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279A -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 - Google Patents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279A
KR20220064279A KR1020210063302A KR20210063302A KR20220064279A KR 20220064279 A KR20220064279 A KR 20220064279A KR 1020210063302 A KR1020210063302 A KR 1020210063302A KR 20210063302 A KR20210063302 A KR 20210063302A KR 20220064279 A KR20220064279 A KR 2022006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functional coating
parts
bulletproof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관
Original Assignee
(주)와이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지엠 filed Critical (주)와이지엠
Publication of KR2022006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32B2571/02Protective equipment defensive, e.g. armour plates, anti-ballistic clot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기능성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기능성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위시트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바인더, 내화성보강제 및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규산염계 화합물,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내화성보강제는 알루미나(alumina), 토르말린(tourmaline), 흑연(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Description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 {MANUFACTURING METHOD FOR BULLET PROOF MEMBER HAVING EXCELLENT FIRE RESISTANCE PROPERTY AND BULLET PROOF MEMBER PREPA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에 관한 것이다.
방탄재는 신체에 착용하거나, 구조물에 부착되어 실탄 및 그 파편으로부터 신체 또는 구조물을 방호하기 위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아라미드(aramid) 섬유 또는 고밀도 에틸렌계 섬유를 직조한 패널을 여러 장 적층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아라미드 섬유 또는 에틸렌계 섬유로 직조된 방탄부재의 경우 실탄 등의 운동 에너지 흡수에는 유리하지만, 화재 발생시 불에 타거나 녹는 등 내화력이 상당히 낮은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방탄부재의 내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로 직조된 패널기재 상에 스테인레스 등의 내화성 소재를 추가 적층하고 있으나, 이 경우 지나치게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동수단에 장비하거나 인체에 착용 및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34562 호(2020.03.31. 공개, 발명의 명칭: 방폭판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화염 전파에 의한 방탄부재의 두께 방향 열전도 속도는 최소화하되, 면방향 열전달 속도를 극대화하여 내화성, 방열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탄부재 흑연 성분의 이탈 및 비산을 방지하며, 방탄부재의 외관 품질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성, 내식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탄시 실탄 및 그 파편의 운동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하여, 방탄 성능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내화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기능성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기능성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위시트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바인더, 내화성보강제 및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규산염계 화합물,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내화성보강제는 알루미나(alumina), 토르말린(tourmaline), 흑연(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이며,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이상이고,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10 W/mK 이하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상기 기재층 및 기능성코팅층 사이에 형성되는 내화보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화보강층은 그라파이트층 및 알루미늄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 팽창흑연 10~60 중량부, 안료 5~50 중량부 및 용제 25~1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은 나트륨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및 리튬실리케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및 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부틸셀로솔브를 1:1~3:1~4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1~10 중량부 및 용제 100~3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알코올계 용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100 중량부, 알루미나(alumina) 1~50 중량부, 토르말린(tourmaline) 0.5~50 중량부, 및 용제 5~30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에테르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아미드계 용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능성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위시트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바인더 및 내화성보강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규산염계 화합물,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내화성보강제는 알루미나(alumina), 토르말린(tourmaline), 흑연(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탄부재이며,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이상이고,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10 W/mK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탄부재는 방탄부재의 두께 방향 열전도 속도는 최소화하되, 면방향 열전달 속도를 최대화하여 내화성, 방열성 및 내염성이 우수하며, 방탄부재 표면의 흑연 성분의 이탈, 비산을 방지하며, 방탄부재의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경량성이 우수하고, 내식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피탄시 실탄 및 그 파편의 운동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하여 방탄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기재층 형성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방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방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방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방탄부재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방탄부재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4의 방탄부재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내화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 9의 내화성 시험 성적서이다.
