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237A - 유모차 및 유모차 프레임 - Google Patents

유모차 및 유모차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237A
KR20220063237A KR1020227012456A KR20227012456A KR20220063237A KR 20220063237 A KR20220063237 A KR 20220063237A KR 1020227012456 A KR1020227012456 A KR 1020227012456A KR 20227012456 A KR20227012456 A KR 20227012456A KR 20220063237 A KR20220063237 A KR 2022006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evice
adapter
stroller
tilt ang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플레사
볼프람 피셔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for two or more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3개, 특히 4개의 휠(42)을 통해 지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섀시 프레임(40) 및 어댑터(50, 60)를 통해 섀시 프레임(40)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용 장치(20, 30), 특히 아동 수용 장치를 구비하고, 어댑터(50, 60)는, 수용 장치(20, 30)의 연결 및 그 방향 및 선택적으로 그 조작과 관련하여, 이들이 평면에서 볼 때 운송 장치 및 수용 장치(20, 30)의 전체 무게 중심 및 따라서 전체 무게 중심선이 휠(42) 또는 스탠딩 표면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P) 내에 놓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허용하지 않고, 및/또는 평면에서 볼 때 운송 장치 및 수용 장치(20, 30)의 전체 무게 중심 및 따라서 전체 무게 중심선이 항상 휠(42) 또는 스탠딩 표면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P) 내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만을 허용하도록 설계되며 섀시 프레임(40)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모차 및 유모차 프레임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아동 수용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부착물이 배열된 유모차 및 유모차 프레임은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그러한 시트 부착물은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위한 상이하고, 때로는 가변적인, 착석 위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유모차의 충분히 높은 안정성이 각 시트 부착물 및/또는 각각의 조정 가능한 시트 위치에 대해 보장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시트 부착물 및/또는 시트 부착물의 다르게 조정 가능한 시트 위치를 사용하면 때때로 바람직하지 않은 전복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전복 상황은 유모차가 놓여 있는 지면의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복 상황은 유모차가 수평 지면이 아닌 오르막 또는 내리막 길과 같은 경사 지면에서 촉진된다.
특히 유모차의 작동 지침에서 특정 (불안정) 구성에 대해 조언하는 경고와 함께 앞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이 종래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 설명서의 적절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경고가 (부주의하게) 고려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부주의한) 유모차의 오용이 여전히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 장치, 특히 안정성이 증가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부주의한) 오용에 대한 (개선된) 보호 기능을 갖춘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하며, 안전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솔루션에 의해 달성되어야 한다.
증가된 안정성은 특히 운송 장치, 특히 유모차가 특정 각도, 예를 들어 수평과 관련하여 약 8° 또는 약 10° 또는 약 12° 또는 약 15°까지 어떤 방향으로도 틸팅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는 특히 아래쪽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휠이 후방 휠보다 낮도록 하고, 유모차의 길이 방향이 경사면의 등고선에 수직이도록), 위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휠이 후방 휠보다 높도록 하고, 유모차의 길이 방향이 경사면의 등고선에 수직이도록) 또는 측면으로 향하는 (유모차의 길이 방향이 경사면의 등고선에 평행하고 및/또는 운송장치나 유모차가 놓여 있는 휠의 지지점에 의해 정의되는 다각형의 전방 휠과 후방 휠을 연결하는 측면 경계선이 경사면의 등고선과 평행하도록) 틸트와 관련하여 어떤 방향으로든 놓일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운송 장치 및 청구항 2에 따른 유모차, 청구항 9에 따른 유모차, 청구항 14에 따른 유모차 및 청구항 18에 따른 유모차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3개, 특히 4개의 휠을 통해 지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섀시 프레임을 갖고, 적어도 2개의 수용 장치, 특히 어댑터를 통해 섀시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아동 수용 장치를 갖는 운송 장치, 특히 유모차에 의해 해결되며, 어댑터는, 수용 장치의 연결 및 그 배열(및, 적절한 경우, 그 조작)과 관련하여, 이들이 평면에서 볼 때 운송 장치 및 수용 장치(들)의 전체 무게 중심(특히 하중 또는 아동 또는 아동들이 있거나 및/또는 없는 경우, 적절한 경우 하중이 있거나 없는 경우에만) 및 따라서 전체 무게 중심선이 휠 또는 그 스탠딩(standing) 표면(적어도 수평 지면의 경우,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경우, 수평에 대해 20° 이하, 또는 적어도 5° 이하의 각도를 갖는 평면, 지면)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 내에 놓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허용하고 않고, 및/또는 평면에서 볼 때(또는 상부에서 볼 때) 운송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전체 무게 중심(특히 하중이 있고 및/또는 없는 경우 또는 적용 가능한 경우 하중이 있거나 없는 경우에만) 및 따라서 전체 무게 중심선이 휠 또는 그 스탠딩 표면(적어도 수평 지면의 경우,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경우, 수평에 대해 20° 이하, 또는 적어도 5° 이하의 각도를 갖는 평면, 지면)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 내에 항상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만을 허용하도록, 설계되며 적절한 경우 섀시 프레임에 포지셔닝 가능하다(positionable).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어댑터는, 이들이 수용 장치(들)와 함께 운송 장치의 전체 무게 중심(특히 하중, 바람직하게는 아동이 있고 및/또는 없는 경우, 필요한 경우 하중, 바람직하게는 아동이 있거나 없는 경우에만)이 평면에서 볼 때 (적어도 수평 지면의 경우) 휠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 내에 항상 놓이는 방식으로 수용 장치의 연결 및 그 배열(및 필요한 경우, 조작)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필요한 경우, 섀시 프레임에 포지셔닝될(positioned) 수 있음).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용 장치 중 적어도 하나(더욱 바람직하게는 둘다)는 2개의 상이한 방향(특히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러나, 위의 조건(들)으로 인해, 모든 연결 구조 또는 모든 어댑터를 통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연결 구조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지향될 수 있지만, 제2 연결 구조에서 전방으로만(또는 후방으로만) 지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용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제1 연결 구조에서 전방으로(만) 배열될 수 있지만, 제2 연결 구조에서 후방으로(만) 배열될 수 있다. 수용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필요한 경우 제1 및 제2 연결 구조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모두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가능하게는 제1) 수용 장치(가능하게는 여러 개 또는 모든 수용 장치)는 특정(예: 제1) 연결 구조에만 배열되거나 원칙적으로 제공된 모든 연결 구조에는 배열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가능하게는 추가 또는 제2) 수용 장치(들)(가능하게는 여러 개 또는 모든 수용 장치)는 제공된 여러 연결 구조 또는 모든 연결 구조,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연결 구조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구조에 배열될 수 없고 (연결될 수 없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구조에서 특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없다(여기서 특정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또는 제2 연결 구조에서 가능함).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으로 방지된 배열(연결) 및/또는 구조적으로 방지된 배열 및/또는 구조적으로 방지된 틸트 조정은, (단지) 이론적으로 고려되는 실현의 경우에, 위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지 않을 것이다(특히, 평면에서 볼 때 - 상부에서 볼 때 - 운송 장치 및 수용 장치의 전체 무게 중심(특히, 바람직하게는 하중이 있고 및/또는 없는 경우, 가능하게는 하중이 있고 및/또는 없는 경우에만) 및 전체 무게 중심선이, 적용 가능한 경우 항상, 휠 또는 그 스탠팅 표면(적어도 수평 지면의 경우,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경우, 수평에 대해 20° 이하, 또는 적어도 5° 이하의 각도를 갖는 평면, 지면)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 외부에 놓인다.
