류독감과 같이 전염성 질병이 자주 발생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안전성과 더불어 경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새로운 구조를 갖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를 제안하며, 특히 밀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화기술과 내부환경 조절기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기능별 적절한 배치구조를 제안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를 제안하되, 내부의 적절한 환경조절 기술과 밀폐에 필요한 오염물질 제거기술을 적용하고, 공기조화에 필요한 에너지 를 절감하기 위하여 차열에너지 구조를 접목하며, 운영비 절감을 위하여 태양 복사열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창문이 없는 육계용 무창계사의 한 형태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육계의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육규모를 늘리는 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사양관리를 자동화하거나 경제적으로 원격 제어하기에 적합한 구조와 구성요소를 갖춘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은, 열환경 유지비용을 줄이기 위해 단열재 판넬로 구비된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육계의 반출과 사양관리를 위한 밀폐형 출입구가 형성되고, 동절기나 하절기에 작업자의 출입시 급격한 온도변화 또는 샛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전실을 콘테이너의 내부에 배치한 육계사; 상기 육계사의 내부에 설치되고,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다층형 케이지; 상기 육계사로 투사되는 태양열을 차단하여 냉방부하나 난방부하를 줄이기 위한 차열수단; 상기 육계사 측 내부 공기를 재순환시켜 냉방과 난방을 겸하면서 일령별 육계 사육을 위한 혼합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분배장치를 갖춘 공기조화설비; 상기 육계사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먼지여과수단; 상기 육계사 내부에서의 악취 발생을 줄이고 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층형 케이지 상에서 발생되는 육계분뇨를 청소하기 위한 육계분뇨 청소수단; 상기 육계사 측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와 먼지를 줄여주기 위한 배출공기정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육계사는, 일정 크기의 콘테이너 2개 이상을 병렬 또는 직렬로 배치하거나 연결하여 사육규모를 늘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에는, 내부 중앙에 다층형 케이지를 설치하고, 콘테이너의 길이방향 일측면 끝쪽에 공기조화용 유닛쿨러를 설치하고, 공기조화용 유닛쿨러와 멀리 떨어진 공간인 콘테이너의 폭방향 측면에 미세먼지여과수단과 배출공기정화기 및 전실을 설치하고, 그 반대쪽에 밀폐형 출입문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열수단은, 육계사의 지붕 위에 설치되는 차열막을 포함하며, 상기 차열막은, 육계사의 지붕 사이에서 바람이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지붕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육계사 측 차열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열수단은, 육계사의 지붕 위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측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고, 육계사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한쌍 구조로 간격 배치되는 지지봉; 지지봉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제1권취기 및 제2권취기; 지지봉의 일측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끈에 연결되며, 육계사의 지붕 위에 설치되어 육계사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거나 허용함으로써 냉난방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기 위한 차열막; 차열막에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권취기가 설치된 지지봉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1권취기 및 제2권취기와 더불어 차열막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을 위한 매개 역할을 하는 연결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권취기 또는 제2권취기 측 구동에 따라 차열막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조화설비는, 공기조화용 유닛쿨러를 포함하되, 상단부에 흡기관과 배기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배장치는, 육계사 측 샛바람이나 외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사육공간에 대해 균일한 온도와 습도 및 풍속을 맞추기 위해 환경을 조절 및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기관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배하여 수직 연결한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층형 케이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케이지 공기배출구, 및 상기 분배관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하여 육계사 측 바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조화설비는,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변량팬과 모터로 작동되는 외기흡기댐퍼와 순환공기댐퍼를 구비하여 전외기 환기와 이산화탄소농도 또는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최저외기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육계사에 적합한 공기조화시스템을 접목하여 육계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콘테이너의 설치개수를 조절하여 사육규모를 조절할 수 있고 콘테이너를 활용하므로 사육규모에 따른 육계사 측 별도의 설계가 필요 없어 건축비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갖는 콘테이너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차열막을 이용하여 태양 복사열을 사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의 난방비용 또는 냉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설비와 미세먼지여과수단 및 육계분뇨 청소수단 등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육계사 내 오염물질을 처리하거나 별도 수집함으로써 주변에 악취나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농촌환경을 보존함과 동시에 육계사 증축이나 개축에 대한 민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밀폐식 콘테이너를 활용하는 폐쇄형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육되는 육계에 대해 야생조류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조류독감 등 전염병에 대한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서, 차열막을 포함하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차열막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서, 차열막의 구동을 위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서, 콘테이너형 육계사의 내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에 있어 공기조화설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에 있어 케이지 상에 설치되는 계측분뇨 청소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계사(10), 다층형 케이지(20), 차열수단(30), 공기조화설비(40), 미세먼지여과수단(50), 육계분뇨 청소수단(60), 배출공기정화기(70)를 포함한다.