도 10은 실시예 9의 내화성 시험 성적서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보는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내화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내화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은 (S10)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기능성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기능성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기재층 형성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층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10) 및 섬유시트층(10)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12)을 포함하는 단위시트(14)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20)를 가압하여 형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섬유는, 300,000g/mol 이상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범위에서 내마모성, 열안정성 및 방탄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0,000~5,000,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는 밀도 0.95g/cm3 이하 예를 들면 0.93g/c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량성이 우수하여, 선박용 방탄부재로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섬유시트층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는 100~30000 데니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데니어(denier)"는 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섬유 9000m의 길이가 1g인 경우, 1 데니어로 정의한다. 상기 범위에서 방탄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적층시 단위시트(14)의 섬유시트층(10)과, 단위시트(14)와 바로 인접한 단위시트(14)의 접착층(12)이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시 적층체(20)의 최상부층은, 단위시트(14)의 접착층(12)끼리 접촉하여, 섬유시트층(10)이 최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기재층은 단위시트(14)를 50~100개 적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80~90개 적층한 적층체(20)를 가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적층 수 조건으로 기재층을 형성시, 방탄 효과가 우수하면서, 지나치게 중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위시트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적층은, 인접한 섬유시트층의 섬유 배향이 동일한 방향으로(0°각도) 적층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적층은, 인접한 섬유시트층의 섬유 배향이 90°각도가 되도록 교차하여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교차 적층시 방탄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접착층(12)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매트릭스는 상기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등의 내부에 투입한 다음 가열 및 가압하여 섬유매트릭스를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압은 100~180℃의 온도 및 200~1000kPa의 압력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섬유매트릭스의 기계적 강도 및 방탄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매트릭스를 제조한 다음, 워터젯 가공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섬유매트릭스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섬유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0.1mm~1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성 코팅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바인더(binder), 내화성보강제 및 용제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바인더는 규산염계 화합물,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내화성보강제는 알루미나(alumina), 토르말린(tourmaline), 흑연(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바인더로 규산염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팽창흑연,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은 기능성코팅층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며, 상기 팽창흑연 및 기타 구성 성분의 비산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을 포함시, 팽창흑연 및 안료 등의 성분과 혼합성이 우수하며, 기능성코팅층 형성시 난연성과 내화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은 칼슘실리케이트(Ca2SiO3), 나트륨실리케이트(Na2SiO3), 포타슘실리케이트(K2SiO3) 및 리튬실리케이트(Li2SiO3)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을 포함시, 팽창흑연 및 안료 등의 성분과 혼합성이 우수하며, 기능성코팅층 형성시 난연성과 내화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은 플레이크(flake) 상의 흑연을 황산, 질산 및 과산화수소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이를 900℃ 이상의 온도로 급격하게 열처리하여 발생된 분해가스에 의해, 상기 흑연을 팽창시켜 흑연의 층간 공간을 확장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을 포함시, 화재시 가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열원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난연성 및 내화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팽창흑연은 분말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팽창흑연은 구형, 다면체형, 판형 또는 부정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팽창흑연은 평균크기 또는 평균입경이 3~200㎛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크기"는, 상기 팽창흑연의 "최대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분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팽창흑연은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기능성 코팅제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안료는 레드 계열, 황색/오렌지 계열, 블루 계열, 블랙 계열, 백색 계열, 펄 및 메탈릭 계열 안료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외관 품질이 우수하면서, 기능성 코팅제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2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및 에테르계 용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용제를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구성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물은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4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코올계 용제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코올계 용제는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상기 기능성코팅층의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에테르계 용제로는 3-메톡시부탄올, 메틸셀로솔브(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부틸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에테르계 용제는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보관 안정성과,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상기 기능성코팅층의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기능성 코팅제 구성 성분의 분산성과 혼합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부틸셀로솔브를 1:1~3:1~4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 구성 성분의 저장안정성, 분산성과 혼합성이 우수하며, 상기 기능성코팅층의 표면 품질이 우수히고, 팽창흑연 성분의 이탈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제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부틸셀로솔브를 1:2~3:2~4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코팅층은,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전술한 성분 및 함량의 기능성 코팅제를 도포하고, 80~100℃에서 열처리하여 건조 및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바인더로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하고, 팽창흑연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내화성 및 내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탄소수가 6개 이상인 지방족 디아민과 탄소수 10개 이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아민은 헥사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2-에틸테트라메틸렌디아민, 2-메틸옥타메틸렌디아민,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아민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방족 카르복실산 단량체로는 세바스산, 데카노익산, 도데칸이산, 테트라데칸인산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폴리아마이드 