특히, 운송 장치의 전체 무게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각각의 구조적으로 허용되는) 무게선은 앞서 언급한 투영 영역을 통해 연장되어야 한다. 그러면 안정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특히 지면과 섀시 프레임의 휠의 모든 접촉 지점 사이의 (가상의) 연결이 다각형을 생성한다는 점에 기반하고(필요한 경우, 다각형 내부에 놓이는 연결 무시). 적어도 하나의 구성 - 중력의 작용 방향으로 다각형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투영됨 - 에서 무게 중심은 반드시 다각형 내에 놓인다.
접촉 지점은 특히 (평면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선형 접촉의 경우) (접촉) 중심 및/또는 각각의 (표면) 중심(접촉의 중심)을 의미한다. 각각의 휠이 회전 가능한 경우, 휠이 직진 주행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지 않은 전복(tipping) 상황은 (바람직하게는 적재된) 운송 장치(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재된 유모차)의 무게 중심과 무게선이 다각형의 표면 위에 있지 않은 경우, 즉 평면에서 볼 때 다각형의 외부에 있을 때 항상 발생한다. .
중력에 의해 주어진 방향은 결정적이다. 즉, 중력 방향으로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다각형을 통과하는지(그러면, 정의에 의해, 무게 중심이 다각형 위에 있고 유모차, 아마도 적재된 유모차가 전복되지 않음) 또는 그렇지 않은지(그러면, 정의에 의해, 무게 중심이 다각형 위에 있지 않고 유모차, 아마도 적재된 유모차가 전복될 수 있음) 여부이다.
실시예에서, 유모차는 두 개의 전방 휠과 두 개의 후방 휠을 가질 수 있으므로, 평면에서 볼 때 사변형(특히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이 다각형이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모차는 하나의 전방 휠과 두 개의 후방 휠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삼각형(특히 이등변 삼각형)이 다각형이 된다.
적재(loading)(하중(load))와 관련하여, 적재된(loaded) 운송 장치(적재된 유모차)는 특히 상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장치가 적재될 때, 즉 예를 들어 수용 장치 또는 수용 장치 중 하나가 아동 수용 장치이고 아동이 그 안에 수용될 때, 또는 수용 장치 또는 수용 장치 중 하나가 예를 들어 쇼핑이 위치하는 쇼핑 바구니일 때 실현되어야 한다.
수용 장치당 하중은 특히 최대 10kg, 또는 10kg 초과 및 최대 15kg, 또는 15kg 초과 및 최대 22kg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수용 장치의 하중은 물론 동일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의해 추가로 해결된다: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서 설계된 적어도 제1 및 제2 수용 장치;
유모차 프레임;
수용 장치가 유모차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제1 및 제2 어댑터;
제1 수용 장치는 수용 장치가 제1 및/또는 제2 어댑터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를 가지고, 제2 수용 장치는 수용 장치가 두 어댑터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1 어댑터에만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를 가진다.
어댑터는 특히 한 쌍의 어댑터 엘리먼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어댑터 엘리먼트는 바람직하게는 유모차 프레임의 스트럿의 측면 및/또는 슬라이더 측면의 섹션에, 바람직하게는 대칭의 중심 평면에 대해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다(유모차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진행).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및 대응하는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각각 수용 장치가 어댑터(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때 서로 접촉할 수 있거나 적어도 서로 매우 가깝게(최대 2 또는 1밀리미터의 거리에서) 배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어댑터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는 수용 장치를 형성(또는 포함)할 수 있고,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수용 장치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가 어댑터의 수용 장치에 완전히 수용될 때,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수용 장치의 추가 이동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런 다음, 수용 장치는 운송 장치, 특히 유모차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아이디어는 유모차 프레임이 적어도 2개, 즉 제1 (상부) 어댑터와 제2 (하부) 어댑터를 포함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에 의해, 하부 어댑터는 (사용 상태에서) 상부 어댑터보다 지면에 더 가깝게 및/또는 전방 휠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유모차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의 하부 어댑터 및 상부 어댑터 모두에 연결 가능하도록 제1 아동 수용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제2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는 어댑터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하부 어댑터에만 독점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다른 (상부) 어댑터에는 연결될 수 없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리브 또는 텅(tongue)(텅과 홈 연결의 의미에서)과 같은 돌출부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지만, 제1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그렇지 않고, 따라서 하부 어댑터(상부 어댑터는 아님)는 대응하는 리세스(대응하는 홈), 예를 들어 제2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하부 어댑터에 대한 기계적 연결을 허용하는 홈을 가진다.
따라서, 상부 어댑터에 대한 제2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의 기계적 연결이 방지되는 반면, 제1 아동 수용 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 어댑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제1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가 돌출부를 갖고 및/또는 상부 어댑터가 리세스(홈)를 갖도록 반전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어댑터 중 하나가 돌출부를 갖고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 중 하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가 리세스(홈)를 갖도록 반전이 가능하다.
특히, 두 개의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시트 섹션과 등받이 섹션을 갖는 시트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등받이 섹션은 아동의 등 및 머리를 기대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유닛은 다리 섹션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시트 섹션과 등받이 섹션, 그리고 선택적으로 시트 섹션과 다리 섹션은 서로 다른 경사 위치(앉는 위치와 눕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서로 힌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모든 섹션은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용 연결 엘리먼트에 대해 함께 틸팅될 수 있으므로, 시트 유닛은 프레임에 대해 서로 다른 틸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 유닛은 후방 또는 전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모차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바람직하게는 평면도에서 중앙에 배치되고 한 쌍으로 형성되지 않는 단일 어댑터를 통해), 대안적으로 유모차 프레임에서 분리하고 약 180° 회전하여 다시 장착할 수 있다.
