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494A -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494A
KR20220063494A KR1020200149425A KR20200149425A KR20220063494A KR 20220063494 A KR20220063494 A KR 20220063494A KR 1020200149425 A KR1020200149425 A KR 1020200149425A KR 20200149425 A KR20200149425 A KR 20200149425A KR 20220063494 A KR20220063494 A KR 2022006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rminal
electrode member
water collecting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영글
이현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494A/ko
Priority to PCT/KR2021/012947 priority patent/WO2022102948A1/ko
Priority to EP21892118.7A priority patent/EP4198428A4/en
Publication of KR2022006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494A/ko
Priority to US18/122,261 priority patent/US202302339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6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the gas supply or exhaust being effected through hollow spaces or cores in the materials or objects, e.g. tubes, pipes, 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장치는 처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처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는 집수통 및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으로, 상기 집수통이 상기 본체에 수납시 상기 집수통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집수통이 상기 본체에 수납시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집수통에 일정량의 물이 집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장치 {Dehumidifier}
본 개시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통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를 갖는 제습장치의 경우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통이 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제습장치에는 집수통 내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기존의 센서는 집수통 내에 플로팅 센서를 사용하였는데, 수위가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플로팅 센서도 상승 및 하강을 하게되고, 그에 따라 집수통의 높이가 높아야 했다.
또한, 수위 감지를 위해 센서를 사용한 경우에는 집수통의 장착 및 분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집수통의 수납여부 및 집수통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생산비 및 재료비가 절감되고, 컴팩트하게 설계된 집수통을 포함하는 제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센싱유닛의 사용주기가 길어진 제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장치는 처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처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는 집수통 및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으로, 상기 집수통이 상기 본체에 수납시 상기 집수통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집수통이 상기 본체에 수납시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집수통에 일정량의 물이 집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집수통의 일측에 배치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집수통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는 상기 제1 단자와 접속하는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 단자와 접속하는 제2전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제1전극부재 및 제2전극부재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상기 집수통 내의 수위에 관계없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집수통 내의 일정량의 물이 집수된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는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집수통의 내부로 돌출되는 제3전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재는 상기 집수통 내의 물과 접촉할 경우 상기 본체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제3 단자와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재와 제2전극부재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단자 또는 제3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집수통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의 상측에 마련되는 단자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와 각각 접촉하는 접촉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단자케이스는 상기 접촉부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접촉부들의 상측에서 상기 접촉부들을 가압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통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통은, 상기 본체 내에서 출수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집수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로부터 유출된 물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흐르도록 상기 개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덕트를 지난 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저수될 수 있다.
상기 집수통을 커버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저수영역 및 상기 저수영역에 저수된 물을 센싱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영역으로 돌출되는 저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가이드 덕트로부터 상기 저수영역으로 흐르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저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센서가 저수된 물을 센싱할 경우, 상기 저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 하부에 배치되는 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재를 통해 수위를 감지할 경우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감지센서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장치는 처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처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내에서 냉각 과정을 통해 응축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집수통으로, 상기 집수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집수통 내의 물이 오버플로우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이 아래로 흐르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집수통의 수납여부를 센싱하는 센싱 유닛 및 상기 가이드 덕트로부터 흐른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집수통 아래에 배치되는 저수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저수영역에 저수된 물을 센싱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영역으로 돌출되는 저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전극부재와 제2전극부재의 통전 여부에 기초하여 본체에 수납되는 집수통을 감지하고,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제3전극부재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전극부재가 통전되면, 상기 제1전극부재, 상기 제2전극부재 및 상기 제3전극부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의 개방을 센싱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를 센싱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전극부재, 상기 제2전극부재 및 상기 제3전극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집수통에 설치되는 센서가 집수통의 수납여부 및 집수통 내의 수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생산비 및 재료비가 절감되고 집수통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집수통 내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의 사용주기가 길어지므로 유지 관리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전면에서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Ⅵ-Ⅵ'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Ⅶ-Ⅶ'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Ⅷ-Ⅷ'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장치의 도어를 열었을 때 내면이 보이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을 정의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습장치는 의류관리기 또는 신발관리기 등 어떤 공간의 제습을 처리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신발 관리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전면에서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23) 등을 통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신발 관리실(30)의 내부를 마주보는 면에 마련되는 걸이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걸이부재(21)는 후술할 신발지지장치(50)의 손잡이(55)를 걸어 신발지지장치(5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을 거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어(20)는 신발 관리기(1)의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리하고자 하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에서 신발에 따른 알맞은 관리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발 관리실(30)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신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어(20)의 하부에는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2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24)는 리드스위치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24)가 리드스위치라면 도어 폐쇄시 자력이 유지되고, 개방시 자력이 끊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00)가 도어(20)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개폐감지센서(24)의 위치는 도어(20) 하부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은 개폐감지센서(24)가 본체(10) 내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신발 관리실(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신발을 지지시키도록 마련되는 신발지지장치(50)를 포함 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12)는 케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본체(10)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면의 길이와 제2방향(Y)으로 연장되는 측면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의 길이(L1)가 측면의 길이(L2) 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좁은 현관의 경우에도 신발 관리기(1)가 용이하게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전면의 길이는 제1길이(L1)가, 측면의 길이는 제2길이(L2)가 될 수 있다.
