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897A - 전기 수술 기구 - Google Patents

전기 수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897A
KR20220064897A KR1020210147742A KR20210147742A KR20220064897A KR 20220064897 A KR20220064897 A KR 20220064897A KR 1020210147742 A KR1020210147742 A KR 1020210147742A KR 20210147742 A KR20210147742 A KR 20210147742A KR 20220064897 A KR20220064897 A KR 2022006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engaging
actuating
surgical instrume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릭스 보브
Original Assignee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085Forceps, 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16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5Surgical forceps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2Bla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61B2018/145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having a moving blade for cutting tissue grasped by the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6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 방식으로 서로 배열되는 제1 죠오(22) 및 제2 죠오(23)를 가지는 수술 기구(20)에 관한 것이다. 도구(30)는 도구 채널(31)에서, 바람직하게 제1 죠오(22) 내에서 또는 상에서 길이 방향(L)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 디바이스(33)에 의해, 도구(30)는 길이 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작동 요소(34) 및 구동 요소(35)는 작동 디바이스(33)의 일부이고, 바람직하게 제1 죠오(22) 상에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결합 디바이스(40)에 의해, 회전 결합은 작동 요소(34)와 구동 요소(35) 사이에서 확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죠오(22, 23)들이 폐쇄 위치(Ⅱ)에서 이동되는 토크 방지 결합이 확립된다.

Description

전기 수술 기구{ELECTRO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힌지에 의해 서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죠오와 제2 죠오를 포함하는 전기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죠오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죠오는 죠오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죠오는 죠오 섹션과 고정적으로 연결된 생크 섹션을 포함하고, 2개의 죠오의 2개의 생크 섹션은 그 작동의 목적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수술 기구는 겸자형 또는 가위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술 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제1 죠오 내에 또는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도구, 예를 들어 나이프를 포함한다. 제1 죠오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구 채널 또는 나이프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술 기구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도구 작동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죠오들이 개방되면, 도구 채널로부터 도구의 연장을 방해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특히 필요하다.
EP 2 436 327 A1은 2개의 죠오와 이동성 지지 나이프를 가지는 수술 기구를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죠오들의 개방 위치에서 작동 요소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요소가 제공되며, 작동 요소는 나이프의 이동을 위해 선회될 수 있다. 차단 요소의 해제 위치에서, 작동 요소의 선회는 나이프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허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재설정 요소가 죠오들의 개방 위치에서 편향되어 현저하게 증가된 힘이 작동 요소를 선회시키는데 필요할 것이라는 점에서 죠오들이 개방되면, 작동 요소의 선회가 방해된다. 또한, 죠오들이 폐쇄되는 경우에만 나이프와의 이동 결합이 확립되는 선형 이동성 작동 요소를 가지는 실시예가 제공된다.
US 2017/0128120 A1은 2개의 죠오, 및 나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이동성 작동 요소를 가지는 수술 기구를 개시한다. 작동 요소는 기어와 맞물리는 제1 톱니형 랙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와 기어는 제2 죠오에 배열된다. 나이프, 및 나이프와 고정적으로 결합된 제2 톱니형 랙은 제1 죠오에 배열된다. 기어 및 제2 톱니형 랙은 개방 위치에서 분리되고, 폐쇄 위치에서만 맞물려서, 작동 요소가 이동되면 나이프의 이동은 폐쇄 위치에서만 실행된다.
US 2016/0302844 A1에는 2개의 죠오를 가지는 수술 기구를 개시한다. 나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선형 이동성 작동 요소는 죠오들이 폐쇄 위치에 있으면 결합 디바이스에 의해 나이프와 결합된다. 이러한 원리는 선형 이동성 작동 요소를 가지는 EP 2 436 327 A1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종종 선형 이동성 작동 요소는 인체 공학적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작동 요소를 위한 선형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기구에 대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죠오들의 생크 섹션은 자주 매우 길어진다. 차례로, 이러한 것은 생크 섹션들이 근위 단부에서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면, 죠오들의 죠오 섹션의 개방 각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작동 안전성을 보장하는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를 가지는 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수술 기구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기구는 힌지 방식으로 서로 지지되는 제1 죠오와 제2 죠오를 포함한다. 각각의 죠오는 원위 단부 섹션에 조직 접촉 표면을 가지는 죠오 섹션을 가진다. 각각의 죠오 섹션은 각각의 죠오의 생크 섹션과 연결된다. 죠오들의 힌지의 영역에서, 생크 섹션과 죠오 섹션은 서로 전환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된다.