눕는(lying) 유닛으로 설계된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는 예를 들어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과 측면 경계를 위한 측벽에서 (아마도 패딩된) 바닥을 가질 수 있다. 최소한, 눕는 유닛은 바닥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지향되도록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카운터 구조에 대해 바닥과 측벽이 함께 틸팅될 수 있어 눕는 유닛이 섀시 프레임에 대해 다른 틸트를 가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눕는 유닛은 후방 방향으로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눕는 유닛을 프레임에서 제거하고 약 180° 회전하여 다시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이지 않은데, 아주 어린 아동(눕는 유닛으로 운송되는)이 가능하면 그들을 밀고 있는 사람과 항상 눈을 마주칠 수 있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결합된 시트/눕는 유닛으로 설계된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는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시트 장치에서 눕는 유닛으로 변형될 수 있다.
유아용 캐리어로 설계된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는 유아 또는 어린 아동(이는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지만, 보통 약 1세 또는 약 15개월까지)을 모터 바이클, 특히 자동차로 운송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유아용 캐리어는 원-피스 구조(모놀리식)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체형 유아용 캐리어는 서로 고정 연결된 복수의 엘리먼트로 구성되거나 다중-피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중-피스 실시예에서, 유아용 캐리어는 시트 섹션 및 등받이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등받이 섹션은 등 및 머리를 기대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유아용 캐리어는 다리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시트 섹션과 등받이 섹션, 그리고 선택적으로 시트 섹션과 다리 섹션은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서로 다른 경사 위치(앉은 위치와 눕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잠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모든 섹션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연결을 위해 제공된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에 대해 함께 틸팅될 수 있어서, 시트 유닛은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틸트 각도를 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캐리어는 후방을 향하는 방식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프레임에서 유아용 캐리어를 분리하고 180° 회전하여 다시 놓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이지 않은데, 아주 어린 아동(유아 캐리어로 운송됨)이 가능한 한 그들을 미는 사람과 항상 눈을 마주칠 수 있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유모차 프레임은 다양한 프레임 부품, 특히 하나 이상의 전방 휠 스트럿, 하나 이상의 후방 휠 스트럿 및 푸셔, 및 가능하게는 다른 스트럿 또는 프레임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프레임 부품은 고정식으로 또는 이동식으로, 예를 들어 관절식으로(articulatedly) 또는 신축식으로(telescopically)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프레임은 여러 휠, 특히 두 개의 후방 휠와 적어도 하나의 정방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휠은 수평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회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든 후방 휠은 동일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특히, 제1 축은 물리적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방 휠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축은 직진 주행 시 제1 축과 평행하다. 특히, 코너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체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모차를 틸팅하지 않고 사용할 때는 모든 휠이 지면과 접촉하고 있다. 유모차의 경우, 전방 틸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휠이 계속 지면에 접촉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특히 모든) 후방 휠이 지면에서 들어 올려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후방 틸팅은 적어도 하나의 전방 휠 중 하나(또는 존재하는 경우 여러 개, 특히 모두)가 지면에서 들어 올려지는 동안 후방 휠이 계속 지면과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특징 및 관련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적용 가능하고 양도 가능하다.
특히, 제1 어댑터는 특히 홈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갖고, 제2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리브 형태로 되는, 특히 제1 수용 장치의 리세스에 상보적인,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어댑터에 대한 제2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안전한 연결이 가능한 한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수용 장치가 제1 방향으로 제1 어댑터에 연결될 때 제1 어댑터의 리세스와 결합되고, 이에 의해 수용 장치는 제1 어댑터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어댑터는 특히 홈으로서 또한 형성되는 추가 리세스를 가지고, 제2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수용 장치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어댑터에 연결될 때 제1 어댑터의 추가 리세스와 결합된다. 이것은 수용 장치를 제1 어댑터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제2 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제2 어댑터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인 접촉 표면을 가지고, 특히 제1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또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인 접촉 표면을 가지며, 이에 의해 제2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2 어댑터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어댑터는 유모차 프레임 대신에 제1 및/또는 제2 수용 장치 상에 배열되고, 연관된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유모차 프레임 상에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서 설계된 적어도 제1 및 제2 수용 장치;
유모차 프레임;
수용 장치가 유모차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제1 및 제2 어댑터;
제1 수용 장치는 시트 섹션 및 그에 대해 선회 가능한 등받이 섹션, 뿐만 아니라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제1 수의 틸트 각도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제2 수용 장치는 시트 섹션 및 그에 대해 선회 가능한 등받이 섹션 및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제1 수와 다른 제2 수의 틸트 각도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의해 (특히 이전 단락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해결된다: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서 설계된 적어도 제1 및 제2 수용 장치;
유모차 프레임;
수용 장치가 유모차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제1 및 제2 어댑터;
제1 수용 장치는 시트 섹션과 그에 대해 선회 가능한 등받이 섹션, 뿐만 아니라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제2 수용 장치는 시트 섹션과 그에 대해 선회 가능한 등받이 섹션, 뿐만 아니라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제1 수용 장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제2 수용 장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조정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틸트 각도가 조정될 수 있고, 및/또는 제2 수용 장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제1 수용 장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조정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틸트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또한 제1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가 복수(예를 들어, 2개 이상)의 틸트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카운터 구조를 틸팅하거나, 서로에 대해 개별 섹션을 선회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1 수용 장치의 메커니즘은 제2 수용 장치의 상응하는 메커니즘보다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더 많은 수의 상이한 틸트 각도의 조정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제2 수용 장치의 특정 틸트 각도가 체계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립) 시트 위치, 하나의 (평평한) 눕는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가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위치는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각도(틸트 각도)가 약 90° 내지 약 140°, 바람직하게는 약 105° 내지 약 125°일 수 있다. 눕는 위치는 약 140° 내지 약 180°,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약 170°의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각도(틸트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위치는 시트 위치에서의 각도보다 크지만 눕는 위치에서의 각도보다 작은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각도(틸트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아마도 존재하는, 중간 위치의 경우,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각도(틸트 각도)는 제1 중간 위치의 각도보다 크지만 눕는 위치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아마 존재하는 제3 및 추가 중간 위치에 대한 각도(틸트 각도)는 위와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트 위치는 적어도 약 115°의 각도(틸트 각도)로 설계될 수 있고, 제1 중간 위치는 적어도 약 130°의 각도(틸트 각도)로 설계될 수 있고, 제2 중간 위치는 약 145° 이상의 각도(틸트 각도)로 설계될 수 있고, 눕는 위치는 약 160° 이상의 각도(틸트 각도)로 설계될 수 있다.