본체(10)는 신발 관리실(30)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는 열교환기(47) 등이 마련되는 기계실(40)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내부케이스(12)에 마련되는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내부케이스(1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처리실(30)이라 지칭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12)는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기(1)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신발의 측면이 보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면의 길이를 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이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수통(120)이 설치될 수 있다. 집수통(120)은 신발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통(120)은 열교환기(47)에 의한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40)은 신발 관리실(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집수통(120)은 기계실(4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47)는 필요에 따라 신발 관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47)는 신발 관리실(30)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7)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42), 응축기(43) 및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47)의 증발기(42)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압축기(41)를 거쳐, 응축기(43)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의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증발기(42)와 응축기(43)가 열교환 기능을 하게 되어, 송풍팬(44)에 의해 기계실(40)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42)와 응축기(43)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송풍팬(44)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덕트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실(40)에 설치되는 열교환기(47)는 증발기(42), 응축기(43) 및 송풍팬(44)을 연결하는 연결덕트(46)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덕트(46)는 신발 관리실(30)에 연결되어 신발 관리실(30)과 연결덕트(46) 사이를 순환하는 연결유로(46a)를 형성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급수통(미도시)과 스팀발생장치(미도시)와 스팀분사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통은 신발 관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통의 물은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급수통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기계실(40)에는 급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는 급수통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을 스팀분사장치(미도시)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42), 응축기(43) 및 송풍팬(44)은 공기가 제1방향(X)으로 흐르도록 제1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장치도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방향(X)으로 배열됨으로써 측면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현관에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탈취장치(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취장치(45)는 기계실(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탈취장치(45)는 연결덕트(46) 내에 배치되어 신발 관리실(30)을 지난 공기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도면에서 탈취장치(45)는 송풍팬(44)의 우측에 마련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송풍팬(44)의 좌측에도 마련될 수 있다.
탈취장치(45)는 탈취필터(45a) 및 살균램프(45b)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필터(45a)는 세라믹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램프(45b)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취필터(45a)는 공기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살균램프(45b)도 균을 살균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거치플레이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플레이트(90)는 신발을 거치하기 위해 신발 관리실(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플레이트(90)는 덕트 플레이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플레이트(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유로(90b)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유로(90b)를 지나는 가열 공기는 덕트 플레이트(90)의 분사포트(90a)와 원형덕트(91)의 분사포트(91a) 각각에서 신발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가열 공기는 내부 유로(90b)를 지나 신발지지장치(50)의 유입구를 통해 신발 관리실(30)로 유입 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공급포트(60) 및 배출구(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포트(60)는 내부케이스(12)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급포트(60)는 신발 관리실(30)의 좌측면(12c)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우측면(12d)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급포트(6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신발 관리실(30)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신발을 건조시킬 수 있다. 공급포트(60)의 형상은 원형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 관리실(30) 내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신발을 건조시킬 수 있다면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31)는 신발 관리실(30)의 하면(1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 관리실(30)의 하면(12b) 후방 및 측방에도 배치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에서 신발을 건조시킨 공기는 배출구(31)를 통해 후술할 연결덕트(46)로 흐를 수 있다.