상기 육계사(10)는 열환경 유지비용을 줄이기 위해 단열재 판넬로 구비된 콘테이너로 구성하며, 밀폐식 하우징 구조를 갖는 콘테이너를 1개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육계사(10)는 콘테이너의 사용을 통해 육계사육을 위한 육계실을 제공하며, 창문이 없는 육계용 무창계사의 한 형태로 설치한다.
상기 콘테이너로 구성하는 육계사(10)에는 작업자의 출입과 더불어 병아리나 닭 등 사육하는 육계의 반출과 사양관리를 위한 밀폐형 출입구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콘테이너의 바닥은 작업자가 다니는 통로가 되며, 콘테이너의 단변에 밀폐가 가능한 출입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계사(10)에는 내부에 동절기나 하절기에 작업자의 출입시 급격한 온도변화 또는 샛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전실(80)을 배치한다.
상기 육계사(10)는 일정 크기의 콘테이너 2개 이상을 병렬 또는 직렬로 배치하거나 연결하여 사육규모를 늘릴 수 있는 등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10)에는 내부 중앙에 다층형 케이지(20)를 설치하고, 콘테이너의 길이방향 일측면 끝쪽에 공기조화설비(40)로서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를 설치하며, 상기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와 멀리 떨어진 공간인 콘테이너의 폭방향 측면에 미세먼지여과수단(50)과 배출공기정화기(70) 및 전실(80)을 설치하고 그 반대쪽에 밀폐형 출입구를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형 케이지(20)는 무창계사형 콘테이너로 구성하는 육계사(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다층형 케이지(20)는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10)의 내부 중앙에 설치한다.
상기 다층형 케이지(20)는 콘테이너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사이 공간을 형성하며, 다층이면서 다열 형성되는 배치구조로 설치한다.
상기 다층형 케이지(20)와 콘테이너로 이루어진 육계사(10)의 벽체 간에는 여러 곳에서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육계사(10)인 콘테이너 단면의 강성(rigidity)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다층형 케이지(20)를 지지하여 안정된 설치 및 육계사육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차열수단(30)은 육계사(10)로 투사되는 태양열 등의 열에너지나 바람 등에 의한 냉기를 차단하여 냉방부하나 난방부하를 줄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차열수단(30)은 차열막(31)을 포함하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육계사(10) 측 차열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날씨나 환경 조건 등 필요에 따라 열에너지나 냉기를 사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열막(31)은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10)의 지붕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육계사(10)의 지붕 사이에서 바람이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지붕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 차열막(31)은 지지대(32), 지지봉(33), 제1권취기(34) 및 제2권취기(35), 연결끈(36)을 사용한 설치구조를 통해 육계사(10)의 지붕 위에서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육계사(10) 측 차열 면적을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열막(31)은 경량이면서 빛을 차단하고 충분한 장력을 갖춘 합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육계사(10)의 지붕에서 바람이 자유롭게 통과할 만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러한 간격은 지지대(11)의 설치 길이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열막(31)은 지지봉(33)의 일측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끈(36)에 연결하며, 콘테이너로 이루어진 육계사(10)의 지붕 위에 설치되어 육계사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거나 허용함으로써 냉난방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2)는 육계사(10)의 지붕 위에 고정 설치 및 수직 배치되는 것으로서, 육계사의 지붕 위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측 방향으로 돌출 배치한다.
상기 지지대(32)는 육계사(10)의 지붕 위 사방 모서리 부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33)은 지지대(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서, 육계사(10)의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 양측부에 위치하여 한쌍 구조로 간격 배치된다.
상기 지지봉(33)은 육계사(10)의 길이방향 측 동일직선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대(32)에 수평 배치하여 지지 결합할 수 있으며, 1개의 콘테이너마다 2개 1조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권취기(34)는 2개 1조로 배치되는 일측 지지봉(33)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권취기(35)는 타측 지지봉(33)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권취기(34) 및 제2권취기(3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구동 제어된다.
상기 육계사(10)에 대해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콘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 제1권취기(34)는 제1콘테이너 측 일측 지지봉에 연결 설치하고, 제2권취기(35)는 제3콘테이너 측 타측 지지봉에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끈(36)은 차열막(31)에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권취기(35)가 설치된 지지봉(33)의 타측에 연결된다.