제2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는 (무엇보다도) 하나 이상의 틸트 위치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또는 조정 불가능함) 점에서 제1 수용 장치와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기울어진 위치(특히, 눕는 위치)는 존재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중간 위치 중 하나 이상이 없을 수도 있다(이들이 제1 아동 수용 장치에 있는 경우). 특히, 중간 위치의 부재는 적어도 약 130° 내지 적어도 약 1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40° 내지 적어도 약 150°의 각도를 갖는 위치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아동 수용 장치의 다른 질량 분포가 특정 각도에서 예상될 수 있으므로, 최소 약 150° 미만의 각도를 갖는 위치가 최소 약 160°의 각도를 갖는 위치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제2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는 제1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와 동일한 시트 위치 및 동일한 눕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중간 위치 또는 여러 중간 위치 중 하나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잠금을 위해 서로 맞물리고 잠금 해제를 위해 분리되는 대응하는 구조를 통해 다른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는 예를 들어 치형 테두리(외향을 향한 치형 또는 돌출부를 가짐) 및 스윙 베어링(즉, 내부 표면에 리세스가 있는 링), 또는 카운터 구조의 대응하는 홀을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 및 이전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특징 및 관련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후속) 유모차에 적용 가능하고 양도 가능하다.
특히, 제1 수용 장치의 메커니즘은 제2 수용 장치의 대응하는 메커니즘보다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더 많은 수의 상이한 틸트 각도의 설정을 허용한다. 이로써, 특히 제2 수용 장치의 경우, 유모차의 안정성에 불리한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갖는 수용 장치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용 장치의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적어도 다음 위치들이 조정 가능하다: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90° 내지 적어도 약 14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5° 범위에 있는 시트 위치;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140° 내지 적어도 약 1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0° 내지 적어도 약 170° 범위에 있는 눕는 위치;
뿐만 아니라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가 누워 있는 위치에서 틸트 각도보다 작고 시트 위치에서 틸트 각도보다 큰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 이에 의해,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의 특히 편리한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다음 위치는 제2 지지 장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90° 내지 적어도 약 1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5° 내지 적어도 약 125°인 시트 위치;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140° 내지 적어도 약 1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0° 내지 적어도 약 170°의 범위에 있는 눕는 위치;
뿐만 아니라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가 다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
틸트 각도는 약 15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40° 미만이고, 시트 위치에서 틸트 각도보다 크며; 그리고
틸트 각도는 약 15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약 155°보다 크고, 눕는 위치에서의 틸트 각도보다 작다. 이로써, 한편으로는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의 특히 편리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특히 유모차의 틸팅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약 140°와 약 150° 사이의 특정 범위의 틸트 각도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제는 다음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의해 추가로 해결된다: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서 설계된 적어도 제1 및 제2 수용 장치;
유모차 프레임;
수용 장치가 유모차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하나의 제2 어댑터;
2개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1 어댑터는 조정 메커니즘을 가지고,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가 유모차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2개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고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하부) 어댑터를 포함하는 유모차의 유모차 프레임에 기초한다. 특히, 유모차 프레임은 정확히 2개, 즉 하부 및 상부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부) 어댑터는 제1 (상부) 어댑터보다 지면에 더 가깝게 및/또는 전방 휠에 더 가깝게 부착할 수 있다. 제2 (상단) 어댑터는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위치 사이에 조정 가능하게 배열되어야 한다. 어댑터 위치의 조정은 조정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모차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수용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 및 이전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특징 및 관련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음의 유모차에 적용 가능하고 양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는 유모차 프레임에, 특히 그의 상부 후방으로부터 하부 전방으로 연장하는 스트럿에 종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장착되고, 이에 의해 2개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특히 쉽게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특히, 2개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메커니즘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 상의 여러 상이한 위치에서 특히 래치식으로(latchebly)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2개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간단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조정하고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는 정확히 또는 적어도 3개의 위치에 있는 조정 메커니즘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고정 가능하고, 특히 래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의해 추가로 해결된다: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장치;
유모차 프레임;
수용 장치가 유모차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여기서
수용 장치의 어댑터 연결 부재는 수용 장치에 형성된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메커니즘을 가지며, 여기서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은 수용 장치가 어댑터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때 차단 메커니즘에 의해 차단되는 반면,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은 특히 수용 장치가 어댑터를 통해 유모차 프레임에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될 때 차단 메커니즘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수용 장치(아동 수용 장치)가 서로 다른 위치 또는 방향으로 이동(조정)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어댑터의 접촉 돌출 표면) 차단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조정 가능성 및/또는 수용 장치의 조정에 대한 영향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 메커니즘은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중심을 통해 (개념적) 수직 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된 (가능하게는 스프링-부하)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핀은 제1 위치(예: 시트 위치)에서 누를 수 있고 제2 위치(예: 시트 위치를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누를 수 없는데, 예를 들어,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어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는 등받이에 연결된 엘리먼트가 핀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유모차 프레임에 대한 아동 수용 장치의 전방 연결에 대응하는) 일측에서, 어댑터는 핀이 변위되지 않도록 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방향(예를 들어, 프레임에 대한 아동 수용 장치의 후방 연결에 대응하는)에서, 예를 들어 런업 베벨(run-up bevel) 또는 유사한 구조가 어댑터에 배열될 수 있으므로 아동 수용 장치를 어댑터(유모차 프레임)에 연결하면 핀이 눌려진다.
이에 의해, 핀이 눌려질 때, 예를 들어 핀이 대응하는 홀, 슬롯 또는 리세스에 수용됨으로써 엘리먼트의 움직임이 핀에 의해 차단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동 수용 장치가 제1 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모든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반면에 다른 방향에서는 아동 수용 장치가 하나의 (또는 상기) 적절한 위치에 있을 때만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에 적합하지 않은 다른 위치는 연결된 상태에서도 액세스할 수 없다.
위에서 언급한 위치는 일반적으로 아동용 시트 유닛의 시트 섹션과 등받이 섹션 사이의 다른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및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특징 및 관련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후속) 유모차에 적용 가능하고 양도 가능하다.
추가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수용 장치가 어댑터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때 접촉 돌출 표면이 차단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도록 배열된 접촉 돌출 표면을 가진다. 그것과 함께,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수용 장치가 제1 방향으로 어댑터에 연결될 때 수용 장치가 더 평평한 (눕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의 틸트 각도의 증가가 유모차의 안정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1 방향에서, 시트 섹션에 대한 등받이 섹션의 틸트 각도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커니즘은 스프링-부하 핀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대해 어댑터의 접촉 돌출 표면에 의해 리세스,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의 리세스 내로 눌려지는 스프링-부하 핀을 구비하여,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이 잠글 수 있거나 잠겨 있다. 이것에 의해, 간단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시트 섹션의 시트 표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아동 시트 유닛의 차단 메커니즘이 이전에 지정된 기능과 함께 실현된다.
특히, 수용 장치는 특히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유모차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에 의해 수용 장치는 유모차 프레임에 대해 여러 가능한 방향으로 매우 쉽게 배열될 수 있다.