배출구(31)는 배출 홀(31a)과 배출그릴(31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 공기가 원활하게 연결덕트(46)로 공급될 수 있다면 상기한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연결덕트(46)는 신발 관리실(30)의 측면 덕트(70)와 배출구(3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덕트(46)의 일단은 측면 덕트(7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배출구(31)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구(3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습되어 측면 덕트(70)와 공급포트(60)를 통해 신발 관리실(30)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측면 덕트(70)는 신발 관리기(1)의 전면이 길고 측면이 짧게 하도록 하기 위해 제2방향(Y)으로 내부케이스(12)의 측벽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덕트(70)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포트(60)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연결덕트(46)와 연결될 수 있다. 측면 덕트(70)는 가열 공기가 공급포트(60)로 이동하기 위해 마련되는 측면 유로(71)를 형성할 수 있다.
신발 관리실(30)은 신발지지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발지지장치(50)는 내부케이스(12)의 측벽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의 좌측면(12c)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면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에 우측면(12d)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신발지지장치(50)는 신발 관리실(30)에서 분리가 가능하므로 후술할 롱 부츠용 신발거치장치(미도시)를 신발 관리실(30)에 설치하거나 거치플레이트(90)에 신발을 놓아두는 경우에 신발지지장치(50)를 분리시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습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는 집수통(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집수통(120)을 상부에서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집수통(120)이 안착되는 안착영역(111)과, 집수통(120)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이 흘러 저수되는 저수영역(112)과, 집수통(120)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이 저수영역(112)으로 흐르도록 하는 저수유로(113)와, 커버 플레이트(130)와 결합하도록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114)와, 집수통(120)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영역(111)은 집수통(120)의 하부케이스(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21)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영역(11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수영역(112)은 집수통(120)의 상측에 마련된 개구(124)에서 배출된 물이 저수유로(113)를 통해 저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수영역(112)의 상측은 커버 플레이트(1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후술할 저수센서(170)는 저수영역(112)에 오버플로우된 물이 있는지 센싱하여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수유로(113)는 안착영역(111)에서 저수영역(112)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배수홀(121b)을 통해 하측으로 떨어지는 물은 저수유로(113)를 통해 저수영역(112)으로 흐를 수 있다.
제1결합돌기(114)는 커버 플레이트(130)에 마련되는 결합리브(133)와 결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커버 플레이트(1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결합돌기(115)는 하부케이스(121)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는 단자(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돌기(131)와, 커버 플레이트(130) 전단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132)와, 제1결합돌기(114)와 결합되는 결합리브(133)와, 저수센서(170)가 삽입되는 결합홀(134)과, 단자(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131)는 단자(140)가 커버 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돌기(131)는 단자(140)에 마련되는 체결홀과 결합하여 단자(140)를 커버 플레이트(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돌기(131)는 하나의 단자(140)와 결합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돌기(131)는 복수의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40)가 3개로 마련되었기 때문에 체결돌기(131)는 좌우방향(X방향)을 따라 3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체결돌기(131)의 개수는 상기한 예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자(14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양한 개수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강도 보강부(132)는 커버 플레이트(130) 전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강도 보강부(132)는 커버 플레이트(130)의 상측에 마련되는 신발 관리기의 각종 구성들로부터 전극부재(100) 등 다양한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강도 보강부(132)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합리브(133)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1결합돌기(114)와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133)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리브(13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홀(134)은 저수센서(170)가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홀(134)의 상부에는 저수센서(170)와 결합되어 저수센서(17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64)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35)는 후술한다.
신발 관리기는 집수통(120) 및 센싱 유닛(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커버 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집수통(120) 및 센싱 유닛(1000)이 배치될 수 있다.
집수통(120)은 하부케이스(121)와 상부케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2)와 하부케이스(121)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부케이스(122) 및 하부케이스(12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집수통(120)이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부케이스(122)와 하부케이스(121) 및 이에 결합된 구성들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집수통(120)이 본체(10)에서 분리되더라도 커버 플레이트(130)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본체(1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버 플레이트(130)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구성도 본체(10)에 장착된 채로 남아있다.
하부케이스(121)는 집수영역(121a)과 배수홀(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영역(121a)은 열교환기(47)와 연결되어 배수배관(49)을 통해 열교환기(47)로부터 배출된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수영역(121a)은 하부케이스(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수홀(121b)은 하부케이스(12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벽(121c)의 상단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124)와 가이드 유로(123a)로부터 배수된 물은 배수홀(121b)을 통해 저수유로(113)를 지나 저수영역(112)으로 흐를 수 있다.