도구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제1 죠오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작동 요소 및 구동 요소는 제1 죠오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요소는 예를 들어 기어 메커니즘, 특히 레버 기어 메커니즘과 같은 전달 디바이스(transmission device)에 의해 도구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기구는 또한 결합 요소를 가지는 결합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결합 요소는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결합 위치에서, 결합 요소는 작동 요소와 구동 요소 사이에 회전 결합 또는 토크 방지 연결을 확립한다. 그러므로,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의 선회 운동이 발생하면, 구동 요소가 또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분리 위치에서, 이러한 회전 결합 또는 토크 방지 연결은 중단되고, 작동 요소와 구동 요소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작동 요소가 분리 위치에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면, 구동 요소는 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결합 요소가 분리 위치에 있으면, 구동 요소는 작동 요소의 선회 운동과 무관하게 그 초기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결합 요소는 작동 요소와 함께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결합 요소는 작동 요소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특히 결합 위치에서 결합 요소의 회전 결합 또는 이동을 확립하는 것은 작동 요소뿐만 아니라 구동 요소가 그 각각의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결합 위치에서, 회전 결합은 바람직하게 선회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 또는 회전하는 두 의미로 확립된다.
결합 요소는 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한 간접 작동에 의해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결합 요소는 제2 죠오에 의해 작동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술 기구는 특히 죠오들이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선회되면 결합 요소를 분리 위치로부터 결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폐쇄 위치에서 이러한 이동 동안, 제2 죠오는 결합 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결합 요소를 연결 위치로 이동시킨다.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 죠오들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그리고 작동 요소 및 구동 요소가 그 각각의 초기 위치에 있으면, 결합 위치로부터 분리 위치로 이동된다. 결합 요소가 결합 위치에서 작동 요소와 구동 요소 사이에 토크 방지 결합을 확립하면,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 죠오들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더라도 강제 끼워맞춤 및/또는 형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 위치에서 홀딩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도구, 예를 들어 나이프가 의도하지 않게 작동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분리 위치에서, 작동 요소는 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도구 이동 없이 선회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 요소가 결합 위치에서 이동되면, 작동 요소의 작동은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요소의 선회 운동을 초래하며, 구동 요소는 차례로 도구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도구 이동을 시작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요소는 결합 오목부를 포함한다. 결합 요소는 결합 위치에서 결합 오목부와 맞물린다. 이렇게 하여, 구동 요소와 작동 요소 사이에 토크 방지 연결이 생성된다. 분리 위치에서, 결합 요소는 완전히 결합 오목부 외부에 위치된다. 결합 오목부는 바람직하게 선회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측면살(flank)들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결합 디바이스는 간단한 방식으로 몇몇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수술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는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거나 또는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는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중첩된 선형 및 선회 운동이 또한 실현될 수 있다. 결합 요소의 이동 경로와 무관하게, 이는 선회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이거나 또는 반경 방향인 결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적어도 그 단부 섹션에서 연장된다.
편향 디바이스가 제공되면 유리하다. 편향 디바이스는 결합 요소 상에 편향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편향력에 의해, 결합 요소는 분리 위치로 압박된다. 편향력은 미는 힘 및/또는 견인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 디바이스는 편향력의 생성을 위한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단일 스프링 요소가 충분하다.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와 결합 요소는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연결은 해제 가능한 연결 또는 해제 불가능한 연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요소와 스프링 요소를 물질 결합 연결 및/또는 접착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는 접착제에 의해, 오버몰딩 또는 오버푸어링(overpouring)에 의해 결합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스프링 요소는 작동 요소, 예를 들어 물질 결합 연결 및/또는 접착 연결에 의해 작동 요소 상에 해제 가능하게 또는 해제 불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는 접착제에 의해, 오버몰딩 또는 오버푸어링에 의해 작동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와 결합 요소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와 결합 요소는 이음매나 조인트 없이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 요소 및 결합 요소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면 유리하다. 이러한 것들은 판금 부품 또는 와이어로부터 분리 및/또는 변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가 가요성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이면 바람직하다. 가요성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은 선회축에 직각이거나 또는 반경 방향인 편향력을 생성할 수 있다. 가요성 스프링은, 예를 들어, 선회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 방식으로, 특히 적어도 90°또는 적어도 120° 또는 적어도 180°의 각도 범위로 연장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은 부착 단부로부터 자유 단부까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의 부착 단부는 자유 단부보다 선회축까지 더 긴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스프링 요소는 헬리컬 스프링일 수 있다. 헬리컬 스프링은 예를 들어 선회축에 직각이거나 또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의 모든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한 측면이 작동 요소 상에서, 그리고 다른 측면이 결합 요소 상에서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술 기구는 재설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재설정 디바이스는 초기 위치에서 작동 요소 및/또는 구동 요소를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재설정 디바이스는 구동 요소를 위한 제1 재설정 요소 및/또는 작동 요소를 위한 제2 재설정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제1 재설정 요소가 구동 요소와 도구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전달 요소,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커넥팅 로드에 의해 형성되면 유리할 수 있다.