수용 장치의 회전 위치는 조정 가능하고, 특히 두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용 장치는 전방 위치 및 후방 위치에서 잠글 수 있다. 특히, 수용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어댑터, 특히 적응형 턴테이블을 통해 유모차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어댑터, 특히 턴테이블, 또는 수용 장치에는 슬라이더, 회전 노브, 푸시 버튼 또는 푸시 버튼 등과 같은 스위칭 엘리먼트가 할당되며, 이를 통해 수용 장치의 조정 가능한 회전 위치 또는 방향은 고정 가능하다.
추가 실시예에서, 수용 장치가 어댑터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특히 어댑터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 스위칭 엘리먼트는 제1 스위칭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칭 위치로 배타적으로 조정가능하다.
특히,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어댑터는 잠금 해제되고 수용 장치의 회전 위치 또는 방향은 스위칭 엘리먼트가 제1 스위칭 위치에 있는 경우 자유롭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엘리먼트가 제2 스위칭 위치에 있는 경우, 수용 장치는 전방 지향 위치 및 후방 지향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수용 장치는 아동, 유아 또는 아기의 운송을 위한 것과 별개로 동물 또는 다른 물체를 운송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프레임(유모차 프레임)과 하나 이상의 수용 장치를 포함한다. 수용 장치는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프레임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에 의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아동 수용 장치, 특히 시트 유닛, 눕는 유닛, 결합된 시트/눕는 유닛 또는 유아용 캐리어(자동차로 유아를 운송하는 데 적합함)이지만, 다른 운송 장치, 예를 들어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쇼핑 바구니 또는 기타 운송 장치일 수도 있다. 수용 장치는 프레임측 어댑터 또는 어댑터들에 대한 상보적인 대응물을 포함하거나, 중간 어댑터를 통해 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은 또한 하나 이상의 수용 장치,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어댑터 또는 수용 장치당 정확히 한 쌍의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여러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어댑터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어댑터 엘리먼트(예: 우측 어댑터 요소 및 좌측 어댑터 요소)인 경우에도 정확히 하나의 수신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조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유모차는 특히 여러 수용 장치용 어댑터가 제공되는 경우 존재하지만, 하나의 수용 장치만 프레임에 연결된 경우에도 존재한다. 이러한 유형의 유모차의 경우, 구성에 따라, 안정성이나 견실성(steadiness)이 원하는 만큼 좋지 않거나, 다시 말해서 전체 유모차가 원하는 것보다 더 쉽게, 특히 전방이나 후방으로, 가능하게는 측면으로 또는 상기 나열된 방향 사이에 놓이는 방향으로 전복될 수 있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 및/또는 수용 장치의 대응물,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후방 연결 가능한 아동 수용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비대칭(asymmetry)을 가진다. 이것은 본 발명의 중심(추가로 예시적이거나 독립적인) 아이디어이다. 비대칭을 통해 아동 수용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 방향(프레임에 대해)에서 사용 가능한 조정 가능성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동 수용 장치의 전방 및 후방 둘다의 방향에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어댑터 또는 대응물 중 하나는 실질적으로 2-카운트(two-count)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비대칭은 이 원리에서 의도적으로 벗어난 것이고, 특히 구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 또는 리세스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입이 가능한 핀으로서, 돌기 또한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대칭은 어댑터 및/또는 카운터 구조의 접촉 표면과 관련되도록 의도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아동 수용 장치는 고정 돌출부, 예를 들어 카운터 구조의 리브를 포함한다. 어댑터의 전방 영역에는 홈이 있어, 아동 수용 장치가 프레임에 전방으로만 연결될 수 있지만 후방 방향(또는 정확히 그 반대 방향)으로는 연결될 수 없다. 물론, 돌출부와 홈의 상호교체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수용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어댑터,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하부 어댑터 및 적어도 하나의 상부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은 정확히 2개, 즉 하부 어댑터와 상부 어댑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어댑터는 상부 어댑터보다 지면에 더 가깝거나 전방 휠에 더 가깝다. 상부 어댑터는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위치 사이에 조정 가능하게 배열되어야 한다. 어댑터 위치의 조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어댑터는 조정 동안(슬라이딩 동안) 비대칭 엘리먼트를 조정함으로써 전방 위치에서 갖지 않는 후방 위치에서(또는 그 반대) 비대칭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 휴지 위치와 작동 위치가 초래되고, 여기서 비대칭은 작동 위치에서만 아동 수용 장치의 대응물과 협력하며(예를 들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시트 위치와 같은 특정 위치로 제한함), 휴지 위치에서 아동 수용 장치의 대응물과 협력하지 않는다.
추가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어댑터를 포함하고, 아동 수용 장치는 프레임과 아동 수용 장치 사이의 회전 가능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물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전은 실질적으로 수직 축에 대해 이루어져야 한다. 아동 수용 장치는 프레임에 대해 적어도 두 위치,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두 위치에서 잠글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의 위치는 전방 위치 및 후방 위치이다. 또한, 아동 수용 장치는 제1 위치(최대 15kg의 하중을 가진 아동 수용 장치의 사용을 위한)와 제2 위치(최대 22kg의 하중을 가진 아동 수용 장치의 사용을 위한) 사이의 아동 수용 장치의 포지셔닝(positioning)을 허용하는 스위치를 포함해야 한다. 스위치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노브 또는 회전 노브 또는 푸시 버튼 또는 토글 스위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는 아동 수용 장치가 프레임에서 완전히 분리된 경우에만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잠금 가능한 모든 위치(양쪽)에서 프레임에 대한 아동 수용 장치의 연결이 가능하고, 프레임에 연결된 아동 수용 장치와 개방 위치 잠금으로 회전이 제한 없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에 대한 아동 수용 장치의 전방 위치에서만 연결이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에 대한 아동 수용 장치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프레임의 어댑터가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 아닌 접촉 표면에 리세스 또는 리시버(receiver)를 가진다는 점에서 구체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동 수용 장치의 카운터 구조의 접촉 표면은 대응하는 비대칭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카운터 구조의 접촉 표면에 리세싱되어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휴지 위치를 취한다. 스위치를 제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비대칭 엘리먼트는 카운터 구조의 주변 접촉 표면에 대해 돌출부를 형성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이 돌출부는 어댑터의 리시버 또는 리세스와 협력할 수 있지만, 다른 모든 위치(특히 후방 방향 위치)에서 프레임과 아동 수용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고(어댑터의 접촉 표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리시버 또는 리세스가 없기 때문에), 동시에 리시버 또는 리세스의 치수에 의해 미리 결정된 한계 내에서만 프레임에 대한 아동 수용 장치의 회전을 허용하고, 여기서 리시버 또는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만큼 넓다.
상기 언급된 목적은 특히 상기 유모차 뿐만 아니라 제1 수용 장치에 있는 적어도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 및/또는 제2 수용 장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또는 장치에 의해 추가로 해결된다.