6, 폴리아마이드 11, 폴리아마이드 12, 폴리아마이드 4,6, 폴리아마이드 6,6, 폴리아마이드 6,10, 폴리아마이드 6,12, 폴리아마이드 10,10, 폴리아마이드 10,12 및 폴리아마이드 12,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전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팽창흑연은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우수하며,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6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알코올계 용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는 톨루엔, 벤젠, 자일렌,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및 N-메틸-2-피롤리돈(NMP)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2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우수하며,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90~2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용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코올계 용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여, 상기 기능성코팅층의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3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우수하며,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톨루엔을 1:2~1:6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구성 성분의 저장 안정성, 분산성과 혼합성이 우수하고, 상기 기능성코팅층의 팽창흑연 성분의 이탈 및 비산을 방지하며, 표면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3~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코팅층은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전술한 성분 및 함량의 기능성 코팅제를 도포하고, 50~65℃에서 열처리하여 건조 및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온에서 건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코팅층은 두께가 100㎛~1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로 형성시 내화성 및 난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500㎛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 및 기능성코팅층 사이에 그라파이트층 및 알루미늄층 중 하나 이상의 내화보강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을 포함시, 본 발명의 내화성, 방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팽창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플레이크(flake) 상의 흑연을 황산, 질산 및 과산화수소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이를 900℃ 이상의 온도로 급격하게 열처리하여 발생된 분해가스에 의해, 상기 흑연을 팽창시켜 흑연의 층간 공간을 확장시켜 제조된 팽창흑연을 압축 성형하여 필름(film) 또는 시트(sheet)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층을 형성시, 화재시 가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열원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난연성 및 내화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그라파이트층은 두께가 100㎛~5mm일 수 있다. 상기 두께로 형성시 내화성 및 난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500㎛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루미늄층을 포함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 조건에서도 방탄소재의 우수한 내화성 및 난연성의 확보가 가능하며, 경량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루미늄층은 두께가 100㎛~5mm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내화성 및 난연성이 우수하며, 경량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3mm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필름 형태의 내화보강층을 부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착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조성물의 표면에 그라파이트층 및 알루미늄층 중 하나 이상의 내화보강층을 적층하고 접착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화보강층 사이에도 접착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올레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을 적용시, 상기 내화보강층과 기재층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10~300㎛ 일 수 있다. 상기 두께로 형성시 내화보강층과 기재층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코팅층 및 내화보강층은 1:1~1:6 두께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비로 형성시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내화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내화보강층의 표면에 기능성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기능성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과 내화보강층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의 내화보강층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화보강층은 그라파이트층 및 알루미늄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층 및 내화보강층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기재층 및 내화보강층을 기능성 코팅제에 함침 후, 경화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알루미나, 토르말린 및 용제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100 중량부, 알루미나(alumina) 1~50 중량부, 토르말린(tourmaline) 0.5~50 중량부, 및 용제 5~3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에테르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아미드계 용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알코올계, 에테르계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아미드계 용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아세트아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상온(25℃)에서 액상인 수용성 폴리이미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방열성, 방염성, 내화성,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alumina)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를 포함시, 본 발명의 내화성 및 내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루미나는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 구성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고, 내화성, 방열성 및 내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토르말린(tourmaline)을 포함시, 방탄부재의 두께 방향 열전도 속도는 최소화하되, 면방향 열전달 속도를 최대화하여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토르말린은 상기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고, 코팅층의 경화시 외관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 및 토르말린은, 각각 구형, 타원형, 판형, 다면체형 또는 부정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루미나 및 토르말린은 평균크기가 1~3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균크기는 상기 알루미나 및 토르말린의 직경 또는 최대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의 분산성과 내화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토르말린 및 알루미나는 1:0.5~1:6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상기 코팅제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면서,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경화는 150~400℃ 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경화시 기능성 코팅층의 기계적 겅도와 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0~400℃ 에서 실시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코팅층 및 내화보강층은 1:1~1:6 두께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비로 형성시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는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이상이고,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10 W/mK 이하이다. 상기 조건에서 방탄부재의 두께 방향 열전도 속도는 최소화하되, 면방향 열전달 속도를 최대화하여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의 면방향 및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은 측정기기(KYOTO ELECTRONICS社, QTM 50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탄부재의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미만인 경우, 면방향의 열전달 속도가 낮아 방열성이 저하되어, 방탄부재 용도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탄부재의 면방향 열전도율은 150~220 W/mK 일 수 있다.