상기 육계사(10)에 대해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콘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 차열막(31)은 일단부를 제1콘테이너 측 제1권취기(34)가 연결 설치된 지지봉(33) 상에 감아 말아 고정하고, 고정력이 부여되지 않은 타단부에 연결끈(36)의 일단부를 연결 고정하되 타단부를 제3콘테이너 측 제2권취기(35)가 연결 설치된 지지봉(33)에 상에 감아 말아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끈(36)은 제1권취기(34) 및 제2권취기(35)와 더불어 차열막(31)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을 위한 매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서로 상대 회전하는 상기 제1권취기(34) 또는 제2권취기(35) 측 회전 구동에 따라 육계사(10)의 지붕 위에 설치한 차열막(31)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열막(31)을 자동 제어 및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열막(31)을 갖는 차열수단(30)을 통해서는 콘테이너로 이루어진 육계사(10)의 지붕 전체를 덮어 커버함으로써 햇빛을 차단하거나 또는 완전히 감겨지게 제어함으로써 햇빛이 비추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태풍과 같이 강풍이 부는 경우에는 차열막(31)을 완전히 감아 말아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열수단(30)은 차열막(31)에 대한 자동식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수동식 형태로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공기조화설비(40)는 콘테이너로 이루어진 육계사(10) 측 내부 공기를 재순환시켜 냉방과 난방을 겸하면서 일령별 육계 사육을 위한 혼합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설비(40)는 육계사(10) 측 샛바람이나 외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사육공간에 대해 균일한 온도와 습도 및 풍속을 맞추기 위해 환경을 조절 및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기분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혼합하여 내부 공기를 재순환하고 외기 조건에 따라 냉방과 난방을 선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배장치는 분배관(44)과 케이지 공기배출구(45) 및 바닥 공기배출구(46)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는 공조기로서, 상단부에 흡기관(42)과 배기관(43)이 연결 설치한다.
상기 분배관(44)은 배기관(43)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배하여 수직 연결하여 배치하고, 상기 케이지 공기배출구(45)는 분배관(44)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층형 케이지(20) 측 각 층별로 공기를 배출하여 공급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바닥 공기배출구(46)는 분배관(44)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하여 콘테이너로 이루어진 육계사(10) 측 바닥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공급함으로써 육계사(10) 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설치한다.
이를 통해, 육계사(10) 측 샛바람이나 외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사육공간에 대해 균일한 온도와 습도 및 풍속을 맞출 수 있으며, 육계사 내 사육 환경을 조절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층형 케이지(20)에 유속을 느리게 하면서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케이지 공기배출구(45)의 직경과 배출 방향을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다층형 케이지(20) 바닥면에서 상대적인 배출구의 높이의 설정함과 더불어 바닥 공기배출구(46)와 케이지 공기배출구(45) 측 공기유량의 적절한 분배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설비(4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변량팬과 모터로 작동되는 외기흡기댐퍼와 순환공기댐퍼를 구비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전외기 환기와 이산화탄소농도 또는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최저외기흡입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공기조화설비(40)를 통해서는 기존의 육계사 공조시스템과는 다르게 육계사(10)의 한 측면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내부공기와 혼합하여 순환시키는 방식을 제공하며, 만약 병아리를 사육하는 경우에는 육계사(10) 내 바닥에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 측 배출공기를 분배하여 순환공기가 다층형 케이지(20)의 주변 벽면을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병아리가 존재하는 케이지(20) 내부의 유속은 순환되는 공기에 유입되는 유동(entrained flow)에 의해 발생되게 제어할 수 있고, 이후 병아리의 연령에 따라 바닥 공기배출구(46)와 케이지 공기배출구(45)의 비율을 조정하여 원하는 온습도 분포와 오염물질 배출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를 변량으로 제어하여 순환되는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고, 외기흡기댐퍼와 순환공기댐퍼를 통해 외부 흡기와 순환되는 내부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조 공간의 공기순환을 이산화탄소 공급이나 습도 제어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 이산화탄소 공급이나 습도 제어는 닭의 연령별 기온별 수분소모량, 닭의 연령별 기온별 산소요구량과 같은 데이터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먼지여과수단(50)은 무창계사형 밀폐식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10)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미세먼지여과수단(50)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용 유닛쿨러(41)와 멀리 떨어진 공간인 콘테이너의 폭방향 측면에 배출공기정화기(70) 등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육계분뇨 청소수단(60)은 무창계사형 밀폐식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10) 내부에서의 악취 발생을 줄이고 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층형 케이지(20) 상에서 발생되는 육계분뇨를 청소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육계분뇨 청소수단(60)은 다층형 케이지(20) 상에 설치되는데, 다층형 케이지(20) 측 다층을 커버하도록 공유배관으로 수직 설치되는 계분흡입관(61)과, 다층형 케이지(20) 측 층별 케이지마다 그 하부 일측에 수평 설치되는 벨트롤러(62)와, 다층형 케이지(20) 측 층별 케이지마다 그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계분을 청소하기 위한 계분청소롤러(63)와, 다층형 케이지(20) 측 층별 케이지마다 그 하부 타측에 설치 및 계분청소롤러(63)의 하측에 배치되어 계분을 계분흡입관(61)으로 이송하기 위한 계분이송오거(6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기정화기(70)는 무창계사형 밀폐식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10) 측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악취와 먼지를 줄여주기 구성요소이다.
