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827A -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827A
KR20220063827A KR1020200149113A KR20200149113A KR20220063827A KR 20220063827 A KR20220063827 A KR 20220063827A KR 1020200149113 A KR1020200149113 A KR 1020200149113A KR 20200149113 A KR20200149113 A KR 20200149113A KR 20220063827 A KR20220063827 A KR 20220063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rts
waist
protector
ch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476B1 (ko
Inventor
권수현
Original Assignee
권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수현 filed Critical 권수현
Priority to KR102020014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4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감싸는 몸체부와, 몸체부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을 조절하는 압박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Sports waist guar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체형에 맞춰 허리를 압박하는 힘을 조절 가능한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보호대 상에 형성된 밸크로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허리를 압박하는 보호대의 강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인체 구조학적 문제로 보호대를 자신의 허리에 감을 시 일정 이상의 힘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강한 힘으로 보호대를 허리에 감아야 할 경우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허리 보호대의 경우 일정 이상의 힘으로 허리를 압박하여야 허리 보호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착용자가 허리 보호대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압박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허리 보호대의 허리 보호 능력을 충분이 활용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허리 보호대를 압박하는 힘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새로운 허리 보호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767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344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의 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주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가능한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 가능한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인체의 허리를 감싸는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을 조절하는 압박력 조절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몸체부(100)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 앞면에 형성되는 제1 밸크로(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 밸크로(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압박력 조절부(20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연결하는 체인부(210)와, 상기 체인부(210)가 체결되는 체인 결합부(220)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체인부(210)가 당겨지거나 풀리는 경로를 형성하는 풀리부(230)와, 상기 체인부(2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손잡이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풀리부(23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1 풀리부(230A)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제1 풀리부(230A)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2 풀리부(2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체인부(210)는 상기 제1 풀리부(230A)와 상기 제2 풀리부(230B)를 교차하는 형태로 제1 풀리부(230A)와 제2 풀리부(230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손잡이부(240)에 의해 당겨져지는 상기 체인부(21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손잡이부(240)는 두께방향 일면에 형성되는 제3 밸크로(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밸크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며 착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센싱부(300)와, 상기 센싱부(3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부(300)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센싱부(300)는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수집하는 근육 수축량 체크부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 수축 시점에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상기 센싱부(300)가 결합된 형태로 상기 몸체부(100)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부(300)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는 착용자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므로, 보호대의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호대 효과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르레 원리를 이용하고 있어 적은 힘으로도 압박하는 힘을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를 몸체부에 부착 가능하므로 손잡이부가 흔들려 운동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저주파로 근육을 자극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운동 효과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스마트장치와 통신하여 스마트장치로 운동 정보를 제공 가능하므로, 착용자가 운동효과를 확인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가 인체의 허리에 착용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내부에 센싱부와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포츠용 보호대의 센싱부가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100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1000)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1000) 내부에 센싱부 및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센싱부가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1000)는 인체의 허리를 감싸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을 조절하는 압박력 조절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부(100)는 허리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여 주기 위해서 일정 이상의 힘으로 허리를 압박하여야 하지만, 단순히 몸체부(100)가 길게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질 경우, 사용자가 몸체부(100)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당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몸체부(100)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압박력 조절부(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몸체부(100)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을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 앞면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길이방향 타측 후면에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체결하여 보호대를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하면, 상기 제1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는 상기 압박력 조절부(200)의 길이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장치의 압박력을 제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서로 체결 가능한 제1 밸크로(1)와 제2 밸크로(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압박력 조절부(20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연결하는 체인부(210)와, 상기 체인부(210)가 체결되는 체인 결합부(220)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체인부(210)가 당겨지거나 풀리는 경로를 형성하는 풀리부(230)와, 상기 체인부(2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손잡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풀리부(23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1 풀리부(230A)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제1 풀리부(230A)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2 풀리부(2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풀리부(230A)는 상기 제1 몸체부(110) 상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풀리부(230B)는 상기 제2 몸체부(120) 상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부(210)가 상기 제1 풀리부(230A)와 상기 제2 풀리부(230B)에 감겨, 사용자가 상기 체인부(210)를 당길 시 도르레의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부(210)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체인 결합부(22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40)를 통해 체인부(210)를 당길 시 체인부(210)가 당겨지는 힘이 제1 풀리부(230A)와 제2 풀리부(230B)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체인부(210)는 단수 개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체인부(210)는 각각 상측에 위치되는 제1 풀리부(230A) 및 제2 풀리부(230B)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 풀리부(230A) 및 제2 풀리부(230B)에 감기고, 상기 제2 몸체부(120)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 상에는 서로 마주보며 연장 형성되는 상기 체인부(210)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밸크로(4)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40)의 두께방향 일면에는 상기 제4 밸크로(4)에 대응되는 제3 밸크로(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40)를 당겨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 후, 손잡이부(240)가 당겨진 상태로 제3 밸크로(3)를 제4 밸크로(4)에 결합하여, 손잡이부(240)가 당겨진 위치에 그대로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10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착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센싱부(300)와, 상기 센싱부(3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부(300)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200)는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수집하는 근육 수축량 체크부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 수축 시점에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싱부(200)의 근육 수축량 체크부에서 근육 수축 정보를 상기 제어부(400)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400)에서 저주파 발생부 및 진동 발생부를 작동시켜, 발생되는 저주파 및 진동이 운동하는 사용자의 몸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장치를 착용한 상태로 운동하는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극대화 하여 준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00)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파악되는 근육 수축 정보를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장치로 송신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파악되는 근육 수축 정보를 기반으로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스마트장치로 파악된 칼로리 소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장치 사용자가 운동하는 과정 또는 운동 후에 스스로 운동 효과를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1000)는 상기 센싱부(300)가 결합된 형태로 상기 몸체부(100)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부(300)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센싱부(300)의 위치가 올바르게 위치되지 않을 경우 센싱부(300)로 인하여 사용자가 운동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주파 자극 및 진동이 인가되는 위치가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위치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부(30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500)는 중앙에 상기 센싱부(300)가 결합되는 가이드부(510) 및 상기 센싱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510)는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5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센싱부(300)가 상기 가이드부(510)를 타고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가 센싱부를 고정하여 운동 중에 센싱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500)는 인체의 체형에 대응하여 벤딩 가능한 플렉시블 한 재질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고무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제1 밸크로 2 : 제2 밸크로
3 : 제3 밸크로 4 : 제4 밸크로
100 : 몸체부 110 : 제1 몸체부
120 : 제2 몸체부
130 : 가이드부
200 : 압박력 조절부 210 : 체인부
220 : 체인 결합부 230 : 풀리부
230A : 제1 풀리부 230B : 제2 풀리부
240 : 손잡이부
300 : 센싱부
400 : 제어부
500 : 위치 조절 플레이트부