상부케이스(122)는 하부케이스(121)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상부케이스(122)의 상부에 마련되는 개구(124)와, 개구(124)와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123)와, 상부케이스(122)의 상부에 마련되며 전극부재(100)가 삽입되는 삽입홀(125)과, 상부케이스(122)의 상면과 단차를 갖는 단차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24)는 집수통(120)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이 가이드 덕트(123)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23)는 가이드 유로(123a)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홀(125)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125a)은 제1삽입홀(125a), 제2삽입홀(125b), 제3삽입홀(12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홀(125a)에는 제1전극부재(101)가 삽입될 수 있고, 제2삽입홀(125b)에는 제2전극부재(102)가 삽입될 수 있고, 제3삽입홀(125c)에는 제3전극부재(103)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홀(125)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극부재(10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집수통(12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1000)과, 저수영역(112)의 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유닛(1000)은 전극부재(100)와, 단자(140)와, 연결단자(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재(100)는 집수통(12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부재(100)는 집수통(12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전극부재(1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극부재(100)는 제1전극부재(101), 제2전극부재(102), 제3전극부재(1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복수의 전극부재(100)는 집수통(120)의 내부로 돌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전극부재(101) 또는 제2전극부재(102) 중 적어도 하나와 제3전극부재(103)가 집수통(120) 내부로 돌출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집수통(120)이 본체(10)에 수납되었는지 여부 및 집수통(120) 내 수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전극부재(101) 또는 제2전극부재(102) 중 적어도 하나만 집수통(120) 내부로 돌출되고, 제1전극부재(101) 또는 제2전극부재(102) 중 다른 하나는 집수통(120) 내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극부재(100)의 개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부재(100)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전극부재(101)와 제3전극부재(103)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전극부재(102)는 제1전극부재(101)와 제3전극부재(103) 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반대로, 제2전극부재(102)와 제3전극부재(103)의 높이가 동일하고, 제1전극부재(101)는 제2전극부재(102)와 제3전극부재(103) 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재(100)는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전극부재(100)는 전극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극부재(100)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부재(101)와 제2전극부재(10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자(140)는 전극부재(100)와 접촉하도록 전극부재(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140)는 전극부재(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14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단자(140)는 제1 단자(141), 제2 단자(142), 제3 단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140)는 체결돌기(131)가 삽입되도록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은 체결돌기(131)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자(161)는 전극부재(100)와 상부케이스(12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단자(161)는 제1전극부재(101)와 제2전극부재(102)와 각각 결합하여 제1전극부재(101)와 제2전극부재(102)가 통전되도록 할 수 있다. 와셔(162)는 제3전극부재(103)와 돌출부(1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단자(140)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단자케이스(150)와, 와셔(162)와, 상부케이스(122)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손잡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케이스(150)는 단자(140)를 상부에서 커버할 수 있다. 단자케이스(150)는 단자(140)의 상부 및 좌우측부를 커버하여 단자(1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180)는 집수통(120)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집수통(120)을 인출하거나 본체(10)에 장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18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Ⅵ-Ⅵ'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Ⅶ-Ⅶ' 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자(140)는 본체(10)와 연결되는 연결부(140b)와, 전극부재(100)와 접촉하는 접촉부(140d)와, 연결부(140b) 및 접촉부(140d)의 사이에 마련되는 경사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재(100)는 제1전극부(101a)와, 제2전극부(101b)와, 제3전극부(10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부(101a)는 가장 하측에 마련되어 헤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전극부(101a)의 일부는 돌출부(127)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전극부(101b)는 제1전극부(101a)와 제3전극부(101c) 사이에 마련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전극부(101b)는 돌출부(127)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3전극부(101c)는 복수의 전극부 중 가장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3전극부(101c)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127) 및 단차부(126) 내에 삽입되며 단자(140)와 접촉할 수 있다. 제3전극부(101c)는 단자(140)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연결단자(161)는 전극부재(100)는 상부케이스(122)의 돌출부(127)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단자(161)와 돌출부(127)의 사이에는 패킹부재(16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본체(10)로부터 제1 단자(141)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본체(10)에 집수통(12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제1 단자(141)와 제1전극부재(101)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1전극부재(101)에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체(10)에서 집수통(120)이 장착될 경우, 제1 단자(141)는 제1전극부재(101)와 접촉하고 제1전극부재(101)에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제1전극부재(101)로 흐른 전기적 신호는 연결단자(161)를 통해 제2전극부재(102)로 흐를 수 있다. 제2전극부재(102)로 흐른 전기적 신호는 제2 단자(142)로 흐를 수 있다. 제2 단자(142)로 흐른 전기적 신호는 다시 본체(10)로 흐를 수 있다. 즉, 본체(10)에 집수통(120)이 장착될 경우 본체(10)가 제1 단자(141)로 보낸 전기적 신호가 제2 단자(142)를 통해 되돌아 오므로 신발 관리기는 집수통(12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2)에 이러한 집수통(120)의 장착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집수통(12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가 되돌아오지 못하므로 디스플레이부(22)에 집수통(120)이 장착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가 작동되면 열교환기(47)는 신발 관리실(30) 내부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47)는 신발 관리실(30)에서 배출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열교환기(47)는 응축수를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기(47)를 통해 형성된 응축수는 배수배관(49)과 배수홀(121b)을 통해 집수통(120)에 저장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가 지속해서 작동하면 집수통(120) 내의 수위는 소정의 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집수통(120) 내의 응축수와 전극부재(100)가 접촉할 수 있다.