상기 방탄부재의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10 W/mK 초과인 경우, 내화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어, 방탄부재 용도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탄부재의 두께방향 열전도율은 2~10 W/mK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220 W/mK 이고,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2~10 W/mK 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내화성 및 방열성이 동시에 우수하여 방탄부재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두께방향 열전도율에 대한 면방향 열전도율이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방탄부재의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90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X축, Y축 방향) 비저항이 5~15 mΩ이며, 두께방향(Z축 방향) 비저항이 800~1800 mΩ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ASTM E162-16에 의거한 전파 인덱스(Is)가 1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ASTM E162-16 시험은, 복사열 에너지원에 의한 재표의 표면 연소성에 대한 시험법이다. 상기 방탄부재에 대하여, 155mm x 450mm 크기의 시편을 4개 준비하고, 60℃의 항온 건조기 내에 24 시간 방치한 후, 온도 23±3℃ 및 습도 50±5%로 설정한 항온 항습기 중에 24 시간 방치하여 전처리한 다음, 측정기기에 설치했다. 상기 시편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래디언트 패널에 대하여, 시편을 설치한 지지틀을 30° 경사 조건으로 설치한다. 그 다음에 시편을 설치한 지지틀과 래디언트 패널 사이의 거리를 상부 12.1cm 및 하부 36.7cm가 조건으로 이격하고, 래디언트 패널은 미리 670±4℃로 가열한다. 그리고 시편의 상부를 버너를 이용하여 점화하여, 화염이 시편 표면에 전해져 가는 전파 속도(Fs값), 배기관의 열 평가 계수(Q값)를 측정하고, Fs값과 Q값에 기반하여 전파 인덱스(Is값)를 산출할 수 있다.
방탄부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방탄부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방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방탄부재(1000)는 기재층(100); 및 상기 기재층(100)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능성코팅층(200);을 포함한다.
기재층(100)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위시트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0.1mm~1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성코팅층(200)은 바인더(binder) 및 내화성보장제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바인더는 규산염계 화합물,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내화성보강제는 알루미나(alumina), 토르말린(tourmaline), 흑연(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중 하나 이상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기능성코팅층(200)은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 팽창흑연 10~60 중량부, 안료 5~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코팅층의 구성 성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기능성코팅층(200)은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코팅층의 구성 성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기능성코팅층(20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알루미나 및 토르마늄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알루미나 및 토르마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토르말린 및 알루미나는 1:0.5~1:6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상기 코팅제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면서,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코팅층은 두께가 100㎛~1mm 일 수 있다. 상기 두께로 형성시 내화성 및 난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500㎛ 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방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방탄부재(2000)는 기재층(100) 및 기능성코팅층(200) 사이에 내화보강층(1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화보강층은 그라파이트층 및 알루미늄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보강층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내화보강층은 두께가 100㎛~5mm일 수 있다. 상기 두께로 형성시 내화성 및 난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mm~3mm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방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방탄부재(3000)는 기재층(100)과 내화보강층(110) 사이에 접착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필름 형태의 내화보강층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올레핀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을 적용시, 상기 내화보강층과 기재층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10~300㎛ 일 수 있다. 상기 두께로 형성시 내화보강층과 기재층 사이의 부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코팅층 및 내화보강층은 1:1~1:6 두께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비로 형성시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는 내화보강층; 및 상기 내화보강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능성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위시트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형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X축, Y축 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이상이고, 두께방향(Z축 방향) 열전도율이 20 W/mK 이하이다. 상기 조건에서 방탄부재의 두께 방향 열전도 속도는 최소화하되, 면방향 열전달 속도를 최대화하여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방탄부재의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미만인 경우, 면방향의 열전달 속도가 낮아 방열성이 저하되어, 방탄부재 용도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탄부재의 면방향 열전도율은 150~220 W/mK 일 수 있다.