상기 목적은 특히 상기 유모차 및/또는 상기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추가로 해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아동 또는 아동들을 수용 및/또는 운송하기 위해, 적어도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은 제1 수용 장치에 배치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은 제2 수용 장치에 배치된다.
상기 언급된 목적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명의 아동의 수용 및/또는 운송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추가로 해결되고,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언급된 유모차 및/또는 상기 언급된 시스템이 제공된다. 유모차 및/또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적 특징 및/또는 목적의 표시는 방법에 대한 방법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
하중이 있거나 하중이 없는 상태(및 대응하는 조건)가 추가로 언급되는 한, 이것은 특히 시스템, 용도 및 방법과 관련하여, 일단 무게 중심의 결정이 아동 없이 (완전히) 수행되어야 하고, 다른 경우에는 여러 수용 장치에 여러 아동이 있거나 각 수용 장치에 적어도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장치에서 적어도 한 명의 아동과 함께 무게 중심의 결정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여기에서, 다음은:
도 1은 수용 유닛이 없는 유모차의 개략도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수용 유닛을 갖는 유모차의 개략도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3은 제2 수용 유닛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제1 어댑터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제1 어댑터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6a는 후방 상부 위치에 있는 제1 어댑터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중간 위치에 있는 제1 어댑터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6c는 전방 하부 위치에 있는 제1 어댑터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수용 유닛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8은 수용 유닛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9는 수용 유닛의 시트 섹션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10은 수용 유닛의 시트 섹션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11은 수용 유닛의 스위칭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12는 수용 유닛의 시트 섹션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저면도로 도시하고;
도 13은 수용 유닛을 갖는 유모차의 개략도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14는 시트 유닛 형태의 아동 수용 장치의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제1 수의 상이한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그리고
도 15는 시트 유닛 형태의 아동 수용 장치의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제1 수와 다른 제2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다음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및 동일한 작동 부품에 사용된다.
도 2는 사선에서 본 2개의 수용 유닛(20, 30)을 갖는 유모차(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프레임(40) 또는 유모차 프레임(40)의 하부 영역에는 4개의 휠(42)(전방 휠 2개, 후방 휠 2개)가 장착된다. 프레임(40)에는 제1 어댑터(50) 및 제2 어댑터(60)가 고정된다. 또한, 도 2에서, 제1 수용 장치(20)는 제1 상부 어댑터(50)에 결합된다. 제1 수용 장치는 유모차(1)의 이동 방향으로 지향된다. 제2 수용 유닛(30)은 제2 하부 어댑터(30)에 결합된다. 제2 수용 장치(30)는 유모차(1)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된다.
도 3에서, 제2 수용 장치(3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의 개략적인 상세도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의 돌출부(311)는 작동 준비가 된 유모차의 섀시 프레임(40)과 함께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브(rib)로서 형성된다. 제1 수용 장치(2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여기에 도시되지 않음)는 리브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우측에 제2 리브(미도시)를 갖는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도 생각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어댑터(50)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어댑터(5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어댑터(50)이다. 또한, 도 4에서, 제1 리세스(51)는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어댑터(50)는 2개의 리세스(52)를 가지며, 이 리세스는 이 실시예에서 홈으로도 형성된다. 또한, 제1 어댑터(50)는 접촉면(참조 부호 없음)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어댑터(50)에 의해, 프레임(40)과 제1 또는 제2 아동 수용 장치(20, 30)(미도시)와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2 어댑터(60)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가 도시된다. 제2 어댑터(60)는 리세스를 갖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어댑터(60)는 하부 어댑터(60)이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 제1 어댑터(50)의 어댑터 엘리먼트의 개략적인 상세도가 상이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서, 제1 어댑터(50)는 후방 상부 위치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된다. 제1 어댑터(50)는 후방 상부에서 전방 하부로 연장되는 유모차 프레임(40)의 스트럿(41)에 부착된다. 도 6b에서, 제1 어댑터(50)는 중간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6c에서, 제1 어댑터는 전방 하부 위치에 고정된다.
도 7은 사선에서 본 수용 유닛(2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는 가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압축 스프링의 힘에 대해 눌려질 수 있는 핀으로 형성된, 차단 엘리먼트(201)를 가진다. 차단 엘리먼트(201)가 눌려지면, 차단 엘리먼트(201)는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미도시)의 엘리먼트(202)와 접촉하여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미도시)이 잠기거나 차단된다.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은 수평에 대한 아동 수용 장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8은 단면에서 본 수용 유닛(2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8에서, 차단 엘리먼트(201)는 눌려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차단 엘리먼트는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대해 눌려진다. 눌려진 차단 엘리먼트(핀)는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미도시)의 엘리먼트(202)의 리세스(203) 내로 더 눌려져서,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미도시)이 잠기거나 차단된다.
틸트 각도 조정 기구의 엘리먼트(202)는 수용 장치(20)의 등받이 섹션에 고정 연결되고, 핀과 협력하기 위한 단 하나의 리세스(홀)를 가진다. 이 하나의 리세스는 허용 가능한 수용 장치(20)의 시트 위치에 대응한다. 원칙적으로, 아동 수용 장치의 상이한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핀(201)에 대응하는 2개 또는 3개의 홀도 생각할 수 있다.
도 9에서, 수용 유닛(20)의 시트 섹션(22)의 개략적인 상세도를 사시도로 도시된다. 또한, 도 9는 스위칭 엘리먼트(24)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수용 유닛(20)의 시트 섹션(22)의 개략적인 상세도는 저면도로 도시된다. 또한, 도 10은 스위칭 엘리먼트(24)를 도시한다. 도 11은 스위칭 엘리먼트(24)의 2개의 상이한 상태 또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수용 유닛의 시트 섹션의 개략적인 상세도가 특히 적응형 턴테이블이 상세하게 보여질 수 있는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서, 수용 유닛(20)을 구비한 유모차(1)의 개략도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 제1 시트 유닛 형태의 제1 수용 장치의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 (도 14) 및 제2 시트 유닛 형태의 제2 수용 장치의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 (도 15)의 다른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메커니즘은 4개의 상이한 틸트 각도를 허용하는 반면, 도 15에 도시된 메커니즘은 3개의 상이한 틸트 각도만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14, 도 15에서, 일종의 치형 테두리(tooth rim)(70)은 조립될 때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지향되는 시트 섹션과 연관될 수 있는 반면, 상보적인 스윙 베어링(71)은 시트 섹션에 대해 사용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 섹션의 일부이다.
도 14, 도 15는 각각 치형 테두리(70)(치형부(teeth)가 반경 방향 외측 또는 유사한 돌출부를 가리키는)과 스윙 베어링(71)(여기서는 전술한 치형부(72)에 상보적인 리세스(73)을 갖는 평평한 링의 형태임) 사이의 잠금 위치를 도시한다.