작동 요소를 위한 하나의 단일 재설정 요소만이 제공되면, 재설정력이 결합 요소의 분리 위치에서 구동 요소에 인가되지 않는다. 도구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요소는 결합 요소의 분리 위치에서 선회축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 운동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결합 요소는 예를 들어 분리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 요소는 분리 위치에서 죠오와 구동 요소와 맞물리며, 그러나 작동 요소와는 맞물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은 종속항,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도출된다.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작동 디바이스의 상이한 조건에서 도구의 이동을 위한 작동 디바이스 및 이동성 도구를 가지는 수술 기구, 특히 전기 수술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작동 디바이스의 결합 디바이스가 분리 상태에 있는, 도 1 내지 도 3의 전기 수술 기구를 위한 작동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결합 디바이스가 결합 상태에 있는 도 4의 작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6은 결합 디바이스가 분리 위치에 있는 이동성 결합 요소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3의 전기 수술 기구용 작동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결합 요소가 결합 위치에 있는, 도 6의 작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8은 결합 디바이스가 분리 위치에 있는 이동성 결합 요소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3의 전기 수술 기구를 위한 작동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9는 결합 요소가 결합 위치에 있는 도 8의 작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0은 결합 디바이스가 분리 위치에 있는 이동성 결합 요소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3의 전기 수술 기구를 위한 작동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1은 결합 요소가 결합 위치에 있는 도 10의 작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2는 결합 디바이스가 분리 위치에 있는 이동성 결합 요소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3의 전기 수술 기구를 위한 작동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3은 결합 요소가 결합 위치에 있는 도 12의 작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4는 결합 요소가 분리 위치에 있고 작동 디바이스의 작동 요소가 초기 위치에서 선회된, 도 12 및 도 13의 작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5는 결합 요소가 분리 위치에 있고 작동 디바이스의 작동 요소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기초한 작동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수술 기구(2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수술 기구(20)는 특히 재사용 가능한 기구로서 구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수술 기구는 일회용 기구로서 또한 실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기구(20)는 실시예에서 가위 또는 겸자의 형태로 구성된다. 수술 기구는 힌지(21)를 포함하며, 제1 죠오(22) 및 제2 죠오(23)는 힌지에 의해 서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의 죠오(22, 23)는 원위 영역에 있는 죠오 섹션(24)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죠오(22, 23)는 생크 섹션(25)을 포함하고, 2개의 생크 섹션(25)은 죠오 섹션(24)들의 작동을 위해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생크 섹션(25)은 근위 단부에 핸들 부분(26)을 가진다. 2개의 죠오(22, 23)의 핸들 부분(26)들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죠오 섹션(24)들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기구(20)는 겸자 또는 가위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각각의 죠오 섹션(24)은 조직 접촉 표면(27)을 포함한다. 2개의 조직 접촉 표면(27)은 서로 대면하고, 그 사이에서 생물학적 조직을 홀딩하거나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개방 위치(I)에서, 2개의 생크 섹션(25) 및 2개의 죠오 섹션(24)은 힌지(21)(도 1)를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게 선회된다. 폐쇄 위치(Ⅱ)에서, 생크 섹션(25)들 또는 죠오 섹션(24)들 및/또는 조직 접촉 표면(27)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조직 접촉 표면(27)들은 폐쇄 위치(Ⅱ)에서 서로로부터 최소 거리를 가진다. 폐쇄 위치(Ⅱ)에서, 생물학적 조직은 죠오 섹션(24)들 또는 조직 접촉 표면(27)들 사이에서 클램핑되거나 홀딩될 수 있다.
아울러, 수술 기구는 제1 죠오(22) 내에 또는 상의 도구 채널(31)에서 길이 방향(L)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도구(30)를 포함한다. 도구(30)는 특히 연장 위치(도 3) 및 후퇴 위치(도 1 및 도 2)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나이프(32)이다. 연장 위치에서, 조직 접촉 표면(27)들 사이 또는 죠오 섹션(24)들 사이에서 클램핑된 조직은 절단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길이 방향(L)으로의 도구(30), 예에 따르면 나이프(32)의 이동을 위해, 기구(20)는 작동 디바이스(33)를 포함한다. 작동 디바이스(33)는 제1 죠오(22) 상에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 요소(34)를 가진다. 선회축(S)은 힌지(21)에 의해 한정된 힌지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작동 요소(34)는 선회축(S)에 평행하게 볼 때 2개의 죠오(22, 23) 옆에 배열될 수 있다. 선회축(S)을 중심으로 작동 요소(34)를 선회시키기 위해 손 또는 손가락으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요소(34)는 선회축(S)으로부터 시작하여 자유 단부까지 연장된다.
작동 디바이스(33)는 또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 요소(35)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 구동 요소(35)는 단지 아암 또는 레버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동 요소(35)는 전달 디바이스(36)에 의해 도구(30), 예에 따라서 나이프(32)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달 디바이스(36)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요소(37)를 포함하고, 예에 따르면 커넥팅 로드로서 구성되고 도구(30)를 구동 요소(35)와 연결하거나 결합하는 하나의 단일 전달 요소(37)에 의해 형성된다. 전달 요소(37)를 통해,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요소(35)의 선회 운동은 길이 방향(L)으로의 도구(30)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를 위해, 전달 요소(37)는 실시예에서 구동 요소(35) 및/또는 도구(30)와 힌지 방식으로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디바이스(40)는 또한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결합 디바이스(40)는 분리 상태(도 1) 및 결합 상태(도 2 및 도 3)에 있을 수 있다. 분리 상태에서, 작동 요소(34)는 이에 따라 선회축(S)을 중심으로 구동 요소(35)의 선회 위치에 영향을 미침이 없이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작동 요소(34)와 구동 요소(35)는 토크 방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34)의 선회 운동은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요소(35)의 선회 운동을 유발하다.