상기 방탄부재의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10 W/mK 초과인 경우, 내화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어, 방탄부재 용도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탄부재의 두께방향 열전도율은 2~10 W/mK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두께방향 열전도율에 대한 면방향 열전도율이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방탄부재의 내화성 및 방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90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X축, Y축 방향) 비저항이 5~15 mΩ이며, 두께방향(Z축 방향) 비저항이 800~1800 mΩ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탄부재는 ASTM E162-16에 의거한 전파 인덱스(Is)가 1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0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코팅제 성분은 하기와 같다.
(A): 바인더 (A1) 리튬실리케이트를 사용하였다. (A2)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였다. (A3) 폴리아마이드 수지(폴리아마이드 6)를 사용하였다.
(B) 평균입경이 10~50㎛인 구상의 팽창흑연을 사용하였다.
(C) 안료: 이산화티타늄(TiO2)을 사용하였다.
(D) 용제: (D1) 물을 사용하였다. (D2) 알코올계 용제(이소프로필알코올)를 사용하였다. (D3) 에테르계 용제(부틸셀로솔브)를 사용하였다. (D4)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톨루엔)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1) 기재층 제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을 포함하는 단위시트(Endumax, teijin社 제조)를 준비하였다. 상기 단위시트를 도 1과 같이 86개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내부에 투입하고, 100~180℃의 온도 및 200~1000kPa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두께: 0.5cm의 시트 형태의 기재층(섬유매트릭스)을 제조하였다.
(2) 기능성 코팅층 형성: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을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기재층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제를 도포 후, 80~100℃에서 약 10분 동안 건조 및 경화하여 두께: 200㎛(0.2mm)의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방탄부재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4
상기 기재층 표면에 두께 50㎛(0.05mm)의 아크릴계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에, 팽창흑연을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그라파이트 필름(JAPAN MATEX社 제품)을 이용하여, 상기 아크릴계 접착층 표면에 두께 400㎛(0.4mm)의 그라파이트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그라파이트층 표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된 기능성 코팅제를 도포 후, 80~100℃에서 약 10분 동안 건조 및 경화하여 두께: 200㎛(0.2mm)의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방탄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7 및 비교예 3
(1) 그라파이트층 형성: 상기 기재층 표면에 두께 50㎛(0.05mm)의 아크릴계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에, 팽창흑연을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 그라파이트 필름(JAPAN MATEX社 제품)을 이용하여, 상기 아크릴계 접착층 표면에 두께 400㎛(0.4mm)의 그라파이트층을 형성하였다.
(2) 기능성 코팅층 형성: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을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표면에 도포 후, 50~60℃에서 약 5분 동안 건조 및 경화하여 두께: 200㎛(0.2mm)의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방탄부재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8
폴리이미드 수지 100 중량부, 평균입경 5~50㎛인 구상의 알루미나 1~50 중량부, 평균입경 5~50㎛인 구상의 토르말린 1~50 중량부 및 용제 50~350 중량부를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기재층 및 그라파이트층 표면에 상기 기능성 코팅제를 도포 후, 200~400℃에서 약 15분 동안 건조 및 경화하여 두께: 200㎛(0.2mm)의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방탄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기재층 표면에 두께 50㎛(0.05mm)의 아크릴계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0.3mm 두께의 내화보강층(알루미늄층)을 형성하고, 상기 내화보강층의 표면에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의 기능성 코팅제를 도포 후, 200~400℃에서 약 15분 동안 건조 및 경화하여 두께: 200㎛(0.2mm)의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방탄부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3의 방탄부재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코팅제의 혼합성 및 분산성: 실시예 및 비교예 기능성 코팅제 제조시 구성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4 가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X: 불량).