잠금 해제를 위해, 부품(70, 71)이 시트 섹션과 등받이 섹션 사이의 힌지 축에 의해 정의된 축(74)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선회될 수 있도록 치형부(72)는 상보적 리세스(73)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치형 테두리(70)은 축(74)에 대해 방사상으로, 즉 도 14, 도 15에서 화살표(75)의 방향으로, 또는 치형부(72)가 관련 리세스(73)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축(74)에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원하는 틸트 각도를 설정한 후 반대 방향으로 잠금이 발생한다.
또한,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서, 치형 테두리(70)의 2개의 치형부(72)는 서로 다른 준비 상태를 가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스윙 베어링(71)은 또한 상이한 폭의 리세스(73)를 가지며, 이러한 리세스(73)의 배열은 도 14에 따른 설계에서와 동일한 수의 리세스로, 부품(70, 71)의 서로에 대한 4개의 상이한 각도 위치 대신 3개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윙 베어링(71)과 관련된 등받이 섹션의 틸트는 각각 시트 유닛 형태의 제1 및 제2 아동 수용 장치의 시트 섹션에 대해 상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Claims (31)

  1. 유모차로서,
    - 적어도 3개, 특히 4개의 휠(42)을 통해 지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섀시 프레임(40) 및
    - 어댑터(50, 60)를 통해 섀시 프레임(40)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용 장치(20, 30), 특히 아동 수용 장치를 구비하고,
    어댑터(50, 60)는, 이들이 수용 장치(20, 30)의 연결뿐만 아니라 그 배열 및, 적절한 경우, 그 조작과 관련하여,
    - 평면에서 볼 때 운송 장치 및 수용 장치(20, 30)의 전체 무게 중심 및 따라서 전체 무게 중심선이 휠(42) 또는 스탠딩 표면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P) 내에 놓이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허용하지 않고, 및/또는
    - 평면에서 볼 때 운송 장치 및 수용 장치(20, 30)의 전체 무게 중심 및 따라서 전체 무게 중심선이 항상 휠(42) 또는 스탠딩 표면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투영 영역(P) 내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만을 허용하도록
    설계되며, 필요한 경우, 섀시 프레임(40)에 포지셔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특히 제1항에 따른 유모차(1)로서,
    -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서 설계된 적어도 제1 및 제2 수용 장치(20, 30);
    - 유모차 프레임(40);
    - 적어도 수용 장치(20, 30)가 유모차 프레임(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어댑터(50, 60);를 포함하고,
    제1 수용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를 가지며, 이를 통해 수용 장치(20)는 제1 및/또는 제2 어댑터(50, 6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수용 장치(30)는 제2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를 가지며, 이를 통해 수용 장치(30)는 2개의 어댑터(50)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1 어댑터에만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어댑터(50)는 특히 홈으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51)를 가지고,
    제2 수용 장치(3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는 제1 어댑터(50)의 리세스에 상보적인, 특히 리브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어댑터(60)는 제2 수용 장치(3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의 돌출부(311)에 상보적인 리세스를 가지지 않고 및/또는
    제1 수용 장치(2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는 제1 어댑터(50)의 리세스(51)에 상보적인 돌출부를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수용 장치(3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1)는 수용 장치(30)가 제1 방향(I)으로 제1 어댑터(50)에 연결될 때 제1 어댑터(50)의 리세스(51)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5항에 있어서,
    제1 어댑터(50)는 특히 홈으로서 또한 형성되는, 추가 리세스(52)를 가지고,
    제2 수용 장치(3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31)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1)는 수용 장치(2)가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I)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인, 추가 방향(II)으로 제1 어댑터(50)에 연결될 때 제1 어댑터(50)의 추가 리세스(5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어댑터(60)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플래너 접촉 표면(61)을 가지고,
    특히 제1 수용 장치(2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는 또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플래너 접촉 표면(21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댑터 또는 어댑터들(60)은 유모차 프레임(40) 대신에 제1 및/또는 제2 수용 장치(20)이거나 그 위에 배열되고, 연관된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는 연관된 수용 장치 또는 장치들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9.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모차(1)로서,
    -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서 설계된, 적어도 제1 및 제2 수용 장치(20, 30);
    - 유모차 프레임(40);
    - 수용 장치(20, 30)가 유모차 프레임(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제1 및 제2 어댑터(50, 60);를 포함하고,
    제1 수용 장치(20)는 시트 섹션(22) 및 그에 대해 선회 가능한 등받이 섹션(23), 뿐만 아니라 등받이 섹션(23)과 시트 섹션(22)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제2 수용 장치(30)는 시트 섹션(32) 및 그에 대해 선회 가능한 등받이 섹션(33), 뿐만 아니라 등받이 섹션(33)과 시트 섹션(32)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 틸트 각도는 제1 및 제2 수용 장치 중 하나에 대해 조절 가능하고 제1 및 제2 수용 장치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조절 가능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9항에 있어서,
    제1 수용 장치(20)의 메커니즘은 제2 수용 장치(30)의 대응하는 메커니즘보다 등받이 섹션(23)과 시트 섹션(22) 사이의 더 많은 수의 상이한 틸트 각도의 조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수용 장치(30)는 등받이 섹션(23)과 시트 섹션(22) 사이의 틸트 각도로의 조정을 허용하지 않고,
    상기 틸트 각도는 제1 수용 장치(20)의 가장 큰 조정 가능한 틸트 각도에 해당하고 및/또는
    등받이 섹션(23)과 시트 섹션(22) 사이의 틸트 각도는 130°와 150° 사이, 특히 140°와 15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음의 위치:
    - 시트 섹션(22)에 대한 등받이 섹션(23)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90° 내지 적어도 약 14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5° 범위에 있는 시트 위치;
    - 시트 섹션(22)에 대한 등받이 섹션(23)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140° 내지 적어도 약 1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0° 내지 170°범위에 있는 눕는 위치; 및
    - 시트 섹션(22)에 대한 등받이 섹션(23)의 틸트 각도가 눕는 위치에서의 틸트 각도보다 작고 상기 시트 위치의 틸트 각도보다 큰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
    는 제1 수용 장치(20)의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음의 위치:
    - 시트 섹션(32)에 대한 등받이 섹션(33)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90° 내지 적어도 약 1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5° 내지 120° 범위에 있는 시트 위치;
    - 시트 섹션(32)에 대한 등받이 섹션(33)의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140° 내지 적어도 약 1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0° 내지 170°범위에 있는 눕는 위치; 및
    - 시트 섹션(32)에 대한 등받이 섹션(33)의 틸트 각도가 다음의 조건:
    -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150°미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40°미만이고, 시트 위치에서 틸트 각도보다 큼; 및
    - 틸트 각도가 적어도 약 15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5°보다 크고, 눕는 위치에서 틸트 각도보다 작음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
    는 제2 수용 장치(30)의 등받이 섹션과 시트 섹션 사이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4.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모차(1)로서,
    -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서 설계된, 적어도 제1 및 제2 수용 장치(20, 30);