즉, 집수통(120) 내의 응축수와 복수의 전극부재(100)가 접촉할 수 있다. 제1전극부재(101)는 본체(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으므로 집수통(120) 내의 물을 통해 제3전극부재(103)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전극부재(102) 및 제3전극부재(103)가 모두 전기적 신호를 본체(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10)는 이를 감지하여 집수통(120) 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 이상이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2)에 집수통(120)의 수위가 높아짐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2)는 집수통(120)의 물비움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집수통(120)에 저장된 물을 비워야 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전극부재(102)와 제3전극부재(103)가 제1전극부재(10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전극부재(102)와 제3전극부재(103)가 제1전극부재(101) 보다 높이가 길 수 있다. 집수통(120) 내의 응축수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여 제2전극부재(102)와 응축수가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제3전극부재(103)도 응축수와 접촉한다면, 제1전극부재(101)에서 연결단자(161)를 통해 제2전극부재(102)로 계속해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므로, 제2전극부재(102)에서 응축수를 통해 제3전극부재(103)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프로세서(20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유닛(1000)이 집수통(120)이 본체(10)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시에 집수통(12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센서가 필요없으므로 제습장치 생산시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전극부재(100)의 사이즈가 길어야 할 필요는 없으므로 집수통(120)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는 지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5)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35)는 단자(1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2)는 손잡이(180)와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0b)는 본체(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거나 본체(1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140b)는 접촉부(140d)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140d)는 전극부재(1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거나 전극부재(10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접촉부(140d)는 연결부(140b) 보다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140c)는 연결부(140b)와 접촉부(140d)의 중간에 마련되어 연결부(140b)와 접촉부(140d)를 연결시킬 수 있다.
단자케이스(150)는 제1부분(151)과, 제2부분(152)과, 제3부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51)은 단자(140)의 연결부(140b)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40b)가 손상되지 않고 연결부(140b)와 본체(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부분(152)은 제1부분(151)과 제3부분(153)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부분(153)은 단자(140)의 접촉부(140d)를 커버하도록 접촉부(140d)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부분(153)은 접촉부(140d)가 상측으로 휘어서 정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촉부(140d)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3부분(153)은 이탈 방지부(153)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주요 구성을 Ⅷ-Ⅷ' 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2)의 물 비움 표시를 보고도 집수통(120)에 저장된 물을 비우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신발 관리기가 계속 작동하는 경우 집수통(120)에는 계속해서 응축수가 저장되고 수위가 점점 더 높아질 수 있다. 집수통(120) 내의 수위가 개구(124) 보다 높은 수위까지 도달한 경우 응축수는 오버플로우되어 가이드 덕트(123)가 형성하는 가이드 유로(123a)로 흐를 수 있다. 가이드 덕트(123)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가이드 유로(123a)와 저수유로(113)는 연결될 수 있다. 즉, 개구(124)로 빠져나와 가이드 유로(123a)로 흐른 물은 저수유로(113)로 흐를 수 있다. 저수유로(113)도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므로 저수유로(113)를 흐른 물은 저수영역(112)으로 흐를 수 있다. 즉, 저수영역(112)에는 집수통(120)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저수영역(112)에 저장된 물을 감지하는 저수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센서(170)는 저수영역(112)의 물을 감지하여 저수영역(112)에 물이 존재함을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속히 집수통(120) 물을 비워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저수센서(17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는 프로세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제1 단자(141)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단자(142)에서 전기적 신호가 되돌아 오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이를 인식하여 집수통(120)이 장착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00)는 디스플레이부(22)에 집수통(120)의 장착여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를 제어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단자(142)에서 전기적 신호가 되돌아 온다면 프로세서(200)는 집수통(120)이 장착됨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22)에 집수통(120)의 장착여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3전극부재(103)와 제3 단자(143)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프로세서(200)로 되돌아온다면 프로세서(200)는 집수통(120) 내에 소정의 수위 이상의 물이 저장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2)에 물비움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저수센서(170)가 저수영역(112)의 물을 인식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22)에 물비움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저수센서(170)를 통해 저수영역(112)에 물이 집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물이 집수되었다면 이를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집수통(120) 내의 물을 비워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개폐감지센서(24)가 도어(20)의 개폐여부를 센싱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극부재(10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단자(140), 저수센서(170), 개폐감지센서(24) 및 디스플레이부(2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00)는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자(140), 저수센서(170), 개폐감지센서(24) 및 디스플레이부(22)를 각각 제어하는 프로세서(200)는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센싱 유닛(1000)을 통해 집수통(120)이 본체(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면(S1), 집수통(120)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크거나 같은지 검출할 수 있다(S2).