(2) 방탄부재 외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탄부재의 표면을 관찰하여 하기 4 가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외관 품질 매우 양호하며, 팽창흑연의 박리 또는 비산 없음, ○: 외관 품질 양호하며, 팽창흑연의 박리 또는 비산 없음, △: 외관 크랙 또는 팽창흑연의 박리가 약간 발생, X: 외관 불량, 크랙 또는 팽창흑연의 박리가 심하게 발생).
(3) 열전도율(W/mK)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방탄부재에 대하여, 측정기기(KYOTO ELECTRONICS社, QTM 500)를 사용하여 방탄부재의 면방향과 두께방향에 대한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측정값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방탄부재의 두께방향 열전도율에 대한 면방향 열전도율 값을 계산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4) 내화성 평가(1): 실시예 및 비교예 방탄부재 표면에 LPG 가스 토치를 사용하여 화염을 80초 동안 가한 후, 방탄부재의 기능성 코팅층 표면의 용융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4 가지 기준으로 판정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거의 용융되지 않음, ○: 일부 용융됨, X: 심하게 용융됨).
(5) 부착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방탄부재에 대하여, 크로스 컷 테이프 테스트를 통해 기능성 코팅층의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방탄부재의 표면을 1mm 간격으로 크로스 컷(cross-cut)하여 가로, 세로 각각 10 칸씩 총 100칸을 만든 다음, 상기 크로스 컷한 부위를 테이프로 붙였다 떼어냈을 때 테이프에 떨어져 나온 코팅층의 박리 개수를 확인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6) 내화성평가(2): 실시예 및 비교예 중 실시예 9의 방탄부재에 대하여 ASTM E162-16에 의거하여 내화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ASTM E162-16 시험은, 복사열 에너지원에 의한 재표의 표면 연소성에 대한 시험법이다. 상기 실시예 9에 대하여, 155mm x 450mm 크기의 실시예 9 시편을 4개 준비하고, 60℃의 항온 건조기 내에 24 시간 방치한 후, 온도 23±3℃ 및 습도 50±5%로 설정한 항온 항습기 중에 24 시간 방치하여 전처리한 다음, 측정기기에 설치했다. 상기 시편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래디언트 패널에 대하여, 시편을 설치한 지지틀을 30° 경사 조건으로 설치하였다. 그 다음에 시편을 설치한 지지틀과 래디언트 패널 사이의 거리를 상부 12.1cm 및 하부 36.7cm가 조건으로 이격하고, 래디언트 패널은 미리 670±4℃로 가열하였다. 그리고 시편의 상부를 버너를 이용하여 점화하여, 화염이 시편 표면에 전해져 가는 전파 속도(Fs값), 배기관의 열 평가 계수(Q값)를 측정하고, Fs값과 Q값에 기반하여 전파 인덱스(Is값)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Is값이 35 이하인 경우는 합격이며, Is값이 35를 초과하면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도 5는 실시예 1의 방탄부재 사진이고, 도 6은 실시예 3의 방탄부재 사진이며, 도 6은 실시예 4의 방탄부재 사진이고, 도 8은 실시예 4의 내화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도 5 내지 도 8과,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8은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난 비교예 1~3에 비해 기능성 코팅제 구성 성분의 혼합성과 분산성이 우수하였으며, 방탄부재의 두께 방향 열전도 속도는 최소화하되, 면방향 열전달 속도를 최대화하여 내화성, 방열성 및 내염성이 우수하며, 기능성 코팅층의 부착력과 내구성 또한 우수하여, 방탄부재 표면의 흑연 성분의 이탈, 비산을 방지하여, 방탄부재의 외관 품질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 9의 내화성 시험 성적서이다. 상기 표 5 및 도 9-10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9의 경우 방탄부재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경량성이 우수하고, 기능성 코팅층의 부착력과 내구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엄격한 중규모 시험 규격인 ASTM E162-16 규격에 따른 내화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섬유시트층 12: 접착층
14: 단위시트 20: 적층체
100: 기재층 110: 내화보강층
120: 접착층 200: 기능성코팅층
1000, 2000, 3000: 방탄부재

Claims (7)

  1.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기능성코팅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기능성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위시트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바인더, 내화성보강제 및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규산염계 화합물,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내화성보강제는 알루미나(alumina), 토르말린(tourmaline), 흑연(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이며,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이상이고,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10 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기능성코팅층 사이에 형성되는 내화보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화보강층은 그라파이트층 및 알루미늄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규산염계 화합물 100 중량부, 팽창흑연 10~60 중량부, 안료 5~50 중량부 및 용제 25~1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산염계 화합물은 칼슘실리케이트, 나트륨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및 리튬실리케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및 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부틸셀로솔브를 1:1~3:1~4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100 중량부,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1~10 중량부 및 용제 100~3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알코올계 용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100 중량부, 알루미나(alumina) 1~50 중량부, 토르말린(tourmaline) 0.5~50 중량부, 및 용제 5~30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에테르계, 방향족 탄화수소계 및 아미드계 용제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 제조방법.