    - 유모차 프레임(40);
    - 수용 장치(20, 30)가 유모차 프레임(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제1 및 제2 어댑터(50, 60);를 포함하고,
    2개의 어댑터(50, 60)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1 어댑터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50, 60)가 유모차 프레임(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조정 메커니즘을 가지며, 특히 2개의 어댑터(50, 6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유모차 프레임(40)에 대해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14항에 있어서,
    2개의 어댑터(50, 60) 중 적어도 하나는 유모차 프레임(40)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며, 특히 후방 상단에서 전방 하단 연장 스트럿(41)까지 종방향 측방향으로 유모차 프레임(4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2개의 어댑터(50, 60)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메커니즘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40)의 여러 다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특히 래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2개의 어댑터(50, 60)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정 메커니즘에 의해 유모차 프레임(40)에 대해 정확히 또는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특히 래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8.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모차(1)로서,
    - 특히 아동, 유아 및/또는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아동 수용 장치 및/또는 운송 장치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장치(20);
    - 유모차 프레임(40);
    - 수용 장치(20)가 유모차 프레임(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50);를 포함하고,
    수용 장치(20)의 어댑터 연결 엘리먼트(21)는 수용 장치(20)에 형성된 수평부에 대해 아동 수용 장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메커니즘을 가지고,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은 수용 장치(20)가 어댑터(50)를 통해 제1 방향(I)으로 유모차 프레임(40)에 연결될 때 차단 메커니즘에 의해 차단되고,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은 특히 차단 메커니즘에 의해 수용 장치(20)가 어댑터(50)를 통해 유모차 프레임(40)에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I)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반대인, 추가 방향(II)으로 연결될 때 차단되지 않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18항에 있어서,
    어댑터(50)는 수용 장치(20)가 어댑터(50)를 통해 유모차 프레임(40)에 제1 방향(I)으로 연결될 때 접촉 돌출 표면(501)이 차단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도록 배열된 상기 접촉 돌출 표면(5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차단 메커니즘은 스프링-부하 핀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대해 어댑터(50)의 접촉 돌출 표면(501)에 의해 리세스 내로,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의 리세스 내로 프레스되는 스프링-부하 핀을 포함하여, 틸트 각도 조정 메커니즘이 잠기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장치(20)는 특히 적어도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유모차 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1항에 있어서,
    수용 장치(20)의 회전 위치는 조정 가능하며, 특히 두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2항에 있어서,
    수용 장치(20)는 전방 위치 및 후방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3항에 있어서,
    수용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어댑터, 특히 적응형 턴테이블을 통해 유모차 프레임(4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4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어댑터, 특히 턴테이블 또는 수용 장치(20)에는 슬라이더, 회전 노브, 푸시 버튼 또는 푸시 버튼 등과 같은 스위칭 엘리먼트(24)가 할당되며, 이를 통해 수용 장치의 회전 위치 또는 방향이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5항에 있어서,
    스위칭 엘리먼트(24)는 수용 장치(20)가 어댑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특히 어댑터에 고정되지 않을 때 제1 스위칭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칭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5항에 있어서,
    스위칭 엘리먼트(24)가 제1 스위칭 위치에 있는 경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어댑터는 잠금 해제되고 수용 장치의 회전 위치 또는 방향은 자유롭게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25항에 있어서,
    스위칭 엘리먼트(24)가 제2 스위칭 위치에 있는 경우, 수용 장치(20)는 전방 위치 및 후방 위치에서 잠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장치(20)는 아동 또는 아기의 운송을 제외하고 동물 또는 기타 물체의 운송을 위한 장치로 설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1).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모차(1) 및 제1 수용 장치의 적어도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 및/또는 제2 수용 장치의 적어도 한 명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
  31. 적어도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이 제1 수용 장치에 배치되고 및/또는 적어도 한 명 또는 정확히 한 명의 아동이 제2 수용 장치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모차(1) 또는 시스템의 용도.
KR1020227012456A 2019-09-18 2020-09-15 유모차 및 유모차 프레임 KR20220063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105166.3 2019-09-18
DE202019105166 2019-09-18
PCT/EP2020/075700 WO2021052928A1 (de) 2019-09-18 2020-09-15 Kinderwagen und kinderwagengest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237A true KR20220063237A (ko) 2022-05-17

Family

ID=7251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456A KR20220063237A (ko) 2019-09-18 2020-09-15 유모차 및 유모차 프레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10959A1 (ko)
EP (1) EP4031438A1 (ko)
JP (1) JP2022549108A (ko)
KR (1) KR20220063237A (ko)
WO (1) WO20210529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7273B2 (en) * 2008-08-17 2012-04-17 Amir Bar-Lev Adjustable stroller
CN103318242B (zh) * 2012-03-19 2015-11-25 珠海优力创工贸有限公司 具有换向座位的可收合婴儿车
US9849903B1 (en) * 2016-12-09 2017-12-26 Tung Tzu Industrial Co., Ltd. Assembling structure of double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0959A1 (en) 2022-12-29
CN114667250A (zh) 2022-06-24
JP2022549108A (ja) 2022-11-24
EP4031438A1 (de) 2022-07-27
WO2021052928A1 (de)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1329T3 (es) Aparato de cochecito de niño
CN112224270B (zh) 手推车
EP2862781B1 (en) Child support apparatus
US6446990B1 (en) Transport vehicle for an infant of low age
US9221487B2 (en) Convertible stroller seat
US20020036391A1 (en) Child stroller with height-adjustable rear seat
US20220001908A1 (en) Strollers with removable seats and related methods
US20110284604A1 (en) Stroller with fold-down tray for receiving a car seat
KR20150144288A (ko) 유아 푸시 체어 프레임과, 유아 푸시 체어
US8727370B2 (en) Foldable stroller with rotatable leg rest adapted for receiving a car seat
JP2012183847A (ja) 乳母車
CZ14707U1 (cs) Konzola a modul, zejména dětská sedačka, k této konzole
KR20220063237A (ko) 유모차 및 유모차 프레임
CN103386905B (zh) 儿童车辆座椅和适于这种儿童车辆座椅的座椅和底座
GB2616494A (en) Child transportation system
CN114667250B (zh) 儿童车和儿童车车架
GB2166691A (en) An infant carriage
CN111356624A (zh) 用于运送儿童的装置和儿童座椅
JP2001328543A (ja) ベビーカー
JPH09193810A (ja) 乳母車
GB2566816B (en) A stroller
GB2310172A (en) Perambulator
EP3862247B1 (en) Stroller seat with a backrest folding mechanism
GB2566817A (en) A stroller