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전극부재(100)와 집수통(120) 내에 물이 접촉하여 복수의 전극부재(100) 간에 통전이 일어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200)는 제1전극부재(101)와 제3전극부재(103) 간의 통전이 일어나는지 감지하거나 또는 제2전극부재(102)와 제3전극부재(103) 간의 통전이 일어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전극부재(101) 또는 제2전극부재(102) 중 집수통(120) 내부로 돌출된 길이가 긴 전극부재와 제3전극부재(103) 간의 통전이 일어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00)는 집수통(120)의 수위가 소정의 기준 수위 보다 크거나 같은 점을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할 수 있다(S3). 즉, 집수통(120)의 물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복수의 전극부재(100) 간에 통전이 일어나는 경우, 센싱 유닛(1000)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S4). 구체적으로는 전극부재(100)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부재(100)의 부식을 늦출 수 있고, 전극부재(100)의 교환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집수통(120)의 물을 비운 후 본체(10)에 집수통(120)을 재 장착시킬 수 있다(S5).
집수통의 재장착 후 사용자가 도어를 폐쇄시키면 도어의 하부에 마련된 개폐감지센서가 도어의 폐쇄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S6). 즉, 프로세서(200)는 개폐감지센서를 통해 도어의 폐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결정하면 전극부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S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수통(120)에 소정의 수위를 넘어 물이 전극부재(100)와 접촉하는 경우 센싱 유닛(1000)의 전원을 차단하고, 물이 비워진 경우에만 센싱 유닛(100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극부재(100)의 부식을 늦출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하여 집수통(120)의 물을 비우는 행위 외에는 별도 행위 없이 전극부재(100)에 전원이 재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신발 관리기
10; 본체
20: 도어
30; 신발 관리실
40; 기계실
50; 신발지지장치
60; 공급포트
70; 측면 덕트
90; 덕트 플레이트
100; 전극부재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집수통
130; 커버 플레이트
140; 단자
150; 단자케이스
170; 저수센서
200; 프로세서

Claims (20)

  1. 처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처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는 집수통; 및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으로, 상기 집수통이 상기 본체에 수납시 상기 집수통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본체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집수통이 상기 본체에 수납시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집수통에 일정량의 물이 집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단자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집수통의 일측에 배치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집수통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는 상기 제1 단자와 접속하는 제1전극부재와, 상기 제2 단자와 접속하는 제2전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제1전극부재 및 제2전극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제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상기 집수통 내의 수위에 관계없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집수통 내의 일정량의 물이 집수된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는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도록 상기 집수통의 내부로 돌출되는 제3전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재는 상기 집수통 내의 물과 접촉할 경우 상기 본체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제3 단자와 접속하는 제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재와 제2전극부재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제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단자 또는 제3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집수통의 수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의 상측에 마련되는 단자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 및 제3 단자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와 각각 접촉하는 접촉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단자케이스는 상기 접촉부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접촉부들의 상측에서 상기 접촉부들을 가압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수통은,
    상기 본체 내에서 출수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집수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로부터 유출된 물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흐르도록 상기 개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덕트를 지난 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저수되는 제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을 커버하도록 상기 집수통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저수영역; 및
    상기 저수영역에 저수된 물을 센싱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영역으로 돌출되는 저수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가이드 덕트로부터 상기 저수영역으로 흐르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저수유로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센서가 저수된 물을 센싱할 경우, 상기 저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 하부에 배치되는 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재를 통해 수위를 감지할 경우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습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센서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복수의 전극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습장치.