작동 디바이스(33)의 실시예는 기본 예시에 기초하여 도 4 및 도 5에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예에 따르면, 결합 디바이스(40)는 분리 위치(D)(도 4)와 결합 위치(C)(도 5)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성 결합 요소(41)를 포함한다. 결합 위치(C)에서, 결합 디바이스(40)는 결합 상태에 있고, 분리 위치(D)에서, 결합 디바이스(40)는 분리 상태에 있다.
도 4 및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35)는 예에 따라 선회축(S)에 직각이거나 또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결합 오목부(42)를 포함한다. 결합 요소(41)는 작동 요소(34) 상에 배열된다. 결합 오목부(42)는 작동 요소(34)를 향하는 측면에서 개방된다. 분리 위치(D)에서, 결합 요소(41)는 완전히 결합 오목부(42)의 외부에 위치된다. 결합 위치(C)에서, 결합 요소(41)는 결합 오목부(42)에 맞물리고, 이에 의해, 작동 요소(34)와 구동 요소(35) 사이에 회전 결합 또는 토크 방지 연결을 확립한다. 결합 오목부(42)는 바람직하게 선회축(S)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여 거리를 두고 배열된 2개의 측면살(42a)에 의해 제한된다.
결합 요소(41)는 바람직하게 선회축(S)에 직각이거나 또는 반경 방향으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결합 위치(C)에 인접한 결합 요소(41)의 이동 경로의 적어도 단부 섹션은 선회축(S)에 직각으로 배향될 수 있다.
결합 요소(41)의 분리 위치(D)에서, 작동 요소(34)와 구동 요소(35)는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34)의 선회 운동이 구동 요소(35)의 선회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결합 요소(41)가 결합 위치(C)에 있으면, 작동 요소(34)의 선회 운동은 구동 요소(35)의 선회 운동을 초래하고, 이는 차례로 전달 요소(37)에 의한 도구(30)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구(30)는 연장되어 죠오 섹션(24)들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32)는 죠오 섹션(24)들 사이에 홀딩된 생물학적 조직을 절단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20)는 재설정 디바이스(46)를 포함한다. 재설정 디바이스(46)는 각각의 초기 위치(A1 또는 A2)에서 작동 요소(34) 및 구동 요소(35)를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재설정 디바이스(46)는 예를 들어 구동 요소(35)와 연결된 제1 재설정 요소(47) 및 작동 요소(34)와 연결된 제2 재설정 요소(48)를 포함한다. 재설정 요소(47, 48)들은 각각 재설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프링 탄성 재설정 요소(47, 48)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재설정 요소(47, 48)들은 예를 들어 판 스프링, 헬리컬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재설정 요소(47, 48)들은 제1 죠오(22)의 생크 섹션(25)에 지지되고, 따라서 한편으로는 제1 죠오(22)와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요소(34) 또는 구동 요소(35) 사이에 재설정력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제1 재설정 요소(47)는 제1 초기 위치(A1)에서 구동 요소(35)를 압박하고, 제2 재설정 요소(48)는 제2 초기 위치(A2)에서 작동 요소(34)를 압박한다. 작동 요소(34) 및 구동 요소(35)가 그 각각의 초기 위치(A1, A2)에 있으면, 작동 요소(34) 상의 결합 요소(41)는 구동 요소(35) 상의 결합 오목부(42)와 정렬된다. 결합 위치(C)의 확립이 가능하다. 결합 요소(41)가 분리 위치(D)에 있는 동안 작동 요소(34)가 제2 초기 위치(A2) 밖으로 선회되면, 회전 결합의 확립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작동 요소(34)는 먼저 제2 초기 위치(A2)로 다시 이동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41)는 도 5로부터 개략적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죠오(23), 예에 따르면 제2 죠오(23)의 생크 섹션(25)에 의해 분리 위치(D)로부터 결합 위치(C)로 작동되거나 이동된다. 폐쇄 위치(Ⅱ)에서, 제2 죠오(23)는 결합 요소(41)와 접촉하여, 결합 위치(C)에 도달하도록 결합 요소(41)를 결합 오목부(42) 내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변위는 작동 요소(34) 및 구동 요소(35)가 그 각각의 초기 위치(A1, A2)에 있으면 가능하다.
작동 디바이스(33)의 다른 실시예가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41)를 분리 위치(D)로 압박하도록 구성된 편향 디바이스(49)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편향 디바이스(49)는 분리 위치(D)를 향하는 방향으로 편향력을 결합 요소(41) 상에 생성한다. 편향력은 인장력 및/또는 미는 힘일 수 있다. 편향 디바이스(49)는 결합 요소(41)와 함께 작동 요소(34) 상에 배열된다.