상기 배출공기정화기(70)는 미세먼지여과수단(50)을 통과한 흡입 공기를 정화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을 통해서는 밀폐된 육계사에 적합한 공기조화시스템을 접목하여 육계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콘테이너의 설치개수를 조절하여 사육규모를 조절할 수 있고 콘테이너를 활용하므로 사육규모에 따른 육계사 측 별도의 설계가 필요 없어 건축비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갖는 콘테이너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차열막을 이용하여 태양 복사열을 사용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의 난방비용 또는 냉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설비와 미세먼지여과수단 및 육계분뇨 청소수단 등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육계사 내 오염물질을 처리하거나 별도 수집함으로써 주변에 악취나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농촌환경을 보존함과 동시에 육계사 증축이나 개축에 대한 민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밀폐식 콘테이너를 활용하는 폐쇄형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육되는 육계에 대해 야생조류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조류독감 등 전염병에 대한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 내에서 병아리를 비롯한 육계의 입사, 사육, 반출 등 전과정에 있어 관리작업을 편리하게 수행 및 최적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육계사 20: 다층형 케이지
30: 차열수단 31: 차열막
32: 지지대 33: 지지봉
34: 제1권취기 35: 제2권취기
36: 연결끈 40: 공기조화설비
41: 공기조화용 유닛쿨러 42: 흡기관
43: 배기관 44: 분배관
45: 케이지 공기배출구 46: 바닥 공기배출구
50: 미세먼지여과수단 60: 육계분뇨 청소수단
70: 배출공기정화기 80: 전실

Claims (7)

  1. 열환경 유지비용을 줄이기 위해 단열재 판넬로 구비된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육계의 반출과 사양관리를 위한 밀폐형 출입구가 형성되고, 동절기나 하절기에 작업자의 출입시 급격한 온도변화 또는 샛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전실을 콘테이너의 내부에 배치한 육계사;
    상기 육계사의 내부에 설치되고,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다층형 케이지;
    상기 육계사로 투사되는 태양열을 차단하여 냉방부하나 난방부하를 줄이기 위한 차열수단;
    상기 육계사 측 내부 공기를 재순환시켜 냉방과 난방을 겸하면서 일령별 육계 사육을 위한 혼합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분배장치를 갖춘 공기조화설비;
    상기 육계사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먼지여과수단;
    상기 육계사 내부에서의 악취 발생을 줄이고 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층형 케이지 상에서 발생되는 육계분뇨를 청소하기 위한 육계분뇨 청소수단;
    상기 육계사 측 외부로 배출되는 악취와 먼지를 줄여주기 위한 배출공기정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계사는,
    일정 크기의 콘테이너 2개 이상을 병렬 또는 직렬로 배치하거나 연결하여 사육규모를 늘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로 이루어지는 육계사에는,
    내부 중앙에 다층형 케이지를 설치하고,
    콘테이너의 길이방향 일측면 끝쪽에 공기조화용 유닛쿨러를 설치하고,
    공기조화용 유닛쿨러와 멀리 떨어진 공간인 콘테이너의 폭방향 측면에 미세먼지여과수단과 배출공기정화기 및 전실을 설치하고, 그 반대쪽에 밀폐형 출입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수단은,
    육계사의 지붕 위에 설치되는 차열막을 포함하며,
    상기 차열막은,
    육계사의 지붕 사이에서 바람이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지붕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육계사 측 차열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수단은,
    육계사의 지붕 위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측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지지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고, 육계사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한쌍 구조로 간격 배치되는 지지봉;
    지지봉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제1권취기 및 제2권취기;
    지지봉의 일측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가 연결끈에 연결되며, 육계사의 지붕 위에 설치되어 육계사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거나 허용함으로써 냉난방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기 위한 차열막;
    차열막에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권취기가 설치된 지지봉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1권취기 및 제2권취기와 더불어 차열막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을 위한 매개 역할을 하는 연결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권취기 또는 제2권취기 측 구동에 따라 차열막의 펼침 또는 감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설비는,
    공기조화용 유닛쿨러를 포함하되, 상단부에 흡기관과 배기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배장치는,