  16. 처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처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내에서 냉각 과정을 통해 응축된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집수통으로, 상기 집수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집수통 내의 물이 오버플로우되는 개구와, 상기 개구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이 아래로 흐르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집수통의 수납여부를 센싱하는 센싱 유닛; 및
    상기 가이드 덕트로부터 흐른 물이 집수되도록 상기 집수통 아래에 배치되는 저수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습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저수영역에 저수된 물을 센싱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영역으로 돌출되는 저수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19. 제1전극부재와 제2전극부재의 통전 여부에 기초하여 본체에 수납되는 집수통을 감지하고;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제3전극부재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전극부재 또는 제2전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전극부재가 통전되면, 상기 제1전극부재, 상기 제2전극부재 및 상기 제3전극부재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습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의 개방을 센싱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를 센싱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전극부재, 상기 제2전극부재 및 상기 제3전극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149425A 2020-11-10 2020-11-10 제습장치 KR20220063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25A KR20220063494A (ko) 2020-11-10 2020-11-10 제습장치
PCT/KR2021/012947 WO2022102948A1 (ko) 2020-11-10 2021-09-23 제습장치
EP21892118.7A EP4198428A4 (en) 2020-11-10 2021-09-23 DEHUMIFICATION DEVICE
US18/122,261 US20230233991A1 (en) 2020-11-10 2023-03-16 Dehumid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425A KR20220063494A (ko) 2020-11-10 2020-11-10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94A true KR20220063494A (ko) 2022-05-17

Family

ID=8160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425A KR20220063494A (ko) 2020-11-10 2020-11-10 제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33991A1 (ko)
EP (1) EP4198428A4 (ko)
KR (1) KR20220063494A (ko)
WO (1) WO20221029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222A (ja) * 1993-05-28 1994-12-06 Omron Corp レベル計測装置
DE102004055941B4 (de) * 2004-11-19 2017-05-11 BSH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KR100753506B1 (ko) * 2005-03-17 200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수위감지센서
KR101362784B1 (ko) * 2007-03-14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33249B1 (ko) * 2009-01-23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수위 감지 장치 및 그의 감지 방법
KR20090083325A (ko) * 2009-07-22 2009-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84436B1 (ko) * 2010-05-14 2012-09-20 주식회사 파세코 의류 건조기
EP3177763A1 (en) * 2014-08-06 2017-06-14 Arçelik Anonim Sirketi Laundry dryer having an improved condensate storage assembly
CN106592694A (zh) * 2016-12-20 2017-04-26 广州东奥电气有限公司 一种带干衣功能的空气造水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8428A1 (en) 2023-06-21
EP4198428A4 (en) 2024-04-03
WO2022102948A1 (ko) 2022-05-19
US20230233991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9284B2 (ja) 衣類処理装置
EP2927617B1 (en) Dehumidifier
KR101662888B1 (ko) 제습기
JP2022000190A (ja) 衣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EP2610391B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steam nozzle unit
WO1993014353A1 (en) Portable dehumidifier
KR2021007494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 관리기
KR20220063494A (ko) 제습장치
TW202132730A (zh) 濕度調節裝置
EP2610392A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steam nozzle unit
EP2610395B1 (en) Liquid reservoir for a home appliance having a liquid level indication unit
EP2610399A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liquid reservoir
US11441258B2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1050569A (ja) 除湿機
EP2610396B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liquid reservoir
US1151913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EP2610397B1 (en) Laundry drying domestic appliance having a liquid reservoir with filling inlet
CN215372746U (zh) 除湿机
KR20230119990A (ko) 의류 관리기
JP2023004729A (ja) 除湿機
KR102463802B1 (ko) 제습기
JP2021175927A (ja) 加湿水容器、加湿装置及び調湿装置
JP2022183541A (ja) 空気調和機
CN118103562A (zh) 衣物护理设备
KR102400752B1 (ko) 제가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