편향력의 생성을 위해, 편향 디바이스(49)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요소(5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50)는 헬리컬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헬리컬 스프링의 한 단부는 결합 요소(41)와 연결될 수 있고, 헬리컬 스프링(51)의 각각의 다른 단부는 작동 요소(34)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은 물질 결합 연결 및/또는 접착 연결로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단부 사이에서, 헬리컬 스프링(51)은 예를 들어 원통형 결합 요소(41) 둘레에 감길 수 있는 나선형으로 형상화된 연장 스프링 섹션을 포함한다.
결합 요소(41)와 연결된 단부는 결합 요소(41)의 링 단차부(52)에 접하거나 또는 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링 단차부(52)는 결합 오목부(42)에 할당된 원통형 섹션과 결합 요소(41)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헤드 부분(53)으로부터의 전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헤드 부분(53)은 제2 죠오(23)의 생크 부분(25)을 향한다.
수술 기구(20)의 개방 위치(도 6)에서, 2개의 죠오(22, 23)의 생크 섹션(25)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죠오(22, 23)들이 폐쇄 위치로 이동되면, 생크 섹션(25)들은 서로 접근하고, 제2 죠오(23)의 생크 섹션(25)은 결합 요소(41)의 헤드 부분(53)과 접촉한다. 폐쇄 위치(Ⅱ)를 향한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하는 동안, 결합 요소(41)는 결합 위치(C)가 확립되도록 예시적인 헬리컬 스프링(51)에 따라서 편향 디바이스(49)의 편향력을 거슬러 결합 오목부(42) 내로 이동된다. 후속적으로, 작동 요소(34)의 선회 운동에 의해, 구동 요소(35)의 선회 운동이 수행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도구(30) 또는 나이프(32)는 연장되거나 또한 다시 후퇴될 수 있다.
작동 디바이스(33)의 다른 실시예가 도 8 및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도 4 내지 도 7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작동 디바이스의 실시예와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실질적인 차이점은 편향 디바이스(49)의 스프링 요소(50)가 곡선화되거나 또는 호 형상의 가요성 스프링(54)으로서 형성된다는 점이다. 결합 요소(41)는 가요성 스프링(54) 상에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41)는 가요성 스프링의 자유 단부(55) 상에 배열된다. 결합 요소(41)는 가요성 스프링(54)과 해제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요성 스프링(54) 및 결합 요소(41)는 일체로 형성된다.
가요성 스프링(54)은 결합 요소(41)에 거리를 두고 부착되고, 예에 따르면, 그 반대편 부착 단부에서 작동 요소(34)에 부착된다. 부착 단부에 인접하여, 가요성 스프링(54)은 자유롭게 이동되거나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결합 요소(41)가 있는 자유 단부(55)는 선회축(S)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분리 위치(D)에서, 결합 요소(41)는 결합 오목부(42)와 맞물림이 없이 않고 선회축(S)에 직각으로, 바람직하게 반경 방향으로 결합 오목부(42) 반대편에 배열된다. 가요성 스프링(54)은 예를 들어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120° 또는 적어도 180°의 각도 영역에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가요성 스프링(54)은 선회축(S)에 직각으로 배향된 평면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가요성 스프링(54)의 자유 단부(55)는 제2 죠오(23)를 향하며 제2 죠오(23)에 의해 접근 가능하다. 폐쇄 위치(Ⅱ)를 향한 방향으로 폐쇄 이동 동안 제2 단부(55)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제2 죠오(22)를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죠오(23)로부터 멀어지게 선회축(S)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0)가 제2 죠오(23) 상에 제공된다. 돌출부는 자유 단부(55)의 영역에서 가요성 스프링(54)을 작동시키고, 죠오(22, 23)들의 폐쇄 위치(Ⅱ)(도 9)에서 결합 위치(C)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따른 이러한 실시예의 특이성은 편향 디바이스(49)가 결합 요소(41)와 하나의 유닛, 바람직하게 일체형 유닛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작동 원리는 그렇지 않으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대응하여서, 위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도 15에서, 도 8 및 도 9와 비교하여 수정된 작동 디바이스(33)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요소(35)에 부착된 가요성 스프링(54) 상에 배열된 결합 요소(41)는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구동 요소(35)는 개구 또는 지지체(61)를 포함하며, 결합 요소(41)는 개구 또는 지지체에 의해 가요성 스프링(54)의 힘에 대항하여 선회축(S)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지지체(61)는 관통 구멍일 수 있다. 결합 요소(41)는 이 실시예에서 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 요소(41)는 구동 요소(35) 상의 지지대(61)를 통해 선회축(S)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지지된다. 결합 오목부(42)는 작동 요소(34)에 제공된다.
죠오(22, 23)들의 개방 위치(I)에서, 결합 요소(41)는 분리 위치(D)에 있다. 결합 요소는 작동 요소(34)가 구동 요소(35)의 이동을 개시함이 없이 선회축(S)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 오목부(42)로부터 분리된다. 작동 요소(34)는 제2 초기 위치(A2)에서 재설정 디바이스(46)에 의해, 그리고 예에 따르면 제2 재설정 요소(48)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재설정 디바이스(46)는 구동 요소(35)를 제1 초기 위치(A1)로 압박하기 위하여 재설정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동 요소(35)는 제1 초기 위치(A1)에서 유지되고, 예를 들어 결합 요소(41)에 의해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에 대해 잠기거나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결합 요소(41)는 예를 들어, 그 단부가 결합 오목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죠오(22)의 잠금 개구(62)와 맞물린다.