Claims (7)

  1. 인체의 허리를 감싸는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가 허리를 압박하는 힘을 조절하는 압박력 조절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부(120)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력 조절부(20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연결하는 체인부(210)와, 상기 체인부(210)가 체결되는 체인 결합부(220)와,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상기 제2 몸체부(12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체인부(210)가 당겨지거나 풀리는 경로를 형성하는 풀리부(230)와, 상기 체인부(2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손잡이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부(23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1 풀리부(230A)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제1 풀리부(230A)와 마주보게 형성되는 제2 풀리부(2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손잡이부(240)에 의해 당겨져지는 상기 체인부(21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40)는 두께방향 일면에 형성되는 제3 밸크로(3)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밸크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며 착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센싱부(300)와, 상기 센싱부(3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부(300)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4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200)는
    사용자의 근육 정보를 수집하는 근육 수축량 체크부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근육 수축 시점에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KR1020200149113A 2020-11-10 2020-11-10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KR10258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113A KR102586476B1 (ko) 2020-11-10 2020-11-10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113A KR102586476B1 (ko) 2020-11-10 2020-11-10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827A true KR20220063827A (ko) 2022-05-18
KR102586476B1 KR102586476B1 (ko) 2023-10-30

Family

ID=8180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113A KR102586476B1 (ko) 2020-11-10 2020-11-10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4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Y1 (ko) 2005-08-05 2005-11-09 이창주 스포츠용 보호대
KR20150049710A (ko) * 2013-10-30 2015-05-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KR101834424B1 (ko) 2015-07-06 2018-03-05 지준 왕 스마트 스포츠 보호 장치
KR20200033079A (ko) * 2018-09-19 2020-03-27 조성수 허리 견인용 벨트
KR20200105124A (ko) * 2019-02-28 2020-09-07 정양담 요추밀착형 허리견인벨트
KR20200111378A (ko) * 2019-03-19 2020-09-29 이현진 다목적 허리통증 치료 벨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Y1 (ko) 2005-08-05 2005-11-09 이창주 스포츠용 보호대
KR20150049710A (ko) * 2013-10-30 2015-05-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KR101834424B1 (ko) 2015-07-06 2018-03-05 지준 왕 스마트 스포츠 보호 장치
KR20200033079A (ko) * 2018-09-19 2020-03-27 조성수 허리 견인용 벨트
KR20200105124A (ko) * 2019-02-28 2020-09-07 정양담 요추밀착형 허리견인벨트
KR20200111378A (ko) * 2019-03-19 2020-09-29 이현진 다목적 허리통증 치료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476B1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2075B2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providing a walking assistance force to a femoral part of a user
US7037284B2 (en) Specific pelvic compression belt
JP2009095645A (ja) 歩行補助装置の大腿部装具
US10729931B2 (en) Garment
JP2006320350A (ja) 歩行補助装置用大腿部装具
KR102063257B1 (ko)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 가능한 의복형 착용 로봇 및 무릎 근력 보조를 위한 의복형 착용 로봇
WO1993021866A1 (en) Body jacket closure
KR101664351B1 (ko) 복부 자동압박복대
CN211382522U (zh) 助力式膝关节外骨骼
KR102020013B1 (ko) 스포츠 의류
KR20220063827A (ko) 스포츠용 허리 보호대
CN111494916A (zh) 一种足踝关节韧带保护具
CN103402465B (zh) 颈部缓解装置及用于颈部缓解装置的帽子
CN209678779U (zh) 一种防驼背心
KR20160037626A (ko) 관절구조를 갖고 관절통증을 완화시키는 발열 관절보호대
KR102055011B1 (ko) 착용형 마사지 장치
CN210747384U (zh) 一种膝关节运动保护器
CN211067248U (zh) 身姿矫正带
EP3453375A1 (en)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bdominal muscles
CN104758102B (zh) 一种拇外翻校正仪
CN204581640U (zh) 一种拇外翻校正仪
CN217744984U (zh) 穿戴式动力装置
CN216824103U (zh) 一种眼部按摩器
CN213666072U (zh) 护眼带
CN220344571U (zh) 一种方便穿戴的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