    육계사 측 샛바람이나 외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사육공간에 대해 균일한 온도와 습도 및 풍속을 맞추기 위해 환경을 조절 및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기관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배하여 수직 연결한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층형 케이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케이지 공기배출구, 및 상기 분배관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하여 육계사 측 바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설비는,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변량팬과 모터로 작동되는 외기흡기댐퍼와 순환공기댐퍼를 구비하여 전외기 환기와 이산화탄소농도 또는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최저외기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KR1020200151338A 2020-11-12 2020-11-12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KR10264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38A KR102646214B1 (ko) 2020-11-12 2020-11-12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38A KR102646214B1 (ko) 2020-11-12 2020-11-12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58A true KR20220065158A (ko) 2022-05-20
KR102646214B1 KR102646214B1 (ko) 2024-03-12

Family

ID=8179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338A KR102646214B1 (ko) 2020-11-12 2020-11-12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1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794A (ja) * 1994-01-07 1995-08-08 Toyo Netsu Kogyo Kk 動物飼育設備
JPH09135648A (ja) * 1995-11-16 1997-05-27 Koichi Yano 冷房設備を有する鶏舎
KR19980019112U (ko) * 1998-04-03 1998-07-06 최대용 하우스재배 사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70050316A (ko) * 2005-11-10 2007-05-15 피더블유제네틱스코리아 주식회사 의학 및 생물학 실험용 무균돼지의 사육 구조물
KR20090092026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오리엔트이엔지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KR101063434B1 (ko) 2008-11-10 2011-09-14 김의중 육계사육장치
KR20130126242A (ko) * 2012-05-11 2013-11-20 최왕락 악취제거용 환기시스템
KR101628523B1 (ko) 2014-11-10 2016-06-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초의 자연으로 육계사육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794A (ja) * 1994-01-07 1995-08-08 Toyo Netsu Kogyo Kk 動物飼育設備
JPH09135648A (ja) * 1995-11-16 1997-05-27 Koichi Yano 冷房設備を有する鶏舎
KR19980019112U (ko) * 1998-04-03 1998-07-06 최대용 하우스재배 사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70050316A (ko) * 2005-11-10 2007-05-15 피더블유제네틱스코리아 주식회사 의학 및 생물학 실험용 무균돼지의 사육 구조물
KR20090092026A (ko) * 2008-02-26 2009-08-31 주식회사 오리엔트이엔지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KR101063434B1 (ko) 2008-11-10 2011-09-14 김의중 육계사육장치
KR20130126242A (ko) * 2012-05-11 2013-11-20 최왕락 악취제거용 환기시스템
KR101628523B1 (ko) 2014-11-10 2016-06-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초의 자연으로 육계사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214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2263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онных каналов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загрязнения воздуха в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ой постройке и/или вокруг нее
KR102002567B1 (ko) 양돈시설 환기시스템
KR100952956B1 (ko) 축사 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US5036797A (en) Animal husbandry housing and method
CN109874691B (zh) 一种羊用自动饲喂系统
CN109874682B (zh) 一种羊用饲养生产系统
KR102045666B1 (ko) 자돈 인큐베이터
CN103947565A (zh) 一种适用于规模化生猪养殖面积可调式猪舍
US4224900A (en) Method for raising bird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CN104082156B (zh) 一种大型连栋式牛舍
KR100973723B1 (ko) 돈사의 환기시스템
KR20220065158A (ko)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US10721918B2 (en) Poultry housing unit plenum flooring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US11178846B2 (en)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for animal housing facilities
US20220381458A1 (en)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KR20220077988A (ko) 분진제거 장치가 구비된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KR20020012085A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CN113100078A (zh) 一种节能生态一体化畜牧舍
KR20160059016A (ko) 무창돈사의 환기장치
EP4108077A1 (en) Livestock house air filtration system
EP4098106A1 (en) A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Ward et al. Tunnel Ventilation in Livestock Barns—With and Without Evaporative Cooling
CN215269944U (zh) 一种节能生态一体化畜牧舍
CN217136364U (zh) 一种猪舍保温系统
KR102476528B1 (ko) 다층 구조 타입의 대형 육계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