죠오들이 개방 위치(I)로부터 폐쇄 위치(II)로 이동되면, 결합 요소(41)는 제2 죠오(23) 상의 돌출부(60)에 의해 잠금 개구(62)로부터 분리되고, 결합 요소(41)가 결합 위치(C)(도시되지 않음)를 취하도록 결합 오목부(42)와 맞물린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 요소(41)가 결합 위치(C)에 있는 상태에서, 작동 요소(34)와 구동 요소(35)는 작동 요소(34)가 수동으로 작동되면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재설정 디바이스(46)의 재설정력은 작동 요소(34)뿐만 아니라 구동 요소(35)에도 작용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작동 디바이스(33)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질적인 차이점은 스프링 요소(50)가 직선 또는 약간 곡선화되는 분리 위치(D)에서의 미작동 초기 상태에서 작동 요소(34)에 부착된 부착 단부(57)로부터 자유 단부(55)까지 연장되는 판 스프링(56)으로서 구성된다는 점이다. 결합 요소(41)는 자유 단부(55) 상에 배열되고, 선행 실시예에서와 같이, 판 스프링(56)과 함께 하나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 요소(41)는 판 스프링(56)과 해제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판 스프링(56)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상태 또는 결합 위치(C)를 확립하기 위한 작동 원리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도록 선행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선회축(S)으로부터 판 스프링(56)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판 스프링(56)의 연장부를 따라서 자유 단부(55)로부터 시작하여 부착 단부(57)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부착 단부(57)를 자유 단부(55)와 연결하는 직선은 선회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연장되고, 예에 따르면 구동 요소(35)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작동 디바이스(33)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50)는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한 판 스프링(56)에 의해 다시 형성된다. 선행 실시예와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판 스프링(56)이 작동 요소(34)가 부착된 부착 단부(57)로부터 자유 단부(55)까지 호 형상의 곡선화된 방식으로 연장된다는 점이며, 결합 요소(41)는 2개의 단부(55, 57) 사이의 판 스프링(56)의 중앙 섹션(58)에 배열된다.
자유 단부(55)는 제1 죠오(22)의 생크 섹션(25) 상에 배열된 카운터 지지체(59) 상의 분리 위치(D)에서 지지된다. 분리 위치(D)에서, 결합 요소(41)는 완전히 결합 오목부(42)의 외부에 위치되고, 선회축(S)에 직각으로 또는 반경 방향으로 이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판 스프링(56)의 곡률은 선회축(S)을 향하는 측면에서 오목하고, 따라서 선회축(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볼록하다. 분리 위치(D)에서, 편향 디바이스(49)의 판 스프링(56)은 동시에 작동 요소(34)를 제2 초기 위치(A2)로 다시 압박하기 위해 제2 재설정 요소(48)를 형성한다. 이러한 효과는 도 1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리 위치(D)에서, 작동 요소(34)가 제2 초기 위치(A2)로부터 멀어지게 선회되면, 판 스프링(56)은 부착 단부(57)와 카운터 지지체(59) 사이에서 지지되고, 그러므로 그 초기 상태와 비교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예에 따라서 구부러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동 요소(34)에 작용하고 이를 제2 초기 위치(A2)를 향한 방향으로 다시 압박하는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는 재설정 효과 또는 재설정 토크가 생성된다. 도 1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작동 요소(34)가 제2 초기 위치(A2)로부터 변위되는 동안 결합 상태 또는 결합 위치(C)가 확립될 수 없다.