  7.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능성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섬유매트릭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섬유매트릭스층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시트층 및 상기 섬유시트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위시트를 두 개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바인더 및 내화성보강제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규산염계 화합물,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및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수지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내화성보강제는 알루미나(alumina), 토르말린(tourmaline), 흑연(graphite) 및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 중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방탄부재이며,
    상기 방탄부재는 면방향 열전도율이 150 W/mK 이상이고,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10 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
KR1020210063302A 2020-11-11 2021-05-17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 KR20220064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122 2020-11-11
KR20200150122 2020-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79A true KR20220064279A (ko) 2022-05-18

Family

ID=8180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02A KR20220064279A (ko) 2020-11-11 2021-05-17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2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746B1 (ko) * 2022-09-20 2023-04-2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곰팡이, 항균, 소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746B1 (ko) * 2022-09-20 2023-04-28 주식회사 일송글로벌 항곰팡이, 항균, 소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코팅직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n et al. Fire‐resistant structural material enabled by an anisotropic thermally conductive hexagonal boron nitride coating
US4061812A (en) Honeycomb-laminate composite structure
US10608224B2 (en) Apparatus with thermally responsive insulator between battery cells
JP5744876B2 (ja) 複合材料の改良
EP0899092B1 (en) Flame-retardant or incombustible decorative laminated sheet
JPH058344A (ja) 支持体を火炎及び/又は熱から保護するための積層体
EP0624462A1 (en) High temperature 1100 degrees C burn-through resistant composite sandwich panel
JPH02500035A (ja) 弾動性材料
Huang et al. Green, tough and highly efficient flame-retardant rigid polyurethane foam enabled by double network hydrogel coatings
US20110011601A1 (en) Fire barrier protection comprising graphitized films
KR20220064279A (ko) 내화성이 우수한 방탄부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방탄부재
Zhao et al. Improved fire retardancy of thermoset composites modified with carbon nanofibers
WO1994004622A1 (en) Improved fire resistant panel
KR102259079B1 (ko) 배터리팩 케이스용 복합소재
US6992027B1 (en) Composite panel with fire resistant face sheets
RU2112845C1 (ru) Огнестойк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80230281A1 (en) Use of inorganic particles to produce a barrier layer on aircraft components
CN107531883B (zh) 树脂组合物、树脂片、树脂固化物和树脂基板
Gajiwala et al. Hybridized resin matrix approach applied for development of carbon/carbon composites—I
KR102440719B1 (ko) 고내열성 섬유 및 페놀수지를 포함하는 내화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S6362726A (ja) ハニカム積層複合構造物
US10370508B1 (en) High temperature chemical compositions and composites produced therefrom
US9669599B1 (en) Galvanic-corrosion-resistant composite material having a self-extingushing barrier layer
WO2002038381A1 (en) Composite panel with fire resistant face sheets
JPH02199190A (ja) 構造物素子用被覆としての含浸マイカ紙組成物の用途及び得られる構造物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