작동 요소(34)가 제2 초기 위치(A2)에 있고 구동 요소(35)가 제1 초기 위치(A1)에 있으면, 결합 상태 또는 결합 위치(C)의 확립이 허용된다. 죠오(22, 23)들이 개방 위치(I)에서 폐쇄 위치(II)로 이동되면, 제2 죠오(23)의 생크 섹션(25)과, 이 예에 따른 돌출부(60)는 판 스프링(56)의 중앙 섹션(58)과 접촉하고 결합 요소(41)를 결합 오목부(42) 안으로 이동시킨다. 결합 위치(C)가 확립된다. 도 1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에 의해 판 스프링(56)의 자유 단부(55)는 카운터 지지체(59)로부터 동시에 분리된다. 자유 단부(55)는 폐쇄 위치(Ⅱ)에 도달할 때 카운터 지지체(59)로부터 제2 죠오(23)와의 접촉으로 인해 들어올려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회축(S)을 중심으로 작동 요소(34) 및 결합된 구동 요소(35)의 공통의 이동이 카운터 지지체(59)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결합 상태 또는 결합 위치(C)가 설정되면, 그리고 후속적으로 선회축(S)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요소(34) 및 구동 요소(35)의 이동이 수행되면, 작동 요소(34)에 안착된 결합 요소(41)는 결합 위치(C)가 유지되도록 구동 요소(35) 상의 결합 오목부(42) 내부에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구동 요소(35)가 제1 초기 위치(A1)에 도달하고 작동 요소(34)가 제2 초기 위치(A2)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죠오(22, 23)들은 개방 위치(I)를 취하거나 또는 개방 위치(I)로 되면, 결합 위치(C)가 유예될 수 있다. 초기 위치(A1, A2)들 외부에서, 편향 디바이스(49)에 의해 결합 요소(41)에 작용하는 힘이 충분히 낮아서, 초기 위치(A1, A2)들 외부에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의 클램핑력으로 인해, 결합 위치(C)의 유예가 일어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언급된 재설정 디바이스(46)는 모든 실시예, 특히 도 8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2 재설정 요소(48)는 편향 디바이스(49), 및 예에 따르면 판 스프링(56)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재설정 요소(47)는 도 4 및 도 5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돌출부(60) 또는 다른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이 제2 죠오(23)의 생크 섹션(25) 상에 형성될 수 있어서, 폐쇄 위치(Ⅱ)에서, 결합 오목부(42) 내로의 결합 요소(41)의 이동은 결합 위치(C)의 생성을 위해 허용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수술 기구(20)는 옵션으로서, 전기 수술 기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수술 기구는 예를 들어 모노폴라 또는 바이폴라 전기 수술 기구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구(20)는 전기 연결 디바이스(65)(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전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죠오들 중 하나, 및 예에 따르면 제2 죠오(23)의 내부에서 전기 도체 디바이스가 연장되며, 도구(30) 및/또는 조직 접촉 표면(27)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도체 디바이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클램핑된 조직은 혈관 밀봉의 목적을 위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외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힌지 방식으로 서로 배열되는 제1 죠오(22) 및 제2 죠오(23)를 가지는 수술 기구(20)에 관한 것이다. 도구(30)는 도구 채널(31)에서, 바람직하게 제1 죠오(22) 내에서 또는 상에서 길이 방향(L)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 디바이스(33)에 의해, 도구(30)는 길이 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작동 요소(34) 및 구동 요소(35)는 작동 디바이스(33)의 일부이고, 바람직하게 제1 죠오(22) 상에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결합 디바이스(40)에 의해, 회전 결합은 작동 요소(34)와 구동 요소(35) 사이에서 확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죠오(22, 23)들이 폐쇄 위치(Ⅱ)에서 이동되는 토크 방지 결합이 확립된다.
20 : 전기 수술 기구 21 : 힌지
22 : 제1 죠오 23 : 제2 죠오
24 : 죠오 섹션 25 : 생크 섹션
26 : 핸들 부분 27 : 조직 접촉 표면
30 : 도구 31 : 도구 채널
32 : 나이프 33 : 작동 디바이스
34 : 작동 요소 35 : 구동 요소
36 : 전달 디바이스 37 : 전달 요소
40 : 결합 디바이스 41 : 결합 요소
42 : 결합 오목부 46 : 재설정 디바이스
47 : 제1 재설정 요소 48 : 제2 재설정 요소
49 : 편향 디바이스 50 : 스프링 요소
51 : 헬리컬 스프링 52 : 링 단차부
53 : 헤드 부분 54 : 가요성 스프링
55 : 가요성 또는 판 스프링의 자유 단부
56 : 판 스프링 57 : 판 스프링의 부착 단부
58 : 판 스프링의 중앙 섹션 59 : 카운터 지지체
60 : 돌출부 61 : 지지체
62 : 잠금 개구 65 : 전기 연결 디바이스
66 : 전기 라인 I : 개방 위치
Ⅱ : 폐쇄 위치 A1 : 제1 초기 위치
A2 : 제2 초기 위치 C : 결합 위치
D : 분리 위치 L : 길이 방향
S : 선회축

Claims (15)

  1. 수술 기구(20)로서,
    - 힌지 방식으로 서로 지지되고 개방 위치(I)와 폐쇄 위치(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제1 죠오(22) 및 제2 죠오(23),
    - 상기 제1 죠오(22) 상에서 또는 내에서 안내되는 방식으로 길이 방향(L)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도구(30),
    - 상기 제1 죠오(22) 상에서 선회축(S)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에 의해 구동 요소(35)가 상기 도구(30)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요소(34) 및 상기 구동 요소(35), 및
    - 결합 위치(C)와 분리 위치(D)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결합 위치(C)에서 상기 작동 요소(34)와 상기 구동 요소(35) 사이에서 회전 결합을 확립하고 상기 분리 위치(D)에서 상기 작동 요소(34)와 상기 구동 요소(35)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결합 요소(41)를 포함하는 결합 디바이스(40)를 포함하는, 수술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41)는 상기 제2 죠오(23)에 의해 이동 가능한, 수술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죠오(23)는 상기 죠오(22, 23)들이 상기 폐쇄 위치(Ⅱ) 내로 서로에 대해 선회되면 상기 분리 위치(D) 밖으로 상기 결합 위치(C) 내로 상기 결합 요소(4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수술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35)는 상기 결합 위치(C)에서 상기 결합 요소(41)가 그 안으로 돌출되는 결합 오목부(42)를 포함하는, 수술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41)는 상기 결합 위치(C)와 상기 분리 위치(D) 사이에서 병진하여 이동 가능한, 수술 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41)는 상기 결합 위치(C)와 상기 분리 위치(D)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는, 수술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41)를 상기 분리 위치(D)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상기 결합 요소(41)에서 생성하도록 구성된 편향 디바이스(49)가 제공되는, 수술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디바이스(49)는 상기 편향력을 생성하는 스프링 요소(50)를 포함하는, 수술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50) 및 상기 결합 요소(41)는 서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수술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50) 및 상기 결합 요소(41)는 일체로 형성되는, 수술 기구.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50)는 선회축(S)을 중심으로 호 형상의 방식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스프링(54)이거나, 또는 상기 스프링 요소(50)는 판 스프링(56)인, 수술 기구.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50)는 헬리컬 스프링(51)인, 수술 기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위치(A1, A2)에서 상기 작동 요소(34) 및/또는 상기 구동 요소(35)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재설정 디바이스(46)가 제공되는, 수술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디바이스(46)는 상기 구동 요소(35)를 상기 초기 위치(A1)로 압박하는 제1 재설정 요소(47), 및 상기 작동 요소(34)를 상기 초기 위치(A2)로 압박하는 제2 재설정 요소(48)를 포함하는, 수술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설정 요소(47)는 상기 구동 요소(35)와 상기 도구(30) 사이에 배열된 탄성 변형 가능한 전달 요소(37)에 의해 형성되는, 수술 기구.
KR1020210147742A 2020-11-12 2021-11-01 전기 수술 기구 KR202200648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7244.3A EP4000541B1 (de) 2020-11-12 2020-11-12 Chirurgisches instrument
EP20207244.3 2020-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97A true KR20220064897A (ko) 2022-05-19

Family

ID=7340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742A KR20220064897A (ko) 2020-11-12 2021-11-01 전기 수술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42698A1 (ko)
EP (1) EP4000541B1 (ko)
JP (1) JP2022077977A (ko)
KR (1) KR20220064897A (ko)
CN (1) CN114469318A (ko)
BR (1) BR102021021776A2 (ko)
PL (1) PL400054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240B1 (de) * 2021-04-19 2023-11-15 Erbe Elektromedizin GmbH Klingenkartusche für ein chirurgisches instrument
CN115607267B (zh) * 2022-10-21 2024-03-29 南京首量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重复使用高频电外科闭合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7372B2 (en) 2010-10-01 2015-04-28 Covidien Lp Blade deployment mechanisms for surgical forceps
US9192421B2 (en) * 2012-07-24 2015-11-24 Covidien Lp Blade lockout mechanism for surgical forceps
US9962221B2 (en) * 2013-08-07 2018-05-08 Covidien Lp Bipolar surgical instrument
US10130410B2 (en) 2015-04-17 2018-11-20 Ethicon Llc Electro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a cutting member decouplable from a cutting member trigger
US10213250B2 (en) 2015-11-05 2019-02-26 Covidien Lp Deployment and safety mechanisms for surgical instruments
US10973567B2 (en) * 2017-05-12 2021-04-13 Covidien Lp Electrosurgical forceps for grasping, treating, and/or dividing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21021776A2 (pt) 2022-05-24
JP2022077977A (ja) 2022-05-24
CN114469318A (zh) 2022-05-13
EP4000541A1 (de) 2022-05-25
EP4000541B1 (de) 2023-05-03
US20220142698A1 (en) 2022-05-12
PL4000541T3 (pl)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280B2 (en) Blade lockout mechanism for surgical forceps
JP6556896B2 (ja) 組織切断及び封止装置
US5954746A (en) Dual cam trigger for a surgical instrument
EP2688496B1 (en) Energy-based scissors device
JP5517328B2 (ja) 大きな組織構造のための内視鏡的血管シーラーおよびデバイダー
US8540624B2 (en) Instrument for endoscopic surgery
US8808288B2 (en) Surgical forceps including belt blade reverser mechanism
US20060190035A1 (en) Latching mechanism for forceps
JP5611843B2 (ja) 外科用機器及び外科用機器組立体に対するハンドル
JP4652294B2 (ja) 柔順なシャフトを有する手術用具
KR20220064897A (ko) 전기 수술 기구
US20060079933A1 (en) Latching mechanism for forceps
US20140188159A1 (en) Surgical tool
EP0543107B1 (e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s and jaw structure
JPH04246344A (ja) 内視鏡検査向き外科用器具
US11925374B2 (en) Laparoscopic instrument
US20230053807A1 (en) Drive rod and knife blade for an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
WO2022018417A1 (en) Actuator handle for surgical tools
PL239735B1 (pl) Instrument laparoskopowy
CA2428706A1 (en) Handle for